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049B1 - 보관함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보관함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049B1
KR101499049B1 KR1020120142521A KR20120142521A KR101499049B1 KR 101499049 B1 KR101499049 B1 KR 101499049B1 KR 1020120142521 A KR1020120142521 A KR 1020120142521A KR 20120142521 A KR20120142521 A KR 20120142521A KR 101499049 B1 KR101499049 B1 KR 10149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frame
guide groov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503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12014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electro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이 프레임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보관함의 보관공간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프레임부와 개폐부 사이의 힌지결합부위에 설치되어 개폐부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개폐장치로서 프레임부, 개폐부 및 힌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개폐부의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힌지부에 의해 개폐부의 개방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관함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torage box}
본 발명은 보관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품을 보관하도록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학교, 여객터미널, 공연장, 전시장, 백화점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사용자의 물품을 임시로 보관하거나 유치하기 위해 사물함 형태의 다양한 보관함이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인 보관함은 상하좌우로 다수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물품의 보관공간이 격자형상으로 복수개 구성되며, 물품의 보관공간의 전면에 개폐문을 설치하고 여기에 별도의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물품을 수납하는 종래의 보관함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격자모양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입구부위에 개폐수단으로서 개폐문을 설치하고 개폐문의 내측에 형성된 보관공간을 형성하여 여기에 물품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관함의 개폐문은, 보관공간의 전면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설치된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에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잠금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개폐문의 개폐가 어렵고 보관함의 보안성 및 관리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관함의 개폐문을 프레임에 경첩을 이용하여 개폐가 용이하도록 설치하고 잠금열쇠를 사용한 잠금장치로 보안을 유지하기도 하지만, 보관공간의 개폐문에 대한 잠금열쇠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함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관함의 개폐문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도록 설치된 경우에 개폐문의 자중에 의해 보관함의 저면을 폐쇄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개폐문의 개방시 개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이 없어 개폐문의 개방시 물품의 수납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부의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힌지부에 의해 개폐부의 개방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개폐부의 폐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에 의해 개폐부의 폐쇄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통전상태에 따라 고정부 사이의 부착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가 개폐부의 회전에 의해 부착을 해제할 수 있고, 보관함의 보관공간의 전면에 대한 폐쇄가 용이하며 프레임부와 개폐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보관함의 보관공간에 대한 개폐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보관공간에 보관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함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로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보관함의 보관공간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힌지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개폐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1 자석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된 제2 자석부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자석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양쪽 측면 상단에 소정형상으로 천공 형성된 안내홀; 상기 개폐부의 양쪽 측면 상단에 서로 이격 형성된 힌지홀;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핀; 및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이동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내홀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핀을 전단에 지지하며 상기 지지핀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 상기 제1 안내홈의 후단에 연장형성되되 전방 하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의 하향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 상기 제2 안내홈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제3 안내홈; 및 상기 제3 안내홈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을 하단에 지지하는 제4 안내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개폐장치로서 프레임부, 개폐부 및 힌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개폐부의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힌지부에 의해 개폐부의 개방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프레임부와 개폐부에 각각 고정부가 설치되어 개폐부를 폐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개폐부의 폐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에 의해 개폐부의 폐쇄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고정부가 프레임부의 제1 자석부와 개폐부의 제2 자석부로 이루어지며 제1 자석부가 전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통전상태에 따라 고정부 사이의 부착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가 개폐부의 회전에 의해 부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개폐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부위가 설치되고 하부에 고정부가 설치된 판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보관함의 보관공간의 전면에 대한 폐쇄가 용이하며 프레임부와 개폐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보관함의 보관공간의 전면에 프레임부, 개폐부, 힌지부 및 고정부로 이루어진 개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관함의 보관공간에 대한 개폐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보관공간에 보관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의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5의 "A"부에 대한 확대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관함의 개폐장치의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도 4의 "A"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개폐장치는, 프레임부(20), 개폐부(30) 및 힌지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부에 보관공간(11)이 형성된 보관함(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관함의 개폐장치는, 프레임부(20)와 개폐부(30)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부(30)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프레임부(20)는, 보관함(10)의 내부에 다양한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함(10)의 보관공간(1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결합수단으로서, 전면프레임(21), 후면프레임(22), 측면프레임(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프레임(21)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서 프레임부(20)의 전면에 설치되어 개폐부(30)의 전면 둘레를 지지하게 되고, 후면프레임(22)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서 전면프레임(21)의 내향면 후방에 절곡형성되어 개폐부(30)의 후면 둘레를 지지하게 되고, 측면프레임(23)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서 전면프레임(21)의 외향면에서 후방에 절곡형성되어 보관함(10)의 전면에 끼워맞춤되어 피스 등의 체결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개폐부(30)는, 프레임부(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보관함(10)의 보관공간(11)의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으로서, 양쪽 측면 상부에 힌지부위가 설치된 판체(31)와, 판체(31)의 후면 둘레에 내향으로 절곡형성되고 하부에 고정부(50)가 설치된 후방프레임(32)과, 판체(31)의 전면 하부에 일부가 절취되어 절취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3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개폐부(30)의 판체(31)에는, 사진이나 문양을 설치하도록 유리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유리판의 둘레에는 조명램프를 설치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힌지부(4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와 개폐부(30) 사이의 힌지결합부위에 설치되어 개폐부(3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안내홀(41), 힌지홀(42, 43), 지지핀(44), 이동핀(45), 핀케이스(46)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홀(41)은, 프레임부(20)의 양쪽 측면 상단에 지지핀(44)과 이동핀(4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소정형상으로 천공 형성되며, 제1 안내홈(41a), 제2 안내홈(41b), 제3 안내홈(41c), 제4 안내홈(41d)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안내홈(41a)은, 수평방향의 일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부(30)의 폐쇄상태에서 지지핀(44)을 전단에 지지하고 이동핀(45)을 후단에 지지하며, 개폐부(30)의 개방상태에서 지지핀(44)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다.
제2 안내홈(41b)은, 제1 안내홈(41a)의 후단에서 하향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방이 볼록하도록 만곡형성되어, 개폐부(30)의 회전시 이동핀(45)의 하향이동 및 상향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다.
제3 안내홈(41c)은, 제2 안내홈(41b)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즉 수평방향의 일자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개폐부(30)의 개방상태에서 이동핀(45)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다.
제4 안내홈(41d)은, 제3 안내홈(41c)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개폐부(30)의 개방상태에서 이동핀(45)을 하단에 지지하는 개폐부(30)의 회전을 차단하여 개방상태로 고정시키는 안내홈이다.
힌지홀(42, 43)은, 개폐부(30)의 양쪽 측면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며, 지지핀(44)이 결합되는 제1 힌지홀(42)과, 이동핀(45)이 결합되는 제2 힌지홀(43)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핀(44)은, 제1 힌지홀(42)에 결합되어 안내홀(41)을 따라 이동하며 개폐부(3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개폐부(30)의 회전시 제1 안내홈(41a)의 전단에 지지되어 지지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지지핀(44)의 선단에는 선단 고정편(44b)이 고정결합되고, 후단에는 후단 고정편(44c)이 고정결합되고, 선단 고정편(44b)과 후단 고정편(44c) 사이에는 스프링(44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핀(44)은 개폐부(30)의 내측 상단 양쪽에 결합된 핀케이스(46)의 내부에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44a)과 선단 고정편(44b)과 후단 고정편(44c)에 의해서 탄지되며 제1 힌지홀(42)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즉, 프레임부(20)에 개폐부(30)의 결합시 개폐부(30)의 상단 양쪽에 탄지된 지지핀(44)을 가압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프레임부(20)와 개폐부(3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동핀(45)은, 제2 힌지홀(43)에 결합되어 안내홀(41)을 따라 이동하며 개폐부(30)의 회전을 안내하는 이동수단으로서, 개폐부(30)의 회전시 제2 안내홈(41b)의 만곡부위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동핀(45)의 선단에는 선단 고정편(45b)이 고정결합되고, 후단에는 후단 고정편(45c)이 고정결합되고, 선단 고정편(45b)과 후단 고정편(45c) 사이에는 스프링(45a)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핀(45)은 개폐부(30)의 내측 상단 양쪽에 결합된 핀케이스(46)의 내부에 슬라이딩 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45a)과 선단 고정편(45b)과 후단 고정편(45c)에 의해서 탄지되며 제2 힌지홀(43)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있다.
즉, 프레임부(20)에 개폐부(30)의 결합시 개폐부(30)의 상단 양쪽에 탄지된 이동핀(45)을 가압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프레임부(20)와 개폐부(30)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고정부(50)는, 도 1,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와 개폐부(30)에 각각 설치되어 개폐부(30)를 프레임부(20)에 폐쇄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서, 프레임부(20)의 후면프레임(22)의 하단에 설치된 제1 자석부(51)와, 개폐부(30)의 후방프레임(32)의 하단에 설치된 제2 자석부(52)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부(50)의 제1 자석부(51)와 제2 자석부(52)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제1 자석부(51)와 제2 자석부(52)의 접촉부위가 서로 다른 자극으로 형성되어, 제1 자석부(51)와 제2 자석부(52) 사이의 접촉시 자력에 의해 부착되므로, 프레임부(20)에 개폐부(30)가 폐쇄상태로 유지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 자석부(51)와 제2 자석부(52) 사이의 분리시에는, 제1 자석부(51)와 제2 자석부(52)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자극이 서로 분리되도록 제2 자석부(52)가 설치된 개폐부(30)를 상방으로 회전시, 프레임부(20)에서 개폐부(30)가 분리되어 보관함(10)의 보관공간(11)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50)의 제1 자석부(51)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1 자석부(51)로의 통전을 제어함으로써 고정부(50)의 고정지지력의 작용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보관함의 개폐장치의 개폐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30)가 프레임부(20)에 폐쇄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지지핀(44)이 제1 안내홈(41a)의 전단에 지지되고, 이동핀(45)이 제1 안내홈(41a)의 후단에 지지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30)가 프레임부(20)에서 회전되어 일부 개방되는 경우에는, 지지핀(44)이 제1 안내홈(41a)의 전단에 지지되고, 이동핀(45)이 제2 안내홈(41b)의 만곡부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30)가 프레임부(20)에서 회전되어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에는, 지지핀(44)이 제1 안내홈(41a)의 전단에 지지되고, 이동핀(45)이 제2 안내홈(41b)의 전단에 지지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부(3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프레임부(20)에 완전히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지지핀(44)이 제1 안내홈(41a)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 제2 안내홈(41b)의 만곡부위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지지되고, 이동핀(45)이 제3 안내홈(41c)의 후방으로 이동한 후 제4 안내홈(41c)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30)가 폐쇄 유지상태에서 개방 유지상태로 동작하는 개방동작에 대해 설명했으나, 개폐부(30)가 개방 유지상태에서 폐쇄 유지상태로 동작하는 폐쇄동작은 상기 개방동작의 역방향으로 지지핀(44)과 이동핀(45)이 동작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개폐장치로서 프레임부, 개폐부 및 힌지부를 포함함으로써, 개폐부의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힌지부에 의해 개폐부의 개방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프레임부와 개폐부에 각각 고정부가 설치되어 개폐부를 폐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개폐부의 폐쇄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에 의해 개폐부의 폐쇄상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가 프레임부의 제1 자석부와 개폐부의 제2 자석부로 이루어지며 제1 자석부가 전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통전상태에 따라 고정부 사이의 부착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자석부와 제2 자석부가 개폐부의 회전에 의해 부착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부의 상부에 힌지결합부위가 설치되고 하부에 고정부가 설치된 판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보관함의 보관공간의 전면에 대한 폐쇄가 용이하며 프레임부와 개폐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보관함의 보관공간의 전면에 프레임부, 개폐부, 힌지부 및 고정부로 이루어진 개폐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관함의 보관공간에 대한 개폐의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보관공간에 보관된 물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보관함 20: 프레임부
30: 개폐부 40: 힌지부
50: 고정부

Claims (6)

  1.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로서,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보관함의 보관공간 전면을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의 힌지결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양쪽 측면 상단에 소정형상으로 천공 형성된 안내홀;
    상기 개폐부의 양쪽 측면 상단에 서로 이격 형성된 힌지홀;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핀; 및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개폐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이동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개폐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1 자석부와, 상기 개폐부에 설치된 제2 자석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은,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핀을 전단에 지지하며 상기 지지핀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홈;
    상기 제1 안내홈의 후단에 연장형성되되 전방 하향으로 만곡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의 하향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홈;
    상기 제2 안내홈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의 후방이동을 안내하는 제3 안내홈; 및
    상기 제3 안내홈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핀을 하단에 지지하는 제4 안내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의 개폐장치.
KR1020120142521A 2012-12-10 2012-12-10 보관함의 개폐장치 KR10149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21A KR101499049B1 (ko) 2012-12-10 2012-12-10 보관함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521A KR101499049B1 (ko) 2012-12-10 2012-12-10 보관함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03A KR20140074503A (ko) 2014-06-18
KR101499049B1 true KR101499049B1 (ko) 2015-03-05

Family

ID=5112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21A KR101499049B1 (ko) 2012-12-10 2012-12-10 보관함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72A (ko) * 2020-02-25 2021-09-02 키오스크코리아(주)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5149A (zh) * 2021-02-26 2021-06-18 山东福源节能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低温余热超导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873Y1 (ko) * 2005-08-23 2006-01-24 한용일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KR200434706Y1 (ko) * 2006-09-28 2006-12-26 윤임식 살균기능이 구비된 개인 사물함
KR20110045128A (ko) * 2009-10-26 2011-05-04 정옥교 체결부 은폐 체결구조의 금속재 조립식 안전 사물함
KR20120041388A (ko) * 2010-10-21 2012-05-02 장희용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873Y1 (ko) * 2005-08-23 2006-01-24 한용일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KR200434706Y1 (ko) * 2006-09-28 2006-12-26 윤임식 살균기능이 구비된 개인 사물함
KR20110045128A (ko) * 2009-10-26 2011-05-04 정옥교 체결부 은폐 체결구조의 금속재 조립식 안전 사물함
KR20120041388A (ko) * 2010-10-21 2012-05-02 장희용 상하 개폐식 가구 도어용 경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72A (ko) * 2020-02-25 2021-09-02 키오스크코리아(주)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KR102403934B1 (ko) * 2020-02-25 2022-05-31 키오스크코리아(주)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503A (ko)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546B2 (en) Cabinet security system
JP2003207263A (ja) 冷蔵庫
ES2958852T3 (es) Unidad ex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y carcasa del mismo
KR101499049B1 (ko) 보관함의 개폐장치
EP2305516A1 (en) Modular clothes-hanger device
US20180142945A1 (en) Refrigerator with hinged mullion assembly
JP5352849B2 (ja) ショウケースユニット及びショウケース
KR20110079966A (ko) 냉장고
JP3390141B2 (ja) 展示ケース付保管庫
JPH085615Y2 (ja) 棚付の収納ボックス
KR101415692B1 (ko) 유골함 안치단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골함 안치단
KR100838341B1 (ko) 진열장의 도아 개폐장치
JP2004305491A (ja) 昇降吊戸棚
KR100878321B1 (ko) 전면개폐형 진열장
KR200450161Y1 (ko) 무인 보관함
KR200254214Y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부 조립구조
KR100791593B1 (ko) 라이터용 진열장
KR101211057B1 (ko) 바닥 매입형 진열장
KR100616764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잠금장치
CN211961401U (zh) 抽屉式储物柜
KR100553098B1 (ko) 차량용 오버 헤드 콘솔
JP2000248790A (ja) 磁石構造ロック機構
KR101936652B1 (ko)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봉안함 안치단의 도어 장치
JP3088473U (ja) 扉開閉式キャビネット
JP2001120396A (ja) 展示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