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481A -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481A
KR20220011481A KR1020200090450A KR20200090450A KR20220011481A KR 20220011481 A KR20220011481 A KR 20220011481A KR 1020200090450 A KR1020200090450 A KR 1020200090450A KR 20200090450 A KR20200090450 A KR 20200090450A KR 20220011481 A KR20220011481 A KR 2022001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flexible film
curved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669B1 (ko
Inventor
황성연
Original Assignee
이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6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킬 때 발생되는 컬 현상을 이용하여 곡면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곡면 형성을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곡면 보안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고,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정확히 조절하고, 수지 경화를 위한 UV광의 에너지 및 경화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으로 균일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security film}
본 발명은,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킬 때 발생되는 컬 현상을 이용하여 곡면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곡면 형성을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곡면 보안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고,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정확히 조절하고, 수지 경화를 위한 UV광의 에너지 및 경화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으로 균일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이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통신기기나 현금 인출기 등과 같은 금융 기기는 개인 정보를 비롯한 각종 중요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중요한 정보들의 입력과 확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광시야각 및 고휘도의 특징이 있어, 타인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측면에서 관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개인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여러 보안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보안 필름도 그 중 하나이다. 특히 보안 필름에 대한 수요는 개인 사생활이 중시되는 경향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 필름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소재의 투명부와 빛이 투과하지 않는 불투명한 소재의 불투명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안 필름은 투명 필름과 불투명 필름을 여러 장 교호 적층 접합한 후 접합면에 수직하게 절단하는 것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안 필름은 불투명 필름의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있던 면이 보안 필름의 시야각을 제한하는 보안 패턴의 측면이 되므로, 시야각의 형성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고, 이는 곡면 디스플레이가 보급되는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사용자의 시야마저 가리게 되어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10-2016-0029722(공개번호) 2016.03.15.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킬 때 발생되는 컬 현상을 이용하여 곡면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곡면 형성을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곡면 보안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정확히 조절하고, 수지 경화를 위한 UV광의 에너지 및 경화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으로 균일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 도포 단계; 도포된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수지 두께 조절 단계;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에 UV광을 조사하여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켜 플렉시블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경화 단계;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루버(Louver) 패턴을 형성하는 보안 패턴 형성 단계; 형성된 상기 루버 패턴에 블랙 잉크를 충진하여 시야각을 형성하는 잉크 충진 단계; 잉크 충진이 완료된 상기 루버 패턴의 하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지 경화 단계에서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가 휘어지며 상기 베이스 필름이 함께 휘어져 곡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지 경화 단계는, UV광을 이용하여 250~550mmJule/cm^2로 3~12m/min의 속도로 경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는 아크릴계, 폴리 우레탄, PPF(Paint Protection Film)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랙 잉크는 그라비아 프린팅으로 충진되는 카본 잉크이고, 상기 루버 패턴의 시야각은 30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필름은 15~40um, 상기 플렉시블 필름은 30~50um, 상기 루버 패턴에 상기 블랙 잉크가 충진된 루버 패턴층은 50~150um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점착제는 실리콘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20~50u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킬 때 발생되는 컬 현상을 이용하여 곡면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곡면 형성을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곡면 보안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정확히 조절하고, 수지 경화를 위한 UV광의 에너지 및 경화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으로 균일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의 플로우 차트.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으로 형성된 보안 필름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의 시야각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0)의 상면에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 도포 단계와,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수지 두께 조절 단계와,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에 UV광을 조사하여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하는 수지 경화 단계와, 베이스 필름(10)의 하면에 루버(Louver) 패턴을 형성하는 보안 패턴 형성 단계와, 형성된 루버 패턴(30)에 블랙 잉크(40)를 충진하여 시야각을 형성하는 잉크 충진 단계와, 잉크 충진이 완료된 루버 패턴(30)의 하면에 점착제(50)를 도포하는 점착제(50) 도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지 도포 단계는, 베이스 필름(10)의 상면에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수지의 도포는 스프레이 노즐에 의한 분사 방식 또는 수지에 침지된 롤러와의 접촉을 통한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는 자가 복원 기능이 있는 아크릴계, 폴리 우레탄, PPF(Paint Protection Film)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지 두께 조절 단계는, 베이스 필름(10)의 상면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로서,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균일하면서도 원하는 두께로 형성하게 된다. 이는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에 UV광을 조사할 때에 수지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너무 얇으면 원하는 컬(Curl)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가 도포된 베이스 필름(10)을 가압 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베이스 필름(10)이 통과되는 이송 라인 상부에 별도의 스크래퍼를 구비하여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설정 두께로 긁어내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수지 경화 단계는,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에 UV광을 조사하여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켜 플렉시블 필름(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는 경화가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컬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가 도포된 베이스 필름(10) 역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와 함께 휘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필름(10)은 15~40um, 플렉시블 필름(20)은 30~50um이며, UV광은 250~550mmJule/cm^2으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3~12m/min의 속도로 경화시키게 된다.
수지 경화 단계를 거쳐 베이스 필름(10)과 플렉시블 필름(20)이 합지된 필름이 완성되면, 베이스 필름(10)의 하면에 루버(Louver) 패턴을 형성하는 보안 패턴 형성 단계가 수행된다. 보안 패턴 형성 단계는, 하술할 블랙 잉크(40) 충진 단계에서 블랙 잉크(40)가 충진되어 시야각을 형성할 때 블랙 잉크(40)가 충진될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루버 패턴(30)의 형성은 가소성 필름의 하면에 루버 패턴(30)이 양각된 롤러를 위치시키고 가압 이송하여 형성할수도 있고, 또는 식각을 통한 형성, 증착에 의한 형성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루버 패턴(30)은 베이스 필름(10)의 하면에 수직한 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보안 필름은 곡면 형태이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10)에 수직한 형태의 루버 패턴(30)에 블랙 잉크(40)를 충진하게 되면 사용자 본인의 시야마저 가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루버 패턴(30)의 측면은 베이스 필름(10)의 하면으로부터 사선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며, 베이스 필름(10)의 하면과 60도의 각도, 즉, 블랙 잉크(40)를 충진하였을 때의 시야각이 30도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버 패턴(30) 형성 단계 이후에는 이러한 루버 패턴(30)에 블랙 잉크(40)가 충진되어 시야각 이외의 각도에서 바라볼 때에는 블랙 잉크(40)가 화면을 가릴 수 있도록 잉크 충진 단계가 수행된다.
잉크 충진 단계는, 루버 패턴(30)에 블랙 잉크(40)를 충진하여 시야각을 초과한 각도에서 화면을 바라볼 때 블랙 잉크(40) 부분에 의해 화면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잉크 충진 단계는 그라비아 프린팅 기법으로 블랙 잉크(40)를 루버 패턴(30)의 내부로 가압하여 충진할 수 있으며, 이때 충진되는 블랙 잉크(40)는 카본 잉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랙 잉크(40)가 루버 패턴(30)에 충진되어 형성하는 시야각은 30도이며, 이는 도 3 과 같이, 베이스 필름(10)의 하면에 수직한 가상의 선으로부터 30도를 초과한 범위에서는 사용자의 시야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아닌 블랙 잉크(40)가 들어오게 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잉크 충진 단계가 완료된 루버 패턴(30)층, 즉, 루버 패턴(30)에 블랙 잉크(40)가 충진된 총 두께는 50~150u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충진 단계가 완료되면, 플렉시블 필름(20), 베이스 필름(10), 루버 패턴(30)층, 블랙 잉크(40)가 일체가 되며,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층이 루버 패턴(30)의 하면에 도포되는 점착제(50) 도포 단계가 수행된다.
점착제(50) 도포 단계는, 루버 패턴(30)의 하면에 점착제(50)가 도포되는 단계로서, 점착제(50)는 실리콘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20~50um의 두께를 갖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곡면 보안 필름은 추가로 제품화를 위하여 플렉시블 필름(20)의 상면과 점착제(50)의 하면에 이형지(60)(Release film)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이형지(60)는 50~70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본 발명의 보안 필름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부착하기 전에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10)의 상면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킬 때 발생되는 컬 현상을 이용하여 곡면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곡면 형성을 위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곡면 보안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필름(10)에 도포된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정확히 조절하고, 수지 경화를 위한 UV광의 에너지 및 경화 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으로 균일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베이스 필름
20 : 플렉시블 필름
30 : 루버 패턴
40 : 블랙 잉크
50 : 점착제
60 : 이형지

Claims (6)

  1.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 도포 단계;
    도포된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의 두께를 조절하는 수지 두께 조절 단계;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에 UV광을 조사하여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를 경화시켜 플렉시블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경화 단계;
    베이스 필름의 하면에 루버(Louver) 패턴을 형성하는 보안 패턴 형성 단계;
    형성된 상기 루버 패턴에 블랙 잉크를 충진하여 시야각을 형성하는 잉크 충진 단계;
    잉크 충진이 완료된 상기 루버 패턴의 하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지 경화 단계에서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가 휘어지며 상기 베이스 필름이 함께 휘어져 곡면이 형성되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경화 단계는, UV광을 이용하여 250~550mmJule/cm^2로 3~12m/min의 속도로 경화시키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필름용 수지는 아크릴계, 폴리 우레탄, PPF(Paint Protection Film) 중 어느 하나인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잉크는 그라비아 프린팅으로 충진되는 카본 잉크이고, 상기 루버 패턴의 시야각은 30도인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15~40um,
    상기 플렉시블 필름은 30~50um,
    상기 루버 패턴에 상기 블랙 잉크가 충진된 루버 패턴층은 50~150um
    의 두께를 갖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실리콘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20~50um의 두께를 갖는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KR1020200090450A 2020-07-21 2020-07-21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KR10240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450A KR102403669B1 (ko) 2020-07-21 2020-07-21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450A KR102403669B1 (ko) 2020-07-21 2020-07-21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481A true KR20220011481A (ko) 2022-01-28
KR102403669B1 KR102403669B1 (ko) 2022-05-30

Family

ID=8005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450A KR102403669B1 (ko) 2020-07-21 2020-07-21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57B1 (ko) * 2022-08-27 2023-01-31 (주)이미지솔루션 프라이버시 보호 필름 제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722A (ko) 2014-09-05 2016-03-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보안 필름
JP2019124956A (ja) * 2014-06-23 2019-07-25 Agc株式会社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20200084070A (ko) * 2018-12-31 2020-07-10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4956A (ja) * 2014-06-23 2019-07-25 Agc株式会社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KR20160029722A (ko) 2014-09-05 2016-03-1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보안 필름
KR20200084070A (ko) * 2018-12-31 2020-07-10 주식회사 에스티이케이 곡면 들뜸 현상이 개선된 액정보호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857B1 (ko) * 2022-08-27 2023-01-31 (주)이미지솔루션 프라이버시 보호 필름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669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6079B (zh) 凹凸图案形成片及其制造方法
KR101235577B1 (ko) 화상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3384B1 (ko)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CN105403949B (zh) 一种薄型化导光板及其制备方法
CN101722742B (zh) 一种用于在衬底上打印的方法
CN101801652A (zh) 微光学器件的批量制造、相应的工具、以及最终结构
WO2020134462A1 (zh) 玻璃软膜结构及其制作方法
KR102403669B1 (ko) 곡면 보안 필름 제조 방법
WO2019205862A1 (zh) 柔性偏光盖板及其制备方法、包含它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3223744A (zh) 一种新型超薄纳米防窥保护膜制备方法
KR100739887B1 (ko) 원단 부착용 이미지 연출필름 및 제조방법
WO2020056922A1 (zh) 偏光组件以及显示装置
JP2014117833A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8304A (ko) 연질 비산방지 데코필름 제조방법
KR101642278B1 (ko) 금속 질감이 표층에서 표현되는 투명 몰드를 사용한 로고 라벨 제조 방법
KR101149962B1 (ko) 굴절패턴을 구비한 화상차폐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5296A (ko) 시야각 제한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2014119547A (ja) 画像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922178B (zh) 一种盖板制作的方法及盖板、移动终端
JP7175607B2 (ja) 筆記シート
KR101645338B1 (ko) 도전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9823B1 (ko) 유브이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패널 및 상기 패널에범용유브이 도료를 인쇄부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방법 및그 조성물
JP3275414B2 (ja) 耐傷性を有する凹凸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094068B1 (ko) 3d렌즈필름 제조방법
CN110896417A (zh) 一种双层纹路盖板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