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70B1 -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70B1
KR101825470B1 KR1020170157076A KR20170157076A KR101825470B1 KR 101825470 B1 KR101825470 B1 KR 101825470B1 KR 1020170157076 A KR1020170157076 A KR 1020170157076A KR 20170157076 A KR20170157076 A KR 20170157076A KR 101825470 B1 KR101825470 B1 KR 10182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t
hanger
shelf
cabin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렬
Original Assignee
배성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렬 filed Critical 배성렬
Priority to KR102017015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33Co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실내의 벽면에 일정 길이 및 깊이로 형성되는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붙박이장을 지탱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2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다수가 간격 배치되어 횡배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수직구조체;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구조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구조의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좌우방향 최외측면에 각각 조립 설치되는 측면커버판; 상기 상단프레임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상판; 상기 하단프레임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판;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사이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후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선반배치용 체결구;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조립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네 모서리부를 지지 고정하고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는 선반;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고 수직구조체 측에 체결 고정되는 서랍케이스 및 상기 서랍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입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서랍; 상기 칸막이 상에 지지 결합된 채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상판의 전방 모서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형 플레이트몸체로서, 그 수평부가 상판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되고 수직부가 수직구조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레일고정부재; 상기 레일고정부재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행유도레일; 상기 주행유도레일 상에 안착 배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주행롤러; 상기 도어주행롤러 측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이를 위한 설치방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고 견고한 설치 구성으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내부의 배치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일부 부품의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된 경우에도 이를 교체하는 등 보수나 보강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붙박이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T IN WARDROB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의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고 설치에 따른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 후에도 내부의 배치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종 의복이나 생활물품을 보관하는 붙박이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은 벽에 붙이거나 벽의 안쪽에 만들어 옮길 수 없도록 된 장롱이나 수납장 등의 가구를 말하며, 벽 안쪽에 설치 및 시공된 경우에는 장롱이나 수납장 등의 실내공간 점유 면적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공간활용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서,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주택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오피스텔이나 원룸 등의 건축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붙박이장은 대부분이 건축물 실내의 벽면에 일정 길이 및 깊이로 형성되는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고정 설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필요에 의한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에 대해 교체나 변경 등의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붙박이장은 설치구조가 견고하지 못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한 부품 파손이나 훼손시 보수나 보강 작업이 어려우며,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지 못한 채 붙박이장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18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639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4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고 설치에 따른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 후에도 내부의 배치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각종 의복이나 생활물품을 보관하는 붙박이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붙박이장의 설치하여 사용시 붙박이장을 구성하는 부품에 있어 일부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된 경우, 파손이나 훼손된 부품을 교체하는 등 보수나 보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는,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붙박이장을 지탱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2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다수가 간격 배치되어 횡배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수직구조체;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구조체들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구조의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좌우방향 최외측면에 각각 조립 설치되는 측면커버판; 상기 상단프레임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상판; 상기 하단프레임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판;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사이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후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선반배치용 체결구;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조립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네 모서리부를 지지 고정하고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는 선반;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고 수직구조체 측에 체결 고정되는 서랍케이스 및 상기 서랍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입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서랍; 상기 칸막이 상에 지지 결합된 채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상판의 전방 모서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형 플레이트몸체로서, 그 수평부가 상판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되고 수직부가 수직구조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레일고정부재; 상기 레일고정부재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행유도레일; 상기 주행유도레일 상에 안착 배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주행롤러; 상기 도어주행롤러 측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방법은, (A)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붙박이장을 지탱하는 뼈대로서 기능하도록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수직구조체를 다수 구비하되, 전후방향으로 2열 배치 및 좌우방향으로 간격 배치하여 횡배열을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선반의 네 모서리부를 지지 가능하도록 선반배치용 체결구를 삽입 후 체결하여 수직구조체 상의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2열 횡대로 설치된 수직구조체의 좌우방향 사이사이에 칸막이를 배치하고 체결하여 조립 설치함으로써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단계; (D) 상기 2열 횡대로 설치된 수직구조체의 사이에 체결하여 조립 설치하되, 상기 수직구조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사각틀 구조의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을 조립 설치하여 수직구조체들을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하단프레임에 하판을 안착 배치 및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2열 횡대로 설치된 수직구조체의 좌우방향 최외측면에 측면커버판을 체결하여 조립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조립된 선반배치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선반의 네 모서리부를 지지 고정하고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수평 배치하는 단계; (H)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서랍케이스를 수평 배치하고 수직구조체 측에 체결 고정한 후 서랍을 삽입 배치하는 단계; (I) 상기 칸막이 상에 행거를 지지 결합하여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설치하되, 내부공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J) 상기 상단프레임에 상판을 안착 배치 및 체결하여 고정 설치하는 단계; (K) 상기 상판의 전방 모서리 측 길이방향으로 절곡형 플레이트몸체인 레일고정부재를 배치하되 수평부를 상판에 안착 배치하여 고정하고 수직부를 수직구조체의 전면(前面)에 위치시켜 고정하는 단계; (L) 상기 레일고정부재의 전면(前面)에 주행유도레일을 배치 및 고정 설치하고, 상기 주행유도레일 상에 도어주행롤러를 안착 배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M) 상기 도어주행롤러 측에 도어를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 및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구조체, 상단프레임, 하단프레임,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각각, 전착도장방식이나 침지방식 또는 스프레이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수용성 수지의 절연도막을 표면에 형성시킴에 의해 절연성 및 내부식성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스프레이방식이나 침지방식을 이용하여 발수코팅막을 표면에 형성시킴에 의해 발수성과 방수성 및 방오성을 갖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끼움한 채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사각틀몸체로 구성하되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체결 고정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안착 배치하되 네 모서리 측 하면에 고정돌부를 구비하여 상기 사각틀몸체로 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삽입 끼움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상기 수직구조체에 삽입 끼움한 채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사각틀몸체로 구성하되 일측면부에 선반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를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체결 고정한 상태에 상기 선반의 네 모서리부를 선반배치용 체결구의 선반끼움홈에 끼워넣어 고정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행거는 칸막이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및 대응위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홈을 형성시킨 칸막이고정부재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칸막이고정부재의 레일홈 내에 행거주행롤러를 삽입 배치하며, 상기 행거주행롤러에 행거의 양측단부를 지지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행거에 고정 설치 및 행거의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치되고 상기 행거에 교차되게 설치되며,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시킨 슬릿홈을 갖는 다수의 고정부재; 상기 각 고정부재의 슬릿홈에 상단부가 삽입 걸림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부가 외부 노출되며, 자성을 갖는 위치이동부재; 상기 각 위치이동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체를 갖는 옷걸이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옷걸이부재를 붙박이장의 내부공간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킨 상태에 선택된 의복을 착용 또는 걸어 보관할 수 있게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행유도레일은 상기 도어를 복수 구비하여 슬라이드에 의한 중첩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구비하되, 돌기형 유도레일로 설치하며; 상기 도어주행롤러는 상기 돌기형 유도레일로 설치되는 복수의 주행유도레일 상에 각각 안착 배치시켜 설치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각 도어주행롤러와 도어고정브래킷을 통해 상단부에 각각 연결시켜 복수의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각 도어의 하면에는 롤러고정프레임을 고정 결합 및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에 하측주행롤러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하측주행롤러를 지지 및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하측가이드레일을 붙박이장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측면커버판과 상판에는, 일측부 또는 중심부에 개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개구 상에 개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도록 댐퍼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댐퍼의 외측에 흡기팬을 배치하여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수직구조체 상에 습기감지센서를 1개 이상 설치하되, 습기감지데이터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습기감지데이터의 습기 측정수치에 따라 제어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상기 댐퍼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고 견고한 설치 구성으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내부의 배치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일부 부품의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된 경우에도 이를 교체하는 등 보수나 보강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붙박이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 상단프레임과 상판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있어 하단프레임과 하판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선반배치용 체결구와 선반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선반배치용 체결구와 선반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행거 설치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행거 설치구조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 댐퍼 및 흡기팬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 붙박이장 내 습기 제거를 위한 제어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도면은 구성에 대한 설명의 용이함 및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때론 실제보다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는 건축물 실내의 벽면(1)에 일정 길이 및 깊이로 형성되는 붙박이장 설치공간(2) 내에 각종 의복이나 침구류 및 생활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붙박이장(W)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구조체(10)와 상단프레임(20), 하단프레임(30), 측면커버판(40), 상판(50), 하판(60), 칸막이(70), 선반배치용 체결구(80), 선반(90), 서랍케이스(102) 및 서랍(104), 행거(110), 레일고정부재(120), 주행유도레일(130), 도어주행롤러(140), 및 도어(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구조체(10)는 붙박이장 설치공간(2) 내에 설치되어 붙박이장(W)을 지탱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2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다수가 간격 배치되어 횡배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구조체(10)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체결 조립에 활용하기 위한 다수의 조립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공(11)은 원형, 타원형, 슬릿형, 절곡형, 십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혼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구조체(10)는 기억(ㄱ)자형 절곡구조나 사각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뼈대로서 기능 및 우수한 내구성을 위해 금속재에 의한 구성이 바람직하나, 금속재의 강도에 준하는 특성을 갖는 강화플라스틱재에 의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수직구조체(10)는 전착도장방식이나 침지방식 또는 스프레이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수용성 수지의 절연도막을 표면에 형성시킴에 의해 절연성 및 내부식성을 갖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스프레이방식이나 침지방식을 이용하여 발수코팅막을 표면에 형성시킴에 의해 발수성과 방수성 및 방오성을 갖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도막을 위한 수용성 수지는 에폭시수지, 아크릴수지, 아미노알키드수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발수코팅막을 위한 발수제는 불소, 실리콘, 왁스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20) 및 하단프레임(30)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10)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틀 구조의 프레임 구성이며, 상기 수직구조체(10)들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조립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단프레임(20)은 내측면 하단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단평판리브(21)를 구비함으로써 상판(5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여 안착 배치한 상태에 피스나 볼트 체결을 통해 상판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 하단프레임(30)은 내측면 상단 둘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평판리브(31)를 구비함으로써 하판(60)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하여 안착 배치한 상태에 피스나 볼트 체결을 통해 하판을 고정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상단프레임(20) 및 하단프레임(30)에 있어 하단평판리브(21) 및 상단평판리브(31)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의 벽면에 형성된 붙박이장 설치공간(1)에 설치되는 붙박이장(W)의 상하면에 대해 상판(50)과 하판(60)의 설치에 따른 균일한 평면을 갖게 할 수 있으면서 전체적인 내구성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단프레임(20) 및 하단프레임(30)은 상기 수직구조체(10)와 같이, 금속재에 의한 구성이 바람직하며, 수용성 수지의 절연도막 또는 발수코팅막을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판(40)은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10)의 좌우방향 최외측면에 각각 위치하여 조립 설치된다.
상기 상판(50)은 상기 상단프레임(20)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판(60)은 상기 하단프레임(30)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칸막이(70)는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10)들의 사이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행거(110)를 지지하는 수단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측면커버판(40)과 상판(50), 하판(60), 및 칸막이(70) 각각은 금속재의 구성도 가능하나, 목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는 물론 항균 및 살균작용을 하도록 편백나무로 구성할 수 있고 황토분말을 혼합하여 압축한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80)는 상기 선반(90)을 붙박이장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상기 수직구조체(10) 측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 및 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선반(90)은 상기 수직구조체(10) 측에 삽입 조립된 선반배치용 체결구(80)에 네 모서리부를 지지 고정하고 칸막이(70)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게 설치되며, 의류나 침구류 또는 생활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선반(90)은 필요에 따라 상하 간격 배치하여 다층 구조로 설치할 수 있으며, 칸막이(70)에 의해 구획된 서로 다른 내부공간 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80)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구조체(10) 측에 삽입 끼움한 채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82)을 갖는 사각틀몸체(81)로 구성하되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10)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 선반(90)에 대해서는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10)에 체결 고정한 선반배치용 체결구(90)에 안착 배치하되 네 모서리 측 하면에 고정돌부(91)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사각틀몸체로 된 선반배치용 체결구(80)에 삽입 끼움하여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때로는,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80)에 대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구조체(10)에 삽입 끼움한 채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82)을 갖는 사각틀몸체(81)로 구성하되 일측면부에 선반끼움홈(83)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90)에 대해서는 선반배치용 체결구(80)를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10)에 체결 고정한 상태에 선반(90)의 네 모서리부를 선반배치용 체결구(80)의 선반끼움홈(83)에 끼워넣어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80)는 수용성 수지의 절연도막 또는 발수코팅막을 표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구조체(10)의 구조에 따라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 고정한 후 선반(90)을 지지 고정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선반(90)은 금속재의 구성도 가능하나, 목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습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는 물론 항균 및 살균작용을 하도록 편백나무로 구성할 수 있고 황토분말을 혼합하여 압축한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케이스(102)는 상기 칸막이(70)에 의해 구획되는 붙박이장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자리하여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구조체(10) 측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서랍(104)은 상기 서랍케이스(102) 내에 전후방향으로 입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상기 행거(110)는 원형 봉 이나 다각형 봉 등의 봉체로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70) 상에 지지 결합된 채로 붙박이장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수평 배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홈(162)을 형성시킨 칸막이고정부재(161)를 상기 칸막이(7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및 대응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칸막이고정부재(161)의 레일홈(162) 내에 행거주행롤러(163)를 삽입 배치하며, 상기 행거주행롤러(163)에 상기 행거(110)의 양측단부를 지지 결합함으로써 행거(1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붙박이장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옷걸이부재를 붙박이장의 내부공간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킨 상태에 선택된 의복을 착용 또는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행거(110)에 고정 설치 및 행거(11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치되고 상기 행거(110)에 교차되게 설치되며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시킨 슬릿홈(172)을 갖는 다수의 고정부재(171)와, 상기 각 고정부재(171)의 슬릿홈(172)에 상단부가 삽입 걸림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부가 외부 노출되며 자성을 갖는 위치이동부재(173), 및 상기 각 위치이동부재(173)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체(175)를 갖는 옷걸이 형상의 옷걸이부재(17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행거(110) 자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과 혼용 또는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71)는 도 8에서 일부 단면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구성요소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위치이동부재(173)가 고정부재(171)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의 양측면이 폐쇄된 구성이라 할 것이다.
상기 레일고정부재(120)는 상기 상판(50)의 전방(前方) 모서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억자형 절곡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몸체로서, 그 수평부가 상판(50)에 안착 배치되어 피스 등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고 수직부가 수직구조체(10)들의 전면(前面)에 접촉되어 피스나 볼트 등의 체결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주행유도레일(130)은 상기 레일고정부재(120)의 전면(前面)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주행롤러(140)는 상기 주행유도레일(130) 상에 안착 배치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50)는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주행롤러(140) 측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150)는 붙박이장(W)의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150)에 대해 2개의 복수로 구비하여 슬라이드에 의한 중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를 기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하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행유도레일(130)은 상기 도어(150)의 복수 구성에 의해 이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구비하되 돌기형 유도레일 구조로 설치한다.
상기 도어주행롤러(140)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형 유도레일로 설치되는 주행유도레일(130) 상에 각각 안착 배치시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도어(150)는 상기 각 도어주행롤러(140)와 복수의 도어고정브래킷(181)을 통해 상단부에 각각 연결시켜 복수로 구비되는 도어(150)가 각각 슬라이드 이동 및 중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도어(150) 하면에는 롤러고정프레임(182)을 고정 결합하고 상기 롤러고정프레임(182)에 하측주행롤러(183)를 고정 설치한다.
이에, 상기 하측주행롤러(183)를 하측방향에서 지지 및 위치 이동을 가이드함은 물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복수의 하측가이드레일(184)을 붙박이장 설치공간(1)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한다.
나아가, 상기 측면커버판(40)과 상판(50)에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부 또는 중심부에 개구(41)(51)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각 개구(41)(51) 상에 개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도록 댐퍼(191)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댐퍼(191)의 외측에 흡기팬(192)을 배치하여 붙박이장(W)의 내부공간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구조체(10) 상에 습기감지센서(193)를 1개 이상 설치하되, 습기감지데이터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습기감지데이터의 습기 측정수치에 따라 제어부(194)에서의 제어를 통해 상기 댐퍼(191)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기팬(192)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를 갖게 하기 위한 설치방법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방법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구조체 설치단계(S1), 선반배치용 체결구 설치단계(S2), 칸막이 설치단계(S3),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 설치단계(S4), 하판 설치단계(S5), 측면커버판 설치단계(S6), 선반 설치단계(S7), 서랍케이스 및 서랍 설치단계(S8), 행거 설치단계(S9), 상판 설치단계(S10), 레일고정부재 설치단계(S11), 주행유도레일 및 도어주행롤러 설치단계(S12), 및 도어 설치단계(S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구조체 설치단계(S1)는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되는 붙박이장 설치공간(1) 내에 설치되어 붙박이장을 지탱하는 뼈대로서 기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수직구조체를 다수 구비하되, 전후방향으로 2열 배치 및 좌우방향으로 간격 배치하여 횡배열을 갖도록 설치한다.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 설치단계(S2)는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선반의 네 모서리부를 지지 가능하도록 선반배치용 체결구를 삽입 후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수직구조체 상의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체결공을 갖는 사각틀몸체로 구성하여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삽입 배치 후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때로는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체결공을 갖는 사각틀몸체로 구비하되 일측면부에 선반끼움홈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삽입 배치 후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칸막이 설치단계(S3)는 상기 2열 횡대로 설치된 수직구조체들의 좌우방향 사이사이에 칸막이를 배치하고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조립 설치함으로써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구획한다.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 설치단계(S4)는 상기 2열 횡대로 설치된 수직구조체의 사이에 체결하여 조립 설치하되, 상기 수직구조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사각틀 구조의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을 배치한 후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조립 설치함으로써 수직구조체들을 연결 및 내구성을 갖게 한다.
상기 하판 설치단계(S5)는 상기 하단프레임에 하판을 안착 배치하고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 설치한다.
상기 측면커버판 설치단계(S6)는 상기 2열 횡대로 설치된 수직구조체의 좌우방향 최외측면에 측면커버판을 배치한 후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조립 설치한다.
상기 선반 설치단계(S7)는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조립된 선반배치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선반의 네 모서리부를 지지 고정하고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수평 배치 및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선반은 네 모서리 측 하면에 고정돌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상기 사각틀몸체로 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삽입 끼움하여 고정 설치 및 선반의 네 모서리부 하면이 선반배치용 체결구의 상면에 안착 배치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은 사각틀몸체로 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선반끼움홈을 형성한 경우, 상기 선반에 대해 네 모서리부를 선반배치용 체결구의 선반끼움홈에 끼워넣어 지지 고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서랍케이스 및 서랍 설치단계(S8)는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붙박이장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서랍케이스를 수평 배치하고 수직구조체 측에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한 후 서랍을 삽입 배치한다.
이때, 상기 서랍케이스에는 내면에 서랍이동레일부재를 고정하는 작업과 서랍의 하부 측면에 서랍이동롤러를 고정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행거 설치단계(S9)는 상기 칸막이 상에 행거를 지지 결합하여 붙박이장 내부공간의 일정영역 상에 설치하되, 상기 행거에 대해 내부공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행거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홈을 형성시킨 칸막이고정부재를 칸막이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및 대응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칸막이고정부재의 레일홈 내에 행거주행롤러를 삽입 배치하며, 상기 행거주행롤러에 행거의 양측단부를 지지 결합하는 방식으로 행거 자체에 대해 붙박이장의 내부공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에는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시킨 슬릿홈을 갖는 고정부재를 행거의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치 및 행거에 교차되게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고정부재의 슬릿홈에 상단부가 삽입 걸림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자성을 갖는 위치이동부재를 배치하되 하단부가 외부 노출되게 설치하며, 상기 각 위치이동부재에 자성체를 갖는 옷걸이부재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옷걸이부재만을 붙박이장의 내부공간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킨 상태에 선택된 의복을 착용 또는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행거 자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과 혼용 또는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판 설치단계(S10)는 상기 상단프레임에 상판을 안착 배치하고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 설치한다.
상기 레일고정부재 설치단계(S11)는 상기 상판의 전방 모서리 측 길이방향으로 절곡형 플레이트몸체인 레일고정부재를 배치하되, 수평부를 상판에 안착 배치하여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하고, 수직부를 수직구조체의 전면(前面)에 위치시켜 피스나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 설치한다.
상기 주행유도레일 및 도어주행롤러 설치단계(S12)는 상기 레일고정부재의 전면(前面)에 주행유도레일을 배치 및 고정 설치하고, 상기 주행유도레일 상에 도어주행롤러를 안착 배치하여 좌우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주행유도레일은 도어를 복수로 구비하여 슬라이드에 의한 중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구성을 기준으로 할 시, 복수로 형성시켜 평행하게 구비하되 돌기형 유도레일을 구비하여 설치하며, 상기 도어주행롤러는 상기 돌기형 유도레일로 설치되는 복수의 주행유도레일 상에 각각 안착 배치시켜 좌우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도어 설치단계(S13)는 상기 도어주행롤러 측에 도어를 연결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 및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도어는 상기 각 도어주행롤러와 복수의 도어고정브래킷을 통해 상단부에 각각 연결시켜 복수의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각 도어의 하면에는 롤러고정프레임을 고정 결합 및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에 하측주행롤러를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는 상기 하측주행롤러를 지지 및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하측가이드레일을 붙박이장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구조체, 상단프레임, 하단프레임, 선반배치용 체결구 각각은 내구성을 위해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착도장방식이나 침지방식 또는 스프레이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수용성 수지의 절연도막을 표면에 형성시킴에 의해 절연성 및 내부식성을 갖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때로는 스프레이방식이나 침지방식을 이용하여 발수코팅막을 표면에 형성시킴에 의해 발수성과 방수성 및 방오성을 갖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구조체 설치단계(S1) 내지 도어 설치단계(S13)는 설치 작업시 설치환경 및 작업 편의성을 위해 설치단계의 순서가 바뀌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 조립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고 견고한 설치 구성으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도 내부의 배치구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일부 부품의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된 경우에도 이를 교체하는 등 보수나 보강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붙박이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수직구조체 20: 상단프레임
30: 하단프레임 40: 측면커버판
50: 상판 60: 하판
70: 칸막이 80: 선반배치용 체결구
90: 선반 102: 서랍케이스
104: 서랍 110: 행거
120: 레일고정부재 130: 주행유도레일
140: 도어주행롤러 150: 도어

Claims (12)

  1. 건축물 실내의 벽면에 일정 길이 및 깊이로 형성되는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붙박이장을 설치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붙박이장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어 붙박이장을 지탱하는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2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다수가 간격 배치되어 횡배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수직구조체;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들의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구조체들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구조의 상단프레임 및 하단프레임;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좌우방향 최외측면에 각각 조립 설치되는 측면커버판;
    상기 상단프레임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상판;
    상기 하단프레임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하판;
    상기 2열 횡대로 배치된 수직구조체의 사이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후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선반배치용 체결구;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조립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네 모서리부를 지지 고정하고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는 선반;
    상기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되고 수직구조체 측에 체결 고정되는 서랍케이스 및 상기 서랍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입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서랍;
    상기 칸막이 상에 지지 결합된 채로 내부공간 상에 수평 배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
    상기 상판의 전방 모서리 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형 플레이트몸체로서, 그 수평부가 상판에 안착 배치되어 고정되고 수직부가 수직구조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레일고정부재;
    상기 레일고정부재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주행유도레일;
    상기 주행유도레일 상에 안착 배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주행롤러;
    상기 도어주행롤러 측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상기 수직구조체 측에 삽입 끼움한 채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사각틀몸체로 구성하되,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체결 고정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안착 배치하되, 네 모서리 측 하면에 고정돌부를 구비하여 상기 사각틀몸체로 된 선반배치용 체결구에 삽입 끼움하여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는 상기 수직구조체에 삽입 끼움한 채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사각틀몸체로 구성하되, 일측면부에 선반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배치용 체결구를 서로 이웃하는 네 개의 수직구조체에 체결 고정한 상태에 상기 선반의 네 모서리부를 선반배치용 체결구의 선반끼움홈에 끼워넣어 지지 고정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칸막이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및 대응위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레일홈을 형성시킨 칸막이고정부재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칸막이고정부재의 레일홈 내에 행거주행롤러를 삽입 배치하며, 상기 행거주행롤러에 행거의 양측단부를 지지 결합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에 고정 설치 및 행거의 길이방향으로 간격 배치되고 상기 행거에 교차되게 설치되며,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시킨 슬릿홈을 갖는 다수의 고정부재;
    상기 각 고정부재의 슬릿홈에 상단부가 삽입 걸림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부가 외부 노출되며, 자성을 갖는 위치이동부재;
    상기 각 위치이동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성체를 갖는 옷걸이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옷걸이부재를 붙박이장의 내부공간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노출시킨 상태에 선택된 의복을 착용 또는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유도레일은,
    상기 도어를 복수 구비하여 슬라이드에 의한 중첩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평행하게 구비하되, 돌기형 유도레일로 설치하며;
    상기 도어주행롤러는,
    상기 돌기형 유도레일로 설치되는 복수의 주행유도레일 상에 각각 안착 배치시켜 설치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각 도어주행롤러와 도어고정브래킷을 통해 상단부에 각각 연결시켜 복수의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각 도어의 하면에는 롤러고정프레임을 고정 결합 및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에 하측주행롤러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하측주행롤러를 지지 및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하측가이드레일을 붙박이장 설치공간의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판과 상판에는,
    일측부 또는 중심부에 개구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개구 상에 개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도록 댐퍼를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댐퍼의 외측에 흡기팬을 배치하여 붙박이장의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수직구조체 상에 습기감지센서를 1개 이상 설치하되, 습기감지데이터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습기감지데이터의 습기 측정수치에 따라 제어부에서의 제어를 통해 상기 댐퍼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흡기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KR1020170157076A 2017-11-23 2017-11-23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KR10182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76A KR101825470B1 (ko) 2017-11-23 2017-11-23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76A KR101825470B1 (ko) 2017-11-23 2017-11-23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12A Division KR101848693B1 (ko) 2018-01-30 2018-01-30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470B1 true KR101825470B1 (ko) 2018-03-22

Family

ID=6190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076A KR101825470B1 (ko) 2017-11-23 2017-11-23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43B1 (ko) * 2020-05-18 2020-10-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벌레 촬영을 위한 3차원 스마트폰 거치대
KR20220000473U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봉적 붙박이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28B1 (ko) 2013-04-10 2014-07-16 포이닉스인퍼니쳐(주)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이장
KR101631989B1 (ko) 2016-01-28 2016-06-20 영진앵글 주식회사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828B1 (ko) 2013-04-10 2014-07-16 포이닉스인퍼니쳐(주)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이장
KR101631989B1 (ko) 2016-01-28 2016-06-20 영진앵글 주식회사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커버링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643B1 (ko) * 2020-05-18 2020-10-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벌레 촬영을 위한 3차원 스마트폰 거치대
KR20220000473U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봉적 붙박이장
KR200495081Y1 (ko) * 2020-08-19 2022-03-02 주식회사 봉적 붙박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9100C2 (ru) Мебельный модуль
CN102421331B (zh) 家具壁和家具
KR101825470B1 (ko)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JP6997196B2 (ja) ドアアセンブリ用のガイドシステム、およびドアアセンブリ、ならびに装置アセンブリ
US20110115351A1 (en) Modular Case Goods and Components
KR101848693B1 (ko) 공동주택의 붙박이장 설치방법
KR20120113681A (ko)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가구
KR101408894B1 (ko)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 시스템 행거
KR20160088140A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장
JP4916142B2 (ja) 収納装置
KR101418828B1 (ko) 조립 앵글을 이용한 수납이장
KR20230132958A (ko) 주택용 붙박이장 설치방법
JP2015167604A (ja) 箱型家具のリフォーム方法
JP4589537B2 (ja) 壁面利用収納設備
RU103459U1 (ru) Экран для ванны
JP7155828B2 (ja) 収納システム
JP6080715B2 (ja) 室内構造
JP3557980B2 (ja) キャビネット
JP2000129836A (ja) 住居空間の構築方法、住居空間の仕切方法及び仕切壁形成方法
JP5052961B2 (ja) 収納室構造
JP2009045168A (ja) 収納所構造
JP2022027211A (ja) キッチンユニット
KR100601414B1 (ko) 다용도 붙박이장
JP2006223459A (ja) 収納装置
KR200234024Y1 (ko) 장롱의 공간 마감재 착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