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187A -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 Google Patents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187A
KR20220006187A KR1020200083830A KR20200083830A KR20220006187A KR 20220006187 A KR20220006187 A KR 20220006187A KR 1020200083830 A KR1020200083830 A KR 1020200083830A KR 20200083830 A KR20200083830 A KR 20200083830A KR 20220006187 A KR20220006187 A KR 2022000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mounting ring
hand grip
hold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592B1 (ko
Inventor
김재성
박석원
박광철
Original Assignee
김재성
박석원
박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박석원, 박광철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20008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4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with resilient means to eliminate extraneous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에 관한 것으로,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와, 사용자의 손을 넣어서 파지할 수 있도록 바디의 후면에 구비되는 파지용 밴드와,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Hand grip with supporting function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태블릿 PC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화면에서 다양한 기능과 조작을 행하는 터치패드를 적용한 휴대 전자기기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근래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멀티미디어 콘텐츠, 소셜 네트워크 콘텐츠 등의 발전으로 장시간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이때 휴대 전자기기를 장시간 파지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일 예로,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한 손으로 감싸쥐고, 다른 손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기능을 조작하거나, 두 손으로 파지하고 엄지손가락으로 휴대 전자기기의 기능을 조작하였는데, 휴대 전자기기의 장시간 사용시 인체근육에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가볍게 쥐고 사용하기에는 자칫 타인과 부딪혀 휴대 전자기기를 떨어뜨려 파손시키는 일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영화 감상, DMB 시청, 인터넷 사용 등이 가능한 휴대 전자기기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기능을 갖춘 휴대 전자기기의 경우 탑재된 화면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고, 제품의 크기 또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를 가로 방향으로 놓은 상태로 사용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예컨대, 보통 화면의 사이즈가 커진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영화, DMB, 인터넷, 문자 메시지 등은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게 되고, 전화 통화 등은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사용한다.
이 경우, 커진 제품 크기로 인해 제품의 좌우 모서리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장시간 가로 방향으로 사용하게 되면, 양팔과 목 등을 경직시켜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 컨텐츠 시청시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휴대 전자기기를 비스듬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기능이 구비된 가죽 케이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죽 케이스의 경우에는 구매 비용이 상당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지가 용이하면서도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치 각도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를 휴대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사용자의 손을 넣어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되는 파지용 밴드;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링과, 상기 거치 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틸팅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후면에 소정 각도로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탄성결합부의 끝단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직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테두리 내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관통홀에 상기 파지용 밴드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파지용 밴드의 양단에 고정홀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 링은 상기 스토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거치 링과 제2 거치 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의 상기 제1 거치 링 대향면과 상기 제2 거치 링 대향면의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스토퍼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거치 링은 다각형 단면 형상이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거치 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거치 링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링; 및 상기 거치 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를 쉽게 파지할 수 있고, 파지한 상태로 화면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쉽게 거치하여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으며, 거치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휴대 전자기기의 틸팅 회전이 가능하며, 거치된 자세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의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면에는 휴대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태블릿 PC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게임기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이하, '핸드그립')(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자기기(10, 도 7 참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200)와, 사용자의 손을 넣어서 파지할 수 있도록 바디(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파지용 밴드(500)와,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바디(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200)는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1 바디(210)와, 제1 바디(210)에 대하여 틸팅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바디(22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인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의 전체적인 외관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전면이 휴대 전자기기(10)의 후면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며, 후술하는 제2 바디(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제1 바디(210)는 접착 방식으로 휴대 전자기기(10)의 후면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바디(210)가 융착 또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거나,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의 사시도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디(210)의 후면에 테두리 내측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연장되는 결합리브(21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1 바디(210)의 후면 중앙에는 소정의 면적으로 돌출부(212)가 돌출 형성되며, 돌출부(212)의 테두리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의 결합홈(213)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결합홈(213)은 제1 바디(210)의 후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제1 바디(210)의 후면을 덮도록 제1 바디(210)의 후방에 제2 바디(220)가 결합된다.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각각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바디(22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전방으로 플랜지부(221)가 돌출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221)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의 결합시 후술하는 탄성결합부(225)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랜지부(221)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222)가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부(222)는 후술하는 거치 링(300)을 바디(200)에 밀착하도록 눕혔을 때, 거치 링(3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바디(200)에 밀착하도록 눕혀진 거치 링(300)은 걸림부(222)에 걸림으로써 자중에 의해 제2 바디(220)의 후방으로 예기치 못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 평소에는 바디(200)의 외측에 밀착 고정되어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외력이 가해질 때 비로소 걸림부(222)를 넘어 제2 바디(220)의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플랜지부(22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제2 바디(220)의 전면에 복수 개의 결합돌부(22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결합돌부(223)는 제2 바디(220)의 전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원의 둘레를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며, 결합돌부(223)의 끝단에는 결합리브(2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걸림턱(224)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결합리브(211)의 끝단과 결합돌부(223)의 끝단은 둥글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의 결합시 제1 바디(210)의 결합리브(211)에 밀려 탄성 변형된 결합돌부(223)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결합리브(211)의 외측을 견고히 탄성 지지하게 된다.
결합돌부(223)의 내측에는 탄성결합부(225)가 절개 형성된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결합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결합부(225)는 제1 바디(210)를 향해 돌출되어 제1 바디(210)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탄성결합부(225)의 일단이 제2 바디(220)와 일체를 이루며, 탄성결합부(225)의 타단이 제1 바디(210)를 향해 경사지도록 탄성결합부(225)의 테두리가 제2 바디(220)로부터 절개된다. 탄성결합부(225)의 타단 전면에는 전술한 제1 바디(210)의 결합홈(213)에 대응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26)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바디(210)에 대한 제2 바디(220)의 회전시 제2 바디(220)의 탄성결합부(225)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돌기(226)가 복수 개의 결합홈(213)에 차례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바디(210)에 대한 제2 바디(220)의 틸팅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결합돌기(226)는 돔(dome)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결합홈(213)은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바디(220)의 테두리 내측에 소정의 폭으로 관통홀(227)이 형성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20)의 직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의 탄성결합부(225) 외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관통홀(22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7)의 내측,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홀(227)과 탄성결합부(225)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28)가 돌출 형성된다. 이 관통홀(227)과 고정돌기(228)는 파지용 밴드(50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파지용 밴드(500)는 예컨대 신축성을 갖는 천이나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관통홀(227)을 통해 파지용 밴드(500)의 양단이 제2 바디(220)의 후면에서 제2 바디(220)의 전면으로 각각 삽입된다. 파지용 밴드(500)의 양단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510)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파지용 밴드(500)의 양단 고정홀(510)에 제2 바디(220)의 고정돌기(228)가 결합됨으로써 파지용 밴드(5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접착이나 융착 등 별도의 공정 없이 파지용 밴드(500)를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 사이에 파지용 밴드(500)의 양단이 고정돌기(228)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므로 사용중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제2 바디(220)의 플랜지부(221) 외측면,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27)의 외측에 거치 링(300)의 결합을 위한 삽입홈(229)이 형성되며, 거치 링(300)의 양단이 바디(200) 양측의 삽입홈(229)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그립(100)은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서 거치할 수 있게끔 하는 거치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수단은 바디(200) 양측의 삽입홈(229)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링(300)과, 거치 링(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바디(2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거치 링(300)은 스토퍼부(40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질 수 있으며, 예컨대 제2 바디(220)의 일측에 제1 거치 링(310)이 결합되고, 제1 거치 링(310)과 대향하여 제2 바디(220)의 타측에 제2 거치 링(3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 거치 링(310,32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2 바디(220)의 플랜지부(221) 양측에 한 쌍의 삽입홈(229)이 각각 형성된다. 인접하는 한 쌍의 삽입홈(229)은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며, 제1,제2 거치 링(310,320)은 양단이 결합된 삽입홈(229)을 중심으로 제2 바디(220)의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인접하는 한 쌍의 삽입홈(229) 사이에 스토퍼부(400)가 돌출 형성된다. 이 스토퍼부(400)는 거치 링(300)의 회전 각도 제한을 위한 것으로, 제1 거치 링(310)과 제2 거치 링(320)은 스토퍼부(4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게 된다.
거치 링(300)은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소정 각도로 세웠을 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치 링(300)을 이용하여 휴대 전자기기(10)를 원하는 각도로 세워서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부(400)의 제1 거치 링 대향면(410)과 제2 거치 링 대향면(420)의 각도가 상이함에 따라, 제1 거치 링(310)과 제2 거치 링(320)의 최대 회전각도가 상이하며, 사용자는 제1,제2 거치 링(310,320) 중 원하는 거치 각도까지 회전 가능한 거치 링(300)을 선택하여 휴대 전자기기(10)를 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부(400)의 제1 거치 링 대향면(410)을 45°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제2 거치 링 대향면(420)은 90° 각도로 수직하게 형성한 경우, 제1 거치 링(310)은 135°까지 회전할 수 있고, 제2 거치 링(320)은 90°까지 회전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파지용 밴드(500)에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 전자기기(10)를 손에 들 수 있으며, 이렇게 손에 든 상태에서 휴대 전자기기(10)를 원하는 각도로 틸팅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휴대 전자기기(10)를 일정 각도로 세워서 거치할 수 있는데, 제1,제2 거치 링(310,320)의 최대 회전각도가 상이함에 따라,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각도로 휴대 전자기기(10)를 세워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휴대 전자기기(10) 화면의 상하가 뒤집히도록 휴대 전자기기(10)를 뒤집어서 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링(310a,320a)이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220)의 삽입홈(229)에는 거치 링(310a,320a)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00)가 각각 장착되며, 예컨대 탄성부재(600)는 거치 링(310a,320a)의 일단 양측을 가압 지지하는 판스프링의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탄성부재(600)는 제1 지지플레이트(610)와, 제1 지지플레이트(610)의 일단에서 제1 지지플레이트(610)의 타단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620)와, 제1 절곡부(620)의 끝단에서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원호부(630)와, 원호부(630)의 끝단에서 제1 절곡부(620)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 절곡부(640)와, 제2 절곡부(640)의 끝단에서 제1 지지플레이트(610)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6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링(310a,320a)이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바디(200)의 일측에 밀착하여 눕혀져 있던 거치 링(310a,320a)을 바디(200)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거치 링(310a,320a)의 모서리에 의해 제1,제2 절곡부(620,640)가 외측으로 밀려서 탄성 변형되며, 거치 링(310a,320a)이 바디(200)의 후방으로 90° 회전하면, 탄성부재(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제2 절곡부(620,640)가 거치 링(310a,320a)의 일단 양 측면에 밀착하여 거치 링(310a,320a)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즉, 거치 링(310a,320a)이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거치 링(310a,320a)의 회전시 90° 틸팅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데, 거치 링을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틸팅되는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부재(600)에 의해 거치 링(310a,320a)이 탄성 지지되므로 전술한 스토퍼부(400)의 삭제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스토퍼부(400)와 탄성부재(600)를 함께 적용하여 거치 가능한 각도범위를 확대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거치 링(300,300a)이 반원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거치 링(310b~320d)의 전체적인 외관 형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굴곡형, 기타 타원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 형태를 갖는 거치 링(310b~320d)의 경우, 거치 링(310b~320d)을 눕혔을 때 플랜지부(221)와 거치 링(310b~320d)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발생하여 전술한 걸림부(222)에 거치 링(310b~320d)이 걸리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20')의 스토퍼부(400)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걸림돌기(230)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거치 링(300) 회전시 거치 링(300)의 단부가 걸림돌기(230)에 걸리게끔 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300e)은, 몸체(301)와, 몸체(301)의 양단에서 몸체(301)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 형성되며 제2 바디(220")의 삽입홈(229)에 삽입되는 삽입부(302)와, 삽입부(302)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303)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301)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원호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굴곡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거치 링(300~300d)은 몸체(301)와 삽입부(302)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 링(300e)은 삽입부(302)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지지부(303)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거치 링(300~300d)과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디(220")의 삽입홈(229)과 연통하도록 삽입홈(229)의 내측에 지지부(303)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229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부(400) 없이도 거치 링(300e)을 소정 각도(예컨대, 90°)로 거치할 수 있다. 즉,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29)에 장착된 거치 링(300e)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 각도로 회전시켜 거치할 수 있다. 이때, 거치 링(300e)의 지지부(303)가 지지홈(229a)의 바닥면에 걸려서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휴대 전자기기(10)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경사 거치시, 거치 링(300e)의 경사 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핸드그립 200,200' : 바디
210 : 제1 바디 213 : 결합홈
220,220',220" : 제2 바디 222 : 걸림부
223 : 결합돌부 225 : 탄성결합부
227 : 관통홀 228 : 고정돌기
229 : 삽입홈 230 : 걸림돌기
300~300e : 거치 링 400 : 스토퍼부
410 : 제1 거치 링 대향면 420 : 제2 거치 링 대향면
500 : 파지용 밴드 600 : 탄성부재

Claims (10)

  1.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사용자의 손을 넣어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후면에 구비되는 파지용 밴드;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를 경사지게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링과, 상기 거치 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대하여 틸팅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후면에 소정 각도로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를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절개 형성되는 탄성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탄성결합부의 끝단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직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하여 테두리 내측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한 쌍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홀에 상기 파지용 밴드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고정돌기가 대응 결합하도록 상기 파지용 밴드의 양단에 고정홀이 각각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 링은 상기 스토퍼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되는 제1 거치 링과 제2 거치 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의 상기 제1 거치 링 대향면과 상기 제2 거치 링 대향면의 각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스토퍼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 링은 다각형 단면 형상이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거치 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거치 링의 일단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10. 휴대 전자기기 또는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치 링; 및
    상기 거치 링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KR1020200083830A 2020-07-08 2020-07-08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KR10245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30A KR102451592B1 (ko) 2020-07-08 2020-07-08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830A KR102451592B1 (ko) 2020-07-08 2020-07-08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187A true KR20220006187A (ko) 2022-01-17
KR102451592B1 KR102451592B1 (ko) 2022-10-06

Family

ID=8005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30A KR102451592B1 (ko) 2020-07-08 2020-07-08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54B1 (ko) *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WO2024096369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지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57B1 (ko) * 2011-12-22 2013-04-23 정현출 휴대폰 지지 장치
KR101890632B1 (ko) * 2017-02-24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KR101963517B1 (ko) * 2017-11-29 2019-03-28 한진환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90117089A (ko) * 2018-04-06 2019-10-16 임창민 스마트폰 손목 거치대
KR20200031224A (ko) * 2018-09-14 2020-03-24 신성수 스킨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657B1 (ko) * 2011-12-22 2013-04-23 정현출 휴대폰 지지 장치
KR101890632B1 (ko) * 2017-02-24 2018-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KR101963517B1 (ko) * 2017-11-29 2019-03-28 한진환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90117089A (ko) * 2018-04-06 2019-10-16 임창민 스마트폰 손목 거치대
KR20200031224A (ko) * 2018-09-14 2020-03-24 신성수 스킨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369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지 액세서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케이스
KR102532654B1 (ko) * 2023-03-31 2023-05-15 여창기 휴대단말기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592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9626A1 (en) Phone case
US9145913B2 (en) Holder for helmet
KR102451592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US10561228B2 (en) Phone grip attachment
US8070026B2 (en) Rotating and pivoting belt clip that can be used as a stand
TWI630340B (zh) 固持裝置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TW201326628A (zh) 支撐裝置
KR10183731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EP3543820A1 (en) Electronic product protection sleeve
KR200451725Y1 (ko) 휴대폰용 거치대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5952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935108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20210125853A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200081198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1944626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3181999U (ja) 回転機構付き携帯型情報端末用支持体
KR102577883B1 (ko)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KR20170059367A (ko) 모바일 받침용 다기능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