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12A -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 Google Patents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12A
KR20220003412A KR1020200081196A KR20200081196A KR20220003412A KR 20220003412 A KR20220003412 A KR 20220003412A KR 1020200081196 A KR1020200081196 A KR 1020200081196A KR 20200081196 A KR20200081196 A KR 20200081196A KR 20220003412 A KR20220003412 A KR 20220003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oisture absorption
wax
weight
electronic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연
Original Assignee
채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연 filed Critical 채수연
Priority to KR102020008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412A/ko
Publication of KR2022000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자 부품이나 전기전자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Moisture absorbent composition for electronic lighting and Moisture absorbent produc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조명용 부품이나 전자 조명에 사용되는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용도의 각종 전자 조명 및 이의 부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부 전자 조명은 실내 사용으로 제한되나, 다른 일부 전자 조명은 옥외에서 사용되거나 옥외에 근접해서 노출되도록 사용된다. 옥외에서 사용되는 전자 조명의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 등으로 인한 수분의 침투뿐만 아니라 조명장치 내부와 외부 간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발생이 문제되며, 특히 수분이 높은 계절이나 환경에 사용되는 경우 결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이러한 결로는 전자 조명의 부품이나 하우징의 산화와 같은 내구성 저하뿐만 아니라 전자 조명 자체의 기능저하를 유발시킨다. 예를 들어 수분의 침투/온도 차에 의한 결로가 렌즈 내부에 높은 빈도로 발생하게 되는데, 렌즈 내부에 발생한 결로는 목적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지 못하고 광산란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한 가시성 저하의 우려가 매우 높다.
이에 다양한 외부 환경에 대응하여 전자 조명 내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서 각종 전자 조명 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부가 방식 또는 침투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습제와 같은 구성을 부가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 흡습제에 의한 초기 흡습 성능은 높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흡습 성능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흡습이 포화에 이르게 되면 흡습에 따른 습도 제어 성능이 저하되거나 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히, 흡습제를 초기에 수분을 한꺼번에 흡수하도록 흡습성능을 설계 시 성능발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흡습 속도 등 흡습성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장기간 흡습 성능이 발휘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흡습되는 수분량을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 수준에서 제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흡습제의 습도 제어 기능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는 지속적인 흡습 성능을 갖는 흡습제에 대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48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높은 흡습성, 고온에서 내방출성과 지속적인 흡습속도를 가지며, 오랜 흡습성능을 발현할 수 있고, 사용 시 전자 조명 내부 환경의 습도 조절이 최적화된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제1성분,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제2성분, 및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및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3성분을 포함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제1성분 20 ~ 50중량%, 제2성분 20 ~ 50중량% 및 제3성분 5 ~ 30중량%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성분은 염화칼슘, 염화아연,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질산칼슘, 탄산칼슘 및 탄산나트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성분은 산화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아미드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candelilla)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왁스는 흡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젤라틴, 검, 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알콜(PVA),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CMC),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베타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수용성 고분자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성분과 제3성분은 중량 총합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성분과 제3성분은 1.5 ~ 3.5: 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성분은 황산마그네슘이고, 폴리에틸렌인 고분자 왁스 및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성분은 경소 산화마그네슘 및 사소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소 산화마그네슘은 제2성분 내 20 ~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흡습 조성물 및 상기 흡습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재를 포함하는 흡습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습조성물은 높은 흡습성을 발현하면서도 흡습 후 내용물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온의 사용환경에서 흡습된 수분의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흡습속도를 가지면서도 장시간 연장된 흡습성능을 발현할 수 있다. 나아가 흡습 후 체적 팽창을 최소화해 제한된 공간에서의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자 조명 내부 환경의 습도 조절을 최적화 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흡습 조성물은 전자 조명 등의 각종 전자기기의 포장, 운송, 저장 및 사용 시 높은 수분으로 인한 제품 손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흡습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은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제1성분,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제2성분 및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및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3성분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제1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며, 염화칼슘, 염화아연,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질산칼슘, 탄산칼슘 및 탄산나트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2성분 및 제3성분 역시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일정 수준의 수분흡수능이 있는데, 제1성분이 본 발명 흡습 조성물의 흡습성능을 주로 발휘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흡습성능이 있는 다른 종류의 조해성 화합물에 대비해 향상된 흡습성능과 고온에서의 내방출성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성분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20 중량% 미만으로 구비될 경우 충분한 흡습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흡습 조성물의 흡습속도 제어가 어렵고, 초기에 과도하게 흡습하여 액화되는 등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흡습 조성물의 팽창이 과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 흡습제품을 구비 시 흡습제품이 터져 전자기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한편, 제1성분은 하기와 같이 후술하는 제2성분과 반응하여 흡습 조성물의 흡습성능, 안정성, 내방출성에 기여하는데, 이의 반응식은 이하 반응식 1-1 및 반응식 1-2와 같다.
[반응식 1-1]
5MgO +MgCl2 +13H20 → 5Mg(OH)MgCl8H2O
[반응식 1-2]
3MgO +MgCl2 +11H20 → 3Mg(OH)MgCl8H2O
다음으로 상기 제2성분은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며, 산화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성분은 흡습된 조성물을 고형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흡습 후 흡습 조성물이 액상화 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습 조성물의 상 분리, 제1성분의 분리 등을 방지함을 통해 안정성에 기여하고, 흡습성능을 장시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안정성 향상, 팽창률 저감 및 내방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상기 제2성분은 평균입경이 1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의 입경을 갖는 제2성분을 포함하여 흡습성 및 내방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습에 따른 팽창률을 저감하여 흡습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성분은 경소(light burned) 산화마그네슘 및 사소(dead burned)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 또는 연소(soft burned) 산화칼슘 및 사소(dead burned) 산화칼슘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분을 흡수하더라도 매우 저감된 팽창률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사소 산화마그네슘 또는 사소 산화칼슘은 각각의 혼합물인 제2성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로 포함됨이 좋다. 만일 50중량%를 초과하여 구비될 경우 보다 낮아진 팽창률을 달성할 수 있지만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만일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향상된 팽창률 저감 특성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성분은 흡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 5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기간 흡습성능의 지속성을 확보하면서도 동시에 흡습 조성물 내 각 성분 간 혼화성을 향상시키고 분리 현상을 억제하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제3성분은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및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3성분은 제1성분과 제2성분의 혼합물이 수분을 흡수시에 발생할 수 있는 팽창률의 증가를 방지시키면서 흡습성능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보다 향상된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고분자 왁스는 제1성분 및 제2성분의 혼합물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데, 환경조건에 따라서 고분자 왁스로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제3성분은 가혹한 환경조건에서도 흡습 조성물의 안정성을 보다 담보시키는데 매우 유리하다. 상기 제3성분은 상술한 염화마그네슘인 제1성분 및 산화마그네슘인 제2성분과의 상용성 및 상승작용, 내방출성, 팽창률 증가 저감특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황산마그네슘일 수 있다.
상기 제3성분은 흡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일 5 중량% 미만으로 구비 시 제3성분으로 인한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수분 흡수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제3성분의 기능을 황산마그네슘을 예시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 반응식 2-1 내지 2-3과 같이 제2성분인 산화마그네슘과 반응하며, 이를 통해 흡습성능을 상승시키며, 내방출성이 조절되고, 팽창이 저감되는 특성이 발휘될 수 있다.
[반응식 2-1]
5MgO +MgSO4 +8H20 → 5Mg(OH)MgSO3H2O
[반응식 2-2]
3MgO +MgSO4 +11H20 → 3Mg(OH)MgSO8H2O
[반응식 2-3]
MgO +2MgSO4 +4H20 → Mg(OH)2MgSO3H2O
따라서, 상술한 반응식1-1 내지 1-2와, 반응식 2-1 내지 2-3에서 알 수 있듯이, 제2성분과 반응하는 제1성분 및 제3성분의 함량을 더욱 조절하면 수분흡습력과 내방출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수분경화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성분과 제3성분은 중량 총합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 5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45중량% 미만으로 포함 시 수분 흡수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및/또는 흡습에 따른 팽창을 저감시키지 못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만일 60중량%를 초과하여 구비될 경우 흡습에 따른 액상화 우려가 있고, 안정성, 내방출성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성분과 제3성분은 1.5 ~ 3.5: 1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 3.5:1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습성능, 안정성, 내방출성, 흡습에 따른 팽창률 증가 억제 효과들을 동시에 달성하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만일 제3성분 기준 제1성분이 1.5배 미만으로 구비되거나 3.5배를 초과해 구비되는 경우 팽창률 증가 억제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습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중 1종 이상인 고분자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분을 흡습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팽창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습도의 조건에서 습도 제어성능이 우수하여 흡습효과를 장시간 발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분자 왁스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흡습 시 팽창률 증가를 더욱 억제시킬 수 있고, 이로써 흡습제품의 파손 및 내용물 누출 등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흡습 조성물은 상기 제1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고, 상기 제2성분은 산화마그네슘이며, 상기 제3성분은 황산마그네슘이고, 폴리에틸렌인 고분자 왁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모든 효과들을 우수하게 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습 조성물은 흡습성능의 향상을 위해서 폴리비닐알콜(PVA),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CMC) 및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수용성 고분자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일예로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 5 ~ 2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다만,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흡습성능은 향상시키는 대신에 팽창률, 안정성은 더욱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제1성분, 제2성분 및 제3성분 이외에도 고분자 왁스가 포함될 때 함께 사용됨이 바람직하고, 고분자 왁스가 사용되지 않을 때 사용 시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흡습 조성물은 이를 수용하는 포장재에 봉입되어 흡습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수분 투과성이 있는 통기성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흡습제품이 적용되는 제품에 금속이 있는 경우 흡습 조성물로 인한 부식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포장재는 통기성층과 함께 비통기성층이 적층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기성층은 부직포, 종이, 천 등일 수 있으며, 비통기성층은 폴리에틸렌 필름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통기성층은 타이벡, PET 부직포/PE 통기성 필름으로 합지 된 이중층 구조나 PET 부직포/PP 통기성 필름/PET 부직포, PET 부직포/PE 통기성 필름/PET 부직포 또는 PET 부직포/테프론 통기성 필름/PET 부직포인 3중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비통기성층은 일예로 PET/LLDPE 또는 PET/LDPE인 이중층 구조의 합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흡습제품은 포장재 간에 서로 맞닿도록 포장재를 상, 하로 배치시킨 뒤 그 사이에 흡습 조성물이 구비시키고, 포장재의 가장자리는 접합시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포장재는 통기성필름 또는 통기성필름과 비통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기성 필름 간, 또는 통기성 필름과 비통기성 필름 간에 접합되어 흡습 조성물을 봉지시킬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1>
제1성분으로 염화마그네슘(MgCl2)(Aldrich사, 순도 94%) 35중량%, 제2성분으로 입경이 30㎛인 경소 산화마그네슘(light burn) 35중량%, 제3성분으로 황산마그네슘 10중량% 및 고분자 왁스로 폴리에틸렌 왁스(PE wax)(SFC사 LH1200) 20중량%를 혼합기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하기 표 1과 같은 흡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 실시예1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조성 및 함량을 변경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은 흡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 비교예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조성 및 함량을 변경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흡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흡습 조성물을 2장의 160㎜Х 145㎜의 통기성 포장재 사이에 20g 투입한 후, 125℃에서 씰링시켜 흡습제품을 제조하였고,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 흡습률
50℃, 95% 항온항습기에서 흡습제품을 20일 동안 노출하여 흡습률을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식 1]
(20일 동안 노출된 후의 흡습제품 무게 - 최초 흡습제품의 무게)/최초 흡습제품의 무게Х100
2. 안정성
40℃, 90% 항온항습기에서 흡습제품을 20일 동안 노출하여 내용물의 상분리, 누출, 포장지 손상 등의 제품 안정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 내용물의 상분리, 내용물 누출 및 포장지 손상이 전혀 없는 경우로 안정성이 우수한 경우임
△: 내용물의 상분리, 내용물 누출 및 포장지 손상 중 어느 하나가 발생한 경우로 안정성이 보통인 경우임
Х: 내용물의 상분리, 내용물 누출 및 포장지 손상 중 어느 두 개 이상이라도 발생한 경우로 안정성이 불량한 경우임
3. 팽창률
최초 흡습제품의 체적을 기준으로 20일 동안 40℃, 90% 항온항습기에 노출된 후의 체적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4. 수명특성
통기가 일정한 12리터의 용기 내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흡습제품을 넣고, 40℃,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용기 내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내부 상대습도가 60%가 되는 시점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제1성분(종류/
함량(중량%))
MgCl2/35 MgCl2/35 MgCl2/35 MgCl2/35 MgCl2/35 MgCl2/35 MgCl2/35
제2성분(종류/
함량(중량%))
A/35 A/35 B/35 A/17.5 +
B/17.5
A/35 A/35 A/35
제3성분(종류/
함량(중량%))
MgSO4/10 MgSO4/15 MgSO4/15 MgSO4/15 MgSO4/20 MgSO4/15 MgSO4/15
제1성분+제3성분 중량(%) 45 50 50 50 55 50 50
제1성분:제3성분 중량비 3.5:1 2.3:1 2.3:1 2.3:1 1.75:1 2.3:1 2.3:1
고분자왁스(종류/
함량(중량%))
PE wax
/20
PE wax/
15
PE wax
/15
PE wax
/15
PE wax
/10
- -
수용성 고분자(종류/함량(중량%)) - - - - - C/15 CMC/15
흡습율(%) 149 168 171 165 182 187 191
팽창율(%) 90 81 67 74 85 107 110
안정성
수명특성(hrs) 1,121 1,170 1,430 1,542 1,607 1,672 1,728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비교예 2
제1성분(종류/
함량(중량%))
MgCl2/28 MgCl2/40 MgCl2/40 MgCl2/35 MgCl2/35 MgCl2/40 MgCl2/35
제2성분(종류/
함량(중량%))
A/40 A/35 A/30 A/35 A/35 A/40 A/40
제3성분(종류/
함량(중량%))
MgSO4/12 MgSO4/20 MgSO4/25 CaSO4/15 Na2SO4/15 - -
제1성분+제3성분 중량(%) 40 60 65 50 50 40 40
제1성분:제3성분 중량비 2.3:1 2.0:1 1.6:1 2.3:1 2.3:1 - -
고분자왁스(종류/
함량(중량%))
PE wax
/20
PE wax
/5
PE wax
/5
PE wax
/15
PE wax
/15
PE wax
/20
-
수용성 고분자(종류/함량(중량%)) - - - - - - C/20
흡습율(%) 130 189 197 160 170 157 189
팽창율(%) 95 92 110 90 96 112 131
안정성 × ×
수명특성(hrs) 1,005 1,564 1,256 1,090 1,044 912 1,077
표 1 및 표 2에서 A는 입경 30㎛ 경소 산화마그네슘, B는 입경 220㎛ 사소 산화마그네슘, C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의미한다.
표 1 및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제3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에 따른 흡습 조성물은 안정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팽창률이 과다하고 수명특성도 좋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비해 실시예에 따른 흡습조성물은 안정성, 흡습율, 팽창율, 수명특성을 모두 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염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제1성분;
    산화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제2성분; 및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및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3성분;을 포함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은 염화칼슘, 염화아연,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리튬, 질산칼슘, 탄산칼슘 및 탄산나트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산화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아미드 왁스, 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candelilla) 왁스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젤라틴, 검, 메틸셀룰로오즈, 폴리비닐알콜(PVA),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즈(CMC),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베타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및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수용성 고분자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제1성분 20 ~ 50중량%, 제2성분 20 ~ 50중량% 및 제3성분 5 ~ 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왁스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 2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과 제3성분은 중량 총합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 6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흡습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과 제3성분은 1.5 ~ 3.5: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성분은 황산마그네슘이고, 폴리에틸렌인 고분자 왁스 및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경소 산화마그네슘 및 사소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소 산화마그네슘은 제2성분 내 20 ~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조명용 흡습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흡습 조성물; 및
    상기 흡습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재;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0200081196A 2020-07-01 2020-07-01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20220003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96A KR20220003412A (ko) 2020-07-01 2020-07-01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96A KR20220003412A (ko) 2020-07-01 2020-07-01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12A true KR20220003412A (ko) 2022-01-10

Family

ID=7934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196A KR20220003412A (ko) 2020-07-01 2020-07-01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4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89A (ko) 2001-10-29 2003-05-09 이경민 밀폐형 유기el소자용 제습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889A (ko) 2001-10-29 2003-05-09 이경민 밀폐형 유기el소자용 제습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98B1 (ko) 자동차 램프용 내방출성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0537149B1 (ko) 흡습성 성형체
US5391322A (en) Method for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a vapor-corrosion inhibitor
US7625638B2 (en) Hygroscopic molding
KR20190047171A (ko) 천연성분인 약알칼리성 벤토나이트 점토를 성분으로 하는 친환경 흡습제
KR20200131427A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자동차 램프용 복합흡습제품
EP2993040A1 (en) Outer cover material for vacuum insulator and high-performance vacuum insulator comprising same
JP6558893B2 (ja) 硫化物系ガス吸着用積層体
KR102214262B1 (ko) 장기 내구성이 양호한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2265964B1 (ko) 흡습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산업용 흡습제
KR102413339B1 (ko) 내구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고성능 흡습제
JP6738939B1 (ja) 長期耐久性が良好な自動車ランプ用吸湿パック
JP6327909B2 (ja) 硫化物系ガス吸着用樹脂組成物
KR20220003412A (ko) 전자 조명용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GB2599268A (en) Heat storage material composition, and heat storage system for heating and cooling building
JP5376328B2 (ja) 吸湿性積層体
KR102629439B1 (ko) 친환경 보냉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보냉 팩
KR102395436B1 (ko) 산 스캐빈저를 이용한 전기차 배터리 포장용 기능성 흡습제
KR102340389B1 (ko)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KR102286558B1 (ko) 고성능 흡습제
KR102545682B1 (ko) 방청 및 방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청 및 방습 제품
KR102569555B1 (ko) 고흡수성 산업용 흡습제 조성물
KR20210152080A (ko) 흡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JP2020082624A (ja) ガス吸収フィルム
KR102298020B1 (ko) 용출 안정성이 개선된 자동차 램프용 흡습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흡습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