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320A -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320A
KR20220001320A KR1020200079540A KR20200079540A KR20220001320A KR 20220001320 A KR20220001320 A KR 20220001320A KR 1020200079540 A KR1020200079540 A KR 1020200079540A KR 20200079540 A KR20200079540 A KR 20200079540A KR 20220001320 A KR20220001320 A KR 2022000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user
assistant
c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389B1 (ko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이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진 filed Critical 이유진
Priority to KR102020007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해외여행 동안에 머무를 숙박시설에 마련된 비대면 체크인을 위한 비대면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 및 비대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해외 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가 비대면 단말기를 통해 비대면 체크인을 시도하면 비대면 단말기와 연동하여 해외여행객의 숙박 예약을 인증한 후에 사용자의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숙박 예약 기간 동안에 사용 가능한 객실 출입 코드를 발급하며,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해당 객실의 출입문을 외부에서 잠금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 객실용 코드 인식기에 객실 출입 코드가 인식되도록 하여 객실 출입문을 잠금 해제시킨다.

Description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Assist service system for overseas trip}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외여행자들을 위한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 해외여행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는 패키지여행이 선호되었으나,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스스로 설계하여 즐기는 자유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즉, 많은 사람들이 직접 온라인 여행 예약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외여행 예약을 진행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패키지여행에서 자유여행으로의 트렌드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여행사와 온라인 여행 플랫폼의 성장 흐름 또한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63794호 (2017년 8월 14일 공고)
본 발명은 자유여행자들의 해외여행을 어시스트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해외여행 동안에 머무를 숙박시설에 마련된 비대면 체크인을 위한 비대면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 및 비대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해외 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되,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가 비대면 단말기를 통해 비대면 체크인을 시도하면 비대면 단말기와 연동하여 해외여행객의 숙박 예약을 인증한 후에 사용자의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숙박 예약 기간 동안에 사용 가능한 객실 출입 코드를 발급하며,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해당 객실의 출입문을 외부에서 잠금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 객실용 코드 인식기에 객실 출입 코드가 인식되도록 하여 객실 출입문을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해외여행을 위한 현지 입국 전에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해외여행용 어시스턴트 식별자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사용자가 해외여행 대상국에 입국한 후에 탑승한 영업용 차량에 설치된 차량 디바이스로 어시스턴트 코드가 인식되도록 하며, 서버 시스템은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어시스턴트 코드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현지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여 차량 디바이스로 회신함에 의해 차량 디바이스로 하여금 현지 목적지 주소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숙박시설 주소를 어시스턴트 코드에 디폴트 주소로 매핑시켜 관리할 수 있다.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비대면 체크인 시도시 어시스턴트 코드를 비대면 단말기로 제공하고, 비대면 단말기는 어시스턴트 코드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면서 사용자의 숙박 예약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현지 장소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방문 희망하는 현지 장소를 선택받아 그 현지 장소 정보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서버 시스템은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현지 장소 정보가 수신되면 그 현지 장소 주소로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목적지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호텔에서 보다 간편한 비대면 체크인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창출하며,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를 통해 영업용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현지 장소 정보를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히 알려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여행 어시스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해외 여행 어시스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해외여행자)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팅 가능한 이동통신 디바이스로서, 스마트폰을 예로 들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에는 사용자에게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어시스턴트 앱(200)이 설치되어 실행된다.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에는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와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 도착한 후에 비대면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체크인하여 객실에 출입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그리고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는 사용자가 현지에서 영업용 차량을 이용하여 희망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시에 언어적 소통의 어려움을 겪지 않고도 운전자에게 목적지 주소를 정확히 제공하여 해당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비대면 단말기(300)는 현지 숙박시설의 로비 등에 구비되어 사전에 숙박 예약한 사용자들에게 비대면 체크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키오스크일 수 있다. 비대면 단말기(300)를 이용한 비대면 체크인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어시스턴트 앱(200)으로 객실 출입 코드가 발급되며, 사용자는 발급된 객실 출입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객실을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객실 출입 제어기(400)는 객실마다 구비된 것으로 객실의 출입문 외측면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시각적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나 전자 태그에 기록된 코드 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태그 리더기 등의 객실 코드 인식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객실 출입 제어기(400)는 사용자가 발급받은 객실 출입 코드를 객실 코드 인식기로 인식하며, 인식된 객실 출입 코드가 해당 객실에 대해 등록된 객실 출입 코드와 일치할 경우 객실 출입문의 잠금 장치를 해제시킨다.
서버 시스템(500)은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으로서, 둘 이상의 서버가 분산되어 이루어진 분산형 시스템일 수도 있다. 서버 시스템(또는 “어시스턴트 서버”라 한다)(500)은 사용자에게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어시스턴트 앱(200)과 비대면 단말기(300) 및 차량 디바이스(6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 시스템(500)은 객실 출입 제어기(400)와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차량 디바이스(600)는 택시 등의 영업용 차량에 설치된 통신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를 위한 구성이다. 차량 디바이스(600)에는 사용자의 해외여행 어시스트를 위해 사용자의 어시스턴트 앱(200)으로 발급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에게 발급되는 어시스턴트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코드 인식기가 구비된다. 코드 인식기는 QR 코드 등의 시각적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나 전자 태그에 기록된 코드 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태그 리더기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체크인 및 객실 출입을 위한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해외여행을 위해 현지에 입국하고 호텔로 이동하여 호텔 내에 마련된 비대면 단말기(300)로 비대면 체크인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대면 단말기(300)의 화면 안내에 따라 숙박 예약번호 등 사용자의 숙박 예약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비대면 단말기(300)에 입력하여 비대면 체크인을 진행한다. 비대면 단말기(3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숙박 예약 정보를 어시스턴트 서버(500)로 전달하면서 사용자의 숙박 예약 인증을 요청한다(S100).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비대면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숙박 예약 정보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숙박 예약을 인증하며(S110), 인증 성공시 객실 출입 코드를 어시스턴트 앱(200)으로 발급한다(S120). 여기서, 숙박 예약 인증은 당연히 해당 숙박시설에서 당일 체크인 가능한 사용자의 숙박 예약이 존재하는지를 인증하는 것이다. 그리고 객실 출입 코드는 QR 코드나 바코드 등의 시각적 코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어시스턴트 앱(200)을 통해 모바일 단말(100)의 화면 상에 객실 출입 코드를 표시시킬 수 있다(S130). 이후, 사용자는 해당 객실로 찾아가 객실 출입 코드가 객실 출입 제어기(400)에 인식되도록 하며, 객실 출입 제어기(400)는 모바일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객실 출입 코드를 인식하여 객실 출입문이 잠금 해제되도록 제어한다(S140)(S150).
한편, 어시스턴트 서버(500)가 아니라 비대면 단말기(300)가 사용자에게 객실 출입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S110에 따른 숙박 예약 인증 결과를 비대면 단말기(300)로 회신하며, 비대면 단말기(300)는 회신 결과가 인증 성공일 경우에 한하여 객실 출입 코드를 사용자에게 발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객실 출입 코드를 발급하며,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전자 태그에는 객실 출입 코드가 기록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지 장소 이동을 위한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어시스턴트 앱(200)으로 사용자 전용의 어시스턴트 코드를 전송한다(S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사용자의 해외여행을 위한 출국일자가 도래하면 어시스턴트 코드를 어시스턴트 앱(200)으로 전송한다. 어시스턴트 앱(200)은 어시스턴트 서버(500)로부터 어시스턴트 코드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전자 태그(110)에 기록한다(S205). 이후, 사용자는 현지에 도착하여 공항에서 나와 이동을 위해 영업용 차량(제 1 차량)에 탑승하며, 모바일 단말(100)을 제 1 차량 디바이스(610)에 태깅한다. 이에 제 1 차량 디바이스(610)는 전자 태그(110)로부터 어시스턴트 코드를 리딩하여 획득하며, 그 획득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어시스턴트 서버(500)로 전달하면서 목적지 주소를 요청한다(S210)(S215).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차량 디바이스(600)로부터 수신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목적지 주소를 검색한다(S220). 즉,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는 것이다. 목적지 주소가 검색되면,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그 목적지 주소를 제 1 차량 디바이스(610)로 제공한다(S225). 이에 제 1 차량 디바이스(610)는 어시스턴트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 주소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목적지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단지 목적지 주소만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 주소로의 차량 이동 경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기사에게 안내할 수 있다(S230).
한편, 사용자는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 관리되는 목적지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시스턴트 앱(200)은 사용자에게 복수의 현지 장소 정보를 화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을 통해 정보 제공되는 현지 장소들 중에서 다음 목적지로 방문을 희망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어시스턴트 앱(200)은 사용자로부터 방문 희망 장소가 선택되면 그 현지 장소 정보를 어시스턴트 서버(500)로 전송하며,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어시스턴트 앱(200)으로부터의 현지 장소 정보 수신에 따라 그 현지 장소 주소로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목적지 주소를 변경한다(S235)(S240). 이후, 사용자는 다른 영업용 차량(제 2 차량)에 탑승한 다음에 모바일 단말(100)을 제 2 차량 디바이스(620)에 태깅한다. 참고로, 사용자는 제 1 차량을 계속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차량 디바이스(620)는 탑승 사용자의 전자 태그(110)로부터 어시스턴트 코드를 리딩하여 획득하며, 그 획득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어시스턴트 서버(500)로 전달하면서 목적지 주소를 요청한다(S245)(S250).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차량 디바이스(600)로부터 수신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며, 검색된 목적지 주소를 제 2 차량 디바이스(620)로 제공한다(S255)(S260). 이에 제 2 차량 디바이스(620)는 어시스턴트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목적지 주소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해당 목적지로 경로를 안내한다(S26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사용자가 현지에서 머무를 숙박시설의 주소를 디폴트 주소로 매핑 관리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현지 공항에서 제 1 차량을 탑승하여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현지 언어로 말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지 않고서도 숙박시설로 운행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목적지 주소를 희망 방문 장소의 주소로 변경한 후에 제 2 차량을 탑승하여 운전자에게 해당 장소로의 이동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어시스턴트 코드는 QR 코드 등의 시각적 코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어시스턴트 앱(200)은 어시스턴트 코드를 전자 태그(110)에 기록하지 않고 사용자 요청시에 모바일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시켜 차량 디바이스(600) 등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비대면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비대면 체크인을 시도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어시스턴트 코드를 요청한다(S300). 요청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0)을 비대면 단말기(300)에 태깅하며, 비대면 단말기(3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전자 태그(110)로부터 어시스턴트 코드를 리딩하여 획득한다(S310). 비대면 단말기(300)는 획득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어시스턴트 서버(500)로 전달하면서 숙박 예약 인증을 요청하며(S320), 어시스턴트 서버(500)는 비대면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어시스턴트 코드를 가지고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숙박 예약을 인증한다(S330). 그리고 S330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S120 내지 S150과 동일하다. 이상의 도 4는 이동 어시스트 서비스를 위한 어시스턴트 코드를 체크인 어시스트 서비스에도 접목시킨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200 : 어시스턴트 앱
300 : 비대면 단말기 400 : 객실 출입 제어기
500 : 서버 시스템(어시스턴트 서버) 600 : 차량 디바이스

Claims (5)

  1.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해외여행 동안에 머무를 숙박시설에 마련된 비대면 체크인을 위한 비대면 단말기; 및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 및 비대면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해외 여행 어시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되,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가 비대면 단말기를 통해 비대면 체크인을 시도하면 비대면 단말기와 연동하여 해외여행객의 숙박 예약을 인증한 후에 사용자의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으로 숙박 예약 기간 동안에 사용 가능한 객실 출입 코드를 발급하며,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해당 객실의 출입문을 외부에서 잠금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 객실용 코드 인식기에 객실 출입 코드가 인식되도록 하여 객실 출입문을 잠금 해제시키는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해외여행을 위한 현지 입국 전에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해외여행용 어시스턴트 식별자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사용자가 해외여행 대상국에 입국한 후에 탑승한 영업용 차량에 설치된 차량 디바이스로 어시스턴트 코드가 인식되도록 하며,
    서버 시스템은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어시스턴트 코드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현지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여 차량 디바이스로 회신함에 의해 차량 디바이스로 하여금 현지 목적지 주소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버 시스템은 숙박시설 주소를 어시스턴트 코드에 디폴트 주소로 매핑시켜 관리하는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비대면 체크인 시도시 어시스턴트 코드를 비대면 단말기로 제공하고, 비대면 단말기는 어시스턴트 코드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면서 사용자의 숙박 예약 인증을 요청하는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현지 장소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방문 희망하는 현지 장소를 선택받아 그 현지 장소 정보를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서버 시스템은 어시스턴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현지 장소 정보가 수신되면 그 현지 장소 주소로 어시스턴트 코드에 매핑된 목적지 주소를 변경함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현지 영업용 차량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할 시에 차량 운전자와의 언어적 소통 없이도 희망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79540A 2020-06-29 2020-06-29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540A KR102446389B1 (ko) 2020-06-29 2020-06-29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540A KR102446389B1 (ko) 2020-06-29 2020-06-29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20A true KR20220001320A (ko) 2022-01-05
KR102446389B1 KR102446389B1 (ko) 2022-09-22

Family

ID=7934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40A KR102446389B1 (ko) 2020-06-29 2020-06-29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75B1 (ko) * 2022-06-24 2022-10-12 주식회사 세컨신드롬 무인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IoT 기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402A (ko) * 2009-09-07 2011-03-15 김동수 선불제 택시의 운영 방법
KR20130035659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케이티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091116A (ja) * 2015-11-06 2017-05-25 有限会社日建開発 予約チェックイン方法および予約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KR101763794B1 (ko) 2016-02-18 2017-08-14 오흥일 원격 도어락을 이용한 객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4805A (ko) * 2017-03-14 2018-09-27 이도헌 숙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402A (ko) * 2009-09-07 2011-03-15 김동수 선불제 택시의 운영 방법
KR20130035659A (ko) * 2011-09-30 2013-04-09 주식회사 케이티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7091116A (ja) * 2015-11-06 2017-05-25 有限会社日建開発 予約チェックイン方法および予約チェックインシステム
KR101763794B1 (ko) 2016-02-18 2017-08-14 오흥일 원격 도어락을 이용한 객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4805A (ko) * 2017-03-14 2018-09-27 이도헌 숙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75B1 (ko) * 2022-06-24 2022-10-12 주식회사 세컨신드롬 무인 스토리지 서비스를 위한 IoT 기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389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045B2 (en) Navigation system, data server, traveling route establish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A2576163C (en) Method for displaying route information
US10916083B2 (en) Vehicle exit management system and gate terminal
CN110383007A (zh) 智能车辆停泊设备和相关方法
US20080263147A1 (en) Method of reservation
CN110942363B (zh) 车辆管理系统
JP7044002B2 (ja) 車両予約システム、車両予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46389B1 (ko)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0054337A (ja) 車載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車載機器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01429A (ja) 通行管理システム
US20180012148A1 (en) Vehicle boo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H10320597A (ja) ターミナル装置、施設利用システム、施設利用情報提供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165757A (ja) 駐車場予約システム
JP4694428B2 (ja) 生体認証に基づく認証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生体認証サーバ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認証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配信方法
CN113283687A (zh) 服务器、车辆运行系统、车辆运行方法以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取介质
KR100835149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마일리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70739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24970B2 (en) Method for displaying route information
JP2015069373A (ja) 機械式駐車場システムの運用方法
JP4382606B2 (ja) タクシー配車予約登録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タクシー配車予約登録支援装置
JP6767138B2 (ja) ゲート通過者に対する個別処理方法および個別処理システム
CN114049181A (zh) 基于ota的旅游住宿动态处理方法、系统和存储介质
JP2002024458A (ja) 観光地域等の特定地域案内システム。
JP2013152651A (ja) 券売機
JP2003077097A (ja) 案内システムおよび該案内システムを構成する案内情報生成端末ならびに携帯形案内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