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592A - 방호용 후드 - Google Patents

방호용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592A
KR20200125592A KR1020207022511A KR20207022511A KR20200125592A KR 20200125592 A KR20200125592 A KR 20200125592A KR 1020207022511 A KR1020207022511 A KR 1020207022511A KR 20207022511 A KR20207022511 A KR 20207022511A KR 20200125592 A KR20200125592 A KR 20200125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rotective
mask
opening
protectiv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미코 이시카와
노부토시 후지하라
유이치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4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8Detachable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A62B17/006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against contamination from chemicals, toxic or hostile environments; ABC sui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고, 밀착성이 우수한 방호용 후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두부를 피복하는 후드를 갖고,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의 상변에는 착용자의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 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용 후드라고 한다.

Description

방호용 후드
본 발명은 착탈하기 쉽고, 두부나 안면으로의 밀착도가 높은 방호용 후드에 관한 것이다.
분진, 방사능이나 바이러스 등의 외적 유해 물질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작업할 때 그것들로부터 신체를 지키기 위해 방호복이나 방호용 후드를 착용한다. 한편, 식품 공장이나 클린 룸에서는 인체로부터의 발진이나 모발 등 오물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방호복이나 방호용 후드를 착용한다. 모두 착용 순서는 번잡하거나 착용에 수고가 드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중복해서 장착 구비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하고 있으면 땀이 차는 느낌을 느껴 불쾌해지는 경우도 많았다. 장착 구비 중에서도 특히 방호용 후드는 두부나 안면을 덮기 때문에 호흡하기 어렵거나 세밀한 작업 시에 시야를 차단하여 방해가 되거나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연질의 후드에 의해 마스크 양단의 고정띠를 후드 외부에서 인체의 귓불 또는 두부에 걸 수 있는 「마스크가 부착된 의료용 후드 장치」(특허문헌 1), 눈언저리에는 보호 안경을, 비구언저리에는 마스크를 일체화시킨 「방진 후드」(특허문헌 2), 착용자가 후드를 착용한 상태로 마스크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방진 후드」(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후드 장치는 후드 본체에 마스크를 일체적으로 부착함과 아울러, 후드 본체의 인체 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투명 재료 등의 가시 재료를 일체적으로 부착하는 것이며, 착탈성이나 후드의 인체로의 밀착성, 또한 가시 영역의 확보라는 점에서 과제가 남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진 후드는 후드 본체에 보호 안경이나 마스크를 일체적으로 장착하여 보호 안경이나 마스크를 거는 귀걸이나 코걸이를 후드 내측에 부착함으로써 인체와 보호구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지만 역시 착탈성이나 후드의 인체로의 밀착성, 가시 영역의 확보라는 점에서 과제가 남는 것이었다.
한편, 식품 현장 등에서 착용되는 것을 상정한 특허문헌 3과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후드에서는 식품의 냄새를 맡거나 시식하거나 할 때에 입이나 코의 부분을 개구할 수 있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후드는 두발이나 눈썹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체 안부의 상방에 대응하는 위치를 신축성 띠형상 부재 등으로 아치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아치에는 항상 내측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후드도 눈, 코, 입에 대응하는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신축성 천을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항상 개구부 내측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어느 문헌에 기재된 후드도 후드 착용자가 우측으로, 좌측으로 머리를 움직이면서 작업하는 것 같은 경우에는 후드 자체가 눈을 덮게 될 수도 있고, 밀착성, 가시 영역의 확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1005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253344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237907 공보 일본 특허 제6051125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개량하여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고, 밀착성이 우수한 방호용 후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1)~(11)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다.
(1) 착용자의 두부를 피복하는 후드를 갖고,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의 상변에는 착용자의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 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용 후드.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개구부의 좌우측부에 록킹구 B를 갖고, 상기 록킹구 B는 띠형상 부재이며, 그 일부가 상기 좌우측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록킹구 A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3) 상기 (1)에 있어서, 착용자의 코 및 입을 덮는 마스크를 추가로 갖고, 상기 후드와 상기 마스크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 결합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좌우측변에 띠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록킹구 A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5) 상기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투습도가 200g/㎡·h 이상 2000g/㎡·h 이하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6)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통기량이 20㎤/㎠/sec 이상 200㎤/㎠/sec 이하이며, 또한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80% 이상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투습도가 200g/㎡·h 이상 2000g/㎡·h 이하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통기량이 20㎤/㎠/sec 이상 200㎤/㎠/sec 이하이며, 또한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80% 이상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두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과, 측두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이 봉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일회용인 호용 후드.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용 후드를 부착해서 이루어지는 방호복.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개구부의 상변에는 착용자의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 A를 갖고 있으므로 후드의 착용자로의 밀착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 된다. 그리고 후드의 개구부의 좌우측부에 띠형상 부재의 록킹구 B를 부착하고, 그 일부를 상기 좌우측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다른 일부를 상기 록킹구 A에 결합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밀착성 및 착탈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가 후드와 마스크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후드와 마스크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그 개구부의 하방에 마스크를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도 착탈성이 우수하고, 또한 개구부의 상변에 착용자의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 A를 부착함으로써 후드의 착용자로의 밀착성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의 좌우측변에 띠형상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띠형상 부재를 상기 록킹구 A에 결합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밀착성 및 착탈성이 더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후드나 마스크를 투습도가 200g/㎡·h 이상 2000g/㎡·h 이하인 부직포로 구성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옥외 작업 시나 무더운 옥내에서 장시간 착용해도 땀이 차기 어려운 것이 된다.
도 1은 일본인 치수 데이터 북에 있어서의 No. 15 협골궁 폭(A)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본인 치수 데이터 북에 있어서의 No. 8 미간·아래턱 거리(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방호용 후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방호용 후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방호복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방호용 후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방호용 후드에 있어서의 마스크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방호복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일반적인 후드의 형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두부를 피복하는 후드(2)를 갖고, 그 후드(2)에는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0)가 형성됨과 아울러, 개구부(20)의 상변에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5)(록킹구 A)가 부착되어 있다.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0)를 형성함으로써 눈, 코, 입을 노출할 수 있고, 록킹구(5)에 의해 개구부(20) 주변에서의 후드의 얼굴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록킹구(5)는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지만, 예를 들면 끈이나 고무, 테이프형상물(바이어스 테이프, 능직 테이프, 면 파스너 등) 등의 록킹구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그 단부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해서 후드 본체에 록킹 가능하게 해도 좋다. 착용자는 후드의 이마에 대응하는 부위와 후드 측면을 함께 잡아당길 수 있어 착용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밀착도를 향상할 수 있다.
록킹구(5)는 띠형상 부재의 좌우 양단부를 머리둘레 주위에 맞춰 잡아당겨 고정하는 등 장력을 부여하여 록킹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띠형상 부재의 양단을 서로 후두부에서 교차시켜서 묶거나, 띠형상 부재의 단부에 면 파스너나 양면 테이프를 붙여서 그 띠형상 부재의 양단부를 서로 접촉해서 고정하도록 하거나, 그 양면 테이프를 두부측면에 부착해서 고정하거나 하면 좋다. 또한, 띠형상 부재는 그 양단부를 서로 교차하거나 접촉시켜서 고정할 경우 착용자의 머리둘레 이상의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후드(2)의 개구부(20)의 좌우측부에는 띠형상 부재의 록킹구(50)(록킹구 B)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띠형상 부재의 록킹구(50)(록킹구 B)는 일부를 상기 좌우측부에 결합함과 아울러, 다른 일부를 록킹구(5)(록킹구 A)에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2개의 록킹구(5, 50)(록킹구 A, B)를 좌우 각각의 측두부에서 결합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한다.
록킹부(5, 50)의 소재는 후드(2)의 같은 생지이어도, 후드(2)와는 이소재이어도 좋지만 후드(2)와 동일 생지로 제작한 것으로 함으로써 비용 다운할 수 있어 소재 특징을 살릴 수 있고, 또한 봉제 후의 멸균 가공을 할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개구부(20)의 크기는 폭(횡 방향) 13㎝~16㎝가 바람직하고, 15㎝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구부의 길이(종 방향)는 9㎝~13㎝가 바람직하고, 11㎝~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단법인 인간 공학 연구 센터 발행의 일본인의 인체 치수 데이터 북 2004-2006을 참고로 산출한 숫자이며, 폭 방향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협골궁 폭(A)을,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미간·아래턱 거리(B)를 참고로 노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또한 시선의 방해가 되지 않는 크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0)의 하부를 덮도록, 즉 착용자의 코와 입부분을 덮도록 후드(2)에 마스크(3)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스크 일체형의 방호용 후드로 함으로써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마스크(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착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측변보다 1.0㎝~2.0㎝ 높은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상방측을 활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코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마스크 상변에는 노즈 와이어(8)를 삽입함으로써 보다 코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의 수평 방향으로 턱(9)을 넣음으로써 보다 강고하게 방호하고 싶을 경우에 상기 방호용 후드의 내측에 별도의 입체형 마스크를 부착해도 착용할 수 있고, 마스크가 입에 밀착되어 숨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턱의 분량은 2㎝ 이상 8㎝ 이하의 범위 내로 넣는 것, 즉 2~8㎝의 여분 포백량을 1개~4개의 턱으로 나누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스크 일체형의 방호용 후드로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시형태도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방호용 후드(1)는 착용자의 두부를 피복하는 후드(2)와 착용자의 코 및 입을 덮는 마스크(3)를 갖고, 이들 후드(2)와 마스크(3)에 의해서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20)를 형성함과 아울러, 개구부(20)의 상변에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5)를 갖고 있다. 또한, 개구부(20)의 하방에 있어서는 코와 입부분을 덮는 마스크(3)가 후드(2)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얼굴에 대응하는 후드 중심부에 개구부(20)를 가짐으로써 눈이 노출되므로 이 노출된 부분을 고글, 필름 등으로 커버해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용 후드(1)에 있어서 개구부(20)의 크기는, 예를 들면 폭(착용 시의 횡 방향) 13㎝~16㎝가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의 길이(착용 시의 종 방향)는 2.0㎝~6.0㎝가 바람직하고, 3.0㎝~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단법인 인간 공학 연구 센터 발행의 일본인의 인체 치수 데이터 북 2004-2006을 참고로 산출한 숫자이며, 폭 방향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협골궁 폭(A)을,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미간·아래턱 거리(B)를 참고로 노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또한 시선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관점으로부터 도출한 크기이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에 있어서도 눈을 노출시키는 개구부(20) 주변에서의 후드의 얼굴로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개구부(20)의 상변에 록킹구(5)를 갖고 있다. 록킹구(5)를 부착함으로써 이마 부분에 후드를 밀착시킬 수 있고, 머리나 목을 좌우로 움직였을 경우의 후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변에 록킹구(5)가 없을 경우에는 특히 움직였을 때에 후드와 이마 사이에 빈틈이 생겨서 내외로부터의 오염물 침입을 고도로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록킹구(5)는 도 3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끈이나 고무, 테이프형상물(바이어스 테이프, 능직 테이프, 면 파스너 등) 등 띠형상 부재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띠형상 부재의 단부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해서 록킹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록킹구(5)는 그 띠형상 부재의 좌우 양단부를 머리둘레 주위에 맞춰 잡아당겨 고정하는 등 장력을 부여하여 록킹할 수 있는 구조이면 좋다. 예를 들면, 띠형상 부재의 양단을 서로 후두부에서 교차시켜서 묶거나, 띠형상 부재의 단부에 면 파스너나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그 띠형상 부재의 양단부를 서로 접촉해서 고정하도록 하거나, 그 양면 테이프를 두부측면에 부착해서 고정하거나 하면 좋다. 또한, 띠형상 부재는 그 양단부를 서로 교차시키거나 접촉시켜서 고정할 경우에는 착용자의 머리둘레 이상의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용 후드에 있어서도 록킹부(5)의 소재는 후드의 같은 생지이어도, 후드와는 이소재이어도 좋지만 후드 본체와 동일 생지로 제작한 것으로 함으로써 비용 다운할 수 있어 소재 특징을 살릴 수 있고, 또한 봉제 후의 멸균 가공을 할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에 있어서는 개구부(20)에 결합시킨 마스크의 좌우측변에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상 부재(6)를 배치함으로써 마스크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띠형상 부재(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마스크보다 상방이며, 또한 측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록킹구(5)에 봉합에 의해 일체화(도면 중 C)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착용자는 후드의 이마에 대응하는 부위와 마스크를 함께 잡아당길 수 있어 착용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밀착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록킹구(5)와 띠형상 부재(6)를 결합할 경우 이러한 결합은 착용자가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를 착용할 때까지 행해져 있으면 좋기 때문에 착용자의 사이즈에 맞춰서 양자의 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면 파스너나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방호용 후드에 사용되는 마스크(3)도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착용자의 코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측변보다 1.0㎝~2.0㎝ 높은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상방측을 활형상(7)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코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마스크 상변에는 노즈 와이어(8)를 삽입함으로써 보다 코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의 수평 방향으로 턱(9)을 넣음으로써 보다 강고하게 방호하고 싶을 경우에 상기 방호용 후드의 내측에 별도의 입체형 마스크를 부착해도 착용할 수 있고, 마스크가 입에 밀착되어 숨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턱의 분량은 2㎝ 이상 8㎝ 이하의 범위 내로 넣는 것, 즉 2~8㎝의 여분 포백량을 1개~4개의 턱으로 나누어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어느 실시형태이어도 간편한 구조이기 때문에 재빠르게 착용할 수 있다. 특히, 클린 룸 등에서는 착용할 때에 바닥이나 벽면에 방호복이나 방호용 후드가 접촉되지 않도록 재빠르게 착용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 및 상기 방호용 후드를 봉착(縫着)한 방호복에 의하면 그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예를 들면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정원의 두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10)과, 대체로 사다리꼴의 측두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11)을 봉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두부에 보다 밀착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동형의 2장의 생지를 봉합하고 있는 후드가 많고, 그 경우 이마의 올바른 위치가 고정되기 어려워 머리를 움직이면 후드 안에서 머리가 움직이기 때문에 시야를 차단하여 착용감이 나쁜 것이 되기 쉽다.
또한, 방호용 후드 사용 시에는 통상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고글이나 보호 안경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이면 이러한 고글·보호 안경과 마스크의 빈틈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글·보호 안경을 착용하는 대신에 개구부(20)에 시인성이 높은 필름을 봉착해도 상관없다. 그 때 마스크로부터의 호기 유출에 의한 김 서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방담 가공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복(12)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방호용 후드 및/또는 방호복에 사용하는 소재는 후드(2)도, 마스크(3)도 투습도가 200g/㎡·h 이상 2000g/㎡·h 이하인 부직포인 것이 착용 쾌적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투습도가 200g/㎡·h를 하회하면 땀이 차기 쉬워 착용 쾌적성이 뒤떨어지기 쉽다. 또한, 2000g/㎡·h를 상회할 경우에는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방호복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후드(2) 및/또는 마스크(3)에 사용하는 소재는 통기량이 20㎤/㎠/sec 이상 200㎤/㎠/sec 이하이며, 또한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80% 이상인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가 20㎤/㎠/sec을 하회하면 땀이 차기 쉬워 착용 쾌적성이 뒤떨어진다. 200㎤/㎠/sec을 상회하면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뒤떨어지고, 내외로부터의 오염물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 및/또는 방호복에 사용하는 소재(생지 구성)는 부직포 단층이나 부직포를 사용한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적층체의 예로서는 SMS 구조(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나 SFS 구조(스펀본드 부직포/필름/스펀본드 부직포)의 3층 적층체가 잘 알려져 있다. SMS 구조나 SFS 구조는 한가운데의 층에 기능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표리층의 스펀본드 부직포가 외부로부터의 보호층의 역할을 하고, 또한 감촉 및 부드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방호용 후드의 제작 방법이나 방호복으로의 방호용 후드의 부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초음파에 의한 융착 봉제나 미싱사를 사용한 미싱 봉제, 접착 테이프 등을 사용한 접착 봉제가 있으며, 용도에 맞춰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호용 후드 및/또는 방호복이 일회용인 것도 바람직하다. 방호복의 겉에는 오염 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탈의할 때마다 폐기하는 것이 안전면에서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비용이 싼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비용이 싼 직물이나 편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직물이나 편물의 경우 생지 단풀림의 처리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그 부분으로부터 실밥이나 먼지가 나올 가능성이 있는 점에서 생지 단이 풀리지 않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방호용 후드의 품질 평가는 다음 방법으로 실시했다.
(측정 방법)
(1) 투습도
소재의 투습도는 JIS L 1099: 2012 「섬유 제품의 투습도 시험 방법」의 A-1법(염화칼슘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단위: g/㎡·h로 평가했다.
(2) 통기성
JIS L 1913: 2010 6.8.1 프레질형법에 의거하여 15㎝×15㎝의 크기의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N=3으로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통기성으로 했다.
(3) 포집 효율
10개소 측정용 샘플을 채취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해서 포집 성능 측정 장치로 측정했다. 이 포집 성능 측정 장치는 측정 샘플을 세팅하는 샘플 홀더의 상류측에 더스트 수납 상자를 연결하여 하류측에 유량계, 유량 조정 밸브, 블로어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샘플 홀더에 파티클 카운터를 사용하여 스위칭 콕을 통해서 측정 샘플의 상류측의 더스트 개수와 하류측의 더스트 개수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샘플 홀더에는 압력계를 설치하여 샘플 상류, 하류의 정압차를 판독한다.
포집 성능의 측정에 있어서는 직경 0.3㎛의 폴리스티렌 표준 라텍스 파우더(NACALAI TESQUE, INC.제 0.309U 폴리스티렌 10질량% 용액을 증류수로 200배로 희석)를 더스트 수납 상자에 충전하고, 시료를 샘플 홀더에 세팅하고, 풍량을 필터 통과 속도가 3m/분이 되도록 유량 조정 밸브로 조정하여 더스트 농도를 1만~4만개/2.83×10-4㎥(0.01ft3)의 범위로 안정시키고, 샘플의 상류의 더스트 개수(D) 및 하류의 더스트 개수(d)를 파티클 카운터(RION Co., Ltd.제, KC-01E)로 1샘플당 3회 측정하여 하기 산식에 의해 포집 성능(%)을 구하고, 10샘플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포집 효율(%)=〔1-(d/D)〕×100
(4) 착용감
방호용 후드와 방호복을 모니터에 착용시키고, 30℃×40% RH의 환경하에서 20분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 땀이 차는 느낌, 및 후드의 고정성, 시인성에 대해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그 평가 기준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본드 부직포(20g/㎡, 통기성 320㎤/㎠/sec)와 폴리프로필렌제의 일렉트릿 멜트블로운 부직포(통기성 150㎤/㎠/sec, 단위 중량 20g/㎡, 평균 섬유 지름 2㎛)를 핫멜트 접착제(MORESCO Corporation제 MORESCO MELT: TN-367Z, 140℃의 용융 점도 1200m㎩·s)를 사용하여 스프레이 도포(도포량 2.0g/㎡)에 의해 접착하여 스펀본드/멜트블로운의 2층 적층품을 얻었다. 이어서, 2층 적층품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면과 폴리프로필렌제의 스펀본드 부직포(20g/㎡, 통기성 320㎤/㎠/sec)를 다시 마찬가지로 접착하여 SMS(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의 3층 적층체를 얻었다.
이 3층 적층체를 재단·미싱 봉제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용 후드를 얻었다. 방호용 후드의 전방 중심(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폭 15㎝×길이 4.5㎝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의 하방에는 마스크를 부착했다. 마스크는 중앙을 2㎝ 볼록형상으로 하고, 상변에는 노즈 와이어를 부착하고, 또한 4㎝의 여분 포백을 턱으로서 하측 방향에 넣었다. 개구부의 상변에는 2㎝ 폭×130㎝의 같은 생지로 제작한 록킹구(록킹구 A)를 봉합에 의해 부착했다. 또한, 마스크 좌우측변에도 2㎝ 폭의 같은 생지로 제작한 띠형상 부재를 부착하고, 개구부의 상변에 부착한 록킹구에 상기 띠형상 부재의 상단을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겹치고, 겹쳐 있는 부분을 봉합에 의해 일체화했다
또한, 상기 방호용 후드와 마찬가지의 3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앞길, 뒷길, 좌우 소매, 및 좌우 바지를 일체화한 커버올을 제작하고, 이것에 상기 방호용 후드를 부착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복을 얻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폴리프로필렌제의 일렉트릿 멜트블로운 부직포 대신에 폴리에틸렌제의 미다공질 필름(두께 14㎛, 융점 137℃, 미다공의 세공 지름 32㎛, 투습도 380g/㎡·h, 인장 강도(종) 40N/50㎜, 인장 강도(횡) 40N/50㎜, 인장 신도(종) 10%, 인장 신도(횡) 8%, 내수압 65㎪, 돌자 강도 370N/㎜)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SFS(스펀본드 부직포/필름/스펀본드 부직포)의 3층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3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초음파에 의해 용착 봉제하고, 실시예 1과 동 형상의 방호용 후드, 방호복을 제작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얻은 3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후드의 개구부에 김 서림 방지 하드 코트 가공을 실시한 100㎛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꿰매 붙인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방호용 후드, 방호복을 제작했다(단, 미싱 봉제에 의한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방수 코팅을 실시한 생지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 나타내는 형상의 후드를 갖는 방호복 상의와 방호용 바지를 제작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3층 적층체를 재단·미싱 봉제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용 후드를 얻었다. 방호용 후드의 전방 중심(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폭 15㎝×길이 11㎝의 개구부를 형성했다. 개구부의 상변에는 2㎝ 폭×130㎝ 길이의 같은 생지로 제작한 록킹구(록킹구 A)를 봉합에 의해 부착함과 아울러, 개구부의 좌우측부 각각에는 2㎝ 폭×53㎝ 길이의 같은 생지로 제작한 띠형상 부재(록킹구 B)의 일단을 부착하고, 상기 띠형상 부재(록킹구 B)의 일부와 개구부의 상변에 부착한 록킹구(록킹구 A)의 일부를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겹치고, 겹쳐 있는 부분을 봉합에 의해 일체화했다.
또한, 상기 방호용 후드와 마찬가지의 3층 적층체를 사용하여 앞길, 뒷길, 좌우 소매, 및 좌우 바지를 일체화한 커버올을 제작하고, 이것에 상기 방호용 후드를 부착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호복을 얻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사용한 3층 적층체를 사용하고, 재단, 초음파에 의해 용착 봉제하여 실시예 5와 동 형상의 방호용 후드, 방호복을 제작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시판된 폴리에틸렌제 플래시 스펀 부직포 1층의 포백을 사용하여 도 9에 나타내는 형상의 후드를 갖는 방호복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호복을 제작하여 착용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후드에는 착용자의 이마부터 턱까지에 상당하는 위치에 최대 폭 18㎝ 최대 길이 15㎝의 개구부를 형성하지만 마스크나 개구부 상변 및 좌우측부의 띠형상 부재(록킹구 A, B)는 부착하지 않았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얻은 3층 적층체를 사용하고, 록킹구(5)(록킹구 A), 마스크(3), 띠형상 부재(6)를 부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호용 후드, 방호복을 제작하여 착용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개구부는 마스크를 부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폭 15㎝, 길이 12㎝이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얻은 3층 적층체를 사용하고, 이마의 록킹구(5)(록킹구 A)를 부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방호용 후드, 방호복을 제작했다. 얻어진 방호복의 물성값과 봉제 사양을 표 2에, 방호복을 착용하고 작업했을 때의 착용감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방호용 후드는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고, 두부나 안면으로의 밀착성도 높으므로 유해 물질이 존재하는 환경하 또는 클린 룸 등에서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식품, 그 외의 제조·가공 공장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 협골궁 폭 B: 미간·아래턱 거리
C: 록킹구(5)와 띠형상 부재(6)의 봉합부
1: 방호용 후드 2: 후드
3: 마스크 5: 록킹구(록킹구 A)
6: 띠형상 부재 7: 활형상
8: 노즈 와이어 9: 턱
10: 두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
11: 측두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
12: 방호복 20: 개구부
50: 록킹구(록킹구 B)

Claims (11)

  1. 착용자의 두부를 피복하는 후드를 갖고, 착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의 상변에는 착용자의 두부 둘레에서 록킹 가능한 록킹구 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용 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개구부의 좌우측부에 록킹구 B를 갖고, 상기 록킹구 B는 띠형상 부재이며, 그 일부가 상기 좌우측부에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록킹구 A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코 및 입을 덮는 마스크를 추가로 갖고, 상기 후드와 상기 마스크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 결합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좌우측변에 띠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띠형상 부재가 상기 록킹구 A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투습도가 200g/㎡·h 이상 2000g/㎡·h 이하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통기량이 20㎤/㎠/sec 이상 200㎤/㎠/sec 이하이며, 또한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80% 이상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투습도가 200g/㎡·h 이상 2000g/㎡·h 이하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통기량이 20㎤/㎠/sec 이상 200㎤/㎠/sec 이하이며, 또한 통과 진애 포집 효율이 80% 이상인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두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과, 측두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포백이 봉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방호용 후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회용인 호용 후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호용 후드를 부착해서 이루어지는 방호복.
KR1020207022511A 2018-03-01 2019-02-22 방호용 후드 KR202001255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36187 2018-03-01
JP2018036187 2018-03-01
PCT/JP2019/006731 WO2019167826A1 (ja) 2018-03-01 2019-02-22 防護用フー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592A true KR20200125592A (ko) 2020-11-04

Family

ID=6780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511A KR20200125592A (ko) 2018-03-01 2019-02-22 방호용 후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01158A1 (ko)
EP (1) EP3760282A4 (ko)
JP (1) JP7251473B2 (ko)
KR (1) KR20200125592A (ko)
CN (1) CN111787983A (ko)
WO (1) WO20191678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5707S1 (en) * 2020-04-20 2022-03-08 Marty Gilman, Inc. Isolation hood
WO2021220587A1 (ja) * 2020-04-28 2021-11-04 社会医療法人蘇西厚生会 まつなみリサーチパーク 感染防止のための保護具と方法
US11364396B2 (en) * 2020-11-09 2022-06-21 Golden Galaxy Corporatio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US11612770B1 (en) * 2020-11-09 2023-03-28 Golden Galaxy Corporatio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US11202925B1 (en) * 2021-04-21 2021-12-21 Wadie M. Awad Full face and head mas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125B2 (ja) 1975-08-12 1985-11-12 株式会社東芝 定電圧回路
JP3110058U (ja) 2005-01-27 2005-06-09 永柱 鄭 マスク付き医療用フード装置
JP2013253344A (ja) 2012-06-07 2013-12-19 Sumco Corp 防塵フード
JP2014237907A (ja) 2013-06-07 2014-12-18 原田産業株式会社 防塵フ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5558A (en) * 1972-11-08 1975-05-27 Nathan L Belkin Complete head covering for use in sterile environments
WO1982002665A1 (en) * 1981-02-05 1982-08-19 La Pena Michael De Heat and smoke protective hood
IT1224304B (it) * 1988-11-09 1990-10-04 Carlo Millauro Maschera per la protezione del viso da impiegare in medicina generale e particolarmente in chirurgia
JP3110058B2 (ja) 1991-03-18 2000-11-20 東燃化学株式会社 α−オレフィンの重合方法
US5452712A (en) * 1995-01-13 1995-09-26 Richardson; James M. Disposable smoke hood with mask and dual strap arrangement
JP3806977B2 (ja) * 1995-10-04 2006-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防塵マスク及び防塵衣
CN2367332Y (zh) * 1999-03-30 2000-03-08 廖迎春 简便防尘、防毒口罩
JP4007979B2 (ja) * 2004-07-08 2007-11-14 原田産業株式会社 防塵用頭巾
DE102013018681A1 (de) * 2013-11-03 2015-05-07 Msa Europe Gmbh Fixiervorrichtung für ein Atemgerät, insbesondere eine Atemschutzhaube
CN206294954U (zh) * 2016-12-16 2017-07-04 陈士骏 可拆卸的安全头盔罩和多功能面罩结构的组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125B2 (ja) 1975-08-12 1985-11-12 株式会社東芝 定電圧回路
JP3110058U (ja) 2005-01-27 2005-06-09 永柱 鄭 マスク付き医療用フード装置
JP2013253344A (ja) 2012-06-07 2013-12-19 Sumco Corp 防塵フード
JP2014237907A (ja) 2013-06-07 2014-12-18 原田産業株式会社 防塵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67826A1 (ja) 2021-01-07
US20210001158A1 (en) 2021-01-07
CN111787983A (zh) 2020-10-16
WO2019167826A1 (ja) 2019-09-06
EP3760282A4 (en) 2021-10-20
EP3760282A1 (en) 2021-01-06
JP7251473B2 (ja)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5592A (ko) 방호용 후드
KR102026798B1 (ko)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US10576314B2 (en) Respirator including contrast layer
US4932078A (en) Unitized garment system for particulate control
US6394090B1 (en) Flat-folde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KR102283989B1 (ko) 개선된 후드를 갖는 방호복
US20060201513A1 (en) Flat-foldable face-mask and process of making same
WO2009104442A1 (ja) 呼吸用透明マスク
KR102027058B1 (ko) 착용이 편안한 방진 마스크
KR20190119159A (ko) 헤드기어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JP2020518297A (ja) 粒子バリアを含むフード
KR20170000048U (ko) 마스크
EP0157140A1 (en) Protective clothing for particulate control
KR20190140876A (ko) 김서림 방지용 벽을 구비한 수술용 김서림 방지 마스크
KR102568995B1 (ko) 마스크
JP2008264277A (ja) マスク
JP3117121U (ja) 密着性良好なマスク
KR20120129552A (ko) 방진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JP7424056B2 (ja) 防護服
JP2007021026A (ja) マスク
JP2007014577A5 (ko)
JP2007014577A (ja) マスク
KR20180080861A (ko)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