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233A -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233A
KR20220010233A KR1020200088862A KR20200088862A KR20220010233A KR 20220010233 A KR20220010233 A KR 20220010233A KR 1020200088862 A KR1020200088862 A KR 1020200088862A KR 20200088862 A KR20200088862 A KR 20200088862A KR 20220010233 A KR20220010233 A KR 20220010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eatment
unit
outer race
induction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박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규 filed Critical 박종규
Priority to KR102020008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233A/ko
Publication of KR2022001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60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induction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9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providing a line or line pattern, e.g. a dotted break initiation lin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06Surface hardening
    • C21D1/09Surface hardening by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by particle radiation
    • C21D1/10Surface hardening by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al or wave energy; by particle radiation by electric in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67Quenching devices for spray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3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gear wheels, worm wheel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측방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아우터 레이스를 작업대측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 작업대의 상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되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등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실린더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여 아우터 레이스를 파지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투입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을 고주파 열처리하는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의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외경을 고주파 열처리 하는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어,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의 불량유무를 판별하는 ECT 검사부,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ECT 검사부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아우터 레이스에 일련번호를 각인시키는 레이저 마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ECT 검사부의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역회전되어 상기 불량품을 불량품 수거함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양품인 경우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정회전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상기 레이저 마킹부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레이저 마킹부에서 일련번호가 각인된 아우터 레이스를 양품수거함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High frequency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Cross groove joint}
본 발명은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부품인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아우터 레이스(Outer Race)가 고주파 열처리되는 공정을 자동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규제 및 연비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자동차 완성업체는 연비를 높이기 위하여 부품을 경량화 및 소형화하고, 경량화 및 소형화 된 부품이 종전 부품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하여 부품의 품질고급화, 정밀화, 안정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표면강도, 내마모성, 내피로성, 내구성, 표면 경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품들은 고주파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부품 중 하나로서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이하 'C/G 조인트'라 한다.)는, 전륜 구동축의 트랜스미션과 후륜 구동축의 바퀴 또는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조인트로서 엔진의 동력을 변속기로부터 바퀴로 전달하고 일정 영역의 각도와 축 방향 운동을 갖게 하는 장치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C/G 조인트는 아우터 레이스(Outer Race), 볼(Ball), 케이지(Cage), 이너 레이스(Inner Race)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C/G 조인트에 적용되는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내면)과 외경(외면)을 고주파 열처리되는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을 고주파열처리한 뒤, 외경을 고주파 열처리하고, 샘플링에 의한 자분 탐상검사를 실시한 뒤 레이저 마킹하는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는 바, 작업자가 두 차례에 걸쳐서 수작업으로 피가공물을 고주파 열처리 장치에 투입, 취출하는 등 작업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수검사를 하지 않고, 샘플링에 의한 자분 탐상검사를 함으로써, 불량품이 양품에 혼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고주파 열처리되는 경우, 동일제품을 동일조건으로 고주파 열처리하더라도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피가공물의 품질이 달라져 품질편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79942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아우터 레이스의 투입,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부 고주파 열처리, 아우터 레이스의 외경부 고주파열처리, ECT 전수검사, 레이저 마킹, 아우터 레이스를 취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측방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아우터 레이스를 작업대측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 작업대의 상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되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등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실린더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여 아우터 레이스를 파지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투입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을 고주파 열처리하는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의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외경을 고주파 열처리 하는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어,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의 불량유무를 판별하는 ECT 검사부,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ECT 검사부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아우터 레이스에 일련번호를 각인시키는 레이저 마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ECT 검사부의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역회전되어 상기 불량품을 불량품 수거함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양품인 경우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정회전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상기 레이저 마킹부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레이저 마킹부에서 일련번호가 각인된 아우터 레이스를 양품수거함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적재된 아우터 레이스를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와,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를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를 상기 배출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3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이송바디와, 상기 이송바디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하강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우터 레이스를 작업대로 투입하고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에 형성된 볼(Bowl)부와 외경에 형성된 생크(Shank)부를 순차적으로 고주파 열처리하며, 레이저 각인한 뒤, ECT전수검사하고 취출하는 단계를 자동화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증대되며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이스가 열처리되는 공정이 자동화됨에 따라 인건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고주파 열처리된 아우터 레이스는 균열발생이 없으며, 과열조직이나 초석 페라이트(Ferrite)가 잔류하지 않는 균일한 마텐자이트(Martensite)조직을 얻을 수 있고, 표면경도 및 유효경화층 깊이의 산포도가 감소되어 품질이 고급화 및 안정화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인 아우터 레이스의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의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피가공물인 아우터 레이스의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아우터 레이스(10)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열처리 장치(1000)에 의해 하부측 내경에 다수의 볼그루브가 형성된 볼(bowl)부(12)와, 상부측에 형성된 기둥의 외경인 생크(shank)부(14)가 고주파 열처리되어진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1000)는, 작업대(부호미표시), 투입컨베이어(100), 이송유닛(200),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 배출컨베이어(500), ECT 검사부(600), 레이저 마킹부(7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투입컨베이어(100)는 아우터 레이스(10)을 작업대로 순차 공급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작업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면에서 아우터 레이스의 고주파 열처리 작업이 이루어지는 요소이다.
상기 작업대는 하나로 마련되거나 또는 분할되게 마련되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로 분할되도록 하여 각각의 장비가 용이하게 정비 및 교체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투입컨베이어(10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작업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복수 개의 아우터 레이스가 나란하게 정열되어 작업대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투입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상단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는 측면패널(부호미표시)이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외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투입컨베이어(100)에는 투입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프레임(120)이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불규칙하게 배열된 아우터 레이스가 전방으로 갈수록 일열로 나란하게 정열되도록 한다.
이어서, 이송유닛(200)은 아우터 레이스(10)를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요소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200)는, 작업대의 상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되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등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실린더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도 이송가능하여 아우터 레이스를 파지하는 제1 이송부(242), 제2 이송부(244), 제3 이송부(246)를 포함한다.
각각의 이송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부(240)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이송바디(B)와, 상기 이송바디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A)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하강되는 그리퍼(G)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부(242), 제2 이송부(244), 제3 이송부(246)는 가이드레일(220)에 서로 등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이송부(242)는 상기 투입컨베이어(100)에 적재된 아우터 레이스를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로 이송시키는 요소이고,
상기 제2 이송부(244)는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의 아우터 레이스를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로 이송시키는 요소이며,
상기 제3 이송부(246)는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 아우터 레이스를 배출컨베이어(500)로 이송시키는 요소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이송부, 제2 이송부, 제3 이송부는 모두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실린더 및 그리퍼들도 모두 동시에 작동되어, 각각의 이송부들은 항상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레이스는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 배출컨베이어(500)에서 각각 동일한 시간만큼 작업이 이루어지며,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동시에 후공정으로 이송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업대에는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와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는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에 형성된 볼부(12)를 고주파 열처리하기위한 요소이고,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는, 아우터 레이스의 외경에 형성된 생크부(14)에 고주파 열처리를 하기 위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의 아우터 레이스(10)는,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를 거쳐 볼부(12)부에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된 이후, 제2 이송바디(244)에 의해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로 이송되어 생크부(14)가 고주파 열처리 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는 회전지그, 유도코일, 고주파발생기, 냉각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그는 상면에 아우터 레이스가 안착되는 요소이며 작업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그의 저면에는 상기 지그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고주파 열처리되어질 때 회전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균일하게 열처리되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의 회전속도는 균일 가열 및 균일 냉각에 영향을 미치므로 제어부에서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유도코일은 전후방향 및 수직(높이)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볼부(12)를 고주파 열처리 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주파발생기는 상기 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도코일의 내측에 고주파를 인가하는 요소이며, 상기 냉각노즐은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된 볼 스터드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요소이다.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는, 상기 아우터 레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볼부(12)를 고주파 열처리하여야 하므로, 상기 유도코일은, 전방으로 이동한 뒤 상승하여, 아우터 레이스의 볼부를 고주파 열처리하고,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되면, 하강한 뒤 후진하여 아우터 레이스가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에 대해 간섭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의의 가장자리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차단막(부호미표시)이 결합되어, 고주파 열처리부(300,400)의 냉각노즐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에서 고주파 열처리된 아우터 레이스는 제2 이송부(244)에 의해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로 이송되어 생크부(14)가 고주파 열처리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는,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나,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의 유도코일은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생크부(14)를 고주파 열처리 하기 위해 아우터 레이스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레이스 외주연 일부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는 상기 아우터 레이스(10)의 상부측에 형성된 생크부(14)를 고주파 열처리하여야 하므로,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의 유도코일은 전방으로 이동한 뒤 하강하여 아우터 레이스의 생크부를 고주파 열처리하고,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되면 상승한 뒤 후진하여 아우터 레이스가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 및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가 설치되는 작업대에 하나의 회전 지그만을 마련하였으나, 다른 실시례로써, 상기 작업대에는 복수 개의 지그가 장착된 턴테이블이 마련되어져도 무방하다.
이 때,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와,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은, 하부에 결합된 모터에 의해 일정주기로 일정각도 만큼 회전되며, 상면에는 아우터 레이스의 일부가 수용되는 지그가 방사형으로 등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그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지그 공간이, 고주파 열처리 작업 전 아우터 레이스가 대기하는 공간, 아우터 레이스가 고주파 열처리되는 공간,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가 후 공정으로 이송되기 전에 대기하는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를 거쳐 열처리가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10)는 상기 제3 이송부(246)에 의해 배출컨베이어(500)로 이송되며,
상기 배출컨베이어(500)에는 아우터 레이스가 제대로 고주파 열처리 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아우터 레이스의 불량유무를 판별하는 ECT 검사부(600)와, 아우터 레이스에 일련번호를 각인시키는 레이저 마킹부(700)가 설치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를 다음공정인 ECT검사부(600)로 이송시키고, 상기 ECT검사부(600)의 판정결과에 따라 불량품인 경우 불량품수거함으로 분리시키고, 양품인 경우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레이저 마킹부(700)를 통과하여 양품수거함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ECT 검사부(600)는,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불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ECT 검사부는 도체에 와전류를 발생시켜 고주파 열처리 후 경화 패턴(유효경화층 깊이)을 검출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구별하며,
상기 ECT 검사부(600)에서 판정된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양품수거함 또는 불량수거함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마킹부(700)란, 아우터 레이스에 일련번호를 마킹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일련번호는 아우터 레이스(10)의 결함발생 시 생산이력 추적이 가능하고, 결함의 원인 분석 및 개선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ECT 검사부(600) 및 레이저 마킹부(700)에서 상기 아우터 레이스는 별도의 스토퍼(도면미도시)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ECT 검사부(600) 및 레이저 마킹부(700)에 의해 검사 및 각인되어지며, 이 때 배출컨베이어는 작동을 멈춘상태로 마련된다.
이 때, 상기 스토퍼는, 배출컨베이어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실린더 의 신축 등에 의해 배출컨베이어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배출컨베이어에 간섭이 없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컨베이어(500)의 길이방향으로의 후방측에는 불량품수거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방측에는 양품수거함이 설치되어 있다.
후술할 ECT 검사부(600)의 검사결과, 고주파 열처리 가공이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10)가 양품으로 판정되면 상기 배출컨베이어(500)는 정회전하여 레이저 마킹부(700)에서 일련번호가 각인된 이후 양품수거함으로 수거되고,
불량품으로 판정되면 상기 배출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상기 아우터 레이스(10)를 불량품수거함으로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길이방향측 양 가장자리에는 각각 이탈방지프레임(부호미도시)이 결합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양품수거함 또는 불량수거함으로 이동하는 아우터 레이스가 외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장치는, 컨트롤러(도면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표준작업조건을 입력하고, 그 결과물이 출력되는 터치스크린과, 표준작업을 제어하는 PLC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아우터 레이스에는 입고당시 발행한 바 코드가 부착되어있으며, 상기 바 코드를 바코드 리더기로 읽으면 ERP 시스템과 연계된 표준작업조건이 터치스크린에 자동 입력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CT검사부(600)는, 배출컨베이어(500)상에 배치되지 않고, 고주파 열처리부의 측방에 별도로 마련되어질 수 있다.
덧붙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레이스(10)는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400)를 거쳐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된 이후,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300)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되도록 마련되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와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는 아우터 레이스가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그 배치(작업순서)가 서로 다르게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ECT검사부가 고주파 열처리부의 측방에 별도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이송부는, 제4 이송부를 더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240)는, 투입컨베이어(100)에 적재된 아우터 레이스를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42),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된 아우터 레이스를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44),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된 아우터 레이스를 ECT검사부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46), 상기 ECT검사부에서 불량유무가 확인된 아우터 레이스를 배출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제4 이송부(48)를 포함하게 된다.
이 때, 배출컨베이어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불량품은 불량수거함으로 배출시키고, 양품은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레이저 마킹부(700)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10:아우터 레이스
12:볼(bowl)부
14:생크(shank)부
100:투입컨베이어
120:가이드프레임
200:이송유닛
220:가이드레일
240:이송부
242, 42:제1 이송부
244, 44:제2 이송부
246, 46:제3 이송부
48:제4 이송부
A:실린더
B:이송바디
G:그리퍼
300:내경 고주파 열처리부
400:외경 고주파 열처리부
500:배출컨베이어
600:ECT 검사부
700:레이저 마킹부

Claims (2)

  1.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측방에 설치되며, 피가공물인 아우터 레이스를 작업대측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컨베이어;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되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등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가능하며, 실린더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여 아우터 레이스를 파지 및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투입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되는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의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의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되는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어, 고주파 열처리가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의 불량유무를 판별하는 ECT 검사부;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측방에 설치되며, 상기 ECT 검사부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아우터 레이스에 일련번호를 각인시키는 레이저 마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상기 ECT 검사부의 판정결과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불량품인 경우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역회전되어 상기 불량품을 불량품 수거함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아우터 레이스가 양품인 경우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정회전되어 상기 아우터 레이스를 상기 레이저 마킹부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레이저 마킹부에서 일련번호가 각인된 아우터 레이스를 양품수거함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컨베이어에 적재된 아우터 레이스를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와, 상기 내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내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를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외경 고주파 열처리부에서 외경이 고주파 열처리 완료된 아우터 레이스를 상기 배출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2, 3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이송바디와, 상기 이송바디의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하강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1020200088862A 2020-07-17 2020-07-17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20220010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862A KR20220010233A (ko) 2020-07-17 2020-07-17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862A KR20220010233A (ko) 2020-07-17 2020-07-17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233A true KR20220010233A (ko) 2022-01-25

Family

ID=8004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862A KR20220010233A (ko) 2020-07-17 2020-07-17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2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942B1 (ko) 2011-01-13 2012-09-07 박현택 고주파 열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942B1 (ko) 2011-01-13 2012-09-07 박현택 고주파 열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033B1 (ko) 차량용 휠 캐리어 브라켓의 탭 가공을 위한 다축 자동 탭핑 장치
CA2670656C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ufacturing an axle
US103652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uter joint member of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ultrasonic flaw detection-inspection method for a welded portion
KR101449492B1 (ko) 씰링형 수직 브로칭머신
US20160230243A1 (en) Heat treatment method for ring-shaped member and heat treatment equipment for ring-shaped member
KR102428390B1 (ko) 허브 리덕션의 수중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장치
US1036525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uter joint member for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ultrasonic flaw detection method for welded section
KR102038015B1 (ko) 스테이터 샤프트 고주파 열처리장치
KR20220010233A (ko) 크로스 그루브 조인트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101724572B1 (ko) 샤프트의 고주파 열처리 시스템
JP5799119B2 (ja) 軸物ワークの加工装置
JP5799118B2 (ja) 軸物ワーク回転装置
KR101552906B1 (ko) 복수개의 스핀들을 갖는 공작기계의 제어방법
CN109571280B (zh) 一种螺旋伞齿轮数控喷丸系统自动上下料控制方法
KR102064274B1 (ko) 자동차용 부품의 홀 자동 가공장치
KR102401436B1 (ko) 휠베어링의 외륜용 고주파열처리장치
KR101541510B1 (ko) 샤프트를 갖는 부품의 고주파 열처리 방법
KR102419075B1 (ko) 볼스터드 검사장치
KR101542114B1 (ko) 샤프트를 갖는 부품의 고주파 열처리 장치
KR102488836B1 (ko) 샤프트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장치
KR101806431B1 (ko) 아웃풋 플랜지의 최적 경화를 위한 자동 고주파 열처리 방법
CN205085187U (zh) 齿圈淬火变形检测校正装置
KR102285970B1 (ko) 볼 스터드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장치
KR20210006042A (ko) 볼 스터드의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방법
KR20210103819A (ko) 가이드부싱 고주파 열처리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