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25A -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25A
KR20220011325A KR1020200090070A KR20200090070A KR20220011325A KR 20220011325 A KR20220011325 A KR 20220011325A KR 1020200090070 A KR1020200090070 A KR 1020200090070A KR 20200090070 A KR20200090070 A KR 20200090070A KR 20220011325 A KR20220011325 A KR 2022001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linear vibration
vibration actuator
vibra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760B1 (ko
Inventor
이태훈
손연호
김용진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9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760B1/ko
Priority to US17/347,936 priority patent/US20220029513A1/en
Publication of KR2022001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2Additional mass for increasing inertia, e.g. fly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DC energisation superimposed on AC energis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000)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브라켓,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 요크, 상기 중심 요크에 장착되는 코일,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요크의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요크, 일단이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 요크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Linear vibration actuator with electromagnet}
본 발명은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선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마그넷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만으로 구동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에는 통화 착신 등의 인터페이싱은 물론, 키 입력, 이벤트 발생, 앱 실행 등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으로 진동 기능(햅틱, Haptic)이 구현된다.
이러한 진동 기능을 구현하는 진동 모터는 전자기력을 기계적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구동 방식과 형태에 따라 크게 평판형(flat/coin type) 진동 액츄에이터와 선형(linear type) 진동 액츄에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평판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경우, 내부 질량체의 회전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며, 회전에 따른 관성이 잔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빠른 응답 속도가 요구되는 장치에서는 회전 관성이 없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가 주로 이용된다.
상기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코일과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탄성부재가 제공하는 물리적 탄성력이 상호 공진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가변 특성을 가지는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이 코일에 인가되어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발생된 전자기력과 자석의 자기력이 상호 작용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지지되면서 마그넷과 중량체와 같은 진동자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는 코일(10)과, 상기 코일(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20)과, 상기 코일의 전자기력과 상호 작용하여 진동하는 마그넷(30)과, 마그넷의 외곽에 결합된 중량체(40)와, 상기 마그넷에 결합되어 마그넷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0)와, 자속의 집속을 위한 요크(60)와, 마그넷 위에 도포된 자성유체(70) 및 댐퍼(8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과 진동부의 마그넷(30)의 자력이 코일(2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극성에 따라 인력과 척력으로 상호 작용하여 강력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가 사용되는 전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상기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DC의 배터리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와 같은 별도의 변환수단이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전자장치의 단가가 높아지게 되어 고가의 프리미엄 폰과 같은 전자장치에만 채택될 수 있고, 저가의 보급형 전자장치에는 채택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에 채택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종래에 비해 부품의 재료비는 물론 제조 공정까지도 단순화하여 획기적인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가의 프리미엄 폰은 물론 저가의 보급형 폰에도 널리 채택되어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20-0078124 호 (2020.07.01)
본 발명은 마그넷을 사용하지 않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원가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의 소형화에 보다 더 부합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자장치의 DC 배터리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한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 요크와, 상기 중심 요크에 장착되는 코일과,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요크의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요크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 요크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요크의 외연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 요크와 함께 진동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요크는 철심일 수 있다.
상기 중심 요크는 적어도 일부가 중공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진동 요크는 단면이 'ㄱ' 형상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요크는 상기 탄성부재와의 접합면을 넘어서 중량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브라켓 중 하나는 비자성 또는 약자성일 수 있다.
상기 전원은 교류(정현파 또는 구형파)가 아닌 dead Time 혹은 Offset을 가지는 반파 형상의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직류의 배터리 전압을 On/off 스위칭하여 직접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마그넷을 필요로 하지 않기에,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원가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마그넷을 제거함으로써 마그넷의 자기력도 제거되어 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진동 요크는 전자석과의 하방 인력만이 작용하고, 상방 변위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만이 작용하므로, 종래 마그넷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의 소형화에 보다 더 부합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는 전자장치의 DC 배터리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마그넷을 사용하는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의 크기를 달리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에 중량체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에 중량 확장부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태양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된 실시예들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또는 실시예 상호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상관없이 이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의미이지 다른 구성 요소들의 포함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명시적으로 제외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0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1000)는, 케이스(110)와 브라켓(120)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인쇄회로기판(130)과, 코일(200)과, 중심 요크(250)와, 진동 요크(300)와, 탄성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상기 케이스(110)와 브라켓(120)은 원형이고, 서로 결합하여 납작한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지만, 그 형상은 4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다각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브라켓 중 하나는 비자성 또는 약자성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의 중심부에는 중심 요크(250)가 배치되어 있다. 중심 요크는 전자석을 구성하기 위한 철심일 수 있다.
상기 코일(200)은 브라켓(120)에 고정된 중심 요크의 외연에 삽입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200)에는 인쇄회로기판(130)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일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중심 요크(250)는 브라켓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브라켓 중심부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중심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 요크(250)는 브라켓이 아닌 케이스 쪽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탄성부재(500)의 위치와 진동 요크(300)의 구조도 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코일(200)과 중심 요크(250)의 외곽에는 그 단면이 'ㄱ' 형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진동 요크(3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진동 요크(300)의 단면이 'ㄱ' 형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진동 요크(300)의 단면 형상은 'ㄱ' 형상 외에도 수직 방향으로 일자형이거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톱니형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요크(300)는 마그넷(영구자석)과 같이 스스로 자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자성체로 형성되므로 주변에 자기장이 존재하면 그 자기장에 영향을 받아 끌려가게 된다.
상기 진동 요크(300)는 탄성부재(500)에 결합되어 탄성 지지되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일단이 케이스(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 요크(30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진동 요크(300)의 진동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나선형 구조를 갖는 판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평판형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00)의 양단이 케이스(110)와 진동 요크(300)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탄성부재(500)가 케이스가 아닌 브라켓에 고정되거나, 진동 요크 외의 중량체 등에도 고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에서, 코일(200)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면 코일에는 상기 중심 요크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 요크는 자기장의 방향에 따른 극성(N극 또는 S극)을 갖는 전자석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자기장의 방향은 코일의 권선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마그넷을 사용하지 않고 코일(200)과 중심 요크(250)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을 활용하여, 진동 요크(300)와의 릴럭턴스가 최소화 되는 릴럭턴스 토크를 이용한다.
진동 요크(300)는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홀 바로 아래에 중심 요크(250)가 위치하여 초기 구동 시 전자기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대 진동 구동 시에는 탄성부재(500)에 고정된 진동 요크(300)가 상하로 운동을 하며 공진 주파수에서 최대 진동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의 공진주파수는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at00001
한편, 도 2에서는 진동 요크(300)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진동 변위 폭이 충분히 확보될 경우에는 중앙에 홀이 없이 막혀 있는 뒤집어진 냄비 형상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맨 위의 파형은 정현파 또는 구형파의 전파(full-wave) 교류로서,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사용하는 전원 파형이다.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과 마그넷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을 하여 인력과 척력으로 진동한다. 즉,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전파(full wave) 교류이므로 전원의 극성이 반주기마다 바뀌게 되고 그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도 반주기마다 바뀌므로, 하나의 극성 방향으로만 대향하고 있는 마그넷과의 사이에서는 반주기마다 인력과 척력이 번갈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종래와는 달리 마그넷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진동 요크(300)는 자성체로서 자기장의 극성에 상관없이 끌려가는 반응을 할 뿐이므로, 본 발명의 진동 요크(300)와 중심 요크(250) 사이에는 인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은 전파(full wave) 교류일 필요가 없다.
도 3에서, 두번째 파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사용되는 반파(half-wave)를 도시한 것이다.
위 전원 파형에 따라, 전자석의 기능을 하는 중심 요크(250)는, 양의 전원이 공급되는 구간에서는 진동 요크(300)를 끌어 당겼다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구간(dead time 구간)에서는 진동 요크(300)를 놓아준다. 이렇게 진동 요크(300)를 당겼다 놓았다 하는 힘의 작용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진동 요크(300)가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정역(+,-)으로 가변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만 인가하여도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별도의 IC를 사용할 필요 없이 단순히 공급 전원의 온/오프만을 제어하면 되는 장점을 갖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한, 공급 전원으로 두번째 파형 중 반파의 구형파를 사용할 경우에는, DC 배터리 전압을 On/off 스위칭하여 직접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배터리의 직류를 액츄에이터 구동 전원의 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 등의 변환회로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서, 세번째 파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원 파형으로서, 전파(full wave) 교류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쪽 영역(도3에서는 음의 영역)만 레벨을 조정한 형상의 파형을 갖는다.
세번째 파형의 전원은 양의 구간에서 큰 인력으로 진동 요크(300)를 당겼다가 음의 구간에서는 훨씬 작은 인력으로 진동 요크(300)를 당기는 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두번째 파형에 비해 전원 공급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초기 구동에 유리하고, 보다 빠른 응답시간을 기대할 수 있다.
도 3의 네번째 파형은, 전파(full wave) 교류 전체를 한쪽 방향(도3에서는 양의 방향)으로 offset 시킨 형상의 파형을 갖는다. 파형의 구간에 따라 진동 요크 (300)에 작용하는 인력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달라진다.
도 3의 파형들에서 동일한 원리를 유지하면서 그 방향을 반대로 바꿀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의 크기를 달리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서, 상기 진동 요크(300)의 크기는 요구되는 공진주파수, 필요한 진동력, 또는 허용되는 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진동 요크(300)의 크기를 줄인 것이다. 진동 요크의 크기에 따라 탄성부재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진동 액츄에이터 전체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300)에 중량체(400)가 추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의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나 진동력 등에 의해 자성체 재질의 진동 요크(300)만으로는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진동 요크(300)의 크기를 줄이고, 진동 요크(300)의 외연에 중량체(400)를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의 중량체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예를 들어, 텅스텐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300)에 중량 확장부(350)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진동 요크(300)와 탄성부재(500)가 접합된 경계면 위쪽의 탄성부재 내부 영역은 사용하지 않는 빈 공간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공진주파수나 진동력을 충족하기 위해 중량을 부가할 필요가 있을 때, 도 6과 같이 진동 요크(300) 위쪽의 탄성부재 내부 공간을 활용하여 중량 확장부(350)를 형성하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중량 확장부(350)는 진동 요크(300)와는 다른 재질로 별도 가공하여 접합할 수도 있고, 혹은 진동 요크(300)와 일체형으로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는 종래의 선형 진동 모터와 유사한 특성을 구현하면서도 마그넷을 사용하지 않는 전자석 원리의 새로운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부품 재료비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도 종래에 비해 단순화 할 수 있어 획기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그넷을 사용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에 비해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어 보급형 저가 폰에서도 햅틱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본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질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종래의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10, 200 : 코일
20, 130 : 연성인쇄회로기판
30 : 마그넷
40, 400 : 중량체
50, 500 : 탄성부재
70 : 자성 유체
110 : 케이스
120 : 브라켓
250 : 중심 요크
300 : 진동 요크
350 : 중량 확장부
1000 :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Claims (11)

  1. 서로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브라켓;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중심 요크;
    상기 중심 요크에 장착되는 코일;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 요크의 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 요크;
    일단이 상기 케이스 또는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 요크를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요크의 외연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 요크와 함께 진동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철심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적어도 일부가 중공 형상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요크는 단면이 'ㄱ' 형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요크는 상기 탄성부재와의 접합면을 넘어서 중량 확장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브라켓 중 하나는 비자성 또는 약자성인,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반파 형상의 파형을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전파(full wave) 교류를 한쪽 방향으로 offset 시킨 형상의 파형을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전파(full wave) 교류의 음의 영역의 진폭의 크기만을 줄여 조정한 형상의 파형을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직류의 배터리 전압을 On/off 스위칭하여 직접 이용하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20200090070A 2020-07-21 2020-07-21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2452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70A KR102452760B1 (ko) 2020-07-21 2020-07-21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US17/347,936 US20220029513A1 (en) 2020-07-21 2021-06-15 Linear vibration actuator with electromag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70A KR102452760B1 (ko) 2020-07-21 2020-07-21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25A true KR20220011325A (ko) 2022-01-28
KR102452760B1 KR102452760B1 (ko) 2022-10-11

Family

ID=7968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70A KR102452760B1 (ko) 2020-07-21 2020-07-21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29513A1 (ko)
KR (1) KR1024527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360A (ko) * 2008-11-24 201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그를 사용한 이동 단말기 및 진동 발생 방법
KR101331649B1 (ko) * 2011-08-18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JP2014204618A (ja) * 2013-04-08 2014-10-27 樋口 俊郎 電磁アクチュエータ
KR20170123589A (ko) * 2016-04-29 2017-11-08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86623A (ja) * 2016-11-28 2018-06-07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0069447A (ja) * 2018-10-31 2020-05-07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振動呈示装置
KR20200078124A (ko) 2018-12-21 2020-07-01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189B2 (ja) * 2001-12-21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20150096364A (ko) * 2015-08-03 2015-08-24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KR101783628B1 (ko) * 2017-04-27 2017-10-24 주식회사 블루콤 개선된 진동 응답속도를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360A (ko) * 2008-11-24 201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그를 사용한 이동 단말기 및 진동 발생 방법
KR101331649B1 (ko) * 2011-08-18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JP2014204618A (ja) * 2013-04-08 2014-10-27 樋口 俊郎 電磁アクチュエータ
KR20170123589A (ko) * 2016-04-29 2017-11-08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86623A (ja) * 2016-11-28 2018-06-07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20069447A (ja) * 2018-10-31 2020-05-07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振動呈示装置
KR20200078124A (ko) 2018-12-21 2020-07-01 (주)파트론 진동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760B1 (ko) 2022-10-11
US20220029513A1 (en)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074B1 (ja) ハプティックアクチュエータ
US8941273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US8450887B2 (en) Vertical vibrator
KR101046044B1 (ko) 선형 진동자
US20090267423A1 (en) Electromagnetic exciter
JP2019097228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携帯機器
JP2011166894A (ja) 振動発電機
US20140070633A1 (en) Linear vibrator
JP7057494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振動呈示装置
CN110875680A (zh) 振动促动器以及具备该振动促动器的便携式电子设备
US20110068641A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JP2012039824A (ja) 振動発電機
KR101779290B1 (ko) 선형 진동자
KR101339551B1 (ko) 선형 진동자
US11949310B2 (en) Vibration actuator with movable body with tip part of the core oscillating and a shaft part supporting the movable body on a side of a base
JPH10180186A (ja) 振動発生器
KR101793072B1 (ko) 수평 진동 디바이스
KR102452760B1 (ko) 전자석 구조를 갖는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JP5496990B2 (ja) リニア振動デバイス
JP2014050204A (ja) 振動発電機
JP6539714B2 (ja) 振動発生装置
KR101094651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CN210629319U (zh) 一种具有磁斥力弹簧振子组件的线性振动马达
US20030173835A1 (en) Vibrating linear actuator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110715A (ko) 이중 영구자석을 활용한 수직 진동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