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50A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50A
KR20220002650A KR1020217039578A KR20217039578A KR20220002650A KR 20220002650 A KR20220002650 A KR 20220002650A KR 1020217039578 A KR1020217039578 A KR 1020217039578A KR 20217039578 A KR20217039578 A KR 20217039578A KR 20220002650 A KR20220002650 A KR 2022000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lanting
frame
seedling loading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야스마츠
마사오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12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49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12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72298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2000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제1 이식 유닛(63R) 및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이식 유닛(63L) 및 제2 모종 적재대(9L)의 간격 조절 구조를 간소화한다. 메인 프레임(37)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와,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35)와, 제1 모종 적재대(9R)로부터 모종을 빼내는 제1 모종 취출 장치(11R) 및 빼내어진 모종을 식부하는 제1 식부 장치(35R)를 갖는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모종 적재대(9L)로부터 모종을 빼내는 제2 모종 취출 장치(11L) 및 빼내어진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제2 식부 장치(35L)를 갖는 제2 이식 유닛(63L)과, 제1 이식 유닛(63R)에 설치되며 제1 모종 적재대(9R)를 횡이송하는 횡이송 기구(236)를 구비하고,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이식 유닛(63L)은, 메인 프레임(37)에 각각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K2)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1 이식 유닛(63R)은, 기체 폭 방향(K2)으로 일체적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제2 모종 적재대(9L)는, 연결 부재(235)에 기체 폭 방향(K2)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식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식기는, 기체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는, 메인 프레임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에는, 제1 모종 적재대에 대응하는 제1 이식 유닛과, 제2 모종 적재대에 대응하는 제2 이식 유닛이 지지되어 있다. 제1 이식 유닛과 제2 이식 유닛은, 연동하여 기체 폭 방향으로 근접 이격됨으로써 기체 폭 방향의 간격이 조절 가능(조간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이식 유닛과 제2 이식 유닛의 간격 조절에 연동하여 제1 모종 적재대와 제2 모종 적재대의 기체 폭 방향의 간격 조절도 행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식기는,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13911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식기에 있어서는, 제1 이식 유닛 및 제1 모종 적재대와, 제2 이식 유닛 및 제2 모종 적재대를 연동하여 간격 조절을 행하는 연동 기구가 복잡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이식기에 있어서는,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와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 중 임의의 모종 트레이만을 종이송 구동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1 이식 유닛 및 제1 모종 적재대와, 제2 이식 유닛 및 제2 모종 적재대의 간격 조절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와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 중 임의의 모종 트레이만을 종이송 구동할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이식기는, 메인 프레임과, 기체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빼내는 제1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1 모종 취출 장치에서 빼내어진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제1 식부 장치를 갖는 제1 이식 유닛과,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빼내는 제2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장치에서 빼내어진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제2 식부 장치를 갖는 제2 이식 유닛과, 상기 제1 이식 유닛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모종 적재대를 기체 폭 방향으로 횡이송하는 횡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식 유닛과 상기 제2 이식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1 이식 유닛은, 상기 횡이송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기체 폭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는, 상기 연결 부재에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식 유닛 및 상기 제2 이식 유닛의 전방부에 기체 폭 방향으로 연신되어 배치됨과 함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횡이송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주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식 유닛은, 상기 제1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1 식부 장치가 설치되는 제1 유닛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2 이식 유닛은, 상기 제2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2 식부 장치가 설치되는 제2 유닛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1 유닛 프레임 및 상기 제2 유닛 프레임은, 상기 구동 주축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유닛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된 제1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유닛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연결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1 유닛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에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설치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2 유닛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에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설치 플레이트를 갖는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기체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레일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모종 적재대는, 상기 레일 부재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가 설치되는 제1 홀더 부재를 갖고,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는, 상기 레일 부재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롤러와, 상기 제2 롤러가 설치되는 제2 홀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홀더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판을 갖고, 상기 제2 홀더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이식기는, 모종 트레이를 적재하는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1 모종 적재대 및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종이송 기구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걸쳐 설치되며 또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종이송 주축과,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종이송 작동축과,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종이송 작동축과, 상기 종이송 주축으로부터 상기 제1 종이송 작동축으로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1 종이송 클러치와, 상기 종이송 주축으로부터 상기 제2 종이송 작동축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2 종이송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이송 주축은, 상기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걸쳐 마련되는 축체를 갖고, 상기 제1 종이송 작동축은, 상기 축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또한 상기 회전체에 인접하는 제1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1 종이송 클러치는,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구동 맞물림부와, 상기 제1 입력부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러치 본체와, 상기 클러치 본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본체가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맞물림부에 결합 분리되는 종동 맞물림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축체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측의 제1 축과,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측의 제2 축과,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결합하는 결합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기체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으로 간격 조절 가능하고, 상기 종이송 주축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로부터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축부를 갖고, 상기 제2 종이송 작동축은, 상기 연장 축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2 종이송 클러치는, 상기 연장 축부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설치된 회전부와, 상기 제2 입력부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에 결합 분리되는 클러치 시프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종이송 클러치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의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이식 유닛과 제2 이식 유닛은,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고, 제1 모종 적재대와 제2 모종 적재대는, 제1 이식 유닛의 위치 조절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제2 모종 적재대는, 제1 이식 유닛을 위치 조절한 후에, 연결 부재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한다. 이에 의해, 복잡한 연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제1 이식 유닛 및 제1 모종 적재대와, 제2 이식 유닛 및 제2 모종 적재대의 간격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이송 주축으로부터 제1 종이송 작동축으로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1 종이송 클러치와, 종이송 주축으로부터 제2 종이송 작동축으로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2 종이송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와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 중 임의의 모종 트레이만을 종이송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이식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식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모종 트레이의 이동 경로와 빈 트레이 수용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주행체의 후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모종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모종 트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메인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메인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메인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이식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유닛 프레임의 전방측 지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유닛 프레임의 후방측 지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유닛 프레임의 후방측 지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구동 주축에 동력을 입력하는 동력 입력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동력 입력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관수 펌프 및 관수 전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관수 펌프 및 관수 전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관수 펌프 및 관수 전동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관수 펌프로부터의 토출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21은 작업기 장착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메인 프레임의 지지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롤링 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롤링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감지 롤러의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감지 롤러의 지지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감지 롤러의 지지 구조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제1 이식 유닛 및 제2 이식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식부 깊이 조절 기구 및 식부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식부 깊이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1은 복토압 조절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조작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식부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4는 식부 승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관수 파이프의 설치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관수 파이프의 설치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를 단면한 배면도이다.
도 37은 메인 프레임 및 모종 적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8은 모종 적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9는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0은 모종 적재대의 하부의 측면도이다.
도 41은 횡이송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2는 트레이 이송 기구 및 모종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3은 종이송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44는 종이송 구동 기구의 우측을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45는 종이송 구동 기구의 좌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6은 종이송 작동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7은 트레이 누름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8은 트레이 누름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9는 트레이 누름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0은 제1 누름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1은 제2 누름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이식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식기(1)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오퍼레이터(운전자)(2)가 착좌하는 운전석(3)을 갖는 승용형 이식기(승용 이식기)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포장(6)에 모종(7)을 식부하는 식부 작업기(4)와, 식부 작업기(4)를 장착하여 주행하는 주행체(5)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식기(1)는, 주행체(5)에 의해 포장(6)을 주행하면서 식부 작업기(4)에 의해 모종(7)을 포장(6)에 식부하는 기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식기(1)의 운전석(3)에 착좌한 오퍼레이터(2)의 전방측의 방향(도 1, 도 2의 화살표 A1 방향)을 전방, 오퍼레이터(2)의 후방측의 방향(도 1, 도 2의 화살표 A2 방향)을 후방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1, 도 2의 화살표 K1 방향을 기체 전후 방향이라 한다. 또한, 오퍼레이터(2)의 우측(도 2의 화살표 B1 방향)을 우측, 오퍼레이터(2)의 좌측(도 2의 화살표 B2 방향)을 좌측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전후 방향 K1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을 기체 폭 방향 K2로서 설명한다. 기체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우측, 혹은,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기체 외측으로서 설명한다. 바꿔 말하면, 기체 외측이란, 기체 폭 방향 K2이며 기체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기체 외측과는 반대의 방향을, 기체 내측으로서 설명한다. 바꿔 말하면, 기체 내측이란, 기체 폭 방향 K2이며 기체의 폭 방향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이다.
우선, 식부 작업기(4)에 대하여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작업기(4)는, 다수의 모종(7)을 갖는 복수의 모종 트레이(셀 트레이)(8)를 적재하는 모종 적재대(9)를 갖고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트레이(8)는, 플라스틱제이며,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어 가요성을 갖고,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종 트레이(8)는, 종횡으로 소정 피치로 바둑판눈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의 포트부(8a)를 갖는다. 포트부(8a)의 개구 에지부는, 평판 형상의 상면벽(8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포트부(8a)는, 상면벽(8b)으로부터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모종 트레이(8)에는, 포트부(8a)에 상토를 공급하고, 해당 상토에 파종하고, 육묘함으로써, 모종(7)(소일 블록 모종)이 육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9)는, 모종 트레이(8)를 하방으로 경사(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으로 이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적재하는 적재판(10)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트레이(8)의 모종(7)은, 모종 적재대(9)의 하부 후방에 배치된 모종 취출 장치(11)에 의해 하나씩 빼내어져 하방의 식부체(12)에 공급된다. 식부체(12)는, 상하로 왕복 이동하고 또한 상사점 위치에서 모종(7)을 수취한다. 또한, 식부체(12)는, 하강 시에 포장(6)에 돌입하여 모종(7)을 식부한다. 상세하게는, 식부체(12)는, 전후로 개폐 가능한 개구기로 형성되어 있고,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 모종(7)을 보유 지지하여 하방하고, 포장(6)에 돌입하였을 때, 전후로 개방되어 포장(6)에 식혈을 형성함과 함께 해당 식혈에 모종(7)을 낙하시켜 식부한다. 식부 작업기(4)는,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빼내어 포장(6)에 소정 간격을 두고 자동적으로 식부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판(10)은, 복수의 모종 트레이(8)를 경사 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나열하여 적재 가능하다. 모종 트레이(8)는, 긴 쪽 방향을 경사 방향에 맞추어 배치된다. 모종 취출 장치(11)는, 적재판(10)에 적재된 복수의 모종 트레이(8) 중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8A)]로부터 모종(7)을 빼낸다. 또한, 모종 취출 장치(11)는, 모종 적재대(9)를 기체 폭 방향 K2로 포트부(8a)의 1피치분 간헐적으로 횡이송하는 동안에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하나씩 빼낸다. 모종 트레이(8)로부터 횡일렬의 모종(7)이 빼내어지면, 모종 트레이(8)가 경사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포트부(8a)의 1피치분 종이송된다. 이에 의해, 다음 횡일렬의 모종(7)이 취출 가능해진다. 그 후, 모종 적재대(9)를 조금 전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횡이송하여 모종(7)을 빼내고, 횡일렬의 모종(7)이 빼내어지면,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한다. 이것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모종 트레이(8)로부터 전부의 모종(7)이 빼내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9)는, 하부에 반전 가이드(13)를 갖고, 모종 취출 장치(11)에 의해 모종(7)이 빼내어진 후의 모종 트레이(8)는, 종이송됨으로써 반전 가이드(13)로 이송된다. 반전 가이드(13)로 이송된 모종 트레이(8)는, 반전 가이드(13)에 의해 안내되어 적재판(10)의 배면측(하면측)(10A)으로 안내된다. 또한, 모종 적재대(9)는, 적재판(10)의 배면측에 빈 트레이 가이드(14)를 갖는다. 빈 트레이 가이드(14)는, 하부에 만곡부(14a)를 갖는다. 만곡부(14a)는, 반전 가이드(13)로부터 모종 트레이(8)를 이어받아, 적재판(10)의 배면측에 배치된 가이드 본체부(14b)로 안내한다. 빈 모종 트레이(8)는, 가이드 본체부(14b)에 의해, 적재판(10)의 배면 상부로 안내된다. 빈 트레이 가이드(14)는, 상부에, 상부 가이드부(14c)를 갖는다. 상부 가이드부(14c)는, 가이드 본체부(14b)의 상단으로부터 운전석(3)측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부(14c)는, 약간, 전방 하향 경사상(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빈 모종 트레이(8)는, 상부 가이드부(14c)로부터 취출 가능하다.
다음에, 주행체(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5)는, 식부 작업기(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5)는, 운전석(3)이 탑재된 기체(16)와, 기체(16)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주행 장치(17)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16)는, 원동기(18)와, 원동기 프레임(19)과, 미션 케이스(20)와, 기체 프레임(21)을 갖는다. 원동기(18)는,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이다. 원동기(18)는, 주행체(5)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원동기 프레임(19)은, 원동기(18)의 하방에 배치되어 원동기(18)를 지지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20)는 원동기(18)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원동기(18)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20)의 전방부에 원동기 프레임(19)이 연결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1)은, 미션 케이스(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체 프레임(21)은, 주행체(5)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1)의 전방부에 미션 케이스(20)가 연결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1)은, 후방부에, 지지체(22)를 갖고 있다. 지지체(22)에, 시트 설치 부재(31)를 통해 운전석(3)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3)은, 기체(16)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3)은, 시트부(3A)와 등받이부(3B)를 갖는다. 시트부(3A)는, 오퍼레이터(2)가 착좌하는(둔부 및 넓적다리부를 얹는) 부위이다. 등받이부(3B)는, 착좌한 오퍼레이터(2)가 등을 기대는 부위이며, 시트부(3A)의 후방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장치(17)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측 및 우측의 전륜(23)과, 좌측 및 우측의 후륜(24)을 갖는 차륜형 주행 장치이다. 전륜(23) 및 후륜(24)은, 미션 케이스(20)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3)의 전방에는, 주행체(5)(전륜(23))를 조향하는 스티어링 핸들(25)과 보닛(26) 및 스티어링 칼럼(27)이 마련되어 있다. 보닛(26) 내에는, 연료 탱크 등이 수용되어 있다. 보닛(26)의 하방에는, 원동기(18)가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27)은, 스티어링 핸들(25)을 지지하는 핸들 포스트 등을 덮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26)의 측방에는, 모종(7)을 갖는 모종 트레이(8)를 실어 두는 예비 모종대(28)가 배치되어 있다. 예비 모종대(28)는, 복수단의 모종 적재부(28A)를 갖고, 보닛(26)의 좌측방과 우측방에 마련되어 있다. 오퍼레이터(2)는, 예비 모종대(28)로부터 모종 트레이(8)를 빼내어 식부 작업기(4)(모종 적재대(9))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5)는, 운전석(3)의 하방에 배치된 플로어 시트(29)를 갖는다. 플로어 시트(29)는, 전방부에, 운전석(3)에 착좌한 오퍼레이터(2)가 발을 올려놓는 프론트 스텝(29a)을 갖는다. 프론트 스텝(29a)은, 운전석(3)의 전방 또한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스텝(29a)의 하방에, 미션 케이스(20)가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스텝(29a)의 후방이며 또한 운전석(3)의 하방에는, 지지체(22)에 있어서의 운전석(3)이 지지되는 부분(22A)(도 4 참조)을 덮는 시트대 커버(30)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대 커버(30)의 후방에는,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된 빈 모종 트레이(8)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빈 트레이 수용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부(14c)는, 빈 트레이 수용부(15)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빈 트레이 수용부(15)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운전석(3)의 후방측이며 또한 모종 적재대(9)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운전석(3)과 빈 트레이 가이드(14)(모종 적재대(9))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된 빈 모종 트레이(8)가, 운전석(3)과 빈 트레이 가이드(14)(모종 적재대(9)) 사이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프론트 스텝(29a)보다 상방이며 또한 운전석(3)보다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된 빈 모종 트레이(8)를 양호하게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부(14c)는, 전방 하향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빈 트레이 수용부(15)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빈 모종 트레이(8)를 빈 트레이 수용부(15)에 양호하게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빈 트레이 수용부(15)의 후단부는, 빈 트레이 가이드(14)의 상부 후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빈 트레이 수용부(15)의 후단부와 빈 트레이 가이드(14)의 후단부는, 평면으로 보아 오버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된 빈 모종 트레이(8)가, 빈 트레이 가이드(14)와 빈 트레이 수용부(15) 사이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빈 모종 트레이(8)를 빈 트레이 수용부(15)에서 수용할 수 있다.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플로어 시트(29)의 후방부의 연장 돌출부(제1 수용부)(32)와, 연장 돌출부(32)의 후방에 배치된 복수의 리어 스텝(제2 수용부)(33)을 갖는다. 연장 돌출부(32)는, 프론트 스텝(29a)보다도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시트대 커버(30)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시트대 커버(30)의 후방부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연장 돌출부(32)의 좌측부는, 시트대 커버(30)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우측부는, 시트대 커버(30)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장 돌출부(32)의 좌측부 및 우측부는, 경사부(29b)에 의해 프론트 스텝(29a)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부(29b)는, 프론트 스텝(29a)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리어 스텝(33)은, 연장 돌출부(32)의 후방이며 또한 연장 돌출부(32)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어 스텝(33)은, 제1 리어 스텝(33R)과 제2 리어 스텝(33L)을 포함한다. 제1 리어 스텝(33R)은, 연장 돌출부(32)의 우측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2 리어 스텝(33L)은, 연장 돌출부(32)의 좌측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리어 스텝(33R) 및 제2 리어 스텝(33L)은, 프레임 부재(스텝 프레임이라 함)(34)를 통해 기체(16)(기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프레임(34)은, 제1 프레임재(34A) 내지 제3 프레임재(34C)를 갖는다. 제1 프레임재(34A)는, 리어 스텝(33)과 연장 돌출부(32) 사이에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재(34B)는, 하부가 기체 프레임(21)에 고정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재(34A)가 고정되어 있다. 제3 프레임재(34C)는, 제1 프레임재(34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3 프레임재(34C)는, 리어 스텝(33)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어 리어 스텝(33)을 하부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3 프레임재(34C)는, 복수 마련되어 있고, 제1 리어 스텝(33R) 및 제2 리어 스텝(33L)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리어 스텝(33)은, 모종 적재대(9)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2)는, 모종 트레이(8)를 모종 적재대(9)에 공급(보급)할 때, 리어 스텝(33)에 발을 걸칠 수 있고, 리어 스텝(33)에 발을 걸침으로써 모종 트레이(8)의 보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식부 작업기(4)는, 2대(복수)의 모종 적재대(9)를 갖고 있고, 한쪽의 모종 적재대(9)(제1 모종 적재대(9R))의 전방에 제1 리어 스텝(33R)이 배치되고, 다른 쪽의 모종 적재대(9)(제2 모종 적재대(9L))의 전방에 제2 리어 스텝(33L)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리어 스텝(33R) 및 제2 리어 스텝(33L)은 연속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리어 스텝(33)은, 1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모종 적재대(9)가 1대인 경우에는, 리어 스텝(33)은 1개 마련된다. 또한, 모종 적재대(9)가 3대 이상인 경우에는, 리어 스텝(33)은, 모종 적재대(9)의 대수에 따른 수, 마련되어도 되고, 각 모종 적재대(9)에 공통의 리어 스텝(33)을 1개 마련해도 된다.
다음에, 식부 작업기(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작업기(4)는, 이식 프레임(36)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프레임(36)은, 메인 프레임(37)과, 복수의 유닛 프레임(38)을 갖는다. 복수의 유닛 프레임(38)은, 제1 유닛 프레임(38R)과 제2 유닛 프레임(38L)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7)은, 제1 프레임(39) 내지 제12 프레임(50)을 갖는다. 제1 프레임(39)은, 메인 프레임(37)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39)은, 우측부의 제1 지주부(39a)와, 좌측부의 제2 지주부(39b)와, 제1 지주부(39a)와 제2 지주부(39b)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9c)를 갖는다. 제1 지주부(39a) 및 제2 지주부(39b)는, 상하 방향 중도부에서 전방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지주부(39a) 및 제2 지주부(39b)는, 하부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이며, 상부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주부(39b)의 하부는, 제1 지주부(39a)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프레임(40)은, 제1 지주부(39a) 및 제2 지주부(39b)의 하방에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주부(39b)의 하단은 제2 프레임(40)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프레임(40)의 우측부는 제1 지주부(39a)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되고, 좌측부는 제2 지주부(39b)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3 프레임(41)은, 제1 지주부(39a)의 하부와 제2 프레임(40)을 연결하고 있다.
제4 프레임(42)은, 제1 프레임(39)의 상하 방향 중도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4 프레임(42)은, 제1 부위(42a) 내지 제3 부위(42c)를 갖는다. 제1 부위(42a)의 전방부는, 제1 지주부(39a)의 상하 방향 중도부에 접속되고 또한 제1 지주부(39a)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부위(42a)의 중도부로부터 후방부는, 제1 부위(42a)의 전방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2 부위(42b)의 전방부는, 제2 지주부(39b)의 하부에 접속되고 또한 제2 지주부(39b)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부위(42b)의 중도부로부터 후방부는, 제2 부위(42b)의 전방부 외측 단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3 부위(42c)는, 제1 부위(42a)와 제2 부위(42b)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제5 프레임(43)은, 전방부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제2 프레임(40)의 우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5 프레임(43)은, 중도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쳐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제4 프레임(42)의 제3 부위(42c)에 접속되어 있다.
제6 프레임(44)은, 전방부가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제2 프레임(40)의 좌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6 프레임(44)은, 중도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쳐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제4 프레임(42)의 제3 부위(42c)에 접속되어 있다.
제7 프레임(45)은, 제4 프레임(42)의 제1 부위(42a)와 제2 부위(42b)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부위(42a)의 전방부의 기체 내측의 부위(좌측부)와 제2 부위(42b)의 전방부의 기체 내측의 부위(우측부)를 연결하고 있다.
제8 프레임(46)은, 제4 프레임(42)의 제1 부위(42a)와 제2 부위(42b)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8 프레임(46)은, 제1 부위(42a)의 기체 전후 방향 중도부에 고정된 연결편(51R)과, 제2 부위(42b)의 기체 전후 방향 중도부에 고정된 연결편(51L)을 연결하고 있다.
제9 프레임(47)은, 제2 지주부(39b)의 하부와 제3 프레임(41)을 연결하고 있다.
제10 프레임(48)은, 메인 프레임(37)의 기체 폭 방향 K2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9 프레임(47)과 제4 프레임(42)의 제3 부위(42c)를 연결하고 있다.
제11 프레임(49) 및 제12 프레임(50)은, 메인 프레임(37)의 전방부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부에 기체 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1 프레임(49) 및 제12 프레임(50)은, 제7 프레임(45)과 제2 프레임(40)을 연결하고 있다.
제1 지주부(39a)의 상부에는, 제1 스프링 걸이 스테이(52R)가 마련되고, 제2 지주부(39b)의 상부에는, 제2 스프링 걸이 스테이(52L)가 마련되어 있다.
제11 프레임(49) 및 제12 프레임(50) 사이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53)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53)에는, 롤링축(54)이 전방 돌출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롤링축(54)은, 기체 전후 방향 K1로 연신되는 롤링 축심 X1을 갖고 있다. 롤링축(54)은, 메인 프레임(37)의 기체 폭 방향 K2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7 프레임(45)의 후방측에는,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레일 부재(제1 레일이라 함)(56)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레일(56)은, 홈형 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제1 레일(56)의 상면에는, 복수의 스테이 부재(55)가 기체 폭 방향 K2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각 스테이 부재(55)는, 제7 프레임(45)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8 프레임(46)의 전방측에는,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레일 부재(제2 레일이라 함)(58)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레일(58)은, 홈형 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제2 레일(58)에는, 복수의 스테이 부재(57)가 고정되어 있다. 각 스테이 부재(57)는, 제8 프레임(46)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6 프레임(44)의 전방부에는, 지지 브래킷(제1 지지 브래킷이라 함)(59)이 고정되어 있다. 제1 지지 브래킷(59)은, 제6 프레임(44)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제5 프레임(43)의 전방부에는, 지지 브래킷(제2 지지 브래킷이라 함)(60)이 고정되어 있다. 제2 지지 브래킷(60)은, 제5 프레임(43) 상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37)의 후방부에는,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61)가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61)는, 제1 연결 플레이트(61R)와 제2 연결 플레이트(61L)를 포함한다. 제1 연결 플레이트(61R)는, 제4 프레임(42)의 제3 부위(42c)의 우측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연결 플레이트(61)는, 제3 부위(42c)의 좌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은, 메인 프레임(37)의 우측부에 배치되고, 제2 유닛 프레임(38L)은, 메인 프레임(37)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은, 제4 프레임(42)의 제1 부위(42a)와 제2 부위(42b)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유닛 프레임(38R)은, 제1 부위(42a)와 제2 부위(42b) 사이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유닛 프레임(38L)은, 제1 부위(42a)와 제2 부위(42b) 사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유닛 프레임(38R)의 후방에 제1 연결 플레이트(61R)가 배치되고, 제2 유닛 프레임(38L)의 후방에 제2 연결 플레이트(61L)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에는, 각각 모종 취출 장치(11)와, 식부체(12)와, 복토륜(접지 롤러)(62)이 마련되어 있다.
모종 취출 장치(11)는,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모종 취출 장치(11)는, 제1 유닛 프레임(38R)에 마련된 제1 모종 취출 장치(11R)와, 제2 유닛 프레임(38L)에 마련된 제2 모종 취출 장치(11L)를 포함한다.
식부체(12)는,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식부체(12)는, 제1 유닛 프레임(38R)에 마련된 제1 식부체(12R)와, 제2 유닛 프레임(38L)에 마련된 제2 식부체(12L)를 포함한다. 제1 식부체(12R)는, 제1 모종 취출 장치(11R)에서 빼내어진 모종(7)을 포장(6)에 식부하는 제1 식부 장치(35R)(도 28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식부체(12L)는, 제2 모종 취출 장치(11L)에서 빼내어진 모종(7)을 포장(6)에 식부하는 제2 식부 장치(35L)(도 28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복토륜(62)은, 제1 유닛 프레임(38R)에 마련된 제1 복토륜(62R)과, 제2 유닛 프레임(38L)에 마련된 제2 복토륜(62L)을 포함한다. 제1 복토륜(62R) 및 제2 복토륜(62L)은, 각각 2개씩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제1 복토륜(62R)은,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복토륜(62L)도,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복토륜(62R)은, 제1 식부체(12R)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1 식부체(12R)로 식부한 모종(7)의 좌측 및 우측을 구름 이동하여 해당 모종(7)의 포기 옆으로 흙을 모음과 함께 해당 포기 옆을 진압한다. 제2 복토륜(62L)은, 제2 식부체(12L)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2 식부체(12L)로 식부한 모종(7)의 좌측 및 우측을 구름 이동하여 해당 모종(7)의 포기 옆으로 흙을 모음과 함께 해당 포기 옆을 진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 제1 모종 취출 장치(11R), 제1 식부체(12R)(제1 식부 장치(35R)) 및 제1 복토륜(62R)은, 제1 이식 유닛(63R)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유닛 프레임(38L), 제2 모종 취출 장치(11L), 제2 식부체(12L)(제2 식부 장치(35L)) 및 제2 복토륜(62L)은, 제2 이식 유닛(63L)을 구성하고 있다.
이식 유닛은,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식 유닛의 수에 따라서 모종 적재대의 대수도 결정된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본체(64)를 갖는다. 프레임 본체(64)는, 기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상으로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65A) 및 제2 사이드 프레임(65B)과, 제1 사이드 프레임(65A)과 제2 사이드 프레임(65B)의 전방부끼리를 연결하는 프론트 프레임(66)(제1 프론트 프레임이라 함)과, 제1 사이드 프레임(65A)과 제2 사이드 프레임(65B)의 전방부끼리를 연결하는 리어 프레임(67)과, 제1 프론트 프레임(66)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 사이드 프레임(65A)과 제2 사이드 프레임(65B)과 연결되는 제2 프론트 프레임(68)을 갖는다. 제1 사이드 프레임(65A)은, 제2 사이드 프레임(65B)의 기체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유닛 프레임(38L)도, 제1 유닛 프레임(38R)과 마찬가지의 구성의 프레임 본체(64)를 갖는다.
각 프레임 본체(64)의 전방부에는, 기체 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유닛 브래킷(69) 및 제2 유닛 브래킷(70)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유닛 브래킷(69) 및 제2 유닛 브래킷(70)은, 상부가 제1 프론트 프레임(66) 및 제2 프론트 프레임(68)에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 본체(64)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유닛 브래킷(69)은, 프레임 본체(64)의 기체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유닛 브래킷(70)은 프레임 본체(64)의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제1 이식 유닛(63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제2 이식 유닛(63L))의 전방부에, 구동 주축(71)이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주축(71)은, 메인 프레임(37)의 전방부에 기체 폭 방향으로 연신되어 마련되어 있다.
구동 주축(71)에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의 전방부가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 주축(71)은,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축심을 갖고, 제5 프레임(43)의 전방부로부터 제6 프레임(44)의 전방부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구동 주축(71)은, 좌측이 제1 지지 브래킷(59)에 베어링(7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우측이 제2 지지 브래킷(60)에 베어링(7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은, 구동 주축(7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주축(71)은,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의 제1 유닛 브래킷(69) 및 제2 유닛 브래킷(70)의 하부를 삽입 관통하고 있고, 또한 제1 유닛 브래킷(69) 및 제2 유닛 브래킷(70)에 마련된 베어링(7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의 전방부가, 구동 주축(71)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1,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은, 제1 연결 플레이트(61R)에 설치되는 제1 설치 플레이트(76R)를 갖고, 제2 유닛 프레임(38L)은, 제2 연결 플레이트(61L)에 설치되는 제2 설치 플레이트(76L)를 갖는다.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설치 플레이트(76R)는, 제1 유닛 프레임(38R)의 리어 프레임(67)에 볼트(77A) 및 너트(77B)에 의해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설치 플레이트(76L)는, 제2 유닛 프레임(38L)의 리어 프레임(67)에 볼트(77A) 및 너트(77B)에 의해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설치 플레이트(76R)는, 제1 연결 플레이트(61R)에 볼트(78A) 및 너트(78B)에 의해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설치 플레이트(76L)는, 제2 연결 플레이트(61L)에 볼트(78A) 및 너트(78B)에 의해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 플레이트(61R)에 대한 제1 설치 플레이트(76R)의 기체 폭 방향 K2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1 유닛 프레임(38R)이 메인 프레임(37)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다. 제2 연결 플레이트(61L)에 대한 제2 설치 플레이트(76L)의 기체 폭 방향 K2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제2 유닛 프레임(38L)이 메인 프레임(37)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다. 즉,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이식 유닛(63L)은, 메인 프레임(37)에 각각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유닛 프레임(38R)과 제2 유닛 프레임(38L)의 기체 폭 방향 K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 식부체(12R)와 제2 식부체(12L)의 기체 폭 방향 K2의 간격(제1 식부체(12R)로 식부되는 모종(7)과 제2 식부체(12L)로 식부되는 모종(7)의 기체 폭 방향 K2의 간격)인 조간 W1(도 11 참조)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설치 플레이트(76R) 및 제2 설치 플레이트(76L)에는, 지표(78)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연결 플레이트(61R) 및 제2 연결 플레이트(61L)에는, 조간 표시부(79)가 마련되어 있다. 조간 표시부(79)에는, 조간 W1을 나타내는 숫자가 적혀 있다. 지표(78)를 조간 표시부(79)의 숫자에 맞춤으로써, 조간 W1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주축(71)은, 기체 폭 방향 K2의 단부측에, 동력을 취출하기 위한 동력 취출부(제1 동력 취출부라 함)(80)를 갖는다. 제1 동력 취출부(80)는, 구동 주축(71)에 좌측의 단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동력 취출부(8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해당 제1 동력 취출부(80)의 전방에 배치된 관수 펌프(82)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주축(71)은, 제1 동력 취출부(80)와는 반대측의 단부측(우측 단부측)에, 제1 동력 취출부(80)와는 다른 다른 동력 취출부(제2 동력 취출부라 함)(81)를 갖고 있다. 제2 동력 취출부(81)는, 예를 들어 식부 작업기(4)에 옵션으로 설치되는 각종 기기류에 동력을 전달하여 해당 각종 기기류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동력 취출부(80) 및 제2 동력 취출부(81)에는, 예를 들어 스플라인(또는 키홈 등)이 형성되어 있어, 전동 부재를 스플라인 결합(또는 키 결합 등)함으로써, 구동 주축(71)의 동력을 제1 동력 취출부(80) 및 제2 동력 취출부(8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주축(71)의 중앙측에는, 구동 주축(71)에 회전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 부재인 입력 스프로킷(83)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입력 스프로킷(83)은, 베어링(84)에 지지되고, 베어링(84)은, 제10 프레임(48)에 고정된 스테이 부재(85)에 설치되어 있다.
도 15는 구동 주축(71)에 동력을 입력하는 동력 입력부(86)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동력 입력부(86)의 일부를 전개한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입력부(86)는, 입력축(87)과, 기어 전동 기구(88)와, 입력 스프로킷(83)을 포함하는 권취 전동 기구(89)를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87)에는, 미션 케이스(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PTO축(동력 취출축)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다. 상세하게는, PTO축(90)에는, 식부 클러치(주간 클러치)(91)를 통해 제1 조인트축(92)이 연동 연결되고, 제1 조인트축(92)에는, 제2 조인트축(93)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2 조인트축(93)은, 입력축(87)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식부 클러치(91)는, PTO축(90)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입력축(87)에 단속 가능하게 전달한다. 식부 클러치(91)를 절단하면, 식부체(12), 모종 취출 장치(11) 등의 동작이 정지하고, 접속하면, 식부체(12), 모종 취출 장치(11) 등의 동작이 재개된다. 따라서, 식부 클러치(91)의 절단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모종(7)을 소정의 주간에 식부할 수 있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전동 기구(88)는, 입력축(87)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 베벨 기어(88A)와, 제1 베벨 기어(88A)에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88B)를 갖는다. 권취 전동 기구(89)는, 제2 베벨 기어(88B)와 일체 회전 가능한 제1 전동 스프로킷(94)과, 제1 전동 스프로킷(94)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제2 전동 스프로킷(95)과, 제2 전동 스프로킷(95)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제3 전동 스프로킷(96)을 갖는다. 제3 전동 스프로킷(96)으로부터 입력 스프로킷(83)에 동력이 전달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수 펌프(82)는, 식부체(12)의 수에 따라서 복수 마련된다. 따라서, 식부체(12)가 하나인 경우에는, 관수 펌프(82)도 하나 마련된다. 복수의 관수 펌프(82)는, 제1 동력 취출부(동력 취출부)(80)의 전방이며 또한 메인 프레임(37)의 기체 폭 방향 K2의 단부보다도 기체 내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관수 펌프(82)는, 제1 식부체(12R)에 물을 공급하는 제1 관수 펌프(82R)와, 제2 식부체(12L)에 물을 공급하는 제2 관수 펌프(82L)를 포함한다. 관수 펌프(82)는, 실린더(97) 및 실린더(97) 내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98)을 갖는 왕복 펌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97)는,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따라서, 피스톤(98)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관수 펌프(82)에는, 제1 동력 취출부(80)로부터 관수 전동 기구(99)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관수 펌프(82) 및 관수 전동 기구(99)는, 메인 프레임(37)에 마련된 펌프 브래킷(1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관수 펌프(82R)의 펌프 헤드(111R) 및 제2 관수 펌프(82L)의 펌프 헤드(111L)에는, 흡입부(114)와, 토출부(115)가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98)이 상하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흡입부(114)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흡입한 물을 토출부(115)로부터 토출한다. 흡입부(114)는, 펌프 헤드(111R) 및 펌프 헤드(111L)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토출부(115)는, 펌프 헤드(111R) 및 펌프 헤드(111L)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5)의 전방부에, 모종(7)에 관수하기 위한 물을 저류하는 관수 탱크 T가 배치되어 있다. 관수 탱크 T는,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관수 탱크 T는, 보닛(26)의 우측방에 배치된 제1 관수 탱크 T1 및 제2 관수 탱크 T2와, 보닛(26)의 좌측방에 배치된 제3 관수 탱크 T3 및 제4 관수 탱크 T4를 포함한다. 제2 관수 탱크 T2는, 제1 관수 탱크 T1의 기체 외측이며 또한 제1 관수 탱크 T1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관수 탱크 T1 및 제2 관수 탱크 T2는, 제1 탱크 브래킷(116)을 통해 기체(16)에 지지되어 있다. 제4 관수 탱크 T4는, 제3 관수 탱크 T3의 기체 외측이며 또한 제3 관수 탱크 T3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관수 탱크 T3 및 제4 관수 탱크 T4는, 제2 탱크 브래킷(117)을 통해 기체(16)에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관수 탱크 T1 및 제2 관수 탱크 T2는, 흡인 호스(119R)를 통해 제1 관수 펌프(82R)의 흡입부(114)에 접속되어 있다. 제3 관수 탱크 T3 및 제4 관수 탱크 T4는, 흡인 호스(119L)를 통해 제2 관수 펌프(82L)의 흡입부(114)에 접속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식부체(12R)의 상부측에 제1 관수 파이프(120R)(관수 파이프(120))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식부체(12L)의 상부측에 제2 관수 파이프(120L)(관수 파이프(120))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관수 펌프(82R)의 토출부(115)는, 토출 호스(122R)를 통해 제1 관수 파이프(120R)에 접속되고, 제2 관수 펌프(82L)의 토출부(115)는, 토출 호스(122L)를 통해 제2 관수 파이프(120L)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관수 펌프(82R)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제1 식부체(12R)에 공급되고, 제2 관수 펌프(82L)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제2 식부체(12L)에 공급된다.
제1 관수 파이프(120R)는, 제1 식부체(12R)를 지지하는 지지판(121R)(지지판(121))에 설치되고, 제2 관수 파이프(120L)는, 제2 식부체(12L)를 지지하는 지지판(121L)(지지판(121))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7)(식부 작업기(4))은, 작업기 장착 장치(123)를 통해 주행체(5)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 장착 장치(123)는, 메인 프레임(37)(식부 작업기(4))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 프레임(124)과, 메인 프레임(37)(식부 작업기(4))을 승강하는 작업기 승강 기구(125)를 갖는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24)은, 롤링축(54)을 롤링 축심 X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체(128)를 갖고 있다. 메인 프레임(37)은, 장착 프레임(124)에 대하여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 가능하다. 제1 식부체(12R) 및 제2 식부체(12L)는, 롤링 축심 X1을 사이에 두고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작업기 승강 기구(125)는, 주행체(5)와 장착 프레임(124)을 연결하는 연결 링크 기구(129)와, 식부 작업기(4)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체(130)를 갖는다.
연결 링크 기구(129)는, 평행 링크에 의해 구성되고, 상부 링크(129A)와, 상부 링크(129A)의 하방측에 배치된 하부 링크(129B)를 갖는다. 상부 링크(129A)는, 전방부가 기체(16)(기체 프레임(21))의 후방부에 기체 폭 방향 K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링크(129A)의 후방부는, 장착 프레임(124)에 기체 폭 방향 K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링크(129B)는, 전방부가, 기체(16)(기체 프레임(21))의 후방부에 기체 폭 방향 K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링크(129B)의 후방부는, 장착 프레임(124)에 기체 폭 방향 K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연결 링크 기구(129)에 의해 식부 작업기(4)를 평행상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 구동체(130)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는 승강 실린더이다. 승강 실린더(130)의 일단측(실린더 본체(130A)의 보텀측)은, 기체(16)(기체 프레임(21))의 후방부에 기체 폭 방향 K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130)의 타단측(피스톤 로드(130B)의 선단측에 설치된 연결체(130C))은, 장착 프레임(124)에 기체 폭 방향 K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130)의 일단측은, 상부 링크(129A)의 전방부와 동심상으로 피벗 지지되고, 타단측은, 하부 링크(129B)의 후방부와 동심상으로 피벗 지지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승강 실린더(130)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13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밸브(132)는, 제어 장치(131)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밸브(132)는, 전자 밸브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중립 위치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전환 가능한 3위치 방향 전환 밸브로 구성된다. 제어 밸브(132)는, 제어 장치(131)에 전기 배선 등에 의해 접속됨과 함께, 승강 실린더(130)의 실린더 본체(130A), 유압 펌프(133) 및 작동유 탱크(134)에 유압 관로를 통해 접속된다. 제어 장치(131)로부터 제어 밸브(132)에 상승 지령 신호가 발신되면, 제어 밸브(132)가 상승 위치로 전환되고, 유압 펌프(133)로부터의 작동유가 실린더 본체(130A)의 보텀측에 공급되고, 승강 실린더(130)가 신장하여 메인 프레임(식부 작업기(4))이 상승한다. 또한, 제어 장치(131)로부터 제어 밸브(132)에 하강 지령 신호가 발신되면, 제어 밸브(132)가 하강 위치로 전환되고, 작동유가 실린더 본체(130A)의 로드측에 공급되고, 승강 실린더(130)가 수축하여 메인 프레임(37)이 하강한다.
또한, 승강 구동체(130)는, 전동 실린더(전동 액추에이터) 또는 전동 유압 실린더(전동 유압 액추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동 실린더는, 전기 구동의 실린더이며, 예를 들어 전동 모터에 의해 볼 나사를 축심 주위로 회전시켜 볼 나사 너트를 이동시키고, 이 볼 나사 너트의 이동에 의해 로드를 진퇴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전동 유압 실린더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 오일 탱크, 유압 펌프, 밸브, 유압 실린더 등을 일체화한 액추에이터이며, 전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유압 펌프가 회전함과 함께 밸브가 전환되어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는 액추에이터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기구(135)를 갖고 있다. 롤링 기구(135)는, 롤링 모터(136)와, 롤링 롤러(137)와, 색체(138)를 갖고 있다. 롤링 모터(136) 및 롤링 롤러(137)는, 장착 프레임(124)(작업기 장착 장치(123))에 마련되어 있다. 롤링 모터(136) 및 롤링 롤러(137)는, 롤링축(54)보다도 상방이며 또한 메인 프레임(37)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롤링 롤러(137)는, 롤링 모터(136)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롤링 모터(136)는, 정역전 가능한 전동 모터로 구성된다. 또한, 롤링 모터(136)는, 제어 장치(131)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31)는, 롤링 기구(135)를 제어한다.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 모터(136)의 동력은, 전동 기구(기어 전동 기구)(139)를 통해 롤링 롤러(137)에 전달된다. 전동 기구(139)는, 롤링 모터(136)의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 기어(139A)와, 제1 기어(139A)에 맞물리는 제2 기어(139B)를 갖는다. 제2 기어(139B)는, 제1 기어(139A)보다도 대경이며 또한 롤링 롤러(137)와 일체 회전한다. 따라서, 롤링 모터(136)의 동력에 의해 롤링 롤러(137)가 정역으로 회전한다.
색체(138)는, 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케이블 등에 의해 형성되고, 롤링 롤러(137)에 권취되어 있다. 색체(138)의 일측(우측)(138R)은, 롤링 롤러(137)로부터 일측방(우측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타측(좌측)(138L)은, 롤링 롤러(137)로부터 타측방(좌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색체(138)의 일측(138R)은,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138L)은,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색체(138)의 일측(138R)은, 제1 완충 스프링(140R)의 일단측에 연결되고, 타측(138L)은, 제2 완충 스프링(140L)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완충 스프링(140R)의 타단측은, 메인 프레임(37)의 제1 스프링 걸이 스테이(52R)에 걸리고, 제2 완충 스프링(140L)의 타단측은, 제2 스프링 걸이 스테이(52L)에 걸려 있다. 즉, 색체(138)의 일단측은, 제1 완충 스프링(140R)을 통해 메인 프레임(37)의 기체 폭 방향 K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측은, 제2 완충 스프링(140L)을 통해 메인 프레임(37)의 기체 폭 방향 K2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롤링 모터(136)에 의해 롤링 롤러(137)를 정역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예를 들어 도 2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색체(138)의 좌측이 인장된다. 이에 의해, 메인 프레임(37)(식부 작업기(4))이, 롤링 축심 X1 주위로 도 22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롤링 모터(136)에 의해 롤링 롤러(137)를 정역 타방향(도 2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색체(138)의 우측이 인장된다. 이에 의해, 메인 프레임(37)(식부 작업기(4))이, 롤링 축심 X1 주위로 도 22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37)(식부 작업기(4))은, 롤링 축심 X1 주위로 자유 요동 가능하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24)에는, 식부 작업기(4)의 롤링 축심 X1 주위의 큰 요동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141)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센서(141)는, 식부 작업기(4)의 시계 방향의 요동을 검출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141R)와, 식부 작업기(4)의 반시계 방향의 요동을 검출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141L)를 포함한다. 제2 기어(139B)의 다수의 이 중 하나는, 다른 이보다 기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검출치(142)로 되어 있고, 이 검출치(142)가 제1 리미트 스위치(141R)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141L)의 접촉자에 접촉함으로써, 식부 작업기(4)의 롤링 축심 X1 주위의 큰 요동이 검출된다. 제1 리미트 스위치(141R) 또는 제2 리미트 스위치(141L)가, 검출치(142)를 검출하면, 예를 들어 롤링 모터(136)의 구동을 정지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작업기(4)는, 제1 식부체(12R)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1 감지 롤러(126R)(감지 롤러(126))와, 제2 식부체(12L)의 전방에 배치된 제2 감지 롤러(126L)(감지 롤러(126))를 갖는다. 제1 감지 롤러(126R)는, 제1 유닛 프레임(38R)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이식 유닛(63R)은, 제1 감지 롤러(126R)를 포함한다. 제2 감지 롤러(126L)는, 제2 유닛 프레임(38L)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이식 유닛(63L)은, 제2 감지 롤러(126L)를 포함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롤러(126R)는, 제1 식부체(12R)에 대응하는 포장(6)의 식부면인 제1 식부면(144R)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감지 롤러(126R)는, 제1 식부체(12R)로 모종(7)을 식부하는 제1 이랑(143R)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감지 롤러(126L)는, 제2 식부체(12L)에 대응하는 포장(6)의 식부면인 제2 식부면(144L)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2 감지 롤러(126L)는, 제2 식부체(12L)로 모종(7)을 식부하는 제2 이랑(143L)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감지 롤러(126R)는, 제1 식부면(144R) 상에서 구름 이동하고, 제1 식부면(144R)의 높이 변화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한다. 제2 감지 롤러(126L)는, 제2 식부면(144L) 상에서 구름 이동하고, 제2 식부면(144L)의 높이 변화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지 롤러(126R)는, 제1 유닛 프레임(38R)에 제1 롤러 지지 기구(145R)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감지 롤러(126L)는, 제2 유닛 프레임(38L)에 제2 롤러 지지 기구(145L)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롤러 지지 기구(145R)는, 제1 감지 롤러(126R)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롤러 브래킷(146R)과, 제1 롤러 브래킷(146R)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 감지 롤러(126R)를 포장면(지면)에 압박하는 제1 가압 스프링(스프링)(147R)을 갖는다. 제1 롤러 브래킷(146R)은, 제1 암(148A)과, 제2 암(148B)과, 연결 부재(148C)를 갖고 있다. 제1 암(148A)은, 제1 감지 롤러(126R)의 기체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암(148B)은, 제1 감지 롤러(126R)의 기체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암(148A) 및 제2 암(148B)은, 제1 감지 롤러(126R)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 부재(148C)는, 제1 감지 롤러(126R)의 전방측에서, 제1 암(148A)과 제2 암(148B)을 연결하고 있다.
도 25,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에는, 지지 브래킷(149)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149)은, 제1 유닛 브래킷(69)과 제2 유닛 브래킷(70)에 걸쳐 마련된 고정판(149A)과, 고정판(149A)에 고정된 설치 플레이트(149B)를 갖는다. 설치 플레이트(149B)는, 제1 감지 롤러(126R)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설치 플레이트(149B)는, 제1 감지 롤러(126R)의 기체 폭 방향 K2의 폭에 대응하는 폭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 플레이트(149B)는, 기체 폭 방향 K2의 외측 단부측의 제1 측판부(149a)와 기체 폭 방향 K2의 내측 단부측의 제2 측판부(149b)를 갖는다. 제1 암(148A) 및 제2 암(148B)의 전방부는, 피벗축(150)에 의해 제1 측판부(149a) 및 제2 측판부(149b)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제1 암(148A) 및 제2 암(148B)의 후방부에 제1 감지 롤러(126R)가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축심을 갖는 롤러축(15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5,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압 스프링(147R)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로드 부재(152)의 외측에 끼워져 있다. 로드 부재(152)의 하부는, 제2 암(148B)에 고정된 로드 지지축(153)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로드 부재(152)의 상부는, 제1 유닛 프레임(38R)의 제2 사이드 프레임(65B)에 고정된 지지 스테이(154)에 로드 부재(152)의 축심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가압 스프링(147R)은, 로드 부재(152)에 설치된 스프링 받침판(155)과 지지 스테이(154) 사이에 압축상으로 개재되어 있다.
제2 롤러 지지 기구(145L)는, 제2 감지 롤러(126L)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롤러 브래킷(146L)과, 제2 롤러 브래킷(146L)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2 감지 롤러(126L)를 포장면(지면)에 압박하는 제2 가압 스프링(스프링)(147L)을 갖는다. 제2 롤러 브래킷(146L)은, 제1 롤러 브래킷(146R)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롤러 브래킷(146L)은, 지지 브래킷(149)에 의해 제2 유닛 프레임(38L)에 지지되고, 롤러축(151)에 의해 제2 감지 롤러(126L)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가압 스프링(147L)은,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유닛 프레임(38L)측의 로드 부재(152)에 끼워져 있다. 해당 로드 부재(152)는, 제2 롤러 브래킷(146L)에 피벗됨과 함께, 제2 유닛 프레임(38L)의 제2 사이드 프레임(65B)에 고정된 지지 스테이(154)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식부면(144R)의 높이(높이 변화)는, 제1 롤러 브래킷(146R)의 요동량(제1 감지 롤러(126R)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변화량)을 제1 센서 기구(156R)에 의해 검출한다. 제2 식부면(144L)의 높이(높이 변화)는, 제2 롤러 브래킷(146L)의 요동량(제2 감지 롤러(126L)의 상하 방향의 위치의 변화량)을 제2 센서 기구(156L)에 의해 검출한다.
도 25,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센서 기구(156R)는,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와, 제1 검출 암(159R)을 갖고 있다.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는, 포텐시오미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는, 제1 유닛 프레임(38R)측의 제2 측판부(149b)에 고정된 센서 브래킷(158)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검출 암(159R)은, 암 본체(160)와 맞닿음자(161)를 갖는다. 암 본체(160)는, 전방부가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의 회전 검출자에 연결되어 있어, 해당 회전 검출자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맞닿음자(161)는, 암 본체(160)의 후방부에 고정되어 있다. 맞닿음자(161)는, 핀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롤러 브래킷(146R)의 제2 암(148B) 상에 맞닿아 있다. 암 본체(160)는, 제1 롤러 브래킷(146R)과 동심상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고, 제1 검출 암(159R)이 제1 롤러 브래킷(146R)과 함께 상하 요동함으로써,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가 제1 롤러 브래킷(146R)의 요동량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제1 식부면(144R)의 높이(높이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센서 기구(156L)는,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와, 제2 검출 암(159L)을 갖고 있다.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도, 포텐시오미터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는, 제2 유닛 프레임(38L)측의 제2 측판부(149b)에 고정된 센서 브래킷(158)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검출 암(159L)은, 암 본체(160)와 맞닿음자(161)를 갖는다. 암 본체(160)는, 전방부가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의 회전 검출자에 연결되어 있어, 해당 회전 검출자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맞닿음자(161)는, 암 본체(160)의 후방부에 고정되어 있다. 맞닿음자(161)는, 핀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롤러 브래킷(146L)의 제2 암(148B) 상에 맞닿아 있다. 암 본체(160)는, 제2 롤러 브래킷(146L)과 동심상으로 상하 요동 가능하고, 제2 검출 암(159L)이 제2 롤러 브래킷(146L)과 함께 상하 요동함으로써,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가 제2 롤러 브래킷(146L)의 요동량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제2 식부면(144L)의 높이(높이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5,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 지지 기구(145R)에는, 제1 감지 롤러(126R)의 진흙 떨어내기를 하는 스크레이퍼(162)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레이퍼(162)는, 스크레이퍼 브래킷(163)에 설치되어 있다. 스크레이퍼 브래킷(163)은, 제1 감지 롤러(126R)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제1 롤러 브래킷(146R)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롤러 지지 기구(145L)에도, 마찬가지로 제2 감지 롤러(126L)의 진흙 떨어내기를 하는 스크레이퍼(162)가 마련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 및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는, 제어 장치(131)에 접속되어, 검출값을 제어 장치(131)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131)는,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 및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에서 검출한 검출값을 취득한다.
제1 식부면(144R)과 제2 식부면(144L)에 높이의 차가 있으면, 제1 식부체(12R)로 식부하는 모종(7)의 식부 깊이와, 제2 식부체(12L)로 식부하는 모종(7)의 식부 깊이가 다르게 된다. 그래서, 제1 식부면(144R)과 제2 식부면(144L)에 높이의 차가 발생하면, 제1 식부면(144R)(식부면)에 대한 제1 식부체(12R)의 높이인 제1 높이 H1과 제2 식부면(144L)(식부면)에 대한 제2 식부체(12L)의 높이인 제2 높이 H2를 소정의 높이로 하기 위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상세하게는, 제어 장치(131)는, 제1 감지 롤러(126R) 및 제2 감지 롤러(126L)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1 높이 H1과 제2 높이 H2의 높이의 차를 산출하고, 이 높이의 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 장치(131)는, 제1 감지 롤러(126R) 및 제2 감지 롤러(126L)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값에 기초하여,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의 차를 산출하고, 이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의 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식부면(144R)에 대하여 제2 식부면(144L)이 높으면,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에 높이의 차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131)는,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좌측이 올라가고 우측이 내려가도록 요동시킨다. 이에 의해, 기본적으로는, 제1 식부체(12R)로 식부하는 모종(7)의 식부 깊이와, 제2 식부체(12L)로 식부하는 모종(7)의 식부 깊이를 동일한 깊이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각도 조절부(194)에 의해, 미리, 제1 높이 H1과 제2 높이 H2에, 높이의 차를 마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설정한 높이로 되돌아가도록,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131)는, 제1 감지 롤러(126R) 또는 제2 감지 롤러(126L) 중 한쪽의 감지 롤러에 의해 검출되는 식부면(포장(6))의 요철에 기초하여 식부 작업기(4)를 승강시키고, 상기 한쪽의 감지 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의 차를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감지 롤러(126R)에서 제1 식부면(144R)의 요철을 검출하고, 이 제1 식부면(144R)의 요철에 따라서 식부 작업기(4)를 승강함으로써, 기체 전후 방향 K1(이랑의 긴 쪽 방향)에 있어서의 모종(7)의 식부 깊이를 동일한 깊이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식부면이 높아지면, 식부 작업기(4)를 상승시키고, 식부면이 낮아지면, 식부 작업기(4)를 하강시킨다. 또한, 제1 감지 롤러(126R)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감지 롤러(126R)에 대한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에 의해 높이의 차를 산출한다. 제1 감지 롤러(126R) 또는 제2 감지 롤러(126L) 중 한쪽의 감지 롤러를 기준으로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의 차를 산출함으로써,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감지 롤러(126L)에서 제2 식부면(144L)의 요철을 검출하여, 식부 작업기(4)를 승강하고, 제2 감지 롤러(126L)를 기준으로 하여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의 차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2 감지 롤러(126L)의 높이의 차가 소정 미만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131)에 의한 롤링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식부 작업기(4)의 롤링 축심 X1 주위의 자유 요동으로 높이의 차가 흡수된다. 제어 장치(131)는, 제1 식부면(144R)과 제2 식부면(144L)의 높이의 차가 소정 이상이 되면 롤링 기구(135)를 작동시켜, 롤링 제어를 행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에는, 각각 요동 프레임(164)이 상하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은, 메인 프레임(37)에 대하여 고정이므로, 요동 프레임(164)은, 메인 프레임(37)(이식 프레임(36))에 대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다.
제1 유닛 프레임(38R)에 마련된 요동 프레임(164)을 제1 요동 프레임(164R)이라 하고, 제2 유닛 프레임(38L)에 마련된 요동 프레임(164)을 제2 요동 프레임(164L)이라 한다. 제1 요동 프레임(164R)과 제2 요동 프레임(164L)은, 좌우 대칭으로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요동 프레임(164R)과 제2 요동 프레임(164L)을 통합하여 설명한다.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164)은, 기체 외측의 제1 측부 프레임부(164A)와, 기체 내측의 제2 측부 프레임부(164B)와, 제1 측부 프레임부(164A)와 제2 측부 프레임부(164B)의 전후 중도부끼리를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부(164C)와, 제1 측부 프레임부(164A)와 제2 측부 프레임부(164B)의 후방부끼리를 연결하는 후방 프레임부(164D)와, 제1 측부 프레임부(164A)의 전방부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제1 지지부(164E)와, 제2 측부 프레임부(164B)의 전방부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제2 지지부(164F)를 갖는다.
제1 지지부(164E)는, 제1 유닛 브래킷(69)에 횡축(기체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지지부(164F)는, 제2 유닛 브래킷(70)에 횡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 프레임(164)은, 후방부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제1 유닛 브래킷(69)과 제2 유닛 브래킷(70)에 걸쳐 식부 구동축(165)이 횡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식부 구동축(165)에 제1 지지부(164E) 및 제2 지지부(164F)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부 구동축(165)에는, 전동 기어(166)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 전동 기어(166)에 구동 주축(71)으로부터 회전 동력이 전달되어 식부 구동축(165)이 회전한다.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요동 프레임(164R)에는, 제1 식부 승강 기구(167R)(식부 승강 기구(167))가 마련되고, 이 제1 식부 승강 기구(167R)에 제1 식부체(12R)가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2 요동 프레임(164L)에는, 제2 식부 승강 기구(167L)(식부 승강 기구(167))가 마련되고, 이 제2 식부 승강 기구(167L)에 제2 식부체(12L)가 상하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1 식부체(12R) 및 제1 식부 승강 기구(167R)는, 제1 식부 장치(35R)(식부 장치(35))를 구성하고, 제2 식부체(12L) 및 제2 식부 승강 기구(167L)는, 제2 식부 장치(35L)(식부 장치(35))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복토륜(62R)은, 제1 요동 프레임(164R)에 제1 롤러 프레임(롤러 프레임(168))(168R)에 의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복토륜(62L)은, 요동 프레임(164)에 제2 롤러 프레임(168L)(롤러 프레임(168))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롤러 프레임(168R)과 제2 롤러 프레임(168L)은,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롤러 프레임(168R)과 제2 롤러 프레임(168L)을 통합하여 설명한다.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프레임(168)은, 파이프재 등에 의해 형성되고, 기체 외측의 제1 측부 로드부(168A)와, 기체 내측의 제2 측부 로드부(168B)와, 후방부의 후방 로드부(168C)를 갖는다. 제1 측부 로드부(168A)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부위(168a)와, 제1 부위(168a)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 부위(168b)를 갖는다. 제1 부위(168a)의 전방부는, 제1 사이드 프레임(65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브래킷 부재(169)에 횡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측부 로드부(168B)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1 부위(168c)와, 제1 부위(168c)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 부위(168d)를 갖는다. 제1 부위(168c)의 전방부는, 제2 사이드 프레임(65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브래킷 부재(170)에 횡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방 로드부(168C)는, 제1 측부 로드부(168A)와 제2 측부 로드부(168B)의 후방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부위(168b)와 제2 부위(168d)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복토륜(62)은, 제1 부위(168a)의 후방부와 제1 부위(168c)의 후방부에 스테이 부재(171)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동 프레임(164R)과 제1 롤러 프레임(168R)에 걸쳐 제1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R)(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가 마련되고, 제2 요동 프레임(164L)과 제2 롤러 프레임(168L)에 걸쳐 제2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L)(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R)와 제2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L)는,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R)와 제2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L)를 통합하여 설명한다.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는,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고정하고 또한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모종(7)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기구이다.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는, 기구 프레임(173)과, 어저스트 모터(174)와, 구동 기구(175)와, 링크 부재(176)를 갖고 있다. 기구 프레임(173)은, 요동 프레임(164)의 후방 프레임부(164D)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어저스트 모터(174)는, 전동 모터에 의해 형성되고, 제어 장치(131)에 접속되어 있다. 어저스트 모터(174)는, 기구 프레임(173)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어저스트 모터(174)는, 기구 프레임(17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구(175)는,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구동된다. 상세하게는, 구동 기구(175)는,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기어(177)와, 제1 기어(177)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기어(178)를 갖는다. 링크 부재(176)는, 구동 기구(175)와 롤러 프레임(168)을 연결하고 또한 구동 기구(175)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한다.
제1 기어(177)는, 피니언 기어에 의해 형성되고, 제2 기어(178)는, 섹터 기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어(피니언 기어)(177)는, 기구 프레임(17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기어(섹터 기어)(178)는, 하부가 기구 프레임(173)에 피벗 지지되고, 상부에 제1 기어(피니언 기어)(177)에 맞물리는 기어부(178a)를 갖고 있다. 제2 기어(178)(섹터 기어)는, 링크 부재(176)를 연결하는 연결부(178b)를 갖고 있다. 링크 부재(176)는, 상부(176a)가 연결부(178b)에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 부재(176)의 하부(176b)는, 볼 조인트를 통해, 후방 로드부(168C)에 고정된 브래킷 부재(179)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에 있어서는,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제1 기어(177)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기어(178)가 피벗 지지부(180) 주위로 요동한다. 제2 기어(178)가 요동하면, 연결부(178b)가 상하 이동하여 링크 부재(176)를 상하 이동시킨다. 링크 부재(176)가 상하 이동하면, 롤러 프레임(168)에 대하여 요동 프레임(164)이 상하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이 변화됨과 함께, 복토륜(62)에 대한 식부체(12)의 높이가 변화된다. 복토륜(62)에 대한 식부체(12)의 높이를 변화시키면, 식부면에 대한 식부체(12)의 높이가 변화되므로, 식부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어저스트 모터(174)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이 고정되어, 설정한 식부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요동 프레임(164)은, 복토륜(62)이 포장(6)의 요철에 추종함으로써 상하로 요동한다. 요동 프레임(164)은, 요동 허용 범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식부 깊이를 변경하면, 요동 프레임(164)은, 이식 프레임(36)에 대하여 상하 요동하므로, 이식 프레임(36)에 대한 상하 방향의 상대 위치가 변화된다. 그래서,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을 변경하면, 제어 장치(131)는,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에 따라서 이식 프레임(36)에 대한 요동 프레임(164)의 상대 위치를 되돌리는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37)(이식 프레임(36))을 승강시킨다.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는,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량을 검출하는 검출부(182)를 갖고 있다. 검출부(182)는, 제어 장치(131)에 접속되어 있어,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량을 제어 장치(131)에 피드백한다. 검출부(182)는, 예를 들어 포텐시오미터로 구성된다. 검출부(182)의 회전 검출자는, 제2 기어(178)를 피벗하는 피벗축(181)에 연결되어 있다. 피벗축(181)은, 제2 기어(178)와 일체 회전한다. 따라서, 검출부(182)는, 제2 기어(178)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도 31은 복토륜(62)의 복토압(복토륜(62)이 지면을 압박하는 힘)의 조절을 행하는 복토압 조절 기구(183)를 도시하고 있다. 복토압 조절 기구(183)는, 지지판(185)과, 조작 레버(184)와, 스프링 걸이 암(186)과, 제1 고정 브래킷(187A)과 제2 고정 브래킷(187B)과, 연동 링크(188)와, 조절 스프링(189)을 갖는다.
지지판(185)은, 유닛 프레임(38)의 후방부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 레버(184)는, 지지판(185)에 피벗축(185A)에 의해 요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걸이 암(186)은, 조작 레버(184)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조작 레버(184)와 일체 요동한다. 제1 고정 브래킷(187A)은, 요동 프레임(164)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고정 브래킷(187B)은, 유닛 프레임(38)에 고정되어 있다. 연동 링크(188)는, 제1 고정 브래킷(187A)에 피벗 지지된 제1 링크(188A)와, 제2 고정 브래킷(187B)에 피벗 지지된 제2 링크(188B)를 갖고 있다. 제1 링크(188A)와 제2 링크(188B)는, 피벗 지지 연결되어 있다. 조절 스프링(189)은,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일단이 스프링 걸이 암(186)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지지 구멍(186a)에 걸리고, 타단이 제1 링크(188A)에 형성된 걸림 지지 구멍(188a)에 걸려 있다.
복토압 조절 기구(183)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84)를 피벗축(185A)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조절 스프링(189)의 스프링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복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판(185)의 상부에는, 복수의 걸림 지지부(185a)가 마련되어 있어, 조작 레버(184)의 걸림 지지편(184a)을 걸림 지지부(185a)에 걸림 지지함으로써, 조작 레버(184)를 복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는, 조작부(127)에 의해 조작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27)는, 운전석(3)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부(127)는, 운전석(3)의 전방의 스티어링 칼럼(27)의 상부에,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7)는, 스티어링 핸들(2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7)는, 운전석(3)에 착좌한 오퍼레이터가 조작 가능하다. 도 21,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27)는, 제어 장치(131)에 접속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27)는, 제어 장치(131)에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조작하는 조작 신호를 보낸다. 또한, 조작부(127)는,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조작하는 식부 깊이 조절부(190)를 갖는다. 식부 깊이 조절부(190)는, 조작부(127)의 후방부(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부(190)는, 조작 다이얼(회전 조작 부재)(191)과, 조작 다이얼(191)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192)를 갖고 있다. 지표(192)는, 조작 다이얼(191)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어저스트 모터(174))는, 조작 다이얼(19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조작된다. 식부 깊이 조절부(190)는, 조작 다이얼(191)의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깊이 표시부(193)를 갖는다. 깊이 표시부(193)는, 조작 다이얼(191)의 우측에 마련된 「깊다」의 문자와, 조작 다이얼(191)의 좌측에 마련된 「얕다」의 문자를 갖는다.
상기 식부 깊이 조절부(190)에 있어서는, 조작 다이얼(191)을 우측으로 돌리면, 조작부(127)로부터 제어 장치(131)에 제1 조작 신호 S1이 보내진다. 제어 장치(131)는, 제1 조작 신호 S1을 취득하면, 식부 깊이를 깊게 하는 방향으로 식부 깊이 조절부(190)를 작동시킨다. 지표(192)가 도 32에 도시한 전방(상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기준의 식부 깊이로 설정되어 있고, 조작 다이얼(191)을 지표(192)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돌리면 돌릴수록 식부 깊이가 기준의 깊이로부터 깊어진다. 또한, 조작 다이얼(191)을 좌측으로 돌리면 조작부(127)로부터 제어 장치(131)에 제2 조작 신호 S2가 보내진다. 제어 장치(131)는, 제2 조작 신호 S2를 취득하면, 식부 깊이를 얕게 하는 방향으로 식부 깊이 조절부(190)를 작동시킨다. 조작 다이얼(191)을 지표(192)가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부터 좌측으로 돌리면 돌릴수록 식부 깊이가 기준의 깊이로부터 얕아진다. 또한, 조작 다이얼(191)을 우측으로 돌리면 식부 깊이를 깊게 하고, 좌측으로 돌리면 식부 깊이를 얕게 하도록 해도 된다.
조작 다이얼(191)은, 단계적으로 조작 가능하며, 식부 깊이는,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조작 다이얼(191)을 연속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하여, 식부 깊이를 연속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해도 된다.
오퍼레이터(2)는, 식부 깊이 조절부(190)에 의해 운전석(3)에 착좌한 상태에서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모종(7)의 식부 깊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조작부(127)는, 각도 조절부(194)를 갖고 있다. 각도 조절부(194)는,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일측을 롤링 축심 X1 주위로 내리거나 또는 타측을 내리는 조작을 행한다.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일측을 내림으로써, 해당 일측의 식부체(12)가 내려가고,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타측을 내림으로써, 해당 타측의 식부체(12)가 내려간다. 이에 의해, 식부 깊이의 미세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부면(144R)과 제2 식부면(144L)이 동일한 높이여도, 제1 식부체(12R)로 식부하는 모종(7)의 식부 깊이와, 제2 식부체(12L)로 식부하는 모종(7)의 식부 깊이가 약간 다른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을 때, 예를 들어 식부 깊이가 얕은 쪽의 식부체(12)를 내림으로써, 식부 깊이의 미세 조절을 행한다. 롤링 제어는, 이 조절을 행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194)는, 조작부(127)의 전방부(상부)에 마련되며, 기체 폭 방향 K2로 횡배열로 배치된 제1 스위치(195) 및 제2 스위치(196)를 갖고 있다. 제1 스위치(195)는, 식부 작업기(4)의 일측(제1 식부체 배치측)을 롤링 축심 X1 주위로 내리는 제1 하강 신호를 제어 장치(131)에 보낸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스위치(195)는, 롤링 축심 X1 주위로 식부 작업기(4)의 제1 식부체 배치측을 내리는 제1 하강 신호 S3을 제어 장치(131)에 보낸다. 제어 장치(131)는, 제1 하강 신호 S3을 취득하면, 식부 작업기(4)의 우측을 내린다.
제2 스위치(196)는,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타측(제2 식부체 배치측)을 롤링 축심 X1 주위로 내리는 제2 하강 신호 S4를 제어 장치(131)에 보낸다. 제어 장치(131)는, 제2 하강 신호 S4를 취득하면, 식부 작업기(4)의 좌측을 내린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95) 또는 제2 스위치(196)를 누를 때마다, 식부 작업기(4)가 롤링 축심 X1 주위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식부 깊이를 소정의 치수 단위(수밀리 단위 또는 수센티 단위)로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작부(127)는, 이식부 높이 조절부(197)를 갖는다. 이식부 높이 조절부(197)는, 조작부(127)의 중도부(각도 조절부(194)와 식부 깊이 조절부(19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승 스위치(198)와, 하강 스위치(199)를 갖는다. 하강 스위치(199)는, 상승 스위치(198)의 우측이며 또한 후방(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식부 높이 조절부(197)는, 감지 롤러(126)와 복토륜(62)의 침강량의 차를 보정한다. 또한, 기계적·전기적인 초깃값의 어긋남의 보정에도 사용한다. 목적은 요동 프레임(164)이 요동 범위의 위 또는 아래로 크게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하는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전방부(식부 구동축(165))를 지지점으로 상하 요동하는 요동 프레임(164)에 식부체(12) 및 복토륜(62)이 부착되어 있고, 요동 프레임(164)에 대하여 (접지되어 있는) 복토륜(62)을, 예를 들어 1㎝ 올리면, 요동 프레임(164)이 내려가 식부체(12)가 땅속으로 약 1㎝ 깊게 들어가, 식부 깊이가 약 1㎝ 깊어진다.
요동 프레임(164)은 복토륜(62) 부분에서 약 4㎝의 요동 범위가 있고, 복토륜(62)이 요동 범위의 중앙에 있으면 이랑의 요철이 ±2㎝ 있어도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식 프레임(36)의 높이(요동 프레임(164)의 회동 지지점(식부 구동축(165))의 높이)가 동일하면, 복토륜(62)을 1㎝ 올리면, 요동 프레임(164)이 요동 범위의 하측으로 어긋나 이랑 요철 적응 범위는 -1㎝ 내지 +3㎝가 된다. 따라서, 식부 깊이를 1㎝ 깊게 하는 경우에는, 복토륜(62)을 1㎝ 올림과 함께 이식 프레임(36)을 1㎝ 내려 요동 프레임(164)이 요동 범위의 중앙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 범위는 -2㎝ 내지 +5㎝이며, 0은 분형근(모종(7)의 상토) 상면과 이랑 상면이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반드시 0이 동일면이 되는 것은 아니고, 깊게 심은 측의 조절 여유를 많이 취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감지 롤러(126)의 접지 높이와 복토륜(62)의 접지 높이는 동일하지 않다. 즉, 감지 롤러(126)보다 복토륜(62)쪽이 진압 하중이 높기 때문에 복토륜(62)이 가라앉아, 복토륜(62)이 감지 롤러(126)보다 낮아진다. 설계상, 복토륜(62) 쪽이 1㎝ 낮아진다고 보고 있지만, 복토륜(62)의 진압 하중 조절, 이랑 상면의 경도, 멀티 필름의 유무 등에 의해 침강량의 차가 변화된다. 이 침강량의 차를 보정하기 위해, 이식부 높이 조절부(197)를 마련하고 있다.
하강 스위치(198)를 누르면, 이식부 높이 조절부(197)는, 보정값(제1 보정값S5)을 제어 장치(131)에 보내고, 제어 장치(131)는, 그것에 기초하여 이식 프레임(36)을 내린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에서는, 감지 롤러(126)와 복토륜(62)의 접지면의 차가 1㎝인데, 이랑이 부드러워 복토륜(62)의 침강이 커서(요동 프레임(164)이 요동 범위의 하방으로 어긋나 있어), 접지면의 차가 큰, 예를 들어 접지면의 차가 1.5㎝인 것으로 하면, 하강 스위치(199)(「낮게」)를 눌러 이식 프레임(36)을 0.5㎝ 내려(감지 롤러를 0.5㎝ 올려), 요동 프레임(164)이 요동 범위의 중앙이 되도록 수정한다.
또한, 상승 스위치(198)를 누르면, 이식부 높이 조절부(197)는, 보정값(제2 보정값 S6)을 제어 장치(131)에 보내고, 제어 장치(131)는, 그것에 기초하여 이식 프레임(36)을 올린다. 구체적으로는, 이랑이 단단한 경우나 멀티 필름이 있는 경우에는 감지 롤러(126)와 복토륜(62)의 접지면 높이의 차가 적어, 요동 프레임(164)이 요동 범위의 상측으로 어긋나기 때문에, 상승 스위치(198)(「높게」)를 눌러 이식 프레임(36)을 올린다.
또한, 상승 스위치(198) 및 하강 스위치(199)는, 예를 들어 누를 때마다, 소정의 치수 단위로 수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로 복토륜(62)이 2㎝를 목표로 하면, 감지 롤러(126)는 복토륜(62)보다 1㎝ 높은 3㎝를 목표로 한다. 즉, 감지 롤러(126)의 검출값이 +1㎝(4㎝)가 되면 이식 프레임(36)을 올리고, -1㎝(2㎝)가 되면 이식 프레임(36)을 내린다. 또한, 상승 스위치(198)를 눌러 이식 프레임 높이를 0.5㎝ 「높게」 하면 감지 롤러(126)는 복토륜(62)보다 (1-0.5=)0.5㎝ 높은 2.5㎝를 목표로 제어한다(감지 롤러 높이 목표값은 낮아지지만 반대로 이식 프레임 높이는 높아진다). 즉, 감지 롤러(126)의 검출값이 +1㎝(3.5㎝)로 되면 이식 프레임(36)을 올리고, -1㎝(1.5㎝)로 되면 이식 프레임(36)을 내린다. 또한, 하강 스위치(198)를 눌러 이식 프레임 높이를 0.5㎝ 「낮게」 하면 감지 롤러(126)는 복토륜(62)보다 (1+0.5=)1.5㎝ 높은 3.5㎝를 목표로 제어한다. 즉, 감지 롤러(126)의 검출값이 +1㎝(4.5㎝)로 되면 이식 프레임(36)을 올리고, -1㎝(2.5㎝)로 되면 이식 프레임(36)을 내린다.
여기서, 도 33, 도 34를 참조하여, 제1 식부 승강 기구(167R) 및 제2 식부 승강 기구(167L)를 설명한다. 제1 식부 승강 기구(167R)와 제2 식부 승강 기구(167L)는, 좌우 대칭으로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식부 승강 기구(167R)와 제2 식부 승강 기구(167L)를 통합하여 설명한다.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 승강 기구(167)는, 제1 회전 케이스(201)와, 제2 회전 케이스(202)와, 지지판(121)을 갖는다. 제1 회전 케이스(201)는, 제1 측부 프레임부(164A)에 제1 지지축(20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측부 프레임부(164A)에 마련된 브래킷 부재(169)에 베어링 부재(204)를 마련하고, 이 베어링 부재(204)에 제1 지지축(20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1 지지축(205)에 제1 회전 케이스(201)가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205)에는, 스프로킷(203)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킷(203)에는, 식부 구동축(165)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프로킷(207)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된다.
도 33,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회전 케이스(202)는, 제1 회전 케이스(201)의 유단부측에 제2 지지축(206)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121)은, 제2 회전 케이스(202)에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판(121)의 상부에 피벗 지지축(208)을 통해 베어링 부재(209)를 마련하고, 이 베어링 부재(209)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부재(210)의 하단측에 베어링 부재(211)를 고정하고, 이 베어링 부재(211)에 제2 회전 케이스(202)에 마련된 제3 지지축(215)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121)에 식부체(12)가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식부체(12)는, 전방 구성체(12A)와 후방 구성체(12B)를 갖고, 전방 구성체(12A)의 상부 전방측이 지지판(121)에 마련된 피벗축(212A)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 구성체(12B) 상부 후방측이 지지판(121)에 마련된 피벗축(212B)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식부 승강 기구(167)는, 제1 지지축(205)에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식부체(12)를 승강시킨다. 상세하게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케이스(201) 및 제2 회전 케이스(202) 내에는, 제1 회전 케이스(201)가 제1 지지축(204) 주위로 화살표 Y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회전 케이스(20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2 회전 케이스(202)가 제1 회전 케이스(201)와는 역방향(화살표 Y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 전달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회전 케이스(201) 및 제2 회전 케이스(202)가 회전함으로써, 지지판(121)이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하로 평행 이동하여, 식부체(12)가 타원상의 궤적을 그리며 상하 운동(승강)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체(12)는, 식부 승강 기구(167)(제2 회전 케이스(202))의 측방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식부체(12)는, 측면으로 보아 제2 회전 케이스(202)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식부 장치(식부체(12) 및 식부 승강 기구(167))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부체(12)를 모종 적재대(9)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모종 적재대(9)에 근접시킬 수 있다.
식부체(12)를 식부 승강 기구(167)의 측방에 오버랩하여 배치하면, 모종(7)을 식부체(12)에 투입할 때, 식부 승강 기구(167)에 모종(7)의 분형근으로부터 흙이 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35,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21)의 상부에는, 커버 부재(213)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213)는, 베어링 부재(209), 베어링 부재(211), 피벗축(212A)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216A) 및 피벗축(212B)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216B)를 덮는 제1 커버부(213A)와, 지지판(121)과 식부체(12) 사이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제2 커버부(213B)를 갖는다.
도 35,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214A)의 식부체(12)측의 측면(214a)에, 관수 파이프(120)가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측면에 파이프 스테이(214)가 설치되고, 파이프 스테이(214)에 관수 파이프(120)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수 파이프(120)는, 커버 부재(213) 및 파이프 스테이(214)를 통해 지지판(121)에 마련되어 있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는,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37)에 탑재되어 있다.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는, 메인 프레임(37)의 레일 부재(제1 레일(56), 제2 레일(58))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 가이드(13)는, 모종 적재대(9)의 하부의 기체 폭 방향 K2 중앙부, 우측 및 좌측에 마련되고, 모종 적재대(9)의 하부에 마련된 지지 로드(217)에 설치되어 있다. 빈 트레이 가이드(14)는, 모종 적재대(9)의 기체 외측에 배치된 제1 로드부(14A)와, 모종 적재대(9)의 기체 내측에 배치된 제2 로드부(14B)와, 제1 로드부(14A)와 제2 로드부(14B)의 상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부(14C)를 갖는다. 모종 적재대(9)의 하부에는, 우측에 마련된 제1 수용부(218)와, 좌측에 마련된 제2 수용부(219)를 갖는다.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종 적재대(9R)는, 제1 홀더 부재(221R)를 갖는다. 제1 홀더 부재(221R)는, 상부 홀더(222R)와, 상부 홀더(222R)의 하방측에 마련된 하부 홀더(223R)를 갖는다. 상부 홀더(222R)는, 제1 수용부(218)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224R)와, 제2 수용부(219)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225R)와, 제1 스테이(224R)와 제2 스테이(225R)를 연결하는 연결 스테이(226R)를 갖는다. 연결 스테이(226R)의 기체 내측(좌측)에는, 제1 스테이판(227R)가 고정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26R)에는, 연결 브래킷(228)이 고정되어 있다(도 46 참조). 연결 브래킷(228)은, 제1 스테이판(227R)의 기체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 제1 스테이판(227R)에도 고정되어 있다. 제1 모종 적재대(9R)의 하부에는,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작동축(229)이 기체 폭 방향 K2에 걸쳐 또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작동축(229)의 기체 외측은, 제1 수용부(218)보다도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작동축(229)에는, 기체 폭 방향 K2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폴로워(230)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홀더(223R)는, 제1 수용부(218)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231R)와, 제2 수용부(219)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232R)와, 제1 스테이(231R)와 제2 스테이(232R)를 연결하는 연결 스테이(233R)를 갖는다.
연결 스테이(226R) 및 연결 스테이(233R)에는, 복수의 제1 롤러(234R)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26R)에 설치된 제1 롤러(234R)는, 제1 레일(56)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33R)에 설치된 제1 롤러(234R)는, 제2 레일(58)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종 적재대(9L)는, 제2 홀더 부재(221L)를 갖는다. 제2 홀더 부재(221L)는, 상부 홀더(222L)와, 상부 홀더(222L)의 하방측에 마련된 하부 홀더(223L)를 갖는다. 상부 홀더(222L)는, 제1 수용부(218)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224L)와, 제2 수용부(219)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225L)와, 제1 스테이(224L)와 제2 스테이(225L)를 연결하는 연결 스테이(226L)를 갖는다. 연결 스테이(226L)의 기체 내측(우측)에는, 제2 스테이판(227L)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 홀더(223L)는, 제1 수용부(218)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231L)와, 제2 수용부(219)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232L)와, 제1 스테이(231L)와 제2 스테이(232L)를 연결하는 연결 스테이(233L)를 갖는다.
연결 스테이(226L) 및 연결 스테이(233L)에는, 복수의 제2 롤러(234L)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26L)에 설치된 복수의 제2 롤러(234L)는, 제1 레일(56)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33L)에 설치된 복수의 제2 롤러(234L)는, 제2 레일(58)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종 적재대(9R)의 좌측부로부터 제2 모종 적재대(9L)에 걸쳐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연결 부재(23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스테이판(227)은, 연결 부재(235)의 우측부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2 스테이판(227L)은, 연결 부재(235)에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볼트 고정되어 있다.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가 연결 부재(235)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는, 제1 레일(56) 및 제2 레일(58)을 따라서 기체 폭 방향 K2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도 39는 조간 W1이, 가장 좁은 간격인 경우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스테이판(227L)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간 W1의 조절에 맞추어,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의 기체 폭 방향 K2의 간격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도 41은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를 기체 폭 방향 K2로 포트부(8a)의 1피치분 간헐적으로 횡이송하는 횡이송 기구(236)를 나타내고 있다. 횡이송 기구(236)는, 제1 모종 적재대(9R)의 하방에 배치된 횡이송축(237)을 갖는다. 횡이송축(237)은,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어 배치되고, 제1 유닛 프레임(38R)에 고정된 지지체(238)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238)는, 제1 유닛 프레임(38R)의 프레임 본체(64)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체(238)는, 프레임 본체(64)에 설치된 제1 브래킷(238A)과, 제1 브래킷(238A)에 고정된 제2 브래킷(238B)과, 제2 브래킷(238B)의 우측 단부측에 고정된 제3 브래킷(238C)과, 제2 브래킷(238B) 및 제3 브래킷(238C)에 고정된 기어 박스(238D)와, 제2 브래킷(238B)의 기어 박스(238D)와는 반대측에 마련된 제4 브래킷(238E)을 갖는다. 횡이송축(237)은, 기어 박스(238D)와 제4 브래킷(238E)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제3 브래킷(238C)의 하부에는, 구동 주축(71)과 일체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전동 스프로킷(239)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전동 스프로킷(239)은, 제2 브래킷(238B)에 마련된 제2 전동 스프로킷(240)에 동력을 전달 가능하다. 제2 전동 스프로킷(240)에 전달된 동력은, 해당 제2 전동 스프로킷(24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입력축으로부터 기어 박스(238D) 내의 전동 기구를 통해 횡이송축(237)에 전달된다.
횡이송축(237)에는, 축 방향으로 왕복하는 나선 홈(소위 트래버스 홈)(237a)을 외주면에 형성한 네이피어 나사가 사용되고 있다. 횡이송축(237)에는, 트래버스 홈(237a)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241a)를 구비한 미끄럼 이동체(241)가 끼워져 있다. 미끄럼 이동체(241)에는, 연결축(242)이 마련되고, 해당 연결축(242)은,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제1 홀더 부재(221R)에 마련된 연결 브래킷(228)에 연결되어 있다. 횡이송축(237)에는, 일단측 및 타단측에, 종이송 캠(조작체)(243)이 고정되어 있다.
횡이송축(237)이 회전하면, 트래버스 홈(237a)을 따라서 걸림 결합부(241a)가 안내되어 미끄럼 이동체(241)를 기체 폭 방향 K2로 왕복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적재대(9R)를 기체 폭 방향 K2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모종 적재대(9R)에 연결 부재(235)를 통해 제2 모종 적재대(9L)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가 일체적으로 기체 폭 방향 K2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조간 W1의 조절을 하는 경우,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1 유닛 프레임(38R)(제1 이식 유닛(63R))은, 횡이송 기구(236)를 통해 연결되고 또한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는, 연결 부재(235)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모종 적재대(9R), 제2 모종 적재대(9L) 및 제1 이식 유닛(63R)은, 기체 폭 방향 K2로 일체적으로 위치 조절된다. 제2 이식 유닛(63L)은, 제1 이식 유닛(63R)과는 별도로, 위치 조절된다.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이식 유닛(63L)을 기체 폭 방향 K2로 조정한 후에, 제2 모종 적재대(9L)를, 조절한 조간 W1에 맞추어 위치 조절한다.
도 42는 모종 트레이(8)를 경사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포트부(8a)의 1피치분 종이송하는 종이송 기구(244)와 모종 취출 장치(11)를 나타내고 있다. 종이송 기구(244)는, 각 모종 적재대(9)의 제1 수용부(218) 및 제2 수용부(219)의 각각에 마련된 트레이 이송 기구(245)를 갖는다. 트레이 이송 기구(245)는, 구동 스프로킷(246)과, 종동 스프로킷(247)과, 구동 스프로킷(246)과 종동 스프로킷(247)에 걸쳐 감겨진 엔드리스의 반송 체인(248)을 갖는다. 반송 체인(248)에는, 포트부(8a) 간에 끼우는 반송 핀(249)이 긴 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246)을, 도 42의 화살표 Y3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 체인(248) 및 반송 핀(249)을 통해 모종 트레이(8)가 적재판(10)을 따라서 하방으로(도 42의 화살표 Y4 방향으로) 종이송된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 장치(11)는, 모종 적재대(9)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며, 모종 취출 갈고리(250)를 갖고 있다. 모종 취출 갈고리(250)는, 후방으로부터 포트부(8a) 내에 돌입하여 모종(7)의 분형근을 찌르고, 분형근을 찌른 상태에서 포트부(8a)로부터 후퇴함으로써, 포트부(8a)로부터 모종(7)을 빼낸다. 모종 취출 갈고리(250)는, 모종(7)을 취출한 후, 모종(7)의 상토(분형근)가 하방의 식부체(12)를 향하도록 자세 변경하고, 그 후, 모종(7)을 방출하여 식부체(12)에 투입한다.
도 43 내지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송 기구(244)는, 트레이 이송 기구(245)를 구동하는 종이송 구동 기구(251)를 갖고 있다. 종이송 구동 기구(251)는, 종이송 주축(252)을 갖는다. 종이송 주축(252)은,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종이송 주축(252)에는,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의 방향 Y4(종이송 방향이라 함)로 이송하는 종이송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종이송 구동 기구(251)는, 제1 모종 적재대(9R)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1 모종 적재대(9R)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 방향(종방향) Y4로 이송하는 제1 종이송 작동축(253R)과, 제2 모종 적재대(9L)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 방향(종방향) Y4로 이송하는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을 갖는다. 제1 종이송 작동축(253R) 및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종이송 주축(252)의 외측에, 축심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송 주축(252)은,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체(255)와, 회전체(255)에 고정되고 또한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에 걸쳐 마련되는 축체(256)를 갖는다. 축체(256)(종이송 주축(252))는, 제2 모종 적재대(9L)로부터 제1 모종 적재대(9R)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축부(256a)를 갖는다. 축체(256)는, 제1 모종 적재대(9R)측의 제1 축(256A)과, 제2 모종 적재대(9L)측의 제2 축(256B)을 갖는다. 제2 축(256B)에 연장 축부(256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축(256A)과 제2 축(256B)은,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 사이에서 결합체(257)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결합체(257)는, 제1 축(256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결합(257A)과, 제2 축(256B)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결합부(257B)를 갖는다. 제1 결합(257A)과 제2 결합부(257B)는, 플랜지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된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은, 제1 축(256A)(축체(25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은, 회전체(255)에 인접하는 제1 입력부(258R)를 갖는 제1 회전통(259R)과, 제1 회전통(259R)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2 회전통(260R)과, 제1 회전통(259R)과 제2 회전통(260R)을 연결하는 연결통(261R)을 갖는다. 제1 회전통(259R)에,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제1 수용부(218) 내의 구동 스프로킷(24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회전통(260R)에,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제2 수용부(219) 내의 구동 스프로킷(24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모종 적재대(9R)의 구동 스프로킷(246)은, 제1 종이송 작동축(253R)과 일체 회전한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종 적재대(9R)의 기체 외측(우측)에는, 종이송 주축(252)으로부터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1 종이송 클러치(262R)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종이송 클러치(262R)는,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제2 모종 적재대(9L)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를 근접시킬 수 있다. 제1 종이송 클러치(262R)는, 회전체(255)에 마련된 구동 맞물림부(263)와, 제1 입력부(258R)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러치 본체(264)와, 클러치 본체(264)에 마련되어 있으며 클러치 본체(264)가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 맞물림부(263)에 결합 분리되는 종동 맞물림부(265)를 갖는다. 클러치 본체(264)를 회전체(25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종동 맞물림부(265)를 구동 맞물림부(263)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제1 종이송 클러치(262R)가 접속 상태로 되고, 구동 주축(71)으로부터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에 동력이 전달되어, 제1 모종 적재대(9R)의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 가능해진다. 또한, 클러치 본체(264)를 회전체(255)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종동 맞물림부(265)를 구동 맞물림부(263)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구동 주축(71)으로부터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제1 모종 적재대(9R)의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할 수 없는 상태(제1 종이송 클러치(262R)가 절단 상태)가 된다.
제1 모종 적재대(9R)의 우측에는, 제1 종이송 클러치(262R)를 조작하는 제1 클러치 조작 기구(266R)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클러치 조작 기구(266R)는, 조작 레버(267)와, 클러치 포크(268)와, 리턴 스프링(269)을 갖는다. 조작 레버(267)는, 제1 모종 적재대(9R)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포크(268)는, 클러치 본체(264)에 걸림 결합하고 또한 조작 레버(267)에 연결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269)은, 조작 레버(267)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조작 레버(267)가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제1 종이송 클러치(262R)가 접속 상태가 된다. 조작 레버(267)를 리턴 스프링(26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끌어내리면, 종동 맞물림부(265)가 구동 맞물림부(26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클러치 본체(264)가 이동하여, 제1 종이송 클러치(262R)가 절단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 레버(267)는 끌어내린 상태에서 유지 가능하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은, 제2 축(256B)(축체(25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은, 제1 모종 적재대(9R)측(우측)의 제1 회전통(259L)과, 제1 회전통(259L)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제2 회전통(260L)과, 제1 회전통(259L)과 제2 회전통(260L)을 연결하는 연결통(261L)을 갖는다. 제2 회전통(260L)은, 연장 축부(256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 입력부(258L)를 갖는다. 제1 회전통(259L)에, 제2 모종 적재대(9L)의 제1 수용부(218) 내의 구동 스프로킷(24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회전통(260L)에, 제2 모종 적재대(9L)의 제2 수용부(219) 내의 구동 스프로킷(24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모종 적재대(9L)의 구동 스프로킷(246)은, 제2 종이송 작동축(253L)과 일체 회전한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모종 적재대(9L)의 기체 외측(좌측)에는, 종이송 주축(252)으로부터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2 종이송 클러치(262L)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는, 회전부(271)와, 회전부(271)에 결합 분리되는 클러치 시프터(272)를 갖는다. 회전부(271)는, 연장 축부(256a)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회전부(271)는, 제2 모종 적재대(9L)에 설치되어 있고, 제2 모종 적재대(9L)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클러치 시프터(272)는, 제2 입력부(258L)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클러치 시프터(272)는,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부(271)에 결합 분리된다.
회전부(271)는, 구동 맞물림부(271a)를 갖고, 클러치 시프터(272)는, 구동 맞물림부(271a)에 맞물리는 종동 맞물림부(272a)를 갖는다. 클러치 시프터(272)의 종동 맞물림부(272a)를 구동 맞물림부(271a)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제2 종이송 클러치(262L)가 접속 상태가 되어, 구동 주축(71)으로부터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에 동력이 전달되어, 제2 모종 적재대(9L)의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 가능해진다. 또한, 클러치 시프터(272)의 종동 맞물림부(272a)를 구동 맞물림부(271a)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구동 주축(71)으로부터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제2 모종 적재대(9L)의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할 수 없는 상태(제2 종이송 클러치(262L)가 절단 상태)가 된다.
제2 모종 적재대(9L)의 좌측에는,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를 조작하는 제2 클러치 조작 기구(266L)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러치 조작 기구(266L)는, 조작 레버(267)와, 클러치 포크(268)와, 리턴 스프링(269)을 갖는다. 조작 레버(267)는, 제2 모종 적재대(9L)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포크(268)는, 클러치 시프터(272)에 걸림 결합함과 함께 조작 레버(267)에 연결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269)은, 조작 레버(267)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조작 레버(267)가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제2 종이송 클러치(262L)가 접속 상태가 된다. 조작 레버(267)를 리턴 스프링(269)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끌어내리면, 종동 맞물림부(272a)가 구동 맞물림부(271a)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클러치 시프터(272)가 이동하여, 제2 종이송 클러치(262L)가 절단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 레버(267)는 끌어내린 상태에서 유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 종이송 클러치(262R) 및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를 접속하면,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2조 심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 종이송 클러치(262R)를 절단하면,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8)만을 종이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를 절단하면, 제1 모종 적재대(9R)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8)만을 종이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1조 심기를 할 수 있다.
도 44,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송 기구(244)는, 횡이송 기구(236)로부터 종이송 구동 기구(251)에 동력을 전달하는 종이송 작동 기구(273)를 갖고 있다. 종이송 작동 기구(273)는, 축체(256)의 우측부에 마련된 축 지지부(27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통(275)과, 회전통(275)에 원웨이 클러치(276)를 통해 결합된 요동 레버(277)를 갖는다. 요동 레버(277)는, 종이송 동력을 전달하는 방향(도 46의 화살표 Y5 방향)으로 회전할 때 원웨이 클러치(276)를 통해 회전통(275)과 동행 회전한다. 또한, 요동 레버(277)는, 화살표 Y5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원웨이 클러치(276)가 헛돌아, 회전통(275)과는 동행 회전하지 않는다.
도 44,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송 작동 기구(273)는, 회전통(275)에 고정된 종이송 기어(278)와, 래칫 암(279)을 갖는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송 기어(278)는, 회전체(255)에 볼트 고정되어 있어 회전체(255)와 일체 회전한다. 래칫 암(279)은, 제1 모종 적재대(9R)에 요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종이송 기어(278)의 걸림 결합 이(278a)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279a)를 갖고 있다. 요동 레버(277)는, 래칫 암(279)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핀(277a)을 갖고 있다. 요동 레버(277)가, 화살표 Y5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통(275)과 종이송 기어(278)가 일체 회전하여 회전체(255)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모종 트레이(8)를 포트부(8a)의 세로 1피치분만큼 종이송한다. 이때, 걸림 결합 핀(277a)이 래칫 암(279)을 밀어올린다. 그렇게 하면, 걸림 결합부(279a)가 종이송 기어(278)의 걸림 결합 이(278a)로부터 빠진다. 모종 트레이(8)를 포트부(8a)의 세로 1피치분만큼 종이송한 후, 요동 레버(277)는 화살표 Y5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요동 레버(277)가 복귀할 때, 래칫 암(279)에 대하여 걸림 결합 핀(277a)이 래칫 암(279)을 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 결합부(279a)가 종이송 기어(278)의 다음 걸림 결합 이(278a)에 걸림 결합한다.
또한, 종이송 기어(278) 및 래칫 암(279)은, 포트부(8a)의 수 및 포트부(8a)의 피치가 다른 2종류의 모종 트레이(8)에 대응하여 종이송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2종류 마련되어 있다. 또한, 2종류의 래칫 암(279) 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종이송 기어(278)에 걸림 결합시키는 선택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레버(277)는, 연동 기구(280)를 통해 작동축(229)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1 모종 적재대(9R)가 횡이송축(237)의 회전에 의해 횡이송되어 횡이송 방향의 이동 영역의 단부까지 오면, 횡이송축(237)과 일체 회전하는 종이송 캠(243)이 폴로워(230)에 맞닿아, 작동축(229)이 회전한다. 작동축(229)이 회전하면, 연동 기구(280)가 요동 레버(277)를 당겨 이동시켜, 요동 레버(277)를 화살표 Y5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종이송 캠(243)이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하여 폴로워(230)로부터 빠지면, 요동 레버(277)가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Y5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한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9)의 하부에는, 모종 트레이(8)의 보급 시기를 검출하는 모종 소진 센서(281)가 마련되어 있다. 모종 소진 센서(281)가 작동한 상태에서, 적재판(10)에는, 2매의 모종 트레이(8)가 보급 가능하다.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모종(7)이 취출되는 모종 트레이(8))에는, 그 상방측의 모종 트레이(8)의 포트부(8a) 내의 흙 및 흙에 포함되는 수분 등의 하중이 가해진다. 그리고,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의 상방의 모종 트레이(8)의 하중에 의해,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가 만곡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종 적재대(9)에,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 방향 Y4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트레이 누름 기구(282)가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 누름 기구(282)에 의해 모종 트레이(8)의 종이송 방향 Y4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의 만곡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 방향 Y4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종이송 기구(244)에 대하여 종이송 방향 Y4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레이 누름 기구(282)를, 종이송 기구(244)와 오버랩하지 않고, 양호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의 상방의 모종 트레이(8)의 종이송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 트레이 누름 기구(282A)와, 최상위의 모종 트레이(8)의 종이송 방향 Y4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 트레이 누름 기구(282B)를 포함한다. 또한, 각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모종 트레이(8)의 한쪽의 측면 측에 배치된 제1 누름 기구(283)와, 모종 트레이(8)의 다른 쪽의 측면 측에 배치된 제2 누름 기구(284)를 포함한다.
제1 트레이 누름 기구(282A)와 제2 트레이 누름 기구(282B)는,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누름 기구(283)와 제2 누름 기구(284)는,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통의 부분은, 제1 누름 기구(283)와 제2 누름 기구(284)을 통합하여 설명한다.
도 47은 제2 누름 기구(284)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8은 제2 누름 기구(284)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종이송 방향 Y4의 전방(전방부)이란, 도 47의 화살표 Y4 방향이며, 종이송 방향 Y4의 후방(후방부)이란, 화살표 Y4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다.
도 47,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누름 기구(284)(제1 누름 기구(283))는, 베이스 부재(286)와, 피벗축(287)과, 회동통(288)과, 가압 부재(289)와, 압박 부재(290)와, 규제 로드(291)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286)는, 모종 적재대(9)(적재판(10))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부재(286)는, 판재로 형성되고, 적재판(10)의 기체 폭 방향 K2의 단부측에 볼트 등에 의해 설치된 설치벽(286a)과, 설치벽(286a)의 단부(모종 트레이(8)측의 단부)로부터 적재판(10)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기립벽(286b)을 갖는다. 피벗축(287)은, 베이스 부재(286)의 종이송 방향 Y4의 후방부(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설치벽(286a)에, 해당 설치벽(286a)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동통(288)은, 피벗축(287)의 외측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지지되어 있다).
가압 부재(289)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289)의 일단은, 회동통(288)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 부재(292)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걸이 부재(292)는, 회동통(288)으로부터 모종 트레이(8)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 걸이 부재(292)는, 모종 적재대(9)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으로부터 기체 폭 방향 K2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통(288)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 걸이 부재(292)에는, 가압 부재(289)의 일단을 거는 스프링 걸이 구멍(293)이 복수 마련되어 있어, 가압 부재(289)의 일단의 걸림 지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다. 스프링 걸이 부재(292)의 타단측은, 베이스 부재(286)에 기립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294)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294)는, 베이스 부재(286)의 종이송 방향 Y4의 전방부(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49,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누름 기구(283)의 스프링 걸이 부재(292A)는, 피벗축(287)의 기부측에서 회동통(288)에 고정되어 있다. 도 49,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누름 기구(284)의 스프링 걸이 부재(292B)는, 피벗축(287)의 선단측에서 회동통(288)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걸이 부재(292A)는, 스프링 걸이 부재(292B)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를 근접시킬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94)는, 상하로 2개의 스프링 걸이 구멍(걸림 지지부)(295A, 295B)을 갖고 있다. 가압 부재(289)의 일단측을 제1 누름 기구(283)의 스프링 걸이 부재(292A)에 거는 경우에는, 가압 부재(289)의 타단측을 하측의 스프링 걸이 구멍(295A)에 건다. 또한, 가압 부재(289)의 일단측을 제2 누름 기구(284)의 스프링 걸이 부재(292B)에 거는 경우에는, 가압 부재(289)의 타단측을 상측의 스프링 걸이 구멍(295B)에 건다.
도 47,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290)는, 기단측의 고정부(290a)와, 중도부의 맞닿음부(290b) 및 연결부(290c)와, 선단측의 선단측 부위(290d)를 갖는다. 고정부(290a)는, 회동통(288)에 고정되어 있다. 맞닿음부(290b)는, 고정부(290a)에 대하여 종이송 방향 Y4의 전방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290b)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모종 트레이(8)에 맞닿는다. 상세하게는, 맞닿음부(290b)는, 복수의 포트부(8a)의 측면에 맞닿는다. 즉, 압박 부재(290)는, 모종 트레이(8)의 측면에 맞닿는다. 압박 부재(290)를 모종 트레이(8)의 정면(상면벽(8b))에 맞닿게 해도 되지만, 그렇게 하면, 압박 부재(290) 사이에 모종(7)의 잎이 낄 우려가 있다. 압박 부재(290)를 모종 트레이(8)의 측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압박 부재(290) 사이에 모종(7)의 잎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290c)는, 고정부(290a)와 맞닿음부(290b)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290c)는, 고정부(290a)로부터 종이송 방향 Y4를 향함에 따라서 모종 트레이(8)에 근접하는 방향(모종 적재대(9)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종 트레이(8)를 맞닿음부(290b)로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다.
선단측 부위(290d)는, 맞닿음부(290b)에 대하여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선단측 부위(290d)는, 맞닿음부(290b)의 선단측의 단부로부터 종이송 방향 Y4를 향함에 따라서 모종 트레이(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모종 적재대(9)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으로부터 기체 폭 방향 K2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289)의 가압력은, 압박 부재(290)를 피벗축(287) 주위로 모종 트레이(8)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압박 부재(290)는, 가압 부재(289)에 가압되어 모종 트레이(8)를 압박한다. 압박 부재(290)가 모종 트레이(8)를 압박함으로써,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 방향 Y4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모종 트레이(8)는, 압박 부재(290)와 모종 트레이(8)의 측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종이송 방향 Y4의 이동이 억제되지만, 이 마찰력(가압 부재(289)의 가압력)은, 모종 트레이(8)의 종이송 방향 Y4의 이동은 억제하지만, 수분을 포함한 상토를 갖는 모종 트레이(8)의 자체 중량에 의한 종이송 방향 Y4의 이동은 정지시키지 않는 힘으로 설정된다.
도 47,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로드(291)는, 베이스 부재(286)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 로드(291)는, 제1 규제부(296)를 갖는다. 제1 규제부(296)는, 규제 로드(291)의 종이송 방향 Y4의 중도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규제부(296)는, 직선상으로 형성되며, 모종 트레이(8)의 측연부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모종 트레이(8)의 상방 이동을 규제한다. 제1 규제부(296)는, 지지 플레이트(294)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규제 로드(291)의 후방부(297)는, 제1 규제부(296)의 종이송 방향 Y4 후단으로부터 종이송 방향 Y4의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모종 트레이(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부위(297a)와, 제1 부위(297a)의 종이송 방향 Y4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 부재(286)의 설치벽(286a)에 고정된 제2 부위(297b)를 갖는다.
규제 로드(291)는, 압박 부재(290)가 모종 트레이(8)를 압박하지 않을 때 압박 부재(290)의 피벗축(287) 주위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298)를 갖는다. 제2 규제부(298)는, 규제 로드(291)의 전방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규제부(298)는, 제1 규제부(296)의 종이송 방향 Y4 전단으로부터 종이송 방향 Y4를 향함에 따라서 모종 트레이(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행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 부위(298a)와, 제1 부위(298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며 압박 부재(290)의 선단측 부위(290d)가 맞닿음 가능한 제2 부위(298b)를 갖는다.
모종 트레이(8)가 압박 부재(290)를 통과하면, 압박 부재(290)는, 피벗축(287) 주위로 적재판(10)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측으로 회동하지만, 이때, 제2 규제부(298)에 압박 부재(290)의 선단측 부위(290d)가 맞닿음으로써, 압박 부재(290)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박 부재(290)가 적재판(10)의 중앙측에 들어가, 모종 트레이(8)의 보급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종 트레이(8)를 보급할 때, 기체 폭 방향 K2에서 대향하는 압박 부재(290)의 간격을 넓히는 수고도 필요없다.
상기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적어도 하나의 모종 트레이(8)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적재하는 적재판(10)과, 적재판(10)을 따라서 모종 트레이(8)를 하방으로 종이송하는 종이송 기구(244)와,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의 방향 Y4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트레이 누름 기구(282)를 구비하고,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가압 부재(289)와, 가압 부재(289)에 가압되어 모종 트레이(8)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290)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압 부재(289)에 가압되어 모종 트레이(8)를 압박하는 압박 부재(290)에 의해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의 방향 Y4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종 트레이(8)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박 부재(290)는, 모종 트레이(8)의 측면을 압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8)의 측면을 압박함으로써, 압박 부재(290) 사이에 모종(7)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종이송 기구(244)에 대하여 종이송의 방향 Y4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 누름 기구(282)가 종이송 기구(244)와 오버랩하는 일이 없어, 트레이 누름 기구(282)를 양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적재판(10)에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286)와, 베이스 부재(286)에 고정된 피벗축(287)과, 피벗축(28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통(288)을 갖고, 압박 부재(290)는, 회동통(288)에 고정된 고정부(290a)와, 모종 트레이(8)에 맞닿는 맞닿음부(290b)와, 고정부(290a)와 맞닿음부(290b)를 연결하는 연결부(290c)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286)에 압박 부재(290)를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적재판(10)에 설치할 수 있어, 조립 장착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피벗축(287) 및 회동통(288)은, 압박 부재(290)의 종이송의 방향 Y4의 후방부측에 배치되고, 연결부(290c)는, 고정부(290a)로부터 종이송의 방향 Y4를 향함에 따라서 모종 트레이(8)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종 트레이(8)를 맞닿음부(290b)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베이스 부재(286)에 고정된 규제 로드(291)를 갖고, 규제 로드(291)는, 모종 트레이(8)의 측연부의 상면측에 위치하여 모종 트레이(8)의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296)와, 압박 부재(290)가 모종 트레이(8)를 압박하지 않을 때 압박 부재(290)의 피벗축(287) 주위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298)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규제부(296)에 의해 모종 트레이(8)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종 트레이(8)가 압박 부재(290)를 통과하였을 때, 압박 부재(290)가 적재판(10)의 기체 폭 방향 K2의 중앙부측으로 요동하는 것을 제2 규제부(298)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박 부재(290)가 모종 트레이(8)의 보급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베이스 부재(286)에 기립 설치되어 있으며 규제 로드(291)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94)와, 회동통(288)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 부재(292)를 갖고, 가압 부재(289)는, 일단부가 스프링 걸이 부재(292)에 걸림 지지되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지지 플레이트(294)는,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를 걸림 지지하는 걸림 지지부(295A, 295B)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286)에, 규제 로드(291) 및 가압 부재(289)를 조립 장착한 상태에서 적재판(10)에 설치할 수 있어, 조립 장착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빼내는 모종 취출 장치(11)를 구비하고, 적재판(10)은, 복수의 모종 트레이(8)를 경사 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나열하여 적재 가능하고, 모종 취출 장치(11)는, 적재판(10)에 적재된 복수의 모종 트레이(8) 중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취출 가능하고,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최하위의 모종 트레이(8)의 상방측에 위치하는 모종 트레이(8)가 종이송의 방향 Y4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종(7)이 취출되는 모종 트레이(8)에, 해당 모종 트레이(8)의 상방측의 모종 트레이(8)로부터의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모종(7)이 취출되는 모종 트레이(8)의 만곡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누름 기구(282)는, 가압 부재(289)와 압박 부재(290)를 포함하는 제1 누름 기구(283) 및 제2 누름 기구(284)를 갖고, 제1 누름 기구(283)는, 모종 트레이(8)의 한쪽의 측면 측에 배치되고, 제2 누름 기구(284)는, 모종 트레이(8)의 다른 쪽의 측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의하면, 모종 트레이(8)를 기체 폭 방향 K2의 양측으로부터 억제함으로써, 모종 트레이(8)의 종이송의 방향 Y4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상하로 왕복 이동하고 또한 하강 시에 포장(6)에 돌입하여 모종(7)을 식부하는 복수의 식부체(12)를 갖는 식부 작업기(4)와, 식부 작업기(4)의 전방에 배치된 주행체(5)와, 주행체(5)에 식부 작업기(4)를 기체 전후 방향 K1로 연신하는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작업기 장착 장치(123)와,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기구(135)를 구비하고, 복수의 식부체(12)는,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제1 식부체(12R) 및 제2 식부체(12L)를 포함하고, 롤링 기구(135)는, 포장(6)의 식부면에 대한 제1 식부체(12R)의 제1 높이 H1과, 식부면에 대한 제2 식부체(12L)의 제2 높이 H2를 소정의 높이로 하기 위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식부면에 대한 제1 식부체(12R)의 높이와, 식부면에 대한 제2 식부체(12L)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식부체(12R)로 식부되는 모종(7)의 식부 깊이와, 제2 식부체(12L)로 식부되는 모종(7)의 식부 깊이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롤링 기구(135)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31)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131)는, 모종(7)의 식부 시에 제1 높이 H1과 제2 높이 H2의 높이의 차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높이의 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작업기(4)가 민감하게 동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부 작업기(4)는, 제1 식부체(12R)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 제1 식부체(12R)에 대응하는 식부면(제1 식부면(144R))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감지 롤러(126R)와, 제1 식부체(12R)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어 제2 식부체(12L)에 대응하는 식부면(제2 식부면(144L))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감지 롤러(126L)를 갖고, 제어 장치(131)는, 제1 감지 롤러(126R) 및 제2 감지 롤러(126L)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값에 기초하여, 높이의 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감지 롤러(126R)에 의해 제1 식부체(12R)에 대응하는 식부면의 높이를 검출하고, 제2 감지 롤러(126L)에 의해 제2 식부체(12L)에 대응하는 식부면의 높이를 검출함으로써, 제1 높이 H1과 제2 높이 H2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 장착 장치(123)는, 식부 작업기(4)를 승강하는 작업기 승강 기구(125)를 갖고, 제어 장치(131)는, 제1 감지 롤러(126R) 또는 제2 감지 롤러(126L) 중 한쪽의 감지 롤러에 의해 검출되는 포장(6)의 요철에 기초하여 식부 작업기(4)를 승강시키고, 한쪽의 감지 롤러에 대한 다른 쪽의 감지 롤러의 높이에 의해 높이의 차를 산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감지 롤러에 의해 검출되는 포장(6)의 요철에 기초하여 식부 작업기(4)를 승강시킴으로써, 식부 작업기(4)의 승강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감지 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높이 H1과 제2 높이 H2의 높이의 차를 산출함으로써,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높이의 차가 소정 미만인 경우에는, 식부 작업기(4)의 롤링 축심 X1 주위의 자유 요동으로 높이의 차가 흡수되고, 제어 장치(131)는, 높이의 차가 소정 이상으로 되면 롤링 기구(135)를 작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제어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부 작업기(4)는, 제1 감지 롤러(126R)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롤러 브래킷(146R)과, 제1 롤러 브래킷(146R)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 스프링(147R)과, 제1 롤러 브래킷(146R)의 요동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 기구(156R)와, 제2 감지 롤러(126L)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롤러 브래킷(146L)과, 제2 롤러 브래킷(146L)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 스프링(147L)과, 제2 롤러 브래킷(146L)의 요동량을 검출하는 제2 센서 기구(156L)를 구비하고, 제1 센서 기구(156R)는,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와, 일단측이 제1 높이 검출 센서(157R)의 검출자에 연결되고 타단측에 제1 롤러 브래킷(146R) 상에 맞닿는 맞닿음자(161)를 갖고 또한 제1 롤러 브래킷(146R)과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1 검출 암(159R)을 갖고, 제2 센서 기구(156L)는,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와, 일단측이 제2 높이 검출 센서(157L)의 검출자에 연결되고 타단측에 제2 롤러 브래킷(146L) 상에 맞닿는 맞닿음자(161)를 갖고 또한 제2 롤러 브래킷(146L)과 연동하여 요동하는 제2 검출 암(159L)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면의 높이를 검출하는 기구를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롤링 기구(135)는, 작업기 장착 장치(123)에 설치된 롤링 모터(136) 및 롤링 모터(13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롤링 롤러(137)와, 롤링 롤러(137)에 권취되고 또한 일단측이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일측에 연결됨과 함께 타단측이 식부 작업기(4)의 기체 폭 방향 K2의 타측에 연결되는 색체(138)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기구(135)를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이식 프레임(36)과, 이식 프레임(36)에 대하여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164)과, 요동 프레임(164)에 설치되고 또한 포장(6)에 모종(7)을 식부하는 식부체(12)와, 요동 프레임(164)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프레임(168)과, 롤러 프레임(168)에 설치되고 또한 포장(6)에 접지하는 접지 롤러(복토륜(62))와,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고정하고 또한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모종(7)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구비하고,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는, 요동 프레임(164)에 마련된 기구 프레임(173)과, 기구 프레임(173)에 설치된 어저스트 모터(174) 및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구(175)와, 구동 기구(175)와 롤러 프레임(168)을 연결하고 또한 구동 기구(175)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링크 부재(176)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구동 기구(175)를 구동하여 링크 부재(176)를 상하 이동함으로써, 모종(7)의 식부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종(7)의 식부 깊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구(175)는,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기어(177)와, 제1 기어(177)에 맞물려 회전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링크 부재(176)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기어(178)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구(175)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77)는, 피니언 기어에 의해 형성되고, 제2 기어(178)는, 섹터 기어에 의해 형성되고, 섹터 기어는, 링크 부재(176)를 연결하는 연결부(178b)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구(175)를 더욱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식 프레임(36)을 승강하는 작업기 승강 기구(125)와, 작업기 승강 기구(125)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31)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131)는,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에 따라서 이식 프레임(36)에 대한 요동 프레임(164)의 상대 위치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이식 프레임(36)을 승강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깊이의 조정에 수반하여, 요동 프레임(164)을 요동 범위의 중앙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는,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량을 검출하여 제어 장치(131)로 피드백하는 검출부(182)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부(182)에 의해,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량을 검출하여 제어 장치(131)로 피드백함으로써, 요동 프레임(164)을 요동 범위의 중앙으로 정확하게 되돌릴 수 있다.
또한, 구동 기구(175)는, 어저스트 모터(174)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기어(177)와, 제1 기어(177)에 맞물려 회전하고 또한 회전함으로써 링크 부재(176)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기어(178)를 갖고, 검출부(182)는, 제2 기어(178)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러 프레임(168)과 요동 프레임(164)의 간격의 변경량을 검출하는 기구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기구 프레임(173)은, 요동 프레임(164)에 기립 설치되고, 어저스트 모터(174)는, 기구 프레임(173)의 상부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는, 기구 프레임(17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섹터 기어는, 하부가 기구 프레임(173)에 피벗 지지되고, 상부에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178a)를 갖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구(175)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포장(6)에 모종(7)을 식부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부체(12)와, 식부체(12)에 의해 식부되는 모종(7)의 식부 깊이를 조절하는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갖는 식부 작업기(4)와, 식부 작업기(4)를 장착하여 주행하는 주행체(5)와, 주행체(5)에 탑재된 운전석(3)과,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31)와, 운전석(3)의 근방에 마련되며, 또한 제어 장치(131)에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조작하는 조작 신호를 보내는 조작부(12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의 조작을 운전석(3)의 근방에 마련한 조작부(127)에 의해 행할 수 있으므로, 식부 깊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7)는,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조작하는 식부 깊이 조절부(190)를 갖는다.
또한, 식부 깊이 조절부(190)는, 회전시킴으로써 제어 장치(131)에 조작 신호를 보내는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와,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192)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깊이의 조절을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의 회전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의 회전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192)를 갖고 있으므로,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는, 한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모종(7)의 식부 깊이를 깊게 하는 방향으로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작동시키는 제1 조작 신호를 제어 장치(131)에 보내고,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모종(7)의 식부 깊이를 얕게 하는 방향으로 식부 깊이 조절 기구(172)를 작동시키는 제2 조작 신호를 제어 장치(131)에 보내고, 식부 깊이 조절부(190)는,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의 조작 방향을 나타내는 깊이 표시부(193)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 조작부(조작 다이얼(191))의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주행체(5)에 식부 작업기(4)를 기체 전후 방향 K1로 연신하는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작업기 장착 장치(123)와, 제어 장치(131)에 의해 제어되어 식부 작업기(4)를 롤링 축심 X1 주위로 요동시키는 롤링 기구(135)를 구비하고, 식부체(12)는 복수 마련되고, 복수의 식부체(12)는, 롤링 축심 X1을 사이에 두고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되는 제1 식부체(12R) 및 제2 식부체(12L)를 포함하고, 조작부(127)는, 롤링 기구(135)를 조작하는 각도 조절부(194)를 갖고, 각도 조절부(194)는, 롤링 축심 X1 주위로 식부 작업기(4)의 제1 식부체(12R) 배치측을 내리는 제1 하강 신호 또는 제2 식부체(12L) 배치측을 내리는 제2 하강 신호를 제어 장치(131)에 보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식부체(12R) 및 제2 식부체(12L)의 식부 깊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높이의 이랑에 대하여, 제1 식부체(12R)로 식부되는 모종(7)과 제2 식부체(12L)로 식부되는 모종(7)의 식부 깊이가 다른 경우에, 각도 조절부(194)에 의해 롤링 축심 X1 주위로 식부 작업기(4)를 요동 조절함으로써, 식부 깊이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절부(194)는, 제1 하강 신호를 제어 장치(131)에 보내는 제1 스위치(195)와, 제2 하강 신호를 제어 장치(131)에 보내는 제2 스위치(196)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부 작업기(4)의 제1 식부체(12R) 배치측을 내리는 조작과 제2 식부체(12L) 배치측을 내리는 조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31)에 의해 제어되는 작업기 승강 기구(125)를 구비하고, 식부 작업기(4)는, 작업기 승강 기구(125)에 의해 승강되는 이식 프레임(36)과, 이식 프레임(36)에 지지되어 있고 포장(6)의 식부면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여 식부면의 높이를 검출하는 감지 롤러(126)와, 식부체(12)가 설치되고 또한 이식 프레임(36)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프레임(164)과, 접지하여 요동 프레임(164)을 지지하는 복토륜(62)을 갖고, 조작부(127)는, 감지 롤러(126)와 복토륜(62)의 침강량의 차를 보정하는 이식부 높이 조정부(197)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감지 롤러(126)와 복토륜(62)의 침강량의 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이식부 높이 조정부(197)는, 이식 프레임(36)을 올리는 보정값을 제어 장치(131)에 보내기 위한 상승 스위치(198)와, 이식 프레임(36)을 내리는 보정값을 제어 장치(131)에 보내기 위한 하강 스위치(199)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식 프레임(36)을 올리거나 또는 내림으로써, 감지 롤러(126)와 복토륜(62)의 침강량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메인 프레임(37)과,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37)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와,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35)와, 제1 모종 적재대(9R)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빼내는 제1 모종 취출 장치(11R) 및 제1 모종 취출 장치(11R)에서 빼내어진 모종(7)을 포장(6)에 식부하는 제1 식부 장치(35R)를 갖는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빼내는 제2 모종 취출 장치(11L) 및 제2 모종 취출 장치(11L)에서 빼내어진 모종(7)을 포장(6)에 식부하는 제2 식부 장치(35L)를 갖는 제2 이식 유닛(63L)과, 제1 이식 유닛(63R)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모종 적재대(9R)를 기체 폭 방향 K2로 횡이송하는 횡이송 기구(236)를 구비하고,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이식 유닛(63L)은, 메인 프레임(37)에 각각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1 이식 유닛(63R)은, 횡이송 기구(236)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기체 폭 방향 K2로 일체적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제2 모종 적재대(9L)는, 연결 부재(235)에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이식 유닛(63R)과 제2 이식 유닛(63L)은,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되고,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는, 제1 이식 유닛(63R)의 위치 조절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제2 모종 적재대(9L)는, 제1 이식 유닛(63R)을 위치 조절한 후에, 연결 부재(235)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한다. 이에 의해, 복잡한 연동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제1 이식 유닛(63R) 및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이식 유닛(63L) 및 제2 모종 적재대(9L)의 간격 조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식 유닛(63R) 및 제2 이식 유닛(63L)의 전방부에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어 배치됨과 함께 메인 프레임(37)에 지지되어 있으며 횡이송 기구(236)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주축(71)을 구비하고, 제1 이식 유닛(63R)은, 제1 모종 취출 장치(11R) 및 제1 식부 장치(35R)가 설치되는 제1 유닛 프레임(38R)을 갖고, 제2 이식 유닛(63L)은, 제2 모종 취출 장치(11L) 및 제2 식부 장치(35L)가 설치되는 제2 유닛 프레임(38L)을 갖고,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은, 구동 주축(71)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주축(71)을 제1 유닛 프레임(38R) 및 제2 유닛 프레임(38L)의 지지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37)은, 제1 유닛 프레임(38R)의 후방에 배치된 제1 연결 플레이트(61R)와 제2 유닛 프레임(38L)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연결 플레이트(61L)를 갖고, 제1 유닛 프레임(38R)은, 제1 연결 플레이트(61R)에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설치 플레이트(76R)를 갖고, 제2 유닛 프레임(38L)은, 제2 연결 플레이트(61L)에 기체 폭 방향 K2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설치 플레이트(76L)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이식 유닛(63R) 및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이식 유닛(63L) 및 제2 모종 적재대(9L)의 간격 조절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37)은, 기체 폭 방향 K2로 연신되는 레일 부재(제1 레일(56), 제2 레일(58))를 갖고, 제1 모종 적재대(9R)는, 레일 부재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롤러(234R)와, 제1 롤러(234R)가 설치되는 제1 홀더 부재(221R)를 갖고, 제2 모종 적재대(9L)는, 레일 부재에 기체 폭 방향 K2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롤러(234L)와, 제2 롤러(234L)가 설치되는 제2 홀더 부재(221L)를 갖고, 제1 홀더 부재(221R)는, 연결 부재(235)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판(227R)을 갖고, 제2 홀더 부재(221L)는, 연결 부재(235)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판(227L)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의 간격 조절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모종 트레이(8)를 적재하는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와,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8)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기구(244)를 구비하고, 종이송 기구(244)는,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에 걸쳐 설치되고 또한 모종 트레이(8)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종이송 주축(252)과, 제1 모종 적재대(9R)에 마련되어 있어 제1 모종 적재대(9R)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8)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종이송 작동축(253R)과, 제2 모종 적재대(9L)에 마련되어 있어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8)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종이송 작동축(253L)과, 종이송 주축(252)으로부터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1 종이송 클러치(262R)와, 종이송 주축(252)으로부터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종이송 주축(252)으로부터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1 종이송 클러치(262R)와, 종이송 주축(252)으로부터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모종 적재대(9R)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8)와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한 모종 트레이(8) 중 임의의 모종 트레이(8)만을 종이송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종이송 주축(252)은,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체(255)와, 회전체(255)에 고정되고 또한 제1 모종 적재대(9R)와 제2 모종 적재대(9L)에 걸쳐 마련되는 축체(256)를 갖고, 제1 종이송 작동축(253R)은, 축체(25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또한 회전체(255)에 인접하는 제1 입력부(258R)를 갖고, 제1 종이송 클러치(262R)는, 회전체(255)에 마련된 구동 맞물림부(263)와, 제1 입력부(258R)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러치 본체(264)와, 클러치 본체(264)에 마련되어 있어 클러치 본체(264)가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 맞물림부(263)에 결합 분리되는 종동 맞물림부(265)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모종 적재대(9R)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하는 종이송 동력을 단속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모종 적재대(9L)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축체(256)는, 제1 모종 적재대(9R)측의 제1 축(256A)과, 제2 모종 적재대(9L)측의 제2 축(256B)과, 제1 축(256A)과 제2 축(256B)을 결합하는 결합체(257)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종이송 주축(252)의 조립 장착을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종 적재대(9L)는, 제1 모종 적재대(9R)와 기체 폭 방향 K2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제1 모종 적재대(9R)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 K2로 간격 조절 가능하고, 종이송 주축(252)은, 제2 모종 적재대(9L)로부터 제1 모종 적재대(9R)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축부(256a)를 갖고, 제2 종이송 작동축(253L)은, 연장 축부(256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 입력부(258L)를 갖고,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는, 연장 축부(256a)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제2 모종 적재대(9L)에 설치된 회전부(271)와, 제2 입력부(258L)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부(271)에 결합 분리되는 클러치 시프터(272)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종이송 클러치(262L)를, 제2 모종 적재대(9L)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8)를 종이송하는 종이송 동력을 단속할 수 있고 또한 제1 모종 적재대(9R)에 대한 제2 모종 적재대(9L)의 간격 조절을 허용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종이송 클러치(262R)는,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제2 모종 적재대(9L)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제2 모종 적재대(9L)를 근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이식기(1)는, 포장(6)에 모종(7)을 식부하는 식부 작업기(4)와, 식부 작업기(4)를 장착하여 주행하는 주행체(5)와, 주행체(5)에 탑재된 운전석(3)을 구비하고, 식부 작업기(4)는, 모종 트레이(8)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적재하는 적재판(10)과, 적재판(10)을 따라서 모종 트레이(8)를 하방으로 종이송하는 종이송 기구(244)와, 적재판(10) 상의 모종 트레이(8)로부터 모종(7)을 빼내는 모종 취출 장치(11)와, 모종 취출 장치(11)에 의해 모종(7)이 빼내어진 후의 모종 트레이(8)를 반전시켜 적재판(10)의 배면측으로 안내하는 반전 가이드(13)와, 반전 가이드(13)에 의해 반전된 모종 트레이(8)를 적재판(10)의 배면 상부로 안내하는 빈 트레이 가이드(14)를 갖고, 주행체(5)는, 운전석(3)과 빈 트레이 가이드(14) 사이에 배치되어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되는 빈 모종 트레이(8)를 수용하는 빈 트레이 수용부(15)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되는 빈 모종 트레이(8)는, 운전석(3)과 빈 트레이 가이드(14) 사이에 마련된 빈 트레이 수용부(15)에서 수용할 수 있으므로, 빈 모종 트레이(8)의 회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주행체(5)는, 운전석(3)의 전방 또한 하방에, 오퍼레이터의 발을 올려놓는 프론트 스텝(29a)을 갖고,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프론트 스텝(29a)보다 상방이며 또한 운전석(3)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 트레이 수용부(15)를 운전석(3)측으로부터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빈 트레이 가이드(14)는, 상부에, 빈 트레이 수용부(15)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운전석(3)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가이드부(14c)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 트레이 가이드(14)로부터 송출되는 빈 모종 트레이(8)를 상부 가이드부(14c)에 의해 빈 트레이 수용부(15)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부(14c)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 모종 트레이(8)를 상부 가이드부(14c)에 의해 빈 트레이 수용부(15)로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빈 트레이 수용부(15)의 후단부는, 상부 가이드부(14c)의 전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 모종 트레이(8)가, 빈 트레이 수용부(15)와 빈 트레이 가이드(14) 사이에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오퍼레이터가 발을 걸치는 적어도 하나의 리어 스텝(33)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어 스텝(33)에 발을 걸침으로써, 적재판(10)에 모종 트레이(8)를 용이하게 보급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스텝(33)을 빈 트레이 수용부(15)로 이용함으로써, 부재의 겸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부 작업기(4)는, 적재판(10), 종이송 기구(244), 반전 가이드(13) 및 빈 트레이 가이드(14)를 포함하는 모종 적재대(9)를 복수 갖고, 복수의 모종 적재대(9)는, 기체 폭 방향 K2로 나열되어 배치된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를 포함하고,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의 전방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모종 적재대(9)로부터 배출되는 빈 모종 트레이(8)의 회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빈 트레이 수용부(15)는, 오퍼레이터가 발을 걸치는 복수의 리어 스텝(33)을 갖고, 복수의 리어 스텝(33)은, 제1 모종 적재대(9R)의 전방에 배치된 제1 리어 스텝(33R)과, 제2 모종 적재대(9L)의 전방에 배치된 제2 리어 스텝(33L)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에 대응하여 리어 스텝(33)을 마련함으로써, 제1 모종 적재대(9R) 및 제2 모종 적재대(9L)의 각각에 대한 모종 트레이(8)의 보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6: 포장
7: 모종
8: 모종 트레이
9R: 제1 모종 적재대
9L: 제2 모종 적재대
11R: 제1 모종 취출 장치
11L: 제2 모종 취출 장치
35R: 제1 식부 장치
35L: 제2 식부 장치
37: 메인 프레임
38R: 제1 유닛 프레임
38L: 제2 유닛 프레임
56: 레일 부재(제1 레일)
58: 레일 부재(제2 레일)
61R: 제1 연결 플레이트
61L: 제2 연결 플레이트
63R: 제1 이식 유닛
63L: 제2 이식 유닛
71: 구동 주축
76R: 제1 설치 플레이트
76L: 제2 설치 플레이트
221R: 제1 홀더 부재
221L: 제2 홀더 부재
227R: 제1 스테이판
227L: 제2 스테이판
234R: 제1 롤러
234L: 제2 롤러
235: 연결 부재
236: 횡이송 기구
K2: 기체 폭 방향

Claims (9)

  1. 메인 프레임과,
    기체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빼내는 제1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1 모종 취출 장치에서 빼내어진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제1 식부 장치를 갖는 제1 이식 유닛과,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되는 모종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빼내는 제2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장치에서 빼내어진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제2 식부 장치를 갖는 제2 이식 유닛과,
    상기 제1 이식 유닛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모종 적재대를 기체 폭 방향으로 횡이송하는 횡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식 유닛과 상기 제2 이식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각각 독립적으로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1 이식 유닛은, 상기 횡이송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기체 폭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고,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는, 상기 연결 부재에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식 유닛 및 상기 제2 이식 유닛의 전방부에 기체 폭 방향으로 연신되어 배치됨과 함께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횡이송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주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이식 유닛은, 상기 제1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1 식부 장치가 설치되는 제1 유닛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2 이식 유닛은, 상기 제2 모종 취출 장치 및 상기 제2 식부 장치가 설치되는 제2 유닛 프레임을 갖고,
    상기 제1 유닛 프레임 및 상기 제2 유닛 프레임은, 상기 구동 주축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이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 유닛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된 제1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유닛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연결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1 유닛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에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설치 플레이트를 갖고,
    상기 제2 유닛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에 기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설치 플레이트를 갖는, 이식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기체 폭 방향으로 연신되는 레일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모종 적재대는, 상기 레일 부재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가 설치되는 제1 홀더 부재를 갖고,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는, 상기 레일 부재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롤러와, 상기 제2 롤러가 설치되는 제2 홀더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홀더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는 제1 스테이판을 갖고,
    상기 제2 홀더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설치되는 제2 스테이판을 갖는, 이식기.
  5. 모종 트레이를 적재하는 제1 모종 적재대 및 제2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1 모종 적재대 및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종이송 기구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걸쳐 설치되며 또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종이송 주축과,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종이송 작동축과,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모종 트레이를 종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종이송 작동축과,
    상기 종이송 주축으로부터 상기 제1 종이송 작동축에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1 종이송 클러치와,
    상기 종이송 주축으로부터 상기 제2 종이송 작동축으로 동력을 단속 가능하게 전달하는 제2 종이송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는, 이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송 주축은, 상기 종이송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걸쳐 마련되는 축체를 갖고,
    상기 제1 종이송 작동축은, 상기 축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또한 상기 회전체에 인접하는 제1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1 종이송 클러치는,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구동 맞물림부와, 상기 제1 입력부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러치 본체와, 상기 클러치 본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본체가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맞물림부에 결합 분리되는 종동 맞물림부를 갖는, 이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측의 제1 축과,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측의 제2 축과,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결합하는 결합체를 갖는, 이식기.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 기체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에 대하여 기체 폭 방향으로 간격 조절 가능하고,
    상기 종이송 주축은, 상기 제2 모종 적재대로부터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연장 축부를 갖고,
    상기 제2 종이송 작동축은, 상기 연장 축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제2 종이송 클러치는, 상기 연장 축부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에 설치된 회전부와, 상기 제2 입력부에 축심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축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에 결합 분리되는 클러치 시프터를 갖는, 이식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이송 클러치는, 상기 제1 모종 적재대의 상기 제2 모종 적재대와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는, 이식기.
KR1020217039578A 2019-06-18 2020-06-17 이식기 KR202200026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2933A JP7134921B2 (ja) 2019-06-18 2019-06-18 移植機
JPJP-P-2019-112933 2019-06-18
JPJP-P-2019-112936 2019-06-18
JP2019112936A JP7229859B2 (ja) 2019-06-18 2019-06-18 移植機
PCT/JP2020/023818 WO2020256022A1 (ja) 2019-06-18 2020-06-17 移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50A true KR20220002650A (ko) 2022-01-06

Family

ID=7404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578A KR20220002650A (ko) 2019-06-18 2020-06-17 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20002650A (ko)
CN (1) CN113923974B (ko)
WO (1) WO20202560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117A (ja) 1998-11-12 2000-05-23 Kubota Corp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6411B2 (ja) * 1995-07-25 2004-09-1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H11151005A (ja) * 1997-09-22 1999-06-08 Kubota Corp 移植機
JP4168200B2 (ja) * 1999-09-06 2008-10-22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4572903B2 (ja) * 2007-02-21 2010-11-04 井関農機株式会社 乗用型苗植機
JP5710919B2 (ja) * 2010-09-15 2015-04-30 ヤンマー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3155749B (zh) * 2011-12-19 2015-04-15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钵盘苗蔬菜移栽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117A (ja) 1998-11-12 2000-05-23 Kubota Corp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022A1 (ja) 2020-12-24
CN113923974B (zh) 2023-05-09
CN113923974A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70B1 (ko) 묘식기
KR20220002649A (ko) 이식기
KR20220002650A (ko) 이식기
KR20220002648A (ko) 이식기
JP7214578B2 (ja) 移植機
JP7134921B2 (ja) 移植機
JP7237748B2 (ja) 移植機
JP7229859B2 (ja) 移植機
JP7200051B2 (ja) 移植機
JP7200052B2 (ja) 移植機
JP7301617B2 (ja) 移植機
JP7200053B2 (ja) 移植機
JP6047966B2 (ja) 苗移植機
JP7009311B2 (ja) 作業機
JP6983723B2 (ja) 作業機
JP7391549B2 (ja) 移植機
JP5001812B2 (ja) 歩行型田植機の伝動構造
JP6481675B2 (ja) 苗移植機
JP7019512B2 (ja) 作業機
JP7019511B2 (ja) 作業機
JP6983725B2 (ja) 作業機
JP6983724B2 (ja) 作業機
JP7009310B2 (ja) 作業機
CN213152889U (zh) 移植机
JP3401580B2 (ja) 自走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