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194A -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194A
KR20220001194A KR1020200079233A KR20200079233A KR20220001194A KR 20220001194 A KR20220001194 A KR 20220001194A KR 1020200079233 A KR1020200079233 A KR 1020200079233A KR 20200079233 A KR20200079233 A KR 20200079233A KR 20220001194 A KR20220001194 A KR 2022000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ll
mlcc
sorting
plating
s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137B1 (ko
Inventor
이창환
Original Assignee
이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환 filed Critical 이창환
Priority to KR102020007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13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36Regulation of scree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45Screening surfaces built up of modular el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선별기와 교체가능하되 서로 혼합된 도금환구와 MLCC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당 MLCC만 선별하며, 도금환구는 배출할 수 있는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가능한 복합선별기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MLCC와 도금환구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균일 패턴의 선별공이 다수 천공형성되어 상기 도금환구를 배출하는 선별판 및 상기 선별판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각에 의해 상기 도금환구의 이동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MLCC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Assembly for separating 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본 발명은 복합선별기와 교체가능하되 서로 혼합된 도금환구와 MLCC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당 MLCC만 선별하고, 도금환구는 배출할 수 있는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및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콘덴서는 그 종류가 매우 많고, 기술의 진보에 따라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콘덴서들 중에서 적층세라믹커패시터(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이하, 'MLCC'라 한다)는 전압을 인가하여 유전체 물질의 두께와 전극 면적에 따라 전하를 측정하는 기능을 하는 부품으로서, 그 크기가 쌀알의 250분의 1 정도로 아주 작게 제조되고 있으므로 휴대폰이나 LCD TV와 같은 전자 장비들의 소형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MLCC는 제조과정에서 MLCC의 접지부에 코팅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평균크기가 0.589mm 정도의 세라믹 코팅볼들(이하, '도금환구' 한다)과 혼합을 하게 되고, MLCC의 접지부에 코팅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MLCC와 도금환구를 선별기에 의해 서로 분리 선별하는 공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MLCC의 결함여부를 검사한 후에 제품으로서 출하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MLCC는 그 크기가 세로 평균 1.22mm이고 가로 평균이 2.06mm이며, 또한 도금환구는 그 평균크기가 0.589mm 일 정도로 아주 작기 때문에 실제로 이들 MLCC와 도금환구를 선별 분리하는 작업은 상당히 어렵고, 이들을 인력으로 선별 분리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생산성 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71326호(공고일: 2013.06.04.) 국내등록특허 제10-1216670호(공고일: 2012.12.21.)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금환구의 크기에 따라 선별기와 어셈블리 형태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MLCC와 도금환구를 용이하게 선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는 진동가능한 복합선별기에 장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MLCC와 도금환구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균일 패턴의 선별공이 다수 천공형성되어 상기 도금환구를 배출하는 선별판 및 상기 선별판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각에 의해 상기 도금환구의 이동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MLCC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공는 0.55파이 내지 1.9파이의 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체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향되게 상기 경사각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의 크기는 8.5 내지 10도의 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선별하고자 하는 도금환구의 크기에 따라 선별공의 지름이 선택되어 어셈블리 형태로 복합선별기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경사면이 형성된 형성된 경사체를 통해 상기 도금환구는 상기 경사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선별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MLCC만 선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에 대한 선별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가 복합선별기에 장착된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이하, 간략하게 '선별 어셈블리'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어셈블리(1)는 몸체부(100), 선별판(200) 및 경사체(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외면이 복합선별기(10)의 고정수단(11)에 의해 가압되어 해당 복합선별기(1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체(11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양측이 한 쌍의 상기 고정체(110) 하면과 이어지게 가이드바(120)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이때, 가이드바(120)는 고정체(110) 하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가이드바(120)의 이격부(130)를 통해 후술하는 선별판(200)에서 선별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도금환구(30)가 용이하게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선별판(200)과 이격부(130)를 통해 선별 배출되는 도금환구(30)는 복합선별기(10) 내부에서 수집되어 수용체(미도시)에 일괄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200)은 MLCC(20)와 도금환구(30)가 혼합된 상태로 복합선별기(10)에 투입 후, 상기 복합선별기(10)의 진동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도금환구(30)만 선별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선별공(210)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선별판(2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면이 다수의 가이드바(120) 상면과 이어지게 고정 설치된다.
선별판(200)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선별공(210)이 동일한 패턴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선별공(210)을 통해 다수의 도금환구(30)가 선별되어 이격부(130)를 통해 수용체에 일괄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별공(210)의 지름 크기는 MLCC(20)의 도금에 사용되는 도금환구(30)의 지름에 따라 0.55파이 내지 1.9파이 이내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선별판(200)에 형성된 선별공(210)은 전체가 동일한 지름 크기를 갖게 몸체부(100)에 설치되어 도금환구(30)의 지름 크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어셈블리(1)를 교체하여 복합선별기(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선별하고자 하는 도금환구(30)의 지름에 따라 상기 도금환구(30)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공(210)의 천공지름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선별판(200)이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어셈블리(1)를 선택하여 복합선별기(10)에 장착 후,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사체(300)는 상술한 선별판(200)에 MLCC(20)와 도금환구(30)가 일괄 공급시에 상기 경사체(300)를 기준으로 상기 MLCC(20)만 통과시키되 상기 도금환구(30)는 선별공(210)을 통해 선별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경사체(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선별판(200)을 관통하여 가이드바(120)에 형성된 끼움공(140)에 고겅 삽입될 수 있게 돌기부(320)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 즉, MLCC(20)와 도금환구(3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해당 타단이 상향지게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면(3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복합선별기(10)의 진동에 의해 선별판(200)의 상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MLCC(20)와 도금환구(30)가 이동하면 상기 도금환구(30) 일부는 경사체(300)에 도달하기 이전에 선별공(210)을 통해 자유 배출되며, 일부는 상기 경사체(300) 일단까지 상기 MLCC(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MLCC(20)는 진동에 의해 경사면(310)을 따라 그 이동속도가 줄어들면서 경사체(300)를 타고 넘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도금환구(30)는 볼(ball)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경사체(300) 일단에 체류하거나 설사, 상기 경사면(310)에 올라간다 하더라도 그 형상의 이유로 인하여 자연적으로 내려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경사체(300)를 기준으로 상기 MLCC(20)만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경사면의 각도는 몸체부(100)의 바닥면에 설치된 선별판(200)을 '0'도 기준으로 하여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8.5 내지 10도의 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어셈블리(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선별하고자 하는 도금환구(30)의 크기에 따라 선별공(210)의 지름이 선택되어 어셈블리 형태로 복합선별기(1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경사면(310)이 형성된 형성된 경사체(300)를 통해 상기 도금환구(30)는 상기 경사체(300)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선별공(21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MLCC(20)만 선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100: 몸체부
110: 고정체 120: 가이드바
130: 이격부 140: 끼움공
200: 선별판
210: 선별공
300: 경사체
310: 경사면 320: 돌기부
10: 복합선별기
11: 고정수단
20: MLCC
30: 도금환구

Claims (3)

  1. 진동가능한 복합선별기(10)에 장착되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 바닥면에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MLCC(20)와 도금환구(3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되 균일 패턴의 선별공(210)이 다수 천공형성되어 상기 도금환구(30)를 배출하는 선별판(200); 및
    상기 선별판(200)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경사각에 의해 상기 도금환구(30)의 이동이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MLCC(20)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사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210)는 0.55파이 내지 1.9파이의 지름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체(300)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상향되게 상기 경사각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의 크기는 8.5 내지 10도의 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KR1020200079233A 2020-06-29 2020-06-29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KR102415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33A KR102415137B1 (ko) 2020-06-29 2020-06-29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33A KR102415137B1 (ko) 2020-06-29 2020-06-29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94A true KR20220001194A (ko) 2022-01-05
KR102415137B1 KR102415137B1 (ko) 2022-06-29

Family

ID=7934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33A KR102415137B1 (ko) 2020-06-29 2020-06-29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1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793U (ja) * 1983-04-22 1984-11-07 日鉄溶接工業株式会社 棒状物の曲り線選別装置
KR980008358A (ko) * 1996-07-29 1998-04-30 성재갑 진동 선별기
KR100467224B1 (ko) * 2004-06-18 2005-01-24 김윤호 계단식 선별기
KR20110127542A (ko) * 2010-05-19 2011-11-25 (주)지씨비전 사출부품-연마석 분리장치
KR101216670B1 (ko) 2011-02-23 2012-12-28 강서익 적층세라믹커패시터의 선별기
KR101271326B1 (ko) 2011-02-23 2013-06-04 (주)디에스텍 적층세라믹커패시터의 선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793U (ja) * 1983-04-22 1984-11-07 日鉄溶接工業株式会社 棒状物の曲り線選別装置
KR980008358A (ko) * 1996-07-29 1998-04-30 성재갑 진동 선별기
KR100467224B1 (ko) * 2004-06-18 2005-01-24 김윤호 계단식 선별기
KR20110127542A (ko) * 2010-05-19 2011-11-25 (주)지씨비전 사출부품-연마석 분리장치
KR101216670B1 (ko) 2011-02-23 2012-12-28 강서익 적층세라믹커패시터의 선별기
KR101271326B1 (ko) 2011-02-23 2013-06-04 (주)디에스텍 적층세라믹커패시터의 선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137B1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514B2 (e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CN104517726B (zh) 多层陶瓷电容器及其上安装有该多层陶瓷电容器的板
US9761376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KR101271326B1 (ko) 적층세라믹커패시터의 선별기
CN105977021B (zh) 多层陶瓷组件
CN1482831A (zh) 多频带螺旋天线
KR20060104373A (ko)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CN104471660A (zh) 电容结构
CN110880422B (zh) 多层电容器
CN112090730B (zh) 用于钮扣的外径分选设备及组合分选设备
KR102415137B1 (ko)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KR20060104996A (ko)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64691A1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decreased high voltage stress defects and board having the same
US6212060B1 (en) Multi-capacitor device
US2011022040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KR101216670B1 (ko) 적층세라믹커패시터의 선별기
KR101232452B1 (ko) 체용 마스크
CN104070008B (zh) 一种螺旋式弹簧振动筛分设备
CN216926966U (zh) 一种用于片式多层陶瓷电容器的测试装置
KR102029596B1 (ko) 커패시터 부품
CN106935401A (zh) 多层电子组件和制造该多层电子组件的方法
CN1825124A (zh) 用于测试半导体器件的处理机的测试托盘
CN208853212U (zh) 一种多层振动筛选装置
US10249437B2 (en)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with side parts on external surfa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13401299U (zh) 锂电池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