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73U - 붙박이장 - Google Patents

붙박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73U
KR20220000473U KR2020200003024U KR20200003024U KR20220000473U KR 20220000473 U KR20220000473 U KR 20220000473U KR 2020200003024 U KR2020200003024 U KR 2020200003024U KR 20200003024 U KR20200003024 U KR 20200003024U KR 20220000473 U KR20220000473 U KR 202200004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unit
coupled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081Y1 (ko
Inventor
김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to KR2020200003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8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이 구비된 선반이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도어의 개폐시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붙박이장에 관한 것으로,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본체부; 본체부 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프레임부; 본체부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힌지부와 연결되어,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2개의 도어부; 본체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반부; 선반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명부; 및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붙박이장 {A Built-In Cabinet}
본 고안은 붙박이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이 구비된 선반이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도어의 개폐시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붙박이장은 실내의 벽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구로, 다수의 수납공간이 구획되도록 여러 개의 구조물들이 연속 연결되어 시공된다.
이에 따라 붙박이장은 조립하는 과정에서 실내 측벽의 폭에 맞게,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폭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6385호(2001.08.31 등록)는 붙박이장 개량 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전면 개폐문과 측판, 뒷판으로 조립되는 다수개의 수납장을 연접한 붙박이장을 구성함에 있어서, 요입부가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전면기둥을 일정 간격으로 입설하여 이의 양측면에 각 수납장의 개폐문을 힌지로서 부착하고, 요입부에는 각 수납장을 구획하는 격판을 끼워 붙여 그 후 측면에 연접되는 수납장의 뒷판을 동시에 절반씩 부착시켜 이에 연결판을 연결되게 볼트로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8110호(2004.07.27 등록)는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측벽과 후방벽, 바닥판, 상판으로 이루어진 내부에 선반이 다수개 구비되고 전면이 도어로 개폐되는 장식장에 있어서, 상판은 하부에 조명안착공과 센서안착공이 천공되어 형성되는 상부바닥판이 구비되어 결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의 내부에 상부바닥판의 조명안착공에 조명이 안착되고, 센서안착공에 센서가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면 센서에 의해 조명이 자동으로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붙박이장은, 도어를 세게 열고 닫을 시, 충격에 의해 도어가 손상되거나, 도어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의해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은, 조명이 수납가구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조명이 설치된 상판 바로 아래는 밝게 조명이 가능하지만, 수납가구 내부에 다수의 선반이 설치되는 경우에, 각 선반의 하부까지 밝게 조명하기 어려워 조명이 있더라도 수납가구가 설치된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 선반하부의 물건을 쉽고 확인하고 꺼내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638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8110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이 구비된 선반이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도어의 개폐시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붙박이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프레임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2개의 도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붙박이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부는, 2개의 수평프레임; 2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결합시켜주기 위한 4개의 결합 가이드;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홈;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유리창; 상기 유리창과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 상기 유리창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스켓;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캡은, 하단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부 일측에서 기 설정된 각도로 비스듬하게 상향 절곡되어, 상기 결합 가이드에 결합되는 결합돌기; 상기 결합돌기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유리창과 상기 가스켓을 삽입하기 위한 제1삽입홈; 및 상기 제1삽입홈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에 삽입 고정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 프레임부는,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 상기 본체부의 후부 측면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 일측면에 절개홈이 구비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전방에 이격 형성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부가 구비되는 제3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4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선반부 측면과 결합되는 제5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2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레일; 상기 제5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레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재; 상기 제5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단자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재; 및 상기 선반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단자부재와 접속되며,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단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자성체; 상기 본체부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자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자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석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반부의 하부에 조명부가 구비됨으로써, 각 선반부의 하부에 설치된 조명부가 본체부 내부를 밝히기 때문에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도 수납된 물건을 쉽게 확인하고 꺼낼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 프레임부에 구비된 단자부재와 선반부에 구비된 단자부재의 접속을 통해 조명부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으로써 선반부의 신속하고 간편하며 자유로운 탈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배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미감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감속 기능을 가지는 힌지부를 사용하여 도어부를 회동시킴으로써, 도어가 급속히 닫히게 되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 파손 또는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부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안전캡으로 마감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석을 사용하여 도어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붙박이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어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어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도어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안전캡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결합프레임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결합프레임부가 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선반부, 조명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붙박이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붙박이장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붙박이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붙박이장은, 본체부(100), 결합 프레임부(200), 힌지부(300), 도어부(400), 선반부(500), 조명부(600),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후술할 결합 프레임부(20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목재 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상판(101), 하판(102), 측판(103), 후판(10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일 좌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0)는, 상판(101), 상판(10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판(102), 상판(101)의 좌측과 하판(102)의 좌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측판(103), 상판(101)의 후측과 하판(102)의 후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후판(104)으로 구성되며, 상판(101)의 우측과 하판(102)의 우측에는 결합 프레임부(200)가 결합된다.
제일 우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0)는, 상판(101), 상판(10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판(102), 상판(101)의 우측과 하판(102)의 우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측판(103), 상판(101)의 후측과 하판(102)의 후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후판(104)으로 구성되며, 상판(101)의 좌측과 하판(102)의 좌측에는 결합 프레임부(200)가 결합된다.
중앙에 설치되는 본체부(100)는, 상판(101), 상판(10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판(102), 상판(101)의 후측과 하판(102)의 후측 사이에 연결 형성되는 후판(104)으로 구성되며, 상판(101)의 좌측과 하판(102)의 좌측 및 상판(101)의 우측과 하판(102)의 우측은 결합 프레임부(200)에 각각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부(200)는, 복수개의 본체부(100) 사이에 결합되어, 본체부(100) 간을 서로 결합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부(200)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재(예를 들어, 알루미늄 압출재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300)는, 본체부(10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며, 도어부(400)와 연결되어 도어부(400)를 회동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부(300)는,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감속 기능을 가지는 힌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체부(100)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 아암; 도어부(400)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연결 부재들을 구비하는 관절 시스템에 의해 힌지 아암에 연결되는 박스; 힌지의 폐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부(300)는, 본체부(100)의 전면 양측 상단 및 본체부(100)의 전면 양측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부(300)는, 일측이 본체부(10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도어부(400)의 힌지홈(4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부(400)는,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2개의 문으로, 본체부(10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300)와 각각 연결되어, 본체부(100)의 전면을 개폐시켜준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부(400)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선반부(500)는, 목재 또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선반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600)는, 선반부(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킨다.
전원공급부는, 조명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부(6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붙박이장은, 선반부(500)의 하부에 조명부(600)가 구비됨으로써, 각 선반부(500)의 하부에 설치된 조명부(600)가 본체부(100) 내부를 밝히기 때문에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도 수납된 물건을 쉽게 확인하고 꺼낼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감속 기능을 가지는 힌지부(300)를 사용하여 도어부(400)를 회동시킴으로써, 도어부(400)가 급속히 닫히게 되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소음, 파손 또는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어부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어부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도어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어부(400)는, 수평프레임(410), 수직프레임(420), 결합 가이드(430), 힌지홈(440), 유리창(450), 가스켓(460), 손잡이(470), 안전캡(480)을 포함한다.
수평프레임(410)은, 2개로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 가이드(430)의 수평으로 된 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평프레임(410)은, 합판, 합성수지, 금속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수직프레임(420)은, 2개로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 가이드(430)의 수직으로 된 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프레임(420)은, 수평프레임(4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가이드(430)는, 총 4개로 이루어지며, 2개의 수평프레임(410)과 2개의 수직프레임(42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가이드(43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부분에 수평프레임(410)이 결합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에 수직프레임(420)이 결합될 수 있다.
힌지홈(440)은, 수평프레임(410) 또는 수직프레임(420)에 형성되어, 힌지부(300)를 삽입하여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홈(440)은, 수평프레임(410) 또는 수직프레임(42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부(3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창(450)은, 수평프레임(410)과 수직프레임(420)의 내측에 결합된다.
가스켓(460)은, 유리창(450)과 수평프레임(410) 사이 및 유리창(450)과 수직프레임(4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유리창(450)을 고정시켜준다.
손잡이(470)는, 수직프레임(4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470)는, 수직프레임(42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프레임(42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470)는, 2개의 수직프레임(42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
안전캡(480)은, 수평프레임(410)의 일단과 수직프레임(4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모서리 부분을 마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안전캡(480)은,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충돌 시 긁히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전캡(480)은, 필요에 따라 수평프레임(410)의 일단과 수직프레임(420)의 상단 사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붙박이장은, 도어부(400)의 모서리 부분을 안전캡(480)으로 마감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안전캡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캡(480)은, 바디(481), 결합돌기(482), 제1삽입홈(483), 제2삽입홈(484)을 포함한다.
바디(481)는, 하단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수평프레임(410)의 일단과 수직프레임(4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바디(481)는, 외부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돌기(482)는, 바디(481)의 상부 일측에서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30 ~ 50°)로 비스듬하게 상향 절곡되어, 결합 가이드(430)에 결합된다.
제1삽입홈(483)은, 결합돌기(482)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바디(481)의 상부에 형성되어, 유리창(450)과 가스켓(460)을 삽입한다.
제2삽입홈(484)은, 제1삽입홈(483)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바디(481)의 상부에 형성되어, 손잡이(470)에 삽입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삽입홈(484)은, 손잡이(47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안전캡(480)은, 도어부(400)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돌기(482), 제1삽입홈(483), 제2삽입홈(484)의 구성에 의해 결합력이 견고해져 외력 또는 노후화에 의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도 6은 도 1에 있는 결합프레임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있는 결합프레임부가 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결합 프레임부(200)는,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제3프레임(230), 제4프레임(240), 제5프레임(25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210)은,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211)이 각각 구비되며, 결합홈(211)에 본체부(100)의 후부 측면이 결합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홈(211)은, 후판(104) 측면을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일측면에 절개홈(221)이 구비되며, 제1프레임(210)의 전방에 이격 형성된다.
제3프레임(230)은, 제1프레임(210)의 상단과 제2프레임(220)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제2프레임(22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부(231)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프레임(230)은, 상판(101)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판(101)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부재(2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4프레임(240)은, 제1프레임(210)의 하단과 제2프레임(2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하부 측면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프레임(240)은, 하판(102)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5프레임(250)은, 선반부(5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높이의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 사이에 형성되며, 측면이 선반부(500)의 측면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5프레임(250)은, 측면에 형성되어 선반부(500)를 지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반 지지부재(2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붙박이장은, 결합 프레임부(200)에 구비된 단자와 선반부(500)에 구비된 단자의 접속을 통해 조명부(6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선반부(500)의 신속하고 간편하며 자유로운 탈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선반부, 조명부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반부(500)는, 선반(501), 제1결합홈(502), 제2결합홈(503)을 포함하며, 조명부(600)는, 조명레일(610), 발광모듈(620), 커버(630)를 포함한다.
선반(50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1결합홈(502)은, 조명부(600)가 매립 설치되도록 선반(501)의 저면에 형성되며,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가로 세로 양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503)은, 제1결합홈(502)에 설치되는 조명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의 제3단자부재(740)가 설치되도록 선반(501)의 측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결합홈(503)은, 내측이 제1결합홈(502)의 내측과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조명레일(610)은, 선반부(500) 하부에 설치되되, 선반부(500) 하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502)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레일(61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레일(610)은, 발광모듈(620)의 점등 시 발광모듈(402)의 빛이 균일하게 하방으로 조명될 수 있도록 내면에 반사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발광모듈(620)은, 조명레일(610)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생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모듈(620)은, 다수의 발광수단,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가지 색상 이상의 LED가 구동 전원의 공급을 위해 소정 형태로 회로라인이 형성된 PCB에 다수 배열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모듈(620)은, 일단이 제2결합홈(503)에 설치되는 제3단자부재(740)와 전기적 배선 연결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커버(630)는, 조명레일(610) 하부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도록 양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조명레일(610)의 양측 내면에는 걸림돌부에 대응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630)는 발광모듈(62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비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는, 접속레일(710), 제1단자부재(720), 제2단자부재(730), 제3단자부재(740)를 포함한다.
접속레일(710)은, 제2프레임(22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접속레일(7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2프레임(2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단자부재(7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프레임(250)의 일단에 설치되어, 접속레일(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접속레일(710)은 제2프레임(220) 내부에 설치되므로, 제1단자부재(720)는 제2프레임(220)에 형성된 절개홈(221)으로 투입되어 접속레일(710)과 접속되도록 제5프레임(250)의 선단부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5프레임(250)의 설치 높이(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레일(710)과 제1단자부재(720)의 전기적 접속은 가능케 된다.
제2단자부재(730)는, 제5프레임(250)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1단자부재(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단자부재(740)는, 선반부(5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2단자부재(730)와 접속되며, 조명부(6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단자부재(740)는, 선반부(500)의 제2결합홈(503)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부(500)가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2단자부재(730)와 접속되면 조명부(60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선반부(500)가 어느 높이(위치)에 장착되더라도 조명부(600)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붙박이장은, 조명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배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붙박이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붙박이장은, 본체부(100), 결합 프레임부(200), 힌지부(300), 도어부(400), 선반부(500), 조명부(600), 전원공급부, 자성체(800), 전자석(900), 전자석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결합 프레임부(200), 힌지부(300), 도어부(400), 선반부(500), 조명부(600), 전원공급부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자성체(800)는, 도어부(4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체(800)는, 철, 니켈 등 자성을 가지는 여러 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체(800)는, 수직프레임(420) 중 손잡이(470)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둘 다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성체(800)는, 전자석부(900)에서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자성 결합될 수 있다.
전자석(900)는, 본체부(10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자력을 생성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900)은, 자성체(8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판(101) 중앙 또는 하판(102) 중앙 또는 둘 다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900)은,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자성을 띄게 되면, 자성체(800)와 자성 결합되어 도어부(400)를 잠금시키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이 해제되면 도어부(4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전자석 제어부는, 전자석(9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붙박이장은, 자성체(800)와 전자석(900)을 사용하여 도어부(4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금 및 잠금 해제의 작업이 편리하고, 어린 아이들의 장난에 의한 개폐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붙박이장은, 탄성체(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000)는, 전자석(90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본체부(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도어부(4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체(1000)는, 전자석(900)의 설치에 따라 상판(101) 또는 하판(102) 또는 둘 다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체(100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도어부(400)가 잠금될 경우 탄성 압축되며, 도어부(400)의 잠금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되면서 도어부(400)를 밀어줌으로써, 반자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본체부
101 : 상판
102 : 하판
103 : 측판
104 : 후판
200 : 결합 프레임부
210 : 제1프레임
211 : 결합홈
220 : 제2프레임
221 : 절개홈
230 : 제3프레임
231 : 통공부
232 : 지지부재
240 : 제4프레임
250 : 제5프레임
251 : 선반 지지부재
300 : 힌지부
400 : 도어부
410 : 수평프레임
420 : 수직프레임
430 : 결합가이드
440 : 힌지홈
450 : 유리창
460 : 가스켓
470 : 손잡이
480 : 안전캡
481 : 바디
482 : 결합돌기
483 : 제1삽입홈
484 : 제2삽입홈
500 : 선반부
501 : 선반
502 : 제1결합홈
503 : 제2결합홈
600 : 조명부
610 : 조명레일
620 : 발광모듈
630 : 커버
710 : 접속레일
720 : 제1단자부재
730 : 제2단자부재
740 : 제3단자부재
800 : 자성체
900 : 전자석
1000 : 탄성체

Claims (5)

  1.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프레임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부(300);
    상기 힌지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2개의 도어부(4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반부(500);
    상기 선반부(5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조명부(600); 및
    상기 조명부(6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붙박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400)는,
    2개의 수평프레임(410);
    2개의 수직프레임(420);
    상기 수평프레임(410)과 상기 수직프레임(420)을 결합시켜주기 위한 4개의 결합 가이드(430);
    상기 수평프레임(410)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420)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300)와 결합되는 힌지홈(440);
    상기 수평프레임(410)과 상기 수직프레임(420)의 내측에 결합되는 유리창(450);
    상기 유리창(450)과 상기 수평프레임(410) 사이, 상기 유리창(450)과 상기 수직프레임(4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450)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스켓(460);
    상기 수직프레임(4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470); 및
    상기 수평프레임(410)의 일단과 상기 수직프레임(4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안전캡(4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캡(480)은,
    하단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10)의 일단과 상기 수직프레임(4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바디(481);
    상기 바디(481)의 상부 일측에서 기 설정된 각도로 비스듬하게 상향 절곡되어, 상기 결합 가이드(43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82);
    상기 결합돌기(482)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유리창(450)과 상기 가스켓(460)을 삽입하기 위한 제1삽입홈(483); 및
    상기 제1삽입홈(483)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470)에 삽입 고정되는 제2삽입홈(48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부(200)는,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211)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11)에 상기 본체부(100)의 후부 측면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210);
    일측면에 절개홈(221)이 구비되며, 상기 제1프레임(210)의 전방에 이격 형성되는 제2프레임(220);
    상기 제1프레임(210)의 상단과 상기 제2프레임(220)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 측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2프레임(22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공부(231)가 구비되는 제3프레임(230);
    상기 제1프레임(210)의 하단과 상기 제2프레임(220)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4프레임(240); 및
    상기 제1프레임(210)과 상기 제2프레임(220) 사이에 형성되며, 측면이 상기 선반부(500) 측면과 결합되는 제5프레임(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2프레임(22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레일(710);
    상기 제5프레임(25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레일(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부재(720);
    상기 제5프레임(25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단자부재(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재(730); 및
    상기 선반부(5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단자부재(730)와 접속되며, 상기 조명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단자부재(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
KR2020200003024U 2020-08-19 2020-08-19 붙박이장 KR200495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24U KR200495081Y1 (ko) 2020-08-19 2020-08-19 붙박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24U KR200495081Y1 (ko) 2020-08-19 2020-08-19 붙박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73U true KR20220000473U (ko) 2022-02-28
KR200495081Y1 KR200495081Y1 (ko) 2022-03-02

Family

ID=8047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24U KR200495081Y1 (ko) 2020-08-19 2020-08-19 붙박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81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85Y1 (ko) 2001-06-05 2001-10-29 이정자 붙박이장의 개량 구조
KR200358110Y1 (ko) 2004-05-12 2004-08-05 김선만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
KR200413847Y1 (ko) * 2006-01-24 2006-04-11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옷장용 실내 조명 장치
KR100944753B1 (ko) * 2009-06-24 2010-03-03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조립식 가구
KR101825470B1 (ko) * 2017-11-23 2018-03-22 배성렬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N207383887U (zh) * 2017-05-18 2018-05-22 中山市威法家居制品有限公司 可四面透视的衣柜
CN109875268A (zh) * 2019-04-15 2019-06-14 博洛尼智能科技(青岛)有限公司 储物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85Y1 (ko) 2001-06-05 2001-10-29 이정자 붙박이장의 개량 구조
KR200358110Y1 (ko) 2004-05-12 2004-08-05 김선만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
KR200413847Y1 (ko) * 2006-01-24 2006-04-11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옷장용 실내 조명 장치
KR100944753B1 (ko) * 2009-06-24 2010-03-03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조립식 가구
CN207383887U (zh) * 2017-05-18 2018-05-22 中山市威法家居制品有限公司 可四面透视的衣柜
KR101825470B1 (ko) * 2017-11-23 2018-03-22 배성렬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N109875268A (zh) * 2019-04-15 2019-06-14 博洛尼智能科技(青岛)有限公司 储物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81Y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2260A (ko) 서랍
CN108294716B (zh) 洗碗机
KR200495081Y1 (ko) 붙박이장
WO2023000570A1 (zh) 一种带有灯具的骑马抽装柜
KR101075449B1 (ko) 조립식 수납장 및 이를 갖는 조립식 장식장
KR200495561Y1 (ko) 조명부가 구비된 선반을 가진 붙박이장
KR102331263B1 (ko)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JP4671190B2 (ja) 家具用ラッチ
CN209687189U (zh) 一种可自动弹出的隐形密码抽屉
KR102390986B1 (ko)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101499049B1 (ko) 보관함의 개폐장치
KR200399357Y1 (ko) 사물함의 도어 구조
CN217987053U (zh) 一种带隐藏空间的柜子
JP4168898B2 (ja) 照明付き収納体
CN215761156U (zh) 一种抽屉式保险箱
DK201901546A1 (en) Multifunctional Door
EP1980700B1 (en) Safety container for modular furniture units
KR100590805B1 (ko) 수납장의 도어 개폐구조
ES2968532T3 (es) Perfil de soporte para bisagra, preferente del tipo oculto, para un artículo de muebles
CN215304104U (zh) 一种磁吸式自动关门的壁柜
KR200295141Y1 (ko) 독서실 책상
US4633537A (en) Combination crib/cabinet unit
CN209883508U (zh) 一种隐藏式把手锁扣结构
KR200358110Y1 (ko)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
CN213869527U (zh) 一种收纳柜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