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310A - 세척 및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세척 및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310A
KR20220005310A KR1020200083012A KR20200083012A KR20220005310A KR 20220005310 A KR20220005310 A KR 20220005310A KR 1020200083012 A KR1020200083012 A KR 1020200083012A KR 20200083012 A KR20200083012 A KR 20200083012A KR 20220005310 A KR20220005310 A KR 20220005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negative electrode
cleaning
electrode plat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436B1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102020008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4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1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e.g. electricity, ultrasonics or ultrafiltration
    • A61L12/026Ultras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액이 유출됨이 없이 세척대상물의 세척은 물론 살균소독할 수 있는 세척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해 세척대상물과 세척액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세척공간(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가 구비된 케이스(10); 상기 세척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세척공간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음전극판(20); 상기 세척공간(12)의 내부 하측에 상기 음전극판(2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양전극(30); 상기 양전극(30)과 음전극판(20)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간의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연판(40); 상기 음전극판(20)의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음전극판(20)에 진동을 부여하여 세척액에 잠긴 세척대상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하는 초음파 진동자(50);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12)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6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전극판(20)과 양전극(30) 및 초음파 진동자(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조작스위치(72)가 구비된 PCB기판(71) 및 배터리를 포함한 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세척 및 살균장치{Wash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액의 유출없이 콘택트렌즈나 유아용품 등의 세척대상물의 세척은 물론 살균소독할 수 있는 세척 및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난감이나 젖병과 같은 삶기 힘든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 등은 살균수에 담궈서 환경호르몬을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살균수는 곰팡이균이나 세균을 박멸해 아토피나 피부질환 개선에 도움을 주고 충치예방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력보정을 위해 콘택트렌즈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사용자의 눈에 직접 닿음에 따라 청결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만약 콘택트렌즈에 묻은 불순물이 제대로 세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안구 건조증, 결막염, 각막염, 백내장 등과 같은 안구 질환과 시력 저하 및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 또는 콘택트렌즈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있어 왔다.
종래, 살균수 또는 초음파를 통해 살균세척하는 제품으로서, 살균 모듈이나 초음파 발생기 또는 오존발생기 등을 구비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일 예로서 세척대상물 중 콘택트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0697546호와 제1871984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1998-087837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0697546호와 제1871984호는 세척공간에 양전극과 음전극이 서로 대향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되어 세척과 살균을 함께 할 수 있도록 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0697546호와 제1871984호는 양전극과 음전극이 모두 수직상태로 구비된 상태로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소독하는 구조임에 따라 콘택트렌즈의 세척공간이 그만큼 줄어들 수 밖에 없어 몸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중앙 또는 좌우측에 양전극과 음전극이 구비되는 구조임에 따라 전기분해를 통해 양전극 근처에 산성수를 발생시키더라도 동일공간에 발새오딘 알칼리수와 혼합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전극의 상측공간에 콘택트렌즈가 인입되어 살균소독됨에 따라 순수 산성수가 아닌 약산성이나 중성에 가까운 세척액으로 살균소독됨으로써 살균효율이 그만큼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공개 제1998-087837호는 세척공간과 살균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 전체적인 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자외선을 통한 살균방식임에 따라 단시간내에 살균하는데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0697546호(2007.03.14.,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등록특허공보 제1871984호(2018.06.21., 콘택트렌즈 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공개특허공보 제1998-087837호(1998.12.05.,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세척공간의 하부에 양전극과 음전극판이 구비되어 전기분해를 통해 산화수를 발생시킴으로써 세척대상물(콘택트렌즈, 유아용품, 생활용품 등)이 인입되는 공간 대부분을 산화수로 채워줄 수 있어 세균이나 발테리아 등을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할 수 있는 세척 및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전극판의 하면에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여 음전극판을 진동판을 사용함으로써 세척대상물의 세척 및 살균공간을 최대한 확보해줄 수 있게 되는 세척 및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콘택트렌즈나 유아용품 등을 포함한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해 세척대상물과 세척액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세척공간(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가 구비된 케이스(10); 상기 세척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세척공간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음전극판(20); 상기 세척공간(12)의 내부 하측에 상기 음전극판(2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양전극(30); 상기 양전극(30)과 음전극판(20)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간의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연판(40); 상기 음전극판(20)의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음전극판(20)에 진동을 부여하여 세척액에 잠긴 세척대상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하는 초음파 진동자(50);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12)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6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전극판(20)과 양전극(30) 및 초음파 진동자(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조작스위치(72)가 구비된 PCB기판(71) 및 배터리를 포함한 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세척공간(12)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고정부(13)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1); 상기 상부케이스(11)가 상측을 통해 내측으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테두리부분에 상부케이스 안착턱(15)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고정수단으로 상기 PCB기판(71)을 관통하여 상부케이스(11)의 고정부(13)에 고정하도록 복수위치에 홀이 형성된 고정편(16)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중간케이스(14); 상기 중간케이스(14)가 안착되도록 테두리부분에 중간케이스 안착턱(18)이 형성되고, 선택부분에는 결합수단으로 중간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9)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되고, 상기 음전극판(20)은 PCB기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세척공간(12)의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패킹을 매개로 결속되어 마감되거나 또는 상부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세척액이 누수되지 않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음전극판(20)과 양전극(30)은 티타늄소재에 백금 도금되어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30)은 망체 또는 타공판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판(40)은 음전극판(20)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고, 상기 양전극(30)은 상기 절연판(40)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음전극판(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세척 및 살균장치에 따르면, 양전극과 음전극판의 세척공간의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세척대상물이 인입되는 양전극 상측공간을 대량의 산화수로 채워줄 수 있어 세척대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발테리아 등의 균을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전극판의 하면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됨에 따라 음전극판을 진동판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세척대상물의 세척은 물론 전기분해를 통한 살균소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해줄 수 있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및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공간에 세척대상물로서 콘택트렌즈를 수용시켜 세척 및 살균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척 및 살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 및 살균장치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대상물과 세척액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세척공간(12)이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세척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음전극판(20)과, 음전극판(20)의 상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양전극(30)과, 양전극(30)과 음전극판(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판(40)과, 초음파 진동을 위한 초음파 진동자(50)와, 케이스(1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커버(60)와,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대상물은 콘택트렌즈, 수지재의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은 물론 안경이나 부피가 크지 않은 용품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세척 및 살균장치를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한 경우에는 부피가 큰 용품이라도 용이하게 세척 및 살균소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스(10)는 휴대를 위해 작은 크기, 예로서 손가락 크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세척공간(12)이 형성되어 지며, 타측표면에는 제어부(70)의 PCB기판(71)과 연결되게 조작스위치(72)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공간(12)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케이스(10)의 내측공간과 소통되게 형성되어 지며, 하측 개구부를 상기 음전극판(20)이 폐쇄하면서 세척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공간(12)는 후술되는 상부케이스(11)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부케이스(11)는 중간케이스(14)를 사이에 두고 하부케이스(17)와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1)와 중간케이스(14) 및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되는 것이다.
세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음전극판(20)은 일정 면적의 판체로서, 티타늄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백금도금처리되어 양전극과 함께 전기분해를 통해 세척대상물을 살균소독하게 된다.
이러한 음전극판(20)은 세척공간(12)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세척공간의 바닥면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패킹을 매개로 결속되어 마감되거나 또는 상부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되어져 세척공간에 수용된 세척액이 누수되지 않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전극(30)은 상기 음전극판(2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며, 음전극판과 같이 티타늄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이 백금도금처리되어 있다. 이때 양전극은 세척액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된 된 상태에서 전기분해시 산성수를 대량 발생시켜 주도록 하기 위해 망체나 타공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음전극판(30)은 세척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닌 바닥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양전극(30)은 세척공간의 내측 하부에 음전극판(30)에 대향되게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임에 따라 세척공간을 최대한 확보해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양전극(30)이 세척공간(12)의 내측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양전극의 상측공간에 수용된 세척액은 전기분해시 발생된 산성수로 대부분이 이루어지게 되어 양전극의 상측공간으로 인입되는 세척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되며, 종래의 살균장치에 비해 단시간내에 살균소독할 수 있음은 물론 다량의 산성수로 살균할 수 있어 살균효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연판(40)은 상기 양전극(30)과 음전극판(2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극간의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판체이다.
이때, 절연판(40)은 세척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망체로 형성되거나 타공판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판(4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쇼트방지를 위해 양전극과 음전극판이 무조건적으로 서로 이격되어야 함에 따라 적어도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나, 절연판(40)이 구비된 상태에서는 절연판(40)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상호 이격되지 않게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판(40)의 하면은 음전극판(20)의 상면에 밀착되게 구비하고, 상기 양전극(30)은 상기 절연판(40)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함으로써 음전극판(20)과의 사이에 별도의 공간없이 절연판(40)만이 구비되게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양전극의 상측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하나의 세척공간에서 2개의 세척대상물을 수용시키는 경우라도 충분히 세척 및 살균소독할 수 있게 된다.
초음파 진동자(50)는 상기 음전극판(20)의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음전극판(20)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세척액에 잠겨 있는 세척대상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하게 된다.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됨에 따라 전기분해를 통한 살균은 물론 초음파 진동을 통한 세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커버(6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측 바람직하게는 중간케이스(14)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개폐동작을 통해 상기 세척공간(12)의 상측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공간(12)과 마주보는 커버(60)의 내표면에는 세척공간을 폐쇄한 경우에 세척공간의 상측 개구부 테두리부분에 밀착되면서 세척공간 내부에 담긴 세척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패킹이 구비되어야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음전극판(20)과 양전극(30) 및 초음파 진동자(50)와 전선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의 온오프(ON/OFF)는 물론 조작을 위해 조작스위치(7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조작스위치(72)는 커버(60)을 개방한 경우에만 식별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후술되는 상부케이스(11)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70)는 조작스위치(72)가 구비된 PCB기판(71)과, 이 PCB기판(71)에 전원의 공급을 위해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세척액을 초음파 진동시켜 세척대상물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고, 양전극과 음전극판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분해함으로써 세척액에 잠긴 세척대상물을 살균소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양전극의 상측공간에 존재하는 세척액 대부분이 산성수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세척대상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되며, 종래의 전기분해방식의 살균장치에 비해 효율이 월등하게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공간의 바닥면을 음전극판으로 형성하고, 이 음전극판의 상측에 양전극을 구비함에 따라 세척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해줄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케이스의 크기를 더욱 최소화시켜 줄 수 있어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1)와 중간케이스(14) 및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1)의 일측에 상기 세척공간(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하면 가장자리에는 중간케이스(14)와의 고정을 위해 고정부(13)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케이스(14)는 상기 상부케이스(11)가 상측을 통해 내측으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테두리부분에 상부케이스 안착턱(15)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면에는 상기 PCB기판(71)과 함께 상부케이스(11)의 고정부(13)에 고정하도록 고정편(16)이 복수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16)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편(16)의 홀을 통해 고정수단(예로서, 피스나 볼트)으로 PCB기판을 관통하여 고정부(13)에 고정되어져 PCB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부케이스(11)와 중간케이스(14)를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7)는 상기 중간케이스(14)가 안착되도록 테두리부분에 중간케이스 안착턱(18)이 형성되어 있고, 선택부분에는 결합수단으로 중간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9)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을 통해 결합수단(예로서, 피스나 볼트)으로 중간케이스의 해당부위를 관통하여 상부케이스에 결합시킴으로써 상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서로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는 중간케이스에 별도로 홀이 형성된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부케이스에는 별도로 고정부를 구비하였으며, 볼트로 결합부(19)를 통해 고정편을 통과하여 고정부에 나선결합시켜 케이스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케이스(10)를 구성함으로써 PCB기판을 정확한 위치에 결합시켜 줄 수 있게 되며, 특히 PCB기판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음전극판(20)을 세척공간(12)의 하측 개구부에 정확하게 밀착시키거나 세척공간의 하측에 음전극판이 일체로 설치된 경우에는 음전극판과 PCB기판의 연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케이스 11: 상부케이스
12: 세척공간 13: 고정부
14: 중간케이스 15: 상부케이스 안착턱
16: 고정편 17: 하부케이스
18: 중간케이스 안착턱 19: 결합부
20: 음전극판 30: 양전극
40: 절연판 50: 초음파 진동자
60: 커버 70: 제어부
71: PCB기판 72: 조작스위치

Claims (4)

  1. 세척대상물의 세척을 위해 세척대상물과 세척액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세척공간(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케이스(11)가 구비된 케이스(10);
    상기 세척공간(12)의 바닥면을 이루도록 세척공간의 하측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음전극판(20);
    상기 세척공간(12)의 내부 하측에 상기 음전극판(20)의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평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양전극(30);
    상기 양전극(30)과 음전극판(20)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간의 접촉으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연판(40);
    상기 음전극판(20)의 하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음전극판(20)에 진동을 부여하여 세척액에 잠긴 세척대상물을 초음파 진동으로 세척하는 초음파 진동자(50);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척공간(12)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6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전극판(20)과 양전극(30) 및 초음파 진동자(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고, 조작스위치(72)가 구비된 PCB기판(71) 및 배터리를 포함한 제어부(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및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세척공간(12)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고정부(13)가 형성된 상부케이스(11);
    상기 상부케이스(11)가 상측을 통해 내측으로 끼워져 안착되도록 테두리부분에 상부케이스 안착턱(15)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고정수단으로 상기 PCB기판(71)을 관통하여 상부케이스(11)의 고정부(13)에 고정하도록 복수위치에 홀이 형성된 고정편(16)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중간케이스(14);
    상기 중간케이스(14)가 안착되도록 테두리부분에 중간케이스 안착턱(18)이 형성되고, 선택부분에는 결합수단으로 중간케이스와 상부케이스에 결합되도록 결합부(19)가 형성된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되고,
    상기 음전극판(20)은 PCB기판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세척공간(12)의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패킹을 매개로 결속되어 마감되거나 또는 상부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세척액이 누수되지 않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및 살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판(20)과 양전극(30)은 티타늄소재에 백금 도금되어 구비되고,
    상기 양전극(30)은 망체 또는 타공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및 살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40)은 음전극판(20)의 상면에 하면이 밀착되고, 상기 양전극(30)은 상기 절연판(40)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음전극판(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및 살균장치.
KR1020200083012A 2020-07-06 2020-07-06 세척 및 살균장치 KR10246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012A KR102462436B1 (ko) 2020-07-06 2020-07-06 세척 및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012A KR102462436B1 (ko) 2020-07-06 2020-07-06 세척 및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310A true KR20220005310A (ko) 2022-01-13
KR102462436B1 KR102462436B1 (ko) 2022-11-01

Family

ID=7934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012A KR102462436B1 (ko) 2020-07-06 2020-07-06 세척 및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43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776A (ja) * 1994-02-04 1996-03-26 Asahi Irika Kk コンタクトレンズ消毒器
JPH0954289A (ja) * 1995-08-11 1997-02-25 Oki Ceramic Kogyo Kk 超音波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装置
KR19980087837A (ko) 1998-09-24 1998-12-05 임성묵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
JPH11114036A (ja) * 1997-10-16 1999-04-27 Kenichi Morita 活性酸素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消毒方法及びその消毒器
KR200328403Y1 (ko) * 2003-06-25 2003-09-29 (주)에코에이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2006213932A (ja) * 2004-05-07 2006-08-17 Honda Motor Co Ltd 電解水生成用電極
KR100697546B1 (ko) 2005-05-12 2007-03-22 김칠영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CN102266157A (zh) * 2011-06-23 2011-12-07 胡迎春 便携式多功能眼镜盒
KR101871984B1 (ko) 2016-11-14 2018-06-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콘택트렌즈 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75538B2 (ja) * 2015-12-04 2020-04-01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殺菌装置、及び、殺菌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2776A (ja) * 1994-02-04 1996-03-26 Asahi Irika Kk コンタクトレンズ消毒器
JPH0954289A (ja) * 1995-08-11 1997-02-25 Oki Ceramic Kogyo Kk 超音波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装置
JPH11114036A (ja) * 1997-10-16 1999-04-27 Kenichi Morita 活性酸素を用いたコンタクトレンズの消毒方法及びその消毒器
KR19980087837A (ko) 1998-09-24 1998-12-05 임성묵 콘택트 렌즈의 세척 및 살균장치
KR200328403Y1 (ko) * 2003-06-25 2003-09-29 (주)에코에이드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JP2006213932A (ja) * 2004-05-07 2006-08-17 Honda Motor Co Ltd 電解水生成用電極
KR100697546B1 (ko) 2005-05-12 2007-03-22 김칠영 휴대용 콘택트 렌즈의 세척기
CN102266157A (zh) * 2011-06-23 2011-12-07 胡迎春 便携式多功能眼镜盒
JP6675538B2 (ja) * 2015-12-04 2020-04-01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殺菌装置、及び、殺菌方法
KR101871984B1 (ko) 2016-11-14 2018-06-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콘택트렌즈 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436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416B1 (ko) 초음파 세척기
US8142624B2 (en) Portable contact lens cleans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of contact lens
US6080361A (en) Contact lens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TWM367032U (en) Dual shockwave cleaning machine
KR20110067592A (ko)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KR102462436B1 (ko) 세척 및 살균장치
KR20070098292A (ko) 전해 살균수와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20070053050A (ko) 자외선 살균 식기세척방법
JP6309662B1 (ja) 飲料供給装置
CN209862586U (zh) 一种带旋转功能的隐形眼镜消毒盒
KR100675789B1 (ko) 일회용 기저귀 세탁 장치 및 그 방법
KR200348537Y1 (ko) 콘택트 렌즈 세척 및 살균기
JP2574288B2 (ja) 洗浄殺菌方法
JP3469802B2 (ja) 洗浄機
JPH0832795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装置及びコンタクトレンズ洗浄方法
KR101097047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산화이온 생성장치
JPH11156313A (ja) 食材洗浄装置
JP3821181B2 (ja) 内視鏡洗滌装置による内視鏡洗滌方法
JPH0115011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方法
CN109316620A (zh) 一种隐形眼镜消毒盒
KR101871984B1 (ko) 콘택트렌즈 세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3852200U (zh) 一种用于遗体防腐缝合器械的消毒装置
KR101243107B1 (ko) 전기분해 방식의 초음파 세척기
KR20200145098A (ko) 교구 및 완구용 살균 세척기
JPS63254416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