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675B1 -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 Google Patents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675B1
KR102666675B1 KR1020217038423A KR20217038423A KR102666675B1 KR 102666675 B1 KR102666675 B1 KR 102666675B1 KR 1020217038423 A KR1020217038423 A KR 1020217038423A KR 20217038423 A KR20217038423 A KR 20217038423A KR 102666675 B1 KR102666675 B1 KR 10266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olyacrylate copolymer
polyacrylate
copolymer
mass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524A (ko
Inventor
빙 후이
슈치앙 왕
펭광 링
춘 리
춘파 리우
Original Assignee
고어텍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335466.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849109B/zh
Application filed by 고어텍 인크 filed Critical 고어텍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00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04R7/10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comprising superposed layers in contact

Abstract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상기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 메인 단량체로, 크로스링킹 단량체와 크로스링킹 중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보강제가 혼합되어 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는100 질량분이며,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1-90 질량분이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0.06보다 크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15-90A 인이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보다 우수한 음향 성능을 가진다.

Description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제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은 복층 복합 재료, 예를 들어, PEEK, PAR, PEI, PI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TPU, TPEE 등 탄성체 재료, 아크릴산 필름, 실리콘 필름 등 필름을 사용한다. 또한, 실리콘 고무는 양호한 열 안전성, 양호한 소수 성능 및 우월한 탄성 회복 성능을 구비하며, 고파워화, 방수 및 고음질에 대한 높은 수요에 따라 실리콘 고무도 다이어프램의 제조에 점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모바일폰, 태블릿 등 소형 전자 기기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전자 기기에는 체적이 더 작고, 성능이 더 좋은 미니어처 발성 장치가 필요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로 인해, 종래의 상규적인 복합 대료는 성능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상기 재료들은 모두 각자만의 결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PEEK, PAR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들은 온도 저항성이 비교적 양호하지만, 재료의 탄성 회복 성능이 비교적 나쁘며, 제품은 막 굴절이 발생되기 용이하고, 방수 작용을 할 수 없다. TPU, TPEE 등 탄성체 재료들은 용점이 비교적 낮고, 온도 저항성이 비교적 나쁘다. 실리콘 고무 재료는 열 안정성과 탄성 회복 성능이 비교적 양호하나, 화학 구조가 대칭되고, 입체 규칙성이 높으며, 대칭되어 대체하는 메틸기 공간 입체 장애가 작고, 실리콘 고무의 계수 또는 경도는 비교적 낮아 재료의 감쇠성이 비교적 낮고, 실리콘 고무 다이어프램의 제품 왜곡이 비교적 커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종합 성능은 비교적 나쁘고,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종합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종합 성능이 강하고, 신뢰도가 높은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의 제공은 본 기술분야에서 마주하게 된 하나의 주요한 기술적 과제로 되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의 새로운 기술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을 제공하였으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 메인 단량체로, 크로스링킹 단량체와 크로스링킹 중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보강제가 혼합되어 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는 100 질량분이며,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90 질량분이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 0.06보다 크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 15-90A 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 0.1보다 크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 20-80A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강제는 카본 블랙,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및 황산바륨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85 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되었으며,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디에스테르류, 프탈산 에스테르류, 페닐 폴리 에스테르류, 벤조산 에스테르류, 폴리올 에스테르류, 염소화 탄화수소류, 에폭시류, 구연산 에스테르류, 폴리에스테르류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13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3-10 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황화제가 혼합되어 있고, 상기 황화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5-5 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황화제는 트리티오시아누릭 액시드 경화 시스템, 폴리아민, 유기산, 암모늄염, 유기산 암모늄염, 디에틸디씨오카바메이트, 이미다졸/산무수물, 이소시아누르산/쿼터늄, 유황/촉진제, 과산화물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은 단층 다이어프램익, 상기 단층 다이어프램은 한 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층 막층으로 구성되며;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으며,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2층, 3층, 4층 또는 5층 복합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적어도 한 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의 두께는10-200 μm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의 두께는30-120 μm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더 제공하였으며, 발성 장치 바디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발성 장치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진동 발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공개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이어프램은 보다 우수한 음향 성능 및 더 높은 사용 안정성을 구비한다.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기타 장점은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와 결합되고, 명세서의 일부로 구성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비가 유리화 전환 온도 및 역학 강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이 유리화 전환 온도 및 파단 연신율에 대한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황화제 용량이 유리화 전환 온도 및 파단 연신율에 대한 영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CM 타입 중합체로 제조한 다이어프램 중 가소제 혼합량과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 및 역학 강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EM 타입 중합체로 제조한 다이어프램 중 가소제 혼합량과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 및 역학 강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CM 타입 중합체로 제조한 다이어프램의 응력-응변 그래프와 카본 블랙 혼합 분량 수의 관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AEM 타입 중합체로 제조한 다이어프램의 응력-응변 그래프와 카본 블랙 혼합 분량 수의 관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과 종래의 상규적인 다이어프램의 응력 응변 그래프 대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과 종래의 상규적인 다이어프램의 고조파 왜곡 테스트 그래프 대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과 종래의 상규적인 다이어프램의 고차 조파 왜곡 테스트 그래프 대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상이한 부위가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진동 변위 테스트 그래프이다.
도 12는 종래의 상규적인 다이어프램의 상이한 부위가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진동 변위 테스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 방식에서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다이어프램의 임피던스 그래프 대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과 종래의 다이어프램이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음량의 테스트 그래프 대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별도의 구체적 설명을 하지 않는 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부품 및 단계의 상대적 배치, 수자 표시식 및 값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묘사는 설명적인 것이며, 본 발명 및 그 응용 또는 사용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하지 않는다.
관련 분야 당업자가 자명하고 있는 기술, 방법 및 기기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을 수 있으나, 적합한 상황에서, 상기 기술, 방법 및 기기는 명세서의 일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여기서 예시 및 토론되는 모든 예에서, 모든 구체적인 값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의 기타 예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유사한 도면 부호 및 문자는 아래의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을 표시하며, 따라서, 어느 한 부분이 하나의 도면에서 정의되었을 경우, 그 후의 도면에서 그에 대한 상세한 토론을 진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을 제공하며, 해당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었다. 폴리아크릴레이트를 메인으로 중합하여 형성한 재료가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이다.
본 발명의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구체적으로 두가지 부동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가지 구체적인 재료는 모두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이고, 모두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기술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그 중의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AEM 타입 공중합체이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자식은 아래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분자식에서, x, y는 자연수이고, R은 알킬기이다.
특히,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는 0.05-10이다. 폴리에틸렌 블록은 재료 매트릭스에 인성을 제공하여 고무가 비교적 양호한 온도 저항 성능을 가지도록 한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블록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강성이 부족해지며, 사용 수요를 만족시키지 어려워진다. 도 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비가 증가됨에 따라,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는 점차 낮아지며, 역학 강도는 불변을 유지하다 급격하게 감소된다. 특히, 비의 값이 15일 시, 그 역학 강도는 6.3MPa만 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를 바람직하게 0.05-10의 범위 내로 제한하며, 다이어프램이 인성 등 역학 성능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저온 저항성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 0.1-5이다.
더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분작식은 아래와 같다.
이상의 분자식에서, x ,y, z는 자연수이며, R, R’는 알킬기이다.
특히,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는 0.1-10이고,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총 질량의 0.5-10wt%이며,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은 매트릭스에소 크로스링킹 작용을 하며, 함량이 높을 수록 재료 매트릭스의 크로스링킹도는 더 크고, 재료의 강성은 더 크다. 또한, 과도한 크로스링킹도는 고무의 높은 탄성이 손실되도록 한다.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의 질량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크로스링깅도가 과도하게 커지도록 하며, 고무의 탄성은 뚜렷하게 감소된다. 도 2는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 백분비가 재료 유리화 전환 온도 및 파단 연신율에 대한 영향을 도시하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싶이,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 질량비의 증가에 따라 재료의 크로스링킹도가 증가되며, 분자 체인의 이동은 제한되며, 유리화 전환 온도가 증가되고, 파단 연신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이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서의 총질량의 범위를 0.5-10wt% 범위내로 제한하였고, 이를 통해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성능 수요를 만족시키는 유리화 전환 온도 및 파단 연신율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 0.2-5이고,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이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서 차지하는 총질량의 범위는 1-5wt%이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 메인 단량체로 크로스링킹 단량체와 크로스링킹 중합되어 제조되며, 이러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ACM 타입 공중합체이다. ACM 타입 공중합체의 분자식은 아래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분자식에서, R은 알킬기 메인 단량체, 에틸기 메인 단량체, 메틸기 메인 단량체 또는 노르말 부틸 중의 적어도 한가지이다.
X 는 COO(CH2)2OCH3-CN 중합 단량체이고;
Y는-COOH크로스링킹 작용기, -OCOCH2CI크로스링킹 작용기,-OCH2CH2CI크로스링킹 작용기, 에폭시기 크로스링킹 작용기 또는 불포화 올레핀 그룹 중의 적어도 한가지이며;
m, n, a는 자연수이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는 비교적 높은 감쇄 인자를 가지며, 그 영향 요소는, 크로스링킹 정도, 분자 간 수소 결합, 가소제 함량 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들은 모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클 수록 감쇄 인자가 커지고, 감쇄 성능이 양호할 수록 다이어프램이 발성 시의 왜곡이 낮아진다.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함량은 분자 간 수소 결합의 수량에 영향 준다.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함량이 높을 수록 분자 간 수소 결합이 더 많아지고, 분자 체인이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상응하게, 유리화 전환 온도가 높아지면, 감쇄 인자가 증가된다. 분자 간 수소 결합은 물리적 얽힘이고, 분자 간 수소 결합이 많을 수록 일정 범위내 에서 재료 역학 강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그러나, 분자 간 수소 결합의 양이 역학 강도에 대한 영향은 크로스링킹 정도가 재료의 역학 강도에 대한 영향보다 작다.
선택 가능하게, ACM 타입 공중합체에는 황화제가 혼합되어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분 수는 100 질량분이며, 상기 황화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5-5 질량분이다. 황화제의 첨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서 크로스링킹 포인트의 형성에 도움되며, 공중합체의 크로스링킹도를 제고시킨다. 그러나, 황화제의 혼합량이 과도하게 클 경우, 도 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크로스링킹도는 현저하게 제고되며, 이로 인해 공중합체 중 분자 체인 이동이 제한되고, 유리화 전환 온도가 제고되며, 파단 연신율은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서, 상기 황화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5-5 질량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황화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8-3 질량분이다. 상기 질량분 수의 상황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적절한 크로스링킹도를 가지도록 보장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 역학 성능에 대한 요구도 만족시킬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황화제는 트리티오시아누릭 액시드 경화 시스템, 폴리아민, 유기산, 암모늄염, 유기산 암모늄염, 디에틸디씨오카바메이트, 이미다졸/산무수물, 이소시아누르산/쿼터늄, 유황/촉진제, 과산화물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디에스테르류, 프탈산 에스테르류, 페닐 폴리 에스테르류, 벤조산 에스테르류, 폴리올 에스테르류, 염소화 탄화수소류, 에폭시류, 구연산 에스테르류, 폴리에스테르류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가소제 상의 극성 그룹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상의 극성 그룹은 서로 흡입하는 작용을 가지며,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상의 극성 그룹의 상호 작용을 감소시키므로 인해 가소제의 증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 상의 극성 그룹을 커버하는 것에 해당되며, 차단 작용을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물리적 크로스링킹 포인트가 감소되도록 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가소제의 분자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보다 훨씬 작으며, 그들의 활동은 비교적 용이하여, 블록 활동에 필요한 공간을 매우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고,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를 감소시키고, 재료의 내한 성능을 증가시키며, 재료의 가공 성능을 개선시킨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가 100질량분일 경우, 선택 가능하게,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13 질량분이다. 도 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가소제 용량의 증가에 따라,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는 낮아지나, 상응하게, 재료의 인장 강도도 감소된다. 가소제 함량이 15일 시, 재료의 인장 강도는 대폭 하강된다. 또한, 과량의 가소제는 재료 내부로부터 석출되며, 재료의 역학 성능을 감소시킨다.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가 상기 범위에 부합될 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성능이 다이어프램의 성능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3-10 질량분이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가 100질량분일 경우, 선택 가능하게,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10 질량분이다. 도 5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가소제 용량의 증가에 따라, 재료의 유리화 전환 온도는 낮아지나, 상응하게, 재료의 인장 강도도 감소된다. 가소제 함량이 12일 시, 재료의 인장 강도는 대폭 하강된다. 또한, 과량의 가소제는 재료 내부로부터 석출되며, 재료의 역학 성능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3-7 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보강제가 혼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보강제는 카본 블랙,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및 황산바륨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가 100 질량분인 상황에서,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90 질량분이다.
보강제의 표면에는 치환, 환원, 산화 등 반응이 발생될 수 있는 수소, 카르복실기, 락톤, 유리기, 퀴논일 등 그룹이 구비될 수 있다. 보강제를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혼합 후, 보강제와 중합체 블록의 경계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재료가 힘을 받을 시, 분자 체인이 보강제 입자 표면에서 슬라이딩되기 용이해지나, 보강제 입자와 이탈되기 어려워지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보강제 입자는 슬라이딩 가능한 견고한 결합을 구성하며, 역학 강도가 증가된다.
카본 블랙을 예시로, 카본 블랙은 비정질 구조이며, 입자는 서로 간의 물리 화학 결합을 통해 집합체로 구성된다. 카본 블랙의 일차 구조는 집합체로 구성되고, 동시에 집합체 사이에는 반데르발스힘 또는 수소 결합이 존재하며, 공간 네트워크 구조, 즉 카본 블랙의 이차 구조를 집결할 수 있다. 카본 블랙의 표면에는 상기 그룹이 구비된다. 카본 블랙 입자는 공중합체 분자 체인과 상기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역학 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역학 강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공진 주파수가 과도하게 높아지고, 저주파수 응답 능력이 감소되도록 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가 100 질량분일 경우,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85 질량분이다. 도 6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카본 블랙을 보강제로 선택한 예시에, 카본 블랙의 질량분 수가 0.5일 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역학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은 모두 비교적 작고, 이는 카본 블랙 량이 비교적 작아, 매트릭스에서 분산이 불균일하여 보강 효과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카본 블랙 자체의 질량분 수의 증가에 따라, ACM 타입 공중합체의 역학 강도는 증가되며, 파단 연신율은 점차 감소된다. 특히, 카본 블랙이 90 분일 시, 그 파단 연신율은 83%로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장기간 사용에서 파손되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가 1-85 질량분일 시, 본 발명이 다이어프램 성능에 대한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2-75 질량분이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가 100 질량분일 경우,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90 질량분이다. 도 7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카본 블랙을 보강제로 선택한 예시에, 카본 블랙의 질량분 수가 0.5일 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역학 강도 및 파단 연신율은 모두 비교적 작고, 이는 카본 블랙 량이 비교적 작아, 매트릭스에서 분산이 불균일하여 보강 효과가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카본 블랙 자체의 질량분 수의 증가에 따라, AEM 타입 공중합체의 역학 강도는 증가되며, 파단 연신율은 점차 감소된다. 특히, 카본 블랙이 95 분일 시, 그 파단 연신율은 95%로 감소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장기간 사용에서 파손되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따라서, 선택 가능하게,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가 1-90 질량분일 시, 본 발명이 다이어프램 성능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2-70 질량분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교제가 혼합되어 있으며,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 가교제 및 보조 가교제를 포함한다.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유리기 생성에 사용된다. 상기 보조 가교제는 상기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유리기 중합에 사용된다.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1, 3-1, 4-디(테르트 부틸페록시이소프로필)벤젠, 과산화 디소프로필벤젠, 2, 5-디메틸-2, 5-디(테르트 부틸페록시)헥산, 부틸큐밀퍼옥사이드, 2, 5-디메틸-2, 5-디(과산화 테르트 부틸)-3-헥신, 4, 4’-디(테르트 부틸페록시)발레르산염, 디(테르트 부틸페록시)-3, 3, 5 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2, 4-디클로로벤졸페록시드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가교제는,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N,N'-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 디알릴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이소시아누르산 에스테르 및 트리알릴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가교제 및 생성된 크로시링킹 포인트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크로스링킹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정 범위 내에서, 크로스링킹 포인트가 많을 수록, 가교제 용량이 더 크고, 크로스링킹도가 더 높다. 크로스링킹도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분자 체인의 이동이 어려워지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유리화 전환 온도가 높아지도록 하며, 감쇄 인자가 증가된다. 또한, 재료 역학 강도가 높을 수록, 파단 연신율과 탄성 회복율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의 재료에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와 아민류 물질 가교제가 반응하여 형성된 아미드 크로스링킹 중합체 및/또는 이미드 크로스링킹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류 물질 가교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카르밤산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서브유닛 디페닐아민 및 디오토릴구아디닌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 폴리카르복실기 블록 함량 및 가교제 용량의 조절을 통해 유리화 전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가 0.2-5이고, 폴리카르복실기 블록 백분율이 1-5wt%이며, 가교제 첨가량이 1-5 질량분 사이일 시,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유리화 전환 온도는≤-20°C이다. 해당 유리화 전환 온도로 인해 해당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상온에서 고탄성 상태를 유지하고, 탄성 회복 성능이 양호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안정적인 힌지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해 상기 다이어프램은 비교적 높은 사용 온도 상한을 가진다. 테스트를 거친 결과, 200°C의 조건에서, 연속하여 72 시간 이상 작업할 수 있으며, 미니어처 발성 장치가 고, 저온, 긴 시간에 대한 응용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실제 사용 과정에서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 구조가 무너지는 리스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노화 방지제가 혼합되어 있고, 상기 노화 방지제는 노화 방지제 N-445, 노화 방지제 246, 노화 방지제 4010, 노화 방지제 SP, 노화 방지제 RD, 노화 방지제ODA, 노화 방지제OD, 노화 방지제 WH-02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상기 노화 방지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5-10 질량분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사용 과정에서, 사용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자 체인이 점차 단열되며, 유리되는 유리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자연 노화 현상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노화 방지제를 혼합하여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에서 생성되는 활성 유리기의 자가 촉매 현상을 방지 또는 중지, 둔화시킬 수 있다. 노화 방지제의 혼합량이 과도하게 적을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노화 방지제의 혼합량이 과다할 경우, 노화 방지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충분하게 서로 용해될 수 없고,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워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역학 성능이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분 수가 100질량분일 경우, 노화 방지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선택 가능하게 0.5-10 질량분 범위 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노화 방지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선택 가능하게 1-5 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인터널 이형제가 혼합되어 있다. 상기 인터널 이형제는,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염, 옥타데실아민 및 인산알킬, α-옥타데실기-ω-히드록실기 폴리옥시에틸렌 인산에스테르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한다.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의 무니 점성도와 생고무 강도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다. 이러한 성능 특징으로 인해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가 사출 가공 공정에서 롤 밴딩, 금형 스티킹 등 공정 문제가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시아즈에 인터널 이형제를 추가하는 방식을 통해 해당 공중합체의 가공 성능을 개선한다.
인터널 이형제의 혼합량이 비교적 작을 경우, 금형 스티킹 문제를 개선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혼합량이 너무 높을 경우, 폴리아크릴레이트 고무가 이 후 다이어프램 제조 시, 접착층과의 접착력이 낮아져 최종적으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의 성능이 불리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질량분 수는 100 질량분일 경우, 상기 인터널 이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5-5 질량분이다. 바람직하게, 인터널 이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3질량분이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유리화 전환 온도 범위는-700°C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비교적 높은 분자량을 가지고, 분자 체인이 비교적 부드러우며, 따라서, 비교적 양호한 저온 저항성능을 가진다. 다이어프램이 상기 유리화 전환 온도의 범위를 만족할 시, 해당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상온에서 높은 탄성 상태를 유지하고, 탄성 회복 성능이 양호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일정 범위에서, 유리화 전환 온도가 낮을 수록, 다이어프램은 더 낮은 온도에서 정상적을 작업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의 두께가 변하지 않는 상황에서, 유리화 전환 온도가 낮아지고, 장착한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낮아진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유리화 전환 온도 범위는 선택 가능하게-600°C이다. 바람직하게, -50-20°C이다. 이로 인해0°C 보다 낮을 시,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작업시 비교적 양호한 탄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피커가 비교적 높은 음질을 나타낼 수 있다. 동시에, 저온 환경에서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파손될 리스크를 감소시켜 신뢰도가 더 높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다이어프램의 유리화 전환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6020°C이다. 이로 인해0°C 보다 낮을 시,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작업시 비교적 양호한 탄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피커가 비교적 높은 음질을 나타낼 수 있다. 동시에, 저온 환경에서 스피커 다이어프램이 파손될 리스크를 감소시켜 신뢰도가 더 높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량의 락톤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다이어프램 제조 시, 접착층과 수소 결합 작용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우수한 접착성을 가진다. 선택 가능하게,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접착층의 접착력은 100g/25mm(180° 박리)보다 크며, 바람직하게, 접착력은 200g/25mm(180° 박리)보다 크다. 높은 접착력으로 인해 다이어프램이 진동 과정에서 Dome과의 조화 일치성이 양호하고, 음질이 퓨어하며, 장시간 진동 후 스프커 다이프램은 여전히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성능 안정성이 높다.
상기 다이어프램의 접착력은 주로 두가지 방면에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특수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으며, 즉, 다이어프램에 복층의 막층을 포함하고, 그 중 적어도 한 층의 막층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었다. 복층 막층 사이는 접착, 열 프레스 등 방식으로 복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을 구성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양호한 접착 성능은 복합 다이어프램의 구조 안정성과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 다이어프램은 실제 응용에서 보이스 코일, 센트럴 슬라이스, 보강 소자(DOME) 등을 통해 접착층과 접착 장착된다. 다이어프램의 양호한 접착 성능은 장착에서 작용될 수 있으며, 미니어처 발성기 제품의 음향 성능과 구조 신뢰도를 제고시킨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접착층의 유형은, 에폭시류, 아크릴레이트류, 유기 실리콘 수지류, 에스테르류, 폴리우레탄류, 클로랄 수지류, 페놀 수지류, 요소 수지류 중의 한가지 이상을 포함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파단 연신율은 100%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파단 연신율은 150%보다 크다. 비교적 높은 파단 연신율을 가짐으로 인해 다이어프램이 발성 장체에서 사용될 시 필름 파손 등 신뢰도 문제가 용이하게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동일한 응력에서,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응변은 종래 기술의 PEEK 다이어프램보다 뚜렷이 크다. 이는,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영 계수가 종래 기술의 PEEK 다이어프램보다 뚜렷하게 작음을 나태난다.
또한, 종래의 PEEK 다이어프램은 뚜렷한항복점을 형성하였으며, 약 0.4-0.5%의 응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에는 항복점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은 보다 넓은 탄성 영역을 구비하며, 탄성 회복 성능이 우수함을 표시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은 양호한 유연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파단 연신율≥ 100%이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블록은 파단 연신율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진동 변위가 클 수록, 음량이 더 크다. 또한, 신뢰도, 내구성이 양호하다. 재료의 유연서잉 좋을 수록 파단 연신율이 더 크며, 다이어프램이 파손을 방지하는 능력이 더 강하다. 다이어프램이 대진폭 상태로 진동 시, 재료에서 비교적 큰 응변이 발생되며, 장시간 진동 시 필름 굴절, 필름 파열 또는 필름 파손의 리스크가 발생된다. 또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매트릭스로 하는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은 양호한 유연성을 구비하며, 다이어프램 파손 리스크를 감소시킨다. 파단 연신율이 높을 수록 다이어프램이 장시간 사용 중에서의 필름 파손율이 낮아진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본발명이 제공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더 넓은 탄성 영역을 가지며, 다이어프램의 응변이 해당 영역에서 발생할 시, 외력이 제거된 후 다이어프램은 우수한 회복성을 가지게 된다. 상응하게, 다이어프램은 진동 과정에서 스윙 진도잉 적어지고, 음질 및 청음 안정성이 더 우수해진다. 또한, 200°C의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재료에 비해 더 높은 감쇄 성능을 가진다. AEM 타입 공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을 예시로, 다이어프램이 20% 응변이 발생한 후의 탄성 회복율이≥90%이다. 다이어프램의 탄성 회복 성능은 양호하며, 따라서 발성 장치는 비교적 양호한 순간 응답 및 비교적 낮은 왜곡을 가진다.
도 9, 10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은 종래의 PEEK 다이어프램에 비해 더 낮은 THD(총 고조파 왜곡) 및 HOHD를 가지며,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본 발명의 다이어프램이 더 우수한 편파 방지 능력을 가지며, 더 양호한 음질을 가짐을 표시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은 실온에서 고탄성 상태를 가지며, 분자 체인이 이동되기 용이하고, 분자 간 마찰력이 크며, 비교적 양호한 감쇄 성능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 0.06보다 크다. 우수한 감쇄 성능으로 인해 다이어프램은 더 낮은 임피던서를 가진다. 상기 다이어프램의 감쇄성은 제고되고, 발성 장치의 진동 시스템은 진동 과정에서 편차 현상을 억제하는 능력이 증가되며, 진동 일치성이 양호하다. 그러나 종래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의 감쇄성은 비교적 낮고 소모 인자는 일반적으로 0.01보다 작으므로 감쇄성이 비교적 작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 0.1보다 크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성 장치의 다이어프램의 상이한 부위가 상이한 주파수에서 진동 변위되는 테스트 그래프이다. 도 12는 종래의 다이어프램의 상이한 부위가 상이한 주파수에서 진동 변위되는 테스트 그래프이다.
여기서, 다이어프램은 직사각형 엣지 다이어프램이다. 횡좌표는 주파수(Hz)이고, 종좌표는 음량 변위량(mm)이다. 다이어프램의 중심부의 엣지 위치 및 중심 위치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를 진행한다.
알 수 있다싶이, 도 11 중 각 그래프는 더 집중되나, 도 12 중 각 그래프는 비교적 분산된다. 이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발성 장치의 다이어프램의 각 부분의 진동 일치성이 보다 양호하고, 진동 과정에서, 다이어프램의 스윙 진동이 적으며, 음질 및 청음 안정성이 보다 우수함을 표시한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 15-90A이고, 바람직하게 20-80A이다. 발성 장치의 공진 주파수(F0)와 다이어프램의 계수, 경도 및 두께는 정비례되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해 그 계수는 경도와 정비례된다. 따라서, 경도로 다이어프램의 계수를 표시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강도 및 경도는 보강제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증가로 인해 분자 간 수소 결합이 증가되고, 따라서 재료의 강도 및 경도가 증가되고, 크로스링킹 포인트가 증가되도록 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강도 및 경도가 높을 수록, 다이어프램의 (F0)은 더 커지고, 상응하게, 발성 장치의 음량은 일정 정도 낮아지며, 저음 성능이 나빠진다. 도 13은 동일한 두께의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임피던스 그래프이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싶이, 경도의 증가에 따라 (F0)은 급격히 증가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다이어프램은 엣지 다이어프램 또는 플레이트 다이어프램이다. 발성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이어프램의 영 계수 및 두께에 정비례되며,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두께 및 영 계수를 변경시켜 (F0)의 변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조절 원리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Mms는 스프커의 등가 진동 질량이고, Cms는 스피커의 등가 준수성이며;
여기서,Cm1은 탄성파 준수성이고,Cm2은 다이어프램 준수성이다. 탄성파 디자인이 없을 경우, 스프커의 등가 준수성은 다이어프램 준수성이다.
여기서, W는 다이어프램의 엣지의 폭이고, t는 다이어프램 두께이며, dvc는 다이어프램 코일 접합 외경이고, E는 다이어프램 재질의 영 계수이며, u는 다이어프램 재질의 푸아송 비이다.
알 수 있다싶이, 발성 장치의 공진 주파수(F0)는 다이어프램의 계수 및 두게에 정비례된다. 다이어프램의 계수는 경도에도 정비례된다. 따라서, 경도로 그 계수를 대체할 수 있다. 포만한 저음 및 편안한 청감을 얻기 위해, 발성 장치는 비교적 낮은 공진 주파수(F0)를 가지는 동시에, 다이어프램이 충분한 강도 및 임피던스를 구비하도록 해야 한다. 당업자는 스피커 다이어프램의 경도 및 두께를 조절하여 (F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는 바람직하게 20-80A이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60-120μm이다.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공조 주파수(F0)가 150-1500HZ에 달하도록 할 수 있다.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저주파 성능은 우수하다.
선택 가능하게, 상기 다이어프램은 단층 구조일 수 있으며, 복층의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도 있다. 단층 다이어프램은 한 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으로 구성된 다이어프램이다. 복합 다이어프램은 복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한 다이어프램이다. 또는, 복합 다이어프램은 적어도 한 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은 기타 재료로 제조된 막층과 적층 복합되어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 복합 다이어프램을 구성한다.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2층, 3층, 4층 또는 5층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 중 적어도 한 층의 막층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이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에 대해, 그 두께는 선택 가능하게 10-200μm이고, 바람직하게 30-120μm이다.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의 두께가 해당 범위 내에 있을 시, 미니어처 발성 장치의 성능 요구와 설치 공간에 대한 요구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의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과 종래의 상규적인 다이어프램의 대비 그래프를 제공한다. 도 14는 두가지 다이어프램이 상이한 주파수에서의 음량의 테스트 그래프(SPL그래프)이다. 다이어프램은 엣지 다이어프램이다. 횡좌표는 주파수(Hz)이고, 종좌표는 음량이다.
여기서, 허선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다이어프램의 테스트 그래프이다. 실선은 종래의 상규적인 다이어프램의 테스트 그래프이다.
SPL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싶이, 두가지 다이어프램의 중간 주파수 성능은 비슷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을 사용하는 발성 장치의 (F0)은 806Hz이고, 즉, 도면 중 a위치이다. 종래의 다이어프램의 발성 장치를 사용한 (F0)은 886Hz, 즉, 도면 중 a위치이다. 이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다이어프램의 저주파 민감도가 종래의 PEEK 다이어프램보다 높음을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이어프램을 통해 미니어처 발성 장치가 더 높은 음량과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더 제공하며, 해당 발성 장치는 발성 장치 바디 및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AEM 타입 공중합체일 수 있고, 상기 ACM 타입 공중합체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발성 장치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진동을 구동시키고, 진동을 통해 소리를 생성한다. 상기 발성 장치 바디에는 코일, 자기 회로 시스템 등 부품들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자기 감응을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 진동을 구동시킨다.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일부 특정 실시예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당업자는 사익 예시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3)

  1.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제조되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알킬 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 메인 단량체로, 크로스링킹 단량체와 크로스링킹 중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보강제가 혼합되어 있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자체의 질량분 수는 100 질량분이며,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90 질량분이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 0.06보다 크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 15-90A이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아크릴레이트-카르복실산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폴리에틸렌 블록과 폴리아크릴레이트 블록의 질량비는 0.2-5이고, 폴리카복실레이트 블록은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질량의 1-5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소모 인자는 0.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쇼어 경도 범위는 20-8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카본 블랙,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및 황산바륨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85 질량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가소제가 혼합되었으며, 상기 가소제는 지방족 디에스테르류, 프탈산 에스테르류, 페닐 폴리 에스테르류, 벤조산 에스테르류, 폴리올 에스테르류, 염소화 탄화수소류, 에폭시류, 구연산 에스테르류, 폴리에스테르류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1-13질량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3-10 질량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는 황화제가 혼합되어 있고, 상기 황화제 자체의 질량분 수는 0.5-5 질량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황화제는 트리티오시아누릭 액시드 경화 시스템, 폴리아민, 유기산, 암모늄염, 유기산 암모늄염, 디에틸디씨오카바메이트, 이미다졸/산무수물, 이소시아누르산/쿼터늄, 유황/촉진제, 과산화물 중의 적어도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단층 다이어프램익, 상기 단층 다이어프램은 한 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층 막층으로 구성되며;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은 복합 다이어프램일 수 있으며,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2층, 3층, 4층 또는 5층 복합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다이어프램은 적어도 한 층의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의 두께는10-2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막층의 두께는30-12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
  13. 미니어처 발성 장치에 있어서, 발성 장치 바디 및 청구항1 내지 12 중 임의의 일 항에 따른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발성 장치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진동 발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1020217038423A 2019-04-24 2020-04-21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102666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335466.XA CN111849109B (zh) 2019-04-24 2019-04-24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CN201910335466.X 2019-04-24
PCT/CN2020/085742 WO2020216196A1 (zh) 2019-04-24 2020-04-21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和微型发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524A KR20220005524A (ko) 2022-01-13
KR102666675B1 true KR102666675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4094B2 (ja) 2004-07-12 2010-09-0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218924A (zh) 2018-08-20 2019-01-15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发声装置的振膜、发声装置及其组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4094B2 (ja) 2004-07-12 2010-09-0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振動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218924A (zh) 2018-08-20 2019-01-15 歌尔股份有限公司 用于发声装置的振膜、发声装置及其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013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20210146990A (ko) 마이크로 음향 발생 장치용 진동판 및 마이크로 음향 발생 장치
CN110708637B (zh) 一种用于微型发声装置的振膜及微型发声装置
WO2021082254A1 (zh) 一种发声装置的振膜以及发声装置
KR102659012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659011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EP3962109A1 (en) Vibrating diaphragm for miniature sound-producing device and miniature sound-producing device
KR102659014B1 (ko) 미니어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2666675B1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102666672B1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102666671B1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20220005524A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20220005523A (ko) 미니어처 발성 장치를 위한 다이어프램 및 미니어처 발성 장치
KR102666673B1 (ko) 사운드 발생 장치용 다이어프램 및 사운드 발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