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70U -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70U
KR20220002370U KR2020210000948U KR20210000948U KR20220002370U KR 20220002370 U KR20220002370 U KR 20220002370U KR 2020210000948 U KR2020210000948 U KR 2020210000948U KR 20210000948 U KR20210000948 U KR 20210000948U KR 20220002370 U KR20220002370 U KR 202200023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rame
pulley
moving frame
electric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564Y1 (ko
Inventor
양호찬
Original Assignee
비엔엘케이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엘케이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엘케이스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0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6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3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side windows, e.g. quarter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진동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전동 블라인드로서 커튼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진동 및 소음을 억제시키는 구조를 채용한 전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블라인드에서 특히 복잡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의 부품간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 소음을 억제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Electric Blind with A driving part that Suppresses Vibration and Noise}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진동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전동 블라인드로서 커튼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진동 및 소음을 억제시키는 구조를 채용한 전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선은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거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 또는 리어 글래스에 차량의 블라인드를 설치하여 입사되는 광선을 차양한다.
특히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은 경우, 직사광선이 도어 또는 리어 글래스를 통해서 실내로 바로 유입되므로, 운전자의 눈부심 등을 야기하여 교통 사고 등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으므로 차량용 블라인드의 설치는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라인드는 실내 승객이 도어패널내에 권취된 커튼을 잡고 끌어올린 후, 도어글래스 프레임에 형성된 후크 형태의 고정부에 커튼을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수동식 블라인드와 블라인드의 커튼부가 전동에 의해 펼쳐지고 접어지도록 구성되는 전동식 블라인드가 있다.
전동식 블라인드는 부품수가 많이 들고, 설치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 충격에 의하여 블라인드 자체에서도 진동과 소음이 발행하므로 문제가 된다. 전동식 블라인드는 특히 고급차량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고급차량에서의 블라인드의 진동, 소음은 고급차가 전해주는 편의감을 희석시키고, 블라인드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등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 블라인드에서 특히 복잡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의 부품간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 소음을 억제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차량에 설치되는 전동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 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일측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펼쳐졌다가 접히는 커튼부;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샤프트의 양 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회전하는 풀리를 가지는 구동부;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상기 풀리와 밸트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상기 샤프트 중에서 상기 구동모터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제1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싱기 샤프트 중에서 상기 풀리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풀리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제2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이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에 도달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로 제1리미트정보와 제2리미트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샤프트 중에서 상기 포텐시오미터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포텐시오미터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제3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 블라인드에서 특히 복잡한 부품으로 구성되는 구동부의 부품간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진동 소음을 억제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의 구동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의 구동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100)는 차량의 도어글래스 또는 리어글래스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100)는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의 양 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130);
한 쌍의 측면프레임(1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40); 일측은 상기 상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프레임(140)에 고정되어, 이동프레임(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펼쳐졌다가 접히는 커튼부(150);
상부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되고, 샤프트(220)와, 샤프트(220)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0)와 샤프트(220)의 양 단에 설치되어 샤프트(220)와 함께 축회전하는 풀리(240)를 가지는 구동부(200); 및
측면프레임(13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구동부(200)의 풀리(240)와 밸트(250)로 연결되고, 타측은 이동프레임(140)과 연결되어, 풀리(24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프레임(140)을 상하 이동시키는 슬라이더(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과 측면프레임(130)과 이동프레임(140)은 실시예에 따라서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20)은 상부프레임(110)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부프레임(110)과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상부프레임(110)과 하부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40)은 그 일단이 하나의 측면프레임(130)에 접하고 타단은 다른 하다의 측면프레임(130)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측면프레임(1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튼부(150)는 실시예에 따라서 허니콤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주름구조로서 접혀지거나 펼처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커튼부(150)의 일측은 상부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프레임(1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프레임(140)이 한 쌍의 측면프레임(130) 사이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때 이동프레임(140)을 따라서 펼처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구동부(200)는 상부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의 구성은 사프트와 구동모터(210)와 풀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220)는 상부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샤프트(220)의 단면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6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샤프트(220)의 양 단에는 풀리(240)가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160)는 블럭 형상일 수 있으며, 측면프레임(130)의 내부에서 측면프레임(130)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160)의 일측은 구동부(200)의 일 구성인 풀리(240)와 밸트(250)로 연결될 수 있고, 슬라이더(160)의 타측은 이동프레임(140)과 연결되어 풀리(24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프레임(14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풀리(240)가 이동프레임(140)을 이동시키는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밸트(250)의 일단이 측면프레임(130)의 내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풀리(240)에 의하여 말리거나 풀리(240)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밸트(250)가 슬라이더(160)를 관통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풀리(240)가 밸트(250)를 말아 감을 때 밸트(250)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슬라이더(16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풀리(240)가 밸트(250)를 풀때 밸트(250)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슬라이더(16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풀리(240)가 밸트(250)를 움직여 슬라이더(16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은 전술한 방식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200)의 샤프트(220) 중에서 구동모터(210)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구동모터(21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제1진동흡수부재(310)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샤프트(220)에는 회전자가 설치되고, 구동모터(210)의 하우징 내부에는 고정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조 하에서 구동모터(210)는 그 내부의 고정자와 회전자에 의하여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구동모터(210)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샤프트(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샤프트(220)의 외주면 중에서 구동모터(210)의 하우징과 접촉하는 부위에 제1진동흡수부재(3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210)는 반드시 고정자와 회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가 아니더라도 즉,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지 않는 구동모터(210)에서도 구동모터(210)의 하우징과 구동모터(210)의 출력축인 샤프트(220)가 접촉하는 부위에 제1진동습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샤프트(220)를 회전시킬 때 구동모터(210)의 하우징과 샤프트(220)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상대 운동으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모터(210)의 하우징과 샤프트(220) 사이의 접촉 부위에 제1진동습수부재가 개재됨으로써 구동모터(210)와 샤프트(220)의 상대 운동으로 인한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샤프트(220) 중에서 풀리(24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샤프트(220)와 풀리(240)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제2진동흡수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다. 풀리(240)는 샤프트(220)의 축회전을 받아서 밸트(25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샤프트(220)와 풀리(240) 사이의 유격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샤프트(220)의 외주면 중에서 풀리(240)와 접촉하는 부위에 제2진동흡수부재(320)가 설치됨으로써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100)는 구동모터(210)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샤프트(220)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동프레임(140)이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에 도달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구동모터(210)로 제1리미트정보와 제2리미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220)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포텐시오미터(230)를 가질 수 있다. 포텐시오미터(230)는 샤프트(220)가 그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샤프트(220)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상 위치는 커튼부(150)가 설정된 범위에서 최고로 접혀지고, 상부프레임(110)과 이동프레임(140)이 상호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최하 위치는 커튼부(150)가 설정된 범위에서 최고로 펼쳐지고, 이동프레임(140)이 하부프레임(120)과 가장 근접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리미트정보는 이동프레임(140)이 최상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의 샤프트(220)의 회전량과 대응하는 회전량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제2리미트정보느 이동프레임(140)이 최하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샤프트(220)의 회전량과 대응하는 회전량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140)은 상하 이동을 하면서 상부프레임(110) 또는 하부프레임(120)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포텐시오미터(230)는 이동프레임(140)이 최상 위치에 도달할 때 상부프레임(110)과 접촉하면서 생기는 충격을 억제하고, 이동프레임(140)이 최하 위치에 도달할 때 하부프레임(120)과 접촉하면서 생기는 충격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1리미트정보와 제2리미트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여 제어부가 구동모터(210)를 제어함으로써 이동프레임(140)이 상부프레임(110) 또는 하부프레임(120)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동 블라인드(100)에서 이동프레임(140)이 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샤프트(220) 중에서 포텐시오미터(23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샤프트(220)와 포텐시오미터(230)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제3진동흡수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220)는 포텐시오미터(230)의 내부 중공부를 관통하는데, 이 때 샤프트(220)의 외주면 중에서 포텐시오미터(230)의 내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제3진동흡수부재(330)를 설치함으로써 포텐시오미터(230)와 샤프트(220)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진동흡수부재(310), 제2진동흡수부재(320), 제3진동흡수부재(3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220)에 끼워져 설치되는 오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고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전동 블라인드
110: 상부프레임
120: 하부프레임
130: 측면프레임
140: 이동프레임
150: 커튼부
160: 슬라이더
200: 구동부
210: 구동모터
220: 샤프트
230: 포텐시오미터
240: 풀리
250: 밸트
310: 제1진동흡수부재
320: 제2진동흡수부재
330: 제3진동흡수부재

Claims (5)

  1. 차량에 설치되는 전동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 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일측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펼쳐졌다가 접히는 커튼부;
    상기 상부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축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샤프트의 양 단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회전하는 풀리를 가지는 구동부;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상기 풀리와 밸트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풀리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상하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상기 샤프트 중에서 상기 구동모터를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하나 이상의 제1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싱기 샤프트 중에서 상기 풀리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풀리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제2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이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에 도달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로 제1리미트정보와 제2리미트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회전량을 측정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중에서 상기 포텐시오미터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포텐시오미터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제3진동흡수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 블라인드.
KR2020210000948U 2021-03-26 2021-03-26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KR200497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48U KR200497564Y1 (ko) 2021-03-26 2021-03-26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48U KR200497564Y1 (ko) 2021-03-26 2021-03-26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70U true KR20220002370U (ko) 2022-10-05
KR200497564Y1 KR200497564Y1 (ko) 2023-12-19

Family

ID=8359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48U KR200497564Y1 (ko) 2021-03-26 2021-03-26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7194A (zh) * 2023-04-06 2023-05-05 济南蓝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间接空冷百叶窗自抑振装置的自动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047Y1 (ko) * 2002-12-03 2003-03-03 차용기 런닝머신용 진동흡수 및 저소음형 모터
JP2003341360A (ja) * 2002-05-30 2003-12-03 Kazumi Mitsuhiro 巻き取り式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JP2012197044A (ja) * 2011-03-22 2012-10-18 Toyota Boshoku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360A (ja) * 2002-05-30 2003-12-03 Kazumi Mitsuhiro 巻き取り式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KR200306047Y1 (ko) * 2002-12-03 2003-03-03 차용기 런닝머신용 진동흡수 및 저소음형 모터
JP2012197044A (ja) * 2011-03-22 2012-10-18 Toyota Boshoku Corp サンシェー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7194A (zh) * 2023-04-06 2023-05-05 济南蓝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间接空冷百叶窗自抑振装置的自动控制系统
CN116067194B (zh) * 2023-04-06 2023-07-18 济南蓝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间接空冷百叶窗自抑振装置的自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64Y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158B2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cable drive
KR100425005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CN106460453B (zh) 卷帘
KR20220002370U (ko) 진동과 소음이 억제되는 구동부를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KR101217873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220134192A (ko) 진동과 소음을 억제하는 탄성리브 브라켓을 가지는 전동 블라인드
CN110409986B (zh) 内置遮阳中空玻璃制品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KR101243359B1 (ko) 핸들샤프트가 구비된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CN111391626B (zh) 一种实现可外部调节扭簧力矩的车载遮阳帘装置
CN210082897U (zh) 车窗遮阳帘平移装置
KR20220006886A (ko) 차량용 전동커튼 장치
KR200466843Y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KR101027439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0794522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KR20200143932A (ko) 전동 롤 블라인드
KR100997247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0726268B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CN214420189U (zh) 一种遮阳帘装置及车窗总成
KR20110099613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CN213449980U (zh) 一种环保铝合金门窗
CN220374256U (zh) 一种单弹簧遮阳帘延伸杆
KR101282444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CN220669241U (zh) 一种汽车透镜的挡光装置
TW202237430A (zh) 遮光裝置和車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