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986B1 -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986B1
KR102390986B1 KR1020210076024A KR20210076024A KR102390986B1 KR 102390986 B1 KR102390986 B1 KR 102390986B1 KR 1020210076024 A KR1020210076024 A KR 1020210076024A KR 20210076024 A KR20210076024 A KR 20210076024A KR 102390986 B1 KR102390986 B1 KR 10239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cabinet
link member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환
김찬호
원상희
지은선
한예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투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투시
Priority to KR102021007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986B1/ko
Priority to PCT/KR2021/015930 priority patent/WO202226022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주방 가전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의 도어를 상하부로 개폐하고, 도어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는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이면에 장착된 제1 브래킷, 수납장의 내부 측면에 장착된 제2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지지용 링크 부재,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회전용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도어를 수납장의 내부에 수용하면서, 도어의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nd storage cabinet having same}
본 발명은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 가전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의 도어를 상하부로 개폐하고, 도어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는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주방을 단순히 식사를 하는 곳이라는 개념에서 확장되어 가정의 중요한 생활공간 중 하나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식탁, 싱크대, 찬장, 수납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들도 사용자의 요구 수준에 맞추어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주부의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해주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 주방용 수납 가구는 단순히 그릇이나 식기를 보관하던 개념에서 탈피하여 새롭고 독립된 수납공간의 개념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즉, 냉장고 등의 각종 전자제품들이 수납장 내에 수납되며, 전자레인지나 밥통과 같은 주방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주방 가구가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는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주방 가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가구의 전면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가스 쇼바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를 잡고 일정 각도 이상만 움직여 주면 자동으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해주는 반 자동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주방 가구의 개방된 전면에 위치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도어 브래킷, 상기 가구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양 끝단이 상기 도어 브래킷과 장착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의 일측 끝단과 상기 장착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반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해주는 가스 쇼바 및 상기 가스 쇼바가 회동되는 경로 상에 설치된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브라켓 결합을 위한 제1 브래킷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된 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샤프트 및 상단이 바디와 체결되어 샤프트와 바디를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 관통을 위한 출입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상단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체결부와 나사결합을 위한 대응체결부로 이루어진 연결 소켓을 포함하는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식물재배기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일부에 감속부를 갖는 도어 장착 2단 레일, 상기 도어 장착 2단 레일을 따라 직선이동에서 회전이동으로 변경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도어 장착 2단 레일과 조립시 상기 감속부와 마찰 없이 움직이는 제1 도어 이동수단과 상기 감속부와 마찰하면서 움직이는 제2 도어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식물재배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825호(2014.12.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2155호(2014.01.0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939호(2019.08.19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완충 수단을 마련하여 리프트 도어를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도어가 가구의 외부 전면 상부로 이동하므로, 수납장 내의 물품의 인출시 도어의 하단과 부딪칠 염려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도어가 수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피스톤 로드가 일방향의 반발력을 발생하는 가스 스프링 또는 스텝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온도차에 의해 불안정하게 작동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토퍼를 적용하였지만, 도어가 가구 본체의 전면을 개방할 수 없어 수납장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으며,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수납장 내의 물품의 인출시 도어의 하단과 부딪칠 염려도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3에서는 도어의 개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도어의 낙하에 따른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도어의 개폐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도어의 개방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어의 양측을 조심스럽게 잡고 들어오려야 하며, 도어의 폐쇄시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기 사용자가 도어의 양측을 손으로 잡고 서서히 하강시켜야 하므로 조작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식물재배기의 도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2주에 한 번 정도 도어를 개방하므로, 수시로 도어를 개폐하는 주방 가전 기기 수납용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되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무리한 힘을 인가하여 도어가 파손되거나, 도어의 개방이 일부분만 실행되어 물품의 보관 및 인출 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의 폐쇄시 수직 상태가 유지되지 않아 수납장 등의 미관이 손상되고, 이에 따라 이물질 등이 침입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어를 개방하여 수평 상태로 수납장 내부에 유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폐쇄시 수직 상태를 유지하며 주변의 수납장과의 평탄성을 유지하면서, 이물질이 수납장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는 주방 가전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의 도어를 상하부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이면에 장착된 제1 브래킷, 상기 수납장의 내부 측면에 장착된 제2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지지용 링크 부재,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회전용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은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 및 회전용 링크 부재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 및 회전용 링크 부재는 상기 도어를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는 양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링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부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용 링크 부재는 양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2 링크부와 상기 제2 브래킷의 전면에 결합된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의 단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3 관통구 및 제4 관통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전면에 제1 돌기가 마련되고, 타단부의 이면에 제2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관통구는 상기 제1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2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며, 상기 제2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전면에 제3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돌기에 인접하여 제4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3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상기 제4 관통구는 상기 제4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도어의 이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이격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수납장의 내부 측면에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공압 실린더는 상기 수납장의 전면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은 상술한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도어를 상기 수납장의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에서, 상기 수납장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장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에서, 상기 도어는 수납장 내부의 광원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내부의 물품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에 의하면,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지지용 링크 부재와 회전용 링크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방시 도어를 수납장의 내부에 수용하면서, 도어의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에 의하면, 도어가 수납장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수납장으로의 물품의 수용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에 의하면, 도어의 폐쇄시 도어가 수직 상태로 유지되므로, 도어의 어긋난 폐쇄에 따른 수납장의 미관 손상을 방지하며, 수납장 내부로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의 도어에 손잡이부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폐쇄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폐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의 내부에 마련된 인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의 내부에 전원선 인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납장"은 전자레인지나 전기밥솥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수용하는 물품으로서, 식기 수납장 등과 함께 동일 평면을 이루며 인테리어 된 것을 의미하며, "상하부"는 수납장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의미한다.
또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전면"은 외부에 보여지는 수납장의 표면을 의미하고, "이면"은 상술한 전면에 대응하여 수납장의 내부를 향해 마련된 뒷면을 의미하고, "측면"은 수납장 내부의 양측의 면을 의미한다.
또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직 상태"는 수납장이 설치된 바닥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마련된 것을 의미하고, "수평 상태"는 바닥 부분과 수평을 으로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에 마련되어 식기 수납장 등과 함께 동일 평면을 이루며, 수납장(100)의 전면에 마련된 도어(200)가 수납장(100)의 상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면서 수납장(100)의 내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200)가 수납장(100)의 하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면서 수납장(100)의 내부가 폐쇄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또, 상기 수납장(100)의 개방시 도어(200)는 수납장의 상부 부분에 수용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장(100)에서는 도어(200)의 전면(210)의 상부를 사용자가 손으로 미는 것에 의해 도어(200)가 수납장(100)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도어(200)가 개방 상태로 될 수 있다.
상술한 수납장(100)의 내부에는 주방 가전 기기로서,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나 전기 밥솥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수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다른 수납장(10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전면(210)의 하부 중앙 부분에 손잡이부(23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의 도어에 손잡이부가 마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전면(210)에 손잡이부(2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에 비해 좀 더 용이하게 도어(200)의 개폐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어가 폐쇄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 개폐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 개폐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는 주방 가전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의 도어를 상하부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의 이면(220)에 장착된 제1 브래킷(300), 상기 수납장(100)의 내부 측면(110)에 장착된 제2 브래킷(400), 상기 제1 브래킷(300) 및 제2 브래킷(400)에 결합된 지지용 링크 부재(500),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500)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브래킷(300) 및 제2 브래킷(400)에 결합된 회전용 링크 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래킷(300) 및 제2 브래킷(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납장(100)의 내부 양측면(110)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500) 및 회전용 링크 부재(600)도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술한 한 쌍의 지지용 링크 부재 및 한 쌍의 회전용 링크 부재는 상기 도어(2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상태 또는 도어(2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상술한 도어(200)의 수직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00)이 폐쇄된 상태이며, 도어(200)의 수평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가 수납장(100)의 상부로 수용되어 수납장(100)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상기 제1 브래킷(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전면에 제1 돌기(310)가 마련되고, 타단부의 이면에 제2 돌기(320)가 마련되고, 전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보강판(33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한 쌍의 제1 브래킷(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의 이면(220)의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과 이격되어 하부 부분에서 나사 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장착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래킷(3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나사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1 브래킷(300)은 도 2에 도시된 손잡이부(230)의 대응 위치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브래킷(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전면에 제3 돌기(410)가 마련되고, 상기 제3 돌기(410)에 인접하여 제4 돌기(420)가 마련되고, "ㄱ"자 형상의 하부에 탄성 절개면이 형성된 힌지결합부(430)가 마련된다. 또, 상기 제2 브래킷(400)은 상기 제1 브래킷(300)이 상기 도어의 이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이격된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상기 수납장(100)의 내부 측면(110)에서 돌출되게 마련되고, 나사 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장착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래킷(400)의 측면부에는 다수의 나사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링크부(5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부(51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관통구(520) 및 제2 관통구(530)가 마련된다.
또, 상기 회전용 링크 부재(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 링크부(610) 및 상기 제2 링크부(610)와 상기 제2 브래킷(400)의 전면에 결합된 공압 실린더(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610)의 단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3 관통구(611) 및 제4 관통구(612)가 마련된다. 상기 제4 관통구(612)는 제2 링크부(610)에서 돌기 되어 연장된 부분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링크부(610)의 타단부에는 공압 실린더(62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가 마련된다. 상기 공압 실린더(620)는 가스 스프링의 기능을 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서 직선 운동하는 피스톤 로드(621)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부의 일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에 결합되며 피스톤 로드(621)의 타측은 힌지결합부(4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부(610)의 제3 관통구(61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래킷(300)의 제1 돌기(3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500)의 제1 관통구(5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래킷(300)의 제2 돌기(3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된다.
또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500)의 제2 관통구(5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브래킷(400)의 제3 돌기(4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상기 제2 링크부(610)의 제4 관통구(612)는 상기 제2 브래킷(400)의 제4 돌기(4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이면(220)에 장착된 제1 브래킷(300)과 수납장(100)의 내부 측면(110)에 장착된 제2 브래킷(400)에 각각 지지용 링크 부재(500)와 회전용 링크 부재(60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00)에서 도어(200)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납장을 개방할 수 있으며, 개방된 도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100)의 상부 측에서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의 개방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610)와 공압 실린더(620)가 "∧"자 형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510)와 상기 공압 실린더(620)가 상기 수납장(100)의 전면을 향해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링크부(610)와 공압 실린더(620)가 "ㄴ"자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실행하면서, 물품의 보관 및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용 링크 부재(500)와 회전용 링크 부재(600)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도어(200)의 수평 상태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장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부재(15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의 내부에 마련된 인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예를 들어 수납장에 전기밥솥이 수납된 경우, 인출 부재(150)를 사용하여 밥솥의 인출 및 수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인출 부재(150)는 수납장의 바닥면(120)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지지판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100) 내에 주방 가전 기기가 수납되는 경우, 수납장(100)의 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인출용 개구부(17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를 구비한 수납장의 내부에 전원선 인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어(200)는 수납장 내부의 광원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내부의 물품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패널 및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PC(polycarbonate)의 열가소성 수지와 나노 사이즈의 염료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나노 사이즈의 기공이 마련된 패널을 적용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어를 수납장의 내부에 수용하면서, 도어의 수평 상태 또는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0 : 수납장
200 : 도어
300 : 제1 브래킷
400 : 제2 브래킷
500 : 지지용 링크 부재
600 : 회전용 링크 부재

Claims (10)

  1. 주방 가전 기기를 수납하는 수납장의 도어를 상하부로 개폐하는 도어 개폐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이면에 장착된 제1 브래킷,
    상기 수납장의 내부 측면에 장착된 제2 브래킷,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지지용 링크 부재,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결합된 회전용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도어의 이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이격에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수납장의 내부 측면에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은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 및 회전용 링크 부재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 및 제2 브래킷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 및 회전용 링크 부재는 상기 도어를 수직 상태 또는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용 링크 부재는 양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링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링크부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용 링크 부재는 양단부가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 링크부 및 상기 제2 링크부와 상기 제2 브래킷의 전면에 결합된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부의 단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제3 관통구 및 제4 관통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전면에 제1 돌기가 마련되고, 타단부의 이면에 제2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관통구는 상기 제1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상기 제1 관통구는 상기 제2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며, 상기 제2 브래킷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의 전면에 제3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3 돌기에 인접하여 제4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관통구는 상기 제3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상기 제4 관통구는 상기 제4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장치.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공압 실린더는 상기 수납장의 전면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 장치.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도어 개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도어를 상기 수납장의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9. 제8항에서,
    상기 수납장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장에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10. 제8항에서,
    상기 도어는 수납장 내부의 광원에 의한 광량의 증가에 따라 내부의 물품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
KR1020210076024A 2021-06-11 2021-06-11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10239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024A KR102390986B1 (ko) 2021-06-11 2021-06-11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PCT/KR2021/015930 WO2022260220A1 (ko) 2021-06-11 2021-11-04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024A KR102390986B1 (ko) 2021-06-11 2021-06-11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986B1 true KR102390986B1 (ko) 2022-04-27

Family

ID=8139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024A KR102390986B1 (ko) 2021-06-11 2021-06-11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9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55B1 (ko) 2012-06-13 2014-01-14 정재동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KR200475825Y1 (ko) 2013-06-26 2015-01-09 (주)리베첸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EP3199732A1 (en) * 2016-01-27 2017-08-02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door mounted through articulated hinge mechanism
KR102013939B1 (ko) 2017-09-08 2019-08-23 주식회사 교원 가정용 식물재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55B1 (ko) 2012-06-13 2014-01-14 정재동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KR200475825Y1 (ko) 2013-06-26 2015-01-09 (주)리베첸 주방 가구용 리프트 도어
EP3199732A1 (en) * 2016-01-27 2017-08-02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door mounted through articulated hinge mechanism
KR102013939B1 (ko) 2017-09-08 2019-08-23 주식회사 교원 가정용 식물재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072B1 (en) Rack and drawer systems and devices
US10376057B2 (en) Rack and drawer systems
JP2006299533A (ja) 収納家具
KR102390986B1 (ko)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KR20230062906A (ko)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US9737139B1 (en) Rack and drawer systems
JP6224951B2 (ja) 吊り戸棚
CN213370857U (zh) 一种悬浮式墙角柜
WO2022260220A1 (ko) 도어 개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장
CN220675558U (zh) 一种具有任意角度斜开功能的抽屉
KR200495081Y1 (ko) 붙박이장
KR20060120888A (ko) 식탁장
CN213308283U (zh) 一种新型组合式衣柜结构
CN220898265U (zh) 一种转角柜
CN216454088U (zh) 一种下拉式柜底置物架
KR200358395Y1 (ko) 주방용 가구
KR200324914Y1 (ko) 싱크대 상부 수납장
CN218493377U (zh) 一种新型柜门连接件
CN213774865U (zh) 一种智能家居用移动柜柜门内锁传动机构
CN212465400U (zh) 一种门板挂篮
JP4443311B2 (ja) 昇降収納ラックの収納装置
KR200288618Y1 (ko) 보관함이 설치된 장롱
KR100590805B1 (ko) 수납장의 도어 개폐구조
KR200495561Y1 (ko) 조명부가 구비된 선반을 가진 붙박이장
KR200271107Y1 (ko) 가구 손잡이용 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