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31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317A
KR20220009317A KR1020210045317A KR20210045317A KR20220009317A KR 20220009317 A KR20220009317 A KR 20220009317A KR 1020210045317 A KR1020210045317 A KR 1020210045317A KR 20210045317 A KR20210045317 A KR 20210045317A KR 20220009317 A KR20220009317 A KR 20220009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ontact
rod
shaped member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오 아사노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고 신호 전송 특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판(S)에 실장되는 커넥터(100)로서, 복수의 콘택트(1)와, 하우징(2)을 구비하고, 복수의 콘택트(1)는, 서로 이간되고 또한 평행한 제1 열과 제2 열로 나누어 병렬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열에는, 제1 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콘택트(1A), (1E)보다도 더욱 외측에, 기판(S)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1 봉형상 부재(4A)가 하우징(2)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2 열에는, 제2 열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콘택트(1A), (1E) 보다도 더욱 외측에, 기판(S)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2 봉형상 부재(4B)가 하우징(2)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콘택트가 2열로 나뉘어 병렬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HDMI(등록 상표)의 타입 A로 구성되는 고속 차동 신호 전송용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타입 A의 커넥터는, 19개의 콘택트를 갖고 있으며, 1개의 접지 단자와 차동쌍이 되는 2개의 신호 단자로 구성되는 3개의 콘택트가 4세트, 및 제어용의 CEC 단자를 포함한 7개의 콘택트가 1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2열로 나뉘어 병렬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문헌에서는 신호 단자 및 접지 단자)와, 복수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하우징(문헌에서는 몰딩부)을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콘택트의 단부가 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콘택트는 하우징에 지지되는 광폭부(廣幅部)를 갖고 있고, 신호 단자의 광폭부와 접지 단자의 광폭부가 하우징의 플러그 삽입구와는 반대쪽의 배면부에서 서로 이웃하여 노출하고 있다. 이로써, 신호 단자의 광폭부에서 접지 단자의 광폭부에 공기를 개입시켜 정전기를 방전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특개 2009-9728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신호 단자의 광폭부와 접지 단자의 광폭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하우징에 노치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콘택트의 유지력이 저하하는, 그 결과, 기판에 대해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특히,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쉽고, 신호 전송 특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에서,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고 신호 전송 특성이 높은 커넥터가 요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특징 구성은,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대측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와,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와, 복수의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서로 이간하고 또한 평행하는 제1 열과 제2 열로 나뉘어 병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열에는,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 중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콘택트보다도 더 외측에, 상기 상대쪽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1 봉형상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열에는,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 중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콘택트보다도 더 외측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2 봉형상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진동이나 온도 상승 등에 의해 커넥터 및 기판에 외부 응력이나 내부 응력이 반복해서 인가되면,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될 경우에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콘택트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본 구성에서는, 복수의 콘택트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2열의 콘택트보다도 더욱 외측에, 하우징에 지지된 상태에서 기판에 고정되는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를 설치하고, 이들 봉 형상 부재를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콘택트 보호용으로서 구성하였다. 즉, 신호 전송용의 콘택트의 외측에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에는 최초에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로부터 박리되어 콘택트의 박리가 방지되어서, 커넥터의 신호 전송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들 봉 형상 부재는, 2열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에의 고정력이 높다.
또, 한쪽에만 인접하는 콘택트가 없고 임피던스가 높아지기 쉬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콘택트는, 도전성의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가 더욱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를 접지 단자로 하면, 커넥터 전체로서의 임피던스의 밸런스를 정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고 신호 전송 특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봉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봉형상 부재는 복수의 상기 콘택트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2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 각각을, 복수의 콘택트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하면, 기판에의 고정력을 더욱 높여, 콘택트의 박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열에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짝수개이며, 상기 제2 열에 서로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홀수개이며, 상기 제1 봉형상 부재는, 상기 제1 열의 가장 외측의 상기 콘택트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고, 상기 제1 봉형상 부재는, 상기 제2 열의 가장 외측의 상기 콘택트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는 점이다.
본 구성과 같이, 제1 열에 짝수개의 콘택트를 등간격으로 병렬시키고, 제2 열에 홀수개의 콘택트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또한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를 각 열에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하면, 기판에 고정되는 콘택트 및 이들 봉형상 부재를 균형있게 병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판에의 고정력을 더욱 높여, 콘택트의 박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제1 봉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봉형상 부재가 모두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를 절단하여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콘택트의 접촉부를 절단해서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를 형성하면, 동일 형상의 콘택트를 양산 가능해지므로, 제조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하우징은. 기대부(基臺部, base)와, 당해 기대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기대부에는, 각각의 상기 콘택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제1 봉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봉형상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의 측이 폐색된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제1 봉형상 부재 및 제2 봉형상 부재가 삽입되는 구멍부의 돌출부의 측이 폐색되어 있으면, 하우징에 의한 이들 봉형상 부재의 지지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대측 커넥터와 콘택트의 접촉부의 전기적인 접속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커넥터를 정면측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를 배면측에서 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택트 및 봉형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셸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의 일례로서, HDMI(등록상표)의 타입 A로 구성되는 고속 차동 신호 전송용의 커넥터(100)로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상대측 커넥터(도시 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9개)의 콘택트(1)와, 복수의 콘택트(1)를 지지하는 하우징(2)과, 복수의 콘택트(1) 및 하우징(2)을 덮고, 콘택트(1)를 외부의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셸(3)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1) 및 셸(3)은 금속 등의 도전성 부재로 성형되어 있으며, 하우징(2)은 수지 등의 절연성 부재로 성형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1)는, 일단부에 설치되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직선 형상의 접촉부(11)와, 타단부에 설치된 기판(S)에 납땜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부(12)를 갖고 있다. 이 콘택트(1)는, 접촉부(11)와 고정부(12) 사이에, 접촉부(11)로부터 폭 넓게 뻗으며, 하우징(2)에 압입되는 압입부(13)와, 접촉부(11)와 동등한 폭으로 압입부(13)로부터 수직으로 굴곡시켜 직선 형상으로 뻗어 나오게 하는 수하부(垂下部)(14)와, 수하부(14)로부터 테이퍼에 의해 폭이 축소되고, 고정부(12)와 동등한 폭으로 고정부(12)에 접속되는 접속부(1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2)는, 접속부(15)로부터 수직으로 절곡(折曲)되어서 기판(S)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기판(S)에 납땜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기판(S)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평탄한 고정면(12a)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9개의 콘택트(1)는, 서로 이간되거나 평행한 제1 열과 제2 열로 나뉘어 병렬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지면 상측의 열로 되는 제1 열에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콘택트(1)는, 짝수개(10개)이며, 도 1의 지면 하측의 열로 되는 제2 열에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콘택트(1)는, 홀수개(9개)이다. 즉, 복수의 콘택트(1)는, 모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2열로 엇갈림 배치되어 있다. 19개의 콘택트(1)는, 1개의 접지 단자와 차동짝이 되는 2개의 신호 단자로 구성되는 3개의 콘택트(1)가 4세트(도시에서는 각각의 세트를 구성하는 콘택트(1)를 콘택트(1A), (1B), (1C), (1D)라 지칭함) 및 제어용의 CEC 단자를 포함하는 7개의 콘택트(1)가 1세트(도시에서는 콘택트(1E))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세트를 구성하는 3개의 콘택트(1A), (1B), (1C), (1D) 중, 같은 열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A), (1A), 콘택트(1B), (1B), 콘택트(1C), (1C), 콘택트(1D), (1D)의 각각이 TMDS Data 2+, TMDS Data 2-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차동 신호 단자이다. 즉, 이 이웃하는 1쌍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A), (1A), 콘택트(1B), (1B), 콘택트(1C), (1C), 콘택트(1D), (1D)의 각각이 차동짝을 이루고 있고, 서로 이웃하는 1쌍의 접촉부(11a) 사이에 다른 열에 있는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A), (1B), (1C), (1D)가 접지되는 접지 단자로 되어 있다.
7개로 구성되는 콘택트(1E)는, 제1 열의 가장 내측에 있는 접촉부(11c)를 갖는 콘택트(1E)가, 제어용 데이터인 CEC 신호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CEC 단자이며, 이 접촉부(11c)에 서로 이웃하는 접촉부(11d)를 갖는 콘택트(1E)는, SDA 신호의 송수신 시의 동기에 이용되는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 전송용으로 사용되는 단자이다. 접촉부(11d)에 서로 이웃하는 접촉부(11e)를 갖는 콘택트(1E)는, CEC/DDC 접지 단자이며, 접촉부(11e)에 서로 이웃하는 가장 외측에 있는 접촉부(11f)를 갖는 콘택트(1E)는,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핫 플러그 검출용 단자이다. 제2 열의 가장 내측에 있는 접촉부(11g)를 갖는 콘택트(1E)가 공백(Reserved)으로 되어 있으며, 접촉부(11g)에 서로 이웃하는 접촉부(11h)를 갖는 콘택트(1E)는,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에 사용되는 단자이며, 접촉부(11h)에 서로 이웃하는 가장 외측에 있는 접촉부(11i)를 갖는 콘택트(1E)는 전원용 단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1A), (1B), (1C), (1D)는 각각 3개로 1세트이지만, 접지 단자인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A), (1B), (1C), (1D)는 통전 시에 동일한 전위로 된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접촉부(1A)를 갖는 콘택트(1A), (1A)는, 그 주위가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A), (1B)로 둘러싸여 있고, 한 쌍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B), (1B)는, 그 주위가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A), (1B), (1C)로 둘러싸여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C), (1C)는, 그 주위가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B), (1C), (1D)로 둘러싸여 있고, 한 쌍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D), (1D)는, 그 주위가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C), (1D)로 둘러싸여 있다. TMDSData2+, TMDSData2- 전송 신호는 고주파 신호이기 때문에, 한 쌍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A), (1A), 콘택트(1B), (1B), 콘택트(1C), (1C) 및 콘택트(1D), (1D)의 각각의 주위가 접촉부(11b)를 갖는 복수의 접지 단자로 둘러싸임으로써, TMDS Data 2+, TMDS Data 2-전송 신호의 임피던스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CEC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부(11c)를 갖는 콘택트(1E), SCL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부(11d)를 갖는 콘택트(1E), SDA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부(11h)를 갖는 콘택트(1E)는, 접지 단자인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D) 및 접촉부(11e)를 갖는 콘택트(1E)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배치이기 때문에, 제1 열에서는, 차동쌍 중 가장 외측의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A)와, 핫 플러그 검출용 단자가 되는 접촉부(11f)를 갖는 콘택트(1E)는, 외측에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 제2 열에서는, 접지 단자로 되는 접촉부(11b)를 갖는 콘택트(1A)와, 전원용 단자로 되는 접촉부(11i)를 갖는 콘택트(1E)는, 외측에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콘택트(1A), (1E) 중, 고주파 신호가 전송되는 것은, 접촉부(11a)를 갖는 콘택트(1A)이다. 또, 7개의 콘택트(1E) 중, 접지 단자는 접촉부(11e)를 갖는 콘택트(1E)뿐이다. 이 때문에, 고주파 신호가 전송되는 접촉부(11a), (11c), (11d), (11h)를 갖는 콘택트(1A), (1E)는, 주위에 배치된 접지 단자의 수가 적으므로, 다른 접촉부(11)를 갖는 콘택트(1)에 비하여 임피던스가 높아지고, 그 결과, 콘택트(1) 사이의 임피던스에 부정합이 생겨 버린다. 특히, 차동쌍을 이루는 콘택트(1)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있는 콘택트(1A)와, 다른 콘택트(1B) 내지 (1D)와의 임피던스 특성이 상이한 것으로 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열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콘택트(1A), (1E)보다도 더욱 외측에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일 없이 기판(S)에 납땜 등으로 고정되어 접지되는 제2 고정부(42)를 가진 도전성의 제1 봉형상 부재(4A)가, 하우징(2)에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열에는, 복수의 콘택트(1)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한 콘택트(1A), (1E)보다도 더욱 외측에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기판(S)에 고정되어 접지되는 제2 고정부(42)를 갖는 도전성의 제2 봉형상 부재(4B)가, 하우징(2)에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봉형상 부재(4A), (4B)는, 콘택트(1)의 접촉부(11)를 절단해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봉형상 부재(4A), (4B)는, 콘택트(1)의 고정부(12)에 상당하는 제2 고정부(42)를 갖고 있으며, 콘택트(1)의 압입부(13)에 상당하는 제2 압입부(41), 수하부(14)에 상당하는 제2 수하부(43) 및 접속부(15)에 상당하는 제2 접속부(44)도 갖고 있다. 제2 고정부(42)는, 제2 접속부(44)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기판(S)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기판(S)에 납땜 등으로 고정되는 평탄한 제2 고정면(42a)을 갖는다. 이와 같이, 콘택트(1)의 접촉부(11)를 절단해서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를 형성하면, 동일 형상의 콘택트(1)를 양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2에 돌아가서, 제1 봉형상 부재(4A)는, 제1 열의 가장 외측의 콘택트(1A), (1E)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고, 복수(10개)의 콘택트(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봉형상 부재(4B)는, 제2 열의 가장 외측의 콘택트(1A), (1E)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고, 복수(9개)의 콘택트(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커넥터(100)를 배면 측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콘택트(1),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는, 모두 등간격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에 지지된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를 설치해서, 이들 봉형상 부재(4A), (4B)를 상대측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 콘택트 보호용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신호 전송용의 콘택트(1)의 외측에 콘택트 보호용의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S)으로부터 콘택트(1)가 박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커넥터(100)의 신호 전송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들 봉형상 부재(4A), (4B)는, 2열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S)에 대한 고정력이 높다. 또한, 주위에 배치된 접지 단자의 수가 적고 임피던스가 높아지기 쉬운 접촉부(11a), (11c), (11d), (11h)를 갖는 콘택트(1A), (1E)에 대해서는, 도전성의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가 더욱 외측에 위치하여 접지 단자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콘택트(1A), (1E)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킬 수 있고, 커넥터(100) 전체로서 임피던스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2열에 배치된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의 각각을, 복수의 콘택트(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하기 때문에, 기판(S)에의 고정력을 더욱 높여, 콘택트(1)의 박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열에 짝수개의 콘택트(1)를 등간격으로 병렬하고, 제2 열에 홀수개의 콘택트(1)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다시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를 각 열에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하면, 기판(S)에 고정되는 콘택트(1) 및 이들 봉형상 부재(4A), (4B)를 밸런스 좋게 병설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판(S)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높여, 콘택트(1)의 박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은, 기대부(21)와, 기대부(21)로부터 돌출하여, 콘택트(1)를 지지하는 돌출부(22)를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부(21)에는 각각의 콘택트(1)가 삽입되는 단면이 T자 형상의 복수(19개)의 관통구멍(21a)과,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가 삽입되고, 돌출부(22)의 측이 폐색된 단면이 T자 형상인 복수(4개)의 구멍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정면도에서는, 복수의 구멍부(21b)를 시인할 수 없고, 도 5에 나타낸 배면도에서는, 복수의 구멍부(21b)를 시인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부(21)는, 블록 형상의 기대 본체(21A)와, 기대 본체(21A)로부터 돌출부(22)와 평행하게 뻗어나오게 하고, 셸(3)을 지지하는 바닥부(21B)를 갖고 있다. 돌출부(22)는 기대 본체(21A)의 중앙 부분에서부터 판상으로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 본체(21A)의 정면측에는, 셸(3)의 접촉 볼록부(31b)가 끼어 들어가는 규제 오목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 본체(21A)의 배면측에는, 제1 단의 콘택트(1)의 수하부(14) 및 제1 봉형상 부재(4A)의 제2 수하부(43)를 지지하고, 제1 단의 관통 구멍(21A) 및 구멍부(21b)의 측방에 배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1개)의 제1 위치결정 볼록부(21d)와, 제2 단의 콘택트(1)의 수하부(14) 및 제2 봉형상 부재(4B)의 제2 수하부(43)를 지지하고, 제2 단의 관통 구멍(21a) 및 구멍부(21b)의 양쪽에 배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2개)의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의 콘택트(1)의 수하부(14) 및 제2 봉형상 부재(4B)의 제2 수하부(4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1쌍의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는, 제1 단의 콘택트(1) 및 제1 봉형상 부재(4A)를 제2 단의 콘택트(1) 및 제2 봉형상 부재(4B)로부터 구획 하면서 지지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또, 기대 본체(21A)의 배면측의 양측쪽에는,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와 돌출량이 동일한 한 쌍의 제3 위치 결정 볼록부(21f)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3 위치 결정 볼록부(21f)와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 사이에 제1 봉형상 부재(4A)의 제2 수하부(43)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대 본체(21A)의 배면측에 있어서, 제1 위치 결정 볼록부(21d)를 사이에 두고 제3 위치 결정 볼록부(21f)와는 반대측에는, 콘택트(1)의 병렬 방향을 따라서 뻗는 블록 형상부(21g)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블록 형상부(21g)의 윗면에는, 셸(3)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긴 홈부(21g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 형상부(21g)는, 후술하는 셸(3)의 걸어 맞춤 볼록부(31c)의 양측과 맞닿고, 셸(3)의 배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부(21)의 바닥부(21B)는, 바닥 외면 (21Ba)과 바닥 내면(21Bb)과 한 쌍의 바닥 측면(21Bc)을 갖고 있다. 바닥 내면(21Bb)의 한 쌍의 측면에는, 각각 테이퍼면(21Bb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21B)가 절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 내면(21Bb)의 한 쌍의 테이퍼면(21Bb1) 사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홈부(21Bb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부(21Bb2)는, 후술하는 셸(3)의 제2 탄성편(32a)이 탄성 변형 가능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도 1,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22)의 일면에는, 제1 단 콘택트(1)의 접촉부(11)를 지지하고, 제1 단의 관통 구멍(21a)과 연통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0개)의 제1 위치 결정 오목부(22a)가, 콘택트(1)의 접촉부(1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돌출부(22)의 다른 면에는, 제2 단의 콘택트(1)의 접촉부(11)를 지지하고, 제2 단의 관통 구멍(21a)과 연통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의 제2 위치 결정 오목부(22b)가, 콘택트(1)의 접촉부(11)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위치 결정 오목부(22a) 및 제2 위치 결정 오목부(22b)는, 복수의 콘택트(1)와 마찬가지로, 모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2열로 엇갈려서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셸(3)은, 타발 가공한 금속 박판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가 삽입되는 6각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셸(3)은, 천정벽(天壁)(31)과, 천정벽(31)과 대향하는 바닥벽(32)과, 천정벽(31) 및 바닥벽(32)을 접속하는 한 쌍의 측벽(33)을 갖고 있다.
천정벽(31)은, 타발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제1 탄성편(31a)과, 내측으로 조임가공하여 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접촉 볼록부(31b)를 갖고 있다. 이 복수의 접촉 볼록부(31b)는 상대측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의 스토퍼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천정벽(31)에는, 하우징(2)의 긴 홈부(21g1)에 걸어 맞춤하는 걸어 맞춤 볼록부(31c)가 배면측에 형성되어 있다(도 2도 참조). 바닥벽(32)은, 절구 형상의 바닥부(21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발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2 탄성편(32a)을 갖고 있다.
측벽(33)은, 정면측에서 내측에 180도 절곡 가공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3 탄성편(33a)과, 기판(S)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납땜 등으로 고정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다리부(33b)와, 배면측에서 내측으로 90도 절곡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절곡편(33c)을 갖고 있다. 천정벽(31)의 제1 탄성편(31A), 바닥벽(32)의 제2 탄성편(32a) 및 측벽(33)의 제3 탄성편(33a)은, 탄성 변형하면서 상대측 커넥터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를 커넥터(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절곡편(33c)은, 셸(3)을 하우징(2)에 장착한 후에 절곡시킴으로써, 절곡편(33c)이 하우징(2)의 배면에 접촉해서, 셸(3)의 정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도 2 참조).
다음에, 커넥터(10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곡편(33c)을 측벽(33)에 평행하게 한 상태에서, 천정벽(31)의 걸어 맞춤 볼록부(31c)가 하우징(2)의 긴 홈부(21g1)에 걸어 맞춤하도록, 하우징(2)에 셸(3)을 정면측에서부터 장착하고, 걸어 맞춤 볼록부(31c)의 양측을 블록 형상부(21g)에 접촉시킨다(도 2, 도 4, 도 8 참조). 이어서 절곡편(33c)을 내측에서 90도 절곡시켜 셸(3)의 정면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제2 단의 복수의 콘택트(1) 및 제2 봉형상 부재(4B)를, 제2 위치 결정 오목부(22b)를 따르는 관통 구멍(21a) 및 구멍부(21b)에 삽입함과 동시에, 콘택트(1)의 압입부(13) 및 제2 봉형상 부재(4B)의 제2 압입부(41)를 관통 구멍(21a) 및 구멍부(21b)에 압입한다(도 6 참조). 이어서, 제1단의 복수의 콘택트(1) 및 제1 봉형상 부재(4A)를, 제1 위치 결정 오목부(22a)를 따라서 관통 구멍(21a) 및 구멍부(21b)에 삽입함과 동시에, 콘택트(1)의 압입부(13) 및 제1 봉형상 부재(4A)의 제2 압입부(41)를 관통 구멍(21a) 및 구멍부(21b)에 압입한다(도 6 참조). 이 때, 복수의 콘택트(1)의 수하부(14) 및 봉 형상 부재(4A), (4B)의 각각의 제2 수하부(43)가, 한 쌍의 제1 위치 결정 볼록부(21d) 및 한 쌍의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 사이에서 지지된다(도 2 참조). 이 때, 제1 봉형상 부재(4A)의 제2 수하부(43)가, 제1 위치 결정 오목부(22a)와 절곡편(33c)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와 제3 위치 결정 볼록부(21f) 사이에서 지지된다(도 2 참조). 또한, 제2 봉형상 부재(4B)의 제2 수하부(43)가 한 쌍의 제2 위치 결정 볼록부(21e) 사이에서 지지된다. 이어서, 콘택트(1)의 고정부(12)와,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의 제2 고정부(42)와, 셸(3)의 다리부(33b)를 납땜 등에 의해 기판(S)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해서, 기판(S)에 실장된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또한, 하우징(2)에 대해서 셸(3), 콘택트(1) 및 봉형상 부재(4A), (4B)를 조립하는 순서는 임의이며, 콘택트(1)와 봉형상 부재(4A), (4B)는 따로 압입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가 삽입되는 구멍부(21b)의 돌출부(22)의 측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2)에 의한 이들 봉형상 부재(4A), (4B)의 지지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대측 커넥터와 콘택트(1)의 접촉부(11)의 전기적인 접속에도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기타 실시형태]
(1)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를, 복수의 콘택트(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했지만, 복수의 콘택트(1) 중의 어느 한쪽의 바깥측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는, 차동쌍을 이루는 가장 외측에 있는 콘택트(1A)의 더욱 외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차동쌍을 이루는 다른 콘택트(1B) 내지 (1D)와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다.
(2)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는, 복수의 콘택트(1)의 간격과는 다른 간격으로 콘택트(1)에 병렬시켜도 된다. 또한, 제1 봉형상 부재(4A) 및 제2 봉형상 부재(4B)의 각각은, 복수의 콘택트(1) 중 어느 한쪽의 외측에 복수개를 설치해도 되며, 수량이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3) 하우징(2)의 구멍부(21b)의 돌출부(22)의 측을 폐색하지 않고, 관통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봉형상 부재(4A), (4B)의 제2 압입부(41)를 정면측으로 뻗어 나오게 해서, 90도 절곡시킴으로써, 기대 본체(21A)의 정면측의 벽면에 접촉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봉형상 부재(4A), (4B)의 하우징(2)에 대한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0)는, HDMI(등록상표)의 타입 A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것으로 했지만, 타입 A 이외의 HDMI(등록상표)의 규격 또는 HDMI(등록상표) 이외의 규격에 대응하는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콘택트가 2열로 나뉘어 병렬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에 이용 가능하다.
(1): 콘택트
(1A): 콘택트
(1E): 콘택트
(2): 하우징
(4A): 제1 봉형상 부재
(4B): 제2 봉형상 부재
(11): 접촉부
(12): 고정부
(21): 기대부
(21a): 관통구멍
(21b): 구멍부
(22): 돌출부
(100): 커넥터
(S): 기판

Claims (5)

  1.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와,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 및
    복수의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서로 이간하고 또한 평행한 제1 열과 제2 열로 나뉘어 병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열에는,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콘택트보다도 더욱 외측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1 봉형상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열에는,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콘택트보다도 더욱 외측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도전성의 제2 봉형상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봉형상 부재는 복수의 상기 콘택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에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짝수개이고, 상기 제2 열에 서로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상기 콘택트는 홀수개이며,
    상기 제1 봉형상 부재는 상기 제1 열의 가장 외측의 상기 콘택트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봉형상 부재는 상기 제2 열의 가장 외측의 상기 콘택트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봉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봉형상 부재는, 모두 상기 콘택트의 상기 접촉부를 절단하여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대부(基臺部)와, 상기 기대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콘택트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대부에는, 각각의 상기 콘택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제1 봉형상 부재 및 상기 제2 봉형상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의 측이 폐색된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210045317A 2020-07-15 2021-04-07 커넥터 KR20220009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1370A JP2022018327A (ja) 2020-07-15 2020-07-15 コネクタ
JPJP-P-2020-121370 2020-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317A true KR20220009317A (ko) 2022-01-24

Family

ID=7684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17A KR20220009317A (ko) 2020-07-15 2021-04-07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52308B2 (ko)
EP (1) EP3940889A1 (ko)
JP (1) JP2022018327A (ko)
KR (1) KR20220009317A (ko)
CN (1) CN113948894A (ko)
TW (1) TW202205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18327A (ja) * 2020-07-15 2022-01-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40616B2 (ja) * 2020-09-24 2023-03-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728A (ja) 2007-06-26 2009-01-15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518A (en) * 1995-04-18 1999-05-2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0874421B1 (de) * 1997-04-25 2007-06-20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Sub-D-Stecker in SMD-Technik
US6227907B1 (en) * 1999-12-22 2001-05-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7497732B2 (en) * 2007-07-25 2009-03-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CN102280732B (zh) * 2010-06-10 2014-01-29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I581517B (zh) * 2014-07-14 2017-05-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Socket electrical connector
CN109586071B (zh) * 2017-09-29 2022-04-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22018327A (ja) * 2020-07-15 2022-01-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728A (ja) 2007-06-26 2009-01-15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52308B2 (en) 2023-05-16
CN113948894A (zh) 2022-01-18
TW202205761A (zh) 2022-02-01
US20220021141A1 (en) 2022-01-20
JP2022018327A (ja) 2022-01-27
EP3940889A1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0103B2 (en) Connector to be mounted to a board and ground structure of the connector
US10574003B2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reinforced structure
US9502796B2 (en) Plug connector for differential data transmission
US607115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ed terminals
US777123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5980271A (en) Header connector of a future bus and related compliant pins
EP180193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790054B1 (en) Two-piece right angle contact edge card connector
EP3660985A1 (en) Connector
KR20220009317A (ko) 커넥터
US11581684B2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CN112909599A (zh) 基板对基板连接器以及其安装结构
TW202143576A (zh) 連接器組裝體
EP1244183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ransmission line
KR101926725B1 (ko) 플러그 커넥션
CN111213292B (zh) 具有屏蔽元件的印刷电路板插接连接器
KR20050065388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687228B1 (ko) 터미널
TWM563681U (zh) 電連接器及其端子
US20230246403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ductive terminals having improved structure
CN110391525B (zh) 电连接器及其端子
CN111129808B (zh) 接地端子组件、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2586390Y2 (ja) 電気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