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412A -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2412A KR20220002412A KR1020217037946A KR20217037946A KR20220002412A KR 20220002412 A KR20220002412 A KR 20220002412A KR 1020217037946 A KR1020217037946 A KR 1020217037946A KR 20217037946 A KR20217037946 A KR 20217037946A KR 20220002412 A KR20220002412 A KR 202200024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external device
- usb
- control unit
- communication meth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150061490 tdrp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H04L67/36—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전자기기는, 복수의 통신방법의 1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을 갖는다. 전자기기는, 통신 수단에 의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복수의 통신방법 중,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한다. 전자기기는, 판정된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USB Type-C 규격에 준거한 케이블을 사용하여, USB와는 다른 규격에 준거한 통신(비 USB 통신)을 행하는 올터네이트 모드(Alternate Mode)가 알려져 있다. 올터네이트 모드에 대응한 기기 사이에서는, 1개의 인터페이스(동일한 케이블)를 사용해서 USB 규격에 준거한 통신(USB 통신)과 비 USB 통신을 전환하면서 실행할 수 있다.(특허문헌 1). DisplayPort(DP) 규격에 준거한 통신(DP 통신)은, 올터네이트 모드를 사용해서 실행할 수 있는 비 USB 통신의 일례이다.
올터네이트 모드에 대응한 기기 사이에서 소정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기가 적절한 통신 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DP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접속된 2개의 기기가 DP 규격에 대응하고 있고, 또한, 한쪽의 기기가 DP 규격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출력측 기기), 다른 쪽의 기기가 싱크 기기(입력측 기기)로서 동작가능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쪽의 기기가 DP 규격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나, 양쪽의 기기가 소스 기기 또는 싱크 기기로서밖에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DP 통신은 행할 수 없다.
그러나, 종래의 올터네이트 모드 대응기기에 있어서는, 단지 자신의 통신 능력에 근거하여 상대 기기와의 통신방법을 유저에게 선택시키고 있었다. 그 때문에, 유저가 선택한 통신방법으로는 상대 기기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유저는,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선택한 것을, 상대 기기와의 통신에 실패할 때까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함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전자기기의 사용의 편리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복수의 통신방법의 1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과, 제어 수단을 갖고, 제어 수단은, 통신 수단에 의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정보 복수의 통신방법 중,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하고, 판정된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복수의 통신방법 중 1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을 갖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통신 수단에 의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복수의 통신방법 중,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판정 공정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된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공정을 갖는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전자기기(1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외부 기기의 접속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기기의 접속을 검출하는 동작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SS 모드에서의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DP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6a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USB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6b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USB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7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USB 통신으로부터 DP 통신으로의 전환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8a는 실시형태 2에 있어 DP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8b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DP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9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DP 통신으로부터 USB 통신으로의 전환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10a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을 판정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10b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을 판정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외부 기기의 접속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기기의 접속을 검출하는 동작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SS 모드에서의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DP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6a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USB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6b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USB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7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USB 통신으로부터 DP 통신으로의 전환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8a는 실시형태 2에 있어 DP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8b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DP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9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DP 통신으로부터 USB 통신으로의 전환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10a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을 판정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도10b는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을 판정하는 절차에 관한 시퀀스 차트.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USB 규격에 있어서의 올터네이트 모드는, 1개의 인터페이스 또는 케이블을 사용하여, 다른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통신방법의 1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기술의 일례이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기술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관한 USB 3.1 규격, USB Type-C 규격, USB PD(Power Delivery) 규격의 상세에 대해는, 규격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게임기, 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컴퓨터 기기를 비롯하여, 로봇, 자동차, 가전제품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1]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도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전자기기(1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제어부(101)는, 1개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를 갖는다. 제어부(101)의 프로세서는, 불휘발성 메모리(1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RAM(104)을 사용해서 실행함으로써 전자기기(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자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현한다. 이하, 제어부(101)가 행하는 동작은,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제어부(101)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버스(130)는, 접속된 기능 블록에 대하여, 다른 기능 블록과의 통신로를 제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03)는, 제어부(101)의 프로세서가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각종의 설정, GUI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104)은, 제어부(101)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의 실행에 사용한다. SDRAM(105)은, 화상 데이터의 버퍼로서 사용되거나, 관리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미디어 인터페이스(IF)(108)는, 기록매체(109)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다. 미디어 IF(108)은,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기록매체(109)에 대해 코맨드를 송신하거나, 기록매체(109)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기록매체(109)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다.
촬상부(120)는, 촬상 광학계(렌즈), 조리개, 셔터, 촬상 소자 등을 포함한다. 촬상부(120)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촬상 동작을 실행하고, 얻어진 RAW 화상 데이터를, 버스(130)를 경유해서 SDRAM(105)에 보존한다.
현상부(121)는, SDRAM(105)에 보존되어 있는 RAW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현상부(121)는 판독한 RAW 화상 데이터에 현상 처리를 적용한다. 현상 처리에는 예를 들면, 화소 보간처리, 필터 처리, 리사이즈 처리, 색 변환 처리, 신호 포맷 변환 처리 등이 포함되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호 포맷 변환 처리는, 예를 들면, RGB 형식으로부터 YCbCr 형식으로의 변환 처리다. 현상부(121)는, 현상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SDRAM(105)에 보존한다.
제어부(101)는, 현상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SDRAM(105)으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소정 형식의 데이터 파일을, 미디어 IF(108)을 통해 기록매체(109)에 기록한다. 제어부(101)는 또한, 기록매체(109)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파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SDRAM(105)에 보존한다.
표시 제어부(106)는, SDRAM(105)으로부터 현상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06)는, 판독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106)는, 화상 데이터에 예를 들면, 표시부(107)의 해상도에 따른 스케일링 처리를 적용해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106)는, 생성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터치 디스플레이인 표시부(107)에 출력한다.
표시부(107)는, 표시 제어부(106)에서 생성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07)는, 메뉴 화면, 아이콘, 소프트웨어 키 등의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107)에 설정된 터치패널은, 유저가 전자기기(100)에 지시를 주기 위한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이때, 전자기기(100)는 스위치나 버튼 등,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가져도 된다.
USB Type-C 리셉터클(115)(이하, Type-C 리셉터클(115)로 부른다)은, USB Type-C 규격에 준거한 리셉터클이다. Type-C 리셉터클(115)은, USB 케이블 등에 설치된 Type-C 플러그와 끼워맞춘다. 제어부(101)는, Type-C 리셉터클(115)을 통해 외부 기기와 다양한 규격 및 속도에서 통신한다. Type-C 리셉터클(115)에는, USB 통신 및 비 USB 통신을 위한 콘트롤러 110∼113과 절단부(117)가 접속된다.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와 SuperSpeed(SS) 모드에서 USB 통신하는 경우, USB 3.1 콘트롤러(111)(이하, SS(111)로도 부른다)를 사용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와 USB 2.0까지의 스피드 모드(Non-SuperSpeed(NSS) 모드)에서 USB 통신하는 경우, USB 2.0 콘트롤러(110)(이하, NSS(110)로도 부른다)를 사용한다. NSS 모드에는, High-Speed 모드, Full-Speed 모드, 및 Low-Speed 모드가 포함된다.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와 비 USB 통신으로서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DP 통신을 행하는 경우, Display 콘트롤러(112)(이하, DP(112)로도 부른다)를 사용한다.
PD 콘트롤러(113)는, 전환부(116)의 제어에 따라, USB PD 규격에서 정해진 시퀀스에 준해서 올터네이트 모드의 개시 및 종료를 제어한다.
멀티플렉서(MUX)(114)는, 전환부(116)의 제어에 따라, SS(111)의 신호선과 DP(112)의 신호선을 선택적으로 Type-C 리셉터클(115)에 접속한다.
전환부(116)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PD 콘트롤러(113)와 MUX(114)을 제어한다.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통해 외부 기기와 CC(콘피거레이션 채널)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한다. 올터네이트 모드에 있어서의 USB 통신과 비 USB 통신은, 전환부(116)의 제어에 의해 전환된다.
절단부(117)는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CC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절단 상태로 한다. 절단부(117)의 접속 및 접속 해제는, 제어부(101)가 제어한다.
모드 취득부(119)는 PD 콘트롤러(113)를 제어하여, USB PD 규격의 시퀀스를 사용해서 외부 기기가 DisplayPort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접속 구성>
도2는,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가 USB Type-C 규격의 커넥터에 의해 접속될 때의 신호선 또는 채널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200)는 예를 들면, DisplayPort over USB-C(또는 DP Alt Mode)에 대응한 표시장치다. 외부 기기(200)도 전자기기(100)가 갖는 Type-C 리셉터클(115)과 같은 Type-C 리셉터클(210)을 갖고 있다.
D+/D-(201)는 USB 2.0 콘트롤러(110)에 의한 NSS 모드의 USB 통신에 사용된다. SS TX/RX(202)은, USB 3.1 콘트롤러에 의한 SS 모드의 USB 통신에 사용된다. 올터네이트 모드에 있어서 SS TX/RX(202)은, DP 콘트롤러(112)에 의한 DP 통신에도 사용된다. VBUS(203)은 5V의 전원 라인이다. CC(콘피거레이션 채널)(204)은, 외부 기기와의 접속에 관한 검출, 설정, 관리 등에 사용된다.
<접속 검출에 대해>
USB Type-C 규격에서는 CC1, CC2에 풀업 저항 Rp 또는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함으로써, 기기의 접속이나 역할을 인식하거나, 상대 기기에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소스 기기는 CC에 풀업 저항 Rp을 접속하고, 싱크 기기는 CC에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한다. 이때, 소스 기기는 접속을 검출하는 기기, 싱크 기기는 접속이 검출되는 기기이다. 풀업 저항 Rp 및 풀다운 저항 Rd의 구체적인 저항값은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3의 시퀀스 차트를 사용하여, 소스 기기(이하, 소스로 부른다)와 싱크 기기(이하, 싱크로 부른다)의 접속 검출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자기기(100)가 소스, 외부 기기(200)가 싱크인 것으로 한다.
S300에서, 제어부(101)는, USB 2.0 콘트롤러(110)를 제어해서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를 Rp로 풀업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USB 2.0 콘트롤러(110)가 Type-C 리셉터클(115)의 VBUS에의 급전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S301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CC1, CC2를 Rd로 풀다운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전자기기(100)가 급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Type-C 리셉터클(210)의 VBUS에서는 급전이 검출되지 않는다.
S302에서, 전자기기(100) 및 외부 기기(200)의 Type-C 리셉터클 115, 210에 USB Type-C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 사이에서 CC1, CC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가 외부 기기(200) 내의 풀다운 저항 Rd와 접속된다.
S304에서, USB 2.0 콘트롤러(110)는, CC1, CC2가 Rd으로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것에 의해 싱크(외부 기기(200))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305에서, 제어부(101)는, USB 2.0 콘트롤러(110)를 제어하여, Type-C 리셉터클(115)의 VBUS에의 급전을 개시한다.
S306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VBUS에의 급전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소스(전자기기(100))와의 접속을 인식한다.
<SS 모드에서의 접속 시퀀스>
다음에, USB Type-C 규격에 있어서, SS 모드의 접속 시퀀스에 대해 도4의 시퀀스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자기기(100)가 소스 또한 USB 호스트, 외부 기기(200)가 싱크 또한 USB 디바이스인 것으로 한다.
도4의 S400∼S406은 도3의 S300∼S306과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407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USB 3.1 콘트롤러(111)를 제어하여, SS(SuperSpeed) 신호를 사용한 리시버 검출 동작을 실행시킨다. 외부 기기(200)에서도 S408에서 S407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리시버 검출 처리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각각, 상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검출한다.
S409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SS 링크에서 링크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고, S410에서 SS 모드 접속이 확립한다.
<올터네이트 모드에서 DP 통신하는 시퀀스>
다음에, 도5의 시퀀스 차트를 사용하여,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올터네이트 모드를 이용한 비 USB 통신(DP Alt mode)의 접속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기기(100)가 소스, 외부 기기(200)가 싱크이다.
S500∼S504는 도3의 S300∼S304와 같은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S505에서, 제어부(101)는, PD 콘트롤러(113)를 제어하여, CC을 통해, 외부 기기(200)와의 사이에서 전력 공급에 관한 니고시에이션(Power Negotiation) 절차를 실행한다. 니고시에이션 절차에 있어서 제어부(101)와 외부 기기(200)는, USB PD 규격에서 정의된 SOP(Start Of Packet) 통신을 행한다. 니고시에이션 절차에 의해, 제어부(101) 및 외부 기기(200)는, 최대 전류, 동작 전류, VBUS 급전의 방향 등의 급전에 관한 설정을 결정한다. 니고시에이션 절차의 구체적인 절차는 규격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소스, 싱크 어느 한개가 전력 공유에 관한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 S505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S506에서, 제어부(101)는, 모드 취득부(119)를 제어하여, CC을 통해 Discover SVIDs 코맨드를 외부 기기(200)에 송신한다. Discover SVIDs 코맨드는 상대 기기가 서포트하는 SVID(Standard or Vendor ID)의 리스트를 취득하는 코맨드다.
S507에서, 외부 기기(200)는, 서포트하는 SVID의 리스트를 회신한다.
S508에서, 제어부(101)는, S507에서 수신한 SVID의 리스트에, DisplayPort의 VID(FF01h)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DisplayPort의 VID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DiaplayPort 규격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외부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SVID의 리스트에 DisplayPort의 V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가 DisplayPort 규격에 대응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고, 접속 처리를 종료한다.
S509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하여, DisplayPort의 VID를 지정한 Discover Modes 코맨드를 외부 기기(200)에 송신한다.
S510에서, 외부 기기(200)는, Discover Modes 코맨드에 지정된 SVID에 대해 갖는 모드의 리스트를 반송한다.
S511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하여, S510에서 수신한 모드의 1개를 지정한 Enter Mode 코맨드를 외부 기기(200)에 송신한다.
S512에서, 외부 기기(200)는, 지정된 모드로 천이하면 응답 메시지(ACK)를 반송한다.
S513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하여,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SS 신호선 4개에 DP(112)의 4개의 신호선을 접속하는 상태로 MUX(114)을 설정한다.
S514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해서 GoodCRC 코맨드를 송신한다. GoodCRC 코맨드는 직전의 메시지의 정상 수신을 나타내는 메시지다. 따라서, 외부 기기(200)는, S514에서 송신되는 GoodCRC 코맨드를 수신하면, S512에서 송신한 ACK이 올바르게 수신된 것을 인식한다.
S515에서, 전자기기(100) 및 외부 기기(200)가 올터네이트 모드로 천이한다.
이후,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통신(DP 통신)이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 사이에서 실행된다.
이때, 전술한 코맨드는, VDM(Vendor Defined Message)으로 불리는 메시지를 이용해서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VDM에 포함되는 VDM 헤더의 코맨드 필드(Bit 4..0)에 지정되는 수치로 코맨드를 나타낸다. 코맨드마다의 수치는 이하와 같다.
·Discover SVIDs=2
·Discover Modes=3
·Enter Mode=4
VDM 헤더의 포맷에 관해서는 USB PD 규격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의 전자기기(100)는, 올터네이트 모드에 대응하고, 또한 USB 통신과 DP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DP 통신에 있어서는 소스 기기(출력 기기)로서 기능한다. Type-C 리셉터클(115)을 통해 외부 기기가 접속된 경우,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와 USB 통신 또는 DP 통신의 어느쪽을 이용할 것인지를 유저에게 선택시키는 메뉴 화면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복수의 통신방법 중, 유저가 메뉴 화면에서 선택한 통신방법으로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와 제1 통신방법(규격)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통신방법으로의 변경이 유저로부터 지시된 것으로 한다. 제어부(101)는, PD 콘트롤러(113) 및 전환부(116)를 제어해서 올터네이트 모드의 모드 변경 또는 종료 절차를 실행시켜, 제2 통신방법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외부 기기(200)가 제2 통신방법에 대응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제2 통신방법에 대응하고 있어도, 기기의 관계(소스/싱크나, USB 호스트/USB 디바이스)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제2 통신방법에서의 통신은 확립할 수 없다.
이 경우, 제2 통신방법으로의 전환을 개시한 후, 접속의 확립에 실패해서 제1 통신방법에 의한 통신을 재확립할 때까지의 사이, 제1 통신방법에 의한 통신이 절단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유저에게 불필요한 전환 조작을 행하게 해버리는 것 이외에, 불필요한 통신의 절단 및 재확립을 실행하게 된다. 이것들은 사용의 편리함이나 소비 전력 저감이라고 하는 관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200)가 DP Alt Mode에 대응하고 있는 표시장치인 경우, 올터네이트 모드를 이용한 DP 통신은 가능하지만, USB 통신 기능은 갖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올터네이트 모드 대응 기기는 USB PD 규격에 준거할 필요가 있지만, USB PD 규격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 기능은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기기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인 경우에는, USB 통신에는 대응하고 있어도, DP 통신에는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외부 기기(200)가 DP 통신에 대응하고 있어도, 소스 기기로서밖에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자기기(100)가 DP 통신에 있어서 소스 기기로서 동작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 1에서는, 유저가 선택가능한 통신방법의 선택지를, 접속된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따라 변화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가 불필요한 통신방법으로의 전환을 지시하거나, 불필요한 절차가 실행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하, 이러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장치와의 접속 동작>
도6a 및 도6b의 시퀀스 차트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전자기기(100)가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을 확립시킬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600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Type-C 리셉터클 115, 210에 Type-C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된다. Type-C 리셉터클(115)에의 플러그 삽입이 검출되면, 제어부(101)는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표시부(107)에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630)을 표시시킨다. 선택 화면(630)은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다.
선택 화면(630)은, 외부 기기(200)와의 통신방법으로서 USB 통신을 지시하기 위한 USB 접속 아이콘(631)과, DP 통신을 지시하기 위한 DP 접속 아이콘(632)을 포함하고 있다. USB 접속 아이콘(631)과 DP 접속 아이콘(632)은 각각 소프트웨어 키로서 기능한다. 터치 디스플레이인 107에 있어서,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에의 터치 조작이 검출되면, 제어부(101)는 그 아이콘의 선택 조작으로 인식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화상 데이터를 PC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USB 통신을, 표시부(107)의 표시를 외부 표시장치에서 미러링 하는 경우에는 DP 통신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USB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 유저는 USB 접속 아이콘(631)을 선택(터치)한다.
S601에서, 제어부(101)는, 선택 화면(630)에서 USB 접속 아이콘(631)이 선택된 것을 검출한다.
S602에서, 제어부(101)는, 자신이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소스(전력을 공급하는 기기)인 것을 외부 기기(200)에 표시하기 위해, 접속부(118)를 제어해서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업 저항 Rp을 접속한다. 제어부(101)는 이 시점에서는 Type-C 리셉터클(115)의 VBUS에 급전하지 않는다.
또한, S602로부터 S620까지의 기간, 제어부(101)는, USB 접속 처리중인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선택 화면(630) 대신에, 아이콘을 포함한 처리중 화면(633)을 표시시킨다. 이때, 처리를 실행중인 것을 협조하기 위해, 제어부(101)는, 처리중 화면(633)에 있어서의 아이콘을 점멸 표시시켜도 된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200)는, 소스로서도 싱크로서도 기능 가능한, DRP(Dual-Role-Power)에 대응한 기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CC1, CC2에, tDRP의 주기(최소 50ms∼최대 100ms)로 풀다운 저항 Rd와 풀업 저항 Rp을 교대로 접속한다(S603).
S604는, 외부 기기(200)가 Type-C 리셉터클(210)에 저항 Rp을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605에서, 제어부(101)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그것에 의해 싱크(외부 기기(2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606에서, 제어부(101)는, S505와 마찬가지로, PD 콘트롤러(113)를 제어하여, 외부 기기(2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S607, S608은 S506, S507의 처리와 같다. 이 처리에 의해,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서포트하고 있는 SVID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S609에서, 제어부(101)는, 취득한 SVID의 리스트에, DisplayPort의 VID(FF01h)이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01)는, DisplayPort의 VID가 존재하면 외부 기기(200)는 DP 통신에 대응한 기기라고 판정하고, DisplayPort의 V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외부 기기(200)는 DP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기기라고 판정한다.
S602로부터 S609까지의 처리는,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다. USB 통신에 있어서 전자기기(100)는 디바이스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USB 통신에 있어서의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기기는, USB PD에 있어서 싱크로서 기능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전자기기(100)를 싱크로서 다시 설정하기 위해, USB PD의 절차를 재실행한다.
S610에서, 제어부(101)는, 절단부(117)를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접속하고, CC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Hi-z)로 한다. 이에 따라, CC은 전기적 절단 상태가 된다(S611).
S612에서, 외부 기기(200)는, 통신의 절단을 검출하고, 절단 처리를 행한다.
S613에서, 제어부(101)는, 접속부(118)를 제어하여, 자신을 싱크로서 표시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한다.
S614에서, 외부 기기(200)는, S603과 동일하게 하여, Type-C 리셉터클(210)에 접속하는 저항을 주기적으로 전환한다.
S615의 타이밍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에 저항 Rp을 접속하고 있는 기간에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
S616에서, 외부 기기(200)는, 싱크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자신이 소스로서 기능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210)에 접속하는 저항을 풀업 저항 Rp로 고정한다.
S617은 S606과 같은, 전력 공급에 관한 니고시에이션 처리이다. 단, 소스와 싱크의 관계가 S606과는 역전하고 있다.
S618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하여,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SS 신호선 4개에 SS(111)의 4개의 신호선을 접속하는 상태로 MUX(114)을 설정한다.
S619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VBUS에의 급전을 개시한다.
S620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USB 이뉴머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 전자기기(100)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USB 이뉴머레이션에 의해, 호스트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S621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 사이의 USB 접속이 확립한다.
S622에서, 제어부(101)는, S609에서의 판정 결과 또는 S608에서 취득한 리스트에 근거하여, 이후,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어 있는 사이에 표시되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유저 지시에 따라 표시시켜도 되고, S621에서 통신이 확립하면, 통신이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시 표시시켜도 된다. 후자의 경우, 선택 화면은, 현재의 접속에 있어서의 통신방법의 확인 화면으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선택 화면을 표시할 때, RAM(104)에 보존되어 있는,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대응하고 있지 않은(혹은 외부 기기(200)와는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도록 선택 화면의 내용을 변경한 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635)은, 현재 확립하고 있는 통신방법을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인 USB 아이콘(634)과, DP 통신으로의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DP 접속 아이콘(632)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636)은, USB 아이콘(634)을 포함하지만, DP 접속 아이콘(632)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때, DP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외부 기기(200)가 DisplayPort 규격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외부 기기(200)가 소스로서밖에 기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외부 기기(200)가 소스로서밖에 기능하지 않는 경우, S603에서 Type-C 리셉터클(210)의 CC을 풀업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101)는 Type-C 리셉터클(115)의 CC의 풀다운을 S605에서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S602에서 Type-C 리셉터클(115)의 CC을 풀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해도 CC의 풀다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외부 기기(200)를 DP 통신에 대응하지 않는 기기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를 S609로 진행하여,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가 소스로서만 기능하는 경우도, 외부 기기(200)가 DP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S601에서 유저가 DP 접속 아이콘(632)을 선택한 것이 검출된 경우도, 제어부(101)는 S602∼S609를 실시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것이 판명된 경우, 제어부(101)는,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화면 38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화면 638은, 유저가 선택한 통신방법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것을 통지하는 에러 메시지와, 다른 통신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USB 접속 아이콘(631)이 표시된다.
한편,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01)는 S609에 이어서, DP 통신을 위해 올터네이트 모드로의 전환 동작을 행한다. 제어부(101)는, 도5의 S509∼S514와 동일하게 하여, 이 전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USB 통신으로부터 비 USB 통신으로의 전환 동작>
다음에,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통신방법을, USB 통신으로부터 비 USB 통신(여기에서는 DP 통신)으로 전환할 때의 동작에 대해, 도7에 나타낸 시퀀스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7은, 도6a 및 도6b에 나타낸 시퀀스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가 USB 통신을 확립한 이후의 동작에 해당한다.
USB 통신이 확립한 상태에서,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의 표시 지시를 검출하면, 제어부(101)는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해서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는, USB 통신을 확립하기 전에,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 가능한 것이 확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도6b에 나타낸 선택 화면(635)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S700에서, 제어부(101)는, 선택 화면(635)에서 DP 접속 아이콘(632)이 선택된 것을 검출한다.
S701에서, 제어부(101)는, 절단부(117)를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접속하여, CC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Hi-z)로 한다. 이에 따라, CC은 전기적 절단 상태가 된다(S702).
S701로부터 S709까지의 기간, 제어부(101)는, DP 접속 처리중인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선택 화면(635) 대신에 아이콘을 포함한 처리중 화면(722)을 표시시킨다. 이때, 처리를 실행중인 것을 협조하기 위해, 제어부(101)는 처리중 화면(722)에 있어서의 아이콘을 점멸 표시시켜도 된다.
S703에서, 외부 기기(200)는, USB 통신의 절단을 검출하고, 절단 처리를 행한다.
S704에서, 제어부(101)는, 접속부(118)를 제어하여, 자신을 소스로서 표시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업 저항 Rp을 접속한다. 제어부(101)는 이 시점에서는 Type-C 리셉터클(115)의 VBUS에 급전하지 않는다.
S705에서, 외부 기기(200)는, S603과 동일하게 하여, Type-C 리셉터클(210)에 접속할 저항을 주기적으로 전환한다.
S706은, 외부 기기(200)가 Type-C 리셉터클(210)에 저항 Rp을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707에서, 제어부(101)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싱크(외부 기기(2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708에서, 제어부(101)는, S505와 마찬가지로, PD 콘트롤러(113)를 제어하여, 외부 기기(2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S709에서,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와 메시지를 교환하고, DP 통신을 행하기 위해 올터네이트 모드로 이행한다. 올터네이트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동작은 도5의 S509∼S514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S710에서, 제어부(101)는, DP(112)을 제어하여, SS 신호를 사용한 DP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S709에서 DP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723)을 표시부(107)에 표시시켜도 된다. 선택 화면(723)에는, 현재 확립하고 있는 통신방법을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인 DP 아이콘(724)과, USB 통신으로의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USB 접속 아이콘(631)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S700에 있어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가 USB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중인 경우 등, USB 통신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01)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635)과 함께 DP 접속 아이콘 721을 표시하지 않도록(혹은, 선택 화면(635)과 함께 표시되는 DP 접속 아이콘 721을 선택 불능으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후, 데이터 전송이 종료하는 것 등, USB 통신을 절단해도 지장이 없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101)는 DP 접속 아이콘 721을 선택 화면(635)과 함께 표시하거나, 선택 화면(635)과 함께 표시되는 DP 접속 아이콘 721을 선택 가능하게 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르면, 1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외부 기기와 서로 다른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제1 규격에 준거한 통신의 개시전에, 제2 규격에 준거한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도록, 확인 결과에 따라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의 표시를 다르게 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접속중인 외부 기기와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확립중인 접속의 불필요한 절단 및 재접속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의 중단이나 전력의 쓸데 없는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실시형태 1에서는, 전자기기가 USB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고, UBS 호스트로서 기능하는 외부 기기가 접속 가능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1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전자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올터네이트 모드에서 행하는 비 USB 통신으로서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DP 통신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1은 비 USB 통신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HDMI(등록상표)과 같은, 다른 규격에 준거한 비 USB 통신을 외부 기기와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2도 실시형태 1과 같은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를 사용해서 실시가능하기 때문에, 공통하는 구성이나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외부 기기의 접속시에 USB 통신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 외부 기기와 DP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USB 통신의 확립전에 확인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형태 2에서는, 외부 기기의 접속시에 DP 통신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 외부 기기와 USB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DP 통신의 확립전에 확인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외부 장치와의 접속 동작>
도8a∼도8b의 시퀀스 차트를 참조하여,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전자기기(100)가 외부 기기(200)와 DP 통신을 확립시킬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S800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Type-C 리셉터클 115, 210에 Type-C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된다. Type-C 리셉터클(115)에의 플러그 삽입이 검출되면, 제어부(101)는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표시부(107)에게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630)을 표시시킨다. 선택 화면(630)은, 외부 기기(200)와의 통신방법으로서 USB 통신을 지시하기 위한 USB 접속 아이콘(631)과, DP 통신을 지시하기 위한 DP 접속 아이콘(632)을 포함하고 있다.
S801에서, 제어부(101)는, 선택 화면(630)에서 DP 접속 아이콘(632)이 선택된 것을 검출한다.
S802에서, 제어부(101)는, 접속부(118)를 제어하여, 자신이 USB PD 규격에 있어서 싱크인 것을 외부 기기(200)에 표시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한다.
또한, S802로부터 S819까지의 기간, 제어부(101)는, DP 접속 처리중인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선택 화면(630) 대신에, DP 아이콘(724)을 포함한 처리중 화면(722)을 표시시킨다. 이때, 처리를 실행중인 것을 협조하기 위해서, 제어부(101)는 처리중 화면(722)에 있어서 DP 아이콘(724)을 점멸 표시시켜도 된다.
S803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CC1, CC2에, tDRP의 주기(최소 50ms∼최대 100ms)로 풀다운 저항 Rd와 풀업 저항 Rp을 교대로 접속한다.
S804는, 외부 기기(200)가 Type-C 리셉터클(210)에 저항 Rp을 접속하고 있는 기간에, 전자기기(100)에서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S805에서, 외부 기기(200)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싱크(전자기기(1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806에서, 외부 기기(200)는, 전자기기(1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S505에서 제어부(101)가 행하는 처리와 같다. 니고시에이션 절차에 의해, 외부 기기(200)와 전자기기(100) 사이에 있어서 전력 공급에 관한 설정이 확정한다.
S807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하여,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SS 신호선 4개에 SS(111)의 4개의 신호선을 접속하는 상태로 MUX(114)을 설정한다.
S808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VBUS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S809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USB 이뉴머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 전자기기(100)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S810에서,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1)는, S809의 USB 이뉴머레이션 처리에 있어서,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로서 실행해야 할 통신을 행하고 있으면,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외부 기기(200)로부터 특정한 코맨드(예를 들면, GetDescriptor 코맨드)를 수신한 것에 의해,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200)가 싱크로서만 기능하는 경우, S803에서 CC을 풀다운한다. 그 때문에, 외부 기기(200)는 CC의 풀다운을 S805에서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S802에서 CC을 풀다운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해도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가 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기기(200)를 USB 통신에 대응하지 않는 기기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처리를 S810으로 진행하여,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가 싱크로서만 기능하는 경우도, 외부 기기(200)가 USB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S802로부터 S810까지의 처리는,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 기능을 갖고 있는지 아닌지(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다. 따라서, 판정이 완료하면 제어부(101)는, DP 통신을 개시하기 위해 USB PD의 절차를 재실행한다.
S811에서, 제어부(101)는, 절단부(117)를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접속하고, CC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Hi-z)로 한다. 이에 따라, CC은 전기적 절단 상태가 된다(S812).
S813에서, 외부 기기(200)는, 통신의 절단을 검출하고, 절단 처리를 행한다.
S814에서, 제어부(101)는, 접속부(118)를 제어하여, 자신을 소스로서 표시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업 저항 Rp을 접속한다. 제어부(101)는 이 시점에서는 VBUS에 급전하지 않는다.
S815에서, 외부 기기(200)는, S803과 동일하게 하여, Type-C 리셉터클(210)에 접속할 저항을 주기적으로 전환한다.
S816은, 외부 기기(200)가 Type-C 리셉터클(210)에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817에서, 제어부(101)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싱크(외부 기기(2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818에서, 제어부(101)는, S505와 마찬가지로, PD 콘트롤러(113)를 제어하여, 외부 기기(2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니고시에이션 절차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 사이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에 관한 설정이 확정한다.
S819에서,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와 메시지를 교환하고, DP 통신을 행하기 위해 올터네이트 모드로 이행한다. 올터네이트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동작은 도5의 S509∼S514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S820에서, 제어부(101)는, DP(112)을 제어하여, SS 신호를 사용한 DP 통신을 개시한다.
S821에서, 제어부(101)는, S810에서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이후,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어 있는 사이에 표시되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의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유저 지시에 따라 표시시켜도 되고, S820에서 통신이 확립하면, 통신이 계속하고 있는 사이에는 상시 표시시켜도 된다. 후자의 경우, 선택 화면은, 현재의 접속에 있어서 통신방법의 확인 화면으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선택 화면을 표시시킬 때, RAM(104)에 보존되어 있는, 외부 기기가 대응하고 있지 않은 통신방법의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대응하고 있지 않은(혹은 외부 기기(200)와는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도록 선택 화면의 내용을 변경한 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723)은, 현재 확립하고 있는 통신방법을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인 DP 아이콘(724)과, USB 통신으로의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USB 접속 아이콘(631)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834)은, DP 아이콘(724)을 포함하지만, USB 접속 아이콘(631)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때, S801에서 유저가 USB 접속 아이콘(631)을 선택한 것이 검출된 경우도, 제어부(101)는 S802∼S810을 실시한다. 그리고,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것이 판명된 경우, 제어부(101)는,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예를 들면, 화면 837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화면 837은, 유저가 선택한 통신방법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것을 통지하는 에러 메시지와, 다른 통신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화면 837에는 DP 접속 아이콘(632)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01)는 S810의 후, 도9의 S912로 처리를 진행하여, 통신을 절단하지 않고 USB 접속을 확립한다.
<비 USB 통신으로부터 USB 통신으로의 전환 동작>
다음에,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통신방법을, 비 USB 통신(여기에서는 DP 통신)으로부터 USB 통신으로 전환할 때의 동작에 대해, 도9에 나타낸 시퀀스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9는, 도8a∼도8b에 나타낸 시퀀스에 의해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가 DP 통신을 확립한 이후의 동작에 해당한다.
DP 통신이 확립한 상태에서,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의 표시 지시를 검출하면, 제어부(101)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표시 제어부(106)를 통해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여기에서는, DP 통신을 확립하기 전에, 외부 기기(200)와 USB 통신 가능한 것이 확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도8b에 나타낸 선택 화면(723)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S900에서, 제어부(101)는, 선택 화면(635)에서 USB 접속 아이콘(631)이 선택된 것을 검출한다.
S901에서, 제어부(101)는, 절단부(117)를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접속하고, CC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Hi-z)로 한다. 이에 따라, CC은 전기적 절단 상태가 된다(S902).
S901로부터 S911까지의 기간, 제어부(101)는, USB 접속 처리중인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선택 화면(723) 대신에 USB 아이콘(634)을 포함한 처리중 화면(633)을 표시시킨다. 이때, 처리를 실행중인 것을 협조하기 위해, 제어부(101)는 처리중 화면(633)에 있어서의 USB 아이콘(634)을 점멸 표시시켜도 된다.
S903에서, 외부 기기(200)는, USB 통신의 절단을 검출하고, 절단 처리를 행한다.
S904에서, 제어부(101)는, 접속부(118)를 제어하여, 자신을 싱크로서 표시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한다.
S905에서, 외부 기기(200)는, S803과 동일하게 하여, Type-C 리셉터클(210)에 접속할 저항을 주기적으로 전환한다.
S906은, 외부 기기(200)가 Type-C 리셉터클(210)에 풀업 저항 Rp을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907에서, 외부 기기(200)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싱크(전자기기(1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908에서, 외부 기기(200)는, S806과 마찬가지로, 전자기기(1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S909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하여,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SS 신호선 4개에 SS(111)의 4개의 신호선을 접속하는 상태로 MUX(114)을 설정한다.
S909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해서 MUX(114)에서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SS 신호선과 SS(111)의 신호선을 접속한다.
S910에서, 외부 기기(200)는, VBUS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S911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USB 이뉴머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 전자기기(100)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S912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USB 통신이 확립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S912에서 USB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635)을 표시부(107)에 표시시켜도 된다. 선택 화면(635)에는, 현재 확립하고 있는 통신방법을 표시하는 정보의 일례인 USB 아이콘(634)과, DP 통신으로의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DP 접속 아이콘(632)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실시형태 2에서는, 전자기기가,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외부 기기와 접속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전자기기는 다른 규격에 준거한 외부 기기에 접속 가능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올터네이트 모드에서 행하는 비 USB 통신으로서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DP 통신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2는 비 USB 통신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HDMI(등록상표)과 같은, 다른 규격에 준거한 비 USB 통신을 외부 기기와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3]
다음에, 실시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3도 실시형태 1과 같은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를 사용해서 실시가능하기 때문에, 공통하는 구성이나 동작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외부 기기의 접속시에 USB/DP 통신의 실행이 지시된 경우에, 외부 기기와 DP/USB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USB/DP 통신의 확립전에 확인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실시형태 3에서는, 외부 기기(200)의 통신 능력을 미리 확인하고, 처음부터 외부 기기(200)의 통신 능력을 반영한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외부 기기와의 접속시에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동작>
도10a∼도10b는, 외부 기기(200)와 USB Type-C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었을 때에, 외부 기기(200)의 통신 능력을 확인하는 동작에 관한 시퀀스 차트다.
S1000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의 Type-C 리셉터클 115, 210에 Type-C 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된다. 이 시점에서 제어부(101)는 1030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부(107)에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는다.
S1001에서, 제어부(101)는, 자신을 소스로서 표시하기 위해, 접속부(118)를 제어해서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업 저항 Rp을 접속한다.
S1002에서, 외부 기기(200)는, Type-C 리셉터클(210)의 CC1, CC2에, tDRP의 주기(최소 50ms∼최대 100ms)로 풀다운 저항 Rd와 풀업 저항 Rp을 교대로 접속한다.
S1003은, 외부 기기(200)가 Type-C 리셉터클(210)에 저항 Rd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1004에서, 제어부(101)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싱크(외부 기기(2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1005에서, 제어부(101)는, S505와 마찬가지로, 외부 기기(2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니고시에이션 절차에 의해, 외부 기기(200)와 전자기기(100) 사이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에 관한 설정이 확정한다.
S1006에서, 제어부(101)는, 모드 취득부(119)를 제어하여, CC을 통해 Discover SVIDs 코맨드를 외부 기기(200)에 송신한다.
S1007에서, 외부 기기(200)는, 서포트하는 SVID 일람을 회신한다.
S1008에서, 제어부(101)는, S1007에서 수신한 SVID의 리스트에, DisplayPort의 VID(FF01h)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DisplayPort의 VID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DiaplayPort 규격을 서포트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S1009에서, 제어부(101)는, 절단부(117)를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접속하고, CC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Hi-z)로 한다. 이에 따라, CC은 전기적 절단 상태가 된다(S1010).
S1011에서, 외부 기기(200)는, 통신의 절단을 검출하고, 절단 처리를 행한다.
S1012에서, 제어부(101)는, 접속부(118)를 제어하여, 자신을 싱크로서 표시하기 위해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풀다운 저항 Rd를 접속한다.
S1013에서, 외부 기기(200)는, S1002와 동일하게 하여, Type-C 리셉터클(210)에 접속할 저항을 주기적으로 전환한다.
S1014는, 전자기기(100)가 Type-C 리셉터클(115)에 저항 Rd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S1015에서, 외부 기기(200)는, CC이 풀다운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싱크(전자기기(100))가 접속된 것을 인식한다.
S1016에서, 외부 기기(200)는, S1005에서 제어부(101)가 행한 것과 마찬가지로, 전자기기(100)와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를 실행한다.
S1017에서, 제어부(101)는, 전환부(116)를 제어해서 MUX(114)에서 USB Type-C 리셉터클(115)의 SS 신호선과 SS(111)의 신호선을 접속한다.
S1018에서, 외부 기기(200)는, VBUS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S1019에서, 전자기기(100)와 외부 기기(200)는, USB 이뉴머레이션을 실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 전자기기(100)가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S1020에서, 제어부(101)는, S810과 동일하게 하여, 외부 기기(200)가 USB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제어부(101)는,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S1021에서, 제어부(101)는, 절단부(117)를 Type-C 리셉터클(115)의 CC1, CC2에 접속하고, CC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Hi-z)로 한다. 이에 따라, CC은 전기적 절단 상태가 된다(S1022).
S1023에서, 외부 기기(200)는, 통신의 절단을 검출하고, 절단 처리를 행한다.
S1024에서, 제어부(101)는, 표시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키고, 선택 화면에 대한 유저 지시를 대기한다. 이때, 제어부(101)는, S1008과 S1020에 있어서 판정 결과에 따른 내용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1)는, RAM(104)에 보존되어 있는, 외부 기기(200)의 통신 능력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외부 기기(200)가 대응하지 않고 있는(혹은 외부 기기(200)와는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내용의 선택 화면을 표시부(107)에 표시시킨다.
RAM(104)에 보존된 판정 결과로부터, 외부 기기(200)가, USB 통신이 가능하고 DP 통신이 불가능한 기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USB 접속 아이콘(631)을 포함하고, DP 접속 아이콘을 포함하지 않는 선택 화면 1031을 표시시킨다. 혹은 제어부(101)는, 선택가능한 USB 접속 아이콘(631)과 선택 불가능한 DP 접속 아이콘을 포함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RAM(104)에 보존된 판정 결과로부터, 외부 기기(200)가, DP 통신이 가능하고 USB 통신이 불가능한 기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DP 접속 아이콘(632)을 포함하고, USB 접속 아이콘을 포함하지 않는 선택 화면 1031을 표시시킨다. 혹은 제어부(101)는, 선택가능한 DP 접속 아이콘(632)과 선택 불가능한 USB 접속 아이콘을 포함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RAM(104)에 보존된 판정 결과로부터, 외부 기기(200)가 USB 통신 및 DP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 판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01)는, 예를 들면 USB 접속 아이콘(631)과 DP 접속 아이콘(632)을 포함한 선택 화면(630)을 표시시킨다.
유저가 USB 접속 아이콘(631)을 선택한 것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01)는, 도6b의 S613∼S621을 실행하여, USB 통신을 확립한다.
유저가 DP 접속 아이콘(632)을 선택한 것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101)는, 도7의 S704∼S710을 실행하여, DP 통신을 확립한다.
이때, 도10a∼도10b에 있어서는, 외부 기기(200)가 USB PD 규격에 있어서 DRP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외부 기기(200)가 DRP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실시형태 3은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외부 기기(200)가 소스로서만 기능하는 경우, S1002에서 CC을 풀업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101)는 CC의 풀다운을 S1004에서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S1004에 있어서 일정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해도 CC의 풀다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외부 기기(200)를 DP 통신에 대응하지 않는 기기라고 판정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가 소스로서만 기능하는 경우도, 외부 기기(200)가 DP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200)가 싱크로서만 기능하는 경우, S1013에서 CC을 풀다운한다. 그 때문에, 외부 기기(200)는 CC의 풀다운을 S1015에서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101)는, S1012에서 CC을 풀다운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5초) 경과해도 전력 공급의 니고시에이션 절차가 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 기기(200)를 USB 통신에 대응하지 않는 기기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처리를 S1020으로 진행하여, 판정 결과를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에 관한 데이터로서 RAM(104)에 보존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가 싱크로서만 기능하는 경우도, 외부 기기(200)가 USB 통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 및 2와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실시형태 3에서는, 통신방법의 선택 화면을 최초로 표시시키는 시점에서 외부 기기의 통신 능력이 선택 화면에 반영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부 기기와 실시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는 것을 실시형태 1 및 2보다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실시형태 3에서는, 전자기기가, USB 호스트 기능을 갖거나,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외부 기기와 접속하는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전자기기는 다른 규격에 준거한 외부 기기에 접속 가능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에서는, 올터네이트 모드에서 행하는 비 USB 통신으로서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DP 통신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형태 3은 비 USB 통신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HDMI(등록상표)와 같은, 다른 규격에 준거한 비 USB 통신을 외부 기기와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4]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 처리 또는 방법은, 퍼스널 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등이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형태 4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마이크로컴퓨터, CPU(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등을 「컴퓨터 X」로 부른다. 또한, 실시형태 4에서는, 컴퓨터 X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 처리 또는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Y」로 부른다.
실시형태 1∼3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능, 처리 또는 방법은, 컴퓨터 X가 프로그램 Y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프로그램 Y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거쳐 컴퓨터 X에 공급된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는, 하드디스크 장치, 자기 기억장치, 광 기억장치, 광자기 기억장치, 메모리 카드,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는, non-transitory한 기억매체다.
본 발명의 형태를 상기 한 실시형태를 참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형태는 상기 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모든 변형예 및 동등힌 구성이 포함되도록 가장 넓은 해석과 조화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9년 5월 7일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 2019-87722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것의 기재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1)
-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복수의 통신방법의 1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과,
제어 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방법 중,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하고,
상기 판정된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유저가 통신방법을 선택한 것을 검출하면, 유저가 선택한 통신방법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통신방법 중, 상기 유저가 선택한 통신방법과 다른 통신방법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를 상기 통신 수단에게 실행시켜,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유저가 통신방법을 선택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통신방법의 각각에 대해, 통신을 확립하는 절차를 상기 통신 수단에게 실행시켜,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기기가 대응하고 있지 않은 통신방법을,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외부 기기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방법이라도, 이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이 통신방법을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법이, 통신하는 기기가 각각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가 같은 기능밖에 실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통신방법을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가 모두 USB PD 규격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 또는 싱크 기기로서밖에 기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USB PD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 PD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방법이, DisplayPort 규격에 준거한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외부 기기가 모두 USB 호스트 또는 USB 디바이스로서밖에 기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USB 통신을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인터페이스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하는 통신방법을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복수의 통신방법의 1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가능한 통신 수단을 갖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절차를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방법 중,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을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상기 판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와의 통신에 사용할 수 없는 통신방법으로 판정된 통신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표시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기기가 갖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한 non-transitory인 기억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9-087722 | 2019-05-07 | ||
JP2019087722A JP7398881B2 (ja) | 2019-05-07 | 2019-05-07 |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
PCT/JP2020/016324 WO2020226028A1 (ja) | 2019-05-07 | 2020-04-13 |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412A true KR20220002412A (ko) | 2022-01-06 |
Family
ID=7304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7946A KR20220002412A (ko) | 2019-05-07 | 2020-04-13 |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797470B2 (ko) |
EP (1) | EP3968167A4 (ko) |
JP (1) | JP7398881B2 (ko) |
KR (1) | KR20220002412A (ko) |
CN (1) | CN113795829A (ko) |
BR (1) | BR112021022277A2 (ko) |
WO (1) | WO202022602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44684B1 (ja) | 2022-02-02 | 2023-03-22 | Eizo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
JP2024078180A (ja) * | 2022-11-29 | 2024-06-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7544886B1 (ja) | 2023-02-24 | 2024-09-03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制御装置、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200345A (ja) | 2017-05-25 | 2018-12-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3811B1 (en) * | 1998-03-13 | 2002-10-29 | Canon Kabushiki Kaisha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onnection status of a device based on connection information |
KR20090016293A (ko) * | 2007-08-10 | 2009-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외부기기 연결 방법 |
TWM379233U (en) * | 2009-12-04 | 2010-04-21 | nai-qian Zhang | Improved structure of display port |
JP5581836B2 (ja) | 2010-06-16 | 2014-09-03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装置 |
JP5925056B2 (ja) * | 2012-05-31 | 2016-05-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印刷サーバー、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印刷システム |
JP6155607B2 (ja) * | 2012-11-19 | 2017-07-0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通信中継プログラム、及び、通信中継装置 |
JP6399831B2 (ja) * | 2014-07-04 | 2018-10-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6887852B2 (ja) | 2017-03-31 | 2021-06-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
KR102501905B1 (ko) | 2017-11-09 | 2023-02-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05-07 JP JP2019087722A patent/JP7398881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4-13 EP EP20802651.8A patent/EP3968167A4/en active Pending
- 2020-04-13 BR BR112021022277A patent/BR112021022277A2/pt unknown
- 2020-04-13 WO PCT/JP2020/016324 patent/WO2020226028A1/ja unknown
- 2020-04-13 KR KR1020217037946A patent/KR2022000241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4-13 CN CN202080033859.6A patent/CN113795829A/zh active Pending
-
2021
- 2021-11-01 US US17/515,732 patent/US1179747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200345A (ja) | 2017-05-25 | 2018-12-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797470B2 (en) | 2023-10-24 |
BR112021022277A2 (pt) | 2021-12-28 |
US20220050804A1 (en) | 2022-02-17 |
EP3968167A1 (en) | 2022-03-16 |
JP7398881B2 (ja) | 2023-12-15 |
JP2020184162A (ja) | 2020-11-12 |
EP3968167A4 (en) | 2023-01-11 |
CN113795829A (zh) | 2021-12-14 |
WO2020226028A1 (ja) | 2020-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02412A (ko) |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
US11232057B2 (en) |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35892B1 (ko) | 시스템 레벨 통신을 위한 설정 가능 커넥터 | |
EP2011014B1 (en) | Usb connection | |
JP5917069B2 (ja) | 通信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WO2005001701A1 (ja) | スレイブ装置、通信設定方法 | |
JP6878102B2 (ja) |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 |
US20200178329A1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EP3018556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peripherals connected to a docking station | |
JP4556220B2 (ja) | データ伝送ブリッジ装置とそのコントロールチップ及びデータ伝送ブリッジ方法 | |
JP2006261851A (ja) |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 |
KR20030057250A (ko) | Host 기능을 겸비한 USB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 |
US20180329846A1 (en) | Inter-device digital audio | |
JP2007034614A (ja) |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6632328B2 (ja) | 制御装置、電力伝送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06277123A (ja) | 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 | |
JP7191899B2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5344556B2 (ja) | 表示装置、印刷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 |
CN115474015A (zh) | 一种基于Type-c电路控制信号输入或输出的方法 | |
JP2012174044A (ja) |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04280625A (ja) | デバイスドライバ装着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