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521A -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521A
KR20220005521A KR1020217038404A KR20217038404A KR20220005521A KR 20220005521 A KR20220005521 A KR 20220005521A KR 1020217038404 A KR1020217038404 A KR 1020217038404A KR 20217038404 A KR20217038404 A KR 20217038404A KR 20220005521 A KR20220005521 A KR 20220005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antioxidant
polyacrylate copolymer
mass frac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011B1 (ko
Inventor
빙 후이
슈치앙 왕
펭광 링
춘 리
춘파 리우
Original Assignee
고어텍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어텍 인크 filed Critical 고어텍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05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4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rrugated, pleated or rib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은 100부이고,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 프탈레이트계, 벤젠 폴리산 에스테르계, 벤조산 에스테르계, 폴리올 에스테르계, 염소화 탄화수소계, 에폭사이드계, 시트르산 에스테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더 우수한 음향 성능을 갖는다.

Description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제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에는 주로 PEEK, PAR, PEI, PI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TPU, TPEE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 아크릴 필름, 실리콘 필름과 같은 다층 복합 재료가 적용된다. 이 밖에, 실리콘 고무는 양호한 열 안정성, 양호한 소수성 및 우수한 반발탄성을 갖고 있어 고전력, 방수 및 고음질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실리콘 고무 역시 점차 다이어프램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와 같은 소형 전자 기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자 기기에는 부피가 더 작고 성능이 더 나은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가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요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복합 재료는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게 되었다.
상기 재료에는 모두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PEEK, PAR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내열성이 좋은 반면 재료 반발탄성이 떨어져 제품에 다이어프램 접힘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방수 역할을 하지 못한다. TPU, TPEE와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는 융점이 낮고, 내열성이 떨어진다. 실리콘 고무 재료는 열 안정성과 반발탄성이 모두 좋으나 화학 구조가 대칭되고, 입체 규칙성이 높으며, 대칭적으로 치환된 메틸 그룹의 입체 장해가 작고, 실리콘 고무의 모듈러스 또는 경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재료의 감쇠성이 낮아 실리콘 고무 다이어프램의 제품 왜곡이 커진다.
이로부터 상기 다이어프램의 종합 성능이 떨어져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전체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합 성능이 강하고 신회성이 높은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을 제공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직면한 주요 기술적 과제로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에 대한 새로운 기술적 해결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을 제공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은 100부이고,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 프탈레이트계, 벤젠 폴리산 에스테르계, 벤조산 에스테르계, 폴리올 에스테르계, 염소화 탄화수소계, 에폭사이드계, 시트르산 에스테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중합 주단량체로 사용하여 가교 단량체와 가교 중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13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3-10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황제가 혼합되고, 상기 가황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10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3-7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노화방지제가 혼합되고, 상기 노화방지제는 노화방지제 N-445, 노화방지제 246, 노화방지제 4010, 노화방지제 SP, 노화방지제 RD, 노화방지제 0DA, 노화방지제 0D, 노화방지제 WH-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10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5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내부 이형제가 혼합되고, 상기 내부 이형제는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염, 옥타데실아민, 알킬 포스페이트 및 α-옥타데실-ω-하이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이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이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3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은 단층 다이어프램이고, 상기 단층 다이어프램은 1층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합 다이어프램이고,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2층, 3층, 4층 또는 5층의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1층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을 적어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의 두께는 10-200μm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의 두께는 30-120μm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또한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는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 및 상술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진동 및 사운드 발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프램은 더 우수한 음향 성능과 더 높은 사용 안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유리 전이 온도 및 기계적 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이 유리 전이 온도 및 파단 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가황제 사용량이 유리 전이 온도 및 파단 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ACM형 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에서 가소제 혼합량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및 기계적 강도 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AEM형 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에서 가소제 혼합량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및 기계적 강도 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ACM형 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의 응력-변형률 곡선과 카본 블랙의 혼합 분율 간의 관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AEM형 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의 응력-변형률 곡선과 카본 블랙의 혼합 분율 간의 관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과 기존의 일반적인 다이어프램의 응력-변형률 곡선 비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과 기존의 일반적인 다이어프램의 고조파 왜곡 테스트 곡선 비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과 기존의 일반적인 다이어프램의 고차 고조파 왜곡 테스트 곡선 비교도이다.
도 11은 다른 주파수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다른 부위의 진동 변위 테스트 곡선도이다.
도 12는 다른 주파수에서 종래 기술의 다이어프램의 다른 부위의 진동 변위 테스트 곡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른 경도를 갖는 다이어프램의 임피던스 곡선 비교도이다.
도 14는 다른 주파수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과 기존의 다이어프램의 라우드니스의 테스트 곡선 비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예에서 설명된 부재 및 단계의 상대적인 배치, 수치 표현 및 수치 값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아래 설명은 실제로 설명적일 뿐, 본 발명 및 그 적용 또는 사용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는다.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 방법 및 기기에 대해서는 자세히 논의하지 않을 수 있지만, 적절한 경우 해당 기술, 방법 및 기기는 명세서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한다.
여기에 도시되고 논의된 모든 예에서, 임의의 특정 값은 제한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예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 및 문자는 유사한 항목을 나타내며, 따라서 하나의 도면에서 항목이 정의되면 이후의 도면에서 더 이상 논의될 필요가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을 제공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를 본체로 사용하여 중합하여 형성된 재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이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2 가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 가지 구체적인 재료는 모두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에 속하고, 모두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포함되고, 이러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AEM형 공중합체이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자식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상기 분자식에서, x, y는 자연수이고; R은 알킬기이다.
특히,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는 0.05-10이다. 폴리에틸렌 블록은 재료 매트릭스에서 인성을 제공하여 고무가 우수한 저온 저항 성능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블록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강성이 부족하여 사용상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점차 감소하고, 기계적 강도는 처음에는 변하지 않고 유지되다가 급격히 감소한다. 특히 비율이 15인 경우, 기계적 강도는 6.3MPa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를 바람직하게 0.05-10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인성과 같은 기계적 성능에 대한 다이어프램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저온 저항성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또한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분자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상기 분자식에서, x, y, z는 자연수이고; R, R'은 알킬기이다.
특히,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는 0.1-10이고,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전체 질량의 0.5-10wt%를 차지하며,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은 매트릭스에서 가교 역할을 하는 바, 함량이 높을 수록 재료 매트릭스의 가교도가 높아 재료의 강성이 커진다. 너무 높은 가교도로 인해 고무는 높은 탄성을 잃게 된다.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의 질량비가 너무 높으면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가교도가 너무 커서 고무의 탄성이 현저히 감소한다. 도 2는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의 함량비가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및 파단 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으로부터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의 질량비가 증가할 수록 재료의 가교도가 증가하고, 분자 사슬의 운동이 제한되며, 유리 전이 온도가 증가하고, 파단 신율이 감소함을 보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에서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이 차지하는 범위를 0.5-10wt%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유리 전이 온도 및 파단 신율을 갖도록 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는 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에서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이 차지하는 범위는 l-5wt%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중합 주단량체로 사용하여 가교 단량체와 가교 중합하여 제조되고, 이러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ACM형 공중합체이다. ACM형 공중합체의 분자식은 선택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분자식에서, R은 알킬 주단량체, 에틸 주단량체, 메틸 주단량체, 또는 n-부틸 주단량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X는 COO(CH2)2OCH3-CN 공단량체이며;
Y는 -COOH 가교 작용기, -OCOCH2CI 가교 작용기, -OCH2CH2CI 가교 작용기, 에폭시 가교 작용기 또는 불포화 올레핀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이고;
m, n, a는 자연수이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는 감쇠 펙터가 높은데, 그 영향 요인에는 가교 정도, 분자간 수소 결합, 가소제 함량과 같은 요인이 있으며, 상기 요인 모두 일정 범위 내에서 클수록 감쇠 펙터가 커서 감쇠 성능이 좋아지고, 다이어프램이 사운드 발생시 왜곡이 낮아진다.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함량은 분자간 수소 결합의 수에 영향을 미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함량이 높을 수록 분자간 수소 결합이 많아져 분자 사슬이 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유리 전이 온도가 상승하고, 감쇠 펙터가 증가한다. 분자간 수소 결합은 물리적 얽힘에 속하는 것으로, 분자간 수소 결합이 많을 수록 일정 범위 내에서 재료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분자간 수소 결합의 수가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교 정도가 재료의 기계적 강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ACM형 공중합체에는 가황제가 혼합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 분율은 100부이며, 상기 가황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이다. 가황제의 첨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가교점을 형성하고, 공중합체의 가교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가황제의 혼합량이 너무 많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가교도가 현저히 상승하여 공중합체 내 분자 사슬의 운동이 제한되며, 유리 전이 온도가 상승하고, 파단 신율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황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황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8-3부이다. 상기 질량 분율의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적절한 가교도를 갖도록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기계적 성능에 대한 요구 사항도 충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황제는 트리머캅토-s-트리아진 가황계, 폴리아민, 유기산, 암모늄염, 유기산 암모늄염,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이미다졸/무수물, 이소시아누르산/4차 염, 황/촉진제 및 과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될 수 있고,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 프탈레이트계, 벤젠 폴리산 에스테르계, 벤조산 에스테르계, 폴리올 에스테르계, 염소화 탄화수소계, 에폭사이드계, 시트르산 에스테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소제 상의 극성기와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상의 극성기는 서로 흡인하는 역할을 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상의 극성기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므로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은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상의 극성기를 덮는 것에 해당되어 차폐 작용을 하며 결과적으로 물리적 가교점을 감소시킨다. 한편, 가소제의 분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보다 훨씬 작아 이동이 용이하고 체인 세그먼트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추고 재료의 내한 성능을 높이고 재료의 가공 성능을 개선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ACM형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이 100부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13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소제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감소하지만 이에 따라 재료의 인장 강도도 감소한다. 가소제 함량이 15인 경우, 재료의 인장 강도는 크게 감소한다. 이 밖에, 과량의 가소제는 재료의 내부에서 석출되어 재료의 기계적 성능을 감소시킨다.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성능이 다이어프램의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3-10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AEM형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은 100부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10부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소제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감소하지만 이에 따라 재료의 인장 강도도 감소한다. 가소제 함량이 12인 경우, 재료의 인장 강도는 크게 감소한다. 이 밖에, 과량의 가소제는 재료의 내부에서 석출되어 재료의 기계적 성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3-7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보강제가 혼합될 수 있고, 상기 보강제는 카본 블랙,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및 황산바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이 100부인 경우,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90부이다.
보강제는 표면에 치환, 환원, 산화와 같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수소, 카르복실기, 락톤기, 자유라디칼, 퀴논기 등 그룹을 갖는다. 보강제를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혼합한 후, 보강제와 중합체 블록 계면 간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재료에 힘이 가해지면 분자 사슬이 보강제 미립자 표면에서 슬라이딩하기 쉬우나 보강제 미립자로부터 이탈이 용이하지 않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보강제 미립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견고한 결합을 형성함으로서 기계적 강도가 증가한다.
카본 블랙을 예로 들면, 카본 블랙은 비정질 구조로, 입자들이 상호 간의 물리적 화학적 결합을 통해 응집체를 구성한다. 카본 블랙의 1차 구조는 응집체로 구성되고, 동시에 응집체 간에는 반데르발스 힘 또는 수소 결합이 존재하여 공간적 네트워크 구조, 즉 카본 블랙의 2차 구조로 응집될 수 있다. 카본 블랙은 표면에 상술한 그룹을 갖는다. 카본 블랙 미립자는 공중합체 분자 사슬과 상술한 관계를 형성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 강도가 너무 높으면,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공진 주파수가 너무 높아져 저주파 응답 능력이 저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ACM형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이 100부이면, 선택적으로,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85부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블랙을 보강제로 선택한 경우를 예로 들면, 카본 블랙의 질량 분율이 0.5인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기계적 강도와 파단 신율은 모두 작은데, 이는 카본 블랙 수가 적어 매트릭스에서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보강 효과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카본 블랙 자체의 질량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ACM형 공중합체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는 반면 파단 신율은 점차 감소한다. 특히 카본 블랙의 분율이 90부인 경우, 파단 신율은 83%로 감소한다. 이 경우,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장기간 사용 시 다이어프램이 파열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이 1-85부일 때 다이어프램 성능에 대한 본 발명의 요구 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2-75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AEM형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이 100부이면,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90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블랙을 보강제로 선택한 경우를 예로 들면, 카본 블랙의 질량 분율이 0.5인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기계적 강도와 파단 신율은 모두 작은데, 이는 카본 블랙 수가 적어 매트릭스에서 불균일하게 분산되어 보강 효과를 이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카본 블랙 자체의 질량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AEM형 공중합체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는 반면 파단 신율 점차 감소한다. 특히 카본 블랙 분율이 95부인 경우, 파단 신율은 95%로 감소한다. 이 경우,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장기간 사용 시 다이어프램이 파열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이 1-90부일 때 다이어프램 성능에 대한 본 발명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2-70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교제가 혼합되며,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 가교제 및 공가교제를 포함한다.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자유라디칼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공가교제는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의 자유라디칼 중합에 사용된다.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1,3-1,4-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디쿠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퍼옥시)헥산, tert-부틸 쿠멘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tert-부틸퍼옥시)-3-헥실, 4,4'-비스(tert-부틸퍼옥시)n-부틸 발레레이트, 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2,4-디클로로벤조일 퍼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공가교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N,N'-m-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옥세이트 및 트리알릴 시아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교제 및 생성된 가교점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가교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정 범위 내에서 가교점이 많고 가교제 사용량이 많을 수록, 가교 정도가 높아진다. 가교 정도가 너무 높으면 분자 사슬 운동이 어려워져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승하고, 감쇠 펙터가 증가한다. 또한 재료의 기계적 강도가 높을 수록 파단 신율 및 탄성 회복률이 감소한다.
나아가, 상기 다이어프램의 재료에는 또한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와 아민계 물질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아미드 가교 중합체 및/또는 이미드 가교 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물질 가교제는 헥사메틸렌 디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카바메이트,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디페닐아민 및 디-o-톨루이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의 함량 및 가교제 사용량을 조절하여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볼록의 질량비는 0.2-5이고, 폴리카르복실산 블록의 질량 백분율은 1-5wt%이며, 가교제 첨가량이 1-5부 사이이므로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가 된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스피커 다이어프램을 상온에서 고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반발탄성이 양호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안정적인 사슬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다이어프램은 높은 사용 온도 상한을 갖는다. 테스트 결과, 200℃의 조건에서 72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고온 및 저온, 장기간 응용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현장 사용 시 과도한 온도로 인한 구조적 붕괴 위험이 없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노화방지제가 혼합되고, 상기 노화방지제는 노화방지제 N-445, 노화방지제 246, 노화방지제 4010, 노화방지제 SP, 노화방지제 RD, 노화방지제 0DA, 노화방지제 0D, 노화방지제 WH-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10부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사용 과정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자 사슬이 점차 파단되고, 유리된 자유라디칼을 생성한다. 이러한 현상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자연 노화 현상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노화방지제를 혼합함으로써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에서 활성 자류라디칼의 자가 촉매 현상을 방지 또는 정지, 감속시킬 수 있다. 노화방지제의 혼합량이 너무 적으면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사용 수명 연장 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고, 노화방지제의 혼합량이 너무 많으면 노화방지제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완전히 용해되기 어려우며 또한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우므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기계적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 분율이 100부인 경우,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10부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5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내부 이형제가 혼합된다. 상기 내부 이형제는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염, 옥타데실아민, 알킬 포스페이트 및 α-옥타데실-ω-하이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포함된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무니 점도 및 그린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이러한 성능 특징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사출 가공 공정에서 스티킹 롤러, 스티킹 몰드와 같은 공정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고무 원료에 내부 이형제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공중합체의 가공 성능을 향상시킨다.
내부 이형제의 혼합량이 적으면 스티킹 몰드 문제를 개선하기 어렵고, 혼합량이 너무 많으면 추후 다이어프램을 제조할 때 접착층에 대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접착력이 저하되기 쉬워 최종적으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 분율이 100부인 경우, 상기 내부 이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이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3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유리 전이 온도 범위는 -70~0℃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높은 분자량을 갖고 또한 분자 사슬이 유연하므로 우수한 저온 저항 성능을 갖는다. 다이어프램이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범위를 충족할 경우, 상기 스피커 다이어프램은 상온에서 고탄성 상태를 유지하여 반발탄성이 양호할 수 있다. 일정한 범위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질 수록 다이어프램은 더 낮은 온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의 두께가 변하지 않을 때,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질 수록 조립된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공진 주파수(F0)가 낮아진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ACM형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다이어프램의 유리 전이 온도 범위는 -60~0℃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20℃이다. 이에 따라 0℃미만일 때, 스피커 다이어프램은 작동 시 우수한 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가 높은 음질을 나타낸다. 동시에 저온 환경에서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손상 위험이 줄어들어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AEM형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다이어프램의 유리 전이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60~-20℃이다. 이에 따라 0℃미만일 때, 스피커 다이어프램은 작동 시 우수한 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피커가 높은 음질을 나타낸다. 아울러, 저온 환경에서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손상 위험이 줄어들어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스테르기를 다량 함유하므로, 다이어프램으로 제조될 때 접착층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접착성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접착층 간의 접착력은 100g/25mm(180°박리), 바람직하게는, 접착력 200g/25mm(180°박리)보다 크다. 높은 접착력은 다이어프램이 진동 과정에서 Dome과 양호한 조화와 일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음질이 깨끗하고 장기간 진동 후에도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여전히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성능 안정성이 높다.
상기 다이어프램의 접착력은 주로 두 측면에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는 바, 즉 다이어프램은 다층 필름층을 포함하고, 그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다. 다층 필름층 간에는 접착, 핫 프레싱 등 방식으로 복합되어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을 구성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양호한 접착 성능은 복합 다이어프램의 구조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어프램은 실제 적용에서 접착층을 통해 보이스 코일, 센터링 지지 피스, 보강재(DOME) 등과 접착 및 조립되어야 한다. 다이어프램의 양호한 접착 성능은 조립 과정에서 미니어처 사운더 제품의 음향 성능 및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역할을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착층의 종류는 에폭사이드계, 아크릴산계, 유기 실리콘 수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비닐에스테르 수지계, 페놀 수지계,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파단 신율은 100%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파단 신율은 150%보다 크다. 파단 신율이 높으면 다이어프램을 사운드 발생 장치에 사용할 때 다이어프램 파열과 같은 신뢰성 문제가 덜 발생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응력 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변형률은 종래 기술의 PEEK 다이어프램보다 현저히 크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영률이 종래 기술의 PEEK 다이어프램보다 현저히 작음을 나타낸다.
이 밖에, 기존의 PEEK 다이어프램은 0.4-0.5% 정도의 변형률에서 명백한 항복점을 형성하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에는 항복점이 존재하지 않는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은 보다 넓은 탄성 영역을 가지며 또한 반발탄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양호한 유연성을 갖는 바, 예를 들어, 파단 신율≥100%이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블록은 파단 신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당업자들은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진동 변위가 더 커지고, 라우드니스가 더 커지며, 신뢰성, 내구성이 양호하다. 재료의 유연성이 더 우수하고 파단 신율이 클수록, 손상에 저항하는 다이어프램의 능력이 더 강해진다. 다이어프램이 큰 진폭 상태로 진동하면, 재료에 큰 변형이 발생되어 장기간 진동 시 다이어프램 접힘, 다이어프램 균열 또는 다이어프램이 파열 위험이 발생한다. 그러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은 양호한 유연성을 가지므로 다이어프램의 손상 위험을 줄인다. 파단 신율이 높을 수록 장기간 사용 시 다이어프램의 파열률이 낮아진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보다 넓은 탄성 영역을 가지며, 해당 영역에서 다이어프램의 변형이 발생하면, 외력이 제거된 후 다이어프램은 우수한 회복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은 진동 과정에서 스윙 진동이 적고 음질 및 청취 안정성이 더 우수하다. 나아가, 200℃의 온도에서도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기존 재료보다 더 우수한 감쇠 성능을 갖는다. AEM형 공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을 예로 들면, 20% 변형 후 필름층의 탄성 회복률은 ≥90%이다. 다이어프램의 양호한 반발탄성으로 인해 사운드 발생 장치는 우수한 과도 응답과 낮은 왜곡을 갖는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은 기존의 PEEK 다이어프램에 비해 THD(총 고조파 왜곡) 및 HOHD가 더 낮고 스파이크가 없다. 이는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이 더 우수한 편파 방지 능력을 가지며 또한 음질이 더 우수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은 실온에서 고탄성 상태에 있고, 분자 사슬은 운동이 용이하며, 분자 간의 마찰력이 크고, 우수한 감쇠 성능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손실 펙터는 0.06보다 크다. 우수한 감쇠 성능으로 인해 다이어프램은 더 낮은 임피던스를 갖는다. 상기 다이어프램의 감쇠성이 향상되어 진동 과정에서 사운드 발생 장치의 진동 시스템의 편파 현상 억제 능력이 증가되므로 진동 일치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감쇠가 낮고, 그 손실 펙터가 일반적으로 0.01 미만이며, 감쇠성이 작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손실 펙터는 0.1보다 크다.
도 11은 다른 주파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발생 장치의 다이어프램의 다른 부위의 진동 변위 테스트 곡선이다. 도 12는 다른 주파수에서 기존 다이어프램의 다른 부위의 진동 변위 테스트 곡선이다.
여기서, 다이어프램은 직사각형 접힌 링 다이어프램이다. 횡좌표는 주파수(Hz)이고, 종좌표는 라우드니스 변위량(mm)이다. 다이어프램 중심부의 가장자리 위치와 중심 위치에서 위치를 정하여 테스트한다.
도 11의 각 곡선은 더 집중된 반면 도 12의 각 곡선은 분산된 것을 보아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운드 발생 장치의 다이어프램의 각 부분의 진동 일치성이 더 우수하고, 진동 과정에서 다이어프램의 스윙 진동이 적으며, 음질 및 청취 안정성이 더 우수함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 15-90A이고, 바람직하게는 20-80A이다.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이어프램의 모듈러스, 경도 및 두께에 비례하지만,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경우, 모듈러스는 경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경도로 다이어프램의 모듈러스를 표현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강도와 경도는 보강제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양이 증가하면 분자간 수소 결합이 증가하여 재료의 강도 및 경도가 증가하고, 가교점이 증가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강도 및 경도가 높을 수록 다이어프램의 F0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사운드 발생 장치의 라우드니스가 감소되어 저음 성능이 떨어진다. 도 13은 두께가 동일하고 경도가 다른 다이어프램의 임피던스 곡선으로, 도면으로부터 경도 증가함에 따라 F0가 급격히 증가함을 보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다이어프램은 접힌 링 다이어프램 또는 평판 다이어프램이다.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이어프램의 영률 및 두께에 비례하므로,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두께 및 영률을 변경하여 F0의 변화를 구현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조절 원리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Mms는 스피커의 등가 진동 품질이고, Cms는 스피커의 등가 컴플라이언스이며;
Figure pct00005
여기서, Cm1은 탄성파 컴플라이언스이고, Cm2는 다이어프램 컴플라이언스이다. 탄성파 없이 설계하는 경우, 스피커의 등가 컴플라이언스는 다이어프램 컴플라이언스이고;
Figure pct00006
여기서, W는 다이어프램의 접힌 링부의 전체 폭이고, t는 다이어프램의 두께이며; dvc는 다이어프램과 보이스 코일의 접합 외경이고; E는 다이어프램 재질의 영률이며; u는 다이어프램 재질의 푸아송비이다.
이로부터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이어프램의 모듈러스 및 두께에 비례하고, 다이어프램의 모듈러스는 또한 경도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듈러스 대신 경도를 사용할 수 있다. 포만한 저음과 편안한 청감을 얻기 위해서는 사운드 발생 장치가 낮은 공진 주파수(F0)를 갖는 동시에 다이어프램이 충분한 강성과 감쇠가 있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경도 및 두께를 조절하여 F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20-80A이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60-120μm이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150-1500HZ에 도달할 수 있어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저주파 성능이 우수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이어프램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다. 단층 다이어프램은 1층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으로 구성된 다이어프램이다. 복합 다이어프램은 다층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다이어프램이다. 또는, 복합 다이어프램은 적어도 1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은 기타 재료로 제조된 필름층과 적층 및 복합되어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복합 다이어프램을 구성한다.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2층, 3층, 4층 또는 5층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이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의 경우, 두께는 10-200μm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120μm이다 .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성능 요구 사항 및 조립 공간의 요구 사항을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의 구체적인 일 실시형태와 기존의 일반적인 다이어프램의 비교 곡선도를 제공한다. 도 14는 다른 주파수에서 2 가지 다이어프램의 라우드니스의 테스트 곡선(SPL곡선)을 도시한다. 다이어프램은 접힌 링 다이어프램이다. 횡좌표는 주파수(Hz)이고, 종좌표는 라우드니스이다.
여기서, 점선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의 테스트 곡선이다. 실선은 기존의 일반적인 다이어프램의 테스트 곡선이다.
SPL 곡선으로부터 2 가지 다이어프램의 중간 주파수 성능이 유사함을 보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을 적용한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의 F0는 806Hz인 바, 즉 도면에서 a 위치이다. 기존 다이어프램을 적용한 사운드 발생 장치의 F0는 886Hz인 바, 즉 도면에서 b 위치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이어프램의 저주파 감도 기존의 PEEK 다이어프램보다 높음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다이어프램을 적용할 경우,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가 더 높은 라우드니스 및 편안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는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상술한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술한 AEM형 공중합체이거나 상술한 ACM형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진동하도록 구동되고, 진동을 통해 소리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에는 코일, 자기 회로 시스템 등 부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진동하도록 구동된다.
비록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일부 특정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4)

  1.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으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 분율은 100부이고,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이염기산 에스테르계, 프탈레이트계, 벤젠 폴리산 에스테르계, 벤조산 에스테르계, 폴리올 에스테르계, 염소화 탄화수소계, 에폭사이드계, 시트르산 에스테르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아크릴레이트를 중합 주단량체로 사용하여 가교 단량체와 가교 중합하여 제조되고,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13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3-10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황제가 혼합되고, 상기 가황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10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3-7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노화방지제가 혼합되고, 상기 노화방지제는 노화방지제 N-445, 노화방지제 246, 노화방지제 4010, 노화방지제 SP, 노화방지제 RD, 노화방지제 0DA, 노화방지제 0D, 노화방지제 WH-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상기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10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방지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5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내부 이형제가 혼합되고, 상기 내부 이형제는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염, 옥타데실아민, 알킬 포스페이트 및 α-옥타데실-ω-하이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포스페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이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0.5-5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이형제 자체의 질량 분율은 1-3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단층 다이어프램이고, 상기 단층 다이어프램은 1층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합 다이어프램이고,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2층, 3층, 4층 또는 5층의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1층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의 두께는 10-2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필름층의 두께는 30-12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4.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로서,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 및 제1-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사운드 발생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진동 및 사운드 발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0217038404A 2019-04-24 2020-04-20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659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35476.3 2019-04-24
CN201910335476.3A CN111849103B (zh) 2019-04-24 2019-04-24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PCT/CN2020/085558 WO2020216168A1 (zh) 2019-04-24 2020-04-20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521A true KR20220005521A (ko) 2022-01-13
KR102659011B1 KR102659011B1 (ko) 2024-04-18

Family

ID=729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404A KR102659011B1 (ko) 2019-04-24 2020-04-20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51253A1 (ko)
EP (1) EP3962103A4 (ko)
KR (1) KR102659011B1 (ko)
CN (1) CN111849103B (ko)
WO (1) WO2020216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2102A (zh) * 2020-12-16 2021-04-16 潍坊同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橡胶振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319892A (zh) * 2022-06-21 2023-12-29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182A (zh) * 2012-03-15 2012-07-18 楼氏电子(北京)有限公司 微型电声换能器
CN106957466A (zh) * 2016-12-12 2017-07-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用于电声系统的振膜及其制备方法
CN109218924A (zh) * 2018-08-20 2019-01-15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发声装置的振膜、发声装置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3636A (en) * 1977-05-26 1981-06-16 Kiyoo Shimada Selective chemical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transducers
US4362772A (en) * 1980-03-31 1982-12-0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ibratory elements for audio equipment
JP2886608B2 (ja) * 1990-03-28 1999-04-26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用振動板
EP1429582B1 (en) * 2002-12-09 2013-01-16 Onkyo Corporation Loudspeaker diaphrag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92731B2 (en) * 2009-12-30 2016-03-22 Intel Corporation Gesture-based signature authentication
SG187933A1 (en) * 2010-08-26 2013-03-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ouble-sided multi-layer adhesive
DE102014204015A1 (de) * 2014-03-05 2015-09-10 Tesa Se Mehrschicht-Verbund mit hoher innerer Dämpfung
DE102014225579A1 (de) * 2014-12-11 2016-06-16 Tesa Se Mehrschicht-Verbund für akustische Membranen
GB201513555D0 (en) * 2015-07-31 2015-09-16 Pss Belgium Nv Audio system
KR101829555B1 (ko) * 2016-11-23 2018-03-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CN106792377A (zh) * 2017-01-23 2017-05-31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振膜及发声器件
CN108276740B (zh) * 2017-12-22 2020-08-25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发声装置的振膜、振膜的制备方法以及发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2182A (zh) * 2012-03-15 2012-07-18 楼氏电子(北京)有限公司 微型电声换能器
CN106957466A (zh) * 2016-12-12 2017-07-1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用于电声系统的振膜及其制备方法
CN109218924A (zh) * 2018-08-20 2019-01-15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发声装置的振膜、发声装置及其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011B1 (ko) 2024-04-18
US20220251253A1 (en) 2022-08-11
CN111849103B (zh) 2021-11-02
CN111849103A (zh) 2020-10-30
EP3962103A4 (en) 2023-05-24
EP3962103A1 (en) 2022-03-02
WO2020216168A1 (zh)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013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CN110708638B (zh)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及微型发声装置
CN110818991A (zh) 一种发声装置的振膜以及发声装置
KR102659012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659011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CN110708637A (zh)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及微型发声装置
EP3962109A1 (en) Vibrating diaphragm for miniature sound-producing device and miniature sound-producing device
KR102659014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666675B1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CN111849110B (zh)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KR102666672B1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CN111849109B (zh)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KR102666673B1 (ko)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사운드 발생 장치
KR20220010517A (ko)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사운드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