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67U - 낙상 방지용 신발 - Google Patents

낙상 방지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67U
KR20220002367U KR2020210000939U KR20210000939U KR20220002367U KR 20220002367 U KR20220002367 U KR 20220002367U KR 2020210000939 U KR2020210000939 U KR 2020210000939U KR 20210000939 U KR20210000939 U KR 20210000939U KR 20220002367 U KR20220002367 U KR 202200023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fall prevention
shoe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렉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렉스타
Priority to KR202021000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367U/ko
Publication of KR20220002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낙상 방지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발창과 지면의 접지 면적을 확장시키면서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보행 중 이질감 및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게 할 목적으로, 지면과 접하는 신발창(110)을 포함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110)의 측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지면과의 접지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 돌출부(120)가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된 낙상 방지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상 방지용 신발{Fall Prevention Shoes}
본 고안은 낙상 방지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발창의 폭을 부분적으로 확장시켜서 넘어져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외부 활동시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에 착용하는 것으로, 보행이나 구보 중 간혹 발목을 겹질리거나 꺾여 넘어져서 다치는 등, 낙상(落傷)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낙상 사고는 주로 길이 미끄러운 곳에서 발생하거나, 슬리퍼와 같이 발을 완전하게 고정하지 않는 구조의 신발을 신었을 때 발생하며,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신발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406호(특허문헌 1)에서, 밑창과 갑피로 구성된 신발본체, 밑창에 결합하며, 신발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발뒤꿈치뼈 후단이 위치하는 발바닥 위치로부터 발허리뼈 후단이 위치하는 발바닥 위치까지 배치되도록 연장된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며, 미끄럼방지부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걸을 때 발뒤꿈치뼈가 위치하는 발바닥 부분이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미끄럼방지부의 후단에서 선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후위경사면이 형성되며, 미끄럼방지부의 선단에는, 사용자가 걸을 때 발허리뼈가 위치하는 발바닥 부분이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미끄럼방지부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선위경사면이 형성된 '낙상 방지용 신발'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의 낙상 방지용 신발은, 발뒤꿈치뼈가 위치하는 발바닥 부분 및 발허리뼈가 위치하는 발바닥 부분이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지면에서 미끄러짐에 의한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신발 밑창의 전방은 지면과 닿지 않는 구조이므로 통상의 신발 구조와 다른 이질감으로 인해 착용감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슬리퍼와 같이 발을 완전하게 감싸지 않는 종류의 신발에 적용했을 경우 오히려 보행 안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8-0002406호 공개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신발창과 지면의 접지 면적을 확장시키면서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보행 중 이질감 및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는 구조의 낙상 방지용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낙상 방지용 신발은, 지면과 접하는 신발창을 포함하며, 상기 신발창의 측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 지면과의 접지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 돌출부가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확장 돌출부는 신발창의 제1바닥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바닥면과, 상기 신발창의 제1벽면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제2바닥면의 최외측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결된 제2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돌출부는 좌우 양쪽 신발을 기준으로 각 신발의 외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창의 바닥면 중앙에는 신발창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결되는 종방향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낙상 방지용 신발에 따르면, 신발창의 측벽으로 돌출된 확장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신발창 하단의 면적을 전체적으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서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신발창 하단의 면적이 신발의 횡 방향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발목의 비틀림이나 꺾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운동화나 구두, 슬리퍼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면서 착화 후 보행 중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착용감이나 보행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신발의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부의 신발창을 절개한 단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상 방지용 신발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부의 신발창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100)은, 인체의 발 하부에 위치하고 지면에 접하는 신발창(110)을 포함하고, 상기 신발창(110)의 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확장 돌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 돌출부(120)의 하단면이 지면과 닿음으로써 신발창(110)의 접지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확장 돌출부(120)는 상기 신발창(110)의 제1바닥면(111)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바닥면(121)과, 상기 신발창(110)의 제1벽면(112) 중 어느 한 지점, 더 구체적으로 제1벽면(112) 중 상부 또는 중부에서 상기 제2바닥면(111)의 최외측 단부까지 경사지거나 호형으로 연결된 제2벽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돌출부(120)는 도면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좌우 양쪽 신발을 기준으로 각 신발의 외측부, 즉 발의 바깥쪽 부분에서 전후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2와 같이 신발창(110)의 외측부 테두리(도면에서 우측 테두리 부분)가 확장 돌출부(120)에 의해서 굴절된 형태가 되어, 특히 신발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도면에서 예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확장 돌출부(120)는 좌우 양쪽 신발을 기준으로 각 신발의 내측부, 즉 발의 안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발의 안쪽과 바깥쪽 부분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창(110)의 바닥면 중앙에는 신발창(11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결되는 종방향 홈(13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종방향 홈(130)은 횡단면상 반원형 또는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종방향 홈(130)에 의하면, 그것의 양측 단부와 신발창(110) 바닥면 사이에 종방향의 모서리를 형성하기 때문에 신발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 돌출부(120)는, 신발창(110)을 성형할 때, 신발창 성형과 동시에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도면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슬리퍼와 같은 신발을 비롯하여, 구두나 운동화와 같은 신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발등 부분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의 슬리퍼에 적용했을 경우에도 본래의 슬리퍼가 갖는 착화감을 그대로 유지하여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신발
110... 신발창
111... 제1바닥면
112... 제1벽면
120... 확장 돌출부
121... 제2바닥면
122... 제2벽면
130... 홈

Claims (4)

  1. 지면과 접하는 신발창을 포함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의 측면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과의 접지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 돌출부가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 돌출부는 신발창의 제1바닥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2바닥면과, 상기 신발창의 제1벽면 중 어느 한 지점에서 상기 제2바닥면의 최외측 단부까지 연결된 제2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 돌출부는 좌우 양쪽 신발을 기준으로 각 신발의 외측부와 내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의 바닥면 중앙에는 신발창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결되는 종방향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방지용 신발.
KR2020210000939U 2021-03-26 2021-03-26 낙상 방지용 신발 KR202200023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39U KR20220002367U (ko) 2021-03-26 2021-03-26 낙상 방지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39U KR20220002367U (ko) 2021-03-26 2021-03-26 낙상 방지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67U true KR20220002367U (ko) 2022-10-05

Family

ID=8359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39U KR20220002367U (ko) 2021-03-26 2021-03-26 낙상 방지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36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06U (ko) 2017-02-01 2018-08-09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신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406U (ko) 2017-02-01 2018-08-09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7665B2 (en) Footwear including a stabilizing sole
US10231512B2 (en) Three layer shoe construction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traction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US7082704B2 (en) Insole, and footwear system incorporating same
US6105279A (en) Shoe and shoe comprising this sole
JP5278714B2 (ja)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US7997010B2 (en) Shoe suspension system
US6272773B1 (en) Riding shoe
JP4709085B2 (ja) 中敷および中底
US5893221A (en) Footwear having a protuberance
JP4933150B2 (ja) 高さのあるヒールを備えた婦人靴の中底体
KR20220002367U (ko) 낙상 방지용 신발
JP2010051657A (ja) 靴底
JP3104246U (ja) 中敷き及び靴
KR101400912B1 (ko) 신발 밑창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US20220312892A1 (en) Footwear sole with a midfoot lateral extension to increase lateral stability
KR100627676B1 (ko) 신발의 솔 구조
KR20240081760A (ko) 안정적인 보행이 되는 워킹 신발창
KR20230067107A (ko) 폴딩 기능이 향상된 신발
KR100947901B1 (ko)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힐링워킹 신발창
JP2024013282A (ja) ルームシューズ
KR100763138B1 (ko) 미끄럼에 대응하는 호형신발창
JP3167656U (ja) 履物
KR200418471Y1 (ko) 신발의 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