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143A -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143A
KR20220011143A KR1020217041106A KR20217041106A KR20220011143A KR 20220011143 A KR20220011143 A KR 20220011143A KR 1020217041106 A KR1020217041106 A KR 1020217041106A KR 20217041106 A KR20217041106 A KR 20217041106A KR 20220011143 A KR20220011143 A KR 20220011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mputer
control program
working table
s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그루버
Original Assignee
마르쿠스 그루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쿠스 그루버 filed Critical 마르쿠스 그루버
Publication of KR2022001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05Programme-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 tool control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40Transformation of program code
    • G06F8/41Compilation
    • G06F8/44Encod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labvie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72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에서,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은, 동작 인터페이스(7)를 통해 상태(Z1 내지 Z4), 입력 신호(E1 내지 E3), 및 출력 신호(A1, A2)에 의해 결정되고, 이어서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변환되고,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7)에 의해 입력 테이블(11) 채워지고, 입력 테이블(11)의 각 셀 내에서의,
다음 상태로의 전환을 대기하는 신호 변경(S), 또는
에러 검출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것(I), 또는
무작위
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입력 테이블(11)에서의 기술 프로세스를 완전히 기술하기 위해, 기술 프로세스의 각 상태(Z1 내지 Z4)가 입력 테이블(11)의 라인/열에 할당되고, 기술 프로세스의 각 입력 신호(E1 내지 E3)가 입력 테이블(11)의 열/라인에 할당되며,
규정된 모든 상태에서, 입력 테이블(11)에서의 규정에 따라, 모든 입력 신호는, 신호 변경 또는 에러 조건에 관하여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거나,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무작위로 설정되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지 않는다.

Description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본원은,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은 상태(state), 오퍼레이팅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에 의해 결정되고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순차적으로 컨버팅된다.
예를 들어, 제조 시설에서 기술 프로세스의 제어 또는 조정은 복수의 입력 신호가 제공되는 시스템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다. 예컨대, 시스템 컴퓨터에 대한 이러한 입력 신호는,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위치 센서로부터, 또는 컨테이너 내의 액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온도 센서로부터, 또는 제품의 건조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로부터 올 수 있다. 기술 프로세스는 입력 신호, 출력 신호, 상태, 및 에러 조건의 형태로 복수의 프로세스 변수를 포함하며, 매우 간단한 기술 프로세스라도 이러한 프로세스 변수의 대부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기술 프로세스에 의해 제어되거나 조정되어야 하는 기술 컴포넌트가 많을수록 기술 프로세스가 포함하는 프로세스 변수의 수도 많아진다. 예를 들어, 가솔린을 생산하는 정유소와 관련하여, 정유소의 개별 기술 콤포넌트가 얼마나 많은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구성할 것인지, 얼마나 많은 상태에 있을 수 있는지는 즉시 명백하게 되어서, 이러한 프로세스 변수의 모든 가능성의 조합으로 인해 가솔린 생산을 위한 기술 프로세스의 계획 및 계획되지 않은 시퀀스가 거의 관리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발생한다.
DE 10 2015 109 662 A1은,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술자에 의해 설정되는 실행 가능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블록 다이어그램에서의 블록들은 상태를 식별하고, 신호는 기술 프로세스의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음 상태로의 전환을 라이닝한다.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단한 기술 프로세스에서도 복잡하기 때문에 이 최신 기술은 제어 프로그램의 그래픽 모델을 하위 모델로 분석하는(dissecting)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석하면 더 복잡해진다. 이 알려진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하거나 조정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예상치 못한 에러 상태가 있었고, 이러한 에러는 기술 프로세스의 실패 및 후속적으로 생산 손실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EP 0 707 248 A1은, 기술 프로세스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시 사용되는 실행 가능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구현 생성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을 개시한다. 그래픽 사용자 표면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프로그램 속성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함으로써 그래픽 오브젝트의 그룹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속성에 의한 "뷰(view)"에 그래픽 오브젝트의 특정 그룹이 지정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고전적인 라인/테이블 타입 디스플레이는 아마도 충분히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불리하다고 언급된다. 이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하거나 조정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예상치 못한 에러 상태가 있었고, 이러한 에러는 기술 프로세스의 실패 및 후속적으로 생산 손실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신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는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구현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단계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알려진 프로세스에서 기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표면이 모든 다른 상태 및 입력 신호의 모든 가능한 조합으로 제어 또는 조정되는 프로세스를 완전히 설명하지 않는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알려진 동작 표면은 정의된 특정 에러 상태뿐만 아니라 계획된 대로 진행되는 기술 프로세스의 상태 및 상태 전환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만 항상 고려되지 않은 상태의 시퀀스 또는 입력 신호의 조합이 있다. 종종 그 이유는 기술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기술자가 이러한 상태 또는 입력 신호의 조합이 발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기술 프로세스에 기술 콤포넌트가 몇 개 이상 있으면 가장 흔한 이유는 동작 표면이 정의된 방식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신호 변경 또는 에러 조건과 관련하여 연속적으로 입력 테이블의 정의에 따라 모든 정의된 상태의 모든 입력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또는 무작위로 설정하여 결과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음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결과적으로 기술 프로세스의 모든 편차가 즉시 인식된다. 또한 기술 프로세스에 대한 전체 설명을 제공하는 입력 테이블의 본원의 구조는 모든 상태 및 상태 전환의 구조화된 정의를 허용하여, 특정 입력 신호 조합이 사전에 고려되지 않아 생산 손실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체크 테이블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한 곳에서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기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테이블에 기술 파라미터의 새로운 연결(linkage)을 통해,
생산 프로세스의 정지(standstill)를 감소시키는 기술적 목적이 해결되어, 발명의 기술이 제공된다.
본원의 방법(inventive method)의 추가적인 유리한 구현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 기술 프로세스의 기술 콤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통해 입력 테이블에서의 기술 프로세스를 완전히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입력 테이블로부터 채워지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워킹 테이블(working table)을 도시한다.
도 4는 워킹 테이블 및 입력 테이블을 통한 기술 프로세스의 완전한 설명을 체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체크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된 기술 프로세스의 기술 콤포넌트를 도시한다. "후방(back)" 위치로부터 "전방(front)" 위치로 그리고 반대로, 실린더(3)의 피스톤(2)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제어 컴퓨터(1)가 디자인된다. 버튼(4)이 눌려지면 제어 컴퓨터(1)에 제1 입력 신호(E1)를 내보낸다. 제1 센서(5)가 "후방" 위치에서 피스톤(2)을 검출하면, 제1 센서(5)는 제어 컴퓨터(1)에 제2 입력 신호(E2)를 내보낸다. 제2 센서(6)가 "전방" 위치에서 피스톤(2)을 검출하면, 제2 센서(6)는 제어 컴퓨터(1)에 제3 입력 신호(E3)를 내보낸다. 입력/출력 유닛(7)은 디스플레이(8), 버튼(4),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추가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컴퓨터(1)는 피스톤(2)을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출력 신호(A1)를 제1 밸브(9)로 내보낸다. 제어 컴퓨터는 피스톤(2)을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출력 신호(A2)를 제2 밸브(10)로 내보낸다.
적은 기술 콤포넌트만을 포함하는 단순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기술 프로세스의 시퀀스는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피스톤(2)이 "후방" 위치에 있고 버튼(4)이 눌려지면, 제어 컴퓨터(1)는 제1 밸브(9)에 제1 출력 신호(A1)를 내보내고 이에 따라 피스톤(2)이 "전방" 위치로 이동한다. 피스톤(2)이 "전방" 위치에 있고 버튼(4)이 눌려지면, 제어 컴퓨터(1)는 제2 밸브(10)에 출력 신호(A2)를 내보내고 이에 따라 피스톤(2)이 "후방" 위치로 이동한다. 상태(Z1 내지 Z4)의 기술 프로세스의 이 시퀀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에 대한 전체 설명을 향한 제1 단계이다.
도 2는 제2 단계에서 입력 테이블(11)의 기술 프로세스의 시퀀스에 대한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비트 지향 문제에서 시퀀스가 설정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시퀀스의 4개 상태(Z1 내지 Z4)는 입력 테이블(11)의 4개 라인에 포함되고, 입력 신호(E1 내지 E3)는 입력 테이블(11)의 열(column)에 포함된다. 버튼(4)을 계속해서 누르면 피스톤(2)의 위치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그리고 다시 "전방"으로 제어되지 않은 변경으로 이어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역(inverse) 제1 입력 신호(
Figure pct00001
)는 추가 입력 신호로 별도의 열에 포함된다. 본원의 방법의 제3 단계에서, 입력 신호(E1 내지 E3 및
Figure pct00002
)는 이어서 로직을 통해 상태들과 연결된다(linked).
이것을 위해, 각각의 상태(Z1 내지 Z4)에서 신호 변경(S)이 모니터링될 경우, 사용자는 입력 테이블(11)의 하나의 라인에 "S"를 입력한다. 예컨대, 상태(Z1)에서, 시스템은 버튼(4)으로부터의 입력 신호(E1)를 대기한다. 또한, 각각의 상태(Z1 내지 Z4)에서 입력 신호가 모니터링될 경우, 사용자는 입력 테이블(11)의 셀(cell)에 "I"를 입력한다. 예컨대, 상태(Z1)에서, 피스톤이 "후방" 위치에서 검출되도록 만들기 위해, 입력 신호(E2)는 비트 "1"을 가져야 한다. 사용자가 "S" 또는 "I"를 입력하지 않은 다른 모든 셀은 임의의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즉 입력 신호(E1)는 이 상태에서 기술 프로세스의 시퀀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비트 "0" 또는 비트 "1"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문자 "S"와 "I"로 표기하는 것은 입력 옵션의 하나의 예일 뿐이지만, 사용자는 입력 테이블(11)을 채울 때 임의의 숫자나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컴퓨터(1)를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기술 프로세스가 제어된 방식으로 제어 컴퓨터(1)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워킹 테이블(12)에서 인식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8)에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입력 테이블(11)을 기반으로 하여, 제어 프로그램은 이제 제어 컴퓨터(1) 또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워킹 테이블(12)의 제1 섹션(13)에서, 4개의 상태(Z1 내지 Z4)는 라인 내에 포함되고, 입력 신호(E1 내지 E3 및
Figure pct00003
)는 열 내에 포함된다. 입력 테이블(11)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을 완전히 기술하기 위해 비트 "0" 및 "1"이 워킹 테이블(12)의 제1 섹션(13)에 삽입되고, 워킹 테이블(12)의 제1 섹션(13)의 필드는, 입력 테이블(11) 내의 입력에 따라 이 상태에서 입력 상태가 무작위(random)일 수 있는 경우에, 빈 상태로 남을 수 있다.
도 3은 워킹 테이블(12)의 4개의 추가 라인에 포함되는 하나의 상태로부터 이하의 각각의 상태로의 상태 전환도 가진 본원의 워킹 테이블(12)을 도시한다. 추가 열에서, 밸브(9 및 10)에 대한 제어 컴퓨터(1)의 출력 신호(A1 및 A2)도 포함되었다. 워킹 테이블(12)의 제1 섹션(13)은, 시스템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가능한 상태들에서의 도 1에 따른 시스템의 기술 콤포넌트의 모든 입력(E1 내지 E3) 및 모든 출력(A1 및 A2)을 기술한다(describe).
워킹 테이블(12)의 제2 섹션(14)에서, 상태(Z1 내지 Z4) 및 상태 전환은 4개의 열(M1 내지 M4)에서 매트릭스 비트(Mx)에 할당되었다. 열(M1 내지 M4)은 입력(E1,
Figure pct00004
, E2 및 E3)에 대응하며, 매트릭스 비트(Mx)는 시스템이 이 상태에서 이 입력 신호를 기다릴 때마다 비트 "1"을 표시하고, 제어 컴퓨터(1)가 이 입력 신호가 다음 상태로 계속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을 때마다 "0"을 표시한다.
워킹 테이블(12)의 제3 섹션(15)에서, 입력 테이블(11)에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는 에러 상태는, 제어 프로그램이 워킹 테이블의 제2 섹션(14) 및 제3 섹션(15)에서의 비트들의 순환 비교를 수행할 때, 불일치의 경우에 각각의 상태 또는 상태 전환에서 어떤 에러 상태가 디스플레이(8) 상의 에러 메시지로 이어질 것인지, 그로부터 생성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포함되고 모니터링된다. 워킹 테이블(12)의 제3 섹션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채워지고 아래에서 설명될 도 4에 도시된 본원의 체크 테이블(16)의 도움으로 검증 또는 체크될 수 있다.
체크 테이블(16)에서, 3개의 입력 신호(E1 내지 E3)의 모든 가능한 비트 조합이 라인에 포함되고,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제어 컴퓨터 또는 컴퓨터는 입력 테이블(11) 및/또는 워킹 테이블(12)을 기반으로 이러한 비트 조합 각각에 대해 비트 조합이 의미하는 것을 지정한다. 예컨대, 비트 조합 1 - 1 - 1, 즉 3개의 입력 신호가 모두 스위칭 전압을 가질 때 피스톤(2)이 "뒤" 위치에서 제1 센서(5)에 의해 그리고 "전방" 위치에서 제2 센서(6)에 의해 동시에 검출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에러 상태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비트 조합 0 - 1 - 1에서 다시 두(both) 입력 신호(E2 및 E3)가 스위칭 전압을 갖기 때문에, 이 비트 조합에서도 시스템의 동일한 에러 상태가 나타난다. 이 체크 테이블(16)은 사용자가 실제로 입력 신호(E1 내지 E3)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이 의미 또는 프로세싱에 할당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가능한 모든 상태 또는 상태 전환 동안 시스템의 모든 입력에 대한 이러한 원활한 모니터링은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특히 안정적인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입력 테이블(11)에서의 비트를 수동으로 설정함으로써 기술 프로세스의 기능의 완전한 설명을 완료한 후에,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이 사용자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당업자는 표 또는 그래픽 모델에 의해 설명된 프로세스를 기계어 또는 DE 10 2015 109 662 A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상위 프로그래밍 언어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으로 자동 번역하는 것에 익숙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술 프로세스의 원활한 테이블 형식 설명의 분야에 속하기 때문에 본 설명은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생성한 후, 제어 컴퓨터(1)의 프로그램 저장소에 로드되고 기술 프로세스가 정의된 상태, 예컨대 상태(Z1)로 전환되고,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은 사용자에 의해 시작된다.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전, 실행하는 동안, 및 실행한 후에, 제어 프로그램의 생성과 함께 제어 컴퓨터(1) 또는 다른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선택적 체크 테이블(16) 및 워킹 테이블(12)의 일부가 디스플레이(8)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워킹 테이블(12) 및 체크 테이블(16)에서의 유연한 설명에 기초하여 생성된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을 통해 제어 컴퓨터(1)에 의해 제어된 기술 프로세스의 시퀀스가 설명될 것이다. 상태 1에서 피스톤(2)은 "후방" 위치에 있으므로, 제1 섹션(13)에서는 제1 센서(5)의 입력 신호(E2)만 비트 "1" 또는 스위칭 전압을 갖는 반면, 제2 섹션(14)에서는, 매트릭스 비트(M1)는 버튼(4), 즉 입력 신호(E1)가 상태 2로 진행하기 전에 필요하기 때문에 비트 "1"을 갖는다. 제3 섹션(15)에서, 상태 1의 제1 라인에서 볼드체로 표시된 매트릭스 비트(M3)가 비트 "1"을 갖고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모니터링됨을 알 수 있다. 비트 "0"이 존재하는 경우, 즉 제1 센서(5)의 입력 신호(E2)가 피스톤(2)이 "후방" 위치에 있지 않음을 나타내므로, 상태 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8)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에러가 있다. 디스플레이(8)에 표시된 워킹 테이블(12)을 보면, 사용자는 기술 프로세스가 어떤 상태이고 어떤 센서가 입력 신호로 예기치 않은 센서 신호를 보내는지 볼 수 있다. 피스톤의 실제 위치를 보고, 예컨대 제1 센서(5)를 교체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스템의 에러를 쉽게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섹션(15)에서 일반 글꼴로 표시된 매트릭스 비트 M1은 이미 비트 "1"을 갖고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제1 상태(Z1)에서 모니터링되며, 이는 입력 신호(E1)가 버튼(4)이 눌러진 후에 스위칭 전압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니터링된 진행 조건(WSB)이 라인 "2로 전환"에서 주어진 비트에 의해 제어 컴퓨터(1)에 의해 검출될 때, 제어 컴퓨터(1)는 시스템의 상태(2)로 진행하여 제1 밸브(9)에 출력 신호(A1)를 보내고 그 후에 피스톤(2)이 "전방" 위치로 이동한다. 피스톤(2)이 "전방" 위치에 도달하고 입력 신호(E3)가 스위칭 전압을 가질 때 상태(2)로부터 상태(3)로의 진행 조건이 도달하고, 이것은 상태(Z2)의 제3 섹션에서 모니터링된 매트릭스 비트 M4에서의 비트 "1"에 대응한다. 상태(3)에서, 버튼(4)이 눌러진 후 시스템은 다시 입력 신호(E1)를 대기하고, 이것은 제3 섹션(15)에서 모니터링된 매트릭스 비트 M1에서의 비트 "1"에 대응한다. 버튼(4)이 눌러지면, 제어 컴퓨터는 상태(4)로 진행하고 제2 밸브(10)에 출력 신호(A2)를 보내고, 피스톤(2)은 "후방" 위치로 이동한다. 제1 센서(5)가 제3 섹션(15)에서의 모니터링된 매트릭스 비트 2에서 비트 "1"을 통해 검출되는 입력 신호(E2)를 제어 컴퓨터(1)로 내보내는 즉시, 제어 컴퓨터는 다시 상태 1로 전환되며, 그 후 전체 기술 프로세스가 한 번 실행된다. 진행 조건(WSB)은 항상, 비트 "0"을 갖는 워킹 테이블(12)의 제2 섹션(14)에서의 모든 매트릭스 비트 Mx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변형에서, 진행 조건(WSB)은 비트 "1"을 가진 모든 매트릭스 비트 Mx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다.
체크 테이블(16)을 통해 워킹 테이블(12)에 입력된 비트가 완전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지만, 체크 테이블(16)을 사용하여 확인하지 않고도 워킹 테이블(12)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워킹 테이블(12)은 물론 라인 및 열과 관련하여 반대로 생성 및 사용될 수도 있음을 언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Z1 내지 Z4)는 열에 포함되고, 입력 신호(E1 내지 E3), 출력 신호(A1 및 A2), 및 매트릭스 비트(Mx)는 라인에 배열된다. 이 대안적인 배열은 또한 시스템의 기술적 프로세스가 제어 컴퓨터(1)로 실행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허용하기 위해 완전히 설명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때 입력 신호의 모든 가능한 조합이 사전 설정 프로세스를 초래한다는 것이 보장된다. "상태 머신(state machine)"의 다음 상태가 입력되거나 사용자에게 규정된 에러가 표시되어, 테이블의 정보에 기초한 즉각적인 솔루션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 하나의 실린더(3)와 2개의 위치로만 이동할 수 있는 하나의 피스톤(2)을 갖는 매우 간단한 기술 프로세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 실제 이점은 예를 들어 반자동 또는 완전 자동화 생산 프로세스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서로 다른 기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기술 프로세스로 설명된 접근 방식을 사용할 때 명백해진다.

Claims (7)

  1. 기술 프로세스에 대한 제어 및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computer-aided generation)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computer-implemented method)으로서, 상기 방법에서,
    동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태(Z1 내지 Z4), 입력 신호(E1 내지 E3), 및 출력 신호(A1, A2)에 의해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을 규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결정된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7)를 통해 채워진 입력 테이블(11)이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완전히 기술하는(describe)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로 컨버팅하는 단계
    가 구현되고,
    상기 입력 테이블(11)의 각 셀에서의,
    다음 상태로의 전환을 대기하는 신호 변경(S), 또는
    에러 검출을 위해 모니터링되는 것(I), 또는
    무작위
    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입력 테이블(11)에서의 상기 기술 프로세스를 완전히 기술하기 위해, 상기 기술 프로세스의 각 상태(Z1 내지 Z4)는 상기 입력 테이블(11)의 라인/열에 할당되고, 상기 기술 프로세스의 각 입력 신호(E1 내지 E3)는 상기 입력 테이블(11)의 열/라인에 할당되며,
    규정된 모든 상태에서, 상기 입력 테이블(11)에서의 규정에 따라, 모든 입력 신호는, 신호 변경 또는 에러 조건에 관하여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거나, 상기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무작위로 설정되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지 않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테이블(11)로부터 상기 실행 가능 제어 프로그램의 생성 동안, 워킹 테이블(working table)(12)이 생성되고, 상기 워킹 테이블(12)의 제2 영역(14) 내에 다음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예상된 입력 신호(14 내의 Mx)를 규정하는 것, 및 상기 워킹 테이블(12)의 제3 영역(15) 내의 에러 검출을 위한 모니터링된 입력 신호(15 내의 Mx)를 규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워킹 테이블(12)에서의 상기 기술 프로세스를 완전히 기술하기 위해, 상기 기술 프로세스의 모든 상태(Z1 내지 Z4)는 상기 워킹 테이블(12)의 라인/열에 할당되고, 상기 기술 프로세스의 모든 입력 신호(E1 내지 E3)는 상기 워킹 테이블(12)의 열/라인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들(Z1 내지 Z4) 사이에 배치된 상기 워킹 테이블(12)의 추가 라인들/열들에서, 하나의 상태로부터 후속 상태로의 전환에 대해 각각의 하나의 라인이 제공되고, 예상되는 입력 신호(14 내의 Mx)들은 이들 라인들/열들 내에서 모두 비트 제로를 갖거나 모두 비트 1을 가져야 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 테이블(12)에서의 상기 기술 프로세스의 완전한 기술(description)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 신호(E1 내지 E3)의 이론적으로 가능한 각각의 조합은, 제어 테이블(16)에서, 워킹 테이블(12)의 상태(Z1 내지 Z4) 또는 워킹 테이블(12)의 제3 영역(15)에서 모니터링된 에러 또는 워킹 테이블(12)에서의 전환에 할당될 수 있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수단(8)으로, 상기 워킹 테이블(섹션 14에서의 12)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상기 기술 프로세스의 제어 및 조정 중 적어도 하나의 시뮬레이션 동안, 각각의 다음 입력 신호(M1 내지 M4에 따른 E1 내지 E3)는 현재 상태의 상기 다음 상태(Z1 내지 Z4)로의 전환이 예상되는 것으로 마크될 것인, 방법.
  6. 제어 컴퓨터(1) 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어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7. 제어 컴퓨터(1) 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41106A 2019-05-20 2020-04-27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KR20220011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58/2019A AT522186B1 (de) 2019-05-20 2019-05-20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r rechnergestützten Erzeugung eines ausführbaren Steuerungsprogramms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s technischen Prozesses
ATA50458/2019 2019-05-20
PCT/AT2020/060169 WO2020232486A1 (de) 2019-05-20 2020-04-27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r rechnergestützten erzeugung eines ausführbaren steuerungsprogramms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s technischen prozes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143A true KR20220011143A (ko) 2022-01-27

Family

ID=7048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106A KR20220011143A (ko) 2019-05-20 2020-04-27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44709A1 (ko)
EP (1) EP3973363B1 (ko)
JP (1) JP2022534479A (ko)
KR (1) KR20220011143A (ko)
CN (1) CN114144735A (ko)
AT (1) AT522186B1 (ko)
CA (1) CA3137626C (ko)
ES (1) ES2956267T3 (ko)
WO (1) WO20202324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884B2 (ja) * 1977-09-26 1984-10-18 横河電機株式会社 シ−ケンス制御プログラムのデバツギング装置
US5301100A (en) * 1991-04-29 1994-04-05 Wagner Ferdinand H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control system and control system created thereby
JP3134428B2 (ja) * 1991-11-08 2001-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故障診断方法および装置
JP3275450B2 (ja) * 1993-04-30 2002-04-15 オムロン株式会社 故障診断方法および装置
EP0707248A1 (de) * 1994-10-14 1996-04-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ktivierung bzw. Deaktivierung von Teilprogrammen mittels über Programmattribute gesteuerten Sichten in einem bevorzugt auf Zustandsgraphen basierenden Automatisierungssystem
JP2000270578A (ja) * 1999-03-18 2000-09-29 Sony Corp モータ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03108220A (ja) * 2001-09-28 2003-04-11 Omron Corp 制御プログラム開発支援方法及び装置
JP2003177804A (ja) * 2001-09-28 2003-06-27 Nippon Koei Power Systems Co Ltd シーケンス制御プログラム生成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シーケンス制御プログラム生成装置
JP4488701B2 (ja) * 2003-08-22 2010-06-23 キヤノン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プ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74440B2 (ja) * 2004-06-29 2012-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状態とイベントの組にアクションを割り当てた対応情報に基づいてプログラムを生成するプログラム生成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生成方法、ならびに、これらによって生成されるプログラム
DE102006059430A1 (de) * 2006-12-15 2008-06-19 Robert Bosch Gmbh Automatisierte Erstellung und Adaption eines Maschinen- oder Anlagenmodells
JP2009175781A (ja) * 2008-01-21 2009-08-06 Mitsubishi Denki Micom Kiki Software Kk 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5087506B2 (ja) * 2008-09-16 2012-12-05 日晃オートメ株式会社 テーブル演算制御装置
US20100174388A1 (en) * 2009-01-02 2010-07-08 Ferreira David A Live Device Graphical Status Tree
CN102025312B (zh) * 2009-09-16 2014-01-29 株式会社东芝 马达控制元件及电气设备
EP2367083B1 (de) * 2010-03-19 2016-10-05 Sick Ag Vorrichtung zur Erstellung eines Programms für eine speicherprogrammierbare Steuerung, Programm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Programmierung einer speicherprogrammierbaren Steuerung
US9176490B2 (en) * 2010-08-16 2015-11-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program generation device, control program generation program, and control program generation method
DE102010064337A1 (de) * 2010-12-29 2012-07-05 Winergy Ag Verfahren, System und Steuerungsprogramm zur Steuerung eines industriellen Fertigungsprozesses
JP5433638B2 (ja) * 2011-06-29 2014-03-05 合同会社IP Bridge1号 開発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3491B1 (ja) * 2012-11-09 2014-04-09 株式会社関東エルエンジニアリング 自動パージ工程制御情報生成装置
JP5907857B2 (ja) * 2012-12-05 201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ジック図面及び試験テーブル作成装置
JP2014241072A (ja) * 2013-06-12 2014-12-25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命令生成装置、命令生成方法、及び、命令生成プログラム
US9086688B2 (en) * 2013-07-09 2015-07-2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State machine function block with user-definable actions on a transition between states
CN103699730B (zh) * 2013-12-18 2017-02-22 华侨大学 一种基于Petri网的组合逻辑FPGA系统可达图的生成方法
EP3070553B1 (de) * 2015-03-19 2019-05-08 dSPACE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engineering GmbH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zur rechnergestützten übersetzung eines die funktionalität eines steuerungsprogrammes beschreibenden grafischen modells
JP6458754B2 (ja) * 2016-03-14 2019-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プログラム開発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開発支援方法
EP3246825A1 (en) * 2016-05-20 2017-11-22 cedalo GmbH Controlling a device using tabular data
DE112016007069T5 (de) * 2016-08-30 2019-03-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grammeditiervorrichtung, programmeditierverfahren und programmeditierprogramm
DE112016007220T5 (de) * 2016-09-14 2019-06-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ontaktplanprogrammbearbeitungsunterstützungsvorrichtung und Kontaktplanprogrammbearbeitungsverfahren
CN108572611B (zh) * 2017-03-13 2021-01-22 欧姆龙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取记录媒体
JP7005914B2 (ja) * 2017-03-13 2022-01-24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2486A1 (de) 2020-11-26
ES2956267T3 (es) 2023-12-18
AT522186A4 (de) 2020-09-15
EP3973363A1 (de) 2022-03-30
AT522186B1 (de) 2020-09-15
CA3137626C (en) 2023-10-24
JP2022534479A (ja) 2022-08-01
CA3137626A1 (en) 2020-11-26
US20220244709A1 (en) 2022-08-04
EP3973363B1 (de) 2023-06-21
EP3973363C0 (de) 2023-06-21
CN114144735A (zh)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078B2 (en) Boolean logic function block
US5644487A (e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5578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utting shape using interactive program in compute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CN106707973B (zh) 时序控制编程装置、时序控制编程方法以及作业系统
JP4820265B2 (ja)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
US201803732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on type conversion of plc control program
US10295981B2 (en) Engineering tool
KR20220011143A (ko) 기술 프로세스를 제어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제어 프로그램의 컴퓨터 지원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JP5566473B2 (ja) システム設計装置
US20050166190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 automation program
CN111258895A (zh) 执行指令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2537424B2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2008532130A (ja) 制御装置のインタプリタによるサブプログラムの翻訳のための方法
JP2533374B2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6657597B2 (ja) 制御プログラムの編集装置
JP7466715B2 (ja) 熱処理炉設備のための、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にて稼働するプログラムコントローラ
CN101763060A (zh) 从机械机器操作模型中自动推导逻辑控制器行为模型
JP2533373B2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方法
JP5754014B2 (ja) プログラム作成方法
WO2018229979A1 (ja) 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6023248B1 (ja) 歩進制御装置
JPH0777930A (ja) システム定義作成装置
JP2001195118A (ja) 運転状態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方法
JPH03201104A (ja) 制御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H06202711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