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07A -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07A
KR20220003407A KR1020200081182A KR20200081182A KR20220003407A KR 20220003407 A KR20220003407 A KR 20220003407A KR 1020200081182 A KR1020200081182 A KR 1020200081182A KR 20200081182 A KR20200081182 A KR 20200081182A KR 20220003407 A KR20220003407 A KR 2022000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viewing angle
blocking member
disposed
limi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련
한재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407A/ko
Priority to US17/353,566 priority patent/US12099215B2/en
Publication of KR2022000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09Diffraction gratings with pitch less than or comparable to the wave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 부재, 및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고 제1 광학 부재와 마주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 각각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으로부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 각각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광차단부재가 상하로 길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제조를 쉽게 할 수 있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VIEWING ANGLE LIMI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시야각을 제한하기 위한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마이크로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넓은 시야각을 갖도록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경우 오히려 제품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좁은 시야각을 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의 입출금장치(ATM)의 경우,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될 때 주위의 다른 사람이 개인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좁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경우, 야간 운행시 차량의 전면 유리창(Wind Shield)에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나 휴대폰의 경우, 사용자가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넓은 것이 오히려 사용자의 요구와 상반된다.
따라서, 요구되는 상황에 적합하게 시야각을 제한하는 시야각 제한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은 시야각을 제한하기 위한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는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 부재, 및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고 제1 광학 부재와 마주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 각각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으로부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는 제1 베이스 필름, 제1 베이스 필름과 마주하는 제2 베이스 필름,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층,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2 광학층, 및 제1 광학층과 제2 광학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포함하고, 하측 광차단부재들은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패널에 결합된 시야각 제한 패널을 포함하며, 시야각 제한 패널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 부재, 및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고 제1 광학 부재와 마주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 각각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으로부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몇몇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패널에 결합된 시야각 제한 패널을 포함하며, 시야각 제한 패널은 제1 베이스 필름, 제1 베이스 필름과 마주하는 제2 베이스 필름,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층,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2 광학층, 및 제1 광학층과 제2 광학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포함하고, 하측 광차단부재들은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광 차단 부재가 상하로 이격되어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하로 이격된 광 차단 부재 각각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광 차단 부재가 상하로 길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제조를 쉽게 할 수 있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c는 도 4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c는 도 5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c는 도 6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c는 도 7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광학 부재(10), 및 제2 광학 부재(20)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는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학 부재(20)는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발광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마이크로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이 출사되는 쪽에 결합(또는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이 일정 각도 범위 내로만 출사되도록 하고 상기 일정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광은 차폐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광 흡수 물질로 구비되어 영상 광과 같은 외부 광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영상 광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광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으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다른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 각각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 각각으로부터 제1 광학 부재(1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부재(10)의 두께 방향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일 수 있다. X축 방향은 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제1 광학 부재(10)의 폭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상기 제1 광학 부재(10)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상기 제2 광학 부재(20)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Z축 방향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부재(10)의 폭 방향은 제1 축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1 광학 부재(10)의 두께 방향은 제2 축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제1 간격(G1, 도 3에 도시됨)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을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시킨 이유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을 제1 높이(H1, 도 2에 도시됨)(또는 제1 길이)로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광차단부재를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제1 높이(H1)보다 길게 구비하는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일반적인 경우에는 바이트(bite)가 구비된 금형으로 몰드를 임프린팅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 패턴에 광 흡수물질을 채워서 광차단부재를 제조한다. 그런데, 광차단부재의 길이를 길게 하려면 바이트의 깊이가 깊은 금형으로 몰드를 임프린팅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몰드가 금형에 부착되어 패턴이 무너지는 등 패턴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일반적인 광차단부재에 비해 길이가 짧은 제1 높이(H1)로 광차단부재를 형성한 후 이러한 광차단부재를 상하로 이격시켜 배치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광차단부재의 길이를 길게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적인 경우에 비해 불량률을 낮추면서도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아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IL)의 일부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학 부재(10)에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사이를 통해 입사된 영상 광 중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측면 또는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측면으로 광 경로가 형성된 광은 하측 광차단부재(131) 또는 상측 광차단부재(231)에 의해 차단되어 제2 광학 부재(2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지 못한다.
이에 반해, 제1 광학 부재(10)에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사이를 통해 입사된 영상 광 중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측면 또는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측면으로 광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 광은 제2 광학 부재(2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사되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로 입사된 영상 광 중 제1 광학 부재(10)가 갖는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 도 2에 도시됨)에 대해 제1 각도(IAθ)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일부는 하측 광차단부재(131) 또는 상측 광차단부재(231)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때, 제2 광학 부재(20)에서 외부로 출사되는 영상 광(IL)은 제2 광학 부재(20)가 갖는 제2 베이스 필름(210)과 외부에 위치된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기준선(RL)에 대해 제2 각도(GAθ)로 출사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선(RL)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의 정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축방향(Y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높이(H1)를 갖는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과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을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되,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 또는 교차 배치함으로써, 제1 각도(IAθ)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일부를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IAθ)는 예를 들어 약 74°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의 제1 광학 부재(10)와 제2 광학 부재(20) 각각이 갖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에 따른 제1 광학 부재(10)는 제1 베이스 필름(110) 및 제1 광학층(130)을 가질 수 있고, 제1 광학층(130)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 제1 삽입홈(132), 및 제1 광학 패턴(133)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광학 부재(20)는 제2 베이스 필름(210) 및 제2 광학층(230)을 가질 수 있고, 제2 광학층(230)은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 제2 삽입홈(232), 및 제2 광학 패턴(23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서 가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표시 장치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이 표시 장치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투명 접착제 등을 통해 표시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 상에는 제1 광학층(130), 중간층(30), 제2 광학층(230), 및 제2 베이스 필름(210)이 제2 방향(Y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표시 장치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1 광학층(130), 중간층(30), 제2 광학층(230), 및 제2 베이스 필름(2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표시 장치에서 광이 출사되는 부분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등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그 두께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표시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110)은 아크릴계 수지물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광학층(130)은 제1 베이스 필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층(130)은 제1 베이스 필름(110)을 통해 입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층(130)은 하측 광차단부재(131), 제1 삽입홈(132), 및 제1 광학 패턴(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광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금속 물질, 금속 산화물질 혹은 질화 물질과 같은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Carbon), 질화 실리콘(SiN), 질화 티타늄(TiN), 탄화 실리콘(SiC), 탄탈륨(Ta), 티타늄(Ti), 텅스텐(W), 산화 구리(CuO),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철(Fe3O4) 그리고 산화 탄탈륨(Ta2O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광 흡수성이 우수한 유기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복수개가 제1 베이스 필름(110)과 제2 베이스 필름(210)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제1 베이스 필름(110) 상에서 제1 축방향(X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축방향(X축방향)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에 차폐되지 않으면서 경사지게 입사된 영상 광(IL)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를 통과해서 외부로 출사될 수 있고,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에 차폐된 영상 광은 외부로 출사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의 일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차량의 계기판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의 계기판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이 윈드쉴드 쪽으로 출사되지 않고 운전자 쪽으로만 출사되도록 영상 광을 제한할 수 있다. 차량의 계기판 영상이 윈드쉴드 쪽으로 출사되면 소위 말하는 창비침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축방향(X축방향)은 운전자와 윈드쉴드가 배치된 방향일 수 있고, 운전자가 위치된 쪽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이고, 윈드쉴드가 위치된 쪽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 도 2에 도시됨)에 대해 제1 각도(IAθ) 즉, 74°정도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일부는 하측 광차단부재(131) 또는 상측 광차단부재(231)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출사되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에 위치된 운전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운전자와 윈드쉴드 사이에 배치되어서 윈드쉴드 쪽으로 영상 광이 출사되는 것을 제한하여 창비침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각도(IAθ)를 약 74°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각도(IAθ)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제1 축방향(X축방향)을 따라 제1 피치(P1)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이 이격되게 배치되어야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사이로 광이 입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피치(P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갖는 제1 높이(H1)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각 즉, 제1 각도(IAθ)가 약 74°일 경우, 제1 피치(P1) 대비 제1 높이(H1)의 비율은 1:1.5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높이(H1)가 높으면 제1 피치(P1)가 증가될 수 있고, 제1 높이(H1)가 낮으면 제1 피치(P1)가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1 높이(H1)는 50㎛ 이상 75㎛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1 높이(H1)가 50㎛ 미만이면, 높이가 너무 낮아서 광 차폐효과가 떨어지고,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1 높이(H1)가 75㎛ 를 초과하면, 높이가 너무 높아서 제조 공정이 어렵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1 높이(H1)가 50㎛ 이상 75㎛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광 차폐효과의 저하없이 용이하게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폭(W1)은 500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폭(W1)이 500nm 미만이면, 영상 광에 대한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광 차폐효과가 떨어지고,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폭(W1)이 1000 nm를 초과하면, 개구율을 감소시켜서 영상 광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폭(W1)이 500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개구율 감소를 방지하면서 광 차폐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바이트가 구비된 금형틀로 몰드를 임프린팅하여 패턴이 형성된 후, 편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광차단부재의 경우 임프린팅 패턴에 광차단부재를 이루는 물질을 채움으로써 형성하는 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임프린팅 패턴에 편증착 공정을 통해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광차단부재에 비해 폭이 얇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1 광학 부재(10)를 제조한 후, 제조된 제1 광학 부재(10)를 복수개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제1 광학 부재(10)들 중 2개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2개의 제1 광학 부재(10) 각각의 제1 광학 패턴(133)이 접착제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광학 부재(10)와 제2 광학 부재(20)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를 더 간소화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삽입홈(132)은 제1 광학층(130)에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바이트가 구비된 금형틀로 몰드를 임프린팅하여 패턴과 홈이 형성된 후 홈에 편증착을 통해 형성되는데, 여기서 바이트에 의해 형성된 홈 중 일부가 제1 삽입홈(132)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은 제1 광학 패턴(133)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삽입홈(132)은 제1 광학 패턴(133)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의 상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하측 광차단부재(131)를 이루는 물질이 상기 홈을 향해 분사되어 제1 광학 패턴(133)의 일측에 편증착됨으로써,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은 상기 홈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배치된 홈의 빈 공간에 제1 광학 패턴(133)을 이루는 물질을 채움으로써, 최종적으로 제1 삽입홈(132)에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학 패턴(133)을 이루는 물질은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상면을 덮을 때까지 도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제1 광학 패턴(133)의 내부에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은 제1 삽입홈(132)들 각각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폭(W1)이 제1 삽입홈(132)들 각각의 폭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폭(W1)은 500 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되기 때문에, 제1 삽입홈(132)들 각각의 폭은 500 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패턴(133)은 제1 광학층(13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틀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패턴(133)은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중간층(30)을 이격시키면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학 패턴(133)은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상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학 패턴(133)은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상면과 측면들에 접촉되게 형성됨으로써,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광학 패턴(133)은 표시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광학 패턴(133)은 아크릴계 수지물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간층(30)은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30)은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중간층(30)은 제1 광학층(130)의 상면과 제2 광학층(23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학층(130)의 상면은 도 2를 기준으로 제1 광학 패턴(133)에서 상측에 위치된 일면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2 광학층(230)의 상면은 제1 광학 패턴(133)의 일면과 마주보게 배치된 제2 광학 패턴(133)의 일면일 수 있다. 따라서,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상면과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상면은 중간층(3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중간층(30)은 OC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을 결합시킬 수 있으면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상기 중간층(30)은 제1 베이스 필름(110)과 제1 광학층(130)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중간층(30)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중간층(30)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을 결합시키는 결합력이 약해지고, 중간층(30)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이 너무 많이 이격되어서 영상 광의 차폐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중간층(30)의 두께가 10㎛ 이상 100㎛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제1 광학층(130)과 제2 광학층(23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면서 광 차폐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간층(30) 상에는 제2 광학 부재(20)의 제2 광학층(230)과 제2 베이스 필름(21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부재(1)에 있어서, 제2 광학부재(20)는 제1 광학 부재(10)가 제조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광학층(230)이 갖는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 제2 삽입홈(232), 및 제2 광학 패턴(233) 각각은 제1 광학층(130)이 갖는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 제1 삽입홈(132), 및 제1 광학 패턴(133) 각각과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상측 차단부재(231) 각각은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광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금속 물질, 금속 산화물질 혹은 질화 물질과 같은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본(Carbon), 질화 실리콘(SiN), 질화 티타늄(TiN), 탄화 실리콘(SiC), 탄탈륨(Ta), 티타늄(Ti), 텅스텐(W), 산화 구리(CuO),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철(Fe3O4) 그리고 산화 탄탈륨(Ta2O5)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광 흡수성이 우수한 유기 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복수개가 제1 베이스 필름(110)과 제2 베이스 필름(210)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제2 베이스 필름(210) 상에서 제1 축방향(X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베이스 필름(210) 상은 도 2를 기준으로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와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중간층(30)과 제2 베이스 필름(210)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보다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광차단부재(131)에 의해 차폐(또는 흡수)되지 않고 출사되는 영상 광(IL)들 중 일부를 차폐(또는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에 차폐되지 않은 영상 광(IL)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를 통과해서 외부로 출사될 수 있고,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에 차폐된 영상 광은 외부로 출사될 수 없다. 그러므로,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약 74°정도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일부는 하측 광차단부재(131)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외부로 출사되어 제1 축방향(X축방향)에 위치된 운전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운전자와 윈드쉴드 사이에 배치되어서 윈드쉴드 쪽으로 영상 광이 출사되는 것을 부분적으로 제한하여 창비침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제1 축방향(X축방향)을 따라 제2 피치(P2)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이 이격되게 배치되어야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에 차폐되지 않은 영상 광들이 제2 광학층(230)으로 입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피치(P2)는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갖는 제2 높이(H2)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광학층(230)은 제1 광학층(130)과 동일한 제조공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2 피치(P2) 대비 제2 높이(H2)의 비율은 1:1.5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높이(H2)가 높으면 피치가 증가될 수 있고, 제2 높이(H2)가 낮으면 제2 피치(P2)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제2 높이(H2)는 50㎛ 이상 75㎛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광 차폐효과의 저하없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폭(W2)은 500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폭(W2)이 500nm 미만이면, 영상 광에 대한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광 차폐효과가 떨어지고,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폭(W2)이 1000 nm를 초과하면, 개구율을 감소시켜서 영상 광의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폭(W2)이 500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됨으로써, 개구율 감소를 방지하면서 광 차폐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임프린팅 방식, 편증착, 및 도포공정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광차단부재에 비해 폭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바이트가 구비된 금형틀로 몰드를 임프린팅하여 패턴과 홈이 형성된 후 홈에 위치하도록 패턴의 일측에 편증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트에 의해 형성된 홈 중 일부가 제2 삽입홈(232)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은 제2 광학 패턴(233)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 삽입홈(232)은 제2 광학 패턴(233)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홈의 상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상측 광차단부재(231)를 이루는 물질이 사익 홈을 향해 분사되어 제2 광학 패턴(233)의 일측에 편증착됨으로써,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은 상기 홈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배치된 홈의 빈 공간에 제2 광학 패턴(233)을 이루는 물질을 채움으로써, 최종적으로 제2 삽입홈(232)에 배치된 상측 광차단부재(2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광학 패턴(233)을 이루는 물질은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상면을 덮을 때까지 도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제2 광학 패턴(233)의 내부에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은 제2 삽입홈(232)들 각각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폭(W2)은 제2 삽입홈(232)들 각각의 폭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폭(W2)은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같이 500 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되기 때문에, 제2 삽입홈(232)들 각각의 폭은 500 nm 이상 1000 nm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 패턴(233)은 제2 광학층(23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틀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학 패턴(233)은 상측 광차단부재(231)들과 중간층(30)을 이격시키면서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광학 패턴(233)은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상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학 패턴(233)은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상면과 측면들에 접촉되게 형성됨으로써,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광학 패턴(233)은 표시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광학 패턴(133)은 아크릴계 수지물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서 가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표시 장치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이 영상 광(IL)이 최종적으로 출사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베이스 필름(210)의 상면(210a)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과 대향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은 표시 장치에서 광이 출사되는 부분의 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등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그 두께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은 표시 장치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은 아크릴계 수지물질,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은 외부 즉, 공기와 접촉하기 때문에 굴절률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베이스 필름(210)의 굴절률은 1.4일 수 있고, 공기의 굴절률인 1보다 크기때문에 제2 베이스 필름(210)으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IL)은 제2 베이스 필름(210)과 공기의 경계 부분에서 제2 각도(GAθ)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GAθ)는 기준선(RL)에 대한 영상 광(IL)의 출사 각도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각도(GAθ)는 약 30°이하일 수 있다.
종합해 보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일반적인 광차단부재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상측 광차단부재(231)들과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을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되,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 또는 교차 배치함으로써, 제1 각도(IAθ)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일부를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부분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c는 도 4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c는 도 5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c는 도 6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는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광 경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7c는 도 7a의 개략적인 광 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과 엇갈리게(또는 교차되게) 배치되는 정도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되어 제조됨으로써, 영상에 대한 창비침 및 사용자의 시야각을 변경할 수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는 제1 베이스 필름(1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131) 중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는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상기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는 제2 베이스 필름(2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231)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상측 광차단부재(231)일 수 있다.
제1 하측 광차단부재(131a)는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제1 각도(DLSθ1)로 배치되고, 제1 상측 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 광차단부재(231b) 각각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제2 각도(ULSθ1)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각도(DLSθ1)와 제2 각도(ULSθ1)는 각각 90°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측 광차단부재(131a), 제1 상측 광차단부재(231a), 및 제2 상측 광차단부재(231b)는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제2 축방향(Y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는 도 4a와 같이,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일단과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변(S1),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일단과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변(S2), 및 상기 제1 변(S1)과 상기 제2 변(S2)을 연결하는 제3 변(S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변(S1), 제2 변(S2), 및 제3 변(S3)은 광 프로파일 세팅을 위하여 가상으로 설정된 변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1 실시예로, 제1 변(S1)의 길이와 제2 변(S2)의 길이가 동일하고, 제1 변(S1)의 길이는 제3 변(S3)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게 구비된 것이다.
한편, 도 4a에서는 제1 하측 광차단부재(131a)의 일단과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의 일단이 제1 간격(G1)으로 이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 간격(G1)은 중간층(30)의 두께보다 조금 더 긴 길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측 광차단부재(131a)의 일단은 중간층(30)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1 하측 광차단부재(131a)의 일측 끝단일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 광차단부재(231a)의 일단은 중간층(30)과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1 상측 광차단부재(231a)의 타측 끝단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변(S1)과 제2 변(S2)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는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 사이의 정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로부터 이격된 제1 거리(D1, 도 4a에 도시됨)와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로부터 이격된 제2 거리(D2, 도 4a에 도시됨)는 동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좌측에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1 영상 광(IL1)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의 상측을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의 상측에는 제2 베이스 필름(210)이 배치되어 있고, 제2 베이스 필름(210)과 외부 공기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제1 영상 광(IL1)은 기준선(RL)에 대해 제1 출사각도(IL1θ1)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좌측에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제1 영상 광(IL1)은 제1 축방향(X축방향)에서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반면,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우측에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제2 영상 광(IL2)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의 상측을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의 상측에 배치된 제2 베이스 필름(210)과 외부 공기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제2 영상 광(IL2)은 기준선(RL)에 대해 제2 출사각도(IL2θ1)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우측에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제2 영상 광(IL2)은 제1 축방향(X축방향)에서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서 입사된 영상 광(IL) 중 제1 영상 광(IL1)과 제2 영상 광(IL2)은 각각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과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굴절되어 출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도 4a와 같이 구현될 경우, 도 4b에 따른 광 경로로 인해 도 4c와 같은 광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4c에서 가로축 방향은 도 4b의 제2 축방향(Y축방향)일 수 있고, 세로축 방향은 도 4b의 제1 축방향(X축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원의 중심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선을 기준선(RL)이라 할 때, 기준선(RL)의 상측 방향은 도 4b의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이고, 기준선(RL)의 하측 방향은 도 4b의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일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세로 방향보다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타원의 광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2 축방향(Y축방향)보다 제1 축방향(X축방향)의 시야각을 더 제한하기 때문이다. 이는, 도 5a 내지 도 7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원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광의 휘도(또는 광의 세기)가 저하될 수 있다.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타원의 외곽은 영상 광(IL)이 전혀 도달하지 않는 영역으로 휘도가 0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상 광(IL1)은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출사각도(IL1θ1)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도 4c와 같이, 영상 광(IL)이 도달하는 타원 중 아래쪽은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약 -10까지 출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상 광(IL2)은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1)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도 4c와 같이, 영상 광(IL)이 도달하는 타원 중 위쪽은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약 +10까지 출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사각도(IL1θ1)와 제2 출사각도(IL2θ1)는 동일할 수 있으며, 30°이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도 4a와 같이 구현될 경우, 도 4c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약 10정도까지 광 프로파일이 형성될 수 있고, 상하방향 각각으로 10을 초과하는 영역에는 영상 광(IL)이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서 영상 광(IL)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도 4a와 같이 구현될 경우, 기준선(RL)을 기준으로 광 프로파일은 대칭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 사이의 정가운데에 배치됨으로써, 제1 변(S1)과 제2 변(S2)의 길이가 동일하게 구비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윈드쉴드에 비치는 창비침과 영상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각 범위는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다.
다음,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2 실시예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일단과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의 일단이 제1 간격(G1)보다 큰 제2 간격(G2)으로 이격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가 제1 간격(G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제1 영상 광(IL1)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출사각도(IL1θ1)로 굴절되어 출사되고, 제2 영상 광(IL2)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1)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기준선(RL)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각각으로 약 10정도의 광 프로파일을 가져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영상 광(IL)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5a의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가 제1 간격(G1)보다 큰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5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변(S1)의 길이와 제2 변(S2)의 길이가 동일하고, 제1 변(S1)의 길이 또는 제2 변(S2)의 길이는 제3 변(S3)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제1 영상 광(IL1)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출사각도(IL1θ2)로 굴절되어 출사되고, 제2 영상 광(IL2)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2)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도 5c와 같이 기준선(RL)을 기준으로 상하방향 각각으로 약 20정도의 더 넓은 광 프로파일을 가져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영상 광(IL)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좀 더 완화시키면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사각도(IL1θ2)와 제2 출사각도(IL2θ2)는 동일할 수 있으며, 30°이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가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이 클수록 상하방향으로 더 큰 광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므로, 영상 광(IL)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좀 더 완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창비침과 영상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각 범위는 도 4a의 경우보다 완화될 수 있다.
다음,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3 실시예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보다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에 더 가깝게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a) 사이의 정가운데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 및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 각각으로 약 10정도의 대칭되는 광 프로파일을 가져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영상 광(IL)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6a의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보다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로부터 이격된 제1 거리(D1)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로부터 이격된 제2 거리(D2)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변(S1)의 길이와 제2 변(S2)의 길이가 상이하되, 제2 변(S2)의 길이는 제1 변(S1)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고, 제3 변(S3)의 길이는 제2 변(S2)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6b와 같이 제1 영상 광(IL1)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출사각도(IL1θ3)로 굴절되어 출사되고, 제2 영상 광(IL2)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3)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도 6c와 같이 기준선(RL)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약 +10, 및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약 -20정도의 비대칭 광 프로파일을 가져서, 영상 광(IL)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창비침은 도 4a와 같이 제한되면서 영상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각 범위는 도 4a보다 완화되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사각도(IL1θ3)는 상기 제2 출사각도(IL2θ3)보다 크고, 상기 제1 출사각도(IL1θ3)와 제2 출사각도(IL2θ3)는 각각 30°이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 사이의 정가운데 위치되지 않고,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보다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에 더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IL1)의 제1 출사각도(IL1θ3)를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IL2)의 제2 출사각도(IL2θ3)보다 크게 하여서 기준선(RL)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보다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의 시야각을 더 제한하면서,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의 시야각은 도 4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다음,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있어서,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4 실시예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의 일단과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의 일단이 제1 간격(G1)보다 큰 제2 간격(G2)으로 이격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가 제1 간격(G1)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제1 영상 광(IL1)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3)보다 큰 제1 출사각도(IL1θ3)로 굴절되어 출사되고, 제2 영상 광(IL2)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3)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기준선(RL)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약 +10정도의 광 프로파일과,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약 -20정도의 광 프로파일을 가져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창비침보다 영상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각 범위가 더 완화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7a의 하측 광차단부재와 상측 광차단부재의 배치위치에 관한 제4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가 제1 간격(G1)보다 큰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7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변(S1)의 길이와 제2 변(S2)의 길이가 상이하되, 제2 변(S2)의 길이는 제3 변(S3)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되고, 제2 변(S2)의 길이는 제1 변(S1)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7b와 같이 제1 영상 광(IL1)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제1 출사각도(IL1θ4)로 굴절되어 출사되고, 제2 영상 광(IL2)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제2 출사각도(IL2θ4)로 굴절되어 출사되기 때문에, 도 7c와 같이 기준선(RL)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약 +20, 및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약 -30정도의 광 프로파일을 가져서,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보다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더 넓은 비대칭 광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출사각도(IL1θ4)는 상기 제2 출사각도(IL2θ4)보다 크고, 상기 제1 출사각도(IL1θ4)와 제2 출사각도(IL2θ4)는 각각 30°이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 사이의 정가운데 위치되지 않고,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보다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가 제2 축방향(Y축방향)으로 제1 간격(G1)보다 큰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도 6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더 큰 광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축방향(X축방향)으로 창비침과 영상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각 범위가 더 완화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7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서는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1 상측광차단부재(231a)로부터 이격된 제1 거리(D1)가 제1 하측광차단부재(131a)가 제2 상측광차단부재(231b)로부터 이격된 제2 거리(D2)보다 짧게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거리(D1)가 제2 거리(D2)보다 길게 구비되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보다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의 시야각을 더 제한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제2 축방향(Y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은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1 각도(DLSθ2),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2 각도(ULSθ2)는 각각 90°이다. 즉,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은 제2 축방향(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에 대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엇갈리는 정도에 따라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과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 중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8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제2 축방향(Y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측 광차단부재(231) 각각은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1 각도(DLSθ2),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2 각도(ULSθ2)는 각각 90°미만으로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a와 같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일측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타측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시야각 범위를 더 완화시킬 수 있는 반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시야각 범위를 더 제한할 수 있다.
도 8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1 각도(DLSθ2),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2 각도(ULSθ2)가 각각 90°를 초과하며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b와 같이,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일측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타측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기 때문에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시야각 범위를 더 완화시킬 수 있는 반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시야각 범위를 더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이 제1 피치(P1)로 이격되어도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축방향(Y축 방향)으로 일렬로 위치된 정면 사용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132)들 각각의 폭만큼만 간섭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폭(W1)은 1000 nm 이하이고, 상측 광차단부재(132)들 각각의 폭(W2) 역시 1000 nm 이하이기 때문에, 정면 사용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측 광차단부재(132)들에 거의 간섭되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8a 및 도 8b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정면 사용자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에 의해 영상 광이 일부 차폐됨으로써, 시야각이 제한된 영상을 볼 수 있다. 즉, 도 8a 및 도 8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일측과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타측 사이에 형성된 제3 피치(P3)가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좁다. 따라서, 정면 사용자는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시야각이 좁은 영상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 또는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 및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시야각 범위를 더 완화시키면서 다른 한쪽의 시야각 범위를 더 제한할 수 있고, 정면 사용자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로 인해 영상 광이 일부 차폐됨으로써,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시야각이 더 제한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각이 약 74°일 경우, 제1 피치(P1) 대비 제1 높이(H1)의 비율은 1:1.5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상기 제1 피치(P1)보다 좁은 제3 피치(P3)로 구비되기 때문에,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3 높이(H3)가 상기 제1 높이(H1)더 낮게 구비됨으로써, 1:1.5의 비율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H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길이일 수 있으나, 상기 제3 높이(H3)는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일측 끝단까지의 길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것이므로, 이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배치되는 제1 삽입홈(132)들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배치되는 제2 삽입홈(232)들 각각이 제1 삽입홈(132)들 각각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므로, 이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배치되는 제1 삽입홈(132)들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배치되는 제2 삽입홈(232)들 각각이 제1 삽입홈(132)들 각각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 또는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 및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시야각 범위를 더 완화시키면서 다른 한쪽의 시야각 범위를 더 제한할 수 있고, 정면 사용자는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로 인해 영상 광이 일부 차폐됨으로써,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시야각이 더 제한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9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제2 축방향(Y축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측 광차단부재(231) 각각은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들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1 각도(DLSθ3)는 90°미만이고,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2 각도(ULSθ3)는 90°를 초과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일측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타측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고,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고,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 및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시야각을 더 제한할 수 있어서 극단적인 시야각 범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9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1 각도(DLSθ3)가 90°를 초과하고,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이루는 제2 각도(ULSθ3)는 90°미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의 일측이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의 타측 사이에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고, 하측 광차단부재(131)들은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고, 상측 광차단부재(231)들은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하측 방향(D 화살표 방향) 및 상측 방향(U 화살표 방향)으로 시야각을 더 제한할 수 있어서 극단적인 시야각 범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정면 사용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일측과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타측 사이에 형성된 제3 피치(P3)를 통해 도 2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보다 시야각이 제한된 영상을 볼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9a 및 도 9b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의 경우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정면 사용자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일측과 상측 광차단부재(231)의 일측 사이에 제3 피치(P3)보다 좁게 형성된 제4 피치(P4)를 통해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보다 시야각이 더 제한된 영상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에 비해 시야각 범위를 더 제한할 수 있고, 정면 사용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131)와 상측 광차단부재(231)로 인해 도 8a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보다 영상 광이 더 많이 차폐됨으로써, 시야각이 극단적으로 제한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야각이 약 74°일 경우, 제1 피치(P1) 대비 제1 높이(H1)의 비율은 1:1.5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상기 제3 피치(P3)보다 좁은 제4 피치(P4)로 구비되기 때문에,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제4 높이(H4)가 제3 높이(H3)보다 더 낮게 구비됨으로써, 1:1.5의 비율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H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길이일 수 있으나, 상기 제4 높이(H4)는 하측 광차단부재(131)가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광차단부재(131)의 일측 끝단까지의 길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므로, 이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이 배치되는 제1 삽입홈(132)들 각각과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배치되는 제2 삽입홈(232)들 각각이 제1 베이스 필름(110)의 상면(110a)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갖는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이 단일층으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은 광을 차폐하기 위해 복수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측 광차단부재(131)들 각각, 및 상측 광차단부재(231)들 각각은 반투과층, 광흡수층, 및 반사층이 적층되어 구비됨으로써, 광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1)가 제1 축방향(X축방향)의 시야각을 제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90°로 회전되어서 제2 축방향(Y축방향)의 시야각을 제한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는 시야각 제한 패널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또는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 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 paper) 디스플레이 장치,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야각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결합된 시야각 제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야각 제한 패널은 도 1 내지 도 9b에 도시된 시야각 제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야각 제한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면 상에 배치되거나 접착 부재를 매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야각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로만 출사시킴으로써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각을 제한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시야각 제한 장치
10: 제1 광학 부재 20: 제2 광학 부재
30: 중간층 110: 제1 베이스 필름
130: 제1 광학층 131: 하측 광차단부재
132: 제1 삽입홈 133: 제1 광학 패턴
210: 제2 베이스 필름 230: 제2 광학층
231: 상측 광차단부재 232: 제2 삽입홈
233: 제2 광학 패턴

Claims (21)

  1.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 부재; 및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고 상기 제1 광학 부재와 마주하는 제2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 각각은 상기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 각각과 엇갈리게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는 상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 중 제1 하측광차단부재는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 광차단부재들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상측광차단부재와 제2 상측광차단부재 사이에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제1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은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제1 피치로 이격되며,
    상기 제1 피치 대비 상기 제1 높이의 비율은 1:1.5 이하인 시야각 제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1 상측광차단부재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변;
    상기 제1 하측광차단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 상측광차단부재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 변; 및
    상기 제1 변과 상기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의 길이와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1 변의 길이는 상기 제3 변의 길이보다 짧거나 같은 시야각 제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의 길이와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제1 변의 길이는 상기 제3 변의 길이보다 긴 시야각 제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의 길이와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상이하고,
    상기 제3 변의 길이는 상기 제2 변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시야각 제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상기 제1 변의 길이보다 긴 시야각 제한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의 길이와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상이하고,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상기 제3 변의 길이보다 긴 시야각 제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의 길이는 상기 제1 변의 길이보다 긴 시야각 제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부재는,
    제1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제1 광학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층은 제1 광학 패턴과 상기 제1 광학 패턴의 내부에서 상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는 상기 제1 삽입홈에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부재는,
    제2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광학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층은 제2 광학 패턴과 상기 제2 광학 패턴의 내부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는 상기 제2 삽입홈에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시야각 제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과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들과 평행하게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광학 부재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경사지게 배치된 하측 광차단부재들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17. 제1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과 마주하는 제2 베이스 필름;
    상기 제1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하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1 광학층;
    상기 제2 베이스 필름 상에 배치된 복수의 상측 광차단부재를 갖는 제2 광학층; 및
    상기 제1 광학층과 상기 제2 광학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은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사이에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은 제1 광학 패턴과 상기 제1 광학 패턴 내부에서 제1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1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학층은 제2 광학 패턴과 상기 제2 광학 패턴 내부에서 상기 제1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 삽입홈들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광차단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2 삽입홈들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삽입홈들 각각의 폭과 상기 제2 삽입홈들 각각의 폭은 500nm 이상 1000 nm 이하인 시야각 제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들 각각은 제1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들은 상기 제1 축방향으로 제1 피치로 이격되며,
    상기 제1 피치 대비 상기 제1 높이의 비율은 1:1.5 이하인 시야각 제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들 각각은 상기 제1 베이스 필름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삽입홈들 각각은 상기 제1 삽입홈들 각각과 평행하게 배치된 시야각 제한 장치.
  2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결합된 시야각 제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시야각 제한 패널은 제 1 항 내지 제 13 항, 및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야각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81182A 2020-07-01 2020-07-01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03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82A KR20220003407A (ko) 2020-07-01 2020-07-01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7/353,566 US12099215B2 (en) 2020-07-01 2021-06-21 Viewing angle limi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182A KR20220003407A (ko) 2020-07-01 2020-07-01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07A true KR20220003407A (ko) 2022-01-10

Family

ID=7916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182A KR20220003407A (ko) 2020-07-01 2020-07-01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2099215B2 (ko)
KR (1) KR202200034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39204A (ja) * 2021-09-08 2023-03-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デバイス及び表示装置
JP2023039205A (ja) * 2021-09-08 2023-03-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デバイス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210A (en) * 1989-04-24 1992-04-14 Monsanto Company Light control films and method of making
DE4236563A1 (de) * 1992-10-29 1994-05-05 Basf Magnetics Gmbh Anti-Kopier-Film oder -Schicht
US6398370B1 (en) * 2000-11-15 2002-06-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control device
US20060176554A1 (en) * 2005-02-07 2006-08-10 Huei-Pei Kuo Holographic louver device for a light guide screen
US7326504B2 (en) * 2005-10-14 2008-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maged anti-copy film
KR101113384B1 (ko) * 2009-04-16 2012-03-13 (주) 에이와케이 정보 보안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85030B1 (ko) * 2011-05-25 2019-05-3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 제어 필름
KR102001272B1 (ko) * 2012-01-19 2019-07-1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광확산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확산 필름
JP6221668B2 (ja) * 2013-11-18 2017-11-0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配光部材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20160124126A1 (en) * 2014-10-29 2016-05-05 Sergiy Vasylyev Angular selective light control sheet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70099457A (ko) 2016-02-23 2017-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234677B1 (en) * 2016-03-30 2019-03-19 Amazon Technologies, Inc. Light steering structures for electrowetting displays
US20190146129A1 (en) * 2016-07-29 2019-05-16 Faraday&Future Inc. Light directing filters
US20180120580A1 (en) * 2016-10-28 2018-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control film with varied viewing angle
CN109983370B (zh) * 2016-11-22 2022-01-25 3M创新有限公司 具有光谱选择性的光控膜
JP2020507128A (ja) * 2017-01-04 2020-03-0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用光制御フィルム
CN109613783B (zh) * 2017-10-04 2023-07-21 天马日本株式会社 光束方向控制元件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
KR102096266B1 (ko) 2017-12-15 202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고립 소자
WO2020026139A1 (en) * 2018-08-01 2020-0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transmission light control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3902A1 (en) 2022-01-06
US12099215B2 (en) 202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8226B2 (en) Optical device and display unit
US20150092442A1 (en) Display, display assembly, and backlight module
WO2006030823A1 (ja) 視野角制御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2005338270A (ja) 視野角制御シート
KR20220003407A (ko) 시야각 제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71958B2 (en) Display device
AU2011314771A1 (en) Backlight unit
JP4481125B2 (ja) 表示装置
JP2017211454A (ja) 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2021105721A (ja) 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2004062084A (ja) 視認性向上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CN102830533B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5961958B2 (ja) マイクロルーバー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N109388014B (zh) 投影屏幕和投影系统
JP2014211596A (ja) 角度依存性光線透過フィルム
KR100837486B1 (ko) 시야각 제어 시트 및 표시 장치
KR102516687B1 (ko) 반사 제어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884B1 (ko)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US11867932B2 (en) Light control film having nano light absorbing layer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13072980A (ja) 配列型表示装置
JP6727054B2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690397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10271096A1 (en) Optical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JP2013050563A (ja) マイクロルーバー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80040002A (ko) 보안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