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410A -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410A
KR20220005410A KR1020210088433A KR20210088433A KR20220005410A KR 20220005410 A KR20220005410 A KR 20220005410A KR 1020210088433 A KR1020210088433 A KR 1020210088433A KR 20210088433 A KR20210088433 A KR 20210088433A KR 20220005410 A KR20220005410 A KR 2022000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female plug
male plug
apertur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리스 바델
카이 부브
라이너 로데
Original Assignee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아우토모티브 (풀다프뤼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0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a retaining member the extremities of which, e.g. in the form of a U, engage behind a shoulder of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8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which is split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 parts which are held in place by means of a resilient r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 F16L47/1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maintained in place by addition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 및 당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될 수 있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구비하고, 리테이너(6)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연결되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특히 코드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를 가지며, 상기 검증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판독 불가능하거나 또는 불완전한 커넥터.

Description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TWO FLUID-CONDUCTING ELEMENTS}
본 발명은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 특히 두 개의 차량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암형 플러그-인 부품 및 당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될 수 있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리테이너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연결되며(hooked up),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라피드(rapid) 커넥터 또는 퀵(quick) 커넥터라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편리하게 VDA 표준에 따른 VDA 커넥터 또는 SAE 표준에 따른 SAE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커넥터가 두 개의 파이프, 특히 두 개의 차량 파이프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종류의 커넥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실시형태로 실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 예컨대 두 개의 차량 파이프를 알려진 커넥터로 연결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에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누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특히 커넥터 부품이 협소한 공간 또는 설치 공간에서 조립된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에러가 실제로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연결 에러는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불완전한 조립으로 인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적절하고 올바르게 고정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러면 결과적인 연결은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없으며 특히 견고하지 않으므로, 연료,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가 빠져 나올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연결이 해제되어 버린다. 알려진 커넥터를 조립하는 동안에 관찰되는 문제는 특히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명확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연결 에러의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암수형 플러그-인 부품들 사이의 올바른 연결을 표시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커넥터가 기본적으로 실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연결에 대한 적절한 연결의 표시는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한 구조 및 높은 생산 경비 또는 높은 생산 비용과 관련된다. 또한, 올바른 연결을 표시하는 디바이스를 가지는 실제 상 알려진 적어도 수개의 커넥터에서, 암수형 플러그-인 부품들 사이의 올바른 조립 또는 연결이 충분한 신뢰성으로 표시되지 않고 특히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에러가 계속 발생한다. 이와 관련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기술적 과제는, 암수형 플러그-인 부품들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으면서 명확한 방식으로 표시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고 보다 덜 복잡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여 연결 오류를 회피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종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특히 두 개의 차량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암형(female) 플러그-인(plug-in) 부품 및 당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될 수 있는 수형(male) 플러그-인 부품을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리테이너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연결되어(hooked-up),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를 교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특히 코드(code)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를 가지며, 상기 검증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에 의해 적어도 영역들에서 덮여서 판독 불가능하고, 및/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특히 코드의 일 부분 형태인 검증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지며,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불완전하여 판독할 수 없으며, 그리고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또는 누락(missing) 부분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에 배열되며,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가 시프트되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완전 및/또는 판독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 및/또는 검증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검증 요소는,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완전히 삽입되고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의미하는 적절한 연결을 명확하게 표시하거나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특히 검증 요소는 코드일 수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코드는 덮여지고 및/또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판독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판독 가능하다란, 특히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완전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판독성은 완전하고 정확한 시각적 판독성 및/또는 컴퓨터에 의한 완전하고 정확한 판독성과 관련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코드의 덮이지 않은 부분 및/또는 불완전한 코드를 원칙적으로 읽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연결을 확인하는 완전한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적절하게 고정된 경우에만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용어 "애퍼처(aperture)"란 특히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적어도 영역들을 덮고(cover) 및/또는 검증 요소의 일 부분 또는 누락 부분을 갖거나 지니는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퍼처는 반드시 검증 요소의 일 부분을 덮을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삽입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애퍼처를 시프트 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완전하고 및/또는 판독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완전히 삽입되고 리테이너에 의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비고정 상태라는 용어는,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아직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되지 않았거나 아직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퍼처는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적어도 영역들을 덮고 및/또는 애퍼처는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일 부분 또는 누락 부분을 갖는다. 애퍼처를 시프트한 결과로,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이전에 가려진 부분이 해제되거나 더 이상 가려지지 않아서 읽을 수 있게 되거나, 또는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여러 부분들이 결합되어 코드가 완전해지고 읽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완전하며 올바르게 판독 가능하다라는 사실로 인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대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적절하게 고정된 상태가 기능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적절한 방식으로 표시된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면,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이 적절히 고정된 상태에서만 코드를 읽을 수 있거나 올바르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일 부분 또는 누락 부분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배열 된 애퍼처에 본 발명에 따라 배열되는 경우, 추가 또는 누락 코드 부분이 애퍼처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필름에 제공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할 때, 애퍼처는 투명 필름과 함께 편리하게 시프트 되고, 따라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투명 필름 상의 코드 부분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코드 부분과 함께 완전하고 판독 가능한 코드를 생성한다. 코드의 일 부분 또는 코드의 누락 부분이, 애퍼처에 직접 배치되고, 그리고나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를 시프트 한 후 편리하게,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코드의 부분과 함께 완전하고 판독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것도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배열된 애퍼처에 의해 적어도 영역들에서 덮이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판독할 수 없는 경우,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애퍼처에 의해 완전히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덮여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또한,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영역들 또는 섹션들만이 애퍼처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그러면 여기서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여전히 판독할 수 없거나 또는 완전하고 정확하게 읽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증 요소는 코드처럼 설계된다. 코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판독 가능한 코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계 판독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 사이에 적절한 연결이 확립된 경우에만, 판독 가능한, 특히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정확하게 판독될 수 있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그러면 판독 가능한 코드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는 특히 판독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연결이 검증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형태 변형에 따르면,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QR 코드 및/또는 바코드 및/또는 데이터매트릭스(DataMatrix) 코드이다. 코드는 단색 또는 다중 색상의 색 코드일 수도 있다. 또한,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RFID 회로 또는 RFID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 위나 반대편에 배치될 것이 권장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코드에 액세스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판독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검증 요소 또는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는 편리하게 스캐너, 휴대폰, RFID 판독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암형(female) 판독기가 본 발명에 따른 검증 요소의 한 부분 또는 코드의 한 부분만을 갖는 경우, 코드의 이 부분은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에 배열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 상에, 예를 들어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 상에 또는 그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또는 본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배열된다. 이 실시형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특히 그 외부 표면 상에 또는 반대쪽에 배열 된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라 검증 요소의 한 부분 또는 코드의 한 부분만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에 또는 그에 대항하여 배열되는 경우, 검증 요소의 이 부분 또는 코드의 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움직이지 않게 또는 본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배열되고, 애퍼처에 배열된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다른 부분 또는 누락 부분은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할 때 코드가 완전하게 되고, 이어서 판독가능하거나 올바르게 판독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히 권장되는 실시형태에 따르면, 애퍼처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시프트 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는 바람직하게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코드 또는 코드의 부분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에 또는 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애퍼처 또한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에 배치되고, 그리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면서,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거나 안내되는 것이 권장된다.
애퍼처가 핀홀로서 설계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바람직하게는 핀홀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의해 판독 가능하다. 애퍼처는 판형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애퍼처가 핀홀로서 설계되면, 애퍼처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판형 요소가되고, 이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를 판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핀홀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둘러싸는 에지 영역에 의해 적어도 영역들에서,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에서 리세스 후방에 배열된 핀홀의 에지 영역에 의해 적어도 영역들에서 편리하게 커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의 권장되는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 및/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설계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 및/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또는 본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 및/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특히 바람직하게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또는 본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다른 플라스틱 또한 기본적으로 수형 플러그-인 부품 및/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대한 재료로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료로서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형 플러그-인 부품 및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서로 다른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이 동일한 플라스틱을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본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된다. 리테이너는 편리하게 강철 또는 본질적으로 강철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리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애퍼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퍼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판형 요소로서 설계된다. 애퍼처가 금속 시트, 예를 들어 금속 핀홀인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애퍼처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에 기초하여 설계되고, 편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이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리세스를 가지며, 리테이너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리세스를 통해 결합하거나 이와 완전히 결합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 슬릿으로서 설계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리테이너 리세스를 편리하게 갖는다. 리테이너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완전 삽입 또는 고정 상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스탑 플랜지 후방에 결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완전 삽입 또는 고정 상태에서, 리테이너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그루브에 결합한다. 고정 그루브는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둘레를 적어도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만큼 둘러싼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그루브는 완전히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둘레를 둘러싼다.
리테이너는 U-브래킷과 U-브래킷에 연결된 두 개의 U-레그를 갖는 디자인에 있어 편리하게 U자형이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완전 삽입 또는 고정 상태에서, U-레그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리테이너 리세스를 통해 결합하거나 후자를 통해 완전히 결합한다. 여기서 U-레그는 매우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스탑 플랜지 후방에서 맞물리고, U-레그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그루브에 맞물린다. 두 개의 U-레그는 탄력있는 탄성 방식으로 U-브래킷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변형은 애퍼처가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의 직접 및/또는 간접 상호 작용을 통해 시프트 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직접 상호 작용은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되는 동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애퍼처와 직접 상호 작용하거나 이 애퍼처에 대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간접 상호 작용은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되는 동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애퍼처와 직접 상호 작용하거나 이 애퍼처에 대해 결합하지 않고, 대신에 커넥터의 다른 요소를 통해 애퍼처와 상호 작용하여, 애퍼처가 시프트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애퍼처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연장부를 구비한다. 접촉 연장부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접촉 리세스를 통해 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한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삽입 과정 중에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삽입할 수 있는 플러그-인 그루브를 편리하게 갖는다.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접촉 리세스를 통해 편리하게 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내부 공간에서 플러그-인 리세스 내로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삽입 프로세스 동안에 접촉 연장부와 직접 및/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애퍼처가 시프트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리세스는 특히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리세스를 의미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플러그-인 리세스 또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요소를 가지며, 센터링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내부 표면에 배치되는, 암형 플러그-인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에 결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편리하게 돌출되고,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플러그-인 리세스의 내부 표면 상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부 표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플러그-인 리세스의 내부 표면 상의 두 개의 상보적인 형상- 끼워맞춤 리세스에 결합하는 2개의 센터링 요소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애퍼처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적어도 원뿔 센터링 요소와의 직접 및/또는 간접 상호 작용을 통해 시프트 될 수 있다.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로 돌출되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센터링 요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으로의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동안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와 상호 작용하고, 특히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와 직접 상호 작용하여, 애퍼처가 시프트 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센터링 요소는 형상-끼워맞춤 리세스에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에 직접 접촉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애퍼처를 시프트 시키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경 사면을 갖는다. 경사면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외측에 편리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단일 부품으로 수형 플러그-인 부품 상에 성형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사면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축 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축 방향은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종축 방향을 의미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사면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종축 또는 종방향 중심 축에 대해 10°~ 60°, 바람직하게는 15°~50°, 우선적으로 20°~ 45°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면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둘레를 따라가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경사면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둘레를 따라 최소 50%, 바람직하게는 최소 60%, 우선적으로는 최소 75%, 특히 우선적으로는 최소 90%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싼다. 경사면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축 방향으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램프로 편리하게 설계되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사면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특히 단차가 없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사면은 또한 리테이너를 위한 스탑 플랜지를 갖거나, 경사면 후방 측이 리테이너를 위한 스탑 플랜지를 형성한다. 스톱 플랜지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에서 경사면 전방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 사면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 내부로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와 상호 작용하고, 특히 직접 상호 작용하여 애퍼처가 시프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사면 및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요소는 삽입 동안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와 특히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연결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접촉 연장부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뿐만 아니라 접촉 리세스를 통해 편리하게 결합하고, 플러그-인 리세스 또는 암형 플러그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한다. 부분적으로, 삽입 과정 동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경사면이 먼저 접촉 연장부와 상호 작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직접 상호 작용하고, 그 후에 센터링 요소가 상호 작용, 특히 직접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링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제공되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수형 플러그-인 부품 사이에 배열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링에 의해 커넥터에 유지되는 밀봉 요소, 특히 밀봉 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둘레를 둘러싸는 밀봉 링 또는 O-실링 링이고, 이 밀봉 링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 사이에 제공된다. 부분적으로 그리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 있다. 스페이서 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요소 전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링 앞에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으로 배열된다.
애퍼처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연장부를 통해 스페이서 링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스페이서 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단부 위치에 아직 배열되지 않으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스페이서 링이 애퍼처와 함께 그 단부 위치로 이동된다. 최종 위치에서, 스페이서 링은 바람직하게 커넥터 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서 밀봉 요소 또는 밀봉 링을 유지한다. 최종 위치에서 스페이서 링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연장부에 의해 스페이서 링에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애퍼처의 고정은 접촉 연장부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접촉 리세스를 통해 플러그-인 리세스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스페이서 링의 해당 고정 그루브에 결합하여 후자에 고정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경사면에 의해 스페이서 링과 편리하게 상호 작용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은 경사면에 의해 스페이서 링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링에 고정된 접촉 연장부와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애퍼처가 시프트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매우 특별한 중요성이 부여되는 일 실시형태는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복원 요소,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암형 플러그-인 부품과 애퍼처 사이에 편리하게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복원력을 가하여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서 분리될 때 복원력에 의해 애퍼처가 그 초기 위치로 다시 밀려 들어가도록 한다.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스프링 및/또는 굽힘 스프링이다.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판 스프링, 나선형 스프링 등이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동안 스프링 또는 나선형 스프링은 압축 또는 팽창에 의해 장력을 받는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과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적절하게 고정하여 연결을 분리하면 애퍼처가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다시 밀려난다. 그 결과, 검증 프로세스,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적절한 고정에 대한 명확한 표시가 되돌려질 수 있으며 플러그-인 부품을 다시 연결할 때 한 번 더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일단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서 분리되고 비고정 상태가 복원되면,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적어도 영역들에서 불완전하고 및/또는 판독할 수 없거나 올바르게 읽을 수 없다. 중요성은 적어도 하나의 복원 요소,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인하며, 특히 애퍼처의 접촉 연장부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로 돌출될 때, 그리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과정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센터링 요소와 접촉 연장부 사이의 상호 작용, 특히 직접 상호 작용에 의해 시프트 된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분리하는 동안 접촉 리세스 및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에 있는 접촉 연장부는 복원력에 의해 유도되고, 애퍼처와 함께 편리하게 초기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제1 스프링 단부로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스탑 면에 접하고 제2 스프링 단부로 애퍼처의 스탑 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 및/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의 축 방향으로 편리하게 연장된다.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으로 검증 요소 또는 코드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퍼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핀홀로서 설계되고, 편의적으로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수형 플러그-인 부품,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의 고정 상태에서 판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있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방향으로 애퍼처의 리세스 후방에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복원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형태는 또한 검증 프로세스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가역적일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애퍼처의 우발적 이동조차도 가능하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리테이너에 의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적절하게 고정된 후에만 애퍼처가 더 이상 초기 위치로 돌아갈 수 없기 때문에 조립 중에 복원 스프링력에 의해 자동으로 취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복원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이미 인장되거나 프리텐션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완전히 삽입되고 리테이너에 의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고정되어 두 플러그-인 부품이 올바르고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스프링이 과정에서 요소를 분리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완전 및/또는 판독 가능한 방식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시프트 된다. 이 실시형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커버되고 판독 불가능하고 및/또는 불완전하고 판독 불가능하며,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인장되거나 프리텐션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올바르거나 적절하게 고정하는 동안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이 풀리거나 분리되고, 그 애퍼처는 복원력에 의해 시프트 되어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완전 및/또는 판독 가능하다.
검증 요소 또는 코드가 "인쇄, 레이저 마킹, 라벨링, 조각"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적용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커넥터의 특히 제조업체 및/또는 물품 번호 및/또는 유형 및/또는 재료 및/또는 제조날짜 및/또는 배치 번호와 관련된 판독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 사이의 연결이 적절하게 확립되는 즉시 검증 요소 또는 코드를 읽는 것만으로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되었지만 커넥터와 관련된 추가 정보도 판독 프로세스 중에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정보는 커넥터를 조립 및/또는 유지하는 과정에서 매우 유리하므로, 본 발명은 올바른 연결을 검증하고 커넥터 특정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결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증 요소 또는 코드는 오류 방지 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암수형 플러그-인 부품 간의 연결이 올바르게 확립되었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로 확실하고 명확하게 표시된다는 지식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정확하게 판독되지 않거나 정확하게 판독되지 않는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에 올바르게 고정된 후에만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 또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올바른 연결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를 위해 사용되는 애퍼처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시프트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를 해제 및/또는 완성하여 판독 가능하거나 판독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인 부품의 적절한 연결에 대한 이러한 명확한 표시 또는 적절한 연결의 검증은 매우 간단한 방안에 의해 달성되므로 커넥터는 보다 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이와 관련하여 낮은 제조 비용 또는 생산 비용, 그리고 간단하지만 기능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검증 제공 또는 두 플러그-인 부품의 올바른 연결 표시는 연결 프로세스 동안의 오류에 대한 민감성을 크게 줄여 연결 오류를 대폭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검증 요소가 적어도 코드, 바코드 및/또는 QR 코드 및/또는 데이터매트릭스 코드일 경우, 이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이 고정된 후 판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디바이스를 구비한 암형 플러그-인 부품 및 코드는 커넥터와 관련된 정보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판독 프로세스 중에도 판독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읽는 것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 사이에 연결이 적절하게 확립된 경우에만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문제없이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에 대한 관련 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단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며, 개략적으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제1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 도 2a에 따른 특허 대상이고,
도 3a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제2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 도 3a에 따른 특허 대상이고,
도 4a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제3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의 도 4a에 따른 특허 대상이고,
도 5a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비고정 상태에서 제4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통한 길이 방향 단면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의 고정 상태에서 도 5a에 따른 특허 대상이다.
도면들은,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특히 두 개의 차량 파이프(2, 3)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를 나타낸다. 커넥터(1)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 및 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할 수 있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갖고 있다. 리테이너(6)가, 본 발명에 따라 커넥터(1)에 연결(hooked-up)되며,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커넥터(1)는 소위 VDA 커넥터이다. 암형 플러그-인 부품(4) 및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권장되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5) 및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은 바람직하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본질적으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로 구성된다. 리테이너(6)는 바람직하게 강철 또는 본질적으로 강철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은 편리하게 리테이너 슬릿으로 설계된, 서로 마주 보게 놓이는 2개의 리테이너 리세스(22)를 갖는다. 이것은 특히 도 1에서 식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삽입 방향 반대의,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축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15)을 갖을 것이 권장된다. 여기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축 방향은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종축 LS의 방향을 의미한다. 도면들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경사면(15)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삽입 방향 반대로 약 30°로 상승한다.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리테이너(6)를 통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고정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리테이너(6)는 바람직하게는 U자형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U자형 리테이너(6)는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스탑 플랜지(23) 후방에서 맞물리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그루브(24)에 맞물린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자형 리테이너(6)는 U-브래킷(25)과 이 U-브래킷(25)에 연결되는(hooked-up) 두 개의 U-레그(26)로 설계되는 것이 권장된다(도 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레그(26)는 각각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리테이너 리세스(22)를 통해 편리하게 맞물리거나 또는 각각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완전 삽입 또는 고정 상태에서 이 리테이너 리세스(22)를 통해 완전히 맞물린다. 여기서 U-레그(26)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스탑 플랜지(23) 후방에 편리하게 맞물리고,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그루브(24)에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도 2b, 3b, 4b 및 5b),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완전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탑 플랜지(23)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삽입 방향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경사면(15) 전에 배열되고, 특히 경사면 후방 측은 스탑 플랜지(23)를 갖거나 스탑 플랜지(23)를 포함한다(도 1).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두 개의 센터링 요소(13)를 가지며, 이들 센터링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에 결합된다. 도면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센터링 요소(13)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각각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플러그-인 리세스(27)의 내부 표면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에 결합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센터링 요소(13)는 여기서 편리하게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외부 표면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플러그-인 리세스(27)의 내부 표면의 2개의 상보적인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설계예에서, 커넥터(1)는 밀봉 요소로서 밀봉 링(28)을 가지며, 이 밀봉 링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상태에서 스페이서 링(16)에 의해 커넥터(1)에 유지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페이서 링(16)은 바람직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과 래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은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를 갖는다. 도 1 내지 4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검증 요소는 코드(7)의 형태로 설계되며, 이 코드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비고정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배치된 애퍼처(8)에 의해 영역들에서 덮여서 판독할 수 없다. 이것은 도 2a, 3a 및 4a에 묘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검증 요소 또는 코드(7)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완전 및/또는 판독가능하도록 시프트 된다. 도 2b, 3b 및 4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드(7)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완전 삽입 상태에서 더 이상 애퍼처에 의해 덮이지 않으며, 그렇지 않고 대신에 해제되고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판독 가능하다란 특히 검증 요소 또는 코드(7)가 완전하고 올바르게 판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형 플러그-인 부품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그리고 도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비고정 상태에서는 불완전하고 읽을 수 없는, 코드(7)의 일 부분(7a)의 형태로 검증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갖는다. 이것은 도 5a에 묘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증 요소 또는 코드(7)의 추가 또는 누락 부분(7b)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 상에 배열된 애퍼처(8)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도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7)의 누락 부분(7b)이 애퍼처(8)의 투명 필름(29)에 제공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7)가 완전하고 및/또는 판독 가능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시프트 된다. 도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7)의 상이한 부분(7a, 7b)은 이를 위해 애퍼처(8)를 시프트시킴으로써 병합되고, 따라서 코드(7)가 완전하게 되고 판독 가능하다. 이것은 도 5b에서 식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도면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검증 요소는 코드(7)의 형태로 설계된다. 코드는 바람직하게는 판독 가능한 코드,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기계 판독가능한 코드(7)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드(7)는 바코드일 수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5)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4) 사이에 올바른 연결이 확립되면, 예컨대 스캐너 또는 휴대폰과 같은 판독 장치에 의해 코드(7) 또는 바코드를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한 연결이 검증된다. 두 개의 플러그-인 부품(4, 5)이 적절하게 연결된 후에 판독 가능하거나 또는 판독 프로세스 동안 판독 가능한 코드(7)가 커넥터(1)와 관련된 판독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 상에 또는 그에 대항하여 코드(7)가 배열되는 것이 권장된다. 도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드(7)의 일 부분(7a)은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 상에 배열된다. 도면에 따른 설계예에서, 코드(7)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에 대항하여 또는 그 위에 편리하게 움직이지 않게 또는 본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배열된다. 도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에 배열된 코드(7)의 부분(7a)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에 대항하여 또는 그 위에 배열되는 코드(7) 또는 코드(7)의 부분(7a)은 따라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거나 안내될 것을 권장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편리하게 시프트 된다. 도 1 내지 4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바람직하게는 핀홀로 설계되고, 코드(7)는 편리하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핀홀 또는 애퍼처(8)의 리세스(10)를 통해 판독 가능하며, 이는 도 2b, 3b 및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바람직하게는 판형 요소로서 설계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본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며, 특히 금속 시트로서 제공되는 것이 권장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도 1 내지 4b에 따라 애퍼처(8)가 핀홀로서 설계되면, 적어도 코드(7)의 영역들이 수형 플러그-인 부품(4)의 비고정 상태에서 핀홀의 리세스(10)를 둘러싸는 에지 영역(30)에 의해 편리하게 커버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드(7)를 덮는 핀홀 또는 애퍼처(8)의 에지 영역(30)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삽입 방향에서 리세스(10) 후방에 편리하게 배열된다. 이것은 도 2a 내지 4b에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도 1; 2a, b; 4a, b 및 5a, b)과의 직접적 상호 작용을 통해 또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도 3a, b)과의 간접적 상호 작용을 통해 시프트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상호 작용이란,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이 애퍼처(8)와 직접 상호 작용하거나 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이 애퍼처에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간접적 상호 작용이란, 특히,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이 더 이상 애퍼처(8)와 직접 상호 작용하지 않거나 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에 작용하지 않고, 대신에 커넥터(1)의 다른 요소를 통해 애퍼처(8)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접촉 리세스(12)를 통해 결합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내부 공간으로 결합하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접촉 연장부(11)를 갖을 것이 권장된다.
도 1; 2a, b; 4a, b 및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의 접촉 연장부(11)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 내로 편리하게 돌출된다. 도 1; 2a, b; 도 4a, b 및 5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센터링 요소(13)가 바람직하게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접촉 연장부(11)와 직접 상호 작용하여, 애퍼처(8)가 시프트 된다.
도 3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애퍼처(8)는 접촉 연장부(11)에 의해 스페이서 링(16)에 체결된다. 이를 위해 접촉 연장부(11)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접촉 리세스(12)를 통하고 그리고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플러그-인 리세스(27)로 돌출되고 스페이서 링(16)의 체결 리세스(31)에 결합되거나 후자에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스페이서 링(16)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비고정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서의 그 단부 위치에 아직 배치되지 않는다(도 3a). 도 3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페이서 링(16)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8)와 함께 그의 단부 위치로 편리하게 시프트 되고, 거기서 바람직하게 암형 플러그-인 부품(4)과 래칭된다(도 3b).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도 3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그의 경사면(15)에 의해 스페이서 링(16)과 직접 접촉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애퍼처(8)의 접촉 연장부(11)와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하고, 따라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8)가 시프트 된다.
도 4a, b는 커넥터(1)가 복원 요소로서 스프링(17)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복원 요소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과 애퍼처(8) 사이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17)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인장되는 것이 권장된다. 도 4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17)은 나선형 스프링이며, 이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확장되어 인장된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으로부터 분리될 때, 애퍼처(8)가 복원력에 의해 그의 초기 위치로 다시 밀리는 것이 권장된다. 그 결과, 검증 프로세스,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대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적절한 고정의 명확한 표시가 되돌려질 수 있으며, 플러그-인 부품(4, 5)을 다시 연결할 때 검증 프로세스를 한 번 더 수행할 수 있다.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으로부터 분리된 후, 적어도 코드(7)의 영역들이 다시 애퍼처(8)에 의해 덮혀진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도 4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촉 연장부(11)는 애퍼처(8)와 함께,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에서 그리고 접촉 리세스(12)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애퍼처(8)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4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17)이 제1 스프링 단부(18)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스탑 면에 대항하여 접하고, 제2 스프링 단부(20)로 애퍼처(8)의 스탑 면(21)에 편리하게 대항하여 접할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도 4a, b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17)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삽입 방향으로 코드(7) 후방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17)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 및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축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인쇄, 레이저 마킹, 라벨링, 조각(engraving)"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드(7)(도 1 내지 4b) 또는 코드(7)의 부분(7a)(도 5a, b)은 인쇄에 의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4) 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특히 두 개의 차량 파이프(2, 3)를 연결하기 위한, 암형(female) 플러그-인(plug-in) 부품(4) 및 당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될 수 있는 수형(male) 플러그-인 부품(5)을 구비하는 커넥터(1)로서, 리테이너(6)가,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연결되어(hooked-up),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은, 특히 코드(7)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검증 요소를 가지며, 상기 검증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비고정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aperture)(8)에 의해 적어도 영역들에서 덮여서 판독 불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은, 특히 코드(7)의 일 부분(7a) 형태인 검증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가지며,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비고정 상태에서 불완전하여 판독 불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 또는 누락(missing) 부분(7b)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8)에 배열되어 있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8)가 시프트됨으로써,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가 완전 및/또는 판독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판독 가능한 코드, 특히 기계 판독가능한 코드, 바람직하게는 QR 코드 및/또는 바코드 및/또는 데이터매트릭스(DataMatrix) 코드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에 배열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특히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에 움직일 수 없게 또는 본질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배치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외부 표면(9)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안내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8)는 핀홀(pinhole)로서 설계되고, 상기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바람직하게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핀홀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0)를 통해 판독 가능한,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과의 직접 및/또는 간접 상호 작용을 통해 시프트 될 수 있는,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연장부(11)를 가지며, 상기 접촉 연장부(11)는 바람직하게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접촉 리세스(12)를 통해 결합하며, 바람직하게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요소(13)를 가지며, 센터링 요소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에, 바람직하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내부 표면에 배열된 리세스에 결합되고, 애퍼처(8)의 접촉 연장부(11)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형상-끼워맞춤 리세스(14) 내로 돌출하고, 그리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센터링 요소(13)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8)가 시프트 되도록 접촉 연장부(11)와 상호 작용, 특히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커넥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은 경사면(15)을 갖고, 이 경사면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 애퍼처(8)가 시프트 되도록 애퍼처(8)의 접촉 연장부(11)와 상호 작용, 특히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커넥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링(16)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제공되고, 스페이서 링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고정 또는 완전 삽입 상태에서 수형 플러그-인 부품(5)과 암형 플러그-인 부품(4) 사이에 배열되며, 애퍼처(8)는 바람직하게 접촉 연장부(11)에 의해 스페이서 링(16)에 체결되고, 스페이서 링(16)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의 비고정 상태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서 그의 단부 위치에 아직 배치되지 않으며, 스페이서 링(16)은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에 그의 단부 위치로 애퍼처(8)와 함께 시프트 되는,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1)는 적어도 하나의 복원 요소,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7)을 가지며, 상기 복원 요소는 암형 플러그-인 부품(4)과 애퍼처(8) 사이에 배치되고,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을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삽입하는 동안에 장력을 받고, 따라서 애퍼처(8)는 수형 플러그-인 부품(5)이 암형 플러그-인 부품(4)으로부터 분리될 때 복원력에 의해 그의 초기 위치로 다시 밀려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요소 또는 스프링(17)은 제1 스프링 단부(18)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의 스탑 면(19)에 대항하여 접하고, 제2 스프링 단부(20)로 애퍼처(8)의 스탑 면(21)에 대항하여 접하는,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인쇄, 레이저 마킹, 라벨링, 조각(engraving)”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차에서 암형 플러그-인 부품(4)에 적용되는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증 요소 또는 코드(7)는, 특히 커넥터의 제조자 및/또는 물품 번호 및/또는 유형 및/또는 재료 및/또는 제조날짜 및/또는 배치 번호와 관련되는, 커넥터(1)와 관련되는 판독 가능한 정보, 및/또는 오류 방지 코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0210088433A 2020-07-06 2021-07-06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20220005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20103903.2U DE202020103903U1 (de) 2020-07-06 2020-07-06 Verbinder zum Verbinden zweier fluidführender Elemente
DE202020103903.2 2020-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410A true KR20220005410A (ko) 2022-01-13

Family

ID=7184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433A KR20220005410A (ko) 2020-07-06 2021-07-06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74024B2 (ko)
EP (1) EP3936752B1 (ko)
JP (1) JP7326386B2 (ko)
KR (1) KR20220005410A (ko)
CN (1) CN113898810B (ko)
DE (1) DE202020103903U1 (ko)
MX (1) MX20210081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6481B1 (en) * 2019-05-07 2022-01-19 A. Raymond et Cie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tab
US20220010907A1 (en) * 2020-03-12 2022-01-13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Transmitter for quick connector
US11698157B2 (en) * 2020-07-24 2023-07-1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latch verification utilizing a scannable code
US11365840B2 (en) * 2020-11-20 2022-06-21 A. Raymond Et Cie Code verification sleeve for a quick connector
US11578828B2 (en) 2020-12-03 2023-02-1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EP4060217A1 (en) * 2021-03-18 2022-09-21 Hanil Tube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retainer and verifier
US11598463B2 (en) * 2021-03-18 2023-03-07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with verification
US20230055432A1 (en) * 2021-08-18 2023-02-23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AT524862B1 (de) * 2021-11-09 2022-10-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EP4219998A1 (de) * 2022-01-26 2023-08-02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Auslesbare kupplungsbuchse sowie deren verbindungsverfahren
US20230270448A1 (en) * 2022-02-09 2023-08-31 Golden Hour Medical, Llc Automated emergency pneumatic tourniquet
CN114593297A (zh) * 2022-03-24 2022-06-07 瑞肯耐特流体控制系统(镇江)有限公司 快速连接器
US11976762B2 (en) 2022-06-02 2024-05-07 Novares Us Engine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with QR verification arrangement and method
AT18112U1 (de) * 2022-07-25 2024-02-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WO2024030158A1 (en) * 2022-08-04 2024-02-08 J.S.T. Corporation A hidden releasable barcode or qr code for indicating mating or non-mating of two elements, and oper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100629B4 (en) * 2000-12-08 2002-03-07 Westaflex (Australia) Pty. Ltd. Apparatus for Forming and Packaging Flexible Ducting
ATE319651T1 (de) * 2001-05-21 2006-03-15 Colder Prod Co Verbindungs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flüssigkeitsabgabe
JP4264325B2 (ja) 2003-08-07 2009-05-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接続構造或いは締結構造
US20120211974A1 (en) * 2011-02-23 2012-08-23 Mercedes Textiles Ltd. Color-codeable couplings for fire hoses
US9795757B2 (en) * 2013-06-28 2017-10-24 Vyaire Medical Capital Llc Fluid inlet adapter
FR3007815B1 (fr) * 2013-06-28 2016-04-29 Sartorius Stedim Biotech Connecteur fluidique avec verrouillage.
FR3007813B1 (fr) * 2013-06-28 2016-01-01 Sartorius Stedim Biotech Connecteur fluidique avec collier et protection.
FR3021386B1 (fr) 2014-05-22 2017-02-24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a connexion automatique
FR3034345B1 (fr) * 2015-04-02 2019-08-23 Dover Europe Sarl Connecteur configurable
DE102016009168A1 (de) * 2016-07-29 2018-02-01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erbinder
US10690277B2 (en) * 2017-03-16 2020-06-23 Oetiker Ny,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mart inspection assurance cap
CN206889970U (zh) * 2017-06-20 2018-01-16 大连开元管道有限公司 一种能够通过扫描激光喷码实现材料溯源的保温管
ES2950467T3 (es) * 2017-07-20 2023-10-10 Matz Erreka S Coop Racor hembra de conector enchufable y conector enchufable
US11306852B2 (en) 2017-08-07 2022-04-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fitting
EP3364090B1 (de) * 2017-12-11 2020-02-19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Verbinder zum verbinden zweier fluidführender elemente
DE102018219440A1 (de) * 2018-11-14 2020-05-14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16339A (ja) 2022-01-21
JP7326386B2 (ja) 2023-08-15
CN113898810A (zh) 2022-01-07
MX2021008177A (es) 2022-01-07
DE202020103903U1 (de) 2020-07-13
US11774024B2 (en) 2023-10-03
CN113898810B (zh) 2023-07-14
US20220003347A1 (en) 2022-01-06
EP3936752B1 (de) 2022-10-26
EP3936752A1 (de)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5410A (ko) 두 개의 유체 전달-요소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US11698157B2 (en) Quick connector latch verification utilizing a scannable code
US7722260B2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CN112652916A (zh) 具有连接件位置保证标志的连接件组件
CN111911729A (zh) 带有验证凸耳的快速连接器组件
KR20230156131A (ko) 검증이 있는 퀵 커넥터
US7303437B2 (en)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EP1030411A1 (en) A joint connector
KR102011385B1 (ko) 자동 이차 로크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KR20230133389A (ko) 데이터 매트릭스를 구비한 유체 라인 퀵 커넥터
CN116635661A (zh) 用于快速连接器的代码验证套筒
EP2363926A1 (en) Connector assembling jig
JP2023527370A (ja) 液体媒体又は気体媒体用のパイプを接続するためのプラグコネクタ
US9859650B2 (en) Plug element with locking seal
CN115707895A (zh) 具有检验器的快速连接器
CN114079192A (zh) 具有密封的对称分体式杠杆的连接器组件
US6832937B1 (en) Subassembly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CN219082544U (zh) 流体管线联接装置
US20240162659A1 (en) Lever-type connector
WO2021234606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fluid-conducting elements
US20230108924A1 (en) Fluid line quick connector with retainer and data matrix
CN108119715B (zh) 插接式连接装置以及连接或分离该插接式连接装置的方法
KR20230058515A (ko) 확인 요소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KR20240067881A (ko) 리테이너와 데이터 매트릭스를 가진 유체 라인 퀵 커넥터
CN116685795A (zh) 具有验证的快速连接器和装配检验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