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877A - 작업물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기계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물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기계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877A
KR20220007877A KR1020217040254A KR20217040254A KR20220007877A KR 20220007877 A KR20220007877 A KR 20220007877A KR 1020217040254 A KR1020217040254 A KR 1020217040254A KR 20217040254 A KR20217040254 A KR 20217040254A KR 20220007877 A KR20220007877 A KR 2022000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rocessing
parameters
inspection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트마르 빌란트
올리버 이글라우어-앤드릭
케빈 볼
안드레아스 진저
올리버 사보드니
Original Assignee
듀르 시스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9112099.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9112099B3/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9206846.4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9206846A1/de
Application filed by 듀르 시스템스 아게 filed Critical 듀르 시스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0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sprayed on the target,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47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 B05B13/0452Installation or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conveyed separate articles the conveyed articles being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217Finish defect surfaces on workpie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206Inspection of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13Spraying, coating, pai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품질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작업물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및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자동 점검 스테이션에 의하여 작업물 매개변수가 검출되고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가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작업물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기계가공 시스템
본 발명은 작업물 제조 분야, 특히 차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작업물의 제조 동안 또는 후에, 예를 들어 제조 결함에 대한 상기 작업물의 수동 또는 자동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점검은 일반적으로 조직적인 생산 결함과 관련하여 의미 있고 및/또는 100% 신뢰할 수 있는 결론이 도출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작업물 점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 의해 작업물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및/또는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효율적인 작업물 점검이 가능하다.
이 목적은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물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및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작업물 점검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고 작업물과 생산 공정의 품질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 디바이스 청구항으로 달성된다.
본 방법 및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태가 아래에서 논의된다. 언급된 모든 특징 및/또는 이점은 본 발명을 최적화하기 위해 임의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방법 특징 및 결과적인 디바이스 특징은 디바이스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특징 및 결과적인 방법 특징은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물 점검은 인공 지능(AI)이 특히 설비 제어 시스템 내에서의 제어 개입에 의하여 공정 최적화, 재료 최적화 및/또는 생산 최적화를 위한 조치를 제안 및/또는 자동적으로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작업물 점검 방법은 특히 차체 및 부착 부품을 점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작업물은 특히, 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차체이다.
작업물 점검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점검될 작업물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점검될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업물의 처리는, 예를 들어 기계적 (표면) 처리일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작업물의 처리는 작업물의 재료의 표면의 처리이다. 예를 들어, 처리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보호, 페인트층 또는 기타 코팅을 도포 및/또는 생성하는 것에 의한 작업물의 재료의 표면의 개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다음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처리 및/또는 컴파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각각의 작업물에 대해 생성된다.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의 앞서 언급된 처리 및/또는 편집은 바람직하게는 작업물의 점검을 위한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의 생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작업물 품질의 더 나은 검증 가능성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최적화될 설비 매개변수 및/또는 작업물 특성에 관한 결론이 도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특히 단일 작업물과 연관된 데이터 세트이다.
각 데이터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작업물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평가될 수 있다.
데이터 세트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올바르게 제조된 제품에 대한 모든 사양 및 요구 조건이 적어도 미리 규정된 제한 값 및/또는 허용 공차 내에서 충족되었는지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는 품질 카드 또는 품질 인증서일 수 있다.
더욱이,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예를 들어 비교 목적을 위하여 초기화 공정 및/또는 교정 공정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와의 특정 개별 작업물과 연관된 데이터, 특히 매개변수의 보다 쉬운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샘플 작업물의 데이터는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포함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특히 한계 값 또는 값 범위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기준 데이터는 시뮬레이션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거나 미리 규정된 허용 범위(tolerance band) 내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세트가 사용되어 개별적으로 각 작업물에 대해 또는 공동으로 복수의 작업물에 대해 특정 작업물 또는 작업물들의 처리가 미리 규정된 품질 기준 내의 처리 결과로 이어졌는지 또는 이어질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특히 작업물 처리 중 또는 작업물 처리 후에도, 특히 늦어도 작업물 처리 직후에 평가될 수 있다. 더욱이,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평가, 특히 통계적 평가가 작업물 처리의 마지막에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작업물 또는 작업물들의 처리가 미리 규정된 품질 기준 내의 처리 결과로 이어졌는지 또는 이어질 것인지 여부의 결정이 특정 작업물 또는 작업물들의 처리 전, 특정 작업물 또는 작업물들의 처리 동안 및/또는 특정 작업물 또는 특정 작업물들의 처리 후에 수행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이 결정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가 수행되기 전에 작업물의 전처리, 전가공 또는 이전 제조와 관련된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시설 매개변수가 사용된다면, 적어도 작업물 상의 가능한 결함이 전처리, 전가공, 재료 표면의 설계 및/또는 작업물의 제조에서 기인하는 한 작업물 상의 가능한 결함은 바람직하게는 결론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로서 형성되는 작업물의 페인팅 이전 차체 내의 결함의 경우 및/또는 일반적으로 작업물의 제조 및/또는 가공 및/또는 처리를 위하여 사용된 재료 내의 결함의 경우, 작업물이 궁극적으로 결함 없이 완성될 수 없다는 결론이 작업물 처리 전에 이미 내려질 수 있다.
특히, 다음 사항으로부터의 개별 또는 다수의 매개변수가 작업물 매개변수로서 제공될 수 있다:
- 작업물에서 국부적으로 측정된 작업물 온도;
- 면적적으로 측정된 및/또는 평균화된 작업물 온도 또는 작업물 온도 분포;
- 특히 풍속계 형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국부 속도, 특히 작업물에서의 및/또는 주변의 공기의 흐름 속도;
- 작업물 표면의 반사 특성, 특히 측정된 반사 특성; 특히, 측정은 자외, 가시 및/또는 적외 범위 내의 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 작업물 표면의 흡수 특성, 특히 측정된 흡수 특성; 여기서, 특히 자외 범위 내, 가시 범위 내 및/또는 적외 범위 내, 예를 들어 열 방사선의 범위 내의 광에 대한 흡수 특성이 측정될 수 있다;
- 작업물 표면의 방출 특성, 특히 측정된 방출 특성; 방출은 특히 적외선 범위에서, 예를 들어 작업물의 열 방사선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결정된 국부적인 작업물 온도;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된 이 국부적인 작업물 온도는 예를 들어 설비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각 작업물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결정된 작업물 상의 온도 분포; 특히 측정 또는 결정된 시설 매개변수 및/또는 특정 포인트에서 측정된 작업물 매개변수가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포인트에서의 온도 측정에 의하여 작업물에서의 온도 분포는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될 수 있으며 작업물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 특정 작업물의 특성 및/또는 유형에 관한 정보;
- 물리적 및/또는 생산 관련 작업물 특성에 관한 정보
- 개별 작업물 식별 번호;
- 처리 이전의 특정 작업물의 전처리, 전가공 및/또는 제조, 특히 베어 기질(bare substrate)의 품질에 관한 대한 정보;
- 처리 후의 특정 작업물의 후처리 및/또는 추가 처리에 관한 정보.
바람직하게는, 특히 작업물을 제조 및 마무리하기 위한 전체 공정 동안 연속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가공 및/또는 제조 단계의 각각 후 단계적으로,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는 사용 가능한 즉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다.
측정된 모든 작업물 매개변수뿐만 아니라 아직 설명되지 않은 모든 설비 매개변수 또는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예를 들어 비접촉식으로 또는 접촉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열 접촉 요소는 온도가 결정되어야 하는 작업물 또는 또 다른 대상물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온도는 비접촉식으로 결정된다.
특히, 하나 이상의 고온계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이는 특히 특정 포인트에서 온도를 선형적으로, 즉 1차원 해상도로 또는 면적적으로(areally), 즉 2차원 해상도로 측정한다.
하나 이상의 고온계 또는 일반적으로 다른 센서는, 특히 연속적으로 및/또는 시계 방식 및/또는 전동 방식으로 및/또는 작업물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사용으로 또는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구동에 의하여 특히 작업물에 대해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턴테이블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턴테이블 상에 하나 이상의 고온계 또는 일반적으로 다른 센서가 배열되고 또한 이들은 상이하게 위치되기 위하여 위해 작업물에 대해 이동 가능, 특히 회전 가능하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복수의 고온계 또는 기타 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히 매트릭스 형태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 9개 또는 16개의 고온계 또는 기타 센서의 2×2 또는 3×3 또는 4×4 매트릭스가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은 특히 모든 작업물에 대해 동일하게 가공된 및/또는 처리된 표면에서 수행된다. 특히, 이 표면은 차량의 하부에 제공되며, 이 차량은 상이한 차량에 대해 상이한 색상의 마감도장(topcoat)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는 측정 결과의 비교 가능성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면은 특히 KTL 표면 (음극 침지 페인팅으로 코팅된 표면) 및/또는 프라이머 표면 (프라이머로 코팅된 표면)만이 보이는 영역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다른 색상의 유기 폴리머 화합물로 인하여, 상이한 작업물들에 대해 상이한 색상의 표면의 영역 내에 측정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온도 측정에 관한 위의 모든 설명은 또한 작업물 표면의 반사 특성, 작업물 표면의 흡수 특성 및/또는 작업물 표면의 기타 방출 특성의 측정에 적용된다.
특히, 광택을 측정하기 위해 및/또는 DOI(선영성; Distinctness of Image) 측정을 위해 반사 측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반사 측정 및/또는 흡착 측정이 색상 일치 측정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표면의 구조 스캔에 대해 반사 측정 및/또는 흡착 측정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설비 매개변수로서 제공된다:
- 전역적인 측정 온도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측정된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 온도 분포; 이 경우, 특히 특정 작업물이 특정 위치에 배열되었을 때 또는 특정 작업물이 특정 위치에 배열되거나 배열될 때, 작업물의 이동 경로를 따른 위치에서의, 우세한, 우세하였던, 및/또는 우세할 국부적인 온도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특정 작업물에 대해 특정한 특정 처리 스테이션 내의 온도가 검출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의 공기 유도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이러한 공기 안내 장치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가 페인팅 스테이션 및/또는 건조 구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매개변수, 예를 들어 팬의 전류 강도, 전압 및/또는 주파수; 공기 안내 디바이스 내에서 안내되는 공기의 체적 흐름 및/또는 질량 흐름; 처리 챔버로 공급될 때 공기 온도, 공기 습도, 공기의 공급 온도; 처리 챔버에서 배출될 때 공기의 배출 온도; 처리 챔버 내의 압력; 가열 장치, 냉각 장치, 제습 장치 및/또는 가습 장치의 성능 데이터가 작동 매개변수로서 제공된다;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여기서, 특히 컨베이어 디바이스의 개별 또는 복수의 운반 유닛, 특히 특정 작업물은 운반할, 운반하고 있는 또는 운반한 하나 이상의 운반 유닛의 속도, 정지 시간, 일시 중지 및/또는 이동 경로가 고려된다.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팅 (스프레이 페인팅)을 사용하여 작업물을 코팅할 때, 작동 매개변수로서 코팅 유형, 코팅 지속 시간, 유량, 온도 및/또는 코팅 액체의 오염 정도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의 유지 관리 상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지 처리에 대하여, 조성물, 온도, 총 사용 기간 및/또는 침지 액체의 오염 정도가 작동 매개변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작업물의 처리로서의 건조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환기 디바이스의 작동 매개변수로서 위에서 언급된 작동 매개변수가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의 작동 매개변수로서 사용된다.
- 작업물 처리를 위한 공기 흐름 및/또는 처리 매질로부터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 설비 및/또는 세정 설비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특히, 필터 설비 및/또는 세정 설비의 유지보수 상태에 관한 데이터가 이러한 작동 매개변수로서 제공된다.
다음 사항이 구체적인 예로써 인용될 수 있다:
공기 안내 디바이스에 대한, 특히 하나 이상의 팬의 작동 매개변수로서, 흐름 모니터링 및/또는 차압 측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는 팬의 유입구 측과 배출구 측 간의 압력 점프(pressure jump)를 검출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센서가 노즐을 가로질러 및/또는 또 다른 포인트에서, 특히 재순환 회로에서 압력 강하를 대신 검출한다면, 노즐 출구 속도는 바람직하게 이것으로부터 (특히 보정 계수의 도움으로) 결정될 수 있다. 팬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은 센서 위치를 변경한 후에도 여전히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출구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추가 센서가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팬 주파수로부터 노즐 출구 속도를 유추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필터 설비의 필터의 노후화, 특히 필터에 걸친 압력 손실이 바람직하게는 고려된다.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는 특히 작업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평가가 수행된다.
특히,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생성을 위하여, a)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와 b)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설정하는 상관관계 데이터가 바람직하게는 이용된다.
예를 들어, 측정된 또는 시뮬레이션된 온도 및/또는 온도 분포를 사용하여 코팅부의 경화 정도 및 따라서 달성될 처리 결과의 필수 매개변수가 결론지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은 상관관계 데이터로서 또는 상관관계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에 의해, 하나 이상의 처리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상관관계 데이터로서 사용되거나 상관관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뮬레이션 모델은 바람직하게는 센서를 구비하고 및/또는 모니터링되는 작업물의 하나 이상의 테스트 실행에 의해 교정된다. 특히, 이러한 교정은 정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주, 격주 또는 4주마다 수행되어 특히 상관관계 데이터의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보장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방법에 따르면,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는 측정값으로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 이동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시뮬레이션 또는 다른 상관관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처리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결과적인 매개변수, 특히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 이동한다. 모든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작업물의 품질에 관하여 설명 또는 결론이 도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처리 결과 매개변수만이 바람직하게는 처리 결과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값을 정확하게 반영하며, 특히 임의의 추가 해석 또는 추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처리 공정, 예를 들어 표면 마무리 공정 동안 및/또는 직후에 즉각적인 측정에 의해 점검, 특히 검증될 수 있다.
특히, 작업물의 정제된 재료 표면의 표면 구조 및/또는 과정(course) 및/또는 광택 정도의 비접촉 측정이 수행되어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관관계 데이터의 사용, 특히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각 개별 작업물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에 의하여, 동일한 양의 데이터, 특히 동일한 처리 결과 매개변수를 얻기 위해 요구될 측정 기술의 대폭적인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개별 측정값만을 사용하여 작업물의 고해상도, 3차원 모니터링 및/또는 조사가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관관계 데이터의 검증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점검 품질의 추가 증가를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감각 처리 결과 매개변수가 처리의 수행 중에 및/또는 처리의 수행 후에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감각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미리 규정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와 비교되며, 여기서 특히 특정 작업물의 처리가 하나 이상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바람직하게 반영하는 품질 매개변수가 획득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품질 매개변수는 시뮬레이션의 품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 매개변수는 시뮬레이션의 검정(validation) 및/또는 검증(verification) 및/또는 미세 조정, 특히 시뮬레이션의 시뮬레이션 매개변수를 위하여 사용된다.
감각적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관련된 작업물에 대한 직접적인 비접촉 또는 접촉 기반 측정에 의해 획득된다.
미리 규정된 처리 매개변수는 특히 작업물의 원하는 특성으로서 미리 규정된 매개변수이다.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관관계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획득된 것이다.
더욱이, 미리 규정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 기준 작업물에서 측정된 매개변수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이 처리 결과 매개변수로서 제공된다:
- 코팅부의 두께, 특히 하나 이상의 코팅부, 예를 들어 프라이머, 탑코트 및/또는 클리어 코트의 각각의 두께;
-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 코팅부의 두께의 균일성,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균일성;
- 특히 클리어 코트의 도포 전 및/또는 후의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개별 층의 또는 최종 클리어 코트 층에 대한 표면 구조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특히 탑코트 및/또는 클리어 코트의 경화 후 코팅부의 경도;
-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 코팅부의 오염 정도;
- 처리의 수행 중 및/또는 후, 특히 건조 공정 후 작업물의 온도의 공간적 분포 및/또는 시간적 과정;
- 작업물에 대한 처리에 의해 생성된 국부 온도 최대값(maxima) 및/또는 온도 최소값(minima)의 위치;
- 특정 작업물 상의 측정된, 시뮬레이션된 및/또는 예상된 결함 또는 기타 품질 결함, 특히 코팅 결함의 위치 및/또는 범위에 관한 정보.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가,
-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감각적 처리 결과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미리 규정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품질 매개변수에 의하여 보완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품질 매개변수는 특히, 예를 들어 추가 설정 값 비교 또는 기타 평가 없이 작업물의 품질 기준에 관한 설명을 허용하는 값이다.
예를 들어, 품질 매개변수는 1 또는 0 값을 취할 수 있는 매개변수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정상(OK)" 또는 "무결함", 또는 "정상이 아님"/"결함"을 의미할 수 있다. 품질 매개변수는, 예를 들어 "정확한 층 두께", "올바른 색조", "온도 제한 준수" 등일 수 있다.
복수의 작업물의 데이터 세트들이 서로 비교되고, 연관되고 및/또는 결합된다면 유리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의 시간적 진전 사항(temporal development)을 반영하는 공정 데이터 세트가 획득된다.
공정 데이터 세트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공정 및/또는 딥 러닝(deep learning) 공정에 의해 평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작업물 내의 결정된 및/또는 예상되는 품질 결함의 가능한 근원(source) 및/또는 원인에 대해 결론이 내려지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및/또는 복수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서 획득된 공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 특히 처리 설비의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와 관련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및/또는 복수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부터 획득된 공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제어되어, 특히 상기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해 특정 작업물이 운반되는 컨베이어 경로를 달라지게 하며 및/또는 선택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 특히 하나 이상의 페인팅 공정이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 수행된 후에 작업물이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에 공급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후처리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게는 자동 처리 스테이션이다. 특히, 작업물은 관련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는 다른 품질 결함을 갖는 그의 결함 또는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재작업될 수 있다.
특히, 자동 처리 스테이션 및/또는 자동 재작업은 특히 작업자에 의한 수동 개입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이 수동 처리 스테이션으로서 구성된다는 것 그리고 후처리가 1명 이상의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자동 및 수동 처리, 특히 후처리의 조합도 제공될 수 있다.
작업물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가 후처리 중 및/또는 후에, 특히 후처리의 수행과 관련된 작업물 매개변수에 의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과 관련된 설비 매개변수에 의하여 및/또는 처리-특정 및/또는 작업물 특정이고 후처리의 결과로 발생하는 처리 결과 매개변수에 의하여 수정 및/또는 보완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후처리 단계가 수행된 후,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수정된 및/또는 보완된 내용에 따라, 특히 재개된 후처리를 위하여 작업물이 하나 이상의 추가 후처리 스테이션에 공급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수정 및/또는 보완된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후처리 단계가 수행된 후 작업물이 불량품으로서 표시되고 처리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설명된 방법은 특히 작업물을 점검하기 위하여 점검 설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작업물, 특히 차체 및 부착 부품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점검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 점검될 작업물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점검될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를 각 작업물을 위하여 생성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되고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점검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및/또는 이점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점검 설비는 작업물, 특히 차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의 구성 요소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며, 처리 설비는 다음의
-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
- 작업물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설비;
- 작업물을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을 통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점검 설비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및/또는 작업물을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을 통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설비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및/또는 이점 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점검 설비의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설명된 모든 방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검 설비 및/또는 처리 설비의 모든 구성 요소는 설명된 방법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 및 구성된다.
또한, 본 방법, 점검 설비 및/또는 처리 설비는 다음 특징 및/또는 이점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점검 설비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은, 예를 들어 각각 하나 이상의 영구적으로 설치된 점검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동식 및/또는 휴대용 점검 유닛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유닛들은 점검 설비의 상이한 점검 스테이션들에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은 그러면 특히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을 위한 수용 디바이스이며, 이 점검 유닛은 필요에 따라 및/또는 설정 목적 및/또는 최적화 목적을 위하여 특정 점검 스테이션에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물리적 기반의 알고리즘-지원 시뮬레이션 모델을 형성하거나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툴의 매개변수화를 위한 기초 역할을 한다.
특히, 측정 실행으로부터의 기록된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자동화 방식으로 시뮬레이션 매개변수를 추출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의 매개변수화 및/또는 교정에 사용된다. 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동식 기반으로, 특히 작업물 상의 센서에 의하여 및/또는 작업물을 향하는 센서에 의해 기록된다.
설비 매개변수 및/또는 작업물 매개변수가 미리 규정된 값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측정 실행이 수행되고 이것이 무결함 작업물로 이어진다면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교란된 설비 작동을 나타내는 설비 매개변수로 하나 이상의 측정 실행이 수행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후속 생산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결함 원인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모델은 상호관계 데이터 또는 그의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상관관계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작업물 유형에 대한 상이한 작업물 측정 포인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더욱이 상이한 설비 상태 및 따라서 상이한 설비 매개변수에 따라 상이한 차체 유형에 대한 상이한 차체 측정 포인트에서의 가열 곡선의 계산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 및/또는 공정 데이터 세트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뮬레이션 및/또는 상관관계 데이터의 품질의 평가 및 검정은 각 작업물의 특정 포인트에서의 표면 온도의 기준 측정에 의하여, 특히 고온계로서 구성된 고정식 또는 이동식 센서를 통한 고정식 또는 이동식 측정에 의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처리 동안의 임계점에서 각각의 작업물에 대한 유효한 기준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 또는 내에 이 목적을 위한 하나 이상의 측정 포인트가 제공된다. 이 기준 측정값은 그후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작업물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물 매개변수, 특히 작업물 표면의 기준 온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건조기로서 형성된 처리 스테이션에서, 가열 곡선에서 높은 구배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및/또는 포인트에서 수행될 수 있다. 미리 규정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가열 거동으로부터의 임의의 편차는 그러면 바람직하게는 신뢰성 있게 검출 및/또는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물의 비대칭 가열이 온도 결정, 특히 온도 분포 결정으로부터 기인한다면, 예를 들어 보상을 위한 다음 조치들 중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취해질 수 있으며, 특히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 유입구 노즐의 변경, 특히 과열된 영역이 유입되는 가열 공기에 더 적게 노출되고 및/또는 과냉각된 영역이 유입되는 가열 공기에 더 많이 노출되는 방식으로의 범위 및/또는 배향 조정;
- 예를 들어, 이전 가열 동안의 공정 관련 불균일성(예를 들어, 전 건조기에서 주 건조기로의 전이, 유지에서 냉각으로의 전이, 등)에 의해 야기된 비대칭을 보상하기 위하여, 특히 연관된 밸브 및/또는 스로틀 밸브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입구 노즐에 대한 상이한 체적 흐름의 조정;
- 주기 내에서의 작업물의 비대칭 배열 및/또는 배향, 즉 작업물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입구 노즐에 대해 조금 일찍 또는 너무 늦게 정지되며 따라서 한 면에서 더 많이 노출된다.
온도 곡선을 예측하는 기회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각 작업물의 가열 공정의 품질을 평가하고 또한,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품질 관련 온도를 달성하거나 설비 오작동의 경우에 비상 전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정의 제어를 보정하고 따라서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가능성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정이 실행된 후 자동 결함 점검의 결과와 작업물이 경험한 가열 곡선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함 점검 동안 조사된 각 차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명확하게 할당된 계산된 가열 곡선이 있으며, 이 가열 곡선은 특히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일부를 형성한다.
설비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결함 점검에서 최상의 결과를 제공한 공정 매개변수 또는 설비 매개변수를 위하여, 상관관계 데이터, 특히 평가 논리를 사용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작업자가 만든 상이한 시설 설정이 품질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바람직하게는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시스템은 최적의 설정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 밝은 색상의 페인트, 특히 밝은 색상의 UNI 페인트 및/또는 클리어 코트의 황변(yellowing)에 대한 경화 시간의 영향;
- 클리어 코트의 분포 및 가교에 대한, 따라서 탑코트 레벨, 클리어 코트의 형성 (예를 들어, 평가될 수 있는 외관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장파장 및 단파장 측정 또는 그의 수학적 파생으로) 에 대한 작업물의 가열 구배/온도 구배의 영향.
바람직하게는, 특히 상관관계 데이터의 구성 요소이거나 이 데이터를 형성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초기화는, 예를 들어 가열 곡선을 측정함으로써 건조기의 시운전 동안 각 작업물 유형에 대해 수행된다. 정상 작동과 가능한 교란된 작동을 모두 나타내는 설비 매개변수로 초기화 실행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테스트 신호를 온도 단계 함수의 형태로 시스템에 인가하기 위하여 그리고 구역 내의 온도 역학을 설명하고 따라서 상이한 공정 매개변수에 대한 측정된 단계 응답의 도움으로 시스템 거동을 설명할 수 있도록 초기화 실행이 사용될 수 있다.
온도 이외의 설비 매개변수에 대해 비교할만한 초기화가 제공될 수 있다.
처리 공정을 검정하기 위한 후속 측정 실행의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상관관계 데이터의 교정을 완전히 자동으로 반복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측정 실행 동안 값의 전송이 무선으로, 예를 들어 원격 측정에 의해, 특히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동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지 않다면 유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가능한 작동 결함은 바람직하게 회피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측정 데이터와 설정 값의 정확한 시간적 동기화가 바람직하게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화 실행 및/또는 측정 실행 및/또는 교정 실행을 시작 및 모니터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특히 공정 시각화 및/또는 조작 패널이 제공되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선택적 실시예에서, 작업물 매개변수로서의 가열 곡선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특히 각 개별 작업물의 상이한 포인트들에서 유속이 결정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기준 작업물 상의 유속을 직접 측정하고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또는 다른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로부터, 예를 들어 가열 거동으로부터 이를 간접적으로 계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유속의 결정은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온도 곡선의 결정과 유사하게 수행된다.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 바람직하게는 풍속계(anemometer)는 측정 작업물 상의 다양한 측정 포인트에서 사용된다. 속도의 시간적 과정은 모바일 데이터 로거(data logger)의 도움으로 기록될 수 있다. 기록된 측정 데이터의 설비 매개변수(온도, 팬 주파수, 체적 유량 및 압력)로의 할당으로부터, 임의의 센서를 갖추지 않은 생산 작업물의 개별 포인트에서의 실시간 속도 곡선의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모델이 획득될 수 있다. 외관, 즉 페인팅된 표면의 품질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있을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낮은 유속이 유리할 수 있다.
속도 센서를 갖는 측정 작업물의 사용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개별 측정 포인트에서의 속도는 또한, 예를 들어 열 전달을 위한 모델을 사용하여 온도 곡선, 즉 가열 동역학 및 공지된 또는 측정된 작업물 특성(예를 들어, 두께, 열용량,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작업물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의 및/또는 내부 공간에서의 상이한 입사-유량비(incident-flow ratio)가 바람직하게는 고려된다. 전면과 후면에 걸친 및/또는 내부에서의 열 입력의 분포는,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결과 및 특징적인 건조기 특징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속은 건조 공정 후 자동 점검 스테이션 및/또는 품질 검사 스테이션에서 획득된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점검 스테이션 및/또는 품질 검사 스테이션에서 결정된 품질을 기반으로 하는 설비 매개변수의 최적화가 유리할 수 있다.
설비 매개변수가 사전 규정된 설정 값을 중심으로 사전 규정된 변동 범위 내에서 변경되고 최상의 품질 결과를 내놓는 이 값으로 자동으로 최적화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품질 관련 측정 변수가 규정될 수 있는 생산 방법의 모든 처리량 공정을 위하여 그리고 이 공정에 대해 사용 가능하고 이전 가능하다.
이의 예는 전처리 및 음극 딥 페인팅이며, 여기서 배스(bath) 온도 또는 흐름 강도는 본체 코팅부의 품질 또는 층 두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상관관계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및/또는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를 사용함으로써 획득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사항에 관한 결론 또는 정보를 제공한다:
- 작업물, 특히 페인팅 이전 차체 시트 금속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의 기질 품질;
- 각 개별 작업물에 대한 건조 조건;
- 처리 결과의 품질, 특히 하나 이상의 코팅 결과;
- 재료 및/또는 재료들, 특히 강 및/또는 알루미늄의 경화;
- 특정 처리 스테이션, 예를 들어 건조기 내에서 소요된 총 시간;
- 특정 베이킹 온도 이상에서의 누적 공정 시간;
- 개별 건조 부분 (예를 들어, 전 건조기, 주 건조기 및 냉각 구역)에서의 개별 측정 포인트들 간의 건조 공정의 과정 중에 발생하는 최대 온도 차이;
- 개별 건조 부분 (예를 들어, 전 건조기, 주 건조기 및 냉각 구역)에서의 개별 측정 포인트에서 건조 공정 중에 과정 동안 발생하는 최대 온도 구배 [K/분].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목적은 작업물을 점검하는 방법에 의해 추가로 해결되며, 본 방법은 설명된 다른 방법 특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자동 점검 스테이션에 의하여 점검될 작업물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것은;
점검 스테이션에 의하여 결정된 작업물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작업물을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동 점검 스테이션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수동 점검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자동 점검 스테이션은 특히 작업물의 점검이 바람직하게는 전적으로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점검 스테이션이다.
수동 점검 스테이션은 특히 필요한 경우 기계 도움으로 한 명 이상의 사람에 의하여 작업물의 점검이 수행되는 점검 스테이션이다.
더욱이, 복수의 점검 스테이션, 특히 복수의 자동 점검 스테이션 및/또는 복수의 수동 점검 스테이션이 본 방법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점검 스테이션은 특히 기능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특히 동일한 작업물 매개변수가 이 점검 스테이션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서로 기능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점검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이한 점검 스테이션들은 상이한 작업물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물이 후처리 된다면 유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검 스테이션에 의하여, 결함으로서 분류되거나 작업물에 결함을 초래하는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가 결정되었다.
예를 들어, 작업물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코팅부의 층 두께가 너무 낮은 것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작업물의 결함으로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이 결함이 국부적으로만 발생한다면, 이 결함은 바람직하게는 후처리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물은 그후 후처리되어 궁극적으로 무결함 작업물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점검 스테이션에 의해 결정된 모든 작업물 매개변수가 결함이 없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고 작업물 상에 임의의 결함을 야기하지 않는다면 작업물이 임의의 후처리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물은 특히 자동으로 여러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무결함" 범주 및 "교정 가능한 결함" 범주가 제공될 수 있다. "무결함" 범주 내의 작업물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후처리를 받지 않는다. "교정 가능한 결함" 범주 내의 작업물은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여기서 특히 "자동적으로 교정 가능한 결함" 범주와 "수동적으로 교정 가능한 결함" 범주 사이에 구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상응하게 분류된 작업물은 바람직하게는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 또는 수동 재작업 스테이션에 공급되며, 그 안에서 자동 후처리 또는 수동으로 후처리된다.
더욱이, 결정된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에 따라, "회복할 수 없는 결함" 범주로의 작업물의 분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범주는, 특히 후처리에 의해 무결함 상태로 회복될 수 없는 작업물을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작업물은 불량품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작업물들은 바람직하게는 분류 결과에 따라 컨베이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상이한 스테이션들로 공급된다. 예를 들어, "무결함" 범주의 작업물은 품질 검사 스테이션 및/또는 마지막으로 보관 스테이션, 예를 들어 하이-베이 보관 시설로 공급된다.
"자동으로 교정 가능한 결함" 범주의 작업물은 컨베이어 디바이스를 통해 점검 스테이션에서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으로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자동 후처리 후, 작업물은 다시 특히 점검 스테이션으로 공급되거나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에서 추가로 후처리된다. "수동으로 교정 가능한 결함" 범주의 작업물은 컨베이어 디바이스를 통해 점검 스테이션 뒤의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으로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그 후 이 작업물은 다시 점검 스테이션으로 공급된다.
"회복할 수 없는 결함" 범주 내의 작업물은 특히 폐기 스테이션으로 공급된다.
하나 이상의 작업물은 바람직하게는 점검 스테이션에 이어 품질 검사 스테이션으로 공급된다.
특히, 작업물의 품질 검사는 품질 검사 스테이션에서 수행된다.
특히, 작업물은 처리 공정의 결과에 대해 품질 검사 중에 조사된다.
바람직하게는, 점검 스테이션에 의하여 무결함으로서 분류된 작업물만이 품질 검사를 받는다.
품질 검사 스테이션으로 공급되는 작업물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제조된 및/또는 처리된 작업물로부터의 선택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작업물만이 품질 검사를 받는다.
특히, 통계적으로 분배된 개별 작업물, 예를 들어 매 두 번째 또는 매 세 번째 작업물이 품질 스테이션으로 공급하기 위해 선택되며 그리고 그곳에서 품질 검사를 받는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설비 매개변수의 변화 후, 예를 들어 페인팅 중에 색상 변화 후 처리되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점검 스테이션에 의하여 무결함으로서 분류되었던 이 작업물들은 품질 검사 스테이션으로 공급되고 품질 검사를 받는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모든 제조된 및/또는 처리된 작업물이 품질 검사 스테이션으로 공급되고 품질 검사를 받는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조된 및/또는 처리된 작업물의 모든 것이 품질 검사에 공급되지 않는다. 오히려, 특정 선택이 바람직하게는 이 작업물로부터 이루어진다.
품질 검사 스테이션에 공급될 작업물의 선택은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및/또는 계산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작업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및/또는 측정된 및/또는 계산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특히 다음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한다.
-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 개별 층의 또는 최종 클리어 코팅 층에 대한 표면 구조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코팅부의 층 두께의 균일성;
- 코팅부의 두께;
- 코팅부의 경도;
-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 특정 작업물의 특성 및/또는 유형에 관한 정보;
- 물리적 및/또는 생산 관련 작업물 특성에 관한 정보;
- 개별 작업물 식별 번호;
- 처리에 앞서, 특정 작업물의 제조 및/또는 처리, 특히 페인팅 이전 차체의 품질에 관한 정보;
- 처리 다음의, 특정 작업물의 후처리 및/또는 추가 처리에 관한 정보;
- 특정 작업물 상의 측정된, 시뮬레이션된 및/또는 예상된 결함 또는 기타 품질 결함, 특히 코팅 결함의 위치 및/또는 범위에 관한 정보.
품질 검사 중에, 다음의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게는, 특히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측정된다:
-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 코팅부의 층 두께의 균일성;
- 코팅부의 두께;
- 코팅부의 경도;
-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 코팅부의 오염 정도;
- 작업물 표면의 반사 특성;
- 작업물 표면의 흡수 특성;
- 작업물 표면의 방출 특성.
품질 검사 중의 점검 스테이션에서의 점검의 결과에 따라 결함이 없는 작업물의 이 포인트에서만 품질 측정이 수행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품질 검사의 결과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품질 측정이 하나 이상의 작업물의 결함을 결정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특히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국부적 과열로부터 발생한 색상 편차가 품질 검사, 특히 품질 측정의 과정 중에 결정되었다면, 건조기로서 형성된 처리 스테이션의 온도 프로파일은 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색상 편차가 미리 규정된 허용 오차 내에 있더라도, 특히 잠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결함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온도 프로파일의 조정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가 미리 규정된 한계 값 내에 있을지라도 품질 검사의 결과를 기반으로 특히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에서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의 조정이 수행된다면 유리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의 시간적인 진전 사항(temporal development)의 드리프트(drift)는 이미 완화되거나 보상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의 조정은, 특히 사용자 개입 없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의 조정이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시설의 사용자 또는 운영자에게 제안되고 사용자가 제안을 승인한 경우에만 수행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점검 시설에서 수행되기에 적합하다. 점검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설명된 점검 시설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부가적으로 다음을 갖는다:
점검될 작업물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에 의해 결정된 작업물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작업물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 및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
제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점검 설비는 특히 설명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점검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 및/또는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갖고 있다.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은, 예를 들어 로봇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은 또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형성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로봇은 처리 유닛과 점검 유닛 모두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교대로 작업물의 처리는 물론 점검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점검 유닛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센서는 본 명세서에서 점검 센서로도 지칭된다.
점검 센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에어리어 센서, 라인 센서 및/또는 포인트 센서이며, 여기서 각 경우에 가시광선, UV 방사선 및/또는 적외 방사선, 예를 들어 열 방사선의 검출이 제공된다.
점검 센서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센서도, 예를 들어 가열 및/또는 손상 및/또는 오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공기 퍼지 또는 다른 퍼지가 점검 센서의 하우징 내에 아니면 그의 환경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압축 공기 퍼지의 경우, 예를 들어 압축 공기 라인은 특정 점검 센서에 공급하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 및/또는 파워 라인과 함께 공통 매질 덕트 또는 케이블 덕트에 라우팅(routed)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러한 점검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이 갠트리-작업물은 점검되기 위하여 이 갠트리(gantry)를 통하여 운반될 수 있다-로써 형성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작업물은 갠트리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을 통하여 컨베이어 디바이스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은 작업물 위로 이동하여 이를 점검할 수 있는 갠트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점검 유닛은 특히 처리 설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처리 설비의 특징들 및/또는 이점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처리 설비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
작업물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점검 설비;
작업물을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을 통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점검 설비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및/또는 작업물을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을 통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으로부터 멀리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이 처리 설비의 처리 스테이션 및/또는 후처리 스테이션에 통합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을 갖는, 처리 스테이션 및/또는 후처리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에 의하여, 특정 작업물의 점검이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인트 재료로 마무리된 작업물 표면의 품질을 가능한 빨리 평가하기 위하여, 특히 처리 설비에서의 작업물의 완료 후 및/또는 점검 영역 또는 점검 스테이션에서의 작업물의 점검 후에, 최소한의 가능한 시간 및/또는 재정적 손실 및/또는 낭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동 점검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처리(특히 표면 마무리) 후 정성적 작업물 매개변수를 측정하고, 제거하며, 전체 생산 체인 내의 설비 매개변수 및/또는 작업물 매개변수로부터의 결과를 작업물에 대한 특정 수명 기록으로서 저장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특징 및/또는 이점은 하기 설명 및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에서의 표현의 주제이다.
도 1은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의 처리 스테이션을 통한 개략적인 수직 종단면도로서, 이 처리 스테이션은 페인팅 설비로서 형성된다;
도 2는 건조기로 형성된 처리 설비의 처리 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로부터의 건조기의 건조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처리 설비의 처리 스테이션의 배출구 록(lock)을 통한 개략적인 수직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고온계로서 형성된 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후처리 설비의 후처리 스테이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작업물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의 차량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작업물을 점검하고 후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단순화된 형태로 방법 시퀀스를 도시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11은 대안적인 방법 시퀀스를 도시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유사한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8에서 전체로서 100으로 표시된 처리 설비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작업물(102), 특히 차체(104)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처리 설비(100)는 특히 작업물(102)을 코팅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 자체로 예를 들어 복수의 처리 스테이션(106)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페인팅 설비(108) 형태의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이 제공되며, 특히 건조기(110) 형태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06)이 이 처리 스테이션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및 2 참조).
특히, 처리 설비(100)는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여 작업물(102)은 처리 설비(100)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특히, 작업물(102)은 컨베이어 디바이스(112)에 의하여 하나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부터 다음 처리 스테이션(106)으로 운반될 수 있다.
페인팅 설비(108)로서 형성된 처리 스테이션(106)은 특히 페인팅 챔버(114)를 포함하고 있으며, 페인팅 챔버 내에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 예를 들어 페인팅 로봇(118)이 배열되어 있다.
특히, 작업물(102)은 운반 방향(120)으로 페인팅 챔버(114)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특히, 공기를 페인팅 챔버(114)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안내 디바이스(124)의 플리넘(plenum)(122)이 페인팅 챔버(114) 위에 배열되어 있다.
페인팅 챔버(1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필터 설비(126)가 바람직하게는 페인팅 챔버(114) 아래에 배열되어 있다.
특히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건조기(110)로서 형성된 처리 스테이션(106)은 특히 복수의 공기 안내 디바이스(124)를 포함하며, 공기 안내 디바이스들의 각각은 예를 들어 재순환 모듈(128)로서 구성되고, 또한 각 경우에 건조 챔버 부분(130)과 함께 건조기(110)의 복수의 건조기 모듈(132)을 형성한다.
건조 챔버 부분(130)들은 함께 건조기(110)의 건조 챔버(134)를 형성한다.
작업물(102)은 컨베이어 디바이스(112)에 의하여 운반 방향(120)으로 건조 챔버(134)를 통해 운반될 수 있다
건조기(110)의 각 재순환 모듈(128)은 바람직하게는 건조기(110)의 공기 안내 디바이스(124)의 분배 챔버(136)를 통하여 그의 연관된 건조 챔버 부분(130)에 연결되어 있다.
분배 챔버(136)를 통하여, 재순환 모듈(128)에서 조절된 공기는 분배, 특히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공급 디바이스(138), 예를 들어 유입구 노즐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 공기는 공급 디바이스(138)를 통해 건조 챔버 부분(130) 내로 도입된다.
배기 공기는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140)를 통해 특정 건조 챔버 부분(130)으로부터 배출되며, 예를 들어 배출 덕트(142)를 통해 수집되고 및/또는 재생을 위하여 재순환 모듈(128)로 복귀된다.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구 록(lock)(144)은 바람직하게는 처리 스테이션(106)의 한 종단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구 록(144)에 의하여, 특히 처리 스테이션(106) 내에서 지배적인 분위기는 특정 처리 챔버로부터의 작업물(102)의 제거로 인한 교란(disturbance)을 최소화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작업물(102)이 페인팅 설비(108)에서 도색되고 건조기(110)에서 건조되면, 작업물은 예를 들어 건조기(110) 뒤의 수동 점검 스테이션(미도시)으로 공급된다. 이 점검 스테이션에서, 예를 들어, 적절하게 훈련된 인원은 작업물(102)이 요구되는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예를 들어, 도포된 페인트가 미리 규정된 색상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오염 물질 및 기타 페인트 결함이 없는지 여부가 조사된다. 결함이 검출되면, 결함은 예를 들어 연마에 의해 수동으로 교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작업물(102)의 결함 점검 및/또는 후처리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설비(100)는 바람직하게는 이 목적을 위하여 점검 스테이션(146)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점검 스테이션은 특히 자동 점검 스테이션(146)이다.
점검 스테이션(146)은, 예를 들어 갠트리(gantry)(148)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작업물(102)은 점검받기 위하여 이 갠트리를 통하여 운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점검 스테이션(146)은 별도의 점검실 또는 점검 영역에 배열될 수 있으며, 작업물(102)은 컨베이어 디바이스(112)에 의해 이 점검실 또는 점검 영역으로 운반될 수 있다.
각 실행 가능한 실시예에서, 점검 스테이션(14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을 포함하고 있으며, 점검 유닛들은 특히 하나 이상의 수용 디바이스(152)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점검 유닛(150)들 각각은 대응하는 수용 디바이스(152) 내에 영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은 이동식 및/또는 휴대용일 수 있으며 또한 대응하는 수용 디바이스(152) 상에 단지 일시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점검 유닛(150)은 특히 하나 이상의 센서(154)이거나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설비(100)는 또한 점검 스테이션(146)과 독립적으로 및/또는 점검 스테이션(146)과 협력하여 작동하는 센서(154)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센서(154)는 바람직하게는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설비 매개변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작업물 매개변수는 처리될 작업물(102)과 관련된 매개변수이다.
예를 들어, 고온계(pyrometer)(156)(도 5 참조)와 같은,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54)는 작업물 온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물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설비 온도 및/또는 공기 온도는, 예를 들어 온도계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154)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온도계는, 예를 들어 건조기(110)로서 형성된 처리 스테이션(106) 내의 접촉 온도 센서(158)로서 형성된 센서(154)이다. 이러한 접촉 온도 센서(158)에 의해, 특히 접촉 온도 센서(158) 주위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는 쉽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페인팅 설비(108) 및/또는 건조기(110) 내에서, 센서(154)는 바람직하게 영구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센서(154)는 플리넘(122) 내의 공기 온도, 필터 설비(126) 내의 공기 온도 및/또는 페인팅 챔버(114) 내의 공기 온도를 검출한다.
더욱이, 고온계(156)는 페인팅 챔버(114)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비접촉식으로 작업물(102)의 작업물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건조기(110)에서, 예를 들어 영구적으로 설치된 센서(154)는 재순환 모듈(128) 내에, 분배 챔버(136) 내에 및/또는 건조기 챔버(134)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센서(154)는, 예를 들어 배출 덕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54)가 처리 스테이션(106)의 플로어(160)에 배열된다면 유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54)는, 예를 들어 고온계(156)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작업물(102)의 밑면 상의 작업물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고온계(156)의 고온계 측정 유닛(162)에서의 오염을 방지하고 및/또는 과도한 온도를 피하기 위해, 고온계 측정 유닛(162)은 하우징(164) 내에 배열 및/또는 수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하우징은, 예를 들어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싱(bushing)(166)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고온계 측정 유닛(162)은 하우징(164)의 리셉터클(168) 상에 장착되며, 또한 예를 들어 록 너트(lock nut)(170)에 의해 나사 결합 및/또는 고정되어 있다.
특정 처리 스테이션(106)의 처리 챔버를 향하는 하우징(164)의 종단에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요소(172)를 가지며, 이 윈도우 요소에 의하여 고온계 측정 유닛(162)은 각각의 측정 처리 챔버 내의 대기로부터 보호된다.
윈도우 요소(172)는, 예를 들어 황화아연(ZnS)으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자외 방사선, 가시광 및 적외 방사선을 포함하는 파장 범위의 투과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요소(172)는 고온계(156)의 유지 요소(174)에 의하여 하우징(164)의 윈도우 지지대(176) 상에서 유지된다.
유지 요소(174)는, 예를 들어 윈도우 요소(172)를 고정, 특히 클램핑하기 위한 유지 링(178)이다.
고온계(156)는 또한 윈도우 요소(172)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서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이 커버는 그러면 특히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온계 측정 유닛(162)에 의해 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만 개방된다. 고온계 측정 유닛(162)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커버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164) 및/또는 고온계(156)의 주변 영역의 (공기) 퍼지(purging)(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 특히 고온계 측정 유닛(162) 및/또는 윈도우 요소(172)를 가열 및/또는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센서(154)뿐만 아니라 그의 언급된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포괄적인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특히 작업물(102)의 처리 결과에 관한 결론이 도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하여, 작업물(102)의 처리된 표면 내 또는 상의 결함이 바람직하게는 검출되고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작업물(102)로부터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작업물(102)의 자동적인 후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 설비(100)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후처리 스테이션(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처리 스테이션은 또한 처리 설비(100)의 처리 스테이션(106)을 형성한다.
후처리 스테이션(180)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은, 예를 들어 페인팅 로봇(118)으로서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8)은, 예를 들어 연마 로봇(182)으로서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은, 예를 들어 점검 유닛(150)으로서 추가로 형성된다.
특히, 모든 처리 유닛(116)은 처리, 특히 연마 및/또는 페인팅, 및/또는 작업물(102)의 점검을 허용하는 로봇이다.
특히, 처리, 예를 들어 페인팅 공정 및/또는 연마 공정 및/또는 작업물(102)의 점검이 동일한 로봇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로봇은 (더 상세하게 보여지지 않는) 교체 가능한 헤드를 가질 수 있다.
후처리 스테이션(180), 특히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은 특히 처리 설비(100)의 제어 디바이스(보이지 않음)에 의하여, 특히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해 획득된 작업물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특히, 작업물(102) 상의 결함, 예를 들어 개재물(inclusion)의 위치 및/또는 정도 및/또는 특성이 이 점검 스테이션(146)에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으로 전달된다.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해 불량으로 식별된 작업물(102)이 후처리 스테이션(180)에 자동적으로 공급되면, 작업물(102)은 또한 결과적으로 자동적으로 후처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업물(102)을 무결함 상태로 하기 위해 사용자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작업물(102)이 후처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는 바람직하게는 건조기(110) 뒤의 차량 기반 컨베이어 디바이스(112)이다.
이와 같이, 이 컨베이어 디바이스는 특히 복수의 차량(184)을 포함하며, 이 차량은 특히 자주식(self-propelled) 운송 차량으로서 형성되고 또한 독립적으로, 특히 자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차량(184)은 특히 홀 플로어 또는 다른 플로어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작업물(102)은, 특히 어댑터 디바이스(186)에 의해 차량(184)의 하나 이상의 수용 요소(188) 상에 배열되어 있다.
차량(184)에 의해, 작업물(102)은, 특히 필요에 따라 후처리 스테이션(180)의 이송 스테이션(19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작업물은 예를 들어 스테이션 컨베이어 디바이스(192)로 이송될 수 있다.
특정 작업물(102)이 스테이션 컨베이어 디바이스(192)에 의해 후처리 스테이션(180)의 처리 챔버로 도입되고 처리 챔버를 통하여 안내되며 및/또는 처리 챔버 밖으로 안내되는 동안에, 차량(184)은 이후 추가 운송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추가 이송 스테이션(190)에서, 후처리된 작업물(102)은 바람직하게 스테이션 컨베이어 디바이스(192)로부터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로, 예를 들어 차량(184)으로 다시 이송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처리 스테이션(180)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을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에 인접한다.
따라서 배출구 록(144)에서의 점검 스테이션(146)은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한 재개된 점검은 이에 의하여 후처리 스테이션(180)에서의 후처리 직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수의 센서(154) 및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이 처리 설비(100) 내에 제공된다는 사실로 인하여, 처리 설비(100)가 바람직하게는 높은 자동화 정도로 작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매우 정확한 결함 검출 및/또는 자동 결함 제거가 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9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처리 설비(100)의 한 작동 모드에 대해 다음 사항이 제공될 수 있다:
1. 처리 스테이션(106) 후, 모든 작업물(102)은 자동 결함 점검부 (점검 스테이션(146))로 이동한다.
2. 그 후, 작업물(102)의 특정 선택 (예를 들어, 매초)은 품질 측정(품질 검사 스테이션(194))으로 라우팅된다. 작업물(102)의 선택은, 예를 들어 색조, 작업물의 유형, 작업물의 특성, 공정 또는 기타 정보에 의존한다.
a. 예를 들어 층 두께, 구조 및 색조가 임의의 결함을 보여주지 않는 위치에서만 측정 (점검 스테이션(146)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된다.
b. 이 측정은 항상 동일한 패턴을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특히 필요에 따라 공정-규정된 방식으로 제어된다.
3.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에서, 이전에 검출된 결함이 개선된다. 이전 스테이션(146 및/또는 194)에서 결함이 없거나 이미 "불량품" 또는 현장 수리 작업물(102)로 결정된 작업물(102)은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으로 직접 운반된다.
4.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으로부터의 작업물(102)은 추가 점검 스테이션(146)에서 결함에 대해 다시 점검되며, 아마도 이전과 동일할 수도 있다. 재개된 "점검"은 결함이 개선되었는지 여부 또는 새로운 결함이 추가되었는지 여부를 보여준다. 여전히 결함이 존재한다면, 작업물(102)은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으로 복귀된다.
5. 모든 작업물(102)은 수동 워크스테이션 (특히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으로 운반되며 또한 구체적으로 점검되고- 필요한 경우 다시 마무리된다. 더 작은 결함은 직접 처리되며; 더 큰 결함에 대해, 작업물(102)은 현장 수리 스테이션(199)으로 전달된다.
6. 마지막으로, 작업물(102)은 보관 시설(198) (아마도 하이-베이(high-bay) 보관 시설 )로 운송된다.
스테이션(146, 194, 180, 196, 199) 각각은, 예를 들어 박스 또는 개별 공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작업물(102)은 특히 차량(184)에 의해 스테이션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스테이션에 놓여질 수 있고 및/또는 스테이션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음 공정 단계에 관한 다수의 포인트에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의 데이터 (작업물 매개변수, 설비 매개변수, 작동 결과 매개변수)가 바람직하게는 의사 결정을 위해 사용된다:
● 결정 Ⅰ-품질 측정으로 보냄?:
점검 스테이션(146) 뒤에 배열되며, 작업물(102)이 품질 측정으로 또는 결정 필드 Ⅱ로 라우팅되는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의 작업물(102)이 품질 측정으로 라우팅된다:
o X의 샘플- 제조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o (도 9의 입력부(206)로서 지시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 페인팅 이전 차체, 공정 엔지니어링, 공정 기술 또는 색상 혼합 공간으로부터의 정보 기반.
o 공정에서의 오작동 또는 편차를 경험한 작업물(102)
o 새로운 색조가 적용되었던 작업물(102)
o 새로운 작업물
o 표시된 작업물(102), 즉 다양한 이유로 공정(예를 들어, 차체 파트(shop) 또는 페인트 파트)의 과정 중에 점검을 위해 표시된 작업물(102). 이는 작업물이 번거로운 방식으로 추적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킹할 때 작업자는 작업물의 어느 부분이 더 자세히 점검될지를 특정하는 선택권이 있다. 작업물(102)이 마킹된 공정 단계 또한 도 기록된다.
이 기준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으면, 결정 Ⅱ가 뒤따른다.
● 결정 Ⅱ-후처리로 보냄?:
점검 스테이션(146) 뒤에 배열되고 결정 Ⅰ후에, 작업물(102)이 특히 자동 그라인딩 및 연마를 위하여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으로 또는 결정 Ⅲ으로 라우팅되는지가 결정된다.
다음 작업물(102)가, 특히 자동 샌딩 및 연마를 위하여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으로 라우팅된다:
o 샌드 처리(sanded)되고 연마될 수 있는 결함을 갖는 작업물
이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결정 Ⅲ가 뒤따른다.
● 결정 Ⅲ-작업물 정상(OK)?
제2 결함 점검 (점검 스테이션(146)) 후에 배열되며, 특정 작업물(102)이 수동 워크스테이션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으로 또는 결정 Ⅳ로 라우팅되는지가 결정된다.
다음의 작업물(102)이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으로 라우팅된다:
o 제2 결함 점검 (검사 스테이션 (146)) 후 정상(OK)으로 평가된 작업물(102).
o 모든 결함이 성공적으로 처리될 수 있었다.
이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결정 Ⅳ가 뒤따른다.
● 결정 Ⅳ-실행 횟수>x?
결정 Ⅲ 후에 배열되며, 특히 자동 샌딩 및 연마를 위하여 작업물이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으로 또는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으로 라우팅되는지가 결정된다.
아래의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다음의 작업물(102)은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으로 라우팅된다.
o 여전히 결함이 있는 작업물(102)
o 개별 결함이 적어도 x 번 처리되었다.
이 기준 모두가 충족되지 않으면, 작업물(102)은 자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에서 다시 재작업된다.
●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결정 Ⅲ:
제2 결함 점검(점검 스테이션 146) 뒤에 배열되고 결정 Ⅱ 후에, 작업물(102)이 수동 워크스테이션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80))으로 또는 결정 Ⅳ로 라우팅되는지가 결정된다.
다음 작업물(102)이 수동 워크스테이션으로 라우팅된다:
o 처음에는 모두
o 결함에 대해 완전히 스캔될 수 없는 작업물(102)
o 새로운 색상 또는 시도된 다른 기능을 갖는 새로운 유형의 작업물(102)
o 결함 점검 2 후 결함이 있는 작업물(102)
o X의 샘플 - 제조업체가 결정할 수 있음
o 자동 샌딩 또는 연마에 의하여 결함이 수리될 수 없다면 결함 점검 1 후 결함이 있는 작업물(102)
o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작업물(102)
o 공정, 페인팅 이전 차체, 공정 엔지니어링 또는 기타로부터 이상을 보여주는 작업물(102)
이 기준들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으면, 결정 Ⅴ가 뒤따른다.
●결정 V:
수동 워크스테이션 (수동 후처리 스테이션(196)) 뒤에 배열되고 결정 Ⅳ 후에, 작업물(102)이 저장 설비(198)로 또는 결정 Ⅵ로 라우팅되는지가 결정된다.
다음 작업물(102)이 저장 시설(198)에 라우팅된다
o 정상(OK)인 작업물(102)
●결정 Ⅵ:
결정 Ⅴ이후에 배열된 작업물(102)이 현장 수리 스테이션(199)으로 운반되는지 또는 불량품(200)으로 간주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된다. 후자의 경우, 작업물(102)은 제2 실행(run)으로 알려진 것으로 선언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그렇지 않으면 저장 설비(198)로 라우팅될 수 있다.
다음 작업물이 현장 수리 스테이션(199)으로 라우팅된다:
o 결함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연마될 수 없다면, 결함 점검 1(점검 스테이션(146)) 후 결함이 있는 작업물(102)
o 수동 워크스테이션 후 불량 작업물(102)
o 소수의 작업물(102) 상에만 있고 여전히 개선될 수 있는 결함을 갖는 작업물(102)
위에서 설명된 결정 필드를 기반으로, 하여 작업물(102)에 대한 다양한 이동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도 10에 다시 보여진다. 점검 스테이션(146)들이 결합된다면, 이동 옵션은 도 11에서 보여진 바와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 작업물(102), 특히 차체(104)를 점검하는 방법은:
- 점검될 작업물(102)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점검될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처리 및/또는 컴파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각 작업물(102)에 대해 생성된다.
2.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은,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가 미리 규정된 품질 기준 내의 처리 결과로 이어졌는지 또는 이어질 것인지 여부가 개별적으로 각 작업물(102)에 대해 또는 공동으로 복수의 작업물(102)에 대해 데이터 세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은, 결정이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 전에,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 중에 및/또는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방법은, 다음 매개변수의 하나 이상이 작업물 매개변수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국부적으로 측정된 작업물 온도;
- 면적적으로 측정된 및/또는 평균화된 작업물 온도 또는 작업물 온도 분포;
- 특히 풍속계 형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국부 속도, 특히 작업물에서의 및/또는 주변의 공기의 흐름 속도;
- 작업물 표면의 측정된 반사 특성;
- 작업물 표면의 측정된 흡수 특성;
- 작업물 표면의 측정된 방출 특성;
-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결정된 국부적인 작업물 온도;
-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결정된 작업물(102) 상의 온도 분포;
- 특정 작업물(102)의 특성 및/또는 유형에 관한 정보;
-물리적 및/또는 생산 관련 작업물 특성에 관한 정보
- 개별 작업물 식별 번호;
- 처리에 앞선 특정 작업물(102)의 제조 및/또는 처리에 관한 정보;
- 처리 후의 특정 작업물(102)의 후처리 및/또는 추가 처리에 관한 정보.
5.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방법은, 다음 매개변수의 하나 이상이 설비 매개변수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 내의 전역적으로 측정된 온도 및/또는 측정된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 온도 분포;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의 하나 이상의 공기 안내 디바이스(124)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의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디바이스(112)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 작업물 처리를 위한 공기 흐름 및/또는 처리 매질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 설비(126) 및/또는 세정 설비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6.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방법은, 상관관계 데이터는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상관관계 데이터는 a)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와 b)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실시예 6에 따른 방법은,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은 상관관계 데이터로서 또는 상관관계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에 의해, 하나 이상의 처리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감각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처리의 수행 중에 및/또는 처리의 수행 후에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결정되며, 하나 이상의 감각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하나 이상의 미리 규정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와 비교되며, 특히 특정 작업물(102)의 처리가 하나 이상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반영하는 품질 매개변수가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 실시예 6 내지 8에 따른 방법은, 다음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이 처리 결과 매개변수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코팅부의 두께;
-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 코팅부의 층 두께의 균일성;
-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 코팅부의 경도;
-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 코팅부의 오염 정도;
- 처리의 수행 중 및/또는 후, 작업물(102)의 온도의 공간적 분포 및/또는 시간적 과정;
- 작업물(102)에 대한 처리에 의해 생성된 국부 온도 최대값(maxima) 및/또는 온도 최소값(minima)의 위치;
- 특정 작업물(102) 상의 측정된, 시뮬레이션된 및/또는 예상된 결함 또는 기타 품질 결함, 특히 코팅 결함의 위치 및/또는 범위에 관한 정보.
10. 실시예 1 내지 9에 따른 방법은, 작업물 특정-데이터 세트가,
-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감각적 처리 결과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미리 규정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
- 하나 이상의 품질 매개변수에 의하여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작업물(102)의 데이터 세트가 서로 비교되며, 연관되고 및/또는 결합되며, 특히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의 시간 경과에 따른 진전 사항을 반영하는 공정 데이터 세트가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은, 작업물(102) 상의 결정된 및/또는 예상되는 품질 결함의 가능한 소스 및/또는 원인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 위하여, 공정 데이터 세트는 특히 데이터 마이닝 방법 및/또는 딥 러닝 방법에 의해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 실시예 1 내지 12에 따른 방법은,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 특히 처리 설비(100)의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은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및/또는 복수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공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에 관련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4. 실시예 1 내지 13에 따른 방법은, 특히 특정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해 특정 작업물(102)이 운반되는 컨베이어 경로를 달라지게 하고 및/또는 선택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는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및/또는 복수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부터 획득 가능한 공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5. 실시예 1 내지 14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가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에서 수행된 후 작업물(102)이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180)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6. 실시예 1 내지 15에 따른 방법은, 후처리 스테이션(180)은 자동 처리 스테이션(106)이며, 작업물(102)은 후처리 스테이션 내에서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는 다른 품질 결함을 갖는 그의 결함 포인트 또는 영역에서 특히 자동적으로 재작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7. 실시예 15 또는 16에 따른 방법은, 작업물(102)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가 후처리 중 및/또는 후에, 특히 후처리의 수행과 관련된 작업물 매개변수에 의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180)과 관련된 설비 매개변수에 의하여 및/또는 처리-특정 및/또는 작업물 특정이고 후처리의 결과로 발생하는 처리 결과 매개변수에 의하여 수정 및/또는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8. 실시예 15 내지 17에 따른 방법은,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수정 및/또는 보완된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후처리 단계가 수행된 후 작업물(102)이 하나 이상의 추가 후처리 스테이션(180)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9. 작업물(102), 특히 차체(104)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는:
- 점검될 작업물(102)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점검될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점검 스테이션(146);
- 실시예 1 내지 18 중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를 각 작업물(102)을 위하여 생성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되고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20.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특히 차체(104)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는:
-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
- 작업물(102)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특히 실시예 19에 따른 점검 설비;
- 작업물(102)을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을 통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으로부터 멀리 점검 설비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및/또는 작업물(102)을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을 통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부터 멀리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 운반할 수 있는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를 포함한다.
21. 작업물(102)을 점검하는 방법, 특히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른 방법은:
- 자동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하여 점검될 작업물(102)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것;
-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하여 결정된 작업물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작업물(102)을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22. 실시예 21에 따른 방법은, 작업물(102)은 후처리되며, 이 경우 결함으로서 분류되거나 작업물(102) 상에 결함을 초래하는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는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실시예 21 또는 22에 따른 방법은,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하여 결정된 모든 작업물 매개변수가 결함이 없는 것으로 분류되고 작업물(102) 상에 어떠한 결함도 초래하지 않는다면 작업물(102)은 후처리를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4. 실시예 21 내지 23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작업물(102)이 점검 스테이션(146)의 하류에 있는 품질 검사 스테이션(194)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5. 실시예 24에 따른 방법은, 품질 검사 스테이션(194)에 공급되는 작업물(102)이 모든 제조된 및/또는 처리된 작업물(102)로부터의 선택이며, 이 작업물(102)만이 품질 검사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6. 실시예 25에 따른 방법은, 품질 검사 스테이션(194)에 공급될 작업물(102)의 선택이 측정된 및/또는 계산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작업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및/또는 측정된 및/또는 계산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특히 다음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 코팅부의 층 두께의 균일성;
- 코팅부의 두께;
- 코팅부의 경도;
-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 특정 작업물(102)의 특성 및/또는 유형에 관한 정보;
- 물리적 및/또는 생산 관련 작업물 특성에 관한 정보;
- 개별 작업물 식별 번호;
- 처리에 앞서 특정 작업물(102)의 제조 및/또는 처리에 관한 정보;
- 처리에 이은 특정 작업물(102)의 후처리 및/또는 추가 처리에 관한 정보;
- 특정 작업물(102) 상의 측정된, 시뮬레이션된 및/또는 예상된 결함 또는 기타 품질 결함, 특히 코팅 결함의 위치 및/또는 범위에 관한 정보.
27. 조항 24 내지 26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매개변수들 중 하나 이상이 품질 검사 중에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및/또는 구배 및/또는 광택 레벨;
-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 코팅부의 층 두께의 균일성;
- 코팅부의 두께;
- 코팅부의 경도;
-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 코팅부의 오염 정도;
- 작업물 표면의 반사 특성;
- 작업물 표면의 흡수 특성;
- 작업물 표면의 방출 특성.
28. 실시예 24 내지 27에 따른 방법은, 품질 검사 중에, 품질 측정은 점검 스테이션(146)에서의 점검 결과에 따라 결함이 없는 작업물(102)의 포인트에서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9. 실시예 24 내지 28에 따른 방법은, 품질 측정의 결과가 특히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에서 하나 이상의 시설 매개변수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0. 실시예 24 내지 39에 따른 방법은, 품질 측정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가 미리 규정된 제한 값 내에 있는 경우에도 특히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 내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의 조정은 수행되며, 특히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의 시간적 진전 사항의 드리프트는 이미 완화되거나 보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1. 특히 실시예 19에 따른 점검 설비 내에서 작업물(102)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는:
- 점검될 작업물(102)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
-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에 의해, 특히 실시예 21 내지 30에 따른 방법에 의해 결정된 작업물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작업물(102)을 분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 및 구성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32. 실시예 31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 각각이 로봇으로 형성되거나 로봇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3. 실시예 31 또는 32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이 갠트리(148)로서 형성되며, 작업물(102)이 점검되기 위하여 갠트리를 통해 운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4.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특히 차체(104)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에 있어서, 처리 설비(100)는:
-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
- 작업물(102)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특히 실시예 19 또는 31 내지 33에 따른 점검 설비;
- 작업물(102)을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을 통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으로부터 멀리 점검 설비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으로 운반시킬 수 있으며 및/또는 작업물(102)을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을 통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부터 멀리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 운반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를 포함한다.
35. 실시예 34에 따른 점검 설비(100)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이 처리 설비(100)의 처리 스테이션(106)에 및/또는 후처리 스테이션(180)에 통합되며, 특정 작업물(102)의 점검은 처리 스테이션(106)의 및/또는 후처리 스테이션(180)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스테이션들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6. 작업물(102)을 점검하기 위한, 특히 실시예 19 및 31 내지 33에 따른 점검 설비는,
-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을 포함한다.
37. 실시예 36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 각각이 휴대용 및/또는 이동식 점검 유닛(150)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디바이스(152)를 형성하거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8. 실시예 36 또는 37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 각각은 하나 이상의 영구적으로 설치된 점검 유닛(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9. 실시예 36 내지 38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이 갠트리(148)로서 형성되며, 작업물(102)은 점검되기 위하여 갠트리를 통해 운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0. 실시예 36 내지 39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이 작업물을 점검하기 위하여 작업물(102) 위로 이동될 수 있는 갠트리(148)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1. 실시예 39 또는 40에 따른 점검 설비는, 갠트리(148)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은 록(lock), 특히 처리 설비(100)의 배출구 록(144)에 통합되거나 록을 형성하며, 특히 측정 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 점검 스테이션(146)의 점검 영역은 퍼지 매질, 예를 들어 신선한 공기로 퍼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2. 실시예 36 내지 41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이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스테이션(106) 내에 및/또는 처리 유닛(116)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3. 실시예 36 내지 42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이 처리 스테이션(106)의 플로어, 벽 및/또는 천장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4. 실시예 36 내지 43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이 로봇, 예를 들어 샌딩 로봇, 페인팅 로봇(118) 및/또는 연마 로봇(182)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5. 실시예 44에 따른 점검 설비는, 작업물(102)들이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50)에 의해 점검되고, 로봇에 의해 처리, 특히 샌딩, 페인팅 및/또는 연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6. 실시예 44에 따른 점검 설비는, 로봇이 교환 디바이스 및/또는 회전 디바이스를 가지며, 특히 작업물(102)을 선택적으로 샌딩(sanding), 연마, 페인팅 및/또는 점검하기 위하여 샌딩 유닛 및/또는 연마 유닛 및/또는 페인팅 유닛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은 교환 디바이스 및/또는 회전 디바이스에 의하여 작업물(102)과 선택적으로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7. 실시예 36 내지 46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46)이 고온계(156)로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의 고온계(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8. 실시예 36 내지 47에 따른 점검 설비는, 하나 이상의 점검 유닛(146)이 커버를 가지며, 특히 작업물(102)의 처리 동안 특정 점검 유닛(146)은 이 커버로 덮힐 수 있고, 커버는 특히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전동 방식으로 열린 위치로 그리고 닫힌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9. 실시예 36 내지 48에 따른 점검 설비는, 점검 설비가 퍼지 디바이스, 특히 압축 공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점검 유닛에 의하여 검출되는 작업물(102)의 측정 영역은 퍼지 디바이스에 의하여 퍼지 매질에 노출되고 바람직하게는 오염 물질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0. 실시예 49에 따른 점검 설비는, 퍼지 디바이스가 로봇, 예를 들어 샌딩(sanding) 로봇, 페인팅 로봇(118) 및/또는 연마 로봇(182) 상에 배열되며, 로봇에 의해 검출될 작업물(102)의 측정 영역과 정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20)

  1. 작업물(102), 특히 차체(104)를 점검하는 방법으로서,
    점검될 상기 작업물(102)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점검될 상기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처리 및/또는 컴파일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가 각 작업물(102)에 대해 생성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가 미리 규정된 품질 기준 내의 처리 결과로 이어졌는지 또는 이어질 것인지 여부가 개별적으로 각 작업물(102)에 대해 또는 공동으로 복수의 작업물(102)에 대해 상기 데이터 세트에 의하여 결정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상기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 전에, 상기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 중에 및/또는 상기 특정 작업물(102) 또는 작업물(102)들의 처리 후에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의 매개변수들:
    국부적으로 측정된 작업물 온도;
    면적적으로 측정된 및/또는 평균화된 작업물 온도 또는 작업물 온도 분포;
    특히 풍속계 형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국부 속도, 특히 작업물에서의 및/또는 주변의 공기의 흐름 속도;
    작업물 표면의 측정된 반사 특성;
    작업물 표면의 측정된 흡수 특성;
    작업물 표면의 측정된 방출 특성;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결정된 국부적인 작업물 온도;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결정된 작업물(102) 상의 온도 분포;
    특정 작업물(102)의 성질 및/또는 유형에 관한 정보;
    물리적 및/또는 생산 관련 작업물 특성에 관한 정보
    개별 작업물 식별 번호;
    처리에 앞선 특정 작업물(102)의 제조 및/또는 처리에 관한 정보;
    처리 후의 특정 작업물(102)의 후처리 및/또는 추가 처리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작업물 매개변수로서 제공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매개변수들: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에서의 전역적으로 측정된 온도 및/또는 측정된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 온도 분포;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의 하나 이상의 공기 안내 디바이스(124)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의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디바이스(112)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의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116)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작업물 처리를 위한 공기 흐름 및/또는 처리 매질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 설비(126) 및/또는 세정 설비의 하나 이상의 작동 매개변수 중 하나 이상이 설비 매개변수로서 제공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관관계 데이터는 상기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상관관계 데이터는 a)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와 b)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설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은 상관관계 데이터로서 또는 상기 상관관계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시뮬레이션 데이터 및/또는 시뮬레이션 기능에 의해, 하나 이상의 처리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계산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감각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처리의 수행 중에 및/또는 처리의 수행 후에 하나 이상의 센서(154)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각 처리 결과 매개변수는 하나 이상의 미리 규정된 및/또는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와 비교되며, 특히 특정 작업물(102)의 처리가 하나 이상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반영하는 품질 매개변수가 획득되는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매개변수들:
    코팅부의 두께;
    코팅부 및/또는 기재 표면의 품질, 특히 코팅부의, 특히 각 층 또는 개별 층의 평탄성 및/또는 거칠기;
    코팅부의 층 두께의 균일성;
    코팅부의 색조 및/또는 밝기 및/또는 색상 정합 및/또는 흐름 및/또는 광택 레벨;
    코팅부의 경도;
    코팅부의 화학적 조성, 특히 가교도 및/또는 용매 함량;
    코팅부의 오염 정도;
    처리의 수행 중 및/또는 후, 상기 작업물(102)의 온도의 공간적 분포 및/또는 시간적 과정;
    상기 작업물(102)에 대한 처리에 의해 생성된 국부 온도 최대값(maxima) 및/또는 온도 최소값(minima)의 위치;
    특정 작업물(102) 상의 측정된, 시뮬레이션된 및/또는 예상된 결함 또는 기타 품질 결함, 특히 코팅 결함의 위치 및/또는 범위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처리 결과 매개변수로서 제공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감각적 처리 결과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미리 규정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시뮬레이션된 처리 결과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품질 매개변수에 의하여 보완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작업물(102)의 데이터 세트가 서로 비교되며, 연관되고 및/또는 결합되며, 특히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결과 매개변수의 시간 경과에 따른 진전 사항을 반영하는 공정 데이터 세트가 획득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데이터 세트는 상기 작업물(102) 상의 결정된 및/또는 예상된 품질 결함의 가능한 소스 및/또는 원인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 위하여, 특히 데이터 마이닝 방법 및/또는 딥 러닝 방법에 의해 평가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 특히 상기 처리 설비(100)의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은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및/또는 복수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공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에 관련하여 제어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디바이스(112)는, 특히 특정 작업물을 처리하기 위해 특정 작업물(102)이 운반되는 컨베이어 경로를 달라지게 하고 및/또는 선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및/또는 복수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공정 데이터 세트에 따라 제어되는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처리 단계가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에서 수행된 후 상기 작업물(102)은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180)에 공급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스테이션(180)은 자동 처리 스테이션(106)이며, 상기 작업물(102)은 후처리 스테이션 내에서 상기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는 다른 품질 결함을 갖는 그의 결함부 또는 영역에서 특히 자동적으로 재작업되는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102)의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는 후처리 중 및/또는 후에, 특히 상기 후처리의 수행과 관련된 작업물 매개변수에 의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후처리 스테이션(180)과 관련된 설비 매개변수에 의하여, 및/또는 처리-특정 및/또는 작업물-특정이고 상기 후처리의 결과로 발생하는 처리 결과 매개변수에 의하여 수정 및/또는 보완되는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102)은 상기 특정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의 수정 및/또는 보완된 내용에 따라, 하나 이상의 후처리 단계가 수행된 후 하나 이상의 추가 후처리 스테이션(180)에 공급되는 방법.
  19. 작업물(102), 특히 차체(104)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로서,
    점검될 상기 작업물(102)의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 및/또는 점검될 상기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의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점검 스테이션(146);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물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설비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특히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각 작업물(102)에 대해 작업물-특정 데이터 세트를 생성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설정되고 구성되는 제어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점검 설비.
  20.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특히 차체(104)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설비(100)로서,
    상기 작업물(102)을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
    작업물(102)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 설비, 특히 제 19 항에 따른 점검 설비;
    작업물(102)을 상기 점검 설비의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을 통하여,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점검 스테이션(146)으로부터 멀리 운반할 수 있으며, 및/또는 작업물(102)을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을 통하여,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스테이션(106)으로부터 멀리 운반할 수 있는 컨베이어 디바이스(112)
    를 포함하는 처리 설비.
KR1020217040254A 2019-05-09 2020-04-29 작업물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기계가공 시스템 KR202200078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12099.3A DE102019112099B3 (de) 2019-05-09 2019-05-09 Überwachungsverfahren für eine Applikationsanlage und entsprechende Applikationsanlage
DE102019112099.3 2019-05-09
DE102019206846.4 2019-05-10
DE102019206846.4A DE102019206846A1 (de) 2019-05-10 2019-05-10 Verfahren zur Kontrolle von Werkstücken, Kontrollanlage und Behandlungsanlage
PCT/DE2020/100355 WO2020224713A1 (de) 2019-05-09 2020-04-29 Verfahren zur kontrolle von werkstücken, kontrollanlage und behandlung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877A true KR20220007877A (ko) 2022-01-19

Family

ID=7305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254A KR20220007877A (ko) 2019-05-09 2020-04-29 작업물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기계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928628B2 (ko)
EP (2) EP3966650B1 (ko)
JP (1) JP2022532089A (ko)
KR (1) KR20220007877A (ko)
CN (1) CN113795800A (ko)
DE (1) DE112020002305A5 (ko)
FI (1) FI3966650T3 (ko)
PT (1) PT3966650T (ko)
WO (1) WO2020224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6649A1 (de) 2019-05-09 2022-03-16 Dürr Systems AG Analyseverfahren und vorrichtungen hierzu
CN117244678B (zh) * 2023-10-11 2024-03-12 浙江艾领创矿业科技有限公司 砂磨机智能监测控制系统及方法
CN117680318B (zh) * 2024-02-02 2024-04-16 广东创昇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钢结构件喷漆烘干自动化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6793A (en) * 1978-03-17 1980-02-05 Antonov Vladimir A Automatic line for coated metal mould casting
DE4113556C3 (de) * 1990-04-26 2000-02-24 Mazda Motor Produktionseinrichtung zum Steuern von Produktionsvorgängen und Produktionssteuerverfahren für Produktionsvorgänge
JPH04358556A (ja) * 1991-06-04 1992-12-11 Honda Motor Co Ltd 塗装乾燥炉
JPH06148090A (ja) * 1992-11-09 1994-05-27 Toyota Motor Corp 塗装検査情報解析装置
US5555504A (en) 1994-06-10 1996-09-1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roduction line track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US6070128A (en) * 1995-06-06 2000-05-30 Eutech Engineering Solutions Limited Method for determining properties using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CA2266092C (en) * 1998-03-18 2008-10-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duct quality information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for such information
US6141598A (en) 1998-04-06 2000-10-3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ssembly l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850874B1 (en) * 1998-04-17 2005-02-0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 characteristic of a product attribute formed by a machining process using a model of the process
DE19857799A1 (de) * 1998-12-15 2000-06-21 Henkel Kgaa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ehandlungslinie
US6516239B1 (en) 1999-08-03 2003-02-04 Honda Of Canada Incorporated Assembly line control system
JP2002117107A (ja) 1999-09-02 2002-04-19 Ricoh Co Ltd 生産管理システム、生産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クライアント、生産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生産管理方法、生産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検索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取可能な記録媒体
DE10036741A1 (de) * 2000-07-27 2002-02-07 Duerr Systems Gmbh Verfahren und Kontrollsystem zur Kontrolle der Beschichtungsqualität von Werkstücken
US6528109B1 (en) 2000-09-13 2003-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paint quality control system
WO2002079974A2 (de) * 2001-03-29 2002-10-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erstellung von simulationsprogrammen
US20030061583A1 (en) 2001-09-14 2003-03-27 Numerical Technologies, Inc. Shape and look-up table based design rule checking (DRC) for physical verification of integrated circuit layouts
US20040025972A1 (en) * 2001-09-17 2004-02-12 Ibolya Bartik-Himmler Method of controlling a treatment line
US20030069781A1 (en) * 2001-10-09 2003-04-10 Hancock Noel K. Benchingmarking supplier products
US6714831B2 (en) * 2002-01-24 2004-03-30 Ford Motor Company Paint defect automated seek and repair assembly and method
CN1809656B (zh) 2003-03-04 2011-06-22 瓦尔斯帕供应公司 电涂管理系统
US7246156B2 (en) 2003-06-09 2007-07-17 Industrial Defender, Inc.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onitoring an industrial network
DE102004044414A1 (de) 2003-10-07 2005-05-04 Rodenstock Gmbh Automatische optische Sortierstation für die Endkontrolle von Brillengläsern
WO2005054968A1 (en) 2003-11-26 2005-06-16 Tokyo Electron Limited Intelligent system for detection of process status, process fault and preventive maintenance
DE102004019151A1 (de) 2004-04-21 2005-11-10 Daimlerchrysler Ag Rechnergestütztes Diagnosesystem auf der Basis von Heuristiken und System-Topologien
DE102004024262A1 (de) 2004-05-15 2005-12-01 Daimlerchrysler Ag Wissensbasiertes Diagnosesystem für ein komplexes technisches System mit zwei getrennten Wissensbasen zur Verarbeitung technischer Systemdaten und zur Verarbeitung von Kundenbeanstandungen
US20060190110A1 (en) 2004-11-05 2006-08-24 Holt Sean A Computer implemented system for management of vehicle painting operation
US7137773B1 (en) 2005-05-16 2006-11-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odel-based statistical process to determine diagnostic limits in a sensor position system for a turbocharger
US7451004B2 (en) 2005-09-30 2008-11-11 Fisher-Rosemount Systems, Inc. On-line adaptive model predictive control in a process control system
DE102006055297A1 (de) 2006-11-23 2008-05-29 Dürr Systems GmbH Werkstückträger zum Fördern eines zu lackierenden Werkstücks
DE102006056879A1 (de) 2006-12-01 2008-06-05 Dürr Systems GmbH Fehlerprotokollierungsverfahren für eine Beschichtungsanlage
US8255100B2 (en) 2008-02-27 2012-08-28 The Boeing Company Data-driven anomaly detection to anticipate flight deck effects
US7962472B2 (en) 2008-09-29 2011-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optimizing algorithm for real-time problem resolution using historical data
DE102008060115B4 (de) 2008-12-03 2010-08-26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zum automatischen Vorausbestimmen der Struktur endlackierter Bauteiloberflächen
DE102008062630A1 (de) 2008-12-17 2010-06-24 Airbu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Planen von Wartungsvorgängen von Systemen
US8782026B2 (en) 2011-03-31 2014-07-15 Honda Motor Co., Ltd. Color harmony with process and environmental feedback
US20130173332A1 (en) 2011-12-29 2013-07-04 Tom Thuy Ho Architecture for root cause analysis, prediction, and modeling and methods therefor
DE102012213481A1 (de) 2012-07-31 2014-02-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Fertigen von Werkstücken, bei dem das Werkstück abhängig von noch ausstehenden Bearbeitungsschritten einer Qualitätskategorie zugeordnet wird
CN104871097B (zh) 2012-12-13 2018-05-18 Abb 技术有限公司 用于监测和/或诊断工业工厂生产线操作的系统和方法
US9535808B2 (en) 2013-03-15 2017-01-03 Mtelligen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ed plant asset failure detection
US9665843B2 (en) 2013-06-03 2017-05-30 Abb Schweiz Ag Industrial asset health profile
DE102013014669A1 (de) * 2013-09-03 2015-03-05 Eisenmann Ag Ein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s Applikationsmaterials
DE102014201273A1 (de) 2014-01-24 2015-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utomatisierten Qualitätskontrolle bei der Serienherstellung von Blechformteilen und Anlage zur Serienherstellung von Blechformteilen
WO2016131968A1 (de) 2015-02-19 2016-08-25 Kuka Systems Gmbh Fertigungseinrichtung, fertigungsanlage und verfahren
MX2017011736A (es) 2015-03-13 2018-01-25 Color Harmony Experts S C Método para la armonizacion de color en artículos manufacturados.
DE102015006098A1 (de) * 2015-05-09 2016-11-10 Eisenmann Se Temperier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Werkstücken
US10430754B2 (en) * 2015-08-07 2019-10-01 Weir Group Ip Limited Monitoring parts in a facility
DE102015119240B3 (de) 2015-11-09 2017-03-30 ATENS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Systems GmbH Automatisches detektieren und robotergestütztes bearbeiten von oberflächendefekten
JP6649051B2 (ja) 2015-11-17 2020-02-19 Kyb株式会社 品質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10073421B2 (en) 2015-11-17 2018-09-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Predictive monitoring and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US11131978B2 (en) * 2015-12-28 2021-09-2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manufacturing parameters
CN109791516B (zh) * 2016-08-02 2023-02-14 西门子公司 用于在具有自x特性的自主系统中使用的监测和控制单元
JP6424874B2 (ja) * 2016-10-12 2018-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動作状態監視装置、学習データ生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6012451A1 (de) 2016-10-18 2018-01-04 Daimler Ag Verfahren zum Überwachen, Analysieren und Betreiben wenigstens einer Produktionsanlage
JP6933899B2 (ja) 2017-01-12 2021-09-08 横河電機株式会社 プラント運転支援装置、プラント運転支援方法、及びプラント運転支援プログラム
DE102017101228B4 (de) 2017-01-23 2022-12-15 Opti-Run GmbH Verfahren zum Prüfen eines auf einem Substrat aufgetragenen Stranges aus Klebstoff
US20190019096A1 (en) 2017-01-27 2019-01-17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Estimator, estimation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where program stored for model parameter estimation and model parameter estimation system
GB2559164B (en) 2017-01-27 2021-11-10 Teraview Lt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coating thicknesses
EP3379357B1 (en) * 2017-03-24 2019-07-10 ABB Schweiz AG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technical state of industrial process systems
ES2753212T3 (es) 2017-05-05 2020-04-07 Leifeld Metal Spinning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deformación incremental de una pieza de trabajo metálica
DE102017208103A1 (de) 2017-05-15 2018-11-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utomatischen Entfernung von Fremdkörpern aus einer flüssigen Beschichtung eines Substrats
DE102017113343A1 (de) 2017-06-19 2018-12-20 Eisenmann Se Verfahren und Fertigungsanlage zur Herstellung von Fahrzeugen und Oberflächenbehandlungsanlage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Fahrzeugkarosserien
DE102017217760B4 (de) 2017-10-06 2020-12-03 Siemens Schweiz Ag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und/oder Wartung eines Regel- und Steuergerätes für Feldgeräte für eine Gebäudeautomatisierung
IT201800006680A1 (it) * 2018-06-26 2019-12-26 Metodo di predizione della presenza di difetti di prodotto durante una fase di lavorazione intermedia di un prodotto sottile avvolto in bobina
US10875592B2 (en) 2018-08-16 2020-12-29 Carl Zeiss Industrielle Messtechnik Gmbh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and method
CN112055837A (zh) 2018-09-29 2020-12-08 西门子股份公司 一种工业设备匹配方法和装置
CN109270907B (zh) 2018-10-24 2020-07-28 中国计量大学 一种基于分层概率密度分解的过程监测和故障诊断方法
CN113795797A (zh) 2019-05-09 2021-12-14 杜尔系统股份公司 用于对工件进行检验的方法、检验设备和处理设备
EP3966649A1 (de) 2019-05-09 2022-03-16 Dürr Systems AG Analyseverfahren und vorrichtungen hierzu
CN113795799A (zh) 2019-05-09 2021-12-14 杜尔系统股份公司 分析方法及用于该分析方法的装置
JP2022532543A (ja) 2019-05-09 2022-07-15 デュール システムズ アーゲー 品質欠陥を分析する方法
WO2020224718A1 (de) 2019-05-09 2020-11-12 Dürr Systems Ag Analyseverfahren und vorrichtungen hierzu
DE102020101490A1 (de) * 2020-01-22 2021-07-22 Endress+Hauser Conducta Gmbh+Co. Kg Sensorsystem und 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8849A2 (de) 2024-03-20
FI3966650T3 (fi) 2024-05-16
US20240135289A1 (en) 2024-04-25
US20220215305A1 (en) 2022-07-07
EP3966650B1 (de) 2024-03-06
EP4338849A3 (de) 2024-05-15
DE112020002305A5 (de) 2022-03-03
US11928628B2 (en) 2024-03-12
CN113795800A (zh) 2021-12-14
WO2020224713A1 (de) 2020-11-12
PT3966650T (pt) 2024-04-04
JP2022532089A (ja) 2022-07-13
EP3966650A1 (de)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35289A1 (en) Method for checking workpieces, checking facility and treatment facility
KR20220005093A (ko) 작업물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기계가공 시스템
TWI776811B (zh) 表面處理加工方法及表面處理加工裝置
DE102019206849A1 (de) Verfahren zur Kontrolle von Werkstücken, Kontrollanlage und Behandlungsanlage
US8892255B2 (en) Method for the automated programming and optimization of robotic work sequences
JP6432982B2 (ja) 再塗装装置
JP2002508071A (ja) ボディ・シェルの表面欠陥を自動的に認識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US20080110011A1 (en) Automated Sputtering Target Production and Sub Systems Thereof
CN112458392B (zh) 用于涂覆工件的系统和方法
CN107015535A (zh) 一种双机器人协同焊接及检测装置控制系统
CN113382807A (zh) 根据场景的油漆修复方法
KR20220016898A (ko) 공작물의 결함의 식별을 조정하고 이를 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CN116472504A (zh) 用于运行处理设备的方法和处理设备
JP2018144007A (ja) 塗装装置
CN105817365B (zh) 快速烘干全定量蜂窝载体催化剂涂覆设备
DE102019206846A1 (de) Verfahren zur Kontrolle von Werkstücken, Kontrollanlage und Behandlungsanlage
TW201900887A (zh) 表面處理加工方法及表面處理加工裝置
KR20220007632A (ko) 품질 결함 분석 방법
KR20220139555A (ko) 파이프 도장 집진 장치 및 파이프 도장 자동화 시스템
KR102426628B1 (ko)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JPH06148090A (ja) 塗装検査情報解析装置
RU2790124C1 (ru) Способ координировани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обработки дефекта заготов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16348729A (zh) 用于运行处理设备的方法和处理设备
KR20220139554A (ko) 파이프 도장 집진 장치 및 파이프 도장 자동화 시스템
WO2021176385A1 (en) Plant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fects on surf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