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582A -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582A
KR20220001582A KR1020200079746A KR20200079746A KR20220001582A KR 20220001582 A KR20220001582 A KR 20220001582A KR 1020200079746 A KR1020200079746 A KR 1020200079746A KR 20200079746 A KR20200079746 A KR 20200079746A KR 20220001582 A KR20220001582 A KR 20220001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plant
water quality
ammonia
sample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228B1 (ko
Inventor
홍금용
신승희
Original Assignee
비엘프로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엘프로세스(주) filed Critical 비엘프로세스(주)
Priority to KR102020007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2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70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using reagent-clad optical fibres or optical waveguides
    • G01N2021/7706Reagent provi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7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nitrates or nitri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4Ammon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06Biological oxygen demand [BOD] 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검출기로 생물 반응조 내의 질산, 암모니아 및 인산 등의 영양염류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하수처리장의 공정을 제어하는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생물 반응조에서 동시간대에 취출된 하나의 시료를 이용하여 질산, 암모니아, 인산 및 용존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간격으로 측정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각 영양염류별로 측정 센서나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하나의 측정 장치로 복수의 영양염류의 농도를 측정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암모니아와 질산 농도를 통해 질산화 및 탈질화 효율을 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용존 산소 농도를 이용하여 폭기량이나 반송율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Water analysis apparatu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검출기로 생물 반응조 내의 질산, 암모니아 및 인산 등의 영양염류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하수처리장의 공정을 제어하는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환경 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종 오염물의 배출에 대한 규제가 점차 엄격해 지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는 향후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고 있는 만큼 물의 오염에 대한 충분한 관심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물의 경우, 그 오염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될 수 있는 바, 하나는 각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수 및 하수이며, 다른 하나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로서, 정상적인 경우 각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수 및 하수는 각 공장에서 정화 처리하여 방류하도록 되어 있고, 생활 하수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하수 처리장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수나 폐수 처리장에서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수나 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된 처리대상수는, 침사지→최초 침전지→폭기조(aeration tank)→최종 침전지→소독 설비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방류되는 바, 침사지에서는, 처리대상수와 함께 유입된 흙, 모래 등과 같이 비중이 비교적 큰 물질이 침전되고, 플라스틱이나 병 등과 같이 부유하는 물질은 스크린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최초 침전지에서는, 침사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가 수 시간 체류하면서 침전성 고형물이 침전된다.
그리고 폭기조에서는 송풍기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충분한 공기에 의해 호기성 미생물이 처리수 중의 유기 물질을 영양분으로 하여 배양, 응집되어 플록을 형성하는 곳으로서 생물반응조(이하에서는 "생물반응조"라고 함)라고도 한다.
최종 침전지에서는,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이송된 처리수가 수 시간 동안 체류하게 되는 바, 이 과정에서, 침전되기 쉬운 활성슬러지는 침전되어 일부는 다시 생물반응조로 반송되고, 잉여 오니는 농축조로 보내지며, 깨끗한 상등수는 방류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연속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처리대상수의 처리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처리대상수의 양에 따라 최소 1조에서 대부분의 경우 3∼8조 정도 설치되어 호기성 미생물 배양에 의한 플록이 형성되는 생물반응조에서의 처리과정으로서, 이와 같이 생물반응조를 이용한 하수처리를 활성슬러지 공정이라 하며, 하수를 활성슬러지 공정으로 처리하는 경우, 생물반응조에서 최고의 정화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활성슬러지 및 공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해 주어야 한다.
생물반응조에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처리수의 처리과정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서는 생물반응조에서 처리 중인 처리수에 대한 인자들을 주기적으로 분석, 기록 및 관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에서는 생물반응조에 수질계측 시스템을 설치하여 수질변화를 검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수질 계측 설비는 영양염류별로 별도의 측정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장치가 복잡해지고 초기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현재 설치되어 있는 수질 계측 설비는 생물반응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생물 반응조의 주요 제어인자인 영양염류의 농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질 자동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센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물 반응조의 모니터링을 통해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분광 검출기(10)
상기 분광 검출부에 복수개의 검출액을 각각 공급하는 인입관(20) ;
상기 인입관에 연결되는 제 1 공급관(30) 내지 제 3 공급관(50) ;
상기 분광 검출기와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분광 검출기에서 측정된 질산, 인산, 암모니아의 농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제 1 공급관(30)에는 시료와 암모니아 측정용 시약이 주입되고, 제 2 공급관(40)에는 시료와 인산 측정용 시약이 주입되고, 제 3 공급관(50)에는 시료가 주입되어 하나의 분광검출기로 복수 영양염류가 측정 및 모니터링되는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생물 반응조의 주요 제어인자인 질산, 인산, 암모니아의 농도를 하나의 분광검출기, 하나의 인입관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생물 반응조에서 동시간에 취출된 하나의 시료를 이용하여 질산, 암모니아, 인산 및 용존산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간격으로 측정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각 영양염류별로 측정 센서나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도 하나의 측정 장치로 복수의 영양염류의 농도를 측정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암모니아와 질산 농도를 통해 질산화 및 탈질화 효율을 제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용존 산소 농도를 이용하여 폭기량이나 반송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암모니아, 질산 및 인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인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암모니아, 질산 및 인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하수 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 장치는 분광 검출기(10), 인입관(20), 제 1 내지 제 3 공급관(30, 40, 5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광 검출기(10)는 공지된 분광기(spectrometer)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광 검출기(10)는 검출액이 내부로 유입되는 측정셀(11), 검출액을 광을 조사하는 광원(12) 및 광원이 검출액을 통과한 후의 파장을 읽는 검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관(20)은 상단을 통해 검출액을 상기 측정셀(11)에 공급한다. 상기 인입관은 소정 길이의 배관으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급관(30, 40, 50)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공급관(30)에는 시료(1)와 암모니아 측정용 시약이 주입되고, 제 2 공급관(40)에는 시료(1)와 인산 측정용 시약이 주입되고, 제 3 공급관(50)에는 시료(1)가 주입된다.
생물 반응조에서 취출된 시료(1)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급관에 주입된다.
본 발명의 수질 자동 분석장치는 취출된 시료를 필터로 여과 한 후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급관에 공급한다. 상기 필터로는 중공사막이나 판상의 세라믹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급관(30)에는 암모니아 측정을 위한(예를 들면, 인도페놀흡광광도법) 시료(1), 시약(31, Salicylate, hydrochloride, 촉매)이 유입되어 혼합된다.
상기 제 1 공급관(30)은 히터(32)로 가열될 수 있다.
시료와 시약(31, Salicylate, hydrochloride, 촉매)이 제 1 공급관에서 혼합된 후 히터로 가열되고, 가열된 검출액(시료+시약)은 인입관(20)을 통해 측정셀(11)로 주입된다. 분광검출기는 65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인도페놀분석법으로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급관(40)에는 인산 측정을 위한(예를 들면, 몰리브덴 흡광광도법) 시료(1), 시약(41, 환원제, molybdate)이 유입되어 혼합된다.
상기 제 2 공급관(40)은 히터(42)로 가열될 수 있다.
시료와 시약(환원제, molybdate)이 제 2 공급관에서 혼합된 후 히터로 가열되고, 가열된 검출액(시료+시약)은 인입관(20)을 통해 측정셀(11)로 주입된다. 분광검출기는 65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몰리브덴청 방식으로 인산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 3공급관(50)에는 시료(1)가 유입된다. 질산의 농도는 상기 시료(1)를 직접 분광법(Direct spectroscopy)으로 200~300nm 파장의 광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질 자동 분석장치는 상기 시료와 시약을 이송하는 펌프(2), 배관, 밸브(3-way 밸브 포함)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광 검출기와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분광 검출기에서 측정된 질산, 인산, 암모니아의 농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5~10분 간격으로 시료(1)와 각 공급관에 대응되는 시약(31, 41)을 제 1 공급관 내지 제 3 공급관으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로부터 질산화 효율을, 질산 농도로부터 탈질을 위한 농도조건을, 인산 농도로부터 인 제거설비에 필요한 약품량을 분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질 자동 분석장치는 용존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생물반응조의 동작(운전)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질산염, 암모니아 및 용존 산소 농도로부터 생물 반응조에 공급되는 공기량이나 반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분광 검출기(10)
    상기 분광 검출부에 복수개의 검출액을 각각 공급하는 인입관(20) ;
    상기 인입관에 연결되는 제 1 공급관(30) 내지 제 3 공급관(50) ;
    상기 분광 검출기와 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분광 검출기에서 측정된 질산, 인산, 암모니아의 농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고,
    제 1 공급관(30)에는 시료와 암모니아 측정용 시약이 주입되고, 제 2 공급관(40)에는 시료와 인산 측정용 시약이 주입되고, 제 3 공급관(50)에는 시료가 주입되어 하나의 분광검출기로 복수 영양염류가 측정 및 모니터링되는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하수처리장의 생물 반응조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으로 취출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급관에 주입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로부터 질산화 효율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질산염, 암모니아 및 용존 산소 농도로부터 생물 반응조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KR1020200079746A 2020-06-30 2020-06-30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KR10241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46A KR102419228B1 (ko) 2020-06-30 2020-06-30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746A KR102419228B1 (ko) 2020-06-30 2020-06-30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582A true KR20220001582A (ko) 2022-01-06
KR102419228B1 KR102419228B1 (ko) 2022-07-08

Family

ID=7934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746A KR102419228B1 (ko) 2020-06-30 2020-06-30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4132A (zh) * 2024-01-12 2024-02-13 山东万泽盛世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的水质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188A (ko) * 2008-02-20 2009-08-25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반응조 자동수질측정장비
JP2011007640A (ja) * 2009-06-26 2011-01-13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連続式濃度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105287B1 (ko) * 2009-02-02 2012-0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 모니터링 센서
KR101186360B1 (ko) * 2012-03-30 2012-09-26 제일모직주식회사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188A (ko) * 2008-02-20 2009-08-25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생물반응조 자동수질측정장비
KR101105287B1 (ko) * 2009-02-02 2012-01-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 모니터링 센서
JP2011007640A (ja) * 2009-06-26 2011-01-13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連続式濃度測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186360B1 (ko) * 2012-03-30 2012-09-26 제일모직주식회사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4132A (zh) * 2024-01-12 2024-02-13 山东万泽盛世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的水质检测设备
CN117554132B (zh) * 2024-01-12 2024-04-02 山东万泽盛世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的水质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228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981B1 (ko) 스마트 하폐수 처리 운영시스템
Wang et al.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properties and their effects on membrane fouling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CN110188946B (zh) 一种污水参数的预测方法及污水预测系统
CN104163540B (zh) 用于臭氧-生物组合工艺的臭氧投加自动控制系统
Spinelli et al. Critical analyses of nitrous oxide emissions in a full scale activated sludge system treating low carbon-to-nitrogen ratio wastewater
EP1992946A1 (en) Automated sampler device to carry out analytical experiments, particularly in waste water treatment plants
KR102419228B1 (ko) 하수처리장 수질 자동 분석장치
CN117049744A (zh) 一种模块化污水处理的智能管理系统
KR20090097250A (ko) 하수처리장의 수질측정방법 및 이를 사용한 하수처리장의자동 제어시스템
JP2007244949A (ja) 亜酸化窒素を指標とした硝化過程の制御手法
KR102041326B1 (ko) 하모니서치 알고리즘을 이용한 활성슬러지 공정의 산소공급량 제어 시스템
JP2005305328A (ja) 水処理制御システム
JP2015009203A (ja) 排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208120815U (zh) 一种含氮废水的处理装置
JP6298918B1 (ja) 排水処理装置
CN107367476A (zh) 评估水的生物降解能力的方法和系统以及其在水处理中的应用
JP3058414B1 (ja) 水処理装置
KR20050034761A (ko) 소규모의 하ㆍ폐수처리설비
KR100450521B1 (ko) 미생물 호흡률을 이용한 무인 자동 오니일령 관리 및 독성도 측정 통합 장치
KR100467173B1 (ko) 폐수의 독성 감지장치
KR20100088283A (ko)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004136208A (ja) 水処理装置、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プログラム
JP3505559B2 (ja) 汚濁負荷量計
KR100957119B1 (ko) 수처리공정 자동제어장치
KR100663626B1 (ko) 발광미생물을 이용한 수질오염 자동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