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136A - 1차 카펫 백킹 - Google Patents

1차 카펫 백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136A
KR20220011136A KR1020217040080A KR20217040080A KR20220011136A KR 20220011136 A KR20220011136 A KR 20220011136A KR 1020217040080 A KR1020217040080 A KR 1020217040080A KR 20217040080 A KR20217040080 A KR 20217040080A KR 20220011136 A KR20220011136 A KR 20220011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s
nonwoven
carpet backing
breath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롭 타일러
Original Assignee
로우 앤드 보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우 앤드 보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우 앤드 보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68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 primary backing or the fibrous top lay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12Glass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8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with at least one extra fibrous layer at the backing, e.g. stabilizing fibrous layer, fibrous secondary back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 D10B2503/041Carpet ba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rpe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적어도 3개의 층의 구조를 포함하는 1차 카펫 백킹으로서, 제1 층 및 제3 층은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고, 제2 층은 섬유의 보강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위치하고,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8000L/m2·s의 통기성을 갖고,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1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고,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보다 더 낮은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1차 카펫 백킹
본 출원은 1차 카펫 백킹, 1차 카펫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티드 카펫, 및 1차 카펫 백킹을 포함하는 이러한 터프티드 카펫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카펫 타일 생산에서는 보이는 파일 얀(pile yarn) 뒤에 다양한 재료의 많은 층이 있다. 파일 얀 뒤의 구성은 파일 얀이 터프팅된 1차 카펫 백킹을 포함하고, 1차 카펫 백킹은 파일 얀을 고정하기 위한 프리코트를 포함한다. 터프팅되고 프리코팅된 1차 백킹 아래에, 전통적인 카펫 타일은 중합체 층, 보강 층, 추가 중합체 층, 및 선택적으로 2차 카펫 백킹을 포함한다.
이 보강 층은, 예를 들면 섬유 유리 부직물 또는 스크림일 수 있으며, 카펫 타일의 평면(x 및 y 치수) 방향의 보강을 담당한다. 카펫 타일의 x 방향 및/또는 y 방향으로 가해지는 발생한 힘을 보강 층으로 전달하기 위해, 1차 카펫 백킹과 보강 층 사이, 및 2차 카펫 백킹과 보강 층 사이에 중합체 코팅 층이 필요하다.
이들 중합체 코팅 층은 비싸고 카펫 타일 생산자는 이들 중합체 코팅의 두 층의 중량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지만, 중합체 코팅은 보강 층과 1차 카펫 백킹 사이 및/또는 보강 층과 2차 카펫 백킹 사이의 적절한 결합을 위해 본질적이므로 최소량의 중합체가 필요하다.
일부 카펫 타일에서, 보강 층을 중합체의 두 층 사이에서 2차 카펫 백킹으로 직접 이동하여 값비싼 중합체 코팅의 두 층을 단 하나의 층으로 줄이고 카펫 타일에서 중합체의 총 중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WO 2011/069996 A1은 섬유의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하는 1차 카펫 백킹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둘 모두는 무작위로 놓인 섬유의 부직물 층이고, 제1 층 및 제2 층의 섬유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WO 2016/00869 A1은 폴리염화비닐이 없는 페이스트에 의해 함침된 보강 층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이 없는 장식 표면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폴리염화비닐이 없는 페이스트는 표면 커버링의 양면에서 보인다.
GB 1,409,068은 터프티드 1차 백킹에 2차 백킹을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2차 백킹의 보강은 편물 공정 동안 및 편물 공정의 일부로서 도입되는 편물 구조에 통합된 길이방향 얀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보강 층을 2차 카펫 백킹 위로 이동시켜 중합체 코팅 층의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지만, 보강 층을 2차 카펫 백킹에 부착하기 위해 추가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것과 같은 단점이 발생하고,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보강 층을 2차 카펫 백킹으로 이동하는 것은 카펫 타일의 디싱(dishing) 또는 도밍(doming)과 같은 평탄도 안정성(카펫 타일의 평면에 수직, z 치수)에 부정적인 결과를 갖는다고 믿어진다.
또한, 고분자 코팅 층이 1차 카펫 백킹에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 고분자 코팅이 카펫 표면에 보일 수 있으며, 이는 라텍스 블리딩(bleeding)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은 앞서 언급된 단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1차 카펫 백킹용 재료, 1차 카펫 백킹을 포함하는 터프티드 카펫, 및 1차 카펫 백킹을 포함하는 이러한 터프티드 카펫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3개의 층의 구조를 포함하는 1차 카펫 백킹용 재료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제1 층 및 제3 층은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고, 제2 층은 섬유의 보강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위치하고,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8000l/m2·s의 통기성을 갖고,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35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고,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보다 더 낮은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용어 "1차 카펫 백킹용 재료" 및 "1차 카펫 백킹"은 동의어로 사용된다.
명확성을 위해, ISO 9237:1995에 따른 통기성 측정은 200Pa의 압력과 20cm2의 샘플 크기를 갖는 샘플에서 수행한다. 또한, 제1 층의 부직물 층이 제3층의 부직물 층보다 낮은 통기성을 갖는 특징은 가독성 및 간결함의 이유로 "1차 카펫 백킹의 통기성의 비대칭성"이라고도 한다.
1차 카펫 백킹이 섬유의 보강 층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카펫 타일의 디싱 또는 도밍과 같이 카펫 타일의 평면에 수직(z 치수)인 평탄도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1차 카펫 백킹이 최소 통기성을 갖는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을 포함한다는 사실은 터프티드 1차 카펫 백킹에 적용된 프리코트의 침투를 개선하는 한편, 감소된 통기성을 갖는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은 카펫 타일 표면에 프리코트의 라텍스 블리딩을 방지한다.
명확성을 위해, 다음은 본 출원 동안 사용되는 일부 용어 및 어구에 대한 설명이다.
용어 "복합재"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이 크게 다른 둘 이상의 성분 재료로 제조된 재료로 이해되어야 하며, 조합될 때 개별 성분과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를 생성한다.
어구 "실질적으로 평행한"은 섬유가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의 인접한 섬유와 접촉하지 않도록, 단방향 층의 섬유가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스펀본디드(spunbonded)" 및 "스펀-레이드(spun-laid)"는 섬유의 부직물 층의 생산을 의미하며, 여기서 섬유는 방사구(spinneret)로부터 압출되고 이어서 컨베이어 벨트 위에 필라멘트의 웹(web)으로서 놓이고 이어서 상기 웹을 결합하여 섬유의 부직물 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2단계 공정(필라멘트를, 예를 들어 드로잉 고데(drawing godets) 또는 압축 공기 제트(jet)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스펀 드로운하고, 예를 들어 멀티필라멘트 얀의 형태로 보빈에 감는 단계, 및 이어서 상기 멀티필라멘트 얀을 해사하고, 필라멘트를 컨베이어 벨트 위에 필라멘트의 웹으로서 놓고, 상기 웹을 결합하여 섬유의 부직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으로 형성한다.
용어 "카펫 표면"은 카펫을 바닥에 깔았을 때 보이는 카펫의 면으로 이해해야 한다. 카펫을 바닥에 깔았을 때, 보이지 않는 면은 터프팅의 백스티치가 있는 면이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용어 "섬유"는 스테이플(staple) 섬유 및 필라멘트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스테이플 섬유는 2 내지 200mm 범위의 특정한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필라멘트는 200m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일 양태에서, 필라멘트는 1000m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섬유이다.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방사구의 방사 구멍을 통해 필라멘트를 연속 압출 및 방사하여 형성하는 경우 사실상 끝이 없을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기계 방향"은 1차 카펫 백킹의 가장 큰 치수이기 때문에 생산 방향으로 이해되며, 이는 동의어로 x 방향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교차 기계 방향"은 기계 방향과 평면에 있고 기계 방향에 수직인 1차 카펫 백킹의 두 번째로 큰 치수이며, 동의어로 y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1차 카펫 백킹의 세 번째로 큰 치수는 평면에서 벗어나 기계 방향 및 교차 기계에 수직이며, z 방향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는 필라멘트이다.
1차 카펫 백킹은 보강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섬유의 보강 층을 포함한다. 여러 유형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모듈러스 재료, 저수축 재료, 및 압축에 강한 재료.
모든 유형의 재료는 1차 카펫 백킹의 안정성을 위해 그들 고유한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고모듈러스 재료는 1차 카펫 백킹이 신장에 대한 증가된 안정성을 갖는다는 유리한 특성을 추가한다. 저수축 재료는, 예를 들어 주변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1차 카펫 백킹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1차 카펫 백킹이 수축에 대한 증가된 안정성을 갖는다는 유리한 특성을 추가한다. 또한, 압축에 강한 재료는, 예를 들어 수축하는 터프티드 얀이 1차 카펫 백킹에 압축력을 제공하는 경우, 압축에 대한 1차 카펫 백킹의 안정성(예를들어, 강성)을 증가시킨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보강 층의 섬유는 25G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보강 층의 섬유는 40G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 보강 층의 섬유는 50G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보강 층의 섬유는 75G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보강 층의 섬유는 최대 50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보강 층의 섬유는 최대 40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보강 층의 섬유는 최대 30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보강 층의 섬유는 최대 28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보강 층의 섬유는 최대 20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보강 층의 섬유는 최대 15tex의 선형 밀도를 갖는다.
본 출원의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통기성의 비대칭성은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과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중량비에 의해 유도되며, 여기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보다 더 높은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과 제3 층의 중량비는 적어도 60:40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과 제3 층의 중량비는 적어도 70:30이다. 제1층과 제3층의 중량비는 적어도 80:20이다. 제1층과 제3층의 중량비는 적어도 90:10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의 중량은 60g/m2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의 중량은 70g/m2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의 중량은 80g/m2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의 중량은 90g/m2 이상이다. 모든 경우에 중량은 ISO 9073-1에 따라 결정된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의 중량은 최대 40g/m2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의 중량은 최대 30g/m2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의 중량은 최대 20g/m2이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의 중량은 최대 10g/m2이다. 모든 경우에 중량은 ISO 9073-1에 따라 결정된다.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더 높은 중량으로 인해,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증가된 표면 적용 커버리지, 및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감소된 표면 적용 커버리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은 1% 내지 40%의 표면 커버리지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은 2% 내지 30%의 표면 커버리지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은 3% 내지 25%의 표면 커버리지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1 층은 5% 내지 20%의 표면 커버리지를 갖는다. 표면 커버리지 A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1
x는 필라멘트 층당 필라멘트의 수이고, d는 필라멘트의 직경이다. 층당 필라멘트의 수 x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N은 필라멘트의 층 수이고, L은 단위 면적당 필라멘트의 총 길이이다. 양(quantity) N 및 L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d는 모노필라멘트가 사용되는 경우 필라멘트의 두께이고, d는 2성분 필라멘트가 사용되는 경우 필라멘트 코어의 두께이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T는 섬유의 제1 층의 두께이고, M은 섬유의 제1 층의 면적 중량이고, t는 필라멘트의 선형 밀도이다. 두께 T는 25cm2의 측정면(pressure foot)과 0.05kPa의 압력으로 DIN ISO 9073-2에 따라 결정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증가된 표면 커버리지는 더 낮은 통기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질적으로 유체(예를 들어, 중합체 코팅 및/또는 프리코팅)에 대한 감소된 투과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감소된 표면 커버리지는 더 높은 통기성을 유도할 수 있고, 따라서 본질적으로 유체(예를 들어, 중합체 코팅 및/또는 프리코팅)에 대한 더 높은 투과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은 1% 내지 40%의 표면 커버리지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은 2% 내지 30%의 표면 커버리지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은 3% 내지 25%의 표면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제3 층은 5% 내지 20%의 표면을 갖는다.
1차 카펫 백킹의 통기성의 비대칭성은 또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 포함된 섬유의 상이한 평균 직경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는 제3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최대 50㎛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최대 30㎛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최대 25㎛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최대 20㎛이다.
일 양태에서,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30㎛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35㎛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40㎛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50㎛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60㎛ 이상이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더 작은 평균 직경 및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더 높은 평균 직경으로 인해,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에 의한 표면 커버리지의 차이가 제공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층의 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제1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평균 직경을 감소시키면,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평방 미터당 섬유 길이의 값(m/m2), 즉 표면적당 섬유 길이가 증가하고, 이는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표면 커버리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층의 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제3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평균 직경을 증가시키면,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평방 미터당 섬유 길이의 값(m/m2)이 감소될 것이고, 이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섬유의 표면 커버리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더 높은 중량의 섬유 층과 더 작은 평균 직경의 섬유 층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층의 섬유 부직물 층에서, 낮은 통기성 및 유체(예를 들어,중합체 코팅 및/또는 프리코팅)에 대한 낮은 투과성의 효과를 상승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더 낮은 중량의 섬유 층과 층의 더 큰 평균 직경의 섬유 층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에서, 높은 통기성 및 유체(중합체 코팅 및/또는 사전 코팅)에 대한 높은 투과성의 효과를 상승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단일 성분 섬유, 2가지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 및/또는 2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임의의 적합한 공정, 예를 들어 스펀-레이드 공정, 에어-레이드 공정, 습식-레이드 공정, 멜트-블로운 공정, 또는 카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스펀-레이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여기서 섬유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스펀-레이드 공정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결합은 수력 얽힘, 니들링, 화학적 결합, 캘린더링, 초음파 결합, 및 뜨거운 공기 결합과 같은 기타 열 결합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2개의 화학적으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2가지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여기서 2개의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는 용융 온도가 10℃ 이상 다르다. 일 양태에서, 2개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사이의 용융 온도의 차이는 20℃이다. 일 양태에서, 2개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사이의 용융 온도의 차이는 30℃이다. 일 양태에서, 2개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사이의 용융 온도의 차이는 50℃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의 섬유는 동심 또는 편심 코어/시스(core/sheath) 모델,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모델, 분절된 파이 모델, 또는 아일랜드-인-더-씨(island-in-the-sea) 모델의 2성분 섬유이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의 섬유는 동심 코어/시스 모델의 2성분 섬유이고, 여기서 섬유는 동일한 유형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 또는 화학적으로 다른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로 제조된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동일한 유형의 열가소성 재료는 동일한 중합체의 단량체 단위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상이한 중합체 사슬 길이,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상이한 밀도, 또는 아이소택틱(isotactic), 신디오택틱(syndiotactic) 또는 어택틱(atactic)일 수 있는 상이한 배열의 단량체 단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2성분 섬유의 코어는 시스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서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10℃ 이상 다를 수 있다.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20℃ 이상 다를 수 있다.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30℃ 이상 다를 수 있다.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50℃ 이상 다를 수 있다.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PEF) 및 폴리락트산(PLA)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6,6(PA6,6) 및 폴리아미드 6(PA6)과 같은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는 50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는 75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는 85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는 95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 및/또는 제3 층의 부직물 층 섬유는 97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난연제, 착색제, 충전제, 살진균제, 및/또는 항균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보강 층은 부직물, 직물, 레이드 스크림, 직조 스크림, 섬유의 단방향 층, 또는 편직물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보강 층은 레이드 스크림, 직조 스크림, 또는 섬유의 단방향 층이고, 여기서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는 기계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일 양태에서, 폭 및 높이의 관점에서 거대한 길이를 갖는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예를 들어, 필라멘트)는 섬유의 단방향 층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거리는 두 스레드(thread) 사이의 최단 거리가 2mm 이상 차이가 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거리는 두 스레드 사이의 최단 거리가 1mm 이상 차이가 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거리는 두 스레드 사이의 최단 거리가 0.5mm 이상 차이가 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크림은 레이드 또는 직조 여부에 관계없이 적어도 두 세트의 평행한 스레드로 구성된 개방 격자 구조이며, 여기서 평행한 스레드의 제1 그룹은 평행한 스레드의 제2 그룹에 대해 비스듬히, 일반적으로 90°의 각도로 배향된다. 평행한 스레드의 제1 그룹은 화학 결합에 의해 평행한 스레드의 제2 그룹에 연결되어 레이드 스크림을 형성하거나, 또는 평행한 스레드의 제1 그룹은 평행한 스레드의 제2 그룹과 짜여져(interwoven) 직조 스크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스크림의 개구는 스크림의 평면에서 1mm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스크림의 개구는 스크림의 평면에서 2mm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스크림의 개구는 스크림의 평면에서 5mm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에 포함된 섬유의 보강 층은 유리, 탄소, 현무암, 고모듈러스 저수축(HMLS) 폴리에스테르, 미네랄 재료, 파라 아라미드(PPTA) 및 메타 아라미드(MPTA)와 같은 아라미드,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7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6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5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4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3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2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1000l/m2·s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통기성은 모든 경우에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된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2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5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2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65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2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8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2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95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제2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12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가질 수 있다. 통기성은 모든 경우에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전술한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1차 카펫 백킹에 의해 해결되며, 파일 얀은 1차 카펫 백킹, 선택적으로 카펫 표면이 아닌 1차 카펫 백킹의 면에 인접한 2차 카펫 백킹, 및/또는 선택적으로 프리코트 및/또는 중합체 코트로 터프팅된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1차 카펫 백킹의 통기성의 비대칭으로 인해 프리코트 및/또는 중합체 코트는 또한 더 높은 통기성을 갖는 제3 층 및 제2 층을 통해 확산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또한, 1차 카펫 백킹의 제1 층의 더 낮은 통기성으로 인해, 제1 층은 배리어 층으로서 작용하고, 프리코트 및/또는 중합체 코트가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거나 적어도 제한하고, 이는 라텍스 블리딩을 예방하거나 최소한 감소시킨다고 믿어진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보강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섬유의 보강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재료가 있다: 고모듈러스 재료, 저수축 재료 및 압축에 강한 재료.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1차 카펫 백킹 바로 옆에 2차 카펫 백킹을 위치시키는 것은 터프티드 카펫의 디싱 및 도밍을 더욱 감소시킬 것이라고 믿어진다.
2차 카펫 백킹의 보강 층은 부직물, 직물, 스크림, 섬유의 단방향 층, 또는 편물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보강 층은 레이드 스크림, 직조 스크림, 또는 섬유의 단방향 층이고, 여기서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는 기계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에 의해, 2차 카펫 백킹의 단방향 층의 섬유는 섬유가 인접한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와 접촉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는 섬유의 단방향 층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일 양태에서, 2차 카켓 백킹의 보강 층은 고모듈러스 섬유로 제조된다. 섬유는 유리, 탄소, 현무암, 고모듈러스 저수축(HMLS) 폴리에스테르, 미네랄 재료, 파라 아라미드(PPTA) 및 메타 아라미드(MPTA)와 같은 아라미드,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1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3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5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7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9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부직물 섬유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10500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되며, 여기서 2차 카펫 백킹은 적어도 12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다. 통기성은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된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최대 50g/m2의 평균 중량을 가질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최대 30g/m2의 평균 중량을 가질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최대 30g/m2의 평균 중량을 가질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최대 20g/m2의 평균 중량을 가질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최대 10g/m2의 평균 중량을 가질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최대 7g/m2의 평균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30㎛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35㎛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40㎛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50㎛ 이상이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60㎛ 이상이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2개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단일 성분 섬유, 2가지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 및/또는 2성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스펀-레이드 공정, 에어-레이드 공정, 습식-레이드 공정, 멜트-블로운 공정 또는 카딩 공정.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스펀-레이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여기서 섬유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스펀-레이드 공정에서,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의 결합은 캘린더링, 수력 얽힘, 니들링, 초음파 결합, 화학적 결합, 및 뜨거운 공기 결합과 같은 기타 열 결합 방법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2개의 화학적으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2가지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용융 온도는 10℃ 이상 상이하다. 일 양태에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용융 온도는 20℃ 이상 상이하다. 일 양태에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용융 온도는 30℃ 이상 상이하다. 일 양태에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의 용융 온도는 50℃ 이상 상이하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는 동심 또는 편심 코어/시스 모델, 사이드-바이-사이드 모델, 분절된 파이 모델 또는 아일랜드-인-더-씨 모델의 2성분 섬유이다.
일 양태에서,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섬유는 동심 코어/시스 모델의 2성분 섬유이고, 여기서 섬유는 동일한 유형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 또는 화학적으로 상이한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2성분 섬유의 시스는 코어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서 더 높은 용융 온도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10℃ 이상 다를 수 있다.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20℃ 이상 다를 수 있다.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30℃ 이상 다를 수 있다. 시스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와 코어의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의 용융 온도는 50℃ 이상 다를 수 있다.
2차 카펫 백킹의 섬유의 부직물 층 둘 다의 섬유의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1,2-푸란디카복실레이트(PEF) 및 폴리락트산(PLA)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6,6(PA6,6) 및 폴리아미드 6(PA6)과 같은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 둘 모두의 섬유는 50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 둘 모두의 섬유는 75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 둘 모두의 섬유는 85 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 둘 모두의 섬유는 95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섬유의 부직물 층 둘 모두의 섬유는 97중량% 이상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는 난연제, 착색제, 충전제, 살진균제, 및/또는 항균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터프티드 카펫은 1차 카펫 백킹을 터프팅하고, 카펫 면이 아닌 터프티드 1차 카펫 백킹의 면에서 상기 터프티드 1차 카펫 백킹에 2차 카펫 백킹을 제공하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을 향하지 않는 상기 2차 카펫 백킹의 면으로부터 상기 2차 백킹에 및/또는 2차 백킹 위에 프리코팅, 및 선택적으로 중합체 코팅을 공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1차 카펫 백킹은 복합재를 터프팅할 수 있지만, 1차 카펫 백킹의 층이 서로 인접하는 개별 층일 수도 있으므로, 1차 카펫 백킹의 층이 터프팅 기계에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일 양태에서, 1차 카펫 백킹의 층들은 복합재로서 터프팅된다.

Claims (15)

  1. 적어도 3개의 층의 구조를 포함하는 1차 카펫 백킹용 재료로서, 제1 층 및 제3 층은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고, 제2 층은 섬유의 보강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위치하고,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최대 8000l/m2·s의 통기성을 갖고,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35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고,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보다 더 낮은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의 중량비는 적어도 60: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3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2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섬유는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 작은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섬유는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0㎛의 평균 직경을 갖고/갖거나 상기 제3층의 섬유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단일 성분 섬유, 2가지 유형의 단일 성분 섬유 및 /또는 2성분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스펀-레이드(spun-laid)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섬유는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층은 레이드 스크림, 직조 스크림, 또는 섬유의 단방향 층이고, 상기 섬유의 단방향 층의 섬유는 기계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층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탄소, 현무암, 암면, 고모듈러스 저수축(HMLS) 폴리에스테르, 미네랄 재료, 파라 아라미드(PPTA) 및 메타 아라미드(MPTA)와 같은 아라미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된 고모듈러스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은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최대 7000l/m2·s, 바람직하게는 최대 6000l/m2·s,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5000l/m2·s,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4000l/m2·s,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3000l/m2·s,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000l/m2·s,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1000l/m2·s의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통기성은 ISO 9237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5000l/m2·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0l/m2·s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00l/m2·s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00l/m2·s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00l/m2·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료를 포함하는 터프티드 카펫으로서, 파일 얀(pile yarn)은 1차 카펫 백킹, 선택적으로 카펫 표면이 아닌 1차 카펫 백킹의 면에 인접한 2차 카펫 백킹, 및/또는 선택적으로 프리코트(pre-coat) 및/또는 중합체 코트로 터프팅되는, 터프티드 카펫.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카펫 백킹은 보강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카펫.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카펫 백킹은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3개의 층의 복합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층은 2개의 섬유의 스펀본디드(spunbonded) 부직물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2차 카펫 백킹은 ISO 9237:1995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1000l/m2·s 이상의 통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카펫.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카펫 백킹의 상기 2개의 섬유의 부직물 층의 섬유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카펫.
  15. 1차 카펫 백킹을 터프팅하고, 카펫 면이 아닌 터프티드 1차 카펫 백킹의 면에서 상기 터프티드 1차 카펫 백킹에 2차 카펫 백킹을 제공하고, 상기 1차 카펫 백킹을 향하지 않는 상기 2차 카펫 백킹의 면으로부터 상기 2차 백킹에 및/또는 상기 2차 백킹 위에 프리코트, 및 선택적으로 중합체 코팅을 공급함으로써,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프티드 카펫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17040080A 2019-05-22 2020-05-20 1차 카펫 백킹 KR202200111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5831.7 2019-05-22
EP19175831 2019-05-22
PCT/IB2020/054758 WO2020234784A1 (en) 2019-05-22 2020-05-20 Primary carpet ba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136A true KR20220011136A (ko) 2022-01-27

Family

ID=6663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080A KR20220011136A (ko) 2019-05-22 2020-05-20 1차 카펫 백킹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195662A1 (ko)
EP (1) EP3973099A1 (ko)
JP (1) JP2022533666A (ko)
KR (1) KR20220011136A (ko)
CN (1) CN114008263B (ko)
TW (1) TWI829933B (ko)
WO (1) WO2020234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4794A1 (en) * 2019-04-17 2020-10-22 Shaw Industries Group, Inc. Cross-ply backing materials and carpet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9068A (en) 1972-07-27 1975-10-08 Synthetic Fab Scotland Ltd Preparation of seconcary backed carpets
US4426415A (en) * 1981-12-11 1984-01-17 V&L Manufacturing Company, Inc. Tufted carpeting, especially artificial turf, with tufts stitched through multiple layers of pre-woven backing material of differing gauge
US5470648A (en) * 1994-06-10 1995-11-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fabrics of nonwoven nylon layers and fiberglass scrim
WO2003033801A2 (en) * 2001-10-11 2003-04-24 Colbond B.V. Nonwoven sheeting having tailor-made non uniform properties
US6998081B2 (en) * 2001-12-21 2006-02-14 Milliken & Company Method of producing low-shrink polypropylene tape fibers
US20050148250A1 (en) * 2003-11-19 2005-07-07 O'connor Terence J. Reinforcement composite for a bituminous roofing membrane and method of making the composite
US7160599B2 (en) * 2004-04-19 2007-01-09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Recyclable tufted carpet with improved stability and durability
EP1846611B1 (en) * 2005-01-27 2013-09-04 Bonar B.V. Tufted nonwoven and bonded nonwoven
DE202006007567U1 (de) * 2006-05-10 2006-07-27 Colbond B.V. Vliesstoff, getufteter Vliesstoff und die Stoffe enthaltende Erzeugnisse
DE602007004995D1 (de) * 2006-07-15 2010-04-08 Colbond Bv Getufteter vliesstoff und gebundener vliesstoff
CN102317531B (zh) * 2009-02-10 2016-05-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毯背后照明系统
JP5213182B2 (ja) * 2009-06-25 2013-06-19 住江織物株式会社 軽量タイルカーペット。
CN102713042B (zh) * 2009-12-09 2016-03-02 博纳有限公司 地毯基底布
TWI663311B (zh) * 2014-04-29 2019-06-21 Low & Bonar B. V. 乙烯地板覆蓋物用之載體材料及包含其之複合材料產品
CN106488951B (zh) * 2014-06-30 2019-08-02 塔吉特Gdl公司 无聚氯乙烯的装饰性表面覆盖物
EP3020860A1 (en) * 2014-11-11 2016-05-18 Bonar B.V. Primary Carpet Backing for Latex Free Tufted Carpets
US20210087743A1 (en) * 2019-09-20 2021-03-25 Aladdin Manufacturing Corporation Recyclable tufted carpet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08263A (zh) 2022-02-01
EP3973099A1 (en) 2022-03-30
CN114008263B (zh) 2023-08-29
TW202045076A (zh) 2020-12-16
US20220195662A1 (en) 2022-06-23
WO2020234784A1 (en) 2020-11-26
JP2022533666A (ja) 2022-07-25
TWI829933B (zh) 202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425B2 (en) Carrier material for vinyl floor covering
US20170100914A1 (en) Primary carpet backing
EP3218543B1 (en) Primary carpet backing for latex free tufted carpets
US20190009701A1 (en) Automotive carpet with solid multilobal fibre
US10112365B2 (en) Method for providing a carrier material
CN114008263B (zh) 初级地毯背衬
US20190010639A1 (en) Event or exhibition carpet with solid multilobal fibre
CN114026283A (zh) 包含次级地毯背衬的簇绒地毯
US20160251799A1 (en) Vinyl floor covering
TW201525253A (zh) 提供載體材料之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