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628B1 -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628B1
KR102426628B1 KR1020200176725A KR20200176725A KR102426628B1 KR 102426628 B1 KR102426628 B1 KR 102426628B1 KR 1020200176725 A KR1020200176725 A KR 1020200176725A KR 20200176725 A KR20200176725 A KR 20200176725A KR 102426628 B1 KR102426628 B1 KR 10242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distance
spray
spray gun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353A (ko
Inventor
조행묵
이운상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6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sprayed on the target,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distance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target velocity, e.g. to relative velocity between spray apparatus and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음으로 인해 매뉴얼에 정해진 작업방식이나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장작업이 진행되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과 같이 도장작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여 도장장치 및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자동차 도장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Method for painting vehicle us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pray distance and coating thickness and vehicle painting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생산시 행해지는 신차도장은 대부분의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자동차 출고 후에 행해지는 보수도장은 입고되는 순간부터 출고될 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뉴얼에 정해진 작업방식이나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장작업을 진행함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과 같이 도장작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여 도장장치 및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장에는 신차도장과 보수도장이 있으며, 신차도장은 자동차 생산시 행해지는 도장방법이고, 보수도장은 자동차 출고 후에 자동차 도장에 행해지는 모든 것을 포함하여 차량 운전자가 운전시에 발생하는 사고나 소비자의 필요로 행해지는 모든 도장행위를 보수도장이라 한다.
또한, 사고차 수리의 경우 대부분의 작업은 패널교환 또는 판금작업을 한 후 최종적으로 보수도장을 하게 되며, 이러한 보수도장은 신차에 적용하는 방법과 같이 고온(약 120 ~ 169℃)으로 도장 후에 열처리를 할 수가 없다.
즉, 신차도장은 차량의 내장재가 장착되지 않은 프레임과 패널만 있는 상태에서 전체도장을 하고 열처리가 진행되므로 도장 후 고온의 열로 가열건조 작업을 실시하나, 보수도장은 차량의 모든 내장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장작업을 실시하며 내장재는 대부분 고온에 약한 플라스틱 종류로 되어 있어 고온에 의한 열처리가 내장재의 변형과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보수도장의 가열건조는 평균 60 ~ 80℃에서 20 ~ 30분 정도 도막을 강제 열풍건조 한다.
아울러, 신차도장은 대부분의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보수도장에서는 순수하게 입고되는 순간부터 출고될 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자동차 제작사나 도료업체에서는 각 도료에 맞는 권장 도막의 두께와 도장의 횟수를 제품에 기재하고 있고, 제품의 매뉴얼에 맞는 보수도장 작업, 즉, 작업자가 스프레이건의 특성과 도료의 특성을 정확하게 알고 적용할 경우는 그 제품의 품질이 최고가 되지만, 대다수 보수도장 작업자들은 매뉴얼대로의 작업과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제품의 매뉴얼대로 작업을 진행하여 최상의 품질을 얻기 위하여는,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요구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8264호 (2017.11.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508호 (2014.03.0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생산시 행해지는 신차도장은 대부분의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자동차 출고 후에 행해지는 보수도장은 입고되는 순간부터 출고될 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뉴얼에 정해진 작업방식이나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장작업을 진행함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과 같이 도장작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여 도장장치 및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에 있어서,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를 변경해가면서 도장작업을 반복하여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도막두께의 변화를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도장작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분석단계; 상기 분석단계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구축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으로부터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최적의 도장 겹침 및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결정하여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도장계획 설계단계; 및 상기 도장계획 설계단계에서 설정된 최적의 도장계획에 따라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컴퓨터나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단계는, 시험패널을 수직으로 거치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스프레이건을 제어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치수단과,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와 분사 폭 및 도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 측정지그에 시험패널을 거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 코트(base coat) 및 클리어 코트(clear coat)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수직 도장단계; 시험패널을 수평으로 거치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스프레이건을 제어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치수단과,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와 분사 폭 및 도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평 측정지그에 시험패널을 거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수평 도장단계; 상기 수직 도장단계 및 수평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 폭을 각각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분사폭 측정단계;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건조 후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도막두께를 각각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도막두께 측정단계; 및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 사이의 거리를 변경해 가면서 상기 수직 도장단계, 상기 수평 도장단계, 상기 분사폭 측정단계 및 상기 도막두께 측정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분사폭과 도막두께의 변화를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반복측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수직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상기 베이스 코트 및 상기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평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상기 베이스 코트 및 상기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각각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폭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각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도장 겹침 및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상기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정하고 차종별로 도장작업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석단계 및 상기 설계단계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고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도장단계는, 상기 분석단계 및 상기 설계단계를 통해 AI를 이용하여 도출된 최적의 도장계획을 차량 도장 시스템에 입력하여 자동으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최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에 기재된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을 이용하여, 차종별로 미리 최적의 도장계획을 베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해 두고, 도장대상 차량이 위치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과 같이 도장작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여 도장장치 및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매뉴얼에 정해진 작업방식이나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장작업을 진행함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자동차 생산시 행해지는 신차도장은 대부분의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자동차 출고 후에 행해지는 보수도장은 입고되는 순간부터 출고될 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음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건의 작업패턴에 따른 도막의 두께 형성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된 수직 측정지그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건의 작업패턴에 따른 도막의 두께 형성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된 수평 측정지그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장작업이 수행된 스프레이 부스(spray booth)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의 구체적인 실험조건을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에서 수직 스프레이 패턴을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에서 수평 스프레이 패턴을 측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에서 도막두께 측정을 위해 적용되는 SSPC-PA2 측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폭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생산시 행해지는 신차도장은 대부분의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자동차 출고 후에 행해지는 보수도장은 입고되는 순간부터 출고될 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매뉴얼에 정해진 작업방식이나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장작업을 진행함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과 같이 도장작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여 도장장치 및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스프레이건의 작업패턴에 따른 도막의 두께 형성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적용된 실험장비의 구성 및 실험방법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레이건의 작업패턴에 따른 도막의 두께 형성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적용된 수직 측정지그 및 수평 측정지그의 전체적인 구성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장작업이 수행된 스프레이 부스(spray booth)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수도장의 공정 중 하도, 중도, 상도의 전체과정에서 사용되는 스프레이건의 작업패턴에 의한 도막의 두께 형성과정을 확인하고, 보수도장의 스프레이건 사용방법과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작업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 측정지그를 이용하여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도막의 두께에 대한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때, 실험시편은 실제 자동차패널을 사용할 수 없어 자동차 강판재질과 동일한 냉간 압연강판(W(500mm)×L(500mm)×T(0.8mm))을 사용하였으며,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라 형성되는 도막의 두께를 확인하고 온도, 습도, 풍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적인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보수도장 전용 기기인 Autonomous EH700 spray booth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건은 SATA의 중력식(Gravity type) 스프레이건을 사용하였으며, 베이스 코트는 SATA의 HVLP(High Volume Low Pressure) Φ1.3 노즐을 사용하였고, 클리어 코트는 SATA RP(Reduced Pressure) Φ1.3 노즐을 사용하였고, 스프레이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 압력게이지를 장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도료는 KCC의 보수용 도료인 유용성 도료를 이용하였으며,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수장비를 제작하여 수직 스프레이와 수평 스프레이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고 각각의 경우마다 스프레이건의 분사폭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장작업 완료 후에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도막 두께를 건식도막(Dry Film Thickness, DFT) 측정기(Elcometer 45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실험장비를 이용하여 진행된 스프레이 실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의 구체적인 실험조건을 표로 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에서 수직 및 수평 스프레이 패턴을 측정하는 과정을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도장작업 실험에서 도막두께 측정을 위해 적용되는 SSPC-PA2 측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레이건과 패널 간격, 즉, 거리에 따른 베이스 도료와 클리어 도료의 일정한 도막 두께를 얻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표에 제시된 바와 같은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스프레이 부스의 온도는 26℃, 습도 67%를 유지하고, 풍속은 0.7m/s를 유지하였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시편을 특수 제작된 수직, 수평 스프레이 가이드 지그 장비에 각각 거치하여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스프레이의 간격은 4cm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수제작된 장비를 이용하여 스프레이건과 패널의 거리를 6cm, 10cm, 14cm, 18cm, 22cm의 5가지 거리간격으로 4cm씩의 거리차를 두고 진행하였으며, 이때,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는 0.6m/s를 유지하였고, 도료 토출량은 베이스 코트, 클리어 코트 동일하게 1.5바퀴(540도)를 열고 진행하였으며, 스프레이건의 에어압력은 베이스 HVLP건은 1.5bar로, 클리어 RP건은 2.0bar를 유지하였고, 패턴 폭은 베이스 HVLP와 클리어 RP건 모두 분사폭 최대로 유지하였다.
또한, 도료는 KCC LS 베이스(메탈릭도료)를 사용하였고, 클리어는 KCC 5200 HS를 사용하였으며, 베이스 도료는 WET ON WET 방식으로 3회 도장하였고, 클리어 도료는 WET ON WET 방식으로 2회 도장하였으며, 도장작업 중에 후레쉬 오프 타임은 베이스 5분, 클리어는 10분을 적용하였고, 도장 완료 후에 세팅타임 10분을 적용하고 열처리 60℃ ×30min을 적용하였다.
아울러, 도장작업 후 건조 후에 도막두께 측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KS M ISO 19840, KS M ISO 2808과 SSPC-PA2의 시험방법에 따라 면적이 1m²이하인 경우 5곳을 선정하고 1곳당 3회 측정하여 1곳의 평균값을 구하고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4곳도 동일하게 측정하였으며, 이때, 특수제작된 장비를 이용하여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패턴 폭의 변화도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진행된 스프레이건 분사실험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 결과, 스프레이건 중 HVLP건과 RP건의 스프레이 패턴폭,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도막형성 그리고 도장시 칠날림 현상이 근거리보다 원거리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스프레이 패턴폭,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달리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근거리에서는 도장의 겹침폭을 적게하고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해야 하는 반면, 원거리에서는 겹칩폭을 많이 하고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느리게 할수록 우수한 품질의 도장면을 만들 수 있었으며, 그 상세한 분석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도막의 두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베이스 코트를 수직과 수평상태에서 도장한 경우 근거리에서는 베이스 도료의 흐름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원거리에서는 칠부족(도료가 제대로 묻지 않은 상태)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도막은 14cm 부근에서 수직과 수평의 두께 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클리어 도막의 두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클리어 코트를 수직과 수평상태에서 도장한 경우 근거리에서는 클리어 도료의 흐름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원거리에서는 오렌지필과 클리어 도료부족 현상을 나타냈으며, 도막은 18cm 부근에서 수직과 수평의 두께 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내어, 건조 후 도막 표면도 실험데이터 중에 평활성과 선영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클리어 도막의 두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직상태의 베이스 코트와 클리어 코트를 도장했을 경우 베이스 도막은 근거리와 원거리의 편차가 비교적 적게 나타난 반면, 클리어 도막은 근거리와 원거리의 도막두께가 현저히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직상태에서는 칠날림 현상이 많아 도막이 형성되는 부분이 줄어들었다.
아울러,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도장실험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클리어 도막의 두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수평상태에서 베이스 도막의 도막두께는 근거리와 원거리의 편차가 크지 않았으며, 클리어 도막의 도막두께는 근거리와 원거리의 도막두께 차이가 많이 나지만 수직상태에서 보다는 비교적 적게 나타났고, 수평상태에서는 칠날림도 패널에 내려앉아 도막형성으로 이루어졌다.
계속해서,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 실험에서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폭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폭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스프레이건의 분사폭의 최대치는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가 HVLP건 노즐 1.3은 13 ~ 14cm이며, RP건 노즐 1.3은 13 ~ 18cm 이내이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분사폭이 좁아지며, 거리가 멀수록 분사폭은 커진다.
따라서 분사폭이 좁을 때는 도장의 겹칩 횟수를 적게 하고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해야 하며, 반대로 분사폭이 클 때는 겹칩 횟수를 많이 하고 스프레이건의 이송속도를 느리게 해야 도막이 일정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최적의 결과물을 얻기 위하여는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라 도장의 겹침과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달리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도 베이스 코트와 클리어 코트 도장에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가 형성되는 도막두께 및 도장의 외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스프레이건 특성, 작업자 특성, 수직과 수평에 따른 베이스 코트와 클리어 코트의 도막두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도출하였다.
첫째로, 베이스 도장은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가 너무 근접거리(6cm)일 경우 도막 두께는 두꺼우나 도료가 흐르거나 퍼짐성이 나쁘게 나타났고, 원거리에서는 도막형성 부분보다 손실부분이 많고 도막두께가 얇아 도막형성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으며,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간격이 10 ~ 18cm에서의 도료분포 및 도막형성과 퍼짐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14cm 거리에서의 도막형성과 퍼짐성이 우수하고 흐름현상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클리어 도장은 스프레이건과 패널의 거리가 너무 근거리일 경우 도막두께가 두꺼워 칠의 흐름이 발생하여 불량을 보였으며, 원거리에서는 도막의 형성이 매끄럽지 못하고 오렌지필과 도료부족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간격이 14 ~ 18cm에서 도료의 흐름현상, 평활성 불량, 오렌지필 현상 등이 나타나지 않고 품질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셋째로, 스프레이건과 패널의 거리에 따른 분사폭이 베이스 HVLP건은 13±2cm 영역에서 분사폭이 최대가 되고, 클리어 RP 건은 15±2cm 영역에서 분사폭이 최대가 되었다.
넷째로,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와 분사폭의 상관관계에 따라 근거리는 스프레이의 분사폭이 좁으므로 도장겹칩 횟수를 줄이고 건의 이송속도는 빠르게 해야 하며, 원거리는 스프레이의 분사폭이 크므로 도장의 겹침 횟수는 늘리고 건의 이송속도는 느리게 해야 하며, 스프레이건과 패널의 거리가 너무 근거리이거나 원거리는 지양해야 하고, 스프레이건과 패널의 도장거리는 분사패턴폭과 스프레이 거리에 따라 도장의 겹칩 횟수와 건의 이동속도 및 도료 토출량을 작업자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도장의 품질과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결과로부터, 도료제작사 매뉴얼이 요구하는 도막두께를 정확게 형성하고 도장작업에서 요구되는 균일한 코팅두께와 높은 외관 품질을 언제든지 재현하기 위해서는,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에 따라 최적의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 및 도장의 겹칩 횟수를 결정하여 항상 최상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 도장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실험내용 및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은, 크게 나누어,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를 변경해가면서 도장작업을 반복하여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도막두께의 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0)와, 측정단계(S10)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 도장의 겹침 및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장작업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분석단계(S20)와, 도장 대상물이 입력되면, 분석단계(S20)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으로부터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최적의 도장 겹침 및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결정하여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도장계획 수립단계(S30); 및 도장계획 수립단계(S30)에서 설정된 최적의 도장계획에 따라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도장단계(S40)를 포함하는 처리가 컴퓨터나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측정단계(S10)는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분석단계(S20)는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측정단계(S10)는, 시험패널을 수직으로 거치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스프레이건을 제어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치수단 및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와 분사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 측정지그에 시험패널을 거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 코트(base coat) 및 클리어 코트(clear coat)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수직 도장단계와, 시험패널을 수평으로 거치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스프레이건을 제어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치수단 및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와 분사 폭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평 측정지그에 시험패널을 거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수평 도장단계와, 수직 및 수평 도장작업시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 폭을 각각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분사폭 측정단계와,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건조 후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도막두께를 각각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도막두께 측정단계 및 스프레이건과 시험패널 사이의 거리를 변경해 가면서 상기한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스프레이건과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분사폭과 도막두께의 변화를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반복측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있다.
또한, 상기한 분석단계(S20)는, 수직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스프레이건과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와, 수평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스프레이건과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와, 각각의 도장작업시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폭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각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스프레이건과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도장 겹침 및 스프레이건과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정하고, 차종별로 도장작업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분석단계(S20) 및 설계단계(S30)는, 예를 들면,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고 최적의 설정값을 찾아내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각각의 차종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용이하게 수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인공지능 (AI)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머신 러닝 등(Machine Learning)과 같이, 학습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을 통해 자동으로 최적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특별한 제약이 없이 적용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한 도장단계(S40)는, 분석단계(S20) 및 설계단계(S30)를 통해 AI를 이용하여 도출된 최적의 도장계획을 자동화된 차량 도장 시스템에 입력하여 자동으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을 차량 도장 시스템에 적용하여, 예를 들면, 차종별로 미리 최적의 도장계획을 베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해 두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따라 자동화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최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차량 도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특성에 맞는 도장횟수, 그에 따른 도막의 두께, 스프레이건과 패널과의 거리, 도장겹칩 등과 같이 도장작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여 도장장치 및 공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매뉴얼에 정해진 작업방식이나 스프레이건과 도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도장작업을 진행함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숙련도나 기술력의 차이에 상관없이 항상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이 제공됨으로써, 자동차 생산시 행해지는 신차도장은 대부분의 작업이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화된 로봇이나 자동화 설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면, 자동차 출고 후에 행해지는 보수도장은 입고되는 순간부터 출고될 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작업이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술력에 의존하고 있음으로 인해 보수도장 작업자에 따라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지고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자동차 도장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Claims (6)

  1.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에 있어서,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를 변경해가면서 도장작업을 반복하여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도막두께의 변화를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측정단계;
    상기 측정단계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스프레이건과 도장 대상물의 거리, 도장의 겹침 및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장작업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분석단계;
    도장 대상물이 입력되면, 상기 분석단계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구축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으로부터 스프레이건과 상기 도장 대상물의 거리에 따른 최적의 도장 겹침 및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를 결정하여 상기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도장계획 설계단계; 및
    상기 도장계획 설계단계에서 설정된 최적의 도장계획에 따라 상기 도장 대상물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도장단계를 포함하는 처리가 컴퓨터나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정단계는,
    시험패널을 수직으로 거치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스프레이건을 제어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치수단과,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와 분사 폭 및 도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 측정지그에 시험패널을 거치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 코트(base coat) 및 클리어 코트(clear coat)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수직 도장단계;
    시험패널을 수평으로 거치하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스프레이건을 제어하여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거치수단과,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와 분사 폭 및 도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평 측정지그에 시험패널을 거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에 대한 도장작업이 수행되는 수평 도장단계;
    상기 수직 도장단계 및 수평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상기 측정수단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 폭을 각각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분사폭 측정단계;
    도장작업이 완료되면 건조 후 베이스 코트 및 클리어 코트 도막의 도막두께를 각각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도막두께 측정단계; 및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 사이의 거리를 변경해 가면서 상기 수직 도장단계, 상기 수평 도장단계, 상기 분사폭 측정단계 및 상기 도막두께 측정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분사폭과 도막두께의 변화를 측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반복측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수직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상기 베이스 코트 및 상기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평 도장단계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상기 베이스 코트 및 상기 클리어 코트 도막의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각각의 도장작업시 상기 스프레이건의 분사거리에 따른 분사폭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각각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도장 겹침 및 상기 스프레이건과 상기 시험패널의 거리에 따른 상기 스프레이건의 이동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정하고 차종별로 도장작업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 및 상기 설계단계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고 최적의 도장계획을 수립하는 처리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단계는,
    상기 분석단계 및 상기 설계단계를 통해 AI를 이용하여 도출된 최적의 도장계획을 차량 도장 시스템에 입력하여 자동으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6.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최적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도장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항, 청구항 3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을 이용하여, 차종별로 미리 최적의 도장계획을 베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해 두고, 도장대상 차량이 위치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장 시스템.
KR1020200176725A 2020-12-16 2020-12-16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KR102426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25A KR102426628B1 (ko) 2020-12-16 2020-12-16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25A KR102426628B1 (ko) 2020-12-16 2020-12-16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53A KR20220086353A (ko) 2022-06-23
KR102426628B1 true KR102426628B1 (ko) 2022-07-28

Family

ID=8222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725A KR102426628B1 (ko) 2020-12-16 2020-12-16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24345B (zh) * 2023-10-26 2024-01-16 至正长信自动化工程(苏州)有限公司 一种喷涂机器人的喷涂轨迹校正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408B1 (ko) * 2003-09-17 2005-07-1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도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3508B1 (ko) 2011-10-24 2014-03-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차의 흠집 도장방법
KR101798264B1 (ko) 2013-03-22 2017-11-15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도장방법
KR20160033972A (ko) * 2014-09-19 2016-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균일한 도막 두께 형성이 가능한 도료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353A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109B1 (en) Integrated paint quality control system
KR102426628B1 (ko) 스프레이 거리와 도막두께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차량 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도장 시스템
EP2037215B2 (de) Verfahren und Kontrollsystem zur Kontrolle der Beschichtungsqualität von Werkstücken
EP3966650B1 (de) Verfahren zur kontrolle und nachbehandlung von werkstücken, kontrollanlage und behandlungsanlage
CN104888999B (zh) 一种变量喷枪涂料沉积模型建模方法
US20050106328A1 (en) Method for predicting and applying painting parameters and use thereof
US7171394B2 (en) Global paint process optimization
US20220107631A1 (en) Coating Process and Quality Control of Coated Objects
KR102464844B1 (ko) 스프레이건의 분사특성 분석을 이용한 자동차 보수도장 방법 및 시스템
JP6959448B2 (ja) 自転車用フレームに材料を塗布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3649205A (zh) 一种用于喷涂机器人的喷涂控制方法
US20220357069A1 (en) Automated sealant application to assembled hvac duct components and blanks for forming assembled hvac duct components
KR20010018280A (ko)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JP2007000689A (ja) 塗装制御方法及び塗装制御システム
Omar et al. Self‐adjusting robotic painting system
KR100768404B1 (ko) 연속 칼라 강판 생산라인에서 도장작업 자동제어 방법
JP3478443B2 (ja) 自動塗装機の制御装置
Lee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ray distance, coating thickness and waste reduction
JPH04156975A (ja) 塗装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20240051933A (ko) 코팅 시스템의 작동 방법 및 작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팅 시스템
Lee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Spray
US20230073912A1 (en) Simulator
KR20230167368A (ko) 코팅 시스템을 위한 경로 수정 방법
US20210187533A1 (en) Fluid dispensing and curing system
CN116776554A (zh) 一种喷涂参数的调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