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036U - 판상체의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판상체의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036U
KR20220001036U KR2020210003277U KR20210003277U KR20220001036U KR 20220001036 U KR20220001036 U KR 20220001036U KR 2020210003277 U KR2020210003277 U KR 2020210003277U KR 20210003277 U KR20210003277 U KR 20210003277U KR 20220001036 U KR20220001036 U KR 20220001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destal
storage container
pap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사다카
요시타다 이시이
가즈히사 아라시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1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 B65D57/004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the articles being substantially flat panels, e.g. wooden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매의 유리판(G)을 적층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11)이며, 유리판(G)과 합지(3)를 교호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판상체 적층물(1)이 적재되는 받침대(13)와, 받침대(13)에 마련되어 받침대(13)에 적재되는 판상체 적층물(1)의 일측면이 맞닿는 스토퍼판(15)과, 받침대(13)에 마련되어 받침대(13)에 적재되는 판상체 적층물(1)의 일측면 이외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17)와, 받침대(13)에 마련되어 받침대(13)에 적재된 판상체 적층물(1)에 있어서의 스토퍼판(15)이 맞닿은 일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를 지지하는 합지 지지 부재(19)를 구비하는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상체의 수납 용기 {STORAGE CONTAINER FOR PLATE-SHAPED BODY}
본 고안은,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건축용 유리판, 자동차용 유리판, 그리고 플라스마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및 액정용 유리 기판 등의 FPD(Flat Panel Display)용 유리 기판은, 보관 중이나 반송 중에 표면에 흠집이나 오염이 생겨 제품 결함이 되기 쉽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무알칼리 유리 기판과 같이, 그 표면에 전기 회로를 내장하는 유리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약간의 흠집이나 오염이 있어도 단선이나 패터닝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 기판에는 매우 높은 표면 특성이 요구된다.
유리판의 표면의 흠집이나 오염은, 유리판을 적층하여 보관이나 반송할 때, 인접하는 유리판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김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유리판의 보관 중이나 반송 중의 흠집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되는 유리판과 유리판 사이에 합지를 개재시키고 있다.
이러한, 합지가 개재된 유리판 적층물은, 상자 또는 팔레트에 곤포되어 유리판 메이커로부터 유리판의 가공 및 조립 등을 행하는 유리판의 유저인 사용 메이커로 반송된다.
그리고 유리판은, 유리판 사용 메이커에서 상자 또는 팔레트로부터 취출 장치에 의해 1매씩 취출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취출 장치에서는, 수납 용기에 수납되어 비스듬히 배치된 유리판 적층물로부터 유리 파지부에 의해 유리판을 취출하고, 다음으로 합지 파지부에 의해 합지를 취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이 취출 동작에 있어서 합지를 취출할 때에는, 유리판 적층물의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의 상부 에지부를, 합지 파지부로 흡착이나 척킹 등에 의해 파지하여 취출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76232호 공보
그러나 유리판 적층물의 유리판의 주위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는, 그 에지 부분이 아래로 처져, 그 아래로 처진 합지를 합지 파지부가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합지 파지부는, 로봇에 의해 흡착 위치가 미리 티칭되어 있어, 그 흡착 위치를 향해 이동된다. 따라서, 합지가 아래로 처져 있기 때문에 흡착 위치에 합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합지 파지부에 의해 합지를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복수매의 판상체와 합지를 교호로 적층시킨 판상체 적층물을 양호하게 수납하면서, 판상체의 취출 시에 판상체의 주위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를 원활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판상체의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하기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복수매의 판상체를 적층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판상체와 합지를 교호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판상체 적층물이 적재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되는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일측면이 맞닿는 스토퍼판과,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되는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상기 일측면 이외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된 상기 판상체 적층물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스토퍼판이 맞닿은 일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상기 합지를 지지하는 합지 지지 부재
를 구비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본 고안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따르면, 복수매의 판상체와 합지를 교호로 적층시킨 판상체 적층물을 양호하게 수납하면서, 판상체의 취출 시에 판상체의 주위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를 원활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판상체 적층물이 수납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 및 판상체 적층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리판과 합지를 교호로 적층시킨 판상체 적층물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스토퍼판의 고정 개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의 장착 개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의 장착 개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수납 용기를 구성하는 받침대 및 합지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합지 지지 부재의 장착 개소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합지 흡착 기구에 의한 합지의 제거 공정을 설명하는 수납 용기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합지 지지 부재의 받침대에 대한 다른 착탈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의 (a)는 수납 용기의 사시도,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있어서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에 관한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누름 부재가 장착된 받침대의 타측부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의 장착 개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누름 부재를 수납 용기에 고정하는 클램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6의 (A)는 정면도, 도 16의 (B)는 홀더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누름 부재를 클램프하였을 때의 클램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클램퍼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클램퍼의 레버의 회동 허용 범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판상체 적층물이 수납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 및 판상체 적층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리판과 합지를 교호로 적층시킨 판상체 적층물의 에지부에 있어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판상체의 수납 용기(11)는 판상체 적층물(1)을 수납한다.
판상체 적층물(1)은, 복수매의 판상체를 적층시킨 적층물이다. 본 예에서는, 판상체는,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유리판(G)이며, 수납 용기(11)는 복수매의 유리판(G)을 적층 상태로 수납한다. 수납 용기(11)는, 한 변이 2800㎜를 초과하는 제10 세대 사이즈를 더욱 상회하는 제11 세대 사이즈의 유리판(G)을 수납한다. 유리판(G)의 두께는 예를 들어 0.3㎜ 이상 0.7㎜ 이하이다. 이러한 대형의 유리판(G)이 복수매 적층되어 수납되는 수납 용기(11)는, 운반 차량(예를 들어 트레일러나 트럭)의 짐받이와 평행한 상태나, 짐받이에 대해 소정의 각도 경사시킨 상태에서 운반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판(G)은, 합지(3)를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어 적층된다. 합지(3)는, 유리판(G)보다 큰 면적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합지(3)는 그 에지부가 유리판(G)의 에지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유리판(G) 사이에 개재된다.
유리판(G)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용으로 사용되는 무알칼리 유리계 재료로 이루어진다.
합지(3)는, 예를 들어 평활도 18초 이하(JIS P 8119, 1976)의 조면(粗面)을 갖는다. 합지(3)의 수지분이 유리판(G)에 전사되어 유리면에 종이 표면 모양, 버닝,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촉 면적이 작은 지질이 선택된다. 또한 합지(3)의 수지분은, 0.05질량% 이하(JIS P 8205, 1976)이다. 상술한 지면 조도와의 복합 효과에 의해 유리판(G) 자체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질이 선택된다.
도 4는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용기(11)는 주로 받침대(13)와, 스토퍼판(15)과, 누름 부재(17)와, 합지 지지 부재(19)로 구성된다. 스토퍼판(15), 누름 부재(17) 및 합지 지지 부재(19)는, 각각 받침대(13)에 마련된다.
받침대(13)는, 골조(21)와, 면판(23)을 갖고 있다. 골조(21)는, 강재를 접합시켜 프레임상으로 한 것으로,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면판(23)은, 골조(21)의 상면에 접합된 것으로,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면판(23)은, 골조(21)보다 약간 작은 외형을 갖고 있다. 면판(23)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표면에 탄성을 갖는 수지 플레이트를 접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면판(23)은, 수지 플레이트의 상면이 적재면(25)으로 되어 있어, 이 적재면(25)에 판상체 적층물(1)이 적재된다.
받침대(13)에는, 각각의 코너부에 끼워 맞춤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27)는, 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워 맞춤부(27)에는, 상방측으로부터 지주(29)가 끼워 맞추어져 장착된다. 이들 지주(29)는, 수납 용기(11)를 복수단으로 적층할 때, 상단측의 수납 용기(11)의 끼워 맞춤부(27)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복수의 수납 용기(1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중첩된다.
수납 용기(11)는, 2개의 스토퍼판(15)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2개의 스토퍼판(15)은 받침대(13)에 있어서의 일측부(13a)에 서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판(15)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받침대(13)의 골조(21)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토퍼판(15)은 받침대(13)에 대해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스토퍼판(15)에는, 절결부(15a)가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02900호 공보에 기재된 팔레트와 같이, 유리판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압박하기 위한 누름 바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유리판 적층체를 상부로부터 압박하기 위한 누름 바와 스토퍼판(15)이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절결부(15a)를 마련함으로써, 누름 바와 스토퍼판(15)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스토퍼판의 고정 개소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판(15)은, 고정판부(31)와, 완충판부(33)를 갖고 있다. 고정판부(31)는 금속 플레이트이고, 완충판부(33)는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플레이트이다. 완충판부(33)는 고정판부(31)에 있어서의 받침대(13)에의 고정측의 면의 상방측에 접합되어 있다. 스토퍼판(15)은 받침대(13)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판부(33)가 골조(21)보다 상방측에 배치된다. 스토퍼판(15)에는, 받침대(13)의 면판(23)의 적재면(25)에 적재되는 판상체 적층물(1)의 일측면이 맞닿는다. 이에 의해, 판상체 적층물(1)은, 스토퍼판(15)에 맞닿아 일측면이 위치 결정된다.
스토퍼판(15)은, 받침대(13)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완충판부(33)와 받침대(13)의 면판(23) 사이에 간극(S)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간극(S)은, 예를 들어 1㎜ 이상 10㎜ 이하로 되어 있다.
수납 용기(11)는, 5개의 누름 부재(1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누름 부재(17)는, 받침대(13)에 있어서의 스토퍼판(15)이 마련된 일측부(13a)에 인접하는 측부(13b, 13c)에 각각 2개씩, 스토퍼판(15)이 마련된 측부(13a)에 대향하는 측부(13d)에 1개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7은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의 장착 개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의 장착 개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17)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받침대(13)에의 장착측의 면에는,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완충판부(41)가 첩부되어 있다.
이 누름 부재(17)는, 그 상부 에지부가, 받침대(13)에의 장착측으로 굴곡된 굴곡부(43)로 되어 있다. 또한, 누름 부재(17)의 하단측은, 받침대(13)에의 장착측과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45)로 되어 있다. 이 고정부(45)에는, 폭 방향의 양측부 근방 부분에 걸림 결합 절결부(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45)에는,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릴리프 절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13)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17)의 장착 개소에는, 고정판(51)이 고정된다. 고정판(51)은 가늘고 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3개의 삽입 관통 구멍(53) 및 2개의 나사 구멍(55)을 갖고 있다. 이 고정판(51)은, 삽입 관통 구멍(53)에 삽입된 나사(57)를 받침대(13)에 형성된 나사 구멍(59)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받침대(13)에 고정되어 있다.
누름 부재(17)는, 2개의 클램퍼(61)에 의해 받침대(13)에 고정된 고정판(51)에 조립 장착된다. 이들 클램퍼(61)는,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핀부(63)와, 체결 핀부(63)의 단부에 대해 체결 핀부(63)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65)를 갖고 있다. 레버(65)는 체결 핀부(63)에 대한 회동의 중심이 편심되어 있다.
누름 부재(17)를 받침대(13)에 장착하려면, 먼저, 고정부(45)의 릴리프 절결부(49)에 고정판(51)의 고정용의 나사(57)를 들어가게 하면서 고정부(45)를 고정판(51)에 댄다. 다음으로, 레버(65)를 체결 핀부(63)를 따르도록 배치시킨 클램퍼(61)의 체결 핀부(63)를, 고정부(45)의 걸림 결합 절결부(47)에 통과시키고, 레버(65)가 고정부(45)에 접할 때까지 고정판(51)의 나사 구멍(55)에 비틀어 박는다. 그 후, 레버(65)를 고정부(45)를 따르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체결 핀부(63)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 체결 핀부(63)에 대해 회동 중심이 편심된 레버(65)의 회동에 수반하여 체결 핀부(63)가 인출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45)가 고정판(51)과 레버(65)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누름 부재(17)가 받침대(13)에 장착된다. 이들 누름 부재(17)를 받침대(13)에 장착함으로써, 받침대(13)의 면판(23)의 적재면(25)에 적재되는 판상체 적층물(1)의 양측면이 측부(13b) 및 측부(13c)에 마련된 누름 부재(17)에 의해 눌려 보유 지지된다.
측부(13d)에 마련된 누름 부재(17)는, 판상체 적층물(1)이 스토퍼판(15)에 맞닿아 있는 경우, 판상체 적층물(1)을 구성하는 유리판(G)과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예를 들어 수송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유리판(G)이 스토퍼판(15)과 이격된 경우, 상기 유리판(G)이 측부(13d)에 마련된 누름 부재(17)와 맞닿는다. 이에 의해, 유리판(G)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수납 용기를 구성하는 받침대 및 합지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합지 지지 부재의 장착 개소에 있어서의 수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지 지지 부재(19)는, 받침대(13)에 있어서의 스토퍼판(15)이 마련된 일측부(13a)에 대향하는 타측부(13d)에 마련되어 있고, 받침대(1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합지 지지 부재(19)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긴 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합지 지지 부재(19)는, 길이 방향으로 3개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 받침대(13)의 타측부(13d)를 따라 장착되어 1열로 배열된다. 이들 합지 지지 부재(19)는, 받침대(13)에 적재된 판상체 적층물(1)에 있어서의 스토퍼판(15)이 맞닿은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를 지지하여, 합지(3)의 아래로 처짐을 억제한다.
받침대(13)를 구성하는 골조(21)에는, 합지 지지 부재(19)의 장착 개소에, 저면부(71)와 측면부(73)를 갖는 단차부(75)가 형성되어 있고, 합지 지지 부재(19)는 골조(21)의 단차부(75)에 감입되어 장착된다. 합지 지지 부재(19)에는, 예를 들어 마그네트 시트가 첩부되어 있어, 받침대(13)의 골조(21)에 대해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된다.
합지 지지 부재(19)는, 받침대(1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골조(21)의 단차부(75)를 구성하는 저면부(71)와 반대측의 상면이, 합지(3)를 지지하는 지지면(77)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합지 지지 부재(19)는 받침대(1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면(77)의 높이가, 받침대(13)의 적재면(25) 이하로 되어 있다. 적재면(25)에 대한 지지면(77)의 높이로서는, 예를 들어 적재면(25)에 대해 같은 높이로부터 30㎜ 낮은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10㎜ 정도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수납 용기(11)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 관통 가능한 포크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포크 구멍(81)은 받침대(13)에 있어서의 스토퍼판(15)이 마련된 일측부(13a) 및 합지 지지 부재(19)가 장착되는 타측부(13d)에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 포크 구멍(81)이 마련된 받침대(13)의 일측부(13a) 및 타측부(13d)는, 포크 구멍(81) 이외의 부분이 봉쇄판(83)에 의해 봉쇄되어 강도가 확보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수납 용기(11)에 유리판(G)을 적층시켜 판상체 적층물(1)을 수납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수납 용기(11)에 판상체 적층물(1)을 수납시키려면, 수납 용기(11)의 받침대(13)의 적재면(25)에, 유리판(G)과 합지(3)를 스토퍼판(15)에 맞닿게 하면서 교호로 중첩한다. 이때, 수납 용기(11)에는, 받침대(13)의 타측부(13d)에, 미리 합지 지지 부재(19)를 장착해 둔다.
이에 의해, 수납 용기(11)에는, 받침대(13)의 적재면(25)에, 복수의 유리판(G)이 합지(3)를 개재하여 적층된 판상체 적층물(1)이 스토퍼판(15)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적재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받침대(13)의 적재면(25) 상의 판상체 적층물(1)은, 스토퍼판(15)이 맞닿은 일측면과 반대측의 타측면에 있어서 유리판(G)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가 합지 지지 부재(19)의 지지면(77)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유리판(G)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의 아래로 처짐이 억제된다(도 10 참조).
다음으로, 수납 용기(11)의 받침대(13)의 양측부(13b, 13c)에 누름 부재(17)를 장착시킨다. 그러면, 판상체 적층물(1)은 그 양측면이 누름 부재(17)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수납 용기(11)로부터 유리판(G)을 취출하려면, 예를 들어 스토퍼판(15)측을 하방으로 하여 수납 용기(11)를 기울인 상태에 있어서, 언패커 장치의 유리 흡착 기구 및 합지 흡착 기구에 의해 유리판(G)과 합지(3)를 교호로 취출한다.
여기서, 합지(3)를 취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합지 흡착 기구에 의한 합지의 제거 공정을 설명하는 수납 용기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지 흡착 기구는, 흡착 헤드(101)를 구비하고 있다. 흡착 헤드(101)는, 합지(3)를 흡착하는 흡착 패드(103)를 갖고 있으며, 로봇 등의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된다. 합지 흡착 기구에서는, 이동 기구에 의해 미리 티칭된 흡착 위치로 흡착 헤드(101)가 이동된다. 그리고 합지(3)에 있어서의 판상체 적층물(1)의 유리판(G)의 외주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을 흡착 패드(103)에 흡착하여 제거한다.
이때, 수납 용기(11)에서는, 합지 지지 부재(19)에 의해 합지(3)가 지지되어 아래로 처짐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흡착 위치에 흡착 헤드(101)가 배치되었을 때, 흡착 패드(103)에 의해 원활하게 합지(3)를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 용기(11)에 의하면, 받침대(13)에 적재된 판상체 적층물(1)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가 합지 지지 부재(19)에 의해 지지되므로, 판상체 적층물(1)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의 아래로 처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용기(11)로부터 유리판(G)과 합지(3)를 교호로 취출할 때, 취출 장치의 흡착 패드(103)나 파지 기구에 의해 합지(3)의 에지부를 원활하게 흡착 또는 파지하여 취출할 수 있다.
또한, 합지 지지 부재(19)가 받침대(1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합지 지지 부재(19)를 필요에 따라서 받침대(13)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유리판(G)을 취출할 때에 판상체 적층물(1)의 측면을 옆에서 눌러 합지(3)를 보유 지지하는 취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지 지지 부재(19)를 받침대(13)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 취출 장치에 대해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즉, 다른 방식의 취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게다가, 합지 지지 부재(19)가 자력에 의해 받침대(13)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받침대(13)에 대해 합지 지지 부재(19)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면 파스너 등을 사용하여 착탈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진애가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하는 유리판(G)이 대형인 경우에는, 받침대(13)의 한 변이 길어지므로, 합지 지지 부재(19)를 배치시키는 받침대(13)의 한 변의 길이도 길어지지만, 합지 지지 부재(19)가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합지 지지 부재(19)는 받침대(1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합지(3)를 지지하는 지지면(77)의 높이가, 받침대(13)에 판상체 적층물(1)이 적재되는 적재면(25) 이하이므로, 받침대(13)의 적재면(25)에 적재시킨 유리판(G)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합지 지지 부재(19)는, 받침대(13)에 대해 스토퍼판(15)과의 대향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스토퍼판(15)측을 하방으로 하여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스토퍼판(15)으로 일측면이 위치 결정된 판상체 적층물(1)의 타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3)를 양호하게 지지하여, 취출 장치에 의한 합지(3)의 취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판(15)과 받침대(13)의 면판(23) 사이에 간극(S)이 마련되므로, 면판(23)과 스토퍼판(15)의 구석으로 들어간 진애나 유리 컬릿이 간극(S)에 쌓이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판(15)에 맞닿는 판상체 적층물(1)에 면판(23)과 스토퍼판(15)의 구석부의 진애나 유리 컬릿이 부착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면판(23)과 스토퍼판(15)의 구석부를 빈번하게 청소하는 등의 번잡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합지 지지 부재(19)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합지 지지 부재(19)로서는, 스테인리스 등의 다른 금속 재료나 합성 수지로부터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합성 수지로부터 성형된 합지 지지 부재(19)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경량화에 의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어 취출 장치에서 합지(3)를 취출하기 위해 합지(3)를 통해 취출 장치가 합지 지지 부재(19)에 압박 접촉되었을 때에 합지 지지 부재(19)가 쿠션이 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합지(3)를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합지 지지 부재(19)가 자력에 의해 받침대(13)에 고정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합지 지지 부재(19)는 다른 착탈 수단에 의해 받침대(13)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다른 착탈 수단으로서는, 합지 지지 부재(19)와 골조(21)에 면 파스너를 첩부하고, 이 면 파스너에 의해 합지 지지 부재(19)를 받침대(13)의 골조(21)에 장착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받침대(13)에 합지 지지 부재(19)를 걸림 고정시켜 장착시키는 구조로 해도 된다.
도 12는 합지 지지 부재의 받침대에 대한 다른 착탈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의 (a)는 수납 용기의 사시도,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있어서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지 지지 부재(19A)는, 선단에 대경부(85)를 갖는 걸림 고정 핀(87)을 구비하고 있다. 걸림 고정 핀(87)은, 지지면(77)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13)의 골조(21)의 단차부(75)에는, 저면부(71)에 걸림 고정 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고정 구멍(91)은, 삽입 관통부(93)와, 삽입 관통부(93)에 연통되는 연통부(95)를 갖고 있다. 삽입 관통부(93)는, 대경부(85)가 통과 가능한 크기의 구멍부로 되어 있다. 연통부(95)는, 걸림 고정 핀(87)의 외경보다 넓으면서 대경부(85)의 외경보다 좁은 폭을 갖는 개구로 이루어지고, 단차부(75)의 측면부(73)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연통부(95)는 삽입 관통부(93)와 반대측에서 측면부(73)측으로 굴곡된 굴곡부(95a)를 갖고 있다.
이 합지 지지 부재(19A)를 받침대(13)에 장착하려면, 걸림 고정 구멍(91)의 삽입 관통부(93)에 합지 지지 부재(19A)의 걸림 고정 핀(87)을 삽입하고, 이어서 걸림 고정 구멍(91)의 연통부(95)의 연장 방향으로 합지 지지 부재(19A)를 이동시켜, 걸림 고정 핀(87)을 굴곡부(95a)로 들어가게 한다. 그러면, 합지 지지 부재(19A)는, 걸림 고정 핀(87)의 대경부(85)가 걸림 고정 구멍(91)에 걸림 고정되어, 받침대(13)에 장착된다. 또한, 합지 지지 부재(19A)를 받침대(13)로부터 분리하려면, 걸림 고정 핀(87)이 삽입 관통부(93)에 연통되는 위치로 합지 지지 부재(19A)를 이동시키고, 이어서 합지 지지 부재(19A)를 인상하여 걸림 고정 핀(87)을 걸림 고정 구멍(91)의 삽입 관통부(93)로부터 빼낸다. 이와 같이, 걸림 고정 핀(87)을 갖는 합지 지지 부재(19A)는, 걸림 고정 구멍(91)을 갖는 받침대(13)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변형예에 관한 수납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는, 받침대(13)에 있어서의 양측부(13b, 13c)에 보강 부재(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보강 부재(14)는,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이 받침대(13)의 끼워 맞춤부(2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용기(11)는 보강 부재(14)를 구비함으로써, 평면으로 보아, 돌출 부분이 없는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받침대(13)에 보강 부재(14)를 구비한 수납 용기(11)에 의하면, 보강 부재(14)에 의해 받침대(13)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평면으로 보아, 돌출 부분이 없는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특히 운반 시나 보관 시 등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용기(11)에 있어서, 합지 지지 부재(19)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 받침대(13)의 타측부(13d)에 누름 부재(17A)를 장착 해도 된다. 이 누름 부재(17A)에는, 하단부를 받침대(13)에의 장착측과 반대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고정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13)에는, 단차부(75)에 있어서의 저면부(71)에 고정판(51)이 고정되어 있다.
누름 부재(17A)를 받침대(13)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먼저, 고정부(45)의 릴리프 절결부(49)에 고정판(51)의 고정용의 나사(57)를 들어가게 하면서 고정부(45)를 고정판(51)에 댄다. 다음으로, 레버(65)를 체결 핀부(63)를 따르도록 배치시킨 클램퍼(61)의 체결 핀부(63)를, 고정부(45)의 걸림 결합 절결부(47)에 통과시키고, 레버(65)가 고정부(45)에 접할 때까지 고정판(51)의 나사 구멍(55)에 비틀어 박는다. 그 후, 레버(65)를 고정부(45)를 따르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레버(65)의 회동에 수반하여 체결 핀부(63)가 인출되어 고정부(45)가 고정판(51)과 레버(65)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이에 의해 누름 부재(17A)가 받침대(13)에 장착된다. 이 누름 부재(17A)를 받침대(13)에 장착함으로써, 받침대(13)의 면판(23)의 적재면(25)에 적재되는 판상체 적층물(1)의 타측면이 누름 부재(17A)에 의해 눌려 보유 지지된다.
다음으로, 누름 부재(17)의 다른 고정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의 장착 개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누름 부재를 수납 용기에 고정하는 클램퍼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6의 (A)는 정면도, 도 16의 (B)는 홀더의 일부를 생략한 측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17)는, 2개의 클램퍼(111)에 의해 받침대(13)에 고정된 고정판(51)에 조립 장착된다. 또한, 이 클램퍼(111)에 의해 조립 장착되는 누름 부재(17)에는, 그 고정부(45)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절결부(47)의 형성 개소에, 클램퍼(111)의 일부가 끼워 맞추어져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 오목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퍼(111)는,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핀부(113)와, 체결 핀부(113)의 단부에 대해 체결 핀부(113)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버(115)를 갖고 있다.
레버(115)는, 측면으로 보아 원 형상의 원호부(117)와, 원호부(117)의 외주의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파지부(119)를 갖고 있다.
원호부(117)는, 간극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원호판부(121)를 갖고 있고, 이 간극에 체결 핀부(113)가 관통되어 있다. 원호부(117)의 원호판부(121)에는, 연결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구멍(123)은, 원호부(117)의 중심축 O1에 대해 편심된 중심축 O2를 갖고 있다. 이 연결 구멍(123)에는 축부(125)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 축부(125)에 체결 핀부(113)의 단부가 고정되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115)의 원호부(117)에는 홀더(13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홀더(131)는,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131)는, 저판부(133)와, 이 저판부(133)의 양 측연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부(135)를 갖고 있다. 저판부(133) 및 측판부(135)에는, 각각 삽입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133)의 삽입 관통 구멍에는 체결 핀부(113)가 삽입 관통되고, 측판부(135)의 삽입 관통 구멍에는 축부(125)의 단부가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축부(125)에는, 측판부(135)의 외측으로부터 E링(137)이 장착되어, 측판부(135)의 삽입 관통 구멍에 대해 축부(125)가 빠짐 방지되어 있다.
체결 핀부(113)에는, 스러스트 와셔(141)와, 복수의 접시 스프링(143)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스러스트 와셔(141) 및 복수의 접시 스프링(143)은, 레버(115)의 원호부(117)와 홀더(131)의 저판부(133)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홀더(131)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스러스트 와셔(141)는, 측면으로 보아 원호상의 오목부(141a)를 갖고 있고, 이 오목부(141a)에 레버(115)의 원호부(117)의 일부가 배치된다. 복수의 접시 스프링(143)은, 스러스트 와셔(141)와 홀더(131)의 저판부(133) 사이에서 서로 중첩되어 있다. 접시 스프링(143)은, 그 외주 부분이 축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6매의 접시 스프링(143)을 구비하고 있고, 3매마다 외주 부분의 돌출 방향이 서로 이격되는 역방향을 향해 있다.
클램퍼(111)에 의해 누름 부재(17)를 받침대(13)에 장착하려면, 레버(115)를 세워 체결 핀부(113)에 대해 각도를 갖게 하고, 고정판(51)에 댄 고정부(45)의 걸림 결합 절결부(47)에 통과시켜 고정판(51)의 나사 구멍(55)에 체결 핀부(113)를 비틀어 박아 체결한다. 이때, 클램퍼(111)는, 그 일부가 누름 부재(17)의 고정부(45)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47a)에 끼워 맞추어진다. 따라서, 누름 부재(17)를 클램퍼(111)에 의해 위치 결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115)를 고정부(45)를 따르는 클램프측으로 요동시켜 쓰러뜨린다. 그러면, 레버(115)의 원호부(117)의 중심축 O1에 대해 편심된 중심축 O2를 갖는 축부(125)가 체결측과 반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체결 핀부(113)가 인출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45)가 고정판(51)과 클램퍼(111)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누름 부재(17)가 받침대(13)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시 스프링(143)이 압축되어, 각 접시 스프링(143)의 축 방향으로 튀어 나온 외주 부분이 탄성 변형된다. 이때, 홀더(131)는,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판부(135)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축부(125)가 체결측과 반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홀더(131)가 원활하게 탄성 변형되어 추종한다.
그런데 클램퍼(111)에 의해 누름 부재(17)를 받침대(13)에 조립 장착하였을 때, 한 쌍의 클램퍼(111)의 레버(115)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레버(115)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있다(도 15 참조).
여기서, 접시 스프링(143)이 없는 타입의 클램퍼(예를 들어, 클램퍼(61))이면, 체결하였을 때에 레버(65)의 위치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한 쌍의 클램퍼(61)의 레버(65)가 서로 내측을 향해 간섭하거나, 받침대(13)의 하방측을 향해 지면이나 다른 부재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레버(65)를 돌려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하면 되지만, 레버(65)를 돌림으로써 체결력이 낮아져 버린다.
이에 비해, 접시 스프링(143)을 구비한 클램퍼(111)는, 체결 시에 접시 스프링(143)을 압축시켜 탄성 변형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클램퍼(111)에서는, 압축되어 탄성 변형된 접시 스프링(143)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한 상태라면, 레버(115)를 회동시켜도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접시 스프링(143)을 갖는 클램퍼(111)에 의하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레버(115)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회동 허용 각도 α를 얻을 수 있다.
즉, 접시 스프링(143)을 갖는 클램퍼(111)에 의하면,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회동 허용 각도 α의 범위에서 레버(115)를 회동시켜, 서로의 레버(115)의 방향이 반대 방향이 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레버(115)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회동 허용 각도 α는, 각각의 접시 스프링(143)의 휨양, 접시 스프링(143)의 매수 혹은 접시 스프링(143)의 방향 등에 의해 탄성 변형량을 변경하여,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램퍼(111)에서는 접시 스프링(143)을 구비하였지만, 클램프 시에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가압 부재로서는, 접시 스프링(143)에 한정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 등이어도 된다. 또한, 클램퍼(111)는 레버식에 한정되지 않고, 래칫식이나 나비 나사식 등의 다른 체결 방식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고안은, LCD, OLED, FPD 이외의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광학 소자용 유리 기판, 유리 디스크, 태양 전지 등의 판상체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하는 판상체로서는 유리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 세라믹 또는 수지로부터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것이나, 명세서의 기재, 그리고 주지의 기술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변경, 응용하는 것도 본 고안이 예정하는 바이며, 보호를 구하는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는 다음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1) 복수매의 판상체를 적층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판상체와 합지를 교호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판상체 적층물이 적재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되는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일측면이 맞닿는 스토퍼판과,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되는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상기 일측면 이외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된 상기 판상체 적층물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스토퍼판이 맞닿은 일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상기 합지를 지지하는 합지 지지 부재
를 구비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1)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받침대에 적재된 판상체 적층물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가 합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판상체 적층물의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용기로부터 판상체와 합지를 교호로 취출할 때, 취출 장치의 흡착 패드나 파지 기구에 의해 합지의 에지부를 원활하게 흡착 또는 파지하여 취출할 수 있다.
(2)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대해 착탈 가능한, (1)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2)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합지 지지 부재를 필요에 따라서 받침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판상체를 취출할 때에 판상체 적층물의 측면을 옆으로부터 눌러 합지를 보유 지지하는 취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지 지지 부재를 받침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 취출 장치에 대해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즉, 다른 방식의 취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3)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2)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3)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합지 지지 부재가 자력에 의해 받침대에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받침대에 대해 합지 지지 부재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면 파스너 등을 사용하여 착탈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진애가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4)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4)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특히 수납하는 판상체가 대형인 경우에는, 받침대의 한 변이 길어지므로, 합지 지지 부재를 분할함으로써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5)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수지로부터 성형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5)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합지 지지 부재가 수지로부터 성형되어 있으므로, 경량화에 의해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이 우수하므로, 예를 들어 취출 장치에서 합지를 취출하기 위해 합지를 개재하여 취출 장치가 합지 지지 부재에 압박 접촉되었을 때에 합지 지지 부재가 쿠션이 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합지를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다.
(6)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합지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높이가, 상기 받침대에 상기 판상체 적층물이 적재되는 적재면 이하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6)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받침대에 합지 지지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합지 지지 부재의 지지면의 높이가 받침대의 적재면 이하이므로, 받침대의 적재면에 적재시킨 판상체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7)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스토퍼판과의 대향측에 장착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7)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합지 지지 부재가 받침대에 대해, 스토퍼판과의 대향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스토퍼판측을 하방으로 하여 기울여 설치함으로써, 스토퍼판으로 일측면이 위치 결정된 판상체 적층물의 타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합지를 양호하게 지지하여, 취출 장치에 의한 합지의 취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8) 상기 받침대는, 골조와, 상기 골조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적재측에 배치된 면판을 갖고,
상기 스토퍼판은, 상기 받침대에 있어서의 상기 골조에 고정되고, 상기 면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8)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스토퍼판과 받침대의 면판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므로, 면판과 스토퍼판의 구석으로 들어간 진애가 간극에 쌓이게 된다. 예를 들어, 판상체가 유리판인 경우는, 유리 컬릿을 스토퍼판과 면판 사이의 간극에 쌓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판에 맞닿는 판상체 적층물에 면판과 스토퍼판의 구석부의 진애나 유리 컬릿이 부착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면판과 스토퍼판의 구석부를 빈번하게 청소하는 등의 번잡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9)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측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 가능한 체결구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 변형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9)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누름 부재를 끼워 체결구를 받침대측에 체결하면, 체결구에 마련된 가압 부재가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압축되어 탄성 변형된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력이 발생한 상태라면, 체결구를 회동시켜도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가압 부재를 갖는 체결구에 의하면,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회동 허용 각도를 얻을 수 있다. 즉,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하면서 회동 허용 각도의 범위에서 체결구를 회동시켜 임의의 방향이 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측의 나사 구멍으로 비틀어 박기 위한 레버 등의 파지부를 구비한 체결구이면, 충분한 체결력을 유지시키면서 파지부를 회동시켜, 다른 체결구의 파지부나 주위의 구조물 등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10) 상기 체결구는,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핀부와,
상기 체결 핀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체결 핀부에 대해 교차하는 클램프측으로 요동시켜 쓰러뜨림으로써 상기 체결 핀부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받침대에의 체결력을 증가시키는 레버
를 구비하는, (9)에 기재된 판상체의 수납 용기.
상기 (10)의 판상체의 수납 용기에 의하면, 레버를 클램프측으로 쓰러뜨려 누름 부재를 받침대측에 체결시키면, 가압 부재가 압축되어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가압 부재가 압축되어 탄성 변형된 상태라면, 클램프측으로 쓰러뜨린 레버를 회동시켜 레버의 방향을 조정하여, 다른 체결구의 레버나 주위의 구조물 등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2020년 11월 2일에 출원된 일본 실용신안 출원 제2020-004738호, 및 2020년 12월 2일에 출원된 일본 실용신안 출원 제2020-005208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 판상체 적층물
3: 합지
11: 수납 용기
13: 받침대
15: 스토퍼판
17: 누름 부재
19: 합지 지지 부재
21: 골조
23: 면판
25: 적재면
77: 지지면
111: 클램퍼(체결구)
113: 체결 핀부
115: 레버
143: 접시 스프링(가압 부재)
G: 유리판(판상체)
S: 간극

Claims (10)

  1. 복수매의 판상체를 적층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이며,
    상기 판상체와 합지를 교호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판상체 적층물이 적재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되는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일측면이 맞닿는 스토퍼판과,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되는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상기 일측면 이외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와,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대에 적재된 상기 판상체 적층물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스토퍼판이 맞닿은 일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상기 합지를 지지하는 합지 지지 부재
    를 구비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대해 착탈 가능한,
    판상체의 수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수지로부터 성형되어 있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합지를 지지하는 지지면의 높이가, 상기 받침대에 상기 판상체 적층물이 적재되는 적재면 이하인,
    판상체의 수납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 지지 부재는,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스토퍼판과의 대향측에 장착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골조와, 상기 골조에 있어서의 상기 판상체 적층물의 적재측에 배치된 면판을 갖고,
    상기 스토퍼판은, 상기 받침대에 있어서의 상기 골조에 고정되고, 상기 면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측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 가능한 체결구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받침대를 향하는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 탄성 변형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핀부와,
    상기 체결 핀부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체결 핀부에 대해 교차하는 클램프측으로 요동시켜 쓰러뜨림으로써 상기 체결 핀부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받침대에의 체결력을 증가시키는 레버
    를 구비하는,
    판상체의 수납 용기.
KR2020210003277U 2020-11-02 2021-10-28 판상체의 수납 용기 KR20220001036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04738 2020-11-02
JPJP-U-2020-004738 2020-11-02
JP2020005208U JP3230722U (ja) 2020-11-02 2020-12-02 板状体の収納容器
JPJP-U-2020-005208 2020-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36U true KR20220001036U (ko) 2022-05-10

Family

ID=7456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277U KR20220001036U (ko) 2020-11-02 2021-10-28 판상체의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0722U (ko)
KR (1) KR20220001036U (ko)
CN (1) CN216637253U (ko)
TW (1) TWM62408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232A (ja) 2004-12-21 2006-07-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合紙把持装置、及び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6232A (ja) 2004-12-21 2006-07-0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合紙把持装置、及び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637253U (zh) 2022-05-31
TWM624088U (zh) 2022-03-01
JP3230722U (ja)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639B1 (ko) 판 형상체의 수납 용기 및 수납체 및 판 형상체의 적재 장치 및 운반 차량
KR101762103B1 (ko) 판 형상체의 적재 장치 및 판 형상체의 적재 방법
JP2006264786A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WO2012115109A1 (ja) ガラス板積層体及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KR20190002483U (ko) 곤포체 및 곤포 용기
WO2011108315A1 (ja) 板状体積層体
JP2006168748A (ja) ガラス搬送用枠体
TWI335293B (ko)
KR101036907B1 (ko) 통합형 로봇 핸드와 그 사용방법
JP5630599B2 (ja) 板状体積層体
WO2011132646A1 (ja) ガラス板積層体、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KR20220001036U (ko) 판상체의 수납 용기
CN111037596A (zh) 取纸机器臂、取纸机器人及其运纸方法
TWM434761U (en) Plate-like body container
KR101548698B1 (ko) 유리판 이송 팔레트
JP2014198608A (ja) ガラス板梱包体のアダプタ
KR101480524B1 (ko) 액정패널 흡착용 지그장치
KR20130035361A (ko) 기판 이송장치
KR101047489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0962687B1 (ko) 표시패널 제조를 위한 패널 로딩장치 및 패널 로딩방법
JPWO2007029388A1 (ja) 板状体搬送具
KR101571744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JP2010111424A (ja) ガラス板梱包体
JP6264533B2 (ja) 板状体梱包用パレット
CN220596964U (zh) 一种叉车防倾倒防护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