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651B1 - 감각신호출력장치 - Google Patents

감각신호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651B1
KR101094651B1 KR1020100057141A KR20100057141A KR101094651B1 KR 101094651 B1 KR101094651 B1 KR 101094651B1 KR 1020100057141 A KR1020100057141 A KR 1020100057141A KR 20100057141 A KR20100057141 A KR 20100057141A KR 101094651 B1 KR101094651 B1 KR 10109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ole
signal output
coil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10005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5/08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transmitting movement to the contact member when the other end is moved by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H02K33/1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two coil systems are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과 척력이 진동체 양측에서 각각 동시에 작용하고, 진동과정에서 일직선 왕복 운동과 회전원심력이 동시에 작용하며, 실린더 타입으로 이루어져 중량체의 부피를 증대시킨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2)와 덮개(3)로 이루어진 케이스(1)내에 교번신호가 흐르는 코일(11)과, 이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을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코일(11)과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이 진동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지되, 양측의 진동메커니즘이 각각 인력과 척력이라는 상반된 전자기적 무브먼트를 동시에 제공하여 인력과 척력이 합해진 진동추진력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동체인 자기회로의 진동방향 양측에서 상반된 전자기적 무브먼트를 통해 인력과 척력이 합해진 진동추진력을 얻어냄으로써, 진동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저음특성 향상을 위해 증대(부피 및 중량)된 중량체(13)에 의해 진동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직선 진동 시 회전 진동을 유도하여 입체적인 진동력을 출력시킴으로써, 출력신호에 대한 다각도 수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각신호출력장치{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과 척력이 진동체 양측에서 각각 동시에 작용하고, 진동과정에서 일직선 왕복 운동과 회전원심력이 동시에 작용하며, 실린더 타입으로 이루어져 중량체의 부피를 증대시킨 감각신호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각신호출력장치는 신호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음향을 출력시키거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ㆍ리시버ㆍ버저ㆍ진동체(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음향 또는 진동력을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 특히, 진동체는 요크와 요크 상면에 순차적으로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고정을 통해 적층 고정되는 마그네트 및 탑플레이트의 외주 방향 또는 내주 방향에 코일이 간격(공극)을 두고 위치하여, 코일로 인가되는 교류 신호의 방향에 따라 공극에 형성되는 자속에 반응하여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기능 및 설계에 따라서는 요크 또는/ 및 중량체도 포함)를 포함한 자기회로가 진동하면서 진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를 자기회로로 구분하며, 코일(기능 및 설계에 따라서는 진동판도 포함)을 진동부로 구분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장치에서 자기회로가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하는 양단에 코일 스프링을 마련하여 진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술(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596060호(출원번호 10-2004-25954호 ; 휴대통신단말기의 진동발생장치))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전기신호(전원)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자기력의 변화에 따라 코일 내측에서 직선 운동하는 자석플런저가 구비된 휴대 통신 단말기의 진동발생장치에 있어서, 비자성체로 되고 외부면 일 측에만 코일(112)이 권취된 관체 형상의 보빈(110)과; 일측 면에 끼움 결합되는 탄성체(121)(131)가 보빈(110)의 양단 내측에서 마주보도록 보빈(110)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요크(120)(130)와; 보빈(110)의 내측에 인입되어 요크(120)(130)의 탄성체(121)(131) 사이에서 진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석 플런저(140)와; 요크(120)(130) 외부면 일측에만 설치되는 접속판(160)과; 상기 각 구성요소를 외부에서 감싸 패키지화하는 일측 면상에 코일(112)의 단말이 솔더링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단자(161) 및 연결단자(161)와 도선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신호 입력되는 단자와 솔더링 결합 가능하도록 된 터미널(162)이 구비된 케이스(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코일(112)에 전기신호(교류)를 인가하면 코일(112)에서 발생된 자기력선의 변화에 따라서 N극과 S극의 극성을 갖는 자석 플런저(140)가 보빈(110)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반발 또는 흡인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자석 플런저(140)가 양 요크(120)(130)와 충돌하면서 진동하거나, 자석 플런저(140) 자체의 진동에 의한 작용/반작용으로 진동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진동장치, 진동모터 등)는 교번신호가 흐르는 코일(112)에 대한 자석플런저(140 ; 자기회로 및 중량체)의 반응이 진동방향의 일측 단에서만 이루어져 높은 진동 출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중량체를 포함하는 자석플런저(140)의 부피 및 중량 증대로 인한 진동력 감소의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선행기술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1140호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진동발생장치가 소개되고 있으나, 이는 진동추진력이 그리 크지 않아 진동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인력과 척력이 진동체 양측에서 각각 동시에 작용하고, 진동과정에서 일직선 왕복 운동과 회전원심력이 동시에 작용하며, 실린더 타입으로 이루어져 중량체의 부피를 증대시킨 감각신호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케이스본체(2)와 덮개(3)로 이루어진 케이스(1)내에 교번신호가 흐르는 코일(11)과, 이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을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코일(11)과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이 진동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지되, 양측의 진동메커니즘이 각각 인력과 척력이라는 상반된 전자기적 무브먼트를 동시에 제공하여 인력과 척력이 합해진 진동추진력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의 본 발명은 진동체인 자기회로의 진동방향 양측에서 상반된 전자기적 무브먼트를 통해 인력과 척력이 합해진 진동추진력을 얻어냄으로써, 진동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저음특성 향상을 위해 증대(부피 및 중량)된 중량체에 의해 진동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직선 진동 시 회전 진동을 유도하여 입체적인 진동력을 출력시킴으로써, 출력신호에 대한 다각도 수집(감각적인 느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감각신호출력장치(진동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나선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나선홈)에 따른 구성 및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지그재그 가이드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지그재그 가이드홈)에 따른 구성 및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코인타입)에 따른 구성 및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2)와 덮개(3)로 이루어진 케이스(1)내에 교번신호가 흐르는 코일(11)과, 이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을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코일(11)과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이 진동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지되, 양측의 진동메커니즘이 각각 인력과 척력이라는 상반된 전자기적 무브먼트를 동시에 제공하여 인력과 척력이 합해진 진동추진력에 의해 진동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를 구성하는 케이스본체(2)는 실린더(관체) 형태일 수 있으며, 양측 단에 상기 덮개(3)가 결합되어 케이싱 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의 외형은 원형을 기본적인 실시예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인 감각신호출력장치(10)가 적용되어질 대상에 따라서 원형 이외에 타원(장축과 단축을 갖는 형태 포함)일 수 도 있고, 삼각형과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일 수 도 있으며, 이러한 외형에 따라서 상기 코일(11)과 자기회로(12)의 전체적인 형상 또는 대응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적인 예를 굳이 청구범위에 한정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본체(2)와 덮개(3)의 결합은 케이스본체(2)의 양단 내주면과 덮개(3) 외주면에 마련된 고정턱과 고정홈에 의한 끼움결합일 수 도 있고, 스냅결합일 수 도 있으며, 상기 케이스본체(2)의 양단 주연부가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안착된 덮개(3)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압착 고정시키는 커링결합일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코일(11)은 외부의 신호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번 신호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변화되는 전자기발생부로서, 링 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케이스(1)의 양측 단에 마련되는 덮개(3)의 내측면 중앙 부분에 코일1(11a)과 코일2(11b)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1(11a)과 코일2(11b)는 인가되는 교번신호의 방향이 상호 반대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기회로(12)는 자기회로(12)의 중량을 증대시켜 중력가속도를 증대시키는 중량체(13); 상기 중량체(13)의 양측 단부 방향에서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14); 상기 마그네트(14) 선단부에서 자력을 집중시키는 탑플레이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갖도록, 중량체(13)와 마그네트(14) 사이에 요크(16)가 더 적층 마련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중량체(13)는 부피를 갖는 블럭체로서, 텅스텐 또는 텅스텐을 포함한 합금 또는 기타 금속재일 수 있으며, 금속재이면서도 비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4)는 중량체(13)의 양단에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고정을 통해, 각각 마그네트1(14a)과 마그네트2(14b)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1(14a)과 마그네트2(14b)는 극성의 위치가 N극/S극과 N극/S극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마그네트1,2(14a)(14b)가 일직선으로 나열되었을 때, N극-S극-N극-S극으로 이루어져 양측 선단부는 각각 N극과 S극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1(11a)과 코일2(11b)로 흐르는 교번신호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 아니고 동일한 방향이라면, 상기 마그네트1,2(14a)(14b)의 극성은 각각 N극/S극과 S극/N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야만, 상기 코일1(11a)과 마그네트1(14a)이 인력 작용할 때, 상기 코일2(11b)와 마그네트2(14b)가 척력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요크(16)는 상기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외주연이 환형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를 통해 발생된 자기장을 받아들이고 이를 다시 마그네트(14) 측으로 제공하는 자기장 진행 경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16)의 일측 면은 상기 중량체(13)에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고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환형으로 돌출되는 방향의 바닥면에는 마그네트(14)가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고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11)로 교번신호가 인가되면, 전자기장(자기력선)의 방향변화에 따라서 양단이 각각 N극과 S극 또는 S극과 N극으로 교번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 및 요크(16)에 형성되는 또 다른 자기장이 상기 코일(11)의 전자기장에 반응하여, 케이스(1)에 고정된 코일(11)은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고,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와 요크(16) 및 중량체(13)가 코일(11)에 대해 반발 또는 흡인되면서 직선 왕복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진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본 발명은 케이스본체(2) 양측 단부에 마련된 덮개(3) 내측에 코일1(11a)과 코일2(11b)가 위치하며, 이들에 인가되는 교번신호의 방향은 반대 방향이고, 자기회로(12)를 구성하는 중량체(13)의 양측 단에는 마그네트1(14a)과 마그네트2(14b)가 위치하며, 이들은 각각 극성이 N극/S극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N극-S극-N극-S극으로 배열되어 있는 바, 만약, 상기 코일1(11a)에 N극/S극으로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1(14a)이 N극과 S극으로 착자되었을 경우, 마그네트1(14a)의 N극 부분과 코일1(11a)의 S극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끌어당겨지고, 상기 코일2(11b)에 S극/N극으로 전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2(14b)이 N극과 S극으로 착자되었을 경우, 마그네트2(14b)의 S극 부분과 코일2(11b)의 S극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반발하게 되므로, 인력과 척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진동추진력인 2배 이상으로 증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진동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저음특성 향상을 위해 증대(부피 및 중량)된 중량체에 의해 진동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상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 내주면에 나선홈(17)을 마련하고, 자기회로(12)의 외주면에 가이드돌기(18)를 더 마련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나선홈(17)은 직선 왕복에 의한 진동력을 감쇄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나선 각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되어질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8)는 중량체(13)의 외주면에 복수개(예컨대, 반대 방향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1개씩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회로(12)가 직선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자기회로(12)가 나선홈(17)을 따라 회전하면서 진동하게 되므로, 진동 발생이 입체적이고 다채로우면서도 다각도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일직선 진동 시 회전 진동을 유도하여 입체적인 진동력을 출력시킴으로써, 출력신호에 대한 다각도 수집(감각적인 느낌)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2) 내주면 양측에 지그재그의 가이드홈(19)을 마련하고, 자기회로(12)의 외주면에 가이드돌기(18)를 더 마련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9)은 직선 왕복에 의한 진동력을 감쇄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사 각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되어질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회로(12)가 직선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자기회로(12)가 지그재그의 가이드홈(19)을 따라 이동하면서 진동하게 되므로, 진동 발생이 입체적이고 다채로우면서도 다각도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한번의 직선 왕복운동 사이클 내에서 지그재그가 형성된 개수만큼 방향 전환되는 진동이 발생하여 마치, 고주파 진동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13)의 길이(높이)를 축소시키되, 직경을 자기회로(12)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켜서 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인 감각신호출력장치(10)가 적용되는 대상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진동모터와 같이 판스프링에 의해 자기회로가 지지를 받지 않고 있어, 통상 가용주파수가 10hz 이하인 종래 진동모터에 비해 가용주파수를 상대적으로 넓게 얻어낼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자기회로(12)의 진동 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는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스펀지 또는 에어백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쿠션제 또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감각신호출력장치 11 : 코일
11a,11b : 코일1,2 12 : 자기회로
13 : 중량체 14 : 마그네트
14a,14b : 마그네트1,2 15 : 탑플레이트
16 : 요크 17 : 나선홈
18 : 가이드돌기 19 : 가이드홈
1 : 케이스 2 : 케이스본체
3 : 덮개

Claims (14)

  1. 케이스본체(2)와 덮개(3)로 이루어진 케이스(1)내에 교번신호가 흐르는 코일(11)과, 이에 반응하여 진동하는 자기회로(12)로 이루어진 진동메커니즘을 갖는 감각신호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11)은 상기 케이스(1)의 양측 단에 마련되는 덮개(3)의 내측 면 중앙 부분에 코일1(11a)과 코일2(11b)로 각각 고정되고, 상기 자기회로(12)는 중량 증대를 통해 중력가속도를 증대시키는 중량체(13)와, 상기 중량체(13)의 양측 단부 방향에서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14)와, 상기 마그네트(14) 선단부에서 자력을 집중시키는 탑플레이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갖도록, 중량체(13)와 마그네트(14) 사이에 요크(16)가 더 적층 마련하고, 상기 코일1(11a)과 코일2(11b)로 흐르는 교번신호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인가될 경우, 마그네트1,2(14a)(14b)의 극성은 각각 N극/S극 과 S극/N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4)는 중량체(13)의 양단에 용접 또는 접착 또는 끼움고정을 통해, 각각 마그네트1(14a)과 마그네트2(14b)로 마련되어지되, 상기 마그네트1(14a)과 마그네트2(14b)는 극성의 위치가 N극/S극과 N극/S극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2(14a)(14b)가 일직선으로 나열되었을 때, N극-S극-N극-S극으로 이루어져, 양측 선단부는 각각 N극과 S극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16)는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외주연이 환형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마그네트(14)와 탑플레이트(15)를 통해 발생된 자기장을 받아들이고 이를 다시 마그네트(14) 측으로 제공하는 자기장 진행경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의 일직선 왕복 운동과 나선 회전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본체(2) 내주면에 나선홈(17)을 마련하고, 상기 자기회로(12)의 외주면에 가이드돌기(18)를 더 마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는 중량 증대를 통해 중력가속도를 증대시키는 중량체(13); 상기 중량체(13)의 양측 단부 방향에서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14); 상기 마그네트(14) 선단부에서 자력을 집중시키는 탑플레이트(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돌기(18)는 상기 자기회로(12)를 구성하는 중량체(13)의 외주면 반대 방향의 대각선 위치에 각각 1개씩 2개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회로(12)의 일직선 왕복 운동 시 지그재그에 의한 방향전환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케이스본체(2) 내주면 양측에 지그재그의 가이드홈(19)을 마련하고, 상기 자기회로(12)의 외주면에 가이드돌기(18)를 더 마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20100057141A 2010-06-16 2010-06-16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09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41A KR101094651B1 (ko) 2010-06-16 2010-06-16 감각신호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141A KR101094651B1 (ko) 2010-06-16 2010-06-16 감각신호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651B1 true KR101094651B1 (ko) 2011-12-20

Family

ID=4550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141A KR101094651B1 (ko) 2010-06-16 2010-06-16 감각신호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592A (ko) * 2014-08-13 2016-02-2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US10257614B2 (en) 2014-07-29 2019-04-09 Yeil Electronics Co., Ltd.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CN114221512A (zh) * 2021-12-10 2022-03-22 歌尔股份有限公司 振动装置及智能终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614B2 (en) 2014-07-29 2019-04-09 Yeil Electronics Co., Ltd. Sensory signal output apparatus
KR20160020592A (ko) * 2014-08-13 2016-02-24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678150B1 (ko) 2014-08-13 2016-11-22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신호출력장치
CN114221512A (zh) * 2021-12-10 2022-03-22 歌尔股份有限公司 振动装置及智能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1273B2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US9815085B2 (en) Haptic actuator
KR101583641B1 (ko) 햅틱 액추에이터
JP5248598B2 (ja) 機械的振動エネルギーを電気エネルギーに変換するための永久磁石による発電機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US8941272B2 (en) Linear vib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2033283A (zh) 振動致動器以及電子機器
US8937411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8836178B2 (en) Linear vibrator
JP202003644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型電子機器
JP2019201486A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KR101434264B1 (ko) 햅틱 엑추에이터
JP2018118233A (ja) 振動装置、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着信通知機能デバイス
CN10665569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KR101094651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CN208821074U (zh) 电磁激励器以及屏幕发声装置
US20190207499A1 (en)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20593A (ko) 감각신호출력장치
US20190207501A1 (en) Mover,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JP202110916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ー及び電子機器
KR101300334B1 (ko) 선형 진동자
KR20170035464A (ko) 선형 진동자
KR101254211B1 (ko) 선형 진동자
KR102136767B1 (ko) 상하 마그네트를 이용한 수직 진동자
KR20130001431A (ko) 감각신호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