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844U -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44U
KR20220002844U KR2020210001647U KR20210001647U KR20220002844U KR 20220002844 U KR20220002844 U KR 20220002844U KR 2020210001647 U KR2020210001647 U KR 2020210001647U KR 20210001647 U KR20210001647 U KR 20210001647U KR 20220002844 U KR20220002844 U KR 202200028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back cover
air
filter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990Y1 (ko
Inventor
최찬욱
강철민
구윤수
차대희
최호림
박익수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오토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1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90Y1/ko
Priority to PCT/KR2022/005629 priority patent/WO2022250296A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44U/ko
Priority to KR2020230001279U priority patent/KR20230001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커버조립에는 시트백커버(110); 및 상기 시트백커버(110)의 내측면에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된 공기정화장치(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A seatback cover assembly in which a dual fan type of air purifying apparatus is integrally designed}
본 고안은 시트백커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차량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기술 중 하나는 차량 내부의 특정 장소에 공기정화장치를 빌트인 타입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에 빌트인 타입의 공기정화장치의 설치를 위해 고려되는 장소로는 암레스트, 리어셀프, 천정부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설치 장소들은 공기정화장치 도입에 따라 비교적 높은 추가 비용, 차량 본체에 대한 설계 변경, 불편한 필터 교체 작업, 공간의 제약에 따른 제한적인 팬과 필터 선택의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6-0027427호 (2016.03.10.) 한국특허공개 제2005-0080015호 (2005.08.11.) 일본특허공개 제2016-222177호 (2016.12.28.)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공기정화장치 도입에 따르는 공정 추가 및 비용 추가를 최소화하면서도 필터 교체 작업은 물론 공기정화장치의 수리 작업도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공간의 효용성을 높여 한 개 이상의 팬을 적용하고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트백커버(110); 및 상기 시트백커버(110)에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된 공기정화장치(120);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복수의 팬모듈(131, 132)복수의 팬모듈(131, 132)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백커버(110)에 복수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 복수의 공기배출구(113) 및 시트백포켓 장착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백 장착홈(114)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백커버(110)에는 시트백포켓(116) 안쪽에 위치한 필터케이스(115)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내측면(115a)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의 리브(115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장치(120)는 복수의 팬모듈(131, 132), 필터(140), 가이드덕트(150) 및 내부커버(16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커버(160)에 상기 복수의 팬모듈(131, 132)이 접속되며, 상기 가이드덕트(150)는 상기 필터케이스(115)를 커버하는 필터케이스 커버부(151) 및 상기 필터케이스 커버부(151)와 상기 복수의 팬모듈(131, 13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분기덕트부(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1. 차량용 시트에 빌트인 타입의 공기정화장치가 도입되므로 차량 본체 측에 대해서는 공기정화장치 도입을 위한 어떠한 설계 변경도 필요하지 않다.
2. 차량용 시트에 결합되는 시트백커버어셈블리에 공기정화장치가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량용 시트에 시트백커버어셈블리를 장착시키는 작업을 통해 차량용 시트에 대한 공기정화장치의 장착도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그리고 공기정화장치 도입에 따르는 비용 추가 역시 최소화될 수 있다.
3. 필요 시에 차량용 시트로부터 시트백커버어셈블리를 분리한 후 공기정화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4. 시트백포켓 안쪽에 필터케이스가 가려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필터케이스에 의해 좌석시트의 미관이 해쳐지는 않는다. 또한 공기유입구들이 시트백포켓 장착홈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어 밖에서 잘 보이지 않으므로 좌석시트의 미관 상 역시 바람직하다.
5. 시트백커버에 필터케이스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어 사용자는 필터케이스를 열어 손쉽게 필터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6. 시트백커버어셈블리에 적용된 공기정화장치에 복수의 팬모듈(듀얼팬)이 적용되므로 단일 팬이 적용된 경우에 비하여 높은 출력의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빠른 속도로 차량실내공기에 대한 공기 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7. 시트백커버어셈블리의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 사이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단지 내부커버 및 가이드덕트 만을 필요로 하므로, 공기정화장치의 구조가 매우 심플하고 조립 과정 또한 매우 간단하다.
8. 조수석 시트 뒷면에 설치되는 시트백커버어셈블리의 구조상 기존보다 레그룸의 거리가 좁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때문에 시트의 돌출 부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원심형 팬을 적용하였고, 필터와 팬이 직렬이 아닌 병렬로 위치하여 순정 백커버 대비 돌출 되는 양을 최소화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 및 필터케이스(115)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의 내측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및 가이드덕트(150) 및 팬모듈(131, 132)이 분리된 상태로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팬모듈(131, 132) 장착 전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가이드덕트(150)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는 차량용 좌석시트의 등받이부의 후면 측에 결합되는 구성품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에는 빌트인 타입의 공기정화장치(120)(도 5 참조)가 구비된다. 공기정화장치(120)가 가동될 때 차량실내공기는 좌석시트 안으로 유입되어 내부의 공기정화장치(120)의 의해 정화된 후 좌석시트 밖으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순환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차량실내공기가 깨끗하게 정화될 수 있다.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는 시트백커버(110) 및 그 후면의 하부에 구비된 시트백포켓(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백포켓(116)은 탄성소재의 그물망을 구비하는 타입이다.
시트백커버(110)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공기배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의 필터케이스(115) 및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백커버(110)에는 시트백포켓(116) 안쪽에 위치한 필터케이스(115)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115)는 시트백커버(110)에 회동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필터케이스(115)를 열어서 필터 교체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필터케이스(115)는 시트백포켓(116)에 의해 가려지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좌석시트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트백커버(110)의 외측면에는 대략 U자형으로 시트백포켓 장착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백포켓 장착홈(114)의 내측벽을 따라 복수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가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백포켓(116)에 의해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의 시각적 노출에 다른 미관 저하가 없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케이스(115)의 내측면(115a)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의 리브(1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 4-(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115)에 필터(140)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케이스(115)의 내측면(115a)과 필터(140) 사이에 틈새공간(G)이 확보된다.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를 통해 좌석시트 안으로 유입된 공기는 그 틈새공간(G)을 통해 필터(140)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5는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의 내측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는 시트백커버(110)의 내측면에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된 공기정화장치(120)를 포함한다.
공기정화장치(120)는 복수의 팬모듈(131, 132), 필터(140), 가이드덕트(150), 내측커버(160) 및 제어모듈(170)을 포함한다.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120)가 가동될 때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를 통해 좌석시트 안으로 유입된 차량실내공기는 전술한 틈새공간(G)(도 4 참조)을 통해 필터(140)의 일측면 쪽으로 유입되며 필터(140)를 통과한 후에는 가이드덕트(150)를 통해 분기되어 복수의 팬모듈(131, 132)과 내측커버(160) 안쪽 공간을 거쳐 공기배출구(113)를 통해 좌석시트 밖으로 배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덕트(150)가 필터케이스(115)를 덮고 있지만 전술한 틈새공간(G)은 가려지지 않고 여전히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그 틈새공간(G)을 통한 필터(140) 일측면 쪽으로의 공기 유입이 허용된다.
복수의 팬모듈(131, 132)은 공기정화장치(120) 가동 시에 흡입력을 제공하며, 그 흡입력에 의해 차량시트 안팎으로 차량실내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이처럼 팬모듈(131, 132)이 듀얼 타입으로 적용되므로 공기정화장치(120) 가동 시에 공기 순환이 빠르게 진행되어 차량실내공기 정화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필터(140)는 차량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정화장치(120) 가동 시에 차량시트 안으로 유입된 차량실내공기는 필터(140)를 거쳐 차량시트 밖으로 배출되며, 필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불순물이 필터링됨으로써 깨끗하게 정화된다.
가이드덕트(150)는 필터(140)와 복수의 팬모듈(131, 132) 사이의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필터(140)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덕트(150)를 통해 안내되어 복수의 팬모듈(131, 132)으로 분기 유입된다.
내측커버(160)는 시트백커버(110)의 내측면 상단부에 결합되며 팬모듈(131, 132)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공기배출구(11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모듈(170)은 팬모듈(131, 132)에 전기를 공급하며 팬모듈(131, 132)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및 가이드덕트(150) 및 팬모듈(131, 132)이 분리된 상태로 시트백커버어셈블리(100)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8은 팬모듈(131, 132)의 장착 전후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내측커버(160)는 시트백커버(110)의 내측면 상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팬모듈 접속구(161, 162)를 구비한다. 각각의 팬모듈 접속구(161, 162)에 팬모듈(131, 132)이 하나씩 접속된다. 팬모듈(131, 132)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듈 접속구(161, 162)를 통해 내측커버(160) 안쪽 공간으로 유입된 후 공기배출구(113)를 통해 차량시트 밖으로 배출된다.
도 9는 가이드덕트(150)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덕트(150)는 필터케이스 커버부(151) 및 한 쌍의 분기덕트부(153, 154)를 포함한다.
필터케이스 커버부(151)는 전술한 필터케이스(115)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한 쌍의 분기덕트부(153, 154)는 필터케이스(115)와 복수의 팬모듈(131, 132)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제1 분기덕트부(153)가 제1 팬모듈(131)에 연결되고 제2 분기덕트부(154)가 제2 팬모듈(132)에 연결된다.
각각의 분기덕트부(153, 154)에는 그 외측단에 플랜지부(153a, 154b)가 구비된다. 플랜지부(153a, 154b)는 팬모듈(131, 132)의 상면에 밀착 배치되며 나사에 의해 팬(131, 132)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이드덕트(150) 만으로 필터(140)와 팬모듈(131, 132) 사이의 유로가 형성되며 필터(140)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덕트(150)에 의해 구획된 유로를 통해 누설 없이 팬모듈(131, 132)로 유동하게 된다.
100 : 시트백커버어셈블리
110 : 시트백커버
112a, 112b, 112c : 공기유입구
113 : 공기배출구
115 : 필터케이스
116 : 시트백포켓
120 : 공기정화장치
131, 132 : 팬모듈
140 : 필터
150 : 가이드덕트
151 : 필터케이스 커버부
153, 154 : 분기덕트부
160 : 내측커버
161, 162 : 팬모듈 접속구
170 : 제어모듈

Claims (4)

  1. 시트백커버(110); 및
    상기 시트백커버(110)에 빌트인 타입으로 구비된 공기정화장치(120);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커버(110)에 복수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 복수의 공기배출구(113) 및 시트백포켓 장착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백 장착홈(114)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유입구(112a, 112b, 112c)가 형성된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커버(110)에는 시트백포켓(116) 안쪽에 위치한 필터케이스(115)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케이스(115)의 내측면(115a)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형태의 리브(115b)가 형성된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장치(120)는 복수의 팬모듈(131, 132), 필터(140), 가이드덕트(150) 및 내부커버(16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커버(160)에 상기 복수의 팬모듈(131, 132)이 접속되며, 상기 가이드덕트(150)는 상기 필터케이스(115)를 커버하는 필터케이스 커버부(151) 및 상기 필터케이스 커버부(151)와 상기 복수의 팬모듈(131, 132)을 연결하는 한 쌍의 분기덕트부(153, 154)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KR2020210001647U 2021-05-25 2021-05-25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KR200496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47U KR200496990Y1 (ko) 2021-05-25 2021-05-25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PCT/KR2022/005629 WO2022250296A1 (ko) 2021-05-25 2022-04-19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KR2020230001279U KR20230001426U (ko) 2021-05-25 2023-06-23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47U KR200496990Y1 (ko) 2021-05-25 2021-05-25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279U Division KR20230001426U (ko) 2021-05-25 2023-06-23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44U true KR20220002844U (ko) 2022-12-05
KR200496990Y1 KR200496990Y1 (ko) 2023-06-29

Family

ID=842300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47U KR200496990Y1 (ko) 2021-05-25 2021-05-25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KR2020230001279U KR20230001426U (ko) 2021-05-25 2023-06-23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279U KR20230001426U (ko) 2021-05-25 2023-06-23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0496990Y1 (ko)
WO (1) WO202225029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015A (ko) 2005-07-01 2005-08-11 주식회사 일광 차량의 리어셀프에 설치되는 내장형 공기청정기
KR20160027427A (ko)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시마스 공기청정기 내장형 자동차 암레스트
JP2016222177A (ja) 2015-06-02 2016-12-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気浄化装置
KR200491354Y1 (ko) * 2019-11-21 2020-03-26 오토앤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공기청정장치를 구비한 시트백커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KR102226755B1 (ko) * 2020-10-26 2021-03-10 조영호 등받이에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80A (ko) * 1997-11-20 1999-06-15 양재신 공기청정용 자동차 시트
JP2016113088A (ja) * 2014-12-17 2016-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車両用空気清浄機
JP2021016426A (ja) * 2019-07-17 2021-02-15 日本発條株式会社 空気清浄ユニット及び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015A (ko) 2005-07-01 2005-08-11 주식회사 일광 차량의 리어셀프에 설치되는 내장형 공기청정기
KR20160027427A (ko) 2014-08-29 2016-03-10 주식회사 시마스 공기청정기 내장형 자동차 암레스트
JP2016222177A (ja) 2015-06-02 2016-12-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気浄化装置
KR200491354Y1 (ko) * 2019-11-21 2020-03-26 오토앤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공기청정장치를 구비한 시트백커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KR102226755B1 (ko) * 2020-10-26 2021-03-10 조영호 등받이에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426U (ko) 2023-07-12
KR200496990Y1 (ko) 2023-06-29
WO2022250296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7665B2 (en) Air cleaner
US10323855B2 (en) Air cleaner
US10675577B2 (en) Air cleaner
CA2554731C (en) High efficiency grease filter cartridge for exhaust hoods
US9827523B2 (en) Air cleaner
KR20170101093A (ko) 공기 청정기
RU2673628C2 (ru) Фильтры сушилки для рук
KR200491354Y1 (ko) 빌트인 타입의 공기청정장치를 구비한 시트백커버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KR101156039B1 (ko) 크린룸용 팬필터유닛
JPH086854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90008524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496990Y1 (ko)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KR20190025452A (ko) 유동 발생장치
CN110017226A (zh) 具有支撑构件的车辆空气滤清器组件
US20230151982A1 (en) Air purifier
KR200496989Y1 (ko) 듀얼팬 방식의 공기정화장치가 통합 설계된 시트백커버어셈블리
CN217423536U (zh) 空气净化器
JP5150179B2 (ja) 空気清浄機
KR20210018161A (ko) 공기청정기
CN215951674U (zh) 空气净化器
KR102584382B1 (ko)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CN219295150U (zh) 用于车辆的出风组件及车辆
KR20060111029A (ko) 공기청정기
KR101186846B1 (ko)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KR2010008683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