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486A -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486A
KR20220004486A KR1020200082384A KR20200082384A KR20220004486A KR 20220004486 A KR20220004486 A KR 20220004486A KR 1020200082384 A KR1020200082384 A KR 1020200082384A KR 20200082384 A KR20200082384 A KR 20200082384A KR 20220004486 A KR20220004486 A KR 2022000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parking
vehicle
vehicl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752B1 (ko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엔디 filed Critical (주)제이엔디
Priority to KR102020008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내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수집하고, 주차위치를 판단하는 차량위치 관리서버; 및 차량위치 안내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부터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는 최근 시간에 차량번호가 인식된 차량번호 인식부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판단한다.

Description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차 후에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한다고 하더라도 정작 주차 위치를 찾지 못하여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형의 주차장은 여러 층이면서도 각 층이 넓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시스템들은 복잡하거나, 많은 장비가 필요하거나, 구축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특히, 주차장은 지하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은데, 지하에서는 스마트폰이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지하에서도 주차 차량을 찾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고, 기존 주차장에 간단한 장비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구축 비용이 저렴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에서도 주차 차량을 찾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고, 기존 주차장에 간단한 장비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구축 비용이 저렴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장 진입구가 다양한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주차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내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수집하고, 주차위치를 판단하는 차량위치 관리서버; 및 차량위치 안내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부터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는 최근 시간에 차량번호가 인식된 차량번호 인식부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판단한다.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와 통신하여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위치를 지정하는 표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표지에 대한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의 방위정보 및 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 정보는 건물정보, 층정보, 방위정보 및 거리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지는 주차장과 연결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출입구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지는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바코드 및 QR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은 상기 표지에 의해 사용자의 현위치가 지정되면 스마트폰 내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방위정보 및 거리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주차위치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에서도 주차 차량을 찾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고, 기존 주차장에 간단한 장비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구축 비용이 저렴하며, 주차장 진입구가 다양한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주차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을 간단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을 간단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구현예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주차위치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위치를 안내하는 사용자 스마트폰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 바이 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주차관리 시스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을 간단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내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100); 상기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100)로부터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수집하고, 주차위치를 판단하는 차량위치 관리서버(200); 및 차량위치 안내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부터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스마트폰(300);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최근 시간에 차량번호가 인식된 차량번호 인식부(100)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판단한다.
기존의 주차위치를 관리하는 시스템들은 복잡하거나, 많은 장비가 필요하거나, 공사를 진행해야 하거나, 구축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주차관리 시스템은 기존 주차장에 필요한 수의 차량번호 인식부와 서버만을 추가로 구비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는 주차장의 환경에 맞게 적절한 개수 및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수집하며, 각각의 차량번호 인식부(100)는 설치된 위치에 대한 고유의 데이터가 부여되어 있으며, 상기 고유의 데이터는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100)의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위치를 지정하는 표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 위치의 기준이 되는 표지(400)에 대한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의 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에서 수집된 상기 차량번호 정보는 수집시간,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100)의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와 함께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와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무선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TE, LoRa-L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치 환경에 따라, LoRa-BLE, BLE-WiFi, WiFi 등의 무선통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100)로부터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전송 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주차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차량번호 인식부(100)가 차량번호를 수집한 시간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에 차량번호가 인식된 차량번호 인식부(100)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판단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구현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구현예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주차장의 어느 한 층의 일례로써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은 차량이 통행하는 길 상부(예를 들어 천정, 또는 기둥)에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101 내지 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101 내지 112)는 주차환경이나 설치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통행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정보를 수집시간,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의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와 함께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차량번호 인식부(100)가 차량번호를 수집한 시간을 기준으로 최근 시간에 차량번호가 인식된 차량번호 인식부(100)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판단하며, 이는 후술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주차위치를 확인하고 안내 받을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 위치의 기준이 되는 표지(400)에 대한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의 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를 포함하는데, 상기 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는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주차위치 판단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붉은색 위치에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 마지막 시간으로 주차차량의 번호를 인식한 차량번호 인식부는 도면 부호 101의 차량번호 인식부이고,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차량번호 인식부(101)를 사용자 차량의 주차위치로 판단하며,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101)로부터 전송 받은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를 후술하는 사용자 스마트폰(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곳의 위치에 구비되는 표지(400)를 기준으로 하며(도 5 참조), 상기 표지는 주차장과 연결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출입구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표지는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바코드 및 QR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300)은 차량위치 안내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예를 들어 앱(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로부터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시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 및 관리하여, 사용자가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앱을 실행하여 표지(400)정보를 입력하면, 차량이 주차된 건물, 층 및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앱을 실행한 후 사용자의 현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표지(400)정보를 입력하는데, 상기 표지(400)는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바코드 및 QR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으로 상기 표지(400)정보를 간단하게 표지(400)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주차장 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이 다수로 존재하더라도, 상기 표지(400)정보 입력으로 사용자의 정확한 현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표지(400)는 엘리베이터 내부, 엘리베이터 입구의 버튼부 주위, 에스컬레이터 바닥, 또는 주차장으로 통하는 최종 출입구에 적절히 구비될 수 있고, 이로써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 이동 중 미리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위치정보는 사용자 위치의 기준이 되는 표지(400)에 대한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의 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를 포함하며, 표지(400)로부터 사용자의 주차차량 번호정보를 마지막으로 수집한 차량번호 인식부(100)의 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300)은 상기 방위정보(P) 및 거리정보(D)로부터 스마트폰 내 포함되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방위정보 및 거리정보에 의해 산출되는 주차위치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는 스마트폰 화면에 화살표 등으로 방향을 안내할 수 있고(도 6 참고), 이로써 구체적인 주차장 지도를 맵핑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주차차량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주차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 내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므로, 보통 지하에 구비되는 주차장에서도 오류 없이 신뢰도 높은 정확도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300)은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내에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의 맵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주차위치 방향 안내시 상기 맵을 상기 스마트폰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6 참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을 간단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게이트웨이(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250)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와 통신하여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장의 사용환경, 본 주차관리 시스템의 적용 규모에 따라, 각 주차장에 적절하게 게이트웨이(250)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와 차량위치 관리서버(200)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250)는 건물별로, 또는 층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250)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00)와 BLE, LoRa, WiFi 등의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게이트웨이(250)는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와 LTE, LoRa-L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설치 환경에 따라, LoRa-BLE, BLE-WiFi, WiFi 등의 무선통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주차장에 진입하여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차장 내에서 주차를 위해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100)는 사용자의 차량번호, 시각,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방위정보 P 및 거리정보 D)를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로 실시간으로 무선통신하여 전송한다.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200)는 상기 정보들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의 주차위치를 안내 받으려는 경우, 사용자 스마트폰(3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앱)을 구동하면서 주차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주차장 이동 중 엘리베이터 내부나 버튼부, 에스컬레이터 또는 주차장 진입구에 구비된 표지(400)를 스마트폰(3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표지(400)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앱)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표지(400) 정보가 입력되면, 본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전송받은 건물정보, 층정보 및 방위정보 P 및 거리정보 D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해야할 방향 및 거리를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6 참조)
상기 표지(400)는 모든 주차장 집입구(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출입구) 등에 구비되고, 표지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대형 주차장에서도 본 주차관리 시스템은 정확한 주차위치를 안내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지하에서도 문제 없이 구동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101~112: 차량번호 인식부 200: 차량위치 관리서버
250: 게이트웨이 300: 사용자 스마트폰
400: 표지
P: 방위정보 D: 거리정보

Claims (6)

  1. 주차장 내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
    상기 복수의 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수집하고, 주차위치를 판단하는 차량위치 관리서버; 및
    차량위치 안내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부터 주차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스마트폰;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는 최근 시간에 차량번호가 인식된 차량번호 인식부의 위치를 주차위치로 판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와 통신하여 수집된 차량번호 및 시간 정보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가 설치된 건물정보, 층정보 및 위치정보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상기 차량위치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위치를 지정하는 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표지에 대한 해당 차량번호 인식부의 방위정보 및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 정보는 건물정보, 층정보, 방위정보 및 거리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주차장과 연결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출입구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주차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는 비콘(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바코드 및 QR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KR1020200082384A 2020-07-03 2020-07-03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KR10239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84A KR102390752B1 (ko) 2020-07-03 2020-07-03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384A KR102390752B1 (ko) 2020-07-03 2020-07-03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486A true KR20220004486A (ko) 2022-01-11
KR102390752B1 KR102390752B1 (ko) 2022-04-26

Family

ID=7935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384A KR102390752B1 (ko) 2020-07-03 2020-07-03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279A (ko) 2022-09-19 2024-03-26 엄명용 주차장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40039276A (ko) 2022-09-19 2024-03-26 엄명용 주차장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193A (ko) * 2013-03-15 2014-09-24 (주)나노디지텍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02647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LoRa 통신 기반의 차량번호 인식장치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KR20200004274A (ko) * 2019-12-24 2020-01-13 (주)월드정보기술 주차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193A (ko) * 2013-03-15 2014-09-24 (주)나노디지텍 주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02647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LoRa 통신 기반의 차량번호 인식장치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KR20200004274A (ko) * 2019-12-24 2020-01-13 (주)월드정보기술 주차 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279A (ko) 2022-09-19 2024-03-26 엄명용 주차장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240039276A (ko) 2022-09-19 2024-03-26 엄명용 주차장 위치 안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752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4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objects
US2019020484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obot Relocalization
CN103476694A (zh) 通过移动电子装置进行用户引导
KR102390752B1 (ko)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US20170299400A1 (en)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63626A1 (en) Method for blocking and filtering false automatic elevator calls
KR20170065200A (ko)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8160B1 (ko) 최적 경로 안내 주차 시스템 및 방법
CN111785067B (zh) 一种反向寻车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2990759B (zh) 基于数字孪生的数据处理系统
KR102393619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US20150350838A1 (en) Electronic location information to mobile device
JP2021138535A (ja) ビルシステムの管理装置およびビルシステム
KR100462362B1 (ko) 무선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9006370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21187704A1 (ko) 딥러닝과 rtt신호를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KR102086781B1 (ko) 비콘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0319B1 (ko) 실내 길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6121579B2 (ja) 無線測位サービスシステム、無線測位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で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ファイル配布システム
KR20200070479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차위치 및 복귀경로 제공시스템
CN117109592B (zh) 一种车辆导航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651472B1 (ko) 주차 감지센서 고유 아이디 정보 수신세기와 수신횟수를 이용한 주차확인 시스템 및 주차확인 방법
KR20240045014A (ko) 주차장의 주차 구역을 예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72131B1 (ko) 위치 기반 차량 차단기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