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659A -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659A
KR20130035659A KR1020110100099A KR20110100099A KR20130035659A KR 20130035659 A KR20130035659 A KR 20130035659A KR 1020110100099 A KR1020110100099 A KR 1020110100099A KR 20110100099 A KR20110100099 A KR 20110100099A KR 20130035659 A KR20130035659 A KR 20130035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seas travel
service
schedule
guid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노학균
박근열
옥기상
정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0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659A/ko
Publication of KR2013003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가 개시된다.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일정 및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요구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해외 여행 스케쥴이 나열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 중에서 하나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선택받는 스케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부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토대로 분석한 사용자 상황에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유료 또는 무료로 구매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VERSEAS TRIP GUIDE SERVICE}
본 발명은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외 여행 계획, 준비, 구매, 진행 등의 과정에서 고객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흔히 겪을 수 있는 어려움들에는 해외 여행 스케쥴 작성과 소요비용 산출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 항공, 숙박, 식사에 관련된 오프라인(Off-line) 여행 서비스·상품 검색·조회·예약·제공 등의 복잡한 처리 절차로 인한 어려움, 해외 여행 과정에서 실시간적으로 요구되는 이동·통역·관광안내 등과 같은 온라인(On-line) 여행 서비스·상품들 검색·조회·이용 방법등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들은 여행 대행사를 이용함으로써 해외 여행 스케쥴 작성과 소요비용 산출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하지만, 대행 비용이 상당히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객들은 고가의 패키지 상품을 이용함으로써 항공, 숙박, 식사에 관련된 오프라인(Off-line) 여행 서비스·상품 검색·조회·예약·제공 등의 복잡한 처리 절차를 해결하고자 하지만, 자신에게 최적화 되지 않은 여행 상품의 이용 문제들이 발생한다.
또한, 고객들은 개인 여행 가이드를 채용함으로써 해외 여행 과정에서 실시간적으로 요구되는 이동·통역·관광안내 등과 같은 온라인(On-line) 여행 서비스·상품들 검색·조회·이용 방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지만, 부가적인 여행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해외 여행 계획, 준비, 추진 과정을 온라인 상에서 자동으로 수행하고, 스마트 단말기 기반의 다양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가이드하는 고객 맞춤형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일정 및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요구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해외 여행 스케쥴이 나열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 중에서 하나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선택받는 스케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일정 및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요구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해외 여행 스케쥴이 나열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하나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선택받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선택받은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해외 여행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외 여행 스케쥴 작성과 소요비용 산출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 항공, 숙박, 식사에 관련된 오프라인 여행 서비스·상품 검색·조회·예약·제공 등의 복잡한 처리 절차, 해외 여행 과정에서 실시간적으로 요구되는 이동, 통역, 관광안내 등과 같은 온라인 여행 서비스·상품들 검색·조회·이용 방법등의 어려움을 마켓에 등록된 다양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들과 마켓에 입점한 여행 관련 사업자들의 체계적인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가장 싸고, 편리하고, 안전한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통합적이고 일원적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비용·품질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해외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이 기대하지 못했던 비용·품질 측면의 해외 여행 스케쥴 정보를 제공하며, 고객의 해외 여행 계획·준비·예약·이용에 소요되는 시간·비용·노력을 최소화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개인 가이드 처럼 편리하고 안전한 해외 여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Off-line) 사업자 입장에서는 개인 및 단체 예약 고객 확보를 통한 매출 증대, 상품홍보 및 고객 유치를 위한 광고 비용 최소화, 재고 여행 서비스·상품의 신속한 처리를 통한 회전율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On-line) 사업자 관점에서는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매출 증대, 기존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의 여행 분야 확대를 통하 매출 확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 확보, 서비스 관련 사업자들의 입점 유치, 신규 BM 개발 및 사업 광고 수익을 통한 매출 확대 및 해외 여행 관련 국제·국내 통화 서비스 판매율 확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해외 여행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 관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관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스케쥴러를 이용한 해외 여행 가이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덤핑 여행 상품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선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 관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예를 나타낸다.
도 21~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관리부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예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형 해외 여행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 맞춤형 해외 여행 가이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200), 복수의 사업자 서버(300)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 200)은 고객 맞춤형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웹 브라우저를 구비한 유선 단말(100) 및 무선 단말(200)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는 유선 단말(100) 및 무선 단말(200)을 이용하여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에게 해외 여행 스케쥴을 요청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2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무선 단말(2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이용 가능한 해외 여행 서비스, 상품, 애플리케이션, 쿠폰 및 할인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사업자 서버(300)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에 등록한 해외 여행과 관련된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장치로서, 서버로 기재하였지만,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업자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서비스 제공자로서, 예를 들어, 여행사, 음식점, 숙박업체, 항공사, 대중교통 제공업자 등이 된다.
이러한 사업자 서버(300)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와 사전에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협업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판매 수수료와 같은 협정 계약 체결 및 정보 송수신, 예약, 비용 결제와 같은 모든 제반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200) 및 사업자 서버(300)와 연결된다. 이러한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는 마켓 운용부(410),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켓 운용부(410)는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하는 마켓 사이트를 운용한다. 마켓 사이트의 운영자는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운영자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켓 운용부(410)는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와 연동하여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마켓 플랫폼을 제공하고,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 별로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상품 코너를 마켓 플랫폼 기반의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한다.
스케쥴 관리부(430)는 고객 -춤형 해외 여행 스케쥴 및 스케쥴에 따른 소요 예산을 자동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항공, 숙박, 식사에 관련된 오프라인(Off-line) 여행 서비스·상품 검색·예약 등의 처리를 대행한다.
가이드부(450)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2)에게 제공한다.
즉 가이드부(450)는 스케쥴 관리부(430)에 의해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해외 여행에 필요하고 제공 가능한 가이드 항목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가이드 항목들을 기반으로 복수의 가이드 스케쥴러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협업 관리부(470)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온라인 상에서 선정하여 해당 사업자 서버(300)와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러한 협업 관리부(470)는 마켓 사이트에 등록된 다양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들과 마켓 사이트에 입점한 여행 관련 사업자들의 체계적인 협업을 관리한다.
이때,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의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은 도 2 ~ 5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 관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케쥴 관리부(430)는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 검색 프로세스(433), 입찰 프로세스(435), 예약 프로세스(437) 및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를 포함한다.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입찰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가 제공하는 각각의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토대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을 확정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 사용자 단말(100)에서 선택한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과 연계된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을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시킨다.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사용자가 기본적인 해외 여행 일정 정보를 입력하면 여행 전문가 또는 사업자들이 제공한 구체적이고 선택적인 해외 여행 스케쥴 또는 해외 여행에 필요한 여행 서비스 및 상품 정보들을 토대로 세부적인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자동 생성하고, 후보 목록들에 제시된 해외 여행 서비스 및 상품들의 항목, 가격, 품질 정보들을 기반으로 전체 소요 비용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들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공식적인 해외 여행 일정 이외에 비공식적인 일정에 제공 가능한 다양하고 유익한 해외 여행 일정과 관련된 여행 서비스 및 상품 정보들을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
검색 프로세스(433)는 낙찰 결과를 통보받은 사용자 단말(100)의 검색 요청에 따라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과 연계된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그밖에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가 서비스·상품 코너에 등록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의 검색 프로세스도 수행한다.
입찰 프로세스(435)는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에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의 입찰 공고를 통보하여 역경매 방식의 입찰을 진행한다. 그리고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가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로 낙찰 결과를 전송한다.
예약 프로세스(437)는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가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구매 및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예약 처리를 완료한다. 이때, 구매 및 결제 정보와 예약 정보를 해당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300)로 전송한다.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는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등록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의 입찰 공고를 우수 고객으로 선정된 사용자 단말(100)에게 통보하여 입찰을 진행하고, 각각의 사업자 서버(300)가 선정한 사용자 단말(100)에게 낙찰 결과를 통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450)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가이드 스케쥴러는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 및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가이드 스케쥴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는 스케쥴 관리부(430)가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전체 일정 및 단계별 일정 알림을 사용자 단말(100-2)로 제공한다.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해 사용자가 준비해야 할 내용들을 e-메일 또는 SMS를 통해 통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 개통,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환경설정, 필수적인 고객 여행 관련 정보 등록 등의 처리들을 통보한다.
해외 여행이 시작되면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는 사용자가 해외 여행 스케쥴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알아야 하고 해야 할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통보하여 사용자는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가 제공하는 정보와 지침에 따라 해외 여행 단계별 일정 또는 이벤트들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에게 사용자의 해외 여행 일정상 변경되는 일정 지연, 변경 또는 취소 등의 정보를 실시간 방식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가 제공하는 일정 변경 정보를 기반으로 스케쥴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실행한다.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는 스케쥴 관리부(430)가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의 항공, 숙박, 식사와 관련된 오프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 이용과 관된 알림을 사용자 단말(100-2)로 제공한다.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는 해외 여행 진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오프라인 서비스 또는 상품 이용 시점이 되면, 실행된다. 그리고 오프라인 서비스 또는 상품의 이용시점과 이용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가 제공하는 정보와 지침에 따라 예약한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는 사용자 단말(100-2)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현재 위치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온라인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2)로 제공한다.
이때,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는 해외 여행 과정에서 실시간적으로 요구되는 이동, 통역, 관광안내 등과 같은 온라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들의 검색 및 이용 방법등의 어려움 등을 스마트 단말 기반의 다양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해결한다.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는 사용자 단말(100-2)의 이동 위치나 상황에 따라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이용시점 및 이용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00-2)이 이동하는 위치정보와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현재 상황에서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상품, 애플리케이션 정보들을 실시간 방식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0-2)은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가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상품, 애플리케이션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자신의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온라인 서비스 또는 상품, 애플리케이션 정보들을 유료 또는 무료로 다운로드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는 해외 여행 중에 사용자가 다양한할인 쿠폰들을 이용해 저렴한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해외 여행 기간 다양한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서비스 및 상품들의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가 실행되어 사용자가 구매한 다양한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서비스 및 상품에 대한 할인방법 및 쿠폰이용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2)로부터 수신되는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식별번호에 매칭된 할인 또는 쿠폰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2)에게 제공한다. 이때, 식별번호는 사용자 단말(100-2)이 여행지의 특정 장소 또는 상품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하고, 네트워크(500)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 및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 단말(100-2)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웹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 사용자 단말(100-2)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업 관리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협업 관리부(470)는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를 포함한다.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는 마켓 기반의 오프라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 관련 사업자 입점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마켓 운용부(410)가 웹 페이지 상에 마련한 서비스·상품 코너 별로 해당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온라인 상에서 공모하여 사업자들의 신용 및 재무 평가를 수행하고,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와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는 마켓 기반의 온라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마켓 플랫폼을 토대로 개발된 위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등록받아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에게 제공하고,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를 통해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따른 정산을 처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켓 운용부(410),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기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의 구성 요소들이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된 실시예에 대해서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특히, 도 2~4를 참고하여 설명한 스케쥴 관리부(430), 가이드부(450) 및 협업 관리부(470)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를 참고하면,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600)는 프로세서(601), 메모리(603),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6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7) 및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60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1)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603)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605)는 프로세서(601) 및/또는 메모리(603)가 저장 장치(605)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7)는 프로세서(601) 및/또는 메모리(603)가 네트워크(5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 장치(609)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등의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601)는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 검색 프로세스(433), 입찰 프로세스(435), 예약 프로세스(437),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 및 애플리케이션 등록 프로세스(473)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603)에 로드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3) 또는 저장 장치(609)는 프로세서(601)와 연동하여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 검색 프로세스(433), 입찰 프로세스(435), 예약 프로세스(437),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 및 애플리케이션 등록 프로세스(473)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프로세서(601), 메모리(603), 저장 장치(609), I/O 인터페이스(60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7)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 이상 설명한 구성 내용에 기초하여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사용자 단말(100)에게 등록(입력) 양식을 제공(S101)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103).
여기서, 서비스 요청 정보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해외 여행 일정 정보,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서 필요한 여행 상품에 대한 항목·비용·품질 선택조건 및 요구기준을 포함한다.
다음,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S103 단계에서 수신한 서비스 요청 정보를 기 정의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S105). 즉 사용자가 등록한 해외 여행 목적, 일정 및 선택한 상품들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다음, 입찰 프로세스(435)는 분류된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 필요한 여행 상품 제공에 대한 입찰 정보를 게시(S107)하고,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해당 여행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300)들로 입찰 정보 게시를 통보한다(S109).
여기서, S107 단계는 입찰 정보를 웹 상에 게시하며, 해외 여행 가이드 시스템과 연계된 마켓 스토어(예, 올레마켓) 상에 게시할 수 있다.
또한, S109 단계는 사업자 서버(300)들에게 이메일,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입찰 정보 게시를 통보할 수 있다.
다음, 사업자 서버(300)는 사업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 필요한 여행 상품에 대한 항목·가격·품질·기타 정보들을 등록하고 입찰에 참여한다(S111).
구체적으로, S111 단계는 사업자 서버(300)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 필요한 상품 목록을 조회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조건이 일체형 여행상품인 경우, 사업자 서버(300)는 사용자의 해외 여행 전체 일정을 위한 패키지 여행 상품에 대한 항목·가격·품질·사업자 정보를 입력하고 입찰에 참여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조건이 단품형 여행 상품일 경우, 사업자 서버(300)는 사용자의 단계별 일정에 필요한 여행 상품에 대한 항목·가격·품질·사업자 정보를 입력하고 입찰에 참여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조건이 확장형 여형 상품일 경우, 사업자 서버(300)는 사용자가 자신의 해외 여행 일정에 고려하지 못했던 부가적인 여행 상품에 대한 항목·가격·품질·사업자 정보를 입력하고 입찰에 참여한다.
다음,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입찰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들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상품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자동 생성한다(S113).
구체적으로, S113는 S103 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해외 여행 일정과, 사용자의 해외 여행 일정 별로 S111 단계에서 등록된 사업자의 여행 상품을 매핑하여 해외 여행 스케쥴 구성 정보가 생성된다. 이러한 해외 여행 스케쥴 구성 정보에 포함된 항목·가격·품질·사업자 정보의 우선 순위 기준에 따라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때,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및 일정들을 고려하여 최저가격기준, 최고품질기준, 최고인기기준, 최대할인기준에 따른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이 생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에 대한 각각의 전체 소용 비용이 계산되어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에 포함된다.
다음,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S113 단계에서 생성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S103 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의 여행 목적 및 요구조건에 따라 재분류(S115)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통보한다(S117).
여기서, S117 단계는 사용자의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에 로그인하면,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가 제공하는 개인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S117 단계에서 수신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에서 선택한 하나의 해외 여행 스케쥴 정보를 전송한다(S119).
구체적으로, S119 단계는 사용자 단말(100)이 S117 단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우선순위기준의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조회한다. 그리고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및 일정에 최적화된 해외 여행 스케쥴을 선택한다.
이때, 해외 여행 스케쥴 중에서 해외 여행 일정 또는 일정별 등록된 여행 상품을 변경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해외 여행 스케쥴 목록에서 해외 여행 일정 또는 일정별 등록된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들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S119 단계에서 수신한 해외 여행 스케쥴 정보에 따른 낙찰 결과를 해당 사업자 서버(300)로 전송(S121)하고, 낙찰 승인을 수신한다(S123).
여기서, S119 단계에서 해외 여행 스케쥴의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300)로 S121 단계가 이루어진다. 해외 여행 스케쥴 변경 요청은 해외 여행 진행 중에 어느 때에나 사용자 단말(100-2)을 통해 접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등록된 해외 여행 스케쥴 정보에서 변경을 원하는 해외 여행 일정 또는 여행 서비스·상품 목록들을 추가·수정·삭제함으로써 자신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실시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고객이 추가·수정·삭제한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정보들을 확인하고 관련된 사업자들에게 해당 여행 서비스·상품의 변경사항을 통보한다. 그러면 사업자 서버(300)들은 변경된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변경 내역에 대한 승인을 처리한다.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변경된 해외 여행 일정 및 서비스·상품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을 생성한다.
또한, S121 단계 및 S123 단계에서 사업자 서버(300)는 고객이 선택한 여행 상품의 낙찰 결과를 확인하고, 서비스 제공 여부를 최종적으로 승인하면 낙찰 승인을 전송한다.
다음,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는 S123 단계의 낙찰 승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최종적으로 확정(S125)한 후, 사용자 단말(100) 및 사업자 서버(300)에게 통보한다(S127, S129).
이때, S125 단계는 S119 단계에서 해외 여행 스케쥴의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해외 여행 스케쥴로 확정 및 전체 소요 비용이 자동으로 수정된다.
여기서, S127 단계 및 S129 단계는 사용자 및 사업자의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및 사업자가 로그인하면,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가 제공하는 개인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다음, 가이드부(450)는 S125 단계에서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라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스케쥴러를 생성 및 실행(S131)하여 사용자 단말(100-2)에게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S133).
이때,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외 여행 스케쥴 변경 요청을 수신(S135)하는 경우, 가이드부(450)는 해외 여행 스케쥴 변경 요청에 따라 S125 단계에서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을 변경 등록(S137)한 후, 가이드 스케쥴러를 변경한다(S139). 그리고 변경된 가이드 스케쥴러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2)에게 제공한다(S141).
여기서, 가이드부(450)는 확정 또는 변경된 해외 여행 스케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해외 여행 가이드 스케쥴러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2)이 이동하는 위치와 상황에 따라 가이드 스케쥴러를 실행하여 해외 여행 일정을 가이드한다.
이때, 가이드 스케쥴러는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 오프라인(Off-line)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 온라인(on-line)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를 포함한다.
다음, 해외 여행 일정이 종료(S143)하면, 예약 프로세스(437)는 해외 여행 일정에 따른 해외 여행 스케쥴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서 구매한 여행 상품의 비용 정산을 수행한다(S145). 이때, 비용정산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100)과 사업자 서버(300)들에게 통보한다.
다음, 사용자 단말(100)은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를 통해 해외 여행 과정에서 해외 여행 스케쥴 또는 여행 상품에 대한 만족도 또는 개선사항 등의 정보들을 전송한다(S147).
이후,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400)는 S147 단계에서 등록받은 이용 후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의 우선순위기준 분류화 정보를 생성하여 S113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스케쥴러를 이용한 해외 여행 가이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6의 S131, S133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450)는 해외 여행 일정이 시작되면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라 연관된 가이드 스케쥴러들의 실행을 통해 해외 여행 가이드를 시작한다.
가이드부(450)는 해외 여행 일정이 다가오면,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를 실행(S201)한다.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S203)하면, 여행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즉 해외 여행 전체 또는 단계별 일정에 따라 사용자가 알아야 하고 해야 할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통보한다.
또한, 가이드부(450)는 해외 여행이 시작되면,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를 실행(S207)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2)의 이동 위치를 확인(S211)하고 현재 사용자 상태 또는 상황을 분석(S211)한 후, 분석 결과에 적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이용시점 및 이용방법, 서비스 정보를 가이드한다(S213).
또한, 가이드부(450)는 해외 여행 진행 과정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오프라인 서비스·상품 이용 시점이 되면,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를 실행(S215)한다. 그리고 현재 해외 여행 일정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오프라인 여행 서비스·상품의 이용시점과 이용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가이드를 제공(S217)한다.
또한, 가이드부(450)는 사용자가 해외 여행 기간 다양한 오프라인(Off-line) 또는 온라인(On-line) 서비스·상품들을 구매할 경우,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를 실행한다(S219).
이때,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는 사용자가 구매할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서비스·상품 정보들에 대한 식별코드를 사용자 단말(100-2)이 인식하여 전송(S221) 하면 해당 제품에 대한 다양한 할인방법 및 쿠폰이용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S22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덤핑 여행 상품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가 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판매를 등록받는다(S301). 즉 사업자 서버(300)는 보유하고 있는 재고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들에 대한 항목·가격·품질·사용기한 등의 정보와 함께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을 등록하고, 등록된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에 대한 판매를 요청한다.
다음,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는 우수 고객으로 선정된 사용자 단말(100)에게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등록을 통보한다(S303). 이때, 사업자가 등록된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의 유형을 분류하여 저장한 후, 분류된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과 관련된 우수 고객의 정보를 확인한 후, 등록 통보를 수행한다.
다음, 사용자 단말(100)은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구매를 위한 역경매 방식의 입찰에 참여하고 사업자 서버(300)에 의한 입착 확정이 이루어진다(S305).
즉 사용자 단말(100)은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에 의해 웹 상에 게시된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조회하여 자신의 요구에 맞는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입찰에 참여한다. 그러면, 해당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300)가 참여한 고객의 정보들을 확인하고, 특정 우선순위 기준을 기반으로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에 대한 낙찰 고객을 선정한다.
다음,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는 사업자 서버(300)가 선정한 사용자 단말(100)에게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의 낙찰 결과를 통보한다(S307). 즉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는 사업자 서버(300)가 선정한 낙찰 고객 명단을 확인하여 낙찰 결과를 고객에게 통보한다.
다음,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는 검색 프로세스(433)와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 낙찰된 덤핑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과 연계 가능한 다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들의 검색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이 선택한 연계 가능한 다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들의 등록을 진행한다(S309). 이때, 등록된 연계 가능한 다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들은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431)에 의해 사용자의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된다.
이때,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439)는 사용자 단말(100)이 단품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을 낙찰받았을 경우, 단품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과 연계된 다른 여행 서비스·상품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패키지를 낙찰받았을 경우, 패키지와 연계된 다른 여행 서비스·상품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 선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는 마켓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구축(S401)하여 마켓 분류기준에 따라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코너를 생성한다(S403).
여기서, S401 단계는 마켓에서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제반 처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코너는 마켓에서 검색을 통해 제공되거나 마켓 사이트에 게시되는 항목 형태로 제공되고,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의 카테고리에 따라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여행 형태 등의 카테고리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는 등록된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코너별로 온라인 상에서 사업자를 공모(S405)하여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로부터 마켓 입점 신청을 수신한다(S407).
다음, 업체 등록 프로세스(471)는 S407 단계에서 입점 신청을 전송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300)들의 신용 및 재무 건전성을 평가(S409)하여 사업자를 선정(S411)하고, 마켓 사업자와 여행 사업자간의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판매 수수료 협정을 포함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S413)하여 등록을 완료한다(S41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제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는 사업자들이 마켓 플랫폼을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등록한 온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들의 적합성을 검증(S501)한다.
이때, 검증에 성공하는지 판단(S503)하여 검증에 성공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는 온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S505)하고, 협업 체계를 설정한다(S507). 여기서, 협업 체계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판매 수수료 등의 협약이 포함된다.
다음,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는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온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S509)하고, 사용대가에 대한 정산처리를 수행한다(S511).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는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S513)하고, 사용대가에 대한 정산처리를 수행한다(S515).
이후,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473)는 온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상품 관련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통계를 생성하여 관리한다(S517).
한편, 도 11~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화면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11~도 20은 스케쥴 관리부(430)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1은 사용자 단말(100)이 스케쥴 관리부(430)가 제공하는 양식에 따라 자신의 해외 여행 목적과 기본적인 일정들을 등록한 화면(P1)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면(P1)과 사업자 서버(300)가 참여한 해외 여행 일정에 필요한 여행 서비스·상품 입찰 내역(P3)을 포함한다.
도 13은 도 11의 화면(P1)과 사업자 서버(300)의 이동(국내) 서비스·상품 입찰 입찰 내역(P5)을 포함한다.
도 14는 도 11의 화면(P1)과 항공 서비스 입찰 내역(P7)을 포함한다.
도 15는 도 11의 화면(P1)과 숙박 서비스 입찰 내역(P9)을 포함한다.
도 13은 도 11의 화면(P1)과 이동(해외) 서비스 입찰 내역(P11)을 포함한다.
도 14는 도 11의 화면(P1)과 관광 서비스 입찰 내역(P13)을 포함한다.
도 15는 도 11의 화면(P1)과 분류기준에 따라 나열된 사용자의 해외 여행 일정별 제공되는 여행 서비스·상품 입찰 내역(P15)을 포함한다.
도 16은 입찰 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P17)을 포함한다.
도 17은 도 16의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 중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선택하여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P19)을 포함한다.
또한, 도 21~도 25는 가이드 관리부(450)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17의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P19)에 따른 일정 및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 위치 및 상황 정보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상품 정보,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3),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의 자동 생성 예를 나타낸다.
도 22는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를 통해 사용자의 해외 여행 일정에 대한 실시간 이벤트를 제공하는 화면예이다. 이러한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451)가 제공하는 정보와 지시에 따라 사용자는 해외 여행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진행 할 수 있다.
도 23은 오프라인 가이드 스케쥴러(453)를 통해 사용자의 해외 여행 일정에 대한 이용시점 및 이용방법을 세부적으로 가이드하는 화면예이다. 이러한 오프라인 가이드 스케쥴러(453)가 제공하는 정보와 지시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한 여행 서비스·상품들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4는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와 상황에 필요한 다양한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들의 편리한 이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화면예이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5)가 제공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리케이션들을 통해 개인 여행 가이드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자는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5는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457)를 통해 고객의 해외 여행 과정에서 구매하는 여행 서비스·상품들에 대한 쿠폰 또는 할인 적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일정 및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요구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해외 여행 스케쥴이 나열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 중에서 하나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선택받는 스케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해외 여행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온라인 상에서 선정하여 사업자 서버와 상기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협업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상기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토대로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관리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협업 관리부와 연동하여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마켓 플랫폼을 제공하고, 상기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 별로 상기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상품 코너를 상기 마켓 플랫폼 기반의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하는 마켓 운용부
    를 더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의 입찰 공고를 통보하여 역경매 방식의 입찰을 진행하는 입찰 프로세스;
    상기 입찰에 참여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업자가 서버가 제공하는 각각의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토대로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을 확정하는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 및
    확정된 해외 여행 스케쥴 포함된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구매 및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예약 처리를 진행하는 예약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입찰 프로세스는,
    상기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가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로 낙찰 결과를 전송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 관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업자가 서버로부터 등록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의 입찰 공고를 우수 고객으로 선정된 사용자 단말에게 통보하여 입찰을 진행하고, 각각의 사업자 서버가 선정한 사용자 단말에게 낙찰 결과를 통보하는 덤핑 상품 등록 프로세스; 및
    상기 낙찰 결과를 통보받은 사용자 단말의 검색 요청에 따라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과 연계된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생성 프로세스는,
    상기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상기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과 연계된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을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시키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전체 일정 및 단계별 일정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
    항공, 숙박, 식사와 관련된 오프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 이용과 관된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온라인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식별번호-상기 식별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여행지의 특정 장소 또는 상품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함-가 수신되면, 상기 식별번호에 매칭된 할인 또는 쿠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를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상기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및 상기 가이드 스케쥴러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웹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 관리부는,
    상기 마켓 운용부가 웹 페이지 상에 마련한 상기 서비스·상품 코너 별로 해당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온라인 상에서 공모하여 사업자들의 신용 및 재무 평가를 수행하고,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와 상기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업체 등록 프로세스; 및
    마켓 플랫폼을 토대로 개발된 위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등록받아 상기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에게 제공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를 통해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에 따른 정산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프로세스
    를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9.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의 해외 여행 목적, 일정 및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에 대한 요구조건을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해외 여행 스케쥴이 나열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하나의 해외 여행 스케쥴을 선택받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선택받은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해외 여행 일정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의 해외 여행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에게 역경매 방식의 입찰 공고를 통보하는 단계; 및
    입찰에 참여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토대로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스케쥴 정보 및 스케쥴에 따른 전체 비용 정보를 포함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포함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각각의 사업자 서버에게 낙찰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낙찰 승인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한 해외 여행 스케쥴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를 생성 및 실행하여 전체 일정 및 단계별 일정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를 생성 및 실행하여 항공, 숙박, 식사와 관련된 오프라인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 이용과 관련된 알림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를 생성 및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현재 위치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온라인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른 할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를 생성 및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식별번호-상기 식별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여행지의 특정 장소 또는 상품에 부착된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함-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번호에 매칭된 할인 또는 쿠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확정한 해외 여행 스케쥴의 일정 변경 요청, 서비스 또는 상품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정 변경 요청, 상기 서비스 또는 상품의 변경 요청에 따라 해외 여행 스케쥴을 변경 등록하는 단계;
    변경 등록된 해외 여행 스케쥴에 따라 상기 이벤트 가이드 스케쥴러, 상기 오프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상기 온라인 서비스 가이드 스케쥴러 및 상기 가이드 스케쥴러를 변경하고, 변경된 각각의 스케쥴러 실행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해외 여행이 종료되면, 비용 정산을 자동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하나 이상의 사업자가 서버로부터 등록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의 입찰 공고를 우수 고객으로 선정된 사용자 단말에게 통보하여 입찰을 진행하는 단계;
    각각의 사업자 서버가 선정한 사용자 단말에게 낙찰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 및
    낙찰 결과를 통보받은 사용자 단말의 검색 요청에 따라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과 연계된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상기 낙찰받은 덤핑 서비스 또는 상품과 연계된 다른 서비스 또는 상품을 포함한 서비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상품 코너를 상기 마켓 플랫폼 기반의 웹 페이지 상에서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상품 코너 별로 사업자를 온라인 상에서 공모하여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로부터 마켓 입점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켓 입점 신청을 전송한 사업자의 신용 및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여 사업자를 선정하는 단계; 및
    판매 수수료를 포함한 상기 마켓 플랫폼 기반에서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협업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협업 시스템이 구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 서버에게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에 부합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의 역경매 방식의 입찰 공고를 통보하여 입찰에 참여한 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해외 여행 서비스 또는 상품으로 구성된 해외 여행 스케쥴 후보 목록을 생성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마켓 플랫폼을 통해 해외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등록받는 단계;
    등록받은 해외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의 검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검증이 완료된 해외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 서버와 판매 수수료를 포함한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 및
    웹 상에 상기 해외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게시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외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받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상기 현재 상황에서 필요한 해외 여행 가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00099A 2011-09-30 2011-09-30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35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099A KR20130035659A (ko) 2011-09-30 2011-09-30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099A KR20130035659A (ko) 2011-09-30 2011-09-30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659A true KR20130035659A (ko) 2013-04-09

Family

ID=4843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099A KR20130035659A (ko) 2011-09-30 2011-09-30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5659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175A (ko) * 2014-02-27 2015-09-07 주식회사 아이패밀리에스씨 일정 단위 기반의 서비스 주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579260B1 (ko) * 2015-06-01 2015-12-21 김영덕 여행지 쇼핑 정보 및 멀티 할인 쿠폰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KR20160064697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웰스텍 여행 스케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01135B1 (ko) * 2018-08-14 2019-07-17 이도경 위치기반 여행자 커뮤니티 및 일정표와 연동되는 견적서를 이용한 역경매 방식의 여행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7543B1 (ko) * 2019-06-07 2020-05-04 김병주 커스터마이즈드 여행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52786A (ko) 2018-11-07 2020-05-15 주식회사 화성 소셜웨어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별 라이프스타일 판별 및 관광지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281852B1 (ko) * 2020-10-08 2021-07-26 주식회사 도무스서울 여행 스케쥴 역경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행 스케쥴 역경매 방법
KR20220001320A (ko) * 2020-06-29 2022-01-05 이유진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24868A (ko) 2021-03-04 2022-09-14 오원균 역경매 여행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6848B1 (ko) * 2022-07-28 2023-08-22 주식회사 인포플러스 여행자 위치기반 가이드비용 결제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175A (ko) * 2014-02-27 2015-09-07 주식회사 아이패밀리에스씨 일정 단위 기반의 서비스 주관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4697A (ko)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웰스텍 여행 스케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9260B1 (ko) * 2015-06-01 2015-12-21 김영덕 여행지 쇼핑 정보 및 멀티 할인 쿠폰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2001135B1 (ko) * 2018-08-14 2019-07-17 이도경 위치기반 여행자 커뮤니티 및 일정표와 연동되는 견적서를 이용한 역경매 방식의 여행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52786A (ko) 2018-11-07 2020-05-15 주식회사 화성 소셜웨어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별 라이프스타일 판별 및 관광지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087543B1 (ko) * 2019-06-07 2020-05-04 김병주 커스터마이즈드 여행 플랫폼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KR20220001320A (ko) * 2020-06-29 2022-01-05 이유진 해외여행 어시스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1852B1 (ko) * 2020-10-08 2021-07-26 주식회사 도무스서울 여행 스케쥴 역경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여행 스케쥴 역경매 방법
KR20220124868A (ko) 2021-03-04 2022-09-14 오원균 역경매 여행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6848B1 (ko) * 2022-07-28 2023-08-22 주식회사 인포플러스 여행자 위치기반 가이드비용 결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5659A (ko) 해외 여행 가이드 장치 및 해외 여행 가이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315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US2022018886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dicting consumer behavior
US20120310764A1 (en) Designing online deals leveraging collective buyer purchasing power in online marketplace
US11188932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obile location based sales lead identification
KR102221227B1 (ko) 공급자 연동과 다국어 지원 기능을 구비한 쇼핑몰 플랫폼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3890A (ko) 개인 웹페이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사이트와 연동하는 쇼핑몰 판매시스템과 판매방법
EP3757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KR20150000950A (ko) 국내 또는 해외 물품 구매 대행 및 실시간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33841A1 (en) Method, manufacture,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on-demand home and auto services
US20220391941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ffering and processing promotions
KR101585119B1 (ko) 경로정보를 이용한 소셜 커머스 딜 노출방법, 서버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2074859A (zh) 福利型低价商城系统及其运行方法
KR20210007632A (ko) 상품별 등록 스케쥴을 기반으로 온라인 마켓 api 연동을 통해 상품의 등록 관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312406B1 (ko) 온라인 기부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1640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KR20170120487A (ko) 사용자의 댓글 참여도에 따른 실시간 상품 판매 가격 할인방법
WO2022241241A1 (en) Consumer purchasing and inventory control assista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US10664861B1 (en) Generating promotion offers and providing analytics data
US201400817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items
US11645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ynamically priced offer data between a restaurant and a consumer
KR20120034435A (ko) 여행계획 경매 와 이에 따른 여행비용 보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ule et al. The Effects of E-commerce on the Performance of SMEs in Uganda
US20220374937A1 (en) Generating promotion offers and providing analytics data
KR20110022257A (ko) 온라인 기부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