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958U - 타일 시공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용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1958U KR20220001958U KR2020210000364U KR20210000364U KR20220001958U KR 20220001958 U KR20220001958 U KR 20220001958U KR 2020210000364 U KR2020210000364 U KR 2020210000364U KR 20210000364 U KR20210000364 U KR 20210000364U KR 20220001958 U KR20220001958 U KR 2022000195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 protrusion
- support
- insertion hole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타일 시공용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는 몸체부 및 평탄 쐐기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판형의 형상으로 타일 시공시 상기 타일 하부에 매립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 쐐기는, 상측면에 소정의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측면이 높이와 타측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
Description
본 고안은 타일 시공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소재의 타일은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으로 오염물의 세정이 용이하여 청결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건물의 내부 마감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타일 시공은 바닥면이나 벽면과 같은 기초 벽면에 마르지 않은 시멘트나 접착제를 도포한 후 타일을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시멘트 또는 접착제가 마르면서 시공된 타일은 벽면이나 바닥면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일 시공은 넓은 바닥면 또는 벽면에 복수개의 타일을 부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라 시공 이후의 평활도나 타일의 정렬 상태가 달라질 수 있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시공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타일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면서 평활하게 타일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일의 정렬 상태 및 평활도를 유지하면서 타일을 시공할 수 있게 하는 타일 시공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일 시공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타일을 시공할 수 있게 하는 타일 시공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 몸체부는, 판형의 형상으로 타일 시공시 상기 타일 하부에 매립되는 지지부(111), 상기 지지부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홀(115)이 형성된 돌출부(113) 및 상기 지지부(113)와 상기 돌출부(11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115)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타일 각각의 복수개의 모서리와 맞닿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13)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돌출부(113)가 상기 지지부(11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113)와 상기 지지부(111) 사이에 빈 공간인 삽입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130)눈 열십자(十)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부(130)의 가로축이 살기 돌출부(113)가 상기 지지부(111)에 결합되는 위치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지지부(111)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는, 몸체부(110) 및 평탄 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0)는, 판형의 형상으로 타일 시공시 상기 타일 하부에 매립되는 지지부(111) 및 상기 지지부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홀(115)이 형성된 돌출부(113) 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 쐐기(300)는, 상측면에 소정의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측면이 높이와 타측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탄 쐐기(300)는, 상기 지지부(111)와 상기 돌출부(113)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115)에 높이가 낮은 일측면부터 삽입되어 상기 평탄 쐐기(300)의 경사면이 상기 삽입홀(115)의 상측면과 접촉할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타일 시공용 조립체에 따르면, 타일 시공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바닥면 또는 벽면에 타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타일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며 단차 없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10)와 가이드부(130)가 결합된 상태의 타일 시공용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로 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탄 클립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삽입홀에 평탄 쐐기가 삽입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탄 쐐기 및 돌출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10)와 가이드부(130)가 결합된 상태의 타일 시공용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로 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탄 클립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삽입홀에 평탄 쐐기가 삽입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탄 쐐기 및 돌출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는 몸체부(110) 및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체부(110)는 지지부(111) 및 돌출부(113)를 포함한다.
지지부(111)는 판형의 형상으로 타일 시공시 타일 하부에 매립된다. 지지부(111)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부에 지지부(111)가 매립된 상태의 타일과 지지부(111)가 매립되지 않은 상태의 타일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얇은 판형으로 구현된다.
돌출부(113)는 지지부(111)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부(111)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홀(115)이 형성된다. 삽입홀(115)에는 평탄 쐐기가 삽입되어 상호 인접하는 타일이 평탄하게 바닥면 또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삽입홀(115)에 평탄 쐐기를 삽입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돌출부(113)는 시공된 타일보다 더 상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타일 시공이 완료된 이후 돌출부(113)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부(111)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지지부(1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부(130)는 지지부(111)와 돌출부(113)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115) 중앙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타일 각각의 복수개의 모서리와 맞닿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30)는 열십자(十)의 형상일 수 있다.
가이드부(130)가 열십자(十) 형상인 경우, 가이드부(130)에는 총 4개의 타일이 맞닿게 되는데, 이때, 각 타일의 2개의 모서리와 맞닿게 된다. 가이드부(130)에 타일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시공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별도의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가이드부(13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T자형, ㄱ자형, ㄴ자형 등 타일이 시공되는 위치에 맞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110)와 가이드부(130)가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요소로서 상호 결합되어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를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몸체부(110)와 가이드부(130)는 일체형으로 별도로 분리 가능한 구성이 아닐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10)와 가이드부(130)가 결합된 상태의 타일 시공용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3)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ㄷ"자 형상이다. 따라서, 돌출부(113)가 지지부(111)에 결합되었을 때 돌출부(113)와 지지부(111) 사이에는 빈 공간인 삽입홀(115)이 형성된다.
삽입홀(115)의 형상은 돌출부(113)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바, 돌출부(113)가 "ㄷ"자 형상인 경우 사각형의 삽입홀(115)이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부(130)는 몸체부(110)의 지지부(111)와 돌출부(113)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115)에 결합된다.
가이드부(130)가 열십자(十)자 형상인 경우 가이드부(130)의 가로축이 돌출부(113)가 지지부(111)에 결합되는 위치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지지부(111) 상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1)에 접촉되는 돌출부(113)의 접촉면을 연장한 가상의 선을 a-a'이라고 하면, 가이드부(130)의 가로축이 상기 a-a'선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로 타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로 타일을 시공하기 위해 먼저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를 바닥면 또는 벽면에 위치시킨다. 벽면과 같이 수직면에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를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공면에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가 위치한 상태에서 타일(200-1, 200-2, 200-3, 200-4)의 모서리가 가이드부(130)에 접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30)에는 4개의 "ㄱ"자 형상의 안착면에 형성되는데, 각각의 안착면에 타일의 모서리 부위를 안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의 타일을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타일을 시공하면 타일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며 단차없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탄 클립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타일 시공이 완료되면 지지부(111) 및 지지부(111) 상부에 결합된 가이드부(130)는 타일 하부에 매립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돌출부(113)는 타일이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만큼의 높이를 가지는바 타일 외부로 노출된다. 삽입홀(115)의 일부도 부착된 타일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가이드부(130)에 타일을 안착시켜 타일을 시공하면 4개의 타일(200-1, 200-2, 200-3, 200-4)이 만나는 부분에 가이드부(130)와 동일한 열십자(十) 모양이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타일(200-1, 200-2, 200-3, 200-4)들을 정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다만, 복수개의 타일(200-1, 200-2, 200-3, 200-4) 상호간에 상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삽입홀(115)에 평탄 쐐기(300)를 삽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탄 쐐기(300)는 상측면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일측면의 높이와 타측면의 높이가 다른값을 가진다.
평탄 쐐기(300)는 높이가 낮은 부분부터 삽입홀(115)로 삽입되어 상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삽입홀(115)의 상측면과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평탄 쐐기(300)의 경사면이 삽입홀(115)의 상측면과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인접한 타일들이 평탄 쐐기(300)의 하측면과 모두 접촉하도록 시공 높이를 조절하면 평탄 쐐기(300) 하부에 시공된 타일들의 상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이때, 평탄 쐐기(300)는 삽입홀(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타일을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삽입홀에 평탄 쐐기가 삽입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탄 쐐기(300)의 경사면이 삽입홀(115)의 상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타일들이 모두 평탄 쐐기(300)의 하측면과 접촉하도록 높이를 조절하면 타일의 상하 단차를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 쐐기(300)의 경사면이 삽입홀(115)의 상측면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타일(200-1) 내지 제3 타일(200-3)은 평탄 쐐기(300)의 하측면과 접촉되지 않고 제4 타일(200-4)만이 접촉된다면, 제4 타일(200-4)과 제1 타일(200-1) 내지 제3 타일(200-3) 간에 상하 단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 타일(200-4)을 바닥면 또는 벽면으로 눌러주면 상하 단차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제1 타일(200-1) 내지 제4 타일(200-2) 전체가 평탄 쐐기(300)의 하측면과 접촉하게 되면 상하 단차가 모두 없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평탄 쐐기(300)의 하측면이 하부에 위치한 타일들과 모두 접촉한 상태로 시멘트 등이 마를 때까지 유지하면 타일들의 상하 단차 없이 시공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일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탄 쐐기 및 돌출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타일이 바닥면 또는 벽면에 부착 완료되면 평탄 쐐기(300) 및 지지부(113)를 제거한다. 특히, 돌출부(113)의 경우 타일이 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므로 타일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3)는 지지부(1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외력이 가해지면 용이하게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삽입홀(115)에서 평탄 쐐기(300)가 먼저 분리된 후 바닥면 또는 벽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3)에 외력을 가하면 돌출부(113)가 지지부(111)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외력은 돌출부(113)가 돌출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타일 시공용 조립체(100)에 따르면 타일 시공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바닥면 또는 벽면에 타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타일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며 단차없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5)
- 판형의 형상으로 타일 시공시 상기 타일 하부에 매립되는 지지부(111);
상기 지지부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홀(115)이 형성된 돌출부(113); 및
상기 지지부(113)와 상기 돌출부(11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115)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타일 각각의 복수개의 모서리와 맞닿는 가이드부(130)를 포함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 몸체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3)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돌출부(113)가 상기 지지부(11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113)와 상기 지지부(111) 사이에 빈 공간인 삽입홀(115)이 형성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 몸체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눈 열십자(十)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부(130)의 가로축이 살기 돌출부(113)가 상기 지지부(111)에 결합되는 위치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지지부(111) 상면에 결합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 몸체부. - 몸체부(110); 및
평탄 쐐기(3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10)는,
판형의 형상으로 타일 시공시 상기 타일 하부에 매립되는 지지부(111); 및
상기 지지부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삽입홀(115)이 형성된 돌출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 쐐기(300)는,
상측면에 소정의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측면이 높이와 타측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쐐기(300)는,
상기 지지부(111)와 상기 돌출부(113)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115)에 높이가 낮은 일측면부터 삽입되어 상기 평탄 쐐기(300)의 경사면이 상기 삽입홀(115)의 상측면과 접촉할 때까지 삽입되는 타일 시공용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0364U KR200496201Y1 (ko) | 2021-02-03 | 2021-02-03 | 타일 시공용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0364U KR200496201Y1 (ko) | 2021-02-03 | 2021-02-03 | 타일 시공용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958U true KR20220001958U (ko) | 2022-08-10 |
KR200496201Y1 KR200496201Y1 (ko) | 2022-11-25 |
Family
ID=8280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0364U KR200496201Y1 (ko) | 2021-02-03 | 2021-02-03 | 타일 시공용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201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5187B1 (ko) | 2005-03-14 | 2005-09-16 | (주)단건축사사무소 | 타일 시공 결합체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21282B2 (ja) | 1995-05-19 | 2001-10-2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歯付ベルト |
ITRE20110065A1 (it) * | 2011-09-05 | 2013-03-06 | Raimondi Spa | Dispositivo distanziatore livellante per la posa in opera di manufatti lastriformi per il rivestimento di superfici |
US20170051513A1 (en) | 2015-08-21 | 2017-02-23 | Carlos A. Almandoz | Tile Installation |
KR101741211B1 (ko) | 2016-03-02 | 2017-06-15 | 주식회사 이지스톤 | 타일형 바닥재 시공용 균일성 유지장치 |
KR101842840B1 (ko) | 2017-08-08 | 2018-03-28 | 이성광 | 타일 레벨링 장치 |
-
2021
- 2021-02-03 KR KR2020210000364U patent/KR20049620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5187B1 (ko) | 2005-03-14 | 2005-09-16 | (주)단건축사사무소 | 타일 시공 결합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6201Y1 (ko) | 2022-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28601B2 (en) | Tile spacer | |
RU2631950C2 (ru) | Выравнивающее раз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плитообразных изделий для облицов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 |
JP5538899B2 (ja) | パネル、特にフロアパネル | |
RU2751154C1 (ru) | Панель | |
US20160060880A1 (en) | Flooring system having assembly clip and related method | |
US20080295440A1 (en) | Building component | |
US6990777B2 (en) | Tile installation system | |
KR20220001958U (ko) | 타일 시공용 조립체 | |
JP3085862B2 (ja) | コンクリート用永久型枠 | |
JP2006045911A (ja) | タイル壁構造及びその施工法 | |
JP2018168582A (ja) | 水切り部材、水切り部材の設置用治具、および水切り部材の設置方法 | |
KR200442721Y1 (ko) | 시공 위치 조정이 가능한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 | |
JP2017179840A (ja) | 吊りボルト支持金具及びその施工方法 | |
JP2008208561A (ja) | 取付部材 | |
JP2006193974A (ja) | デッキ材の固定構造及びデッキ材固定具 | |
JP2005282170A (ja) | 床材の固定構造 | |
JP7329212B2 (ja) | 板材施工具、板材施工構造、及び板材施工方法 | |
JP4029857B2 (ja) | カウンター補強の施工方法 | |
JP2008150825A (ja) | ボーダー部構造及びその設置方法 | |
CN212534913U (zh) | 一种用于实木地板的金属连接件 | |
TWI660102B (zh) | 磁磚調整裝置及使用所述磁磚調整裝置之方法 | |
KR20060003675A (ko) |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 |
JP6900009B2 (ja) | トレー | |
KR20230113950A (ko) | 마감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인테리어 보드 시공방법 | |
AU2002332961B2 (en) | Tile spacer for positioning tiles during install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