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224B1 - 계단식 선별기 - Google Patents

계단식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224B1
KR100467224B1 KR1020040045267A KR20040045267A KR100467224B1 KR 100467224 B1 KR100467224 B1 KR 100467224B1 KR 1020040045267 A KR1020040045267 A KR 1020040045267A KR 20040045267 A KR20040045267 A KR 20040045267A KR 100467224 B1 KR100467224 B1 KR 10046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bar
sorting plate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4004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식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수단을 갖는 선별판과, 상기 선별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 상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다수개의 선별바와; 상기 선별판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선별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진동모터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진동을 상기 선별판 전체면에 동일하게 전달 시키게 하기위한 동시에 모터베이스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선별판 후레임과, 상기 선별판 후레임 하측에 배치되어 완충장치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선별판및 선별판 후레임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 하기위한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과,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에 잔존 하고있는 미세진동을 흡수 하기위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판과 선별판 후레임과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 전체의 경사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사를 고정 지지 하기위한 각도조절용 후레임과,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이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선별판및 후레임들의 이동편의성을 제공 하기위한 바퀴달린 다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단식 선별기 {GRADER}
본 발명은, 계단식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되는 대상의 형태를 고려할 때, 새우,마른굴,전복,조개등과 같이 그 크기별로 선별될 수 있는 선별물품을 효과적으로 선별함으로써 선별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선별물품을 그 크기별로 선별코저 할때 거의 모든 경우에 적용 되는 기술은 틈새, 혹은 구멍등에 상기 선별물품을 통과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예에는 와이어네트(WIRE NET), 메쉬망, 휠터, 펀칭망등 선별구가 타공된 선별판, 엣지와이어 스크린(WEDGE WIRE SCREEN) 등이 해당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선별물품들이 틈새, 혹은 구멍을 통과하다가 반드시 그 틈새나 구멍에 박히게 되어 틈새나 구멍은 막힐 수 밖에 없으므로 선별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특별히 선별시킬 선별물품의 대상이 생새우등과 같은 수산물 일경우 어체가 손상되는등 어려움이 많았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그 틈새나 구멍으로 이루어진 선별판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할뿐만이 아니라 그 선별판의 크기나 중량의 과다함으로 인하여 선별환경및 조건에 따라 적시에 적절한 선별판을 수시로 교환하기가 어려웠던 구조 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 하고있는 경사진 선별판위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선별바를 배치하되 이 선별바는 공급부 측으로부터 배출측에 이를수록 더욱 높게 설정 하므로서, 공급부로부터 낙하된 선별물품이 진동에 의해상기 선별판을 이동하다가 상기 선별바에 접근하게 된후,
선별바 보다 더욱 큰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은 상기 선별판의 자체경사와 상기 선별판에 가해진 진동에 의하여 상기 선별바를 용이하게 타고넘어 다음 선별바를 향하여 이동하게하고, 선별바 정도의 두께 이거나 선별바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은 선별바를 타고넘지 못한채 상기 선별바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선별판의 끝단부위에 이르러낙하되므로서,
효율적인 선별작업은 수행하되, 선별물품들이 틈새, 혹은 구멍을 통과 하는것이 아니라 단지 다수개의 선별바를 타고넘으며 선별되게 하므로서 막힘현상이 없어 늘 초기의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으며,
특별히 선별시킬 선별물품의 대상이 생새우등과 같은 수산물 일경우 어체의 손상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선별바는 고정용선별바 외에 교환용 선별바를 구비 하므로서, 복잡한 별도의 고정결합용 장치없이 원터치로서 선별바를 높이가 틀린 다른 선별바로 손쉽게 교환 하게하여, 선별환경및 조건에 따라 적시에(기계가 진동을 하며 운전중일 지라도) 적절한 선별판으로 신속히 교환 되어지게 할 수 있도록 한 선별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진동수단을 갖는 선별판과, 상기 선별판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 상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다수개의 선별바와; 상기 선별판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선별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진동모터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진동을 상기 선별판 전체면에 동일하게 전달 시키게 하기위한 동시에 모터베이스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선별판 후레임과, 상기 선별판 후레임 하측에 배치되어 완충장치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선별판및 선별판 후레임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 하기위한 완충장치 셋팅용후레임과,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에 잔존 하고있는 미세진동을 흡수 하기위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판과 선별판 후레임과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 전체의 경사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사를 고정 지지 하기위한 각도조절용 후레임과,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이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선별판및 후레임들의 이동 편의성을 제공 하기위한 바퀴달린 다리를 포함하는 계단식 선별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식 선별기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선별판 후레임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 평면도.
도 5는 도 1의 각도조절용 후레임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단면도(SECTION A-A').
도 7은 높이 고정용 선별바.
도 8은 높이 조정용 선별바.
도 9는 완충장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완충고무가 포함 되어있는 경사조절용 볼트.
도 12는 진동모터 베이스판.
도 13은 경사진 선별판에 투입된 선별물품이 크기별로 선별되며 배출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작동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계단식 선별기는, 진동수단을 갖는 선별판(2)과, 상기 선별판(2)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3)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2) 상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다수개의 선별바(4)와; 상기 선별판(2)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선별판(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진동모터(M)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진동을 상기 선별판(2) 전체면에 동일하게 전달 시키게 하기위한 동시에, 모터베이스(9)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선별판 후레임(5)과, 상기 선별판 후레임(5) 하측에 배치되어 완충장치(10)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선별판(2)및 선별판 후레임(5)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 하기위한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과,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에 잔존 하고있는 미세진동을 흡수 하기위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판(2)과선별판 후레임(5)과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전체의 경사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사를 고정 지지 하기위한 각도조절용 후레임(7)과,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이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선별판(2)및 후레임들(5,6,7)의 이동편의성을 제공 하기위한 바퀴달린 다리(8)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판(2)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금속재로서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이는, 도 2에서 보여지듯 평면상에서 바라볼때상기 선별판(2)의 상측인 B 방향의 넘침방지벽(20)과 상기 선별판(2)의 우측인 S' 방향의 넘침방지벽(20)이 마주치는 점을 a점 으로하고,이 a점과 S-S'선을 직각으로 교차하는 선을 그을때 이 교차하는 선이 상기 선별판(2)의 하측과 만나는 점을 b점이라고 할때,상기 a점과 b점을 기준점으로 하고, 이 a점과 b점을 힌지(70)로서 구성한 상태에서 S-S'선과 상기 선별판(2)의 하측 부분이 만나는 점을 c점 으로하여 상기 c점이 경사진 상기 선별판(2)의 최상위점이 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로서 a점과 b점에 대하여 직각방향인 S-S' 방향이 상기 선별판(2)의 경사방향이 되는 것이며 S 쪽은 경사면의 상부가 되고, S'쪽은 경사면의 하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2)에 공급된 선별물품을 전진이동 시킬수 있게 하기위한, 진동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의 관성방향은 V-V' 방향으로 설정을 하게 되는데 이때 경사방향인 S-S' 와 진동의 전진이동 관성방향인 V-V' 는 약 45°내외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V-V' 방향과 상기 선별바(4)의 길이방향인 B-B' 방향은 약 27°내외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선별판(2)의 공급부(3) 로부터 낙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이 V' 방향을 향하여 이동 하려다가 상기 선별바(4)에 접근하게 되었을때,
선별바 정도의 두께 이거나 선별바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은;
선별바를 타고넘지 못하며 V' 방향으로의 계속적인 진행이 방해받게 되는데, 상기 선별바(4)가 B-B' 와 S-S' 의 각도차이및 경사구성에 의하여 B' 방향을 향하여 하향경사로 설정 되어있는 이유와 또한, B-B' 와 V-V' 의 각도가 약 27°내외라는 예각인 이유로 인하여 V' 방향으로의 계속적인 진행이 저항은 받되, 선별물품에 미치는 V' 방향으로의 전진이동 관성이 약화되지 않은채 B' 방향, 혹은 V' 방향을 향하여 용이하게 이동하다가 낙하되어 선별 되어질 수 있는 것이며,
선별바 보다 더욱 큰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은;
상기 선별판의 자체경사와 상기 선별판에 가해진 진동에 의하여 상기 선별바를 용이하게 타고넘은 후 떨림운동을 하고있는 경사진 상기 선별판(2)을 접촉하게 되므로서 V' 방향을 향한 전진이동 관성의 힘 보다는 경사면으로 S' 방향을 향해 미끌어져 내려가려는 힘을 더욱 우선적으로 작용 받게되어 S' 방향을 향하여 하강하다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이어져있는 다음 단계의 선별바(4)를 만나게 되어 선별을 위한 진행방향의 결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진동방향과 경사면들의 설정은 공급부(3) 로부터 공급된 상기 선별물품들이 상기 선별판(2)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기 선별바(4)들을 최대로 많이 접촉하며 선별이 되도록 하기위한 방법이 되며, 또한 주어진 선별판(2)의 면적조건하에서 상기 선별바(4)들을 최대한 밀도있게 배치 시킬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선별바(4)들은 기본적으로 높이고정 선별바(40)와 높이조정 선별바(41)의 두 종류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치되어 사용 되어지는데, 우선 상기 높이조정 선별바(41)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높이조정 선별바(41)는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로서 구성 되어지는데 상기 고정용선별바(42)는 단면이 역사다리꼴인 바(BAR)의 형상이며 금속재를 가공하여 만들거나,비철금속인 알루미늄등을 압출하여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용선별바(42)는 상측에 카운터보링 작업에 의한 구멍을 구비 하게되고 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선별판(2)의 상측에 밀착된채 볼트로서 고정결합 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환용선별바(43)는 단면의 내부가 역시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춘채 상기 고정용 선별바(42)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바의 형상을 하게 되는데, 이 교환용선별바(43)의 재질은 우레탄이나 생고무등 약간의 탄력을 갖춘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교환용선별바(43)가 B 방향 으로부터 B' 방향을 향하여 상기고정용 선별바(42)에 구비 되어있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레일을 따라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두께가 다른 교환용선별바(43)로의 교환을 위해 해체할때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재질이 되며, 고정용선별바(42)와 결합이 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결합용 장치없이도 상기 선별판(2)의 떨림운동으로 인하여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의 접촉면 공차인 틈새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억제 시키기위한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이때, 고정용선별바(42)의 B'방향 측단 끝부분에는 스토퍼(44)가 상기 선별판(2)의 상측에 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결합 되어져 배치 되는데 이 스토퍼(44)는 상기 교환용선별바(43)가 상기 고정용선별바(42)의 레일 면을 따라 B' 방향을 향하여 계속 전진하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교환용선별바(43)는 선별물품을 여러종류로 정밀히 선별해 내기 위해서 다양한 두께(h1, h2, h3...)를 구비한 다양한 높이(H1, H2, H3...)를 갖춘채 다수개가 준비 되어지는데 선별물품의 종류및 크기, 형태, 입도분포 등에따라 필요하면 같은 높이의 상기 교환용선별바(43)를 2열, 혹은 3열로 연속배치 할 수도 있으며 선별물품의 특성에 대응한 이러한 교환용선별바(43)의 적절한 배치는 본 발명기계의 선별효율을 높일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것이며,
전기한 구조로 인하여 교환용선별바(43)는 신속히 삽입및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어떤 경우에는 기계가 떨림운동중, 즉 기계가 운전중일 지라도 이러한 교환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정 선별바(41)는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로 결합되어 구성되어지는 관계로 두께가 일정한 기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높이조정 선별바(41)의 높이보다 더욱 작은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에의 선별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도 7에서 보여지듯, 상기 선별바(4)의 두께를 대단히 얇게 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높이고정 선별바(40)를 구비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높이고정 선별바(40)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선별판(2)에 취부 되었던 상기 고정용선별바(42)를 제거한후 그 자리에 상기 높이고정 선별바(40)를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선별판(2)은 일단측 상단에 넘침방지벽(20)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는 선별물품이 S' 방향으로 미끄어져 내려가다가 B 방향으로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기위한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전기한 바와같이 상기 선별바(4)와 상기 스토퍼(44)와 상기 넘침방지벽(20)을 상측에 구비한 상기 선별판(2)은
하측으로는, 선별판후레임(5)과 고정결합 되어지는데 상기 선별판후레임(5)은 상기 선별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진동모터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진동을 상기 선별판 전체면에 동일하게 전달 시키게 하기위한 동시에 모터베이스(9)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추기 위하여, 판상의 금속재를 절단, 절곡해서 만들어진 형강으로서 만들어지며 용접에 의하여 도 3과 같은 구조로서 일체형으로 고정결합 되어진다.
그리고, 이 선별판후레임(5)의 하부에는 V-V' 방향을 따라 상기 모터베이스(9)가 취부되고 이러한 구조 전체가 볼트로서 상기 선별판(2)의 하측에 밀착되어 고정결합 되어지는 것이다.
모터베이스(9)에 배치될 2대의 진동모터(VIBRATION MOTOR) 는 전기의 인가여부에 따라 내측에 설치된 언밸런스 웨이트(UNBALANCE WEIGHT)가 회전하여 이 웨이트의 회전에 의해 자체 진동이 발생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진동발생장치 등에 널리 사용 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동모터(M)의 진동발생방향은 상기 2대의 진동모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 회전시켜 발생시킨 진동에 의해 공급부(3)측인 V 방향보다 배출측인 V' 방향으로 관성력이 더욱 발생될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선별판(2)에 공급되는 선별물품이 관성에의해 공급부(3)측인 V 방향보다 배출측인 V'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선별판후레임(5)의 하부에는 도 4에서 보여지듯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이 배치되는데 이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은 판상의 금속재를 절단,절곡하여 만들어진 형강이나 사각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별판후레임(5)과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의 사이에는 완충장치(10)가 배치되어 상기 선별판(2)과 상기 선별판후레임(5)에 작용 되고있는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10a, 10b, 10c, 10d 는 상기 선별판(2)과 상기 선별판후레임(5)의 무게에 의한 하중을 배분 하기위한 4점 지지이고, 10e 는 진동모터(M) 와 모터베이스(9)의 무게에 의한 편하중에 대응하기 위한 배치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10a, 10b, 10c, 10d, 10e 의 설치방향은 모두 V -V' 방향과 일치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의 하부에는 각도조절용 후레임(7)이 배치되는데 이 각도조절용 후레임(7)은 판상의 금속재를 절단,절곡하여 만들어진 형강이나 사각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은 도 5에서 보여지듯, a 점과 b 점에 힌지(70)를 구비하여 배치하고 이 힌지(70)와힌지(70)를 관통하여 배치 되어있는 힌지연결볼트(71)를 이용해서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의 하부에 고정결합 되어있는 상대 힌지(70)와의 연계결합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힌지(70)와 상기 힌지연결볼트(71)의 셋팅에 의하여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과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의 기준 접합점이 정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고정 되어있는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에 대응하여 상기 선별판(2), 선별판후레임(5),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들이 S-S' 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정될 수 있는것이다.
이때, 이 경사의 조정을 결정하게될 경사조절용볼트(72)는 도 11에서 보여지듯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에 고정배치 시키기위한 바닥고정용 볼트(73)와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의 경사면을 조정 하기위한 높이조절용 볼트(74) 사이에 완충고무(75)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에 잔존 하고있는 미세진동을 흡수 하기위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판과 선별판 후레임과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 전체의 경사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사를 고정 지지 하기위한 바람직한 구조가 된다.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의 하부에는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이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선별판(2)및 후레임(5, 6, 7)들의 이동편의성을 제공 하기위한 바퀴달린 다리(8)가 배치되는데 상기 바퀴달린 다리(8)는 통상의 사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바퀴달린 다리(8)에는 로울러캐스터(80)가 설치되고, 이 로울러캐스터(80)는 일시적으로 록키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레버(81)가 설치되므로서 기계의 이동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장치(10)는 진동모터(M)에 작용에 의하여 진동 하고있는 상기 선별판(2)과 선별판후레임(5)의 진동을 흡수는 하되, 상기 경사조절용볼트(72)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선별판(2)과 선별판후레임(5)의 경사각도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일 지라도 안정된 진동을 지속시킬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데,
상기 완충장치(10)를 도 9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완충장치(10)는 사각봉(101)이 사각봉 연결평철(102)에 의해 용접,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봉(101)과 상기 사각봉(101)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고무 케이스(103) 사이에는 내마모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소재(104)가 충진된다.
한편, 상기 선별판(2)의 일측단 상측에는 공급부(3)가 배치되는데 이 공급부(3)의 다리는 통상의 사각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리의 상부는 공급부측 사각파이프(31)가 배치되고, 이 공급부측 사각파이프(31)의 일측면에는 파이프 높이고정용 볼트(33) 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가공되어있고,
다리의 하부는 상기 공급부측 사각파이프(31)의 내부에 슬라이딩 접촉식으로 결합 될 수 있는 바닥측 사각파이프(32)가 배치되는데, 이 사각파이프(32)의 일측면에도 역시 파이프 높이고정용 볼트(33) 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가공되어있어 상기 공급부측 사각파이프(31)와 상기 바닥측 사각파이프(32)에 가공 되어있는 상기 구멍들에 의하여 상기 선별판(2)과 선별판후레임(5)이 경사면 조정의 필요에 따라 상,하로 높이가 변화 되어질때 상기 공급부(3)가 적절한 간격을 유지한채, 같은 변화량만큼 같은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할수있는 바람직한 구조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부(3)는 호퍼로 이루어지고 이 호퍼를 통해 선별물품이 상기 선별판(2)에 공급되는 것을 일예로하여 도면에 도시 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별판(2)과 연계되는 별도의 이송콘베이어(미도시)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선별물품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공급부(3)의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따라,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선별물품의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실시예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바퀴달린 다리(8)에 설치된 로울러캐스터(80)의 브레이크레버(81)를 작동하여 록킹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상기 바퀴달린 다리(8)가 바닥면에 고정되면,
상기 선별판(2)위에 밀착되어 고정결합 되어있는 고정용선별바(42) 위에 상기 교환용선별바(43)들을 삽입 하므로서 상기 선별바(4)들을 배열, 배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교환용선별바(43)들은 선별 하고자하는 선별물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두께(h1, h2, h3...)들을 잘 선정하고 상기 선별바(4)들의 높이 조합 배치가 잘 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상기 교환용선별바(43)들을 상기 고정용선별바(42)들의 레일면을 따라 삽입하므로서 선별바(4)들의 장착을 마친다.
그리고 나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진동모터(M)를 작동시키게 되면, 이 진동모터(M)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바퀴달린 다리(8) 이외의 부분 즉, 상기 선별판(2), 선별판후레임(5), 들이 자체 진동을 하게 되며,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에 의해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태에서 공급부(3) 즉, 호퍼의 내부 공간부에 선별을 위한 선별물품을 공급하게 되면, 이 호퍼에 공급된 선별물품이 배출구를 통한다음 진동에 의해 선별판(2)에 공급된다.
상기 선별판(2)에 투입된 선별물품은 상기 선별물품을 전진이동 시킬수 있게 하기위한 진동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의 관성방향에 의해 V-V' 방향을 향하여 이동 하게되며,
이 과정에서 선별바 정도의 두께 이거나 선별바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은;
V' 방향으로의 계속적인 진행이 저항은 받되, 선별물품에 미치는 V' 방향으로의 전진이동 관성이 약화되지 않은채 B' 방향, 혹은 V' 방향을 향하여 용이하게 이동하다가 낙하되어 선별 되어질 수 있는 것이며,
선별바 보다 더욱 큰 두께를 갖는 선별물품은;
V' 방향을 향한 전진이동 관성의 힘 보다는 경사면으로 S' 방향을 향해 미끌어져 내려가려는 힘을 더욱 우선적으로 작용 받게되어 S' 방향을 향하여 하강하다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이어져있는 다음 단계의 선별바(4)를 만나게 되어 또다시 선별을 위한 진행방향의 결정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되다가 결국, 선별물품의 두께에 해당되는 상기 선별바(4)를 만나게 되어 선별바(4)에 의하여 선별이 이루어진후 낙하 되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선별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선별판(2)의 일측단 끝단부위를 통하여 낙하되어지는 선별물품은 이 낙하지점에 별도의 수집통(미도시)을 설치하여 수거하면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선별물품을 4가지 크기로 선별하는것을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별이 요구되는 선별물품의 종류나 크기에따라 이에 대응하는 선별바(4)가 구비된 선별판(2)을 적절하게 적용함으로서, 더욱 다양한 종류나 크기별로 선별물품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높이고정선별바(40)나, 높이조정선별바(41)의 전체 단면을 사각형으로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선별바(4)들의 단면형상은 원형이 될 수도있고, 사다라꼴이나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선별바(4)의 단면형상은 다양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바(4)들의 재질을 우레탄이나 생고무등 약간의 탄력을 갖춘 재질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또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금속재, 기타 선별을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선별바(4)의 재질은 다양하게 선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예에서의 완충장치(10)는 사각봉(101)이 사각봉 연결평철(102)에 의해 용접,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봉(101)과 상기 사각봉(101)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고무 케이스(103) 사이에는 내마모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소재(104)가 충진되는 구조로 도시및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 되는것은 아니다.
완충장치(10)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등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완충장치(10)의 형식은 다양하게 실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선별물품을 새우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이또한 본 발명기술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모든 선별물품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선별판(2)의 경사면에 대한 각도의 설명중
V-V' 방향대 S-S' 방향은 약 45°내외이며, V-V' 방향대 B-B' 방향은 약 27°내외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표현 하였지만 이에 제한 되는것은 아니다.
상기에서의 45°및, 27°는 본 발명기술의 사전검증을 위한 실험과정에서 얻어진 수치이지만 실제로 기계제작하여 더욱 효과적인 각도로 사용될 수도 있는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선별기는 선별물품들이 틈새, 혹은 구멍을 통과하지않고 단지 다수개의 선별바(4)만을 타고넘거나 타고넘지 못하게 하는 과정을 통하여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막힘현상이 없어 늘 초기의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게한 효과가 있는 선별기이며,
또한 상기 선별바(4)는 고정용선별바(42) 외에 교환용 선별바(43)를 구비 하므로서, 복잡한 별도의 고정결합용 장치없이 용이하게 선별바(4)를 높이가 틀린 다른 선별바(4)로 교환 하게하여, 선별환경및 조건에 따라 최적의 선별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두께를 갖은 선별바(4)를, 적시에 신속히 대치할수 있게 하므로서 선별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한 효과가 있는 선별기이며,
이러한 선별기는, 특별히 선별시킬 선별물품의 대상이 생새우등과 같은 수산물 일경우
구부러져있는 형태가 다양해서 그 크기별로 분류하기에 난해한 선별물품 임에도 불구하고 생새우의 두께에 의한 선별을 하므로서 구부러져있는 형태의 정도차이와 관계없이 크기별로 선별을 해낼수 있으며 또한 선별과정에서 어체의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진동수단을 갖는 선별판(2)과, 상기 선별판(2)의 일측에 배치되어 투입된 선별물품을 상기 선별판으로 낙하시키는 공급부(3)와, 낙하한 상기 선별물품을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선별판(2) 상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다수개의 선별바(4)와, 상기 선별판(2)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선별판(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진동모터(M)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진동을 상기 선별판(2) 전체면에 동일하게 전달 시키게 하기위한 동시에, 모터베이스(9)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선별판 후레임(5)과, 상기 선별판 후레임(5) 하측에 배치되어 완충장치(10)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선별판(2)및 선별판 후레임(5)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 하기위한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과,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에 잔존 하고있는 미세진동을 흡수 하기위함과 동시에, 상기 선별판(2)과 선별판 후레임(5)과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전체의 경사를 결정하고, 결정된 경사를 고정 지지 하기위한 각도조절용 후레임(7)과,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이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선별판(2)및 후레임들(5,6,7)의 이동 편의성을 제공 하기위한 바퀴달린 다리(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선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4)는,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를 조합하여 완성한 높이조정 선별바(41)로 선별 하기에는
    선별하고저 하는 선별물품의 두께(높이)가 너무 작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 선별판(2)에 단순고정결합 시키기 위한 높이고정 선별바(40) 만을 택일적으로 배치 할수도 있으며,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를 조합하여 완성한 높이조정 선별바(41)로 선별 하기에
    선별하고저 하는 선별물품의 두께(높이)가 적절 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별판(2)에 일부는 고정결합 시키되 일부는 선별바(4) 전체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게 하기위한 높이조정 선별바(41)만을 택일적으로 배치하게할 수도 있으며, 즉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를 구비하게 하므로서 복잡한 별도의 고정결합용 장치없이 용이하게 선별바(4)를 높이가 틀린 다른 선별바(4)로 용이하게 교환 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으며
    고정용선별바(42)와 교환용선별바(43)를 조합하여 완성한 높이조정 선별바(41)로 선별 하기에
    선별하고저 하는 선별물품의 두께(높이)가 적절 하지만 너무 작은 선별물품이 일부 섞여있는 경우에는
    상기 높이고정 선별바(40)와 상기 높이조정 선별바(41)를 동시에 함께 구비하여 사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식 선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2)은,
    상기 선별판(2)의 상측인 B 방향의 넘침방지벽(20)과 상기 선별판(2)의 우측인 S' 방향의 넘침방지벽(20)이 마주치는 점을 a점 으로하고,
    이 a점과 S-S'선을 직각으로 교차하는 선을 그을때 이 교차하는 선이 상기 선별판(2)의 하측과 만나는 점을 b점이라고 할때,
    상기 a점과 b점을 기준점으로 하고, 이 a점과 b점을 힌지(70)로서 구성한 상태에서 S-S'선과 상기 선별판(2)의 하측 부분이 만나는 부근의 점을 c점 으로하여 상기 c점이 경사진 상기 선별판(2)의 최상위점이 되도록 구성 하므로서
    a점과 b점에 대하여 직각방향인 S-S' 방향이 상기 선별판(2)의 경사방향이 되는 것이며 S 쪽은 경사면의 상부가 되고, S'쪽은 경사면의 하부가 되는 경사면을 갖은채,
    진동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의 관성방향은 V-V' 방향으로 설정시키며, 상기 선별바(4)의 길이방향은 B-B' 방향으로 설정하는데,
    이때, V-V' 선과 S-S' 선의 각도는 약 45°내외이며, V-V' 선과 B-B' 선의 각도는 약 27°내외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계단식 선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용 후레임(7)은,
    a 점과 b 점에 힌지(70)를 구비하여 상기 선별판(2), 선별판후레임(5), 완충장치 셋팅용 후레임(6) 들을 S-S' 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정 할 수 있게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계단식 선별기.
KR1020040045267A 2004-06-18 2004-06-18 계단식 선별기 KR10046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67A KR100467224B1 (ko) 2004-06-18 2004-06-18 계단식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67A KR100467224B1 (ko) 2004-06-18 2004-06-18 계단식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224B1 true KR100467224B1 (ko) 2005-01-24

Family

ID=3722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267A KR100467224B1 (ko) 2004-06-18 2004-06-18 계단식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94A (ko) * 2020-06-29 2022-01-05 이창환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076U (ko) * 1977-07-16 1979-02-13
JPS59165793U (ja) * 1983-04-22 1984-11-07 日鉄溶接工業株式会社 棒状物の曲り線選別装置
JPH01258780A (ja) * 1988-04-09 1989-10-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粉粒体の乾式密度別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076U (ko) * 1977-07-16 1979-02-13
JPS59165793U (ja) * 1983-04-22 1984-11-07 日鉄溶接工業株式会社 棒状物の曲り線選別装置
JPH01258780A (ja) * 1988-04-09 1989-10-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粉粒体の乾式密度別選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194A (ko) * 2020-06-29 2022-01-05 이창환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KR102415137B1 (ko) 2020-06-29 2022-06-29 이창환 복합선별기용 도금환구 선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1533B1 (en) Multi-deck screening assembly
CA2504708C (en) Vibratory separator
US20030173257A1 (en) Hybrid screen
CN101330989B (zh) 筛分设备
US20100012556A1 (en) Rotating screen material separation system and method
EP3251759B1 (en) A multi-deck screening assembly
US4826017A (en) Vibrating screen
KR100396451B1 (ko)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
KR101341224B1 (ko)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JPH05505219A (ja) ウッド粒子用スクリーン
EP0793544B1 (en) Apparatus for sieving a particulate material
KR100652225B1 (ko) 선별기
US5904254A (en) Vibratory particle separating apparatus
KR100467224B1 (ko) 계단식 선별기
US5524767A (en) Dry fluidized bed sorting device
KR100455514B1 (ko) 선별기
CN101134196A (zh) 固定振动分流筛
JP4027142B2 (ja) 振動篩機とそれを備えた篩設備
KR200301996Y1 (ko)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
AU8421398A (en) Sorting apparatus
RU2183999C2 (ru) Грохот-концентратор
KR100716782B1 (ko) 목재칩 이송장치
KR100533943B1 (ko) 광석 선별망
SE460582B (sv) Sorteringsanordning
SU1155304A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