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500A -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 - Google Patents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500A
KR20220005500A KR1020217037691A KR20217037691A KR20220005500A KR 20220005500 A KR20220005500 A KR 20220005500A KR 1020217037691 A KR1020217037691 A KR 1020217037691A KR 20217037691 A KR20217037691 A KR 20217037691A KR 20220005500 A KR20220005500 A KR 20220005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opening
protective
glov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토시 마츠나미
Original Assignee
소사이코세이카이 클리니컬 파운데이션 마츠나미리서치 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01624U external-priority patent/JP3227227U/ja
Application filed by 소사이코세이카이 클리니컬 파운데이션 마츠나미리서치 파크 filed Critical 소사이코세이카이 클리니컬 파운데이션 마츠나미리서치 파크
Publication of KR2022000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40Apparatus fixed or close to patient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an aseptic surgic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88Cab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보호구는 가요성의 커튼, 및 적어도 한 쌍의 가요성의 글로브를 구비한다. 커튼은 적어도 한 쌍의 개구를 갖고, 가시광을 투과하도록 구성된다. 글로브는 각각 개구단과 폐구단을 갖는다.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는 각각 개구단이 대응하는 개구에 고정되고, 커튼에 대해서 동일 측에 배치된다. 적어도 한 쌍의 개구는 유저의 양팔을 동시에 삽입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는 각각 유저의 적어도 손과 아래팔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감염증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보호구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 종사자가 환자나 피검자(이하, 환자나 피검자를 총칭하여 피검자라 함)에 대해서 진단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때, 의료 종사자와 피검자 간의 감염증의 전파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감염 방호복, 또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클린부스 등이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호복이나 클린부스를 사용함으로써,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에 의료 종사자가 감염될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19-3174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10-255902호 공보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감염증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의료 종사자가 피검자에 대해서 진단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때에 효과적으로 감염증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감염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상기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보호구이다. 이 보호구는, 가요성의 커튼 및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글로브를 구비한다. 커튼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를 가지며, 가시광을 투과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는 개구단과 폐구단을 가지며, 개구단이 제1 개구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는 감염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제1 개구에 접속되는 글로브를 구비하는 커튼을 갖는 보호구를, 피검자와 검체 채취자 사이에 커튼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배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상면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상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배면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배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배면도이고,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2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정면도이고,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2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모식적 배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8a는 실시예에서의 실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8b는 실시예에서의 실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고,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제의 양태에 비해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와 각 도면에서 기출 도면에 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복수의 요소가 일체화된다는 것은, 복수의 요소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지만 이것들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연속적인 구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체화된 복수의 요소는 서로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고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하나에 따른 보호구(100)의 구조와 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보호구(100)의 모식적 사시도를 도 1에, 모식적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 2a와 도 3에 나타낸다. 도 2a는 보호구(100)를 정면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배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보호구(100)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가요성의 시트 또는 커튼(110)(이하, 편의상 시트 또는 커튼(110)을 총칭하여 커튼(110)이라 함), 및 커튼(110)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한 쌍의 가요성의 글로브(114)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글로브(114)는 복수일 수도 있고,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114) 또한 복수 쌍의 글로브(1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한 쌍의 글로브(114)가 마련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호구(100)는 커튼(110)의 표면의 법선이 수평면에 거의 평행하도록 그리고 배면측이 유저인 의료 종사자와 마주보도록 의료 종사자와 피검자 사이에 마련되어 양자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에 의해 양자간의 비말 감염이나 공기 감염, 접촉 감염 등의 수평 감염을 막을 수 있다.
1-1. 커튼
커튼(110)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박막형의 시트이다. 높은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 커튼(110)은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 0℃ 이하, 또는 -50℃ 이하인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튼(110)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튼(110)으로서는 시판중인 폴리에틸렌제 쓰레기 봉투를 가공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저비용으로 보호구(1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재료의 특성에 기인하여 커튼(110)은 가시광에 대해서 투과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의료 종사자는 피검자 상태를 상세히 눈으로 관찰하면서 진단, 처치, 검사 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커튼(110)은 무색일 수도 있고, 또는 청색 등으로 착색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부분적으로 굴절률이 다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예를 들어 개구(112) 사이 등)에 렌즈를 마련하여 처치를 실시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커튼(110)은 자외선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통전에 의해 전체 또는 일부의 광투과율이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커튼(110)의 크기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고, 의료 종사자와 피검자 간의 수평 감염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튼(110)의 길이(L)(커튼(110)을 사용할 때의 연직 방향의 길이)는 1.0m 이상 5.0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 범위에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튼(110)의 폭(커튼(110)을 사용할 때의 수평 방향의 길이)도 임의이고, 보호구(100)가 한 쌍의 글로브(11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80cm 이상 2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구(100)가 복수 쌍의 글로브(114)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1.5m 이상 10m 이하의 범위에서 폭을 선택할 수 있으나,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튼(110)의 두께는 포함되는 재료에 따라서도 다르나, 가요성과 가시광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T)는 10μm 이상 1m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튼(110)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112)가 마련된다. 개구(112)는 복수일 수도 있고, 한 쌍의 개구(112)는 복수 쌍의 개구(1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 개구(112)의 형상에 제약은 없고 원이나 타원, 다각형일 수도 있다. 개구(112)는 의료 종사자의 양팔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간격이나 크기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개구(112)가 원인 경우, 그 직경(d)은 10cm 이상 20c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되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112)가 원 이외의 형상인 경우에는 최단폭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개구(112)의 크기가 조정된다. 한 쌍의 개구(112)의 간격(D), 즉 한 쌍의 개구(112) 사이의 최단 거리는 20cm 이상 50c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되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2. 글로브
글로브(114)는 개구단과 폐구단을 구비하는 가요성을 갖는 주머니 형상의 부재로서, 커튼(11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한다. 글로브(114)도 가시광에 대해서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나, 착색되어 있을 수도 있다. 글로브(114)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경우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고 아울러 높은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로브(114)도 시판의 폴리에틸렌제 쓰레기 봉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다만, 글로브(114)와 커튼(110)은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약품이나 약제가 접촉하기 쉬운 글로브(114)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내약품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보호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글로브(114)의 개구단은 커튼(110)의 개구(112)에 고정되고, 개구(112)는 글로브(114)에 의해 닫힌다. 한 쌍의 글로브(114)는 모두 커튼(110)에 대해서 동일측, 즉 정면측에 배치된다. 복수 쌍의 글로브(114)가 마련되는 경우에도 모든 글로브(114)는 동일측, 즉 정면측에 배치된다. 의료 종사자는 보호구(100)의 배면측에서 한 쌍의 글로브(114) 각각에 적어도 손과 아래팔을 삽입하고, 이 상태로 피검자에 대해 여러 가지 진단이나 처치, 검사 등의 의료 행위를 수행한다. 의료 종사자는 위팔까지 글로브(114) 내에 삽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글로브(114)의 길이(L')(커튼(110)의 개구(112)에서 글로브(114)의 폐구단까지의 길이. 이하 동일)는 의료 종사자가 용이하게 의료 행위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길이(L)'는 20cm 이상 60c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되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로브(114)의 두께도 커튼(110)의 두께(T)와 동일 또는 동일한 정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μm 이상 1m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글로브(114)의 입체 형상에 제약은 없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글로브(114)의 개구단은 커튼(110)의 개구(112)에 접속되므로 개구단의 형상과 단면적은 개구(112)의 그것들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한편, 폐구단의 형상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12)가 원형인 경우 글로브(114)는 원기둥 형상이고, 폐구단 또한 원일 수도 있다(도 4A).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의 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단면적(글로브(114)가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면적)이 서서히 감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구단까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이 유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구단은, 커튼(110)의 표면에 평행한 직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구단은 의료 종사자의 손가락을 개별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5개로 분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를 독립적으로 삽입할 수 있고, 아울러 그 외 4개의 손가락을 합해서 삽입할 수 있도록 2개로 분기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폐구단이 분기되도록 글로브(114)를 구성함으로써 의료 종사자는 보다 용이하게 피검자에 대해 다양한 치료나 처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에 커튼(110)과 글로브(114)의 접속부의 모식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과 글로브(114)는 일체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커튼(110)과 글로브(114)는 동일한 조성을 갖고, 연속할 수도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과 글로브(114)는 독립된 요소로서 서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 테이프(120) 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로 이것들을 고정할 수 있다. 글로브(114)는 그 개구단이 커튼(110)의 정면측의 표면(이하, 상면)(110a)과 접하도록 커튼(11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도 5B), 또는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개구(112)를 관통하여 커튼(110)의 배면측의 면(이하, 이면)(110b)과 접하도록 커튼(1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12)를 둘러싸도록 상면(110a)측으로 연장되는 리브(110c)를 커튼(110)에 마련하고, 리브(110c)와 글로브(114)가 접하도록 글로브(114)와 커튼(110)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글로브(114)는 리브(110c)의 외측과 접할 수도 있고(도 6A), 내측과 접할 수도 있다(도 6B). 접착 테이프(120)는 글로브(114)의 외측과 커튼(110)의 상면(110a)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글로브(114)의 내측과 커튼(110)의 이면(110b)과 접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1-3. 기타 구성
(1) 제공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은 임의의 구성으로서, 피검자의 진찰이나 처치, 검사에 필요한 여러 가지 의료 기기나 기구 등을 환자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공홀(117)을 가질 수도 있다. 의료 기기로서는 예를 들어 체온계나 청진기, 펄스옥시미터, 혈압계 등의 측정기, 초음파 진단 장치의 프로브 등을 들 수 있고, 의료 기구로서는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면봉이나 압설자, 주사기 등을 들 수 있다. 단, 의료 기기나 기구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공홀(117)의 수에 제약은 없고 하나일 수도 복수일 수도 있다. 제공홀(117)은 단순한 개구나 슬릿일 수도 있고 또는 도 2a와 쇄선 A-A'를 따른 단면의 모식도(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브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밸브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피검자측의 공기가 의료 종사자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공홀(117)의 위치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나 의료 기구 등을 이동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개구(1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한 쌍의 개구(112)를 연결하는 직선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공홀(117)은 한 쌍의 개구(112) 양자로부터 같은 거리에 배치된다. 제공홀(117)의 크기에도 제약은 없으나, 개구(112)보다 작을 수도 있다. 제공홀(117)의 형상이 원인 경우에는 2mm 이상 30c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2) 슬릿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구(100)가 복수 쌍의 글로브(114)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의료 종사자가 동시에 보호구(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종사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또는 의료용 웨건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슬릿(115)을 커튼(110)에 형성할 수도 있다.
(3) 관통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은 임의의 구성으로서, 한 쌍의 개구(112)가 배열되는 방향에 평행한 하나의 변(제1 변)(110d)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관통홀(116)을 가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변(110d)에 대향하는 변(제2 변(110e))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관통홀(118)을 가질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홀(116, 118)을 마련함으로써 커튼(110)을 실내의 천정(130)이나 바닥면(132)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천정(1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기구를 마련하고, 복수의 관통홀(116)을 이용하여 보호구(100)를 천정(130)에 매달 수 있다. 고정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복수의 후크(134)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각 후크(134)의 일부를 관통홀(116)에 삽입함으로써 커튼(110)의 상단을 천정(130)에 고정하여 보호구(100)를 천정(130)에 매달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16)의 수나 크기는 후크(134)의 수나 크기에 맞게 조정된다. 또는 고정 기구로서 복수의 후크(134) 대신에 복수의 클램프(136)를 마련하고, 복수의 클램프(136)로 커튼(110)을 집음으로써 보호구(100)를 천정(130)에 매달 수도 있다(도 8C). 이 경우에는 반드시 복수의 관통홀(116)을 커튼(110)에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클램프는 막의 상면과 하면을 집어 고정하고, 아울러 막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부재로서, 그 구조에 제약은 없다. 예를 들어 빨래집게나 클립일 수도 있다.
도 8A에 도시된 예에서는, 커튼(110)의 제1 변(110d)측만이 천정(130)에 고정되고, 대향하는 제2 변(110e)측은 바닥면(132)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제2 변(110e)의 위치는 가변적이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종사자는 보호구(100)에 의해 피검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면서 피검자와의 거리를 조절하고, 글로브(114)를 통해 다양한 진단이나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의료 종사자는 방호복을 반드시 장착할 필요는 없고, 보다 기동적으로 진찰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호구(100)는 고정 기구에서 커튼(110)을 제거하고 새롭게 커튼(110)을 고정 기구에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한 명의 진단이나 검사가 종료될 때마다 보호구(100)를 교환할 수 있어 항상 위생적인 환경하에서 피검자의 진단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커튼(110)의 제2 변(110e)측, 즉 하단의 위치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바닥면(132)에 직접,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32) 상에 마련되는 받침대(138)에 고정 기구가 마련된다. 받침대(138)는 바닥면(132)에 항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고정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받침대(138)에 마련되는 고정 기구로서는 복수의 후크(140)를 들 수 있고, 후크(140)의 일부를 관통홀(118)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140)의 수나 크기에 적합하도록 관통홀(118)의 수나 크기가 조정된다. 받침대(138)는 복수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후크(140)가 장착된 단일의 받침대(138)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고정 기구로서 복수의 후크(140) 대신에 복수의 클램프(142)를 바닥면(132) 또는 받침대(138)에 마련하고, 복수의 클램프(142)로 커튼(110)을 집음으로써 보호구(100)의 하단을 고정할 수도 있다(도 9B). 이 경우에는 반드시 복수의 관통홀(118)을 커튼(110)에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구(100)를 이용하는 경우, 커튼(110)의 이면(110b)측에 송풍기를 마련하여 의료 종사자측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송풍을 수행할 수도 있다(도 10의 흰 화살표 참조). 이에 의해 바이러스나 세균의 의료 종사자측으로의 확산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의료 종사자의 감염증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튼(110)의 하단을 고정함으로써, 송풍기로부터의 송풍에 의해 의도치 않게 커튼(110)이 펄럭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138)를 마련하지 않고, 커튼(110)의 제2 변(110e)측에 추를 매달아 커튼(110)의 펄럭임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는 관통홀(118)을 이용하여 매달 수도 있고, 또는 클램프를 구비하는 추를 커튼(1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4) 레일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기구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보호구(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구(100)는 천정(130)에 고정되는 커튼 레일(150), 및 커튼 레일(150)에 조립되어 커튼 레일(15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커튼 러너(15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커튼 레일(150)은 커튼 러너(152)가 조립되기 위한 홈을 갖고, 커튼 러너(152)에는 홈을 이동하기 위한 롤러 또는 캐스터, 및 커튼(110)을 고정하기 위한 후크 또는 클램프가 마련된다. 관통홀(116)을 이용하여 커튼 러너(152)에 커튼(110)을 고정함으로써, 커튼(110)을 커튼 레일(150)을 따라 임의의 장소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커튼(110)의 하단은 고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바닥면(132)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54), 및 가이드 레일(154)에 조립되어 가이드 레일(154)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 러너(156)를 임의의 구성으로서 갖도록 보호구(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커튼 레일(150)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154)에도 가이드 러너(156)가 조립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 러너(156)에는 홈을 이동하기 위한 롤러 또는 캐스터, 및 커튼(110)을 고정하기 위한 후크 또는 클램프가 마련된다. 관통홀(118)을 이용하여 가이드 러너(156)에 커튼(110)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커튼(110)의 펄럭임을 방지할 수 있다.
(5) 프레임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100)는 추가로, 커튼(110)을 매달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60)을 가질 수도 있다. 프레임(160)은 예를 들어 탑 프레임(160a), 베이스 프레임(160c), 탑 프레임(160a)과 베이스 프레임(160c)을 접속시키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60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들 탑 프레임(160a), 사이드 프레임(160b) 및 베이스 프레임(160c)이 일체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탑 프레임(160a), 사이드 프레임(160b) 및 베이스 프레임(160c)은 각각 독립적으로 목재,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텐레스, 철 등의 금속 또는 스텐레스 등의 합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탑 프레임(160a) 아래, 즉 탑 프레임(160a)의 프레임(160)에 둘러싸이는 영역측에는, 상술한 후크(134)나 클램프(136)로 예시되는 고정 기구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커튼(110)을 탑 프레임(160a)에 매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 프레임(b) 위, 즉 베이스 프레임(b)의 프레임(160)에 둘러싸이는 영역측에 후크(140) 또는 클램프(142)를 마련하여 베이스 프레임(160c)에 커튼(110)의 하단을 고정할 수도 있다.
천정(130)에 고정하는 경우와 달리, 프레임(160)에 커튼(110)을 장착함으로써 옥내나 옥외를 불문하고 임의의 장소에 보호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60c)의 하면에 캐스터(161)를 마련함으로써 용이하게 보호구(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옥외에서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피검자를 진단이나 검사를 할 때 차량이나 차량 내의 피검자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6) 포켓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임의의 구성으로서, 보호구(100)는 커튼(110)의 이면(110b) 상에 고정되는 포켓(170)을 구비할 수도 있다. 포켓(170)은 커튼(110)의 한 변(예를 들어 제1 변(110d))측에 마련된다. 포켓(170)은 일체화 또는 서로 독립적인 2개의 요소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 커버(170b)와 프런트 커버(170a)를 구비한다. 프런트 커버(170a)의 일부가 백 커버(170b)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한쪽이 개방된 공간(172)이 형성된다. 백 커버(170b)의 일부는 프런트 커버(170a)로부터 노출되고, 이에 의해 커튼(110)의 한 변(여기서는 제1 변(110d))과 공간(172)이 이격된다. 백 커버(170b)는 제1 변(110d)측의 일 부분(도면에서 직선 화살표로 나타난 영역)이 커튼(110)에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커튼(110)과 이격된다.
포켓(170)을 마련함으로써 사용후의 보호구(100)의 커튼(110)이나 글로브(114)를 피검자의 비말 등에 의해 오염된 상면(110a)이 내측이 되도록 접은 후, 그 후 커튼(110)이나 글로브(114)를 포켓(170)의 공간(172)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된 바이러스나 세균 등을 공기중에 확산시키지 않고 보호구(100)를 컴팩트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구(100)는 가시광을 투과하는 커튼(110)을 갖고, 이에 의해, 클린부스 등의 설비를 배치하거나 방호복을 장착하지 않아도 피검자로부터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튼(110)의 상면(110a), 즉 피검자측에는 한 쌍의 글로브(11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검자로부터의 감염을 개의치 않고 피검자에 대해 다양한 진단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보호구(100)는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박막으로 형성되는 커튼(110)과 글로브(11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가지므로 경량이고,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하다. 따라서, 의료 종사자는 사용 비용을 개의치 않고 보호구(100)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항상 위생 환경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면서 피검자의 진찰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0)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 보호구(102)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구(102)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개구(112)와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114)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튼(110)이 하나의 시트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보호구(100)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114)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튼(110)이 일체화되어 있다. 각 커튼이 한 쌍의 개구를 갖는 경우에는 한 쌍의 개구(112)가 배열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의 커튼(110)이 배열된다. 일체화된 복수의 커튼(110)은 심(180)에 감을 수 있고, 이에 의해 복수의 커튼(110)과 글로브(114)를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구(102)는 나아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형의 복수의 커튼(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케이스(162)와 제2 케이스(16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62)는 탑 프레임(160a) 아래에, 제2 케이스(164)는 베이스 프레임(160c) 위에 마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62)와 제2 케이스(164)에는 각각 심(180)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예를 들어 노브(166, 168)가 구비된다.
보호구(102)를 사용할 때에는, 심(180)에 감긴 롤형의 복수의 커튼(110)을 제1 케이스(162)에 수용한다. 한편, 제2 케이스(164)에는 심(180)만을 수용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케이스(162)에서 커튼(110)을 인출하여 제2 케이스(164)에 마련되는 심(180)에 감는다. 이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60)에 둘러싸이는 영역 내에 하나의 커튼(110)과 거기에 접속되는 글로브(114)를 배치할 수 있다.
피검자에 대한 진찰이나 처치, 검사가 종료되면 노브(166, 168)을 회전시킨다(도 16). 노브(166, 168)의 회전에 의해 제1 케이스(162)와 제2 케이스(164) 내에 수용되어 있는 심(180)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 케이스(162) 내의 심(180)에 감겨 있는 커튼(110)을 인출할 수 있고, 한편 사용이 끝난 커튼(110)을 제2 케이스(164) 내에 배치되는 심(180)에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커튼(110)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튼(110)에 부착된 바이러스나 세균을 확산시키지 않고 제2 케이스(164)내에 격납할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그리고 위생 환경을 항상 높은 레벨로 유지하면서 피검자의 진찰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0, 102)와는 구조가 다른 보호구(104)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구(104)의 모식적 사시도를 도 17에 도시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쇄선은 보호구(104)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보호구(104)의 입체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104)의 커튼(110)은 봉투 형상을 갖고 있으며, 봉투 형상의 개구면(110f)과 커튼(1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대해서 외측에 글로브(114)가 마련된다. 이 봉투 형상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면(110f)에 대향하는 위치에 저면을 갖지 않는 형상(즉, 통의 하나의 개구를 밀봉한 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면(110f)에 대향하는 저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8과 도 19a에 보호구(104)의 모식적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 도면들에서는 봉투 형상의 내부 공간의 체적을 무시할 수 있는 정도로 커튼(110)을 평면형으로 펼친 상태(이하, 이 상태를 초기 상태라 부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브(114)는 커튼(110)의 일측(상면(110a))에 마련되고, 타측의 면(이면(110b))에는 마련되지 않는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104)를 사용할 때, 의료 종사자는 커튼(110)의 상면(110a)이 몸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개구면(110f)을 통해 커튼(110)을 쓰고 글로브(114)에 손이나 팔을 삽입한다. 따라서, 커튼(110)의 초기 상태에서의 길이(L)나 폭(W)(도 18 참조)은 감염을 방지하면서 의료 종사자가 보호구(104)를 장착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예를 들어 길이(L)는 1.5m 이상 2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폭(W)은 예를 들어 90cm 이상 1.5m 이하 또는 1m 이상 1.2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단, 길이(L)와 폭(W)은 상기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은 상면(110a)에 제공홀(117)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공홀(117)을 마련함으로써, 피검자에게 직접 접촉할 필요가 있는 의료 기기나 측정기, 검체 채취를 위한 면봉이나 압설자나 주사기 등의 의료 기구를 피검자측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보호구(100)와 마찬가지로, 제공홀(117)의 수나 배치, 크기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나 의료 기구 등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개구(112) 사이에 마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은 이면(110b)에도 제공용의 제공홀(119)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 제공홀(119)은 피검자에 대해서 진찰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하고 있는 의료 종사자에 대해, 필요한 기기나 기구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제공홀(119)의 수나 위치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9a의 쇄선 B-B'을 따른 단면의 모식도(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홀(119)이 마련되는 부분에서는 커튼(110)이 이중구조가 되도록 보호구(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피검자로부터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은 글로브(114)가 마련되는 상면(110a)에 대향하는 이면(110b)에 슬릿(110g)을 가질 수도 있다. 슬릿(110g)은 봉투 형상의 개구면(110f)를 기점으로 하여 커튼(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슬릿(110g)은 개구면(110f)에 대향하는 변(110h)까지 도달할 수도 있고, 변(110h)에 도달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슬릿(110g)의 길이는 커튼(110)의 길이(L)보다 짧다. 슬릿(110g)을 마련함으로써 보호구(104)를 보다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종사자가 보호구(104)를 확실히 장착하여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슬릿(110g)도 이중구조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슬릿(110g)과 교차하도록 접착 테이프(124)를 1개 또는 복수개 붙일 수도 있다. 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은 슬릿(110g)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끈(122)을 구비할 수도 있다. 고정 끈(122)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커튼(110) 또는 글로브(114)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 끈(122)은 접착제에 의해 또는 열 고착에 의해 커튼(1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구(104)는, 의료 종사자가 개구면(110f)을 통해 커튼(110)을 쓰고 글로브(114)에 손이나 팔을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커튼(110)이나 글로브(114)에 의해 의료 종사자와 피검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고, 나아가 피검자의 기침이나 재채기에 의한 비말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에 시간이 걸리는 방호복을 사용하지 않아도 의료 종사자는 피검자로부터의 감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튼(110)을 쓴 상태로 글로브(114)를 이용할 수 있어 감염을 염려하지 않고 피검자에 대해 다양한 진단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보호구(100)는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박막으로 형성되는 커튼(110)과 글로브(114)를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가지므로, 경량이고 아울러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항상 위생 환경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면서 피검자의 진찰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0, 102, 104)와는 구조가 다른 보호구(106)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구(106)는 차량의 창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보호구(100, 102, 104)와 다르다. 따라서, 커튼(110)은 차량의 창틀을 가리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길이(L)는 30cm 이상 1m 이하, 폭(W)은 30cm 이상 1.5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도 23A 참조). 단, 길이(L)와 폭(W)은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교적 작은 사이즈에 기인하여 보호구(106)를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구(106)는 드라이브 스루 방식에 의한 다수의 검체 채취 뿐 아니라, 같은 방식에 의한 검사, 백신 접종 등의 치료나 처치 등에도 특별히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보호구(106)는 임의의 구성으로서, 커튼(110)을 통해 피검자와 의료 종사자 사이에 의료 기구나 소형의 측정기, 면봉이나 압설자, 주사기 등의 의료 기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공홀(126)을 구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110)에는 개구(112)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공홀(126)을 1개 또는 복수개 마련할 수도 있다. 제공홀(126)은 상술한 의료 기구나 측정기, 의료 기구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공홀(126)의 형상이 원인 경우에는 그 직경은 2mm 이상 30c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공홀(126)이 원 이외의 형상인 경우에는 최단폭이 상기 범위가 되도록 제공홀(126)의 크기가 조정된다. 제공홀(126)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밸브 구조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제공홀(126)을 마련하는 위치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한 쌍의 개구(112)를 연결하는 직선의 하측 또는 상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개구(112)로부터 등거리가 되도록 제공홀(126)이 마련된다. 커튼(110)에 하나의 개구(112)와 거기에 접속되는 하나의 글로브(114)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 제공홀(126)과 개구(112)가 동일한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제공홀(126)을 배치할 수도 있다. 즉, 개구(112)의 상단과 하단 각각으로부터,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공홀(126)을 마련할 수도 있다.
보호구(100)와 마찬가지로, 글로브(114)의 폐구단의 형상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 보호구(10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의료 종사자에게는 복잡한 조작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의료 종사자의 각 손가락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폐구단을 5개로 분기시키지 않고 미튼(또는 미트)형과 같이 2개로 분기시키거나(도 4D 참조), 또는 분기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보호구(106)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피검자에 대해서 진단이나 검사, 치료, 처치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24a,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가 승차한 차의 창을 개방하고, 창틀을 덮도록 보호구(106)를 차체에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브(114)와 제공홀(126)이 창틀과 겹치도록 아울러 글로브(114)가 피검자측에 위치하도록 보호구(106)를 창틀에 설치한다. 이 때, 비교적 점착성이 낮고 용이하게 절단 가능한 테이프(예를 들어 양생 테이프)(125)를 이용하여 보호구(106)를 차체에 가고정할 수 있다. 또는 임의의 구성으로서 양면 테이프(127)를 커튼(110)의 상면(110a)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는 테이프(125) 또는 양면 테이프(127) 대신에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보호구(106)을 고정할 수도 있다. 테이프(125) 또는 양면 테이프(127)를 이용함으로써 단시간에 보호구(106)를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호구(106)는 차내로부터 창틀에 고정할 수도 있다. 즉, 피검자측에서 테이프(125), 양면 테이프(127) 또는 마그네트 등을 이용하여 차내에 보호구(106)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보호구(100)를 차량에 가까이 대고 이 보호구(100)의 커튼(110)을 테이프(125), 양면 테이프(127) 또는 마그네트 등을 이용하여 창틀에 고정하고, 커튼(110) 및 글로브(114)를 통해 피험자에 대해서 진단이나 처치,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를 이용하여 의료 종사자로부터 피검자 측으로(즉, 차에 대해서) 송풍을 수행할 수도 있다(도면에서 흰 화살표 참조). 피검자의 목이나 코에서 검체를 채취할 때에는 채취에 이용되는 면봉 등의 자극이 피검자에게 기침이나 재채기를 쉽게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보호구(106)를 사용하고 아울러 차량에 대해 송풍함으로써, 피검자의 기침이나 재채기 등에 기인하는 피검자로부터 의료 종사자로의 수평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0, 102, 104, 106)와는 구조가 다른 보호구(108)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보호구(108)는 피검자가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4)와 상이하다. 보호구(108)의 모식적 사시도를 도 25에, 보호구(108)를 사용하는 양태를 도 26에 모식적으로 도시했다. 아울러 도 25에 나타낸 쇄선은 보호구(108)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보호구(108)의 입체 형상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108)의 커튼(110)도 봉투 형상을 가지고 있고, 봉투 형상의 개구면(110f)과 커튼(110)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 봉투 형상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면(110f)에 대향하는 위치에 저면을 갖지 않는 형상(즉, 통의 하나의 개구를 밀봉한 형상)일 수도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개구면(110f)에 대향하는 저면을 가질 수도 있다.
보호구(108)의 커튼(110)에는 검체 채취에 이용하기 위한 면봉 등의 의료 기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채취구(110i)가 마련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구(108)는 피검자가 머리에 쓴 상태로 사용한다. 따라서, 채취구(110i)의 위치는 피검자가 보호구(108)를 쓴 상태에서 코 또는 입과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면(110f)으로부터의 거리 D'(도 26 참조)가 10cm 이상 20cm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채취구(110i)가 마련된다. 채취구(110i)의 형상에 제약은 없고, 예를 들어 원형이나 다각형, 타원일 수도 있다. 또는 채취구(110i)는 직선 또는 곡선형의 슬릿일 수도 있다. 채취구(110i)의 크기에도 제약은 없다. 채취구(110i)가 원형인 경우에는 그 직경은 예를 들어 10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채취구(110i)의 수에 제약은 없고, 단일일 수도 복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과 코 각각에 마주하는 2개의 채취구(110i)를 마련할 수도 있다.
임의의 구성으로서 보호구(108)의 커튼(110)은 채취구(110i) 주위에 착색부(111)를 가질 수도 있다(도 25B). 착색부(111)의 색에도 제약은 없고, 예를 들어 검정이나 빨강, 파랑, 초록일 수도 있다. 착색부(111)를 마련함으로써 채취구(110i)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검체 채취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임의의 구성으로서, 보호구(108)는 고정용의 테이프(121)를 구비할 수도 있다. 테이프(121)의 구성도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피검자가 보호구(108)를 장착한 상태를 일시적으로(예를 들어 수 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121)로서는 봉투 형상의 커튼(110)의 내면에 점착된 양면 테이프일 수도 있다.
보호구(108)와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6)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드라이브 스루 방식에서도 안전하게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의 검체 채취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미리 피검자에게 보호구(108)를 건네고 피검자는 검사 전에 보호구(108)을 머리부터 쓰도록 장착한다(도 26). 이 때, 채취구(110i)가 검체를 채취하는 기관(코 또는 입 등)에 마주보도록 보호구(108)를 장착한다.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테이프(121)를 피검자의 의복 또는 피부에 붙여 보호구(108)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피검자에게 별도 고정용의 테이프(125)를 배포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보호구(108)를 고정할 수도 있다. 테이프(125)로서는 예를 들어 양생 테이프 등의 비교적 점착성이 낮고 쉽게 절단 가능한 테이프가 예시된다.
한편,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창을 열고 창틀에 보호구(106)를 고정한다(도 24B참조). 이 때, 송풍기를 이용하여 의료 종사자로부터 피검자측으로(즉, 차에 대해서) 송풍을 수행할 수도 있다(도면에서 흰 화살표 참조). 의료 종사자는 글로브(114)에 한 손(이하, 오른손)을 삽입하고, 다른 손(이하, 왼손)에 쥔 면봉을 채취구(110i)를 통해 오른손으로 바꾸어 쥐고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그 후, 왼손에 면봉을 수용하는 용기를 들고, 검체가 부착된 면봉을 채취구(110i)를 통해 용기 내에 넣는다. 의료 종사자는 오른손을 글로브에서 꺼내고 용기에 뚜껑을 덮어 밀폐한다. 또한 의료 종사자는 한 손 또는 양손에 폴리에틸렌제의 장갑이나 비닐 봉투를 장착한 후에 상기 작업을 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면봉을 미리 피검자에게 제공해 두고, 글로브(114)를 통해 피검자로부터 면봉을 받을 수도 있다. 또는 피검자가 지참한 면봉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검체를 채취함으로써 검체 채취시에 의료 종사자와 피검자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접촉 감염이나 공기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의 기침이나 재채기에 의한 비말이 닿지 않게 되므로 비말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제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6)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1. 비말의 비산 모델에 대한 고찰
보호구(106)를 이용하여 검체 채취자가 피검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때의 모식도를 도 27에 도시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와 검체 채취자 사이는 차체에 장착되는 보호구(106)에 의해 구획된다.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보호구(108)를 피검자가 장착하는 경우에는, 보호구(108)가 보호구(106)와 피검자 사이에 추가로 배치되게 된다. 검체 채취시에 피검자가 재채기나 기침을 하면, 검체 채취를 위해 이용되는 제공홀(126)을 통해 피검자측으로부터 검체 채취자측을 향해 비말이 비산될 것으로 보인다(도 27에서 점선 화살표 참조).
실제 기침이나 재채기로서 비산되는 비말의 크기에는 2개의 피크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큰 비말은 비산 후에 속도가 급속히 떨어져 중력으로 낙하되고 일부는 관성력으로 직진하나, 작은 비말은 공기중에 장시간 떠돌아 확산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큰 분말이 비산되는 케이스를 상정하고, 비말이 발생원으로부터 원추형으로 비산되는 스프레이 모델을 적용했다. 이 모델에서는 비말의 비산은 스프레이로부터의 약액 등의 분사에 근사시킨다. 따라서, 차량 피검자로부터 발사되는 전체 양(T)의 비말이 창의 개구부 전체로 비산된다고 가정하면, 제공홀(126)의 반경이 r(cm), 보호구(106)가 덮는 차창의 개구부의 면적이 S(cm2)일 때, 제공홀(126)을 통과하는 비말의 양(t)은,
t=T×πr2/S
가 된다. 통상의 승용차의 경우 면적(S)은 1600cm2 정도이므로, 제공홀(126)의 반경을 1cm에서 2cm 정도로 함으로써, 보호구(106)를 통과하는 비말의 양은 1% 이하까지 줄일 수 있는 것이 시사된다.
비교적 큰 비말을 취급하는 스프레이 모델에서는, 비말의 비산은 관성력이 지배적이 되고, 관성력은 비말의 직경(D)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이에 의해 큰 비말은 직진성이 높고, 따라서, 비말이 비산되는 방향으로부터 제공홀(126)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보호구(106)를 통과하는 비말의 양을 대폭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직경 D의 확산 입자가 속도 V의 바람으로부터 받는 힘은 직경 D의 제곱과 풍속 V의 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검체 채취시의 송풍에 의해 비말을 먼 곳으로 비산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고찰에 기초하면 비말의 비산량이나 도달 위치는 제공홀(126)의 크기뿐 아니라 비말 발생원(예를 들어 피검자의 입이나 코)으로부터 제공홀(126)까지의 거리(d1+d2), 및 제공홀(126)로부터 검체 채취자까지의 거리(예를 들어 개구(112)로부터 검체 채취자가 장착하는 개인 방호구(PPE)까지의 거리)(d3)에 의존한다고 생각된다. 보호구(108)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말 발생원으로부터 채취구(110i)까지의 거리(d1)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고, 나아가 비말 발생원과 개구(112)의 위치 관계나 검체 채취시의 송풍 상황도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2. 실험
이상의 고찰에 기초하여, 보호구(106)의 모델로서 직경 2cm의 개구(192a)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의 시트(192)를 이용하여 컬러스프레이 캔(190)으로부터 분사하는 도료의 비산을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28a와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성의 합성 도료를 포함하는 컬러스프레이 캔(190)(주식회사 아사히펜, 수성 다용도 스프레이)을 비말 발생원의 모델로서 이용하고, 백색의 종이(194)와 컬러스프레이 캔(190) 사이에 시트(192)를 설치했다. 시트(192)와 종이(194) 간의 수평 거리(도 28A에서 x방향의 거리, 이하 동일)(d5)를 10cm로 고정하고, 컬러스프레이 캔(190)의 분사구로부터 시트(192)까지의 거리(d4), 및 도료의 분사 방향과 개구(192a)의 위치(즉, 도료의 분사 방향(x방향)에 수직인 방향(y방향)에서의 분사구로부터 개구(192a)의 중심까지의 거리(d6))를 변화시켜 종이(194)에 부착된 색소 상태를 관찰했다. 도료의 분사 시간은 1초로 했다.
나아가 시트(192)에 대해 종이(194)측으로부터 송풍을 수행하여(도 28B에서 흰 화살표 참조) 종이(194)에 부착된 색소 상태를 관찰했다. 송풍은 유아사 프라이무스(YUASA PRIMUS) 주식회사, 45cm 공장 선풍기(제품번호:YS-455T)를 송풍기로서 이용하고, 풍속은 송풍기의 스위치(약풍 또는 강풍)를 이용하여 설정했다. 강풍 설정시의 풍속은 295m/분이었다. 송풍기는 도 28b에 도시된 포인트(P1 ~ P3) 중 어느 하나에 설치했다. 포인트 P1은 컬러스프레이 캔(190)의 분사구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의 종이(194)로부터 약 2m의 거리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는 분사구를 향해 송풍을 수행하였으므로 분사 방향과 송풍 방향의 각도는 0о가 된다. 포인트 P2는 x방향에 있어서 종이(194)로부터 약 2m의 위치이고, 이 경우, 분사 방향으로부터 45о의 각도로 송풍을 수행하였다. 포인트 P3는 종이(194)에 대해서 y방향에 위치하고 있고, y방향에 있어서 분사구로부터 약 2m 떨어져 있다. 이 경우에는, 분사 방향에 대해서 수직(90о인 방향(y방향)에서 송풍했다.
3. 결과
3-1. 컬러스프레이 캔과 개구와의 거리 및 위치 관계에 의한 영향
먼저, 송풍을 수행하지 않고, 분사구와 개구(192a)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지 않고(즉, 거리 d6=0cm)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컬러스프레이 캔(190)의 분사구와 개구(192a) 간의 거리(d4)가 작은 경우에는 대량의 도료가 종이(194)에 부착됨을 알았다. 거리 d4가 10cm인 경우(실시예 2)에서도 도료는 약간 많이 부착되나, 개구(192a)의 영향을 받아 부착 형태가 원에 가까워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비말 발생원과 보호구(106)의 거리를 증대시킴으로써, 보호구(106)를 통과하는 비말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목해야 할 점은, 거리 d6를 변화시켜 도료의 분사구와 개구(192a)를 y방향으로 어긋나게 한 경우(실시예 3), 비말의 부착은 전혀 관찰되지 않은 점이다. 이 결과는, 피검자의 입이나 코의 위치를 보호구(106)의 제공홀(126)로부터 미미하게(예를 들어 5cm 정도) 어긋나게 함으로써, 보호구(106)를 통과하는 비말의 양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표 1은 컬러스프레이 캔과 개구와의 거리 및 위치 관계에 의한 영향a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a n수 = 3, 거리 d5 = 10cm
b ++: 매우 많음, +: 많음, -: 없음
3-2. 송풍의 효과
송풍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종이(194)를 사이에 두고 분사 방향과 역방향으로 송풍을 수행한 경우(실시예 4, 5), 도료의 부착은 확인되었으나, 실시예 2와 비교하면 그 부착량은 대폭 감소함을 알았다. 또한 풍속이 커짐에 따라 부착된 도료의 농도도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은, 검체 채취자측으로부터 피검자측으로 송풍함으로써 비말이 검체 채취자측으로 비산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2, 4, 5에서의 도료의 부착 상태를 비교하면, 송풍함으로써 도료는 아래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알았다. 이 결과를 통해, 송풍하는 경우에는, 비말의 비산은 바람뿐 아니라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이 시사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송풍 방향이다. 실시예 5 내지 7의 비교를 통해, 송풍의 각도를 크게 하는, 즉, 분사 방향에 대해 더욱 큰 각도로 송풍을 수행함으로써 도료의 부착량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았다. 따라서, 검체 채취자의 바로 뒤에서가 아니라 피검자와 검체 채취자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 각도로 송풍을 수행함으로써, 보호구(106)을 통과하는 비말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직선에 대해서 45°이상 90°이하, 또는 60°이상 90°이하의 방향에서의 송풍이 커다란 감염 예방 효과를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표 2는 비말의 비산에 대한 송풍의 효과a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a n수 = 3, 거리 d4 = 10cm 거리 d5 = 10cm
b -: 소량, --: 미량, ---: 극미량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인 보호구(106)를 이용함으로써 검체 채취시에서의 수평 감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구(106)는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보호구(106)는 많은 피검자로부터의 검체 채취를 드라이브 스루 방식으로 단시간에 수행하기에 적합한 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가 장착하는 보호구(108)를 더 이용함으로써, 보호구(108)에 의해 어느 정도 블로킹된 비말에 대해서 상기 모델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수평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에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를 기초로 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또는 설계 변경을 수행한 것, 또는 공정의 추가, 생략 또는 조건 변경을 수행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양태에 의해 발생하는 작용 효과와는 상이한 다른 작용 효과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분명한 것, 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00:보호구, 102:보호구, 104:보호구, 106:보호구, 110:커튼, 110a:상면, 110b:이면, 110c:리브, 110d:제1 변, 110e:제2 변, 110f:개구면, 110g:슬릿, 110h:변, 110i:채취구, 111:착색부, 112:개구, 114:글로브, 115:슬릿, 116:관통홀, 117:제공홀, 118:관통홀, 119:제공홀, 120:접착 테이프, 122:고정 끈, 124:접착 테이프, 125:테이프, 126:제공홀, 127:양면 테이프, 130:천정, 132:바닥면, 134:후크, 136:클램프, 138:받침대, 140:후크, 142:클램프, 150:커튼 레일, 152:커튼 러너, 154:가이드 레일, 156:가이드 러너, 160:프레임, 160a:탑 프레임, 160b:사이드 프레임, 160c:베이스 프레임, 161:캐스터, 162:제1 케이스, 164:제2 케이스, 166:노브, 168:노브, 170:포켓, 170a:프런트 커버, 170b:백 커버, 172:공간, 180:심, 190:컬러스프레이 캔, 192:시트, 192a:개구, 194:종이

Claims (38)

  1.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를 갖고, 가시광을 투과하는 가요성의 커튼, 및
    각각 개구단과 폐구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글로브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는 상기 개구단이 상기 제1 개구에 고정되는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적어도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는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는 상기 커튼에 대해서 동일측에 배치되는 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개구는 유저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보호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는 각각 유저의 적어도 손과 아래팔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호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는 모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보호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는 일체화되어 있는 보호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글로브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로 서로 고정되는 보호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제1 개구는 복수 쌍의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는 상기 복수 쌍의 제1 개구와 동일 수의 쌍의 글로브를 포함하는 보호구.
  9. 제1항에 있어서,
    커튼 레일, 및
    상기 커튼을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후크 또는 클램프를 갖고, 상기 커튼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커튼 러너를 더 구비하는 보호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상기 커튼의 제1 변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후크가 관통 가능한 복수의 제1 관통홀을 갖는 보호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레일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튼 레일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커튼을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후크 또는 클램프를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러너를 더 구비하는 보호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상기 커튼의 제1 변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커튼 러너의 상기 후크가 관통 가능한 복수의 제1 관통홀, 및
    상기 제1 변에 대향하는 제2 변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러너의 상기 후크가 관통 가능한 복수의 제2 관통홀을 갖는 보호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레일은 실내의 천정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실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보호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을 둘러싸고, 상기 커튼을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보호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위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탑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을 접속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탑 프레임 아래에 장착되는 후크 또는 클램프를 구비하는 보호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아래에 캐스터를 구비하는 보호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봉투 형상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는 상기 봉투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에 마련되는 보호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가 마련되는 면에 대해서 반대측의 면에 슬릿을 갖는 보호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봉투 형상의 개구면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커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커튼의 길이보다 짧은 보호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글로브에 대해서 반대측의 상기 커튼의 면에 고정되는 포켓을 더 구비하는 보호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상기 제1 개구보다 작은 제2 개구를 갖는 보호구.
  22. 피검자가 머리부터 입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봉투 형상을 갖고,
    가시광을 투과하고, 가요성을 갖고, 상기 피검자가 입을 때에 상기 피검자의 코의 정면에 위치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보호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위에 착색부를 갖는 보호구.
  24. 제1 개구, 제2 개구, 및 상기 제1 개구에 접속되는 글로브를 구비하는 커튼을 갖는 보호구를, 피검자와 검체 채취자 사이에 상기 커튼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염 방지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제1 개구의 면적보다 작은 감염 방지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상기 제1 개구에 접속되는 개구단, 및 상기 개구단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폐구단을 갖는 감염 방지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구단은 2개로 분기된 미튼형 또는 미트형의 형상을 갖는 감염 방지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구단은 분기되어 있지 않은 형상을 갖는 감염 방지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관통홀을 갖고,
    상기 감염 방지 방법은 상기 관통홀을 이용하여 상기 보호구를 매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감염 방지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추가로, 상기 커튼을 매달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을 갖는 감염 방지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추가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캐스터를 갖는 감염 방지 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은 봉투 형상을 갖고,
    상기 보호구의 배치는 상기 검체 채취자가 상기 커튼을 입음으로써 수행되는 감염 방지 방법.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상기 피검자가 승차한 차량의 창틀을 덮도록 상기 차량의 차체에 설치되는 감염 방지 방법.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의 상기 배치는 상기 글로브가 상기 차량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감염 방지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감염 방지 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보호구측에서 송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감염 방지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은 상기 검체 채취자와 상기 피검자를 연결하는 직선에서 벗어난 각도로 송풍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감염 방지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45°이상 90°이하인 감염 방지 방법.
KR1020217037691A 2020-04-28 2021-02-16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 KR20220005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20-001547 2020-04-28
JP2020001547 2020-04-28
JP2020001624U JP3227227U (ja) 2020-04-28 2020-05-01 保護具
JPJP-U-2020-001624 2020-05-01
JP2021013619A JP2021175838A (ja) 2020-04-28 2021-01-29 感染防止方法
JPJP-P-2021-013619 2021-01-29
PCT/JP2021/005739 WO2021220587A1 (ja) 2020-04-28 2021-02-16 感染防止のための保護具と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500A true KR20220005500A (ko) 2022-01-13

Family

ID=7833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691A KR20220005500A (ko) 2020-04-28 2021-02-16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05500A (ko)
WO (1) WO2021220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387A (zh) * 2022-06-29 2022-09-23 李玉刚 一种防病毒侵入的传染病防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902A (ja) 2009-04-23 2010-11-11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クリーンブース
JP2019031748A (ja)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8890A (en) * 1964-08-27 1967-10-24 Snyder Mfg Company Inc Isolator method and apparatus
JP4876069B2 (ja) * 2005-03-11 2012-02-15 ニプロ株式会社 手術用テント
US20070199143A1 (en) * 2006-02-27 2007-08-30 Cunningham Angeline M Shower curtain
JP5263697B2 (ja) * 2009-04-23 2013-08-1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診療ブース
JP5494007B2 (ja) * 2010-02-26 2014-05-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簡易隔離ブース
CN202801143U (zh) * 2012-08-24 2013-03-20 张书培 防止风吹的窗帘
JP3189395U (ja) * 2013-12-16 2014-03-13 株式会社ミラリード 自動車用カーテン
KR20200125592A (ko) * 2018-03-01 2020-11-0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방호용 후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902A (ja) 2009-04-23 2010-11-11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クリーンブース
JP2019031748A (ja) 2017-08-04 2019-02-28 株式会社モレ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防護服、およびシュー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0587A1 (ja)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75838A (ja) 感染防止方法
JP5950414B2 (ja) 患者介入用ドレープ及びバリアドレープを備えた介入用ドレープ
US6374823B1 (en) Disposable ventilated face shield and head covering
KR20220005500A (ko) 감염 방지를 위한 보호구와 방법
US20210401651A1 (en) Hygienic barrier
KR102376377B1 (ko) 검체채취도구 밀착삽입형 검진창을 갖는 바이러스 검체채취용 검사 부스
US202302258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airborne materials during clinical or laboratory procedures
US20210401532A1 (en) Negative pressure protective equipment
US20210307986A1 (en) Hygienic containment chamber
CN210541639U (zh) 医用一次性箱式咽拭子取样操作防护装置
KR20220053195A (ko) 이동형 방호 부스
CN212326652U (zh) 防护装置
CN213189751U (zh) 一种可用于新冠肺炎咽拭子和鼻咽拭子采集的移动采样亭
CN210492748U (zh) 一种用于covid-19取样的防护隔离罩
JP3228965U (ja) 口部医療補助具
CN111631834A (zh) 防护装置
JP6920575B1 (ja)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212395110U (zh) 口部医疗辅具
JP2022019506A (ja) 拡散防止用フード
CN208404851U (zh) 眼科敷料包
CN212852582U (zh) 一种咽拭子标本采集防护罩
CN203208130U (zh) 一次性胸部手术包
CN211932697U (zh) 套头式病人飞沫隔离面罩
CN111655111A (zh) 感染控制包
CN216019283U (zh) 一种带有光源的面部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