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38A -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38A
KR20220002338A KR1020217035556A KR20217035556A KR20220002338A KR 20220002338 A KR20220002338 A KR 20220002338A KR 1020217035556 A KR1020217035556 A KR 1020217035556A KR 20217035556 A KR20217035556 A KR 20217035556A KR 20220002338 A KR20220002338 A KR 20220002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rivet
rivet nut
opening
shank
foo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슈텐 노일
슈테판 슈나이더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0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F16B19/1072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the pull-mandrel or the like comprising a thread and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ivet, thereby mechanically expanding and fastening the riv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16B37/06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 F16B37/067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the material of the nut being deformed by a threaded member generating axial movement of the threaded part of the nut, e.g. blind riv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플랜지를 형성하는 헤드(12)와, 헤드 단부(16), 발부 단부(18), 및 헤드 단부(16)로부터 발부 단부(18)까지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보어(20)를 포함하는 섕크(14)로서, 보어는 발부 단부(18) 부근의 제1 보어 세그먼트 및 헤드 단부(16) 부근의 제2 보어 세그먼트를 갖고, 제2 보어 세그먼트를 둘러싸는 벽은 섕크의 변형가능 영역을 형성하고 외벽 직경(D1)을 가지며, 발부 단부(18)는 발부 단부 직경(D2)을 갖는, 섕크를 포함하며, 섕크의 발부 단부(18)는 길이방향 축(X)과 21 내지 25도의 발부 단부 각도(A)를 이루는 테이퍼진 모따기부(22)를 포함하고, 외벽 직경(D1)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D2)의 비율은 0.65 내지 0.82인, 용이한 자동화된 세팅을 허용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
본 발명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축과 블라인드 리벳 너트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구멍의 축 사이의 완벽한 정렬이 없이 자동화된 세팅을 허용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는 나사산 보강 수단으로서 얇은 시트 용례에 사용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는 전형적으로 단면이 대체로 원통형 또는 육각형이고 그 길이의 대부분이 중공형인 세장형 본체를 가지며, 일 단부는 폐쇄(블라인드)되거나 개방된다. 중공 부분의 일부는 세팅 도구 또는 볼트를 수용하도록 나사산형이다. 플랜지가 나사산형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개방 단부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랜지는 중공 본체의 주연부를 넘어 연장되고, 재료의 외층 또는 시트의 표면에 맞닿는 대체로 편평한 면을 갖는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설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가 세팅 도구의 나사산형 맨드릴 상에 나사결합되고 재료의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의 사전형성된 개구를 통해 블라인드 리벳을 함께 삽입함으로써 시작된다. 세팅 사이클의 개시시, 블라인드 리벳 너트와 여전히 맞물려 있는 세팅 도구 맨드릴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플랜지를 향해 뒤쪽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조작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업편의 측부를 넘어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 본체 벽의 변형을 야기하고, 플랜지의 면에 대해 재료의 시트 또는 각각의 재료의 시트를 끼운다.
몇몇 특허 문헌들은 이러한 종류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 EP1953398B1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내측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보어 세그먼트를 갖는 헤드와 섕크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테이퍼진 단부가 제공되어 개구 안으로의 더 양호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US10012257BB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를 갖는 구성요소 배치를 개시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는 또한 그 발부(foot) 단부에 모따기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블라인드 리벳 및 블라인드 리벳 배치는 개구 안으로의 더 양호한 삽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및 그 삽입을 개선시킬 필요가 여전히 있다.
예를 들어, 완벽한 조립, 특히 조립된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회전 방지를 보장하기 위해, 구멍의 직경과 블라인드 리벳 너트 본체의 직경은 엄격한 공차로 서로 좌우된다. 그러나, 구멍의 직경과 블라인드 리벳 너트 본체의 직경 사이의 엄격한 공차는 산업 환경에서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구멍 안으로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삽입은 일반적으로 언급된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리벳 너트 본체의 단부에 모따기부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해진다. 그러나, 모따기부 단독의 존재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일부 자동화된 또는 완전 자동화된 세팅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방식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고, 예를 들어 완전히 자동화된 세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세팅 능력을 갖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를 제공하는 것을 향해 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은 구멍의 중심과 리벳의 축 사이에서 미리결정된 및 규정된 최대 오프셋을 허용하여, 접합 또는 조립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 너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블라인드 리벳 너트는 제조가 용이하고, 구멍의 축과 너트가 완전히 중심맞춤되지 않는 경우에도 작업편의 구멍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여러 테스트는 놀랍게도 이러한 블라인드 리벳 너트가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로봇에 의해 완전히 자동적으로 쉽게 세팅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특정 모따기부 각도와 관련된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2개의 직경 사이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특정 비율은 세팅 공정의 자동화를 완벽하게 허용하여, 제조 시간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벽 직경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의 비율은 0.74 내지 0.81이다. 이러한 비율은 쉽게 세팅될 수 있는 잘 균형잡힌 리벳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부 단부 각도는 약 23도이다. 약 23도의 발부 단부 각도로 인해, 블라인드 리벳 너트는 개구 안으로 더 잘 활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내부 모따기부는 제1 보어 세그먼트와 제2 보어 세그먼트 사이에 제공된다. 제1 내부 모따기부는 길이방향 축과 6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제1 내부 모따기부는 세팅 기계에 부착된 나사산형 맨드릴의 부착 및 중심맞춤을 보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내부 모따기부가 보어의 2개의 보어 세그먼트 사이에 제공된다. 이 제2 내부 모따기부는 블라인드 리벳 세팅 장치의 나사산형 맨드릴과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내부 나사산의 중심맞춤 및 맞물림을 보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는 예를 들어 스틸, 황동,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재료는 또한 전술한 재료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재료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 의해 연결될 예정이거나 블라인드 리벳 너트가 삽입될 재료의 기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섕크는 정다각형 각기둥 또는 원통 형태의 외면을 갖는다. 섕크의 정다각형 형태는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의 개구에서의 조립된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원통형 형태는 제조가 쉽다.
본 발명은 또한 독립 청구항 8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구성하기 용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구에는 10개 내지 14개의 돌출부를 갖는 윤곽이 제공된다. 개구의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발생 가능한 오프셋의 균등화를 부가적으로 지원한다. 예를 들어, 개구에는 12개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 10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1.5 mm까지의 오프셋을 갖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세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조립은 완전히 자동화될 수 있고, 제조 시간이 감소된다. 실제로, 여러 테스트는 이러한 오프셋이 예를 들어 세팅 기계의 헤드에 부착되는 추가 특정 구멍-발견 장치 없이 완전한 자동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오프셋은 시간 효율적인 세팅을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교정 단계는 개구 안으로의 섕크의 삽입 후에 행해진다. 교정 단계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헤드(플랜지)와 작업편의 표면이 서로 거의 평행하도록 보장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편에는 개구가 제공된다. 개구에는 10개 내지 14개의 돌출부를 갖는 윤곽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개구에는 12개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12개의 돌출부를 갖는 윤곽에서, 클래딩 원(cladding circle)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 구멍의 클래딩 원보다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개구의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발생 가능한 오프셋의 균등화를 부가적으로 지원한다.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를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조립 전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및 시트 재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시트 재료 내의 개구의 윤곽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삽입된 상태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플랜지 및 섕크(14)를 형성하는 헤드(12)를 포함한다. 섕크(14)는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섕크(14)는 예를 들어 약 19 mm의 길이(L) 및 약 13.5 mm의 외벽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약 16.5 mm의 섕크(14)의 길이(L)와 약 11.5 mm의 외벽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외벽 직경(D1)은 약 15.5 mm일 수 있으며 섕크(14)의 길이(L)는 약 22.75 mm일 수 있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또한 약 9 mm의 외벽 직경(D1)과 약 14 mm의 섕크(14)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X) 주위에 중심맞춤된다. 섕크(14)는 헤드 단부(16) 및 발부 단부(18)를 포함한다. 헤드 단부는 헤드(12)에 근접하여 그리고 그의 연속으로 배치되며, 발부 단부(18)는 자유 단부를 형성한다. 발부 단부(18)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길이방향 축(X)과 발부 단부 각도(A)를 형성한다. 발부 단부 각도는 0이 아닌 각도(A>0°)이다. 발부 단부 각도(A)는 섕크(14)의 발부 단부(18)의 테이퍼진 모따기부(22)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섕크(14)는 정다각형 각기둥 또는 원통 형태의 외면을 갖는다. 섕크(14)의 정다각형 형태는 시트 재료의 개구에서의 조립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회전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예를 들어 스틸, 황동,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재료는 또한 전술한 재료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를 A-A 단면도로 도시한다. 섕크(14)는 헤드 단부(16)로부터 발부 단부(18)까지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보어(20)를 포함한다. 즉, 보어(20)는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어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라인드 구멍일 수 있다. 보어(20)는 발부 단부(18) 부근에 제1 보어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제1 보어 세그먼트에는 내부 나사산(19)이 제공된다. 보어는 헤드 단부(16) 부근의 제2 보어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보어 세그먼트의 직경은 제1 보어 세그먼트의 직경보다 크다. 제2 보어 세그먼트를 둘러싸는 벽은 섕크(14)의 변형가능 영역을 형성하며 외벽 직경(D1)을 갖는다. 상이한 직경은 한편으로는 섕크(14)의 변형가능 영역의 더 양호한 변형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품질 하중-지지 나사산의 제공을 지원한다.
섕크의 발부 단부(18)는 D1과는 상이한 발부 단부 직경(D2)을 갖는다. 외벽 직경(D1)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D2)의 비율은 0.65 내지 0.82, 더 구체적으로는 0.72 내지 0.81이다. 예를 들어, 외벽 직경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의 비율은 0.74 내지 0.81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비율은 0.77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내부 모따기부(24)가 2개의 보어 세그먼트 사이에 제공된다. 제1 내부 모따기부(24)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세팅 동안 보어(20) 내의 나사산형 맨드릴의 부착 및 중심맞춤을 보조한다. 나사산형 맨드릴을 갖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도구는 잘 알려져 있고, 추가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길이방향 축(X)에 대한 제1 내부 모따기부(24)의 각도는 55° 내지 65°, 이상적으로는 60°의 범위이다.
도 3은 작업편(26)에 삽입하기 위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와 단 하나의 작업편(26)을 도시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또한 재료의 하나 초과의 층에 삽입될 수 있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예를 들어 하나의 층으로부터 다섯 개의 층까지 삽입될 수 있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를 작업편(26) 내에 삽입하기 위해, 작업편(26)에는 직경(D3)을 갖는 개구(28)가 사전형성된다. 개구(28)는 개구 축(Xa) 주위에 중심맞춤된다. 개구(28)의 직경(D3)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외벽 직경(D1)과 유사한 치수를 가지며, 따라서 섕크(14)는 개구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반면, 헤드(12)는 개구의 주연부에서 직접 표면에 기대어진다. 유사하게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가 개구(28)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의 직경(D3)이 외벽 직경(D1)보다 약간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간 더 크다는 것은 예를 들어 0.1 내지 0.9 mm, 이상적으로는 0.1 내지 0.6 mm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구(28) 안으로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라인드 리벳 너트 본체의 발부 단부(18)에는 일반적으로 모따기부(22)가 제공된다. 따라서 모따기부(22)는 개구(28) 내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섕크의 발부 단부(18)는 발부 단부 각도(A)를 형성하는 테이퍼진 모따기부(22)를 포함한다. 발부 각도(A)는 길이방향 축(X)에 대해 21° 내지 25°이다. 예를 들어, 발부 단부 각도(A)는 약 23°이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세팅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로봇 또는 로봇 아암 상에 배치되고 또한 로봇 또는 로봇 아암에 의해 구동된다.
제2 내부 모따기부(25)가 보어(20)의 2개의 보어 세그먼트 사이에 제공된다. 이 제2 내부 모따기부(25)는 블라인드 리벳 세팅 장치의 나사산형 맨드릴과 내부 나사산(19)과의 중심맞춤 및 맞물림을 보조한다. 제2 내부 모따기부(25)는 제1 내부 모따기부(24)와 발부 단부(18) 또는 내부 나사산(19) 사이에 배치된다.
외벽 직경(D1)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D2)의 비율, 즉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발부 단부 각도(A)는 특히 세팅 도구의 헤드에 고정되는 정밀한 구멍-발견 장치 또는 정밀한 공차 조정의 필요 없이 로봇에 의해 구동되는 완전히 자동화된 블라인드 리벳 세팅 방법을 용이하게 한다. 2개의 내부 모따기부(24, 25)는 자동화된 세팅을 추가로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비율은 길이방향 축(X)과 개구 축(Xa) 사이에서 오프셋(Δ(X-Xa))을 1.5 mm까지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1.5 mm까지의 발생 가능한 오프셋(Δ(X-Xa))은 개구(28) 안으로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작업편(26) 내의 개구(28)를 위한 가능한 윤곽(32)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는 원형 개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28)는 원형, 간질형 또는 난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편(26)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삽입 및/또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이 수행되기 전에 개구(28)를 갖도록 준비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28)에는 윤곽이 제공된다. 제공된 윤곽은 개구 축(Xa)으로 연장되는 돌출부(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윤곽은 10개 내지 14개의 상기 돌출부(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개구(28)에는 12개의 돌출부(32)를 갖는 윤곽이 제공된다. 평면도에서 윤곽은 별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윤곽의 형상은 XZN 나사/볼트 헤드 구동부의 형상에 비교될 수 있다. 돌출부는 팁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세그먼트를 갖는 삼각형의 형태를 갖고, 팁은 개구 축(Xa)을 향해 연장된다. 작업편 내의 개구(28)의 기하학적 구조 또는 형상은 또한 로봇에 의해 구동되는 완전히 자동화된 블라인드 리벳 세팅 방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돌출부가 둥근 팁을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팁은 0.1 내지 0.9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개구(28)의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재료가 세팅 중에 유동할 수 있는 팁 부근의 좌우에 더 많은 공간이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개구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것이고, 따라서 너트가 삽입 단계 동안 재밍되는 것을 방지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및 작업편을 갖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및 개구(28)가 제공된 작업편(26)을 포함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섕크(14)는 개구(28) 내에서 연장되고, 헤드(12)는 작업편(26)과 접촉하며, 제2 보어 세그먼트의 일부가 변형되어 볼록부(30)를 형성한다. 작업편(26)은 볼록부(30)와 헤드(12) 사이에 끼워진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설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가 세팅 도구의 나사산형 맨드릴 상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는 예를 들어 로봇 아암에 의해 재료의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의 개구(들) 내에 삽입된다. 세팅 사이클의 개시시,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 여전히 맞물려 있는 세팅 도구 맨드릴은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플랜지를 향해 뒤쪽으로 당겨지고, 이에 의해 조작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업편의 측부를 넘어 블라인드 리벳 너트 본체 벽(제2 보어 세그먼트)의 변형을 야기하고, 플랜지의 면에 대해 재료의 시트 또는 각각의 재료의 시트를 끼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은 개구(28)를 갖는 작업편(26)을 제공하는 제1 단계(단계 A)를 포함하며, 개구(28)는 개구 축(Xa) 주위에 중심맞춤되고 개구 직경(D3)을 갖는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에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가 추가로 제공되고,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는 로봇 아암에 의해 구동된다.
제2 단계(단계 B)에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가 이동된다. 로봇 아암은 개구(28)의 전방에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를 배치한다. 길이방향 축(X)과 개구 축(Xa)은 1.5 mm까지 오프셋되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제3 단계(단계 C)에서는, 섕크(14)는 개구(28) 내에 삽입된다. 1.5 mm까지의 길이방향 축(X)과 개구 축(Xa) 사이의 오프셋은 본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개구(28) 안으로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마지막 단계(E 단계)에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가 개구 내에 세팅된다.
세팅 중에 길이방향 축(X)이 작업편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섕크(14)의 삽입 후에 교정 단계(D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부가적으로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교정 단계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삽입 후에 또는 삽입 중에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도구의 헤드를 개구의 중심과 중심맞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의 헤드는 축을 정렬시키고 블라인드 리벳 너트를 세팅하기 위한 잘 알려진 당김 단계(Pull step)를 수행하기 위해 "교정된다".
따라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은 완전히 자동으로 그리고 센서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임의의 이전에 요구된 구멍 찾기 장치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블라인드 리벳 너트
12 플랜지를 갖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헤드
14 섕크
16 헤드 단부
18 발부 단부
19 내부 나사산
20 보어
22 테이퍼진 모따기부
24 제1 내부 모따기부
25 제2 내부 모따기부
26 작업편
28 개구
30 볼록부
32 돌출부
A 발부 단부 각도
L 섕크의 길이
X (블라인드 리벳 너트의) 길이방향 축
Xa 개구 축
(Δ(X-Xa)) 오프셋
D1 외벽 직경
D2 발부 단부 직경
D3 개구의 직경

Claims (12)

  1.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하기 위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로서,
    - 플랜지를 형성하는 헤드(12)와; 
    - 헤드 단부(16), 발부 단부(18), 및 헤드 단부(16)로부터 발부 단부(18)까지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보어(20)를 포함하는 섕크(14)로서, 보어는 내부 나사산(19)이 제공된, 발부 단부(18) 부근의 제1 보어 세그먼트 및 직경이 제1 보어 세그먼트의 직경보다 큰, 헤드 단부(16) 부근의 제2 보어 세그먼트를 갖고, 제2 보어 세그먼트를 둘러싸는 벽은 섕크의 변형가능 영역을 형성하고 외벽 직경(D1)을 가지며, 발부 단부(18)는 발부 단부 직경(D2)을 갖는, 섕크(14)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에 있어서,
    섕크의 발부 단부(18)는 길이방향 축(X)과 21 내지 25도의 발부 단부 각도(A)를 이루는 테이퍼진 모따기부(22)를 포함하고, 외벽 직경(D1)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D2)의 비율은 0.65 내지 0.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2. 제1항에 있어서, 외벽 직경(D1)에 대한 발부 단부 직경(D2)의 비율은 0.74 내지 0.81인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부 단부 각도(A)는 약 23도인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내부 모따기부(24)가 제1 보어 세그먼트와 제2 보어 세그먼트 사이에 제공되며, 제1 내부 모따기부(24)는 길이방향 축(X)과 약 60도의 각도를 이루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5. 제4항에 있어서, 제2 내부 모따기부(25)가 제1 보어 세그먼트와 제2 보어 세그먼트 사이에 제공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는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또는 황동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섕크(14)는 정다각형 각기둥 또는 원통 형태의 외면을 갖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 너트(10) 및 개구(28)가 제공된 작업편(26)을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이며,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섕크(14)는 개구(28)에서 연장되며, 헤드(12)는 작업편(26)과 접촉하고 제2 보어 세그먼트의 일부는 볼록부(30)를 형성하도록 변형되며, 따라서 작업편은 볼록부(28)와 헤드(12) 사이에 끼워지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9. 제8항에 있어서, 개구(28)에는 12개의 돌출부(32)를 갖는 윤곽이 제공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10.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이며,
    a. 개구(28)를 갖는 작업편(26)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개구(28)는 개구 축(Xa) 주위에 중심맞춤되고 개구 직경(D3)을 갖는, 작업편을 제공하는 단계;
    b.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는 로봇 아암에 의해 구동되고, 외벽 직경(D1)은 개구 직경(D3)과 현저히 동일한,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 및 블라인드 리벳 너트를 제공하는 단계;
    c. 길이방향 축(X) 및 개구 축(Xa)이 1.5 mm까지 오프셋된 상태로 블라인드 리벳 너트(10)가 개구(28)와 대면하도록 로봇 아암으로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장치 및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를 이동시키는 단계;
    d. 섕크(14)를 개구(28)에 삽입하는 단계로서, 길이방향 축(X)과 개구 축(Xa) 사이의 오프셋이 개구(28) 안으로의 블라인드 리벳 너트(1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 섕크를 삽입하는 단계;
    e. 개구에 블라인드 리벳 너트(10)를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리벳 너트 세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섕크(14)의 삽입 후에 교정 단계가 행해지며, 따라서 길이방향 축(X)은 세팅 중에 작업편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개구(28)에는 12개의 돌출부를 갖는 윤곽이 제공되는 방법.
KR1020217035556A 2019-05-03 2020-03-31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 KR20220002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2594.4A EP3734086B1 (en) 2019-05-03 2019-05-03 Blind rivet nut, blind rivet nut arrangement and setting method
EP19172594.4 2019-05-03
PCT/EP2020/059038 WO2020224872A1 (en) 2019-05-03 2020-03-31 Blind rivet nut, blind rivet nut arrangement and set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38A true KR20220002338A (ko) 2022-01-06

Family

ID=6639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556A KR20220002338A (ko) 2019-05-03 2020-03-31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4348A1 (ko)
EP (1) EP3734086B1 (ko)
JP (1) JP2022531405A (ko)
KR (1) KR20220002338A (ko)
CN (1) CN113785129B (ko)
WO (1) WO2020224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2404S1 (en) * 2022-07-23 2023-04-04 Chengdu Daole Technology Co., Ltd. Rivet nut too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0705A (en) * 1958-03-05 1962-04-24 Goodrich Co B F Method of securing a structure to a tubular rivet in apertured work
US3304830A (en) * 1960-08-09 1967-02-21 Goodrich Co B F Expansible hollow rivet having a polygonal shank
US3215026A (en) * 1965-03-10 1965-11-02 John H Davis Blind press nut devices
US3797358A (en) * 1972-07-25 1974-03-19 Goodrich B Blind fastener with prismatic body
DE3513644A1 (de) * 1985-04-16 1986-10-16 Ludwig 8761 Mönchberg Kraemer Nietmutter
JPH11270535A (ja) * 1998-03-23 1999-10-05 Pop Rivet Fastener Kk 締結具
US20050095078A1 (en) * 2002-04-11 2005-05-05 Takanori Makino Blind nut
FR2852870B1 (fr) * 2003-03-24 2005-06-10 Bollhoff Otalu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ecrou noye a sertir et ecrou noye a sertir realise par un tel procede.
US20050031433A1 (en) * 2003-08-05 2005-02-10 Frank Neri Threaded insert and method of installation
DE10342316B8 (de) * 2003-09-12 2009-01-15 Honsel Umformtechnik Gmbh Blindnietmutter
DE102004003240A1 (de) * 2004-01-21 2005-08-11 Newfrey Llc, Newark Blindnietmutter
US20060024145A1 (en) * 2004-07-29 2006-02-02 Pei-Chung Wang Friction stir rivet and method of joining therewith
DE102007005626B3 (de) 2007-02-05 2008-08-28 Honsel Umformtechnik Gmbh Blindnietmutter oder -gewindebolzen
US8672597B2 (en) * 2007-02-09 2014-03-18 Stafast Products, Inc. Fastener
JP2013160321A (ja) * 2012-02-07 2013-08-19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ブラインドナットとその取付け方法
DE102012106596A1 (de) * 2012-07-20 2014-01-23 Hartmut Flaig Verankerungseinrichtung, Verbindungsanordnung sowie Verfahren
CN203500237U (zh) * 2013-04-27 2014-03-26 湖南莲港紧固件有限公司 平头长倒角铆螺母
CN203322012U (zh) * 2013-06-26 2013-12-04 浙江丰华标准件制造有限公司 一种防松铆接螺母
JP6349609B2 (ja) * 2014-05-22 2018-07-04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ブラインドナット
DE102014109361A1 (de) 2014-07-04 2016-01-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auteilanordnung mit einer Blindnietmutter
EP3263921B1 (de) * 2016-07-01 2019-1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lindnietmutter,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r blindnietmutter und befestigungsverfahren
US20190048913A1 (en) * 2017-08-08 2019-02-14 Monogram Aerospace Fasteners, Inc. Blind fastener with a slotted expansion body
BE1025150B1 (nl) * 2017-09-28 2018-11-13 Dejond Nv Blindklinkbevestiger en werkwijze voor de productie daarv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4348A1 (en) 2022-02-03
WO2020224872A1 (en) 2020-11-12
EP3734086B1 (en) 2022-03-02
CN113785129A (zh) 2021-12-10
EP3734086A1 (en) 2020-11-04
JP2022531405A (ja) 2022-07-06
CN113785129B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1844A1 (en) Blind rivet nut
US8262329B2 (en) Fastening device
US8931980B2 (en) Tap and die devices
JP2017503663A (ja) マウンティングアセンブリ
EP2522862A1 (en) Fastening assembly
EP3980220B1 (en) Setting tool for blind fasteners
US6604900B2 (en) Pierce nut
KR20220002338A (ko) 블라인드 리벳 너트, 블라인드 리벳 너트 배치 및 세팅 방법
JP2023184611A (ja) 歯車用材料保持装置および歯車用材料取り付け方法
JP2009198004A (ja) 溶接スタッド
US10145405B1 (en) Self-tapping insert with interior die slots and method of utilizing the same to repair damaged threads on a fastener
US20190275607A1 (en) Friction stir welding tool,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and friction stir welding method
US20050000327A1 (en) Adjustable socket
US5429014A (en) Adjustable pedal rod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21054206A1 (ja) カシメナットの取付工法及びカシメ工具
JPH01182613A (ja) パイロット付ねじ
JP4255812B2 (ja) 金具固定構造と金具固定方法
JP3222805U (ja) 接合用ボルト
US8544366B2 (en) Spark plug removal tool apparatus
JP2008275096A (ja) 雄ねじ部品、ドライバーおよび雄ねじ部品の取り外し方法
WO2022091362A1 (ja) ねじ穴加工方法
CN211639752U (zh) 一种螺桩拧紧工装
JP3127534U7 (ko)
KR20110110364A (ko) 내부 나사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내부 나사 소자와 나사 연결
US20160045965A1 (en) Tap sleeve apparatus and method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