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73A -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73A
KR20220000373A KR1020210081708A KR20210081708A KR20220000373A KR 20220000373 A KR20220000373 A KR 20220000373A KR 1020210081708 A KR1020210081708 A KR 1020210081708A KR 20210081708 A KR20210081708 A KR 20210081708A KR 20220000373 A KR20220000373 A KR 20220000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shield
contact element
mark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미르 아보울카셈
마티아스 바이드너
한스-디터 푸리
외르크 베른스토프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0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위한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맞물림 부분(103)을 갖는 제1 차폐부(102)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위한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수용 부분(203)을 갖는 제2 차폐부(202)를 갖는다. 맞물림 부분(103)은 수용 부분(203)과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맞물림 부분(103)의 외부 측면(105)은 마킹(104)을 갖는다. 수용 부분(203)은 관통 개구(204)를 갖는다. 마킹(104)은, 마킹(104)이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관통 개구(105)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차폐부(102)의 외부 측면(105)에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PLUG CONNECTORS FOR A PLUG CONNECTOR SYSTEM, PLUG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LUG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각각의 경우에 독립항의 특징들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들에서 유리한 개량예들이 드러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1 플러그 커넥터는 맞물림 부분을 갖는 제1 차폐부를 갖는다. 맞물림 부분은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차폐부에 맞물림하도록 제공된다. 맞물림 부분의 외부 측면은 마킹을 갖는다. 마킹은, 마킹이 제2 플러그 커넥터의 관통 개구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차폐부의 외부 측면에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마킹이 완전히 보이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의 조립 동안,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차폐부가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차폐부 내에서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는 제1 플러그 커넥터와 제2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없는 방식으로 위치결정 및 배향될 수 있다. 적절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1 플러그 커넥터는 마킹을 갖는다. 제1 플러그 커넥터와 제2 플러그 커넥터를 정합하는 동안, 마킹이 관통 개구 내에 완전히 배열되고 그리고 그 안에서 완전히 보이게 되는 경우,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차폐부 내에서의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차폐부의 정확한 위치가 유리하게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접촉 요소를 갖는다. 제1 접촉 요소 및 제1 차폐부는 동심으로 배열된다. 제1 접촉 요소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접촉 요소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마킹은,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가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다. 마킹은, 유리하게는 제1 접촉 요소가 제2 접촉 요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맞물림 부분이 수용 부분 내에 배열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킹을 갖는 맞물림 부분의 세그먼트는 맞물림 부분의 나머지 세그먼트보다 길다. 마킹을 갖는 세그먼트가 제2 차폐부의 관통 개구를 막기 위해 제공되며,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의 전자기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분은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라멜라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개구들을 갖는다. 마킹은 개구들이 접촉 라멜라(contact lamellae)의 구역들에 배열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차폐부 및 제2 차폐부는 서로 압입될(press-fitted) 수 있다. 마킹은 유리하게는, 제1 차폐부 및 제2 차폐부의 압입을 위해 맞물림 부분이 수용 부분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차폐부들은 개구들이 접촉 라멜라의 구역들에 배열된 경우에만 서로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차폐부들은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2 플러그 커넥터는 수용 부분을 갖는 제2 차폐부를 갖는다. 수용 부분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차폐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수용 부분을 관통 개구를 갖는다. 관통 개구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마킹이 관통 개구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마킹이 완전히 보이게 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차폐부 내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차폐부의 정확한 위치는, 마킹이 관통 개구 내에 완전히 배열되고 그 안에서 완전히 보이게 될 때 유리하게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 커넥터는 제2 접촉 요소를 갖는다. 제2 접촉 요소 및 제2 차폐부는 동심으로 배열된다. 제2 접촉 요소는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접촉 요소에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마킹은,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가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다. 마킹은 유리하게는 제1 접촉 요소가 제2 접촉 요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접촉 요소는 제1 접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접촉 포크로서 설계된 접촉 구조를 갖는다. 제2 접촉 요소의 접촉 포크로서 설계된 접촉 구조는 유리하게는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가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는 제2 접촉 요소의 접촉 구조 영역에 배열되고, 접촉 구조는 제1 접촉 요소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관통 개구의 위치는 유리하게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중에 검사가 실행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에,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접촉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2 접촉 요소가 위치결정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 부분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개구들에 맞물리도록 제공된 접촉 라멜라를 갖는다. 마킹은 접촉 라멜라가 개구들의 구역들에 배열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차폐부 및 제2 차폐부는 서로 압입될 수 있다. 마킹은 유리하게는, 제1 차폐부 및 제2 차폐부의 압입을 위해 맞물림 부분이 수용 부분 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은,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2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다. 이 경우에,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차폐부의 맞물림 부분은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차폐부의 수용 부분에 맞물린다.
일 실시예에서, 맞물림 부분은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라멜라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개구들을 갖는다. 수용 부분은 제1 플러그 커넥터의 개구에 맞물리도록 제공된 접촉 라멜라를 갖는다. 제1 차폐부 및 제2 차폐부는 개구들 및 접촉 라멜라에 의해 서로 압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는 제1 접촉 요소를 갖고 제2 플러그 커넥터는 제2 접촉 요소를 갖는다. 제1 접촉 요소 및 제1 차폐부는 동심으로 배열된다. 제2 접촉 요소 및 제2 차폐부는 동심으로 배열된다.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는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 단계들을 갖는다. 제1 플러그 커넥터의, 마킹이 제공된 제1 차폐부는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제2 차폐부에 삽입된다. 마킹이 제2 차폐부의 관통 개구 구역에 배열되어 있고 그 안에서 완전히 보이게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는 마킹이 확인 단계 후에 완전히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관통 개구 구역에 마킹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리고/또는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방법 단계에서, 마킹이 완전히 보이게 될 때 제1 차폐부 및 제2 차폐부가 서로 압입된다.
위에서 설명된 발명은 개략적인 도면들과 함께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평면도로,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의 일부를 사시도 및 확대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단면도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추가 단면도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축 방향에 대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제2 플러그 커넥터의 관통 개구에 대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마킹 위치에 대한 4 개의 상이한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축 방향에 대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관통 개구에 대한 마킹의 위치에 대한 4 개의 추가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은 동축 연결 시스템으로 설계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은 제1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00)를 갖는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예를 들어 어댑터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은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연결부(10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연결부(101)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다른 장치의 연결부에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예로서 동축 케이블(201)에 연결된다. 그러나,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동축 케이블(201)이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동축 케이블(201)을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반면,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어댑터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제1 차폐부(102)를 갖는다. 제1 차폐부(102)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폐부(102)는 주석 도금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차폐부(102)의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차폐부(102)는 또한 내식성 또는 다른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다른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제1 차폐부(102)는 맞물림 부분(103)을 갖는다.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2 차폐부(202)를 갖는다. 제2 차폐부(20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폐부(202)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주석 도금되거나 또한 다른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제2 차폐부(202)는 수용 부분(203)을 갖는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차폐부(102)의 맞물림 부분(103)이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의 수용 부분(203)에 맞물리기 때문에, 맞물림 부분(103)은 도 1에서 볼 수 없다.
예로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은 특히 제1 차폐부(102)가 동축 케이블(201)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제2 차폐부(202)의 일부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각진 설계(angled design)를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 사항이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은 또한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은 또한 선형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에 대한 제1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00)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과 대조적으로, 제1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정합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정합 동안,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차폐부(102)가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 내에서 제1 축 방향(10)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1 차폐부(102)는 제2 차폐부(202) 내에서 제1 축 방향(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없는 방식으로 위치결정 및 배향될 수 있다. 이 설명의 맥락 내에서, 적절한 연결은 기계적으로 안정적이고 그리고 전기적 특성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지칭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1 차폐부(102)의 맞물림 부분(103)은 마킹(104)을 갖는다. 마킹(104)은 제1 차폐부(102)의 외부 측면(105) 상에 배열된다. 예로서, 마킹(104)은 원형 설계를 갖는다. 그러나, 마킹(104)은 또한 다른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킹(104)은 십자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마킹(104)은 예를 들어, 제1 차폐부(102)가 레이저로 조사되는 기계 가공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킹(104)은 또한 예를 들어 기계적 엠보싱 프로세스에 의해, 예를 들어 스탬핑 프로세스에 의해 다른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수용 부분(203)은 관통 개구(204)를 갖는다. 예로서, 관통 개구(204)는 원형 설계를 갖는다. 그러나, 관통 개구(204)는 다른 설계, 예를 들어 직사각형 설계를 가질 수 있다. 관통 개구(204)는 제2 차폐부(202)에서, 예를 들어, 보링 프로세스(boring process) 또는 펀칭 프로세스(punching process)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평면도로, 도 3에 마킹된 구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일부를 사시 확대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마킹(104) 및 관통 개구(204)는 마킹(104)이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전체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된다. 예로서, 도 3은 마킹(104)이 예를 들어 관통 개구(204)의 중심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1 차폐부(102)가 제2 차폐부(202)에 맞물리며, 이에 의해 마킹(104)이 이 경우에 완전히 보이게 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이 가능한 방식으로 제1 차폐부(102)가 제2 차폐부(200)와 맞물리기 때문에,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있다. 제2 차폐부(202)와 맞물리도록 제공된 맞물림 부분(103) 그리고 반대로 제1 차폐부(102)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수용 부분(204)의 치수들은, 제1 차폐부(102)의 외부 측면(105) 상의 마킹(104)의 위치 및 제2 차폐부(204)에서 관통 개구(204)의 위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도 4는 단면도에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에, 단면은 제1 축 방향(10)과 제2 축 방향(20)에 걸쳐있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00) 내부의 구성요소들이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제1 접촉 요소(106)를 갖는다.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1 차폐부(102)는 동심으로 배열되는데, 이는 필수가 아니다. 제1 접촉 요소(106)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요소(106)는 추가로 은 도금 또는 주석 도금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접촉 요소(106)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 사항이 아니다. 제1 접촉 요소(106)는 예로서, 제1 연결부(101)에서 슬리브로 설계된다. 그러나, 제1 접촉 요소(106)는 또한 제1 연결부(101)에서 예를 들어 핀으로서 상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또한 상이한 수의 제1 접촉 요소들(106)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2 접촉 요소(206)를 갖는다. 제2 접촉 요소(206) 및 제2 차폐부(203)는 동심으로 배열되는데, 이는 필수가 아니다. 제2 접촉 요소(206)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 요소(206)는 주석 도금될 수 있다.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또한 상이한 수의 제2 접촉 요소들(206)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접촉 요소(106)는,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접촉 요소(206)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도 4에서,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접촉 요소들(106, 206)이 서로 적절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에,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 내에 완전히 배열되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204)는 제2 접촉 요소(206)의 접촉 구조(205)의 구역에 배열되고, 접촉 구조는 제1 접촉 요소(106)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 내에 제2 접촉 요소(206)를 설치하는 동안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제2 접촉 요소(206)의 접촉 구조(205)는 즉, 제1 접촉 요소(106)가 접촉 구조(205)에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접촉 요소(206)는 접촉 구조(205)가 관통 개구(204)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에 있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되어야 한다. 이는, 관통 개구가 검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관통 개구(204)가 반드시 접촉 구조(205)의 구역에 배열될 필요는 없다.
제1 접촉 요소(106)를 수용하기 위해, 접촉 구조(205)는 예를 들어, 접촉 포크(contact fork)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제1 접촉 요소(106)가 접촉 포크로서 설계된 접촉 구조(205)의 2 개의 포크 부분들 사이에 맞물릴 수 있기 때문에,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가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접촉 요소(106)는 제1 연결부(101)의 반대쪽 단부에서 핀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접촉 구조(205)는 반드시 접촉 포크로 설계될 필요는 없다. 제1 접촉 요소(106)가 제1 연결부(101)의 반대쪽 단부에서 상이한 설계를 갖는 경우, 접촉 구조(205)는 마찬가지로 제1 접촉 요소(106)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 요소(106)는 제1 연결부(101)의 반대쪽 단부에서 슬리브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접촉 구조가 핀으로 설계되는 것이 편리하다.
제2 접촉 요소(206)는, 접촉 구조(205)의 반대편에 있는 제2 접촉 요소(206)의 측면에 추가 접촉 구조(207)를 갖는다. 추가 접촉 구조(207)는 동축 케이블(201)의 내부 전도체(208)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에서, 동축 케이블(201)의 내부 전도체(208)는 추가 접촉 구조(207)를 통해 제2 접촉 요소(206)에 연결된다. 동축 케이블(201)은 또한 외부 전도체(209) 및 절연체(210)를 갖는다. 동축 케이블(201)의 외부 전도체(209)는, 제2 차폐부(202)의 내부 측면(211)에 접하고 제2 차폐부(2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차폐부(202)의 관통 개구(204)는 제2 차폐부(202)의 차폐 기능이 관통 개구(204)의 영역에서 성취될 수 없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그러나,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배열된 제1 차폐부(102)의 일부는 유리하게는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서 차폐 기능을 취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전자기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통해 문제없이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고,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 전체가 90°단자로 설계된다.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서의 차폐 문제가 이 경우에도 발생하지 않도록,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에서, 마킹(104)을 갖는 제1 차폐부(102)의 맞물림 부분(103)의 세그먼트(107)는 맞물림 부분(103)의 나머지 세그먼트(108)보다 길다. 따라서, 마킹(104)을 갖는 세그먼트(107)는 관통 개구(204)가 세그먼트(107)의 일부에 의해 덮이는 정도까지 제1 축 방향(10) 및 제2 차폐부(202) 내로 돌출한다. 반면에, 나머지 세그먼트(108)는 제2 접촉 요소(206)에 부딪힐 것이기 때문에 제2 차폐부(202)로 그렇게 멀리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킹(104) 및 나머지 세그먼트(108)를 갖는 맞물림 부분(103)의 세그먼트(107)는 각각 반-원통형 설계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세그먼트(107)는 나머지 세그먼트보다 길다. 달리 말하면, 제1 차폐부(102)의 맞물림 부분(103)은 마킹(104)의 반대 측면에 오목부(recess)를 갖는다. 오목부는 제1 접촉 요소(106)에 수직으로 배열된 제2 접촉 요소(206)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또한 제1 유전체 삽입물(112)을 갖는다. 제1 유전체 삽입물(112)은 제1 차폐부(102) 내에 배열된다. 제1 접촉 요소(106)는 제1 유전체 삽입물(112) 내에 배열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2 유전체 삽입물(212)을 갖는다. 제2 유전체 삽입물(212)은 제2 차폐부(202) 내에 배열된다. 제2 접촉 요소(206)는 제2 유전체 삽입물(212) 내에 배열된다. 유전체 삽입물(112, 212) 각각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삽입물들(112, 212) 각각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 삽입물들(112, 212)은 추가적으로 유리 섬유로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체 삽입물들은 15 % 유리 섬유 강화 PBT(PBT GF 15)를 함유할 수 있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의 추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에, 단면은 제1 축 방향(10)을 포함하고 제2 축 방향(20)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설계된 평면을 따라 연장되며, 이에 의해 특히,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내부에 있는 요소들을 볼 수 있다. 제2 접촉 요소(206)의, 접촉 포크로서 설계된 접촉 구조(205)는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다. 제1 접촉 요소(106)는 접촉 구조(205)의 2 개의 포크 부분들(213) 사이에 도달하고, 이에 의해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는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가 서로 신뢰성 있게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맞물림 부분(103)은 개구들(109)을 갖는다. 수용 부분(203)은 접촉 라멜라(214)를 갖는다. 개구들(109)은 접촉 라멜라(214)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접촉 라멜라(214)가 개구들(109) 내로 압착될 수 있다. 제1 차폐부(102)는 적어도 2 개의 상호 대향하는 개구들(109)을 갖는다. 제2 차폐부(202)는 적어도 2 개의 상호 대향하는 접촉 라멜라(214)를 갖는다.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은 총 4 개의 개구들(109) 및 4 개의 접촉 라멜라(214)를 가지며, 이들 중 상호 쌍들은 개개의 차폐부들(102, 202)의 대향 측면들에 배열된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에서,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는 개구들(109) 및 접촉 라멜라(214)에 의해 서로 압입된다. 따라서, 차폐부들(102, 202)은 서로 적절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에,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 내에 완전히 배열되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마킹(104)은 개구들(109)이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들에 배열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가 서로 압입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축 방향(10)에 대한 제1 차폐부(102)의 위치에 따라 관통 개구(204)에 대한 마킹(104)의 위치에 대한 4 개의 상이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들(11, 12, 13, 14)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1 예시적인 시나리오(11)에서, 제1 차폐부(102)는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가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차폐부(202)에서 충분히 멀리 맞물리지 않는다. 게다가, 제1 차폐부(102)는 또한 제1 차폐부(102)가 제2 차폐부(202)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차폐부(202)에서 충분히 멀리 맞물리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개구들(109)이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되지 않아, 그 결과 이들이 서로 압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되지 않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에 확립된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없다.
제2 예시적인 시나리오(12)에서, 제1 차폐부(102)는 제1 시나리오(11)에서 보다 제2 차폐부(202)에 보다 깊게, 특히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되는 방식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는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구들(109)이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확립될 수 있다.
제3 예시적인 시나리오(13)에서, 제1 차폐부(102)는 제2 시나리오(12)에서 보다 제2 차폐부(202)에 보다 깊게, 특히 마킹(104)이 여전히 완전히 보이게 되는 방식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는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구들(109)은 마찬가지로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확립될 수 있다.
제4 예시적인 시나리오(14)에서, 제1 차폐부(102)는 제3 시나리오(13)에서 보다 제2 차폐부(202)에 보다 깊게, 특히 마킹(104)이 더 이상 완전히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제1 접촉 요소(106) 및 제2 접촉 요소(206)는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제1 차폐부(102)가 제2 차폐부(202)에 너무 깊이 맞물릴 때 제2 접촉 요소(202)가 손상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폐부(102)가 제2 차폐부(202)에 너무 깊게 맞물려, 개구들(109)이 더 이상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없다.
도 7은 제1 축 방향(10)에 대한 제1 차폐부(102)의 회전에 따라 관통 개구(204)에 대한 마킹(104)의 위치에 대한 4 개의 상이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들(21, 22, 23, 24)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5 예시적인 시나리오(21)에서, 제1 차폐부(102)는, 개구들(109)이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2 차폐부(202) 내에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는 서로 압입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되지 않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없다.
제6 예시적인 시나리오(22)에서, 제5 시나리오(21)와 관련하여, 제1 차폐부(102)는 개구들(109)이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2 차폐부(202) 내에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는 서로 압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되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확립될 수 있다.
제7 예시적인 시나리오(23)에서, 제6 시나리오(22)와 관련하여, 제1 차폐부(102)는 개구들(109)이 여전히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제2 차폐부(202) 내에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는 서로 압입될 수 있다.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되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확립될 수 있다.
제8 예시적인 시나리오(24)에서, 제7 시나리오(23)와 관련하여, 제1 차폐부(102)는 개구들(109)이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에 더 이상 배열되지 않는 방식으로 제2 차폐부(202) 내에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는 서로 압입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마킹(104)은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되지 않고 그리고 완전히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와 제2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적절한 연결이 보장될 수 없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시나리오(11, 12, 13, 14, 21, 22, 23, 24) 외에도, 다른 시나리오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제1 차폐부는 제2 차폐부 내에서 이동되고 그리고 동시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범위한 다양한 시나리오들이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30)의 방법 단계들(31, 32, 33, 34)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1 방법 단계(31)의 맥락 내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마킹(104)이 제공된 제1 차폐부(102)는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에 삽입된다. 이는, 제1 방법 단계(31)가 실행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센서들 및 액추에이터들을 갖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제2 방법 단계(32)의 맥락 내에서, 마킹(104)이 제2 차폐부(202)의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배열되고 그리고 그 안에서 완전히 보이게 되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다시 말하지만, 이 단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마킹(104)이 관통 개구(204) 내에 완전히 배열되고 완전히 보이게 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기 위해, 자동화 시스템은 검출 장치 및 평가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제3 방법 단계(33)는 또한 제1 플러그 커넥터(100)가 예를 들어 규정된 방식으로 장치에 연결되는지의 여부를 제2 플러그 커넥터(200)에 의해 확인하는데 적합하다. 이 경우에, 특히 제1 플러그 커넥터(100)가 규정된 회전을 갖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선택적 제3 방법 단계(33)의 맥락 내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마킹(104)이 확인 방법 단계(32) 후에 완전히 보이지 않는다면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되는 방식으로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마킹(104)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제1 축 방향(10)으로 이동 및/또는 축 방향(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선택적 방법 단계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인 제4 방법 단계(34)의 맥락 내에서,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되는 경우 제1 차폐부(102) 및 제2 차폐부(202)는 서로 압입된다. 예를 들어, 자동화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는 이러한 목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1 :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10 : 제1 축방향
11 : 제1 시나리오
12 : 제2 시나리오
13 : 제3 시나리오
14 : 제4 시나리오
20 : 제2 축방향
21 : 제5 시나리오
22 : 제6 시나리오
23 : 제7 시나리오
24 : 제8 시나리오
30 :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1 : 제1 방법 단계
32 : 제2 방법 단계
33 : 제3 방법 단계
34 : 제4 방법 단계
100 : 전기 플러그 커넥터
101 : 제1 연결부
102 : 제1 차폐부
103 : 맞물림 부분
104 : 마킹
105 : 제1 차폐부의 외부 측면
106 : 제1 접촉 요소
107 : 마킹을 갖는 맞물림 부분의 세그먼트
108 : 맞물림 부분의 나머지 세그먼트
109 : 개구들
112 : 제1 유전체 삽입물
200 : 제2 플러그 커넥터
201 : 동축 케이블
202 : 제2 차폐부
203 : 수용 부분
204 : 제2 차폐부의 관통 개구
205 : 제2 접촉 요소의 접촉 구조
206 : 제2 접촉 요소
207 : 추가 접촉 디바이스
208 : 동축 케이블의 내부 전도체
209 :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전도체
210 : 동축 케이블의 절연부
211 : 제2 차폐부의 내부 측면
212 : 제2 유전체 삽입물
213 : 접촉 구조의 포크 부분들
214 : 접촉 라멜라

Claims (16)

  1.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용 제1 플러그 커넥터(100)로서,
    맞물림 부분(103)을 갖는 제1 차폐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부분(103)은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와 맞물리도록 제공되며,
    상기 맞물림 부분(103)의 외부 측면(105)은 마킹(104)을 가지고,
    상기 마킹(104)은, 상기 마킹(104)이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차폐부(102)의 외부 측면(105)에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상기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1 플러그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접촉 요소(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 요소(106) 및 상기 제1 차폐부(102)는 동심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접촉 요소(106)는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접촉 요소(206)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마킹(104)은, 상기 제1 접촉 요소(106)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206)가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1 플러그 커넥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104)을 갖는 상기 맞물림 부분(103)의 세그먼트(107)는 상기 맞물림 부분(103)의 나머지 세그먼트(108)보다 긴,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1 플러그 커넥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분(103)은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 라멜라(214)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개구들(109)를 가지며,
    상기 마킹(104)은 상기 개구들(109)이 상기 접촉 라멜라(214)의 구역들에 배열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차폐부(102) 및 상기 제2 차폐부(202)가 서로 압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1 플러그 커넥터.
  5.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용 제2 플러그 커넥터(200)로서,
    수용 부분(203)을 갖는 제2 차폐부(20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부분(203)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차폐부(102)를 수용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수용 부분(203)은 관통 개구(204)를 가지며,
    상기 관통 개구(204)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마킹(104)이 상기 관통 개구(204)의 구역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되며, 이에 의해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2 플러그 커넥터.
  6. 제5 항에 있어서,
    제2 접촉 요소(20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촉 요소(206) 및 상기 제2 차폐부(202)는 동심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접촉 요소(206)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접촉 요소(106)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마킹(104)은, 상기 제1 접촉 요소(106)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206)가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6 플러그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요소(206)는 상기 제1 접촉 요소(106)를 수용하기 위한 접촉 포크로서 설계된 접촉 구조(205)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2 플러그 커넥터.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204)는 상기 제2 접촉 요소(206)의 접촉 구조(205)의 구역에 배열되고, 상기 접촉 구조는 상기 제1 접촉 요소(106)를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2 플러그 커넥터.
  9.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분(203)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개구들(109)에 맞물리도록 제공된 접촉 라멜라(214)를 가지며,
    상기 마킹(104)은 상기 접촉 라멜라(214)가 상기 개구들(109)의 구역들에 배열될 때 완전히 보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차폐부(102) 및 상기 제2 차폐부(202)는 서로 압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제2 플러그 커넥터.
  10.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으로서,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플러그 커넥터(100) 및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2 플러그 커넥터(200)를 가지며,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1 차폐부(102)의 맞물림 부분(103)은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의 수용 부분(203)에 맞물리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분(103)은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접촉 라멜라(214)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개구들(109)를 가지며,
    상기 수용 부분(203)은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개구(109)에 맞물리도록 제공된 접촉 라멜라(214)를 가지고,
    상기 제1 차폐부(102) 및 상기 제2 차폐부(202)는 상기 개구들(109) 및 상기 접촉 라멜라(214)에 의해 서로 압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제1 접촉 요소(106)를 갖고,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는 제2 접촉 요소(206)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촉 요소(106) 및 상기 제1 차폐부(102)는 동심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접촉 요소(206) 및 상기 제2 차폐부(202)는 동심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 접촉 요소(106)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206)는 서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요소(106) 및 상기 제2 접촉 요소(206)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14. 제10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30)으로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00)의, 마킹(104)이 제공된 제1 차폐부(102)를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00)의 제2 차폐부(202)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마킹(104)이 상기 제2 차폐부(202)의 관통 개구(204) 구역에 배열되어 있고 그 안에서 완전히 보이게 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제1 플러그 커넥터(100)는 상기 마킹(104)이 상기 확인 단계 후에 완전히 보이지 않는 경우 상기 마킹(104)이 완전히 보이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관통 개구(204) 구역에 상기 마킹(104)을 위치결정하기 위해 축 방향(10)으로 이동되고 그리고/또는 축 방향(1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이 완전히 보이게 될 때 상기 제1 차폐부(102) 및 상기 제2 차폐부(202)를 서로 압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210081708A 2020-06-25 2021-06-23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220000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6736.9A DE102020116736A1 (de) 2020-06-25 2020-06-25 Steckverbinder für ein Steckverbindersystem, Steckverbinder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eckverbindersystems
DE102020116736.9 2020-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73A true KR20220000373A (ko) 2022-01-03

Family

ID=7660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708A KR20220000373A (ko) 2020-06-25 2021-06-23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70897B2 (ko)
EP (1) EP3930110B1 (ko)
JP (1) JP2022022991A (ko)
KR (1) KR20220000373A (ko)
CN (1) CN113851900A (ko)
DE (1) DE102020116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4151A1 (de) * 2022-02-22 2023-08-24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0895A1 (en) 1980-09-06 1982-03-18 P Kellett Accelerometers
DE9003258U1 (ko) * 1990-03-20 1990-05-23 Pvt Praezisions-Verbindungstechnik Und Steuerungsbau Gmbh, 7031 Steinenbronn, De
DE9421306U1 (de) 1994-07-28 1995-09-28 Harting Elektronik Gmbh Koaxial-Steckverbindung
FR2781934B1 (fr) * 1998-07-31 2000-10-06 Radiall Sa Element de connecteur coaxial comportant un raccord pour relier le conducteur central d'un cable coaxial au contact central de l'element de connecteur
US6860761B2 (en) * 2003-01-13 2005-03-01 Andrew Corporatio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US7347726B2 (en) 2004-01-23 2008-03-25 Andrew Corporation Push-on connector interface
US6948977B1 (en) 2004-08-05 2005-09-27 Bob Behrent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y method
WO2007098617A1 (de) * 2006-02-28 2007-09-07 Huber+Suhner Ag Abgewinkelter steckverbinder für koaxialkabel
EP2053705B1 (de) * 2007-10-23 2017-05-0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Winkelstecker
DE102009043516A1 (de) * 2009-09-30 2011-04-07 Tyco Electronics Amp Gmbh Zweiteiliges Kontaktelement für Hochspannungssteckverbinder
KR20200116736A (ko) 2019-04-02 2020-10-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로터디스크 댐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408733A1 (en) 2021-12-30
EP3930110B1 (en) 2024-04-10
CN113851900A (zh) 2021-12-28
EP3930110A1 (en) 2021-12-29
JP2022022991A (ja) 2022-02-07
DE102020116736A1 (de) 2021-12-30
US11670897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642B1 (ko) 직각 동축 전기 커넥터 및 적절한 조립 검증 방법
KR100895565B1 (ko) 커넥터
KR101798801B1 (ko) 커넥터
EP3399597B1 (en) Float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and method thereof
US20210359469A1 (en) Connector assembly
WO2009064528A1 (en) Electrical connector mating guide
CN103238254A (zh) 电插头连接器
US9106009B2 (en)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9722348B2 (e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lug-in connectors and multiple plug-in connector
JP4922612B2 (ja) 電気コネクタ
EP2209171A2 (en) Incorrect fitting-preventing keys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220000373A (ko)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용 플러그 커넥터들,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 및 플러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20140141661A1 (en) Electrical contact element
CN114747303B (zh) 用于自动化组装的电子器件壳体
EP0992819A1 (en) Optical waveguide plug connector for a mechanically releasable connection between at least one OWG connector pair and a mating connector
KR20230069854A (ko) 동축 플러그를 위한 접촉 배열체 및 다중 접촉 배열체
EP3809536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EP3595416B1 (en) Control unit having press-fit structure
EP2169779A1 (en) Electromagnetic shield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20240055795A1 (en) Electrical device, device connection part for the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device
CA2361452A1 (en) Hf coaxial angled plug connector part
JP5216505B2 (ja) 位置決め部材、及び、位置決め構造
US8313341B1 (en) Guide element for a connector device
CN115621768A (zh) 连接器及线束
KR20180040761A (ko) 기판 실장형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