KR20220012512A -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512A
KR20220012512A KR1020200091362A KR20200091362A KR20220012512A KR 20220012512 A KR20220012512 A KR 20220012512A KR 1020200091362 A KR1020200091362 A KR 1020200091362A KR 20200091362 A KR20200091362 A KR 20200091362A KR 20220012512 A KR20220012512 A KR 2022001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opper plate
fastening
insert member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빈
조완제
이현재
김태희
정재은
박남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512A/ko
Publication of KR2022001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 압축기와 같은 차량 탑재 기기를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함에 있어 크기와 부피가 작고 종래에 비해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탑재 기기를 부위별로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는 복수 개의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마운트 유닛은, 차체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되는 마운트 본체; 상기 마운트 본체를 차체에 체결하면서 마운트 본체와 차체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차체 체결부; 및 상기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를 마운트 본체에 체결하면서 마운트 본체와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기기 체결부;를 포함하고, 차체 체결부와 기기 체결부는 각각 진동 흡수 및 감쇠를 위한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MOUNT DEVICE FOR VEHICLE-MOUNTED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 압축기와 같은 차량 탑재 기기를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로 압축하여 응축기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동차의 압축기로는, 차량 엔진의 동력으로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기계식과, 별도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의 회전동력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전동식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전동 압축기의 경우 압축기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가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가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압축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전동 압축기에서는 압축기 하우징의 일측에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가 설치되고, 이 인버터에 의해 모터의 회전수가 조절되면서 최적 냉방 효율을 고려한 가변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부재하여 엔진 동력을 이용할 수 없는 전기자동차에서는 전동 압축기가 탑재되며, 종래에는 전동 압축기를 구동모터 또는 감속기에 체결하여 장착하였다.
그 이유는, 구동모터나 감속기의 경우 차체 마운팅을 위한 마운팅 부품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마운팅 부품이 1차적으로 차체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이에 전동 압축기를 별도로 차체에 직접 체결하기보다는 구동모터 또는 감속기에 체결하는 것이 진동 및 내구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전기자동차가 2WD(2 Wheel-Drive)와 4WD(4 Wheel-Drive)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이 중에서 구동모터가 후륜측에 위치되는 2WD 차량의 경우에는 전방의 PE 룸(room)에 구동모터나 감속기가 없기 때문에 전동 압축기가 차체에 직접 체결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전동 압축기가 차량 하부에 위치되는 서브 프레임에 체결되고 있고,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에 전동 압축기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마운팅 브라켓이 이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동 압축기용 마운팅 브라켓은 부위별 마운팅이 아닌 전동 압축기 전체를 하측에서 지지 및 차체에 체결하므로 크기와 부피가 매우 크고, 인슐레이터가 설치된 필수 영역 외에 진동 흡수와 무관한 불필요한 부분이 많으므로 중량 및 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전동 압축기와 같은 차량 탑재 기기를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함에 있어 크기와 부피가 작고 종래에 비해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탑재 기기를 부위별로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는 복수 개의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마운트 유닛은, 차체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되는 마운트 본체; 상기 마운트 본체를 차체에 체결하면서 차체와 마운트 본체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차체 체결부; 및 상기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를 마운트 본체에 체결하면서 마운트 본체와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기기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체결부와 기기 체결부는 각각 진동 흡수 및 감쇠를 위한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지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에 의하면, 차량 탑재 기기를 차체에 마운트 하는 종래의 마운팅 브라켓에 비해 불필요한 부분이 삭제되어 크기와 부피가 크게 축소되므로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에 의하면, 차량 탑재 기기를 부위별로 상이한 구성이 아닌 동일 구성의 마운트 유닛 여러 개를 사용하여 마운트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발 투자비 절감, 부품 관리 비용 절감, 부품 관리 및 정비 측면의 용이함 등 부품 공용화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전동 압축기가 종래의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서브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 의해 전동 압축기가 마운트 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 의해 전동 압축기가 마운트 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서 마운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서 마운트 유닛의 체결 방향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트 유닛의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트 유닛의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트 유닛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트 유닛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퍼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퍼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의 스토퍼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 의해 전동 압축기가 마운트 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 의해 전동 압축기가 마운트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탑재 기기(1)를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크기와 부피가 작고 종래에 비해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마운트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차량 탑재 기기(1)는 전동 압축기일 수 있고, 차체는 차량 하부에 위치되는 서브 프레임(도 1에서 도면부호 '4' 참조)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100)는 차량 탑재 기기(1), 예를 들어 전동 압축기를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기 위한 마운트 유닛(10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100)는 전동 압축기(1)의 정해진 각 부위를 동시에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고 마운트 하는 복수 개의 마운트 유닛(10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동 압축기(1)가 3개의 마운트 유닛(101)에 의해 체결 및 지지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동 압축기(1)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에 위치하는 차체 부품 중 하나인 서브 프레임(도 1에서 도면부호 '4'임)에 마운트 될 수 있으나, 도 2 및 도 3에서 서브 프레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마운트 유닛(101)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탑재 기기(1), 예를 들어 전동 압축기를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는데 필요한 마운트 유닛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즉, 차량 탑재 기기(1)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마운트 유닛(101)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로 변경 가능하고, 그 외에도 마운트 유닛(101)의 개수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복수 개의 마운트 유닛(101)은 구성이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마운트 유닛(101)들이 설치되는 방향 및 각도, 그리고 차량 탑재 기기(1)인 전동 압축기(1)와의 체결 방향 및 각도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100)는 전동 압축기(1)의 체결 부위 및 체결 위치, 그리고 차체에서의 설치 위치 및 지지 위치에 따라 각 마운트 유닛(101)의 체결 방향과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 A 영역의 마운트 유닛(101)은 0°의 방향에서 전동 압축기(1)와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A 영역의 체결 방향 및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B 영역의 마운트 유닛(101)은 90°의 방향에서, C 영역의 마운트 유닛(101)은 270°의 방향에서 전동 압축기(1)와 체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마운트 장치(100)를 구성하는 마운트 유닛(101)들의 구성 및 형상을 동일하게 하여 일원화 및 소형화함으로써, 종래의 마운팅 브라켓(3)에 비해 동등 이상의 진동 흡수 성능 및 강성을 나타내면서도 중량 저감 및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서 마운트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에서 마운트 유닛의 체결 방향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장치(100)는 각각 정해진 위치에서 차량 탑재 기기(1)의 정해진 각 부위를 동시에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고 마운트 하는 복수 개의 마운트 유닛(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 마운트 유닛(101)의 구성과 형상은 모두 동일할 수 있으며, 도 5는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방향에 따라 마운트 유닛(101)의 체결 방향 및 각도가 조정된 여러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마운트 유닛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유닛(101)은 차체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되는 마운트 본체(110), 상기 마운트 본체(110)를 차체에 체결하면서 마운트 본체(110)와 차체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차체 체결부(120), 및 상기 차량 탑재 기기(1)의 마운팅부(2)를 마운트 본체(110)에 체결하면서 마운트 본체(110)와 차량 탑재 기기(1)의 마운팅부(2)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기기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차체 체결부(120)와 기기 체결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진동 흡수 및 감쇠를 위한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131)를 가진다.
마운트 본체(110)는 차체 체결부(120)의 구성부품들과 기기 체결부(130)의 구성부품들이 각각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는 것으로, 일측에 차체 체결부(120)의 구성부품들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제1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기기 체결부(130)의 구성부품들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부(111)는 마운트 본체(110)를 상하로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홀 형태의 수용부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용부(112)는 마운트 본체(110)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로 홈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홈 형태의 수용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수용부(111)의 내측에 차체 체결부(120)의 구성부품들인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의 부품들이 압입되어 결합되고, 제2 수용부(112)의 내측에는 기기 체결부(130)의 구성부품들인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의 부품들이 압입되어 결합된다.
즉, 제1 수용부(111)의 내측에 마운트 본체(110)와 차체 사이에 배치되는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를 수용 및 결합하여서 차체 체결부(120)가 구성되는 것이고, 제2 수용부(112)의 내측에 마운트 본체(110)와 차량 탑재 기기(1) 사이에 배치되는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를 수용 및 결합하여서 기기 체결부(130)가 구성되는 것이다.
마운트 본체(110)에서 제1 수용부(111)가 형성된 부분은 하측의 차체 표면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되는 부분이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형성되고, 제2 수용부(112)가 형성된 부분은 상측의 차량 탑재 기기(1)를 마운팅하고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제1 수용부(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에 형성된다.
또한, 마운트 본체(110)는 도 3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위에서 볼 때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마운트 본체(110)의 일단부에 제1 수용부(111)가, 타단부에 제2 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부(111)가 형성된 부분의 하면이 차체 표면에 접합되는 마운트 본체 하면의 일부가 되고, 제2 수용부(1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면이 차량 탑재 기기(1)의 돌출된 마운팅부(2)에 접합되는 마운트 본체 상면의 일부가 된다.
마운트 본체(110)는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중 하나인 ADC12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마운트 본체(110)는 차량 탑재 기기(1)를 차체에서 고정 및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마운트 본체(110)를 포함하는 마운트 유닛(101)은,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에 각각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131)가 압입 및 조립된 상태에서, 차체 진동을 상기 두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131)에 통해 2단계로 감쇠한 뒤 차량 탑재 기기(1)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차체 체결부(120)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마운트 본체(110)의 제1 수용부(111) 내측에 삽입되는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는, 차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1차적으로 흡수 및 감쇠하여 마운트 본체(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트 유닛의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는 아우터 파이프(122), 부시(bush)(123), 제1 인서트(insert) 부재(124), 스토퍼 플레이트(stopper plate)(125), 및 볼트(도 6에서 도면부호 '126'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아우터 파이프(122)는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의 구성부품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마운트 본체(110)의 제1 수용부(111) 내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우터 파이프(122)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122)의 중공 내측으로는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하는 고무 재질의 부시(123)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부시(123)는 그 중공 내측으로 제1 인서트 부재(124)가 일체로 삽입 및 결합된 구조로 구비된다.
제1 인서트 부재(124)는 가류 성형에 의해 고무 재질인 부시(123)에 일체로 접착 및 결합될 수 있고, 제1 인서트 부재(124)가 고무 재질인 부시(123)의 중공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부시(123)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부시(123)를 고무 원료로 성형할 때, 금형 내에 제1 인서트 부재(124)를 미리 설치한 뒤 고무 원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부시(123)를 성형할 수 있는데, 이때 금형 내에서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외주면에 부시(123)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성형한다.
제1 인서트 부재(124)에는 중심부를 길이방향(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24a)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124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체에 체결되는 볼트(126)가 통과하도록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인서트 부재(124)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부시(123)의 양단부에는 외주면에 걸림턱부(123a)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는 부시(123)가 아우터 파이프(122)의 중공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부시가 아우터 파이프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부(123a)는 부시(123)의 양단부 외주면에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복수 개의 걸림턱부(123a)가 부시(123)의 각 단부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시(123)의 각 단부 외주면에서 복수 개의 걸림턱부(123a)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로서 각 단부 외주면에서 4개씩의 걸림턱부(123a)가 원주방향을 따라 90°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부(123a)는 부시(123)에서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므로, 아우터 파이프(122)가 상기 양단부에 위치된 걸림턱부(123a) 사이에 위치하도록 부시(123)의 외측으로 결합되면, 부시(123)의 외주면에 접합된 상태의 아우터 파이프(122)는 양 끝단부가 부시(123)의 양측 걸림턱부(123a)에 걸리어 있게 된다.
결국, 아우터 파이프(122)의 내주면에 부시(123)의 외주면이 접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아우터 파이프(122)가 부시(123) 양단부의 걸림턱부(123a) 사이에 위치하고, 부시 양단부의 걸림턱부 사이에 아우터 파이프가 위치된 상태로, 아우터 파이프(122)의 양 끝단부가 해당 걸림턱부(123a)에 걸리어 있게 되므로, 부시(123)가 아우터 파이프(12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아우터 파이프(122), 부시(123), 제1 인서트 부재(124)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에 스토퍼 플레이트(125)가 결합되며, 스토퍼 플레이트(125)는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이 불가하도록 결합된다.
제1 인서트 부재(124)와 스토퍼 플레이트(125)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중심부에는 볼트(126)의 몸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중심홀(125a)이 관통 형성되고, 이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중심홀(125a)은 원형이 아닌 '+'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중심홀(125a)에서 내측 둘레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끼움부(125b)가 형성된다.
끼움부(125b)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예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중심홀(125a)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180°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총 2개의 끼움부(125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125)가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일 때,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끼움부(125b)는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중공부(124a)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중공부(124a) 내측으로 삽입된 끼움부(125b)에 의해 스토퍼 부재가 제1 인서트 부재(124)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끼움부(125b)가 중공부(124a) 내측으로 끼워져 회전이 금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스토퍼 플레이트(125)가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상단부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중공부(124a) 단면 형상은,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끼움부(125b)가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끼움부(125b)를 중공부(124a) 내측에서 중공부 단면상 원주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게 구속하는 형상이 되어야 한다.
이에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중공부(124a) 내주면에는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끼움부 대응 위치마다 끼움부(125b)가 삽입된 상태로 중공부 단면상 원주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걸릴 수 있게 된 요입부(124b)가 형성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중공부(124a)는, 원형의 단면 형상이 아닌,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의 요입부(124b)가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이때, 중공부(124a)의 단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90°의 간격으로 총 4개의 요입부(124b)가 배치되는데, 이 4개의 요입부(124b) 중 180°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요입부(124b)에 각각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끼움부(125b)가 삽입됨으로써 스토퍼 플레이트(125)가 제1 인서트 부재(124)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퍼 플레이트(125)는 제1 인서트 부재(124)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우터 파이프(122)와 부시(123), 제1 인서트 부재(124), 스토퍼 플레이트(125)가 결합된 상태로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를 구성하게 되며, 이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는 마운트 본체(110)의 제1 수용부(111) 내측에 압입 및 결합된 상태로 볼트(126)에 의해 차체에 체결된다.
상기 볼트(126)는 스토퍼 플레이트(125)의 중심홀(125a) 및 제1 인서트 부재(124)의 중공부(124a)를 상측에서 하방으로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차체에 고정된 웰드 너트(127)에 체결된다.
이때, 차체, 예를 들어 서브 프레임의 하면에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이 미리 용접될 수 있고, 이 브라켓의 하면에 웰드 너트(127)가 용접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126)가 서브 프레임의 홀 및 브라켓의 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웰드 너트(127)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126)가 체결되면, 볼트(126)의 헤드가 스토퍼 플레이트(125)를 상면에서 압착하게 되는데, 볼트(126)에 의해 마운트 본체(110)는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를 개재한 상태로 차체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마운트 본체(110)가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를 개재한 상태로 차체에 체결되었을 때, 스토퍼 플레이트(125)는 상부 변위의 상한치를 규제하며, 부시(123)가 일정 진동 변위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시의 내구 수명을 길게 확보해주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트 유닛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10은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퍼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12는 스토퍼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의 스토퍼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는 아우터 파이프(132), 메인 부시(133), 제2 인서트 부재(134), 어퍼(upper) 스토퍼 플레이트(135), 및 볼트(1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는, 상기 볼트에 의해 함께 체결되는 스토퍼 부시(136)와 로워(lower) 스토퍼 플레이트(1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아우터 파이프(132)는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의 구성부품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마운트 본체(110)의 제2 수용부(112) 내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아우터 파이프(132)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파이프(132)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플랜지부(132a)가 돌출 형성된다.
아우터 파이프(132)의 중공 내측으로는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하는 고무 재질의 메인 부시(133)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메인 부시(133)는 그 중공 내측으로 제2 인서트 부재(134)가 일체로 삽입 및 결합된 구조로 구비된다.
제2 인서트 부재(134)는 가류 성형에 의해 고무 재질인 메인 부시(133)에 일체로 접착 및 결합될 수 있고, 제2 인서트 부재(134)가 고무 재질인 메인 부시(133)의 중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메인 부시(133)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메인 부시(133)를 고무 원료로 성형할 때, 금형 내에 제2 인서트 부재(134)를 미리 설치한 뒤 고무 원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메인 부시(133)를 성형할 수 있는데, 이때 금형 내에서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외주면에 메인 부시(133)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성형한다.
제2 인서트 부재(134)에는 중심부를 길이방향(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134a)가 형성되는데, 이 중공부(134a)에는 볼트(138)가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를 통과한 볼트(138)는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와 체결된다.
전동 압축기(1)에서 마운팅부(2)는 마운트 유닛(101)에 의해 체결 및 마운팅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운트 유닛(101)의 스토퍼 플레이트(125) 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전동 압축기(1)의 하우징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동 압축기(1)에서 복수 개의 마운팅부(2)가 각 체결 위치마다 하나씩 형성되는데,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가 스토퍼 플레이트(125)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138)가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와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볼트(138)가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내측을 통과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볼트 몸체의 상단부에 미도시된 너트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인서트 부재(134)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메인 부시(133)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133a)가 돌출 형성되는데, 메인 부시(133)가 아우터 파이프(132)의 중공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일 때, 메인 부시(133)의 플랜지부(133a)가 아우터 파이프(132)의 플랜지부(132a) 상면에 접합된 상태로 지지된다.
아우터 파이프(132)의 하측에는 스토퍼 부시(136)가 결합되고, 이 스토퍼 부시(136)는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스토퍼 부시(136)는 메인 부시(133)와 마찬가지로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스토퍼 부시(136)의 내측에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가 인서트 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는 가류 성형에 의해 고무 재질인 스토퍼 부시(136)에 일체로 접착 및 결합될 수 있고,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가 고무 재질인 스토퍼 부시(136)의 내측에 인서트 되어 결합됨으로써 스토퍼 부시(136)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스토퍼 부시(136)를 고무 원료로 성형할 때, 금형 내에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를 미리 설치한 뒤 고무 원료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스토퍼 부시(136)를 성형할 수 있는데, 이때 금형 내에서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에 스토퍼 부시(136)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성형한다.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의 중심부에는 중심홀(137a)이 관통 형성되고, 스토퍼 부시(136)는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스토퍼 부시(136)와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가 결합된 상태로 마운트 본체(110)의 제2 수용부(112) 내측에 넣어지는데, 스토퍼 부시(136)와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가 제2 수용부(112)의 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는 제2 수용부(112) 내에 압입된 아우터 파이프(132)가 위치된다.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의 중심홀(137a)에는 볼트(138)가 하측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내측을 통과하도록 결합되며, 볼트(138)의 헤드는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의 중심홀(137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에, 볼트(138)의 몸체가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의 중심홀(137a) 및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내측을 관통한 상태일 때, 볼트(138)의 헤드가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의 중심홀(137a)에서 상방으로 걸리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 부시(136)와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는 아우터 파이프(132), 메인 부시(133), 제2 인서트 부재(134)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며, 볼트(138)의 상단부는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상측에서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노출된 볼트(138)의 상단부에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와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가 차례로 결합되고, 그 상측의 볼트(138) 몸체에 너트가 체결되는바, 이로써 전동 압축기(1)가 마운트 유닛(101)에 체결 및 고정된 상태가 된다.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상단부에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체결되는데,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서 정해진 높이로 상방 돌출된 형상의 측벽(135c)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측벽(135c)은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를 따라 모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일단부에는 측벽(135c)이 형성되지 않은 측벽 미형성 구간으로 구비된다.
이에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가 상기 측벽 미형성 구간을 통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는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측벽(135c) 안쪽 상면에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의 형상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의 측벽 안쪽 상면 부분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동 압축기(1)의 마운팅부(2)가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측벽(135c) 안쪽으로 넣어질 수 있도록 마운팅부(2)의 크기를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측벽 안쪽 상면 부분의 크기와 대략 같은 크기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중심부에는 볼트(138)의 몸체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중심홀(135a)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중심홀(135a) 및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제2 인서트 부재(134)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와 제2 인서트 부재(134) 사이에는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가 각도 조절된 상태로 양측이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 조절 구조는 후술하는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끼움부(135b)와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요입부(134b)를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중심홀(135a)은 원형이 아닌 '+'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중심홀(135a)에서 내측 둘레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끼움부(135b)가 형성된다.
끼움부(135b)는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예시된 바와 같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중심홀(135a)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180°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총 2개의 끼움부(135b)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가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상단부에 안착될 때,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끼움부(135b)는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내측으로 삽입된 끼움부(135b)에 의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가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끼움부(135b)가 중공부(134a) 내측으로 끼워져 회전이 금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가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상단부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단면 형상은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끼움부(135b)가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끼움부(135b)를 중공부(134a) 내측에서 중공부 단면상 원주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게 구속하는 형상이 되어야 한다.
이에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 내주면에는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끼움부 대응 위치마다 상기 끼움부(135b)가 삽입된 상태로 중공부 단면상 원주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걸릴 수 있게 된 요입부(134b)가 형성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는, 원형의 단면 형상이 아닌,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의 요입부(134b)가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는, 원형의 단면 형상이 아닌. '+' 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공부(134a)의 단면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90°의 간격으로 총 4개의 요입부(134b)가 배치되는데, 이 4개의 요입부(134b) 중 180°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의 요입부(134b)에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끼움부(135b)가 삽입됨으로써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가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를 제2 인서트 부재(134)에 결합할 때,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각도를 조정하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가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90°의 간격으로 총 4개의 요입부(134b)가 형성된 형상을 가지므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각 끼움부(135b)가 4개의 요입부(134b) 중 선택된 하나에 끼워진다고 할 때,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90°씩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한 뒤 고정할 수 있다.
만약, 요입부(134b)가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90°의 간격이 아닌 45°의 간격으로 형성된다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45°씩 각도를 조정한 뒤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요입부(134b)가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중공부(134a)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30°의 간격으로 형성된다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30°씩 각도를 조정한 뒤 고정할 수 있다.
결국, 요입부(134b)의 개수 및 간격에 따라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각도 조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전동 압축기(1)의 체결 위치 및 체결 각도 등에 따라 제2 인서트 부재(134)에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각도를 조정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각도를 조정한 뒤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의 끼움부(135b)를 제2 인서트 부재(134)의 선택된 요입부(134b)에 끼운 뒤 볼트(138)로 체결하여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를 최종적으로 회전 불가하게 완전히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예로서 Al 6000 계열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우터 파이프(132)와 메인 부시(133), 제2 인서트 부재(134), 로어 스토퍼 플레이트(125)와 스토퍼 부시(136),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가 결합된 상태로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는 마운트 본체(110)의 제2 수용부(112) 내측에 압입 및 결합된 상태로 볼트(138)에 의해 전동 압축기(1)에 체결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의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는, 차체에서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를 거쳐 마운트 본체(110)에 전달된 진동을, 전동 압축기(1)에 전달하기 전 단계에서, 한 번 더 흡수하여 2차적으로 감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차체 진동이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21)를 거치는 동안 1차적으로 감쇠되고, 이어서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를 거치는 동안 2차적으로 감쇠되는바, 차체 진동이 전동 압축기(1)에 전달되기 전까지 전체적으로 크게 2단계의 진동 감쇠 과정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의 구성요소별 기능 및 역할에 대해 정리하면,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131)에서 상단부에 위치되는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는 상부 변위의 상한치를 규제하며, 메인 부시(133)가 일정 진동 변위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 부시(133)의 내구 수명을 길게 확보해주게 된다.
또한, 제2 인서트 부재(134)는 메인 부시(133)의 중공 내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135)와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의 위치를 고정하고, 두 스토퍼 플레이트(135,137)의 변위를 설정해주게 된다.
또한, 메인 부시(133)는 X/Y/Z 3축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쇠하며,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는 하부 변위의 상한치를 규제함으로써 메인 부시(133)가 일정 진동 변위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시(133)의 내구 수명을 길게 확보해주고, 스토퍼 부시(136)는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137)가 작동할 때 타격 충격을 완화해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차량 탑재 기기(전동 압축기) 2 : 마운팅부
3 : 마운팅 브라켓 4 : 서브 프레임
100 : 마운트 장치 101 : 마운트 유닛
110 : 마운트 본체 111 : 제1 수용부
112 : 제2 수용부 120 : 차체 체결부
121 :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122 : 아우터 파이프 123 : 부시
123a : 걸림턱부 124 : 제1 인서트 부재
124a : 중공부 124b : 요입부
125 : 스토퍼 플레이트 125a : 중심홀
125b : 끼움부 126 : 볼트
127 : 웰드 너트 130 : 기기 체결부
131 :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132 : 아우터 파이프 132a : 플랜지부
133 : 메인 부시 133a : 플랜지부
134 : 제2 인서트 부재 134a : 중공부
134b : 요입부 135 :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
135a : 중심홀 135b : 끼움부
135c : 측벽 136 : 스토퍼 부시
137 :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 137a : 중심홀
138 : 볼트

Claims (18)

  1. 차량 탑재 기기를 부위별로 차체에 체결 및 지지하는 복수 개의 마운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마운트 유닛은,
    차체에 안착된 상태로 체결되는 마운트 본체;
    상기 마운트 본체를 차체에 체결하면서 차체와 마운트 본체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차체 체결부; 및
    상기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를 마운트 본체에 체결하면서 마운트 본체와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기기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체결부와 기기 체결부는 각각 진동 흡수 및 감쇠를 위한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 기기가 전동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체결부는 차체와 마운트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마운트 본체에 형성된 제1 수용부의 내측에 결합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기기 체결부는 마운트 본체와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는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마운트 본체에 형성된 제2 수용부의 내측에 결합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본체는,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 상기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체결부는 차체와 마운트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마운트 본체에 형성된 제1 수용부의 내측에 결합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체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수용부 내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아우터 파이프;
    상기 아우터 파이프 내측으로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하는 부시;
    상기 부시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 인서트 부재;
    상기 제1 인서트 부재 상측으로 결합되는 스토퍼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인서트 부재의 중공부 및 스토퍼 플레이트의 중심홀을 관통하여 차체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에서 중심홀의 둘레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서트 부재의 중공부 내주면에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상기 끼움부가 상기 중공부 내 요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제1 인서트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 개의 요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에서 중심홀의 둘레부에 상기 요입부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서트 부재는 가류 성형에 의해 고무 재질인 부시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 체결부는 마운트 본체와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 사이에 배치되는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마운트 본체에 형성된 제2 수용부의 내측에 결합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수용부 내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되는 아우터 파이프;
    상기 아우터 파이프 내측으로 결합되는 메인 부시;
    상기 메인 부시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2 인서트 부재;
    상기 제2 인서트 부재 상측으로 결합되고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가 접합되어 고정되는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인서트 부재의 중공부 및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의 중심홀을 관통하여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기 체결용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수용부 내측에서 아우터 파이프 하측으로 배치되는 충격 완화용 스토퍼 부시; 및
    상기 스토퍼 부시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는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부시 및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수용부의 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아우터 파이프, 메인 부시, 제2 인서트 부재 및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는 가류 성형에 의해 고무 재질인 스토퍼 부시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로워 스토퍼 플레이트에 형성된 중심홀에 상기 볼트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와 제2 인서트 부재 사이에는,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가 중심홀 및 제2 인서트 부재의 중공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된 상태로 제2 인서트 부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구조는,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에서 중심홀의 둘레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부; 및
    상기 제2 인서트 부재의 중공부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의 끼움부가 상기 제2 인서트 부재의 요입부들 중 선택된 요입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요입부 중 선택된 요입부에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요입부는 제2 인서트 부재의 중공부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정해진 높이로 상방 돌출된 형상의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에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전 둘레 중 적어도 일부는 측벽이 형성되지 않은 측벽 미형성 구간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량 탑재 기기의 마운팅부가 상기 측벽 미형성 구간을 통해 어퍼 스토퍼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KR1020200091362A 2020-07-23 2020-07-23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KR20220012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62A KR20220012512A (ko) 2020-07-23 2020-07-23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62A KR20220012512A (ko) 2020-07-23 2020-07-23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512A true KR20220012512A (ko) 2022-02-04

Family

ID=8026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62A KR20220012512A (ko) 2020-07-23 2020-07-23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5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6754A (zh) * 2022-09-06 2022-12-02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车辆的机舱总成及车辆
US20230120222A1 (en) * 2021-10-14 2023-04-20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of Vehicle
US11945280B2 (en) 2021-10-15 2024-04-02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for a vehicle
FR3141641A1 (fr) * 2022-11-08 2024-05-10 Psa Automobiles Sa Compresseur de climatisation pour un groupe électromoteur de véhicule automobi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20222A1 (en) * 2021-10-14 2023-04-20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of Vehicle
US11932079B2 (en) * 2021-10-14 2024-03-19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of vehicle
US11945280B2 (en) 2021-10-15 2024-04-02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for a vehicle
CN115416754A (zh) * 2022-09-06 2022-12-02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车辆的机舱总成及车辆
CN115416754B (zh) * 2022-09-06 2023-08-22 浙江极氪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车辆的机舱总成及车辆
FR3141641A1 (fr) * 2022-11-08 2024-05-10 Psa Automobiles Sa Compresseur de climatisation pour un groupe électromoteur de véhicule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2512A (ko) 차량 탑재 기기용 마운트 장치
EP1002968B1 (en) Compressor mounting
US5673877A (en) Exhaust pipe hanger assembly
WO2006038970A1 (en) Compressor mounting system
EP1564054A2 (en) Engine mount
JP2000274485A (ja) 自動車の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
US6416102B1 (en) Vehicle body mount with anti-rotation feature
US5240222A (en) Secondary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6669452B2 (en) Compressor with built-in motor mounted on engine of mobile structure
CN1041205A (zh) 带防止防震件滑动结构的压缩机壳体
AU682649B1 (en) Support structure for vehicular air cleaner
JPH045572B2 (ko)
US20050199775A1 (en) Vibration isolation support system for vehicle engine and transmission
KR20210044378A (ko) 차량의 파워트레인용 마운팅 시스템
EP1488946B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ular power plant
KR100504876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압축기 지지장치
JP2003156097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脱落防止構造
JPH0577640A (ja) 自動車空調装置用圧縮機の支持具
CN112248786A (zh) 一种发动机悬置支架共振抑制机构
KR100724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913199A (en) Vibration isolating mounting
US4773232A (en) Adjustable fan motor mount for a room air conditioner
JP4357193B2 (ja) 圧縮機の支持装置
US20230032188A1 (en) Holder for fixing an electric compressor
EP3686429A1 (en) Transport refriger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