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494A -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494A
KR20210158494A KR1020200076866A KR20200076866A KR20210158494A KR 20210158494 A KR20210158494 A KR 20210158494A KR 1020200076866 A KR1020200076866 A KR 1020200076866A KR 20200076866 A KR20200076866 A KR 20200076866A KR 20210158494 A KR20210158494 A KR 20210158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ate
alcohol
ceramide
moisturizing
disinfect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건
Original Assignee
(주)진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바이오 filed Critical (주)진우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7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494A/ko
Priority to PCT/KR2021/007895 priority patent/WO2021261916A1/ko
Publication of KR20210158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성분을 함유한 알코올계소독제 조성물은 알코올에 기인한 소독 또는 살균 효과가 우수 할 뿐만 아니라, 기존 알코올계 소독제와 달리 반복 사용에도 피부가 건조하지 않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다양한 분자량대의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수용화된 세라마이드 등을 활용하여 화장품 제형화를 위한 화학 합성 부형제 사용 없이 얼굴, 손 등에 적용 가능한 미스트 제형은 물론 점성이 있는 세럼, 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소독 살균효과를 갖는 화장품 제형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식용이 가능한 히알루로네이트만을 사용할 경우 구강 내와 구강 및 비강 주변에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cohol-based Disinfectants Having Moisturizing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탄올 소독제는 에탄올 농도가 30% 이상 시 소독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보다 정확하게는 70% 정도에서 가장 우수한 소독, 살균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탄올계 소독제는 소독 또는 살균 기능은 매우 우수하지만, 반복 사용 시 에탄올의 휘발성으로 인한 피부 건조함과 피부 자극성으로 인하여 아토피 질환 등의 피부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2456호는 젖산, 구연산 및 아연 이온을 포함하는 알코올계 소독제를 개시하였고, 한국공개특허 제2007-0119970호는 에탄올 30 내지 80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0.01 내지 5중량%;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0.01 내지 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알로에 베라, 글리세린, 솔비톨,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및 실리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피부보습제 0.5 내지 6중량%; 및 나머지는 물을 함유하되, 살균력 보강을 위해 중량 100g 당 0.001g∼0.01g의 나노 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은이 함유된 손 소독제를 개시하였다.
한편, 미생물 발효에 의해 제조되는 히알루로네이트는 뛰어난 수분 보유력과 이로 인한 우수한 항 노화 효과로 화장품과 식품 및 의약, 의료기기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히알루로네이트는 에탄올류의 유기 용매에는 용해되지 않기에, 활용에 제한성이 있어 현재 히알루로네이트가 고농도로 용해된 에탄올계 소독제 제품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히알루로네이트와 달리 지용성 성분인 세라마이드는 지용성 성분으로 보습력이 뛰어나지만 물과 에탄올 등의 극성 용매에는 잘 용해되지 않아 불투명한 페이스트 형태의 크림 또는 로션 형태 등의 불투명한 제형에 많이 사용될 뿐, 히알루로네이트와 동일하게 세라마이드가 고농도로 용해된 에탄올계 소독제 제품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건조함을 유발하는 알코올계 소독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세라마이드 등의 보습 성분을 물에 먼저 용해시킨 다음, 에틸알코올을 추가할 경우, 소독, 살균 기능을 유지하면서, 반복 사용에 따른 피부 건조증과 피부 자극성을 최소화하고, 피부 보습력이 증대된 다양한 형태의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 성분을 함유한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분자량이 3kDa~2.0MDa이고, 상기 세라마이드는 수용성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및 칼슘 히알루로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30~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습 성분은 0.1~2부피%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미스트, 에멀젼, 젤, 폼, 바디워시, 치약,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보습 성분 용해액에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에틸알코올의 농도가 30~70부피%, 보습 성분의 농도가 0.1~2부피%인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분자량이 3kDa~2.0MDa이고, 상기 세라마이드는 수용성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및 칼슘 히알루로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성분을 함유한 알코올계소독제 조성물은 알코올에 기인한 소독 또는 살균 효과가 우수 할 뿐만 아니라, 기존 알코올계 소독제와 달리 반복 사용에도 피부가 건조하지 않고,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다양한 분자량대의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수용화된 세라마이드 등을 활용하여 화장품 제형화를 위한 화학 합성 부형제 사용 없이 얼굴, 손 등에 적용 가능한 미스트 제형은 물론 점성이 있는 세럼, 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소독 살균효과를 갖는 화장품 제형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식용이 가능한 히알루로네이트만을 사용할 경우 구강 내와 구강 및 비강 주변에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1부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70% 에틸알코올 수용액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2부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 사진이다.
도 3은 2부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에틸알코올 용액 사진이다.
도 4는 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에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직접 용해시킨 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1부피% 세라마이드 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1부피% 세라마이드 수용액 사진이다.
도 7은 1부피% 세라마이드 에틸알코올 용액 사진이다
도 8은 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에 세라마이드를 직접 용해시킨 1부피% 세라마이드 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또는 수용성 세라마이드를 정제수로 용해시킨 후 에틸알코올을 가할 경우, 에틸알코올에 녹지 않는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또는 수용성 세라마이드를 용해시켜, 소독 또는 살균 효과가 우수 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용성 세라마이드 및 분자량이 5kDa~2.0M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각각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에틸알코올의 농도가 30~70부피%, 수용성 세라마이드의 농도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농도가 각각 0.1~1부피%인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소독제 제형 제조 시 사용하는 히알루로네이트의 분자량에 따라 화장품 제형화를 위한 화학합성 부형제 사용없이 미스트와 젤 형태로 제조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라마이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스트 형태로 제조 가능하고, 다양한 분자량대의 히알루로네이트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스트와 겔 형태로 다양하게 제조 가능하며,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 성분을 함유한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의 분자량은 3kDa~2.0MDa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kDa~1.2MDa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의 분자량이 2.0MDa를 초과할 경우, 0.3~1부피%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 농도로 30~70부피% 에틸알코올 용해 시 에탄올 함량이 최대 50% 정도까지 용해되며 이후에는 일부 에탄올수용액 내에 결정으로 석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탄올 함량이 50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용해되어 있으나 고분자량으로 인한 고점도로 인해 사용에 제한성이 있다.
상기 에틸알코올 농도가 30부피% 미만인 경우 소독 효과가 미미하며 70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일부 히알루로네이트가 결정으로 석출되므로 30~7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알코올은 식용이 가능한 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히알루로네이트에 염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칼슘 히알루로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세라마이드는 수용화된 세라마이드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또는 세라마이드 보습 성분을 1 이상 포함할 수 있는데, 전체 보습 성분은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0.1~2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 성분의 함량이 0.1부피%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능이 미미하고, 2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세라마이드 성분이 결정으로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미스트, 에멀젼, 젤, 폼, 바디워시, 치약,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사용하는 히알루로네이트의 분자량에 따라 화장품용 화학 합성 부형제 사용 없이 미스트, 세럼, 겔 등의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부형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세라마이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미스트, 세럼, 겔, 폼, 바디워시, 치약,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등으로 제형화가 가능하나, 제형화된 조성물의 안정화를 위하여 그 용도에 따라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함량을 달리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보습 성분 용해액에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에틸알코올의 농도가 30~70부피%, 보습 성분의 농도가 0.1~2부피%인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분자량이 3kDa~2.0MDa이고, 상기 세라마이드는 수용성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칼슘 히알루로네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5k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킨 다음, 주정을 가하여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0.3~1부피%, 주정 30~70부피%를 함유하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1.2M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킨 다음, 주정을 가하여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0.1~0.5부피%, 주정 30~70부피%를 함유하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2.0M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킨 다음, 주정을 가하여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0.1~0.3부피%, 주정 30~70부피%를 함유하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10k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켜 2부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수용액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에틸알코올 용액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10k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를 에틸알코올에 넣고 교반시켜 2부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에틸알코올 용액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용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에틸알코올에 바로 용해시킬 경우에는 용해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에틸알코올 수용액 제조
중량평균분자량 10k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를 70부피% 에틸알코올에 넣고 교반시켜 2부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에틸알코올 용액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용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70부피% 에틸알코올에 바로 용해시킬 경우에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실시예 4: 수용성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제조
수용성 세라마이드 (제조사: GN Cosmetics)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킨 다음, 주정을 가하여 세라마이드를 0.1~1부피%, 주정 30~70부피%를 함유하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세라마이드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 수용성 세라마이드 수용액 제조
수용성 세라마이드 (제조사: GN Cosmetics)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켜 1부피% 세라마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세라마이드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 수용성 세라마이드 에탄올용액 제조
수용성 세라마이드 (제조사: GN Cosmetics)를 에틸알코올에 넣고 교반시켜 1부피% 세라마이드 에틸알코올 용액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세라마이드가 용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6: 수용성 세라마이드 에틸알코올 수용액 제조
수용성 세라마이드 (제조사: GN Cosmetics)를 70부피% 에틸알코올에 넣고 교반시켜 1부피% 세라마이드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세라마이드가 용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세라마이드를 70부피% 에틸알코올에 바로 용해시킬 경우에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와 수용성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5k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와 수용성 세라마이드 (제조사: GN Cosmetics)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킨 다음, 주정을 가하여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0.1~1부피%, 세라마이드를 0.1~1부피%, 주정 30~70부피%를 함유하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세라마이드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와 수용성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1.2MDa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제조사: 진우바이오)와 수용성 세라마이드 (제조사: GN Cosmetics)를 정제수에 넣고 교반시킨 다음, 주정을 가하여 소듐 히알루로네이트를 0.1~0.5부피%, 세라마이드를 0.1~1부피%, 주정 30~70부피%를 함유하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및 세라마이드가 완전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보습력 확인
실시 예 1과 4 및 5에서 제조된 각각의 히알루로네이트를 0.6%, 수용성 세라미이드를 0.3%, 히알루로네이트와 세라마이드를 각각 0.6%와 0.3% 함유한 70% 에틸알코올수용액 미스트를 이용하여 피부 보습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1) 측정 기기
-제조사: 지파워 (Korea), 모델명: gpskin barrier)
-측정 항목: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g/m2/hr) 수분 지수 (%)
2) 소독제 시료
- 70부피% 에탄올 수용액 (시료 1)
- 분자량 5kDa 히알루로네이트 0.6부피% 함유한 70부피% 에탄올 수용액 (시료 2)
- 수용성 세라마이드 0.3부피% 함유한 70부피% 에탄올 수용액 (시료 3)
- 분자량 5kDa 히알루로네이트 0.6부피%, 수용성 세라마이드 0.3부피% 함유한 70부피% 에탄올 수용액 (시료 4)
3) 측정 방법
-피부 시료: 돈피 (정제수에 1시간 동안 팽윤시킨 후 사용)
- 실내 온도 23℃ 상대습도 50% 하에 10분 동안 노출 후 사용
- 돈피 내 측정 부위에 소독제 시료 투여 직전과 직후 (5분뒤)의 TWEL과 수분 지수를 측정
- 총 4개 종류의 소독제 시료를 0.1mL 씩 1시간 간격으로 3회 투여 후 5시간 경과 뒤 최종 TWEL과 수분 지수를 측정
시료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
사용전 TEWL 37
수분지수 29
1차 도포 직후 TEWL 80 78 70 70
수분지수 60 62 60 65
2차 도포 직전 TEWL 40 38 35 33
수분지수 27 29 30 35
2차 도포 직후 TEWL 80 78 65 60
수분지수 60 62 60 65
3차 도포 직전 TEWL 45 38 28 20
수분지수 25 29 30 38
3차 도포 직후 TEWL 80 38 35 25
수분지수 60 62 65 65
최종 TEWL 48 39 33 28
수분지수 20 29 35 40
에틸알콜 70부피% 수용액(시료 1)을 반복 사용할 경우 돈피의 TEWL과 수분지수는 각각 37과 29에서 최종 48과 20으로 변하는데, TEWL의 증가는 돈피 표면에서 수분이 쉽게 휘발됨을 의미하며, 수분 지수 감소는 돈피 내 수분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즉 반복 사용에 따라 피부 상태가 건조해짐을 의미한다.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0.6부피% 함유된 70부피% 에탄올 수용액(시료 2)을 반복 사용할 경우 돈피의 TEWL과 수분지수는 각각 37과 29에서 최종 39와 29로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반복 사용에도 피부 상태가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수 있었다.
수용성 세라마이드가 0.3부피% 함유된 70부피% 에탄올 수용액(시료 3)을 반복 사용할 경우 돈피의 TEWL과 수분지수는 각각 37과 29에서 최종 33과 35로 변하는데 TEWL의 경우 도리어 감소하며 수분 지수는 약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반복 사용에 의해 피부 수분 상태가 약간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소듐 히알루로네이트가 0.6부피%, 수용성 세라마이드가 0.3부피% 각각 함유된 70부피% 에탄올 수용액(시료 4)을 반복 사용할 경우 돈피의 TEWL은 37에서 최종 28로 크게 감소될 뿐만 아니라 수분지수는 29에서 최종 40으로 크게 증가하는데 이들 효과는 기존 피부 보습제 효과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반복 사용을 통해 반복 사용에 의해 피부 상태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와 세라마이드가 단독 또는 함께 함유된 에탄올 70% 수용액의 경우 화장품 보습제로의 효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 성분을 함유한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분자량이 3kDa~2.0MDa이고, 상기 세라마이드는 수용성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및 칼슘 히알루로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30~70부피% 에틸알코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성분은 0.1~2부피%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은 미스트, 에멀젼, 젤, 폼, 바디워시, 치약, 마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7. (a) 히알루로네이트, 히알루로네이트 염 및 세라마이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보습 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보습 성분 용해액에 에틸알코올을 가하여 에틸알코올의 농도가 30~70부피%, 보습 성분의 농도가 0.1~2부피%인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또는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분자량이 3kDa~2.0MDa이고, 상기 세라마이드는 수용성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로네이트 염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포타슘 히알루로네이트 및 칼슘 히알루로네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76866A 2020-06-24 2020-06-24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58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66A KR20210158494A (ko) 2020-06-24 2020-06-24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1/007895 WO2021261916A1 (ko) 2020-06-24 2021-06-23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866A KR20210158494A (ko) 2020-06-24 2020-06-24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494A true KR20210158494A (ko) 2021-12-31

Family

ID=7917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866A KR20210158494A (ko) 2020-06-24 2020-06-24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8494A (ko)
WO (1) WO20212619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67C (zh) * 1998-08-14 2003-03-19 凌沛学 含有透明质酸钠的消毒洗手液及其制备方法
JP2008143878A (ja) * 2006-12-13 2008-06-26 Kawamoto Sangyo Kk 手指消毒剤組成物
JP5074811B2 (ja) * 2007-04-24 2012-11-14 キユーピー株式会社 エタノール含有水性製剤
CN103860526A (zh) * 2013-11-26 2014-06-18 华熙福瑞达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含透明质酸的消毒剂、其制备方法及用途
JP7059890B2 (ja) * 2018-10-17 2022-04-26 日油株式会社 消毒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916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2968A (en) Oral compositions
AU2011336166B2 (en) Topical compositions for preserving or restoring the integrity of mucosae
US20030198616A1 (en) Moisturizing skin gel and method
CN104394934A (zh) 包含至少一种透明质酸及至少一种蔗糖八硫酸酯水溶性盐的在水性介质中的组合物
KR20100016416A (ko) 리소자임 및 c-1/c-4 다당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구강 관리, 미용학 및 피부과, 피임, 비뇨기과 및 부인과에서의 이의 용도
JPH02501739A (ja) ステロイドローション剤
KR101987559B1 (ko)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P0444492A1 (en) Topically administered compositions based on high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 for treating inflammations of the oral cavity, and for oral cavity hygiene and cosmetic treatment
JP2016169188A (ja) 皮膚外用剤
JPH06145044A (ja) 人工唾液
PT1635852E (pt) ''utilização de composições para reconstituição de unhas para aplicação tópica em onicosquise''
WO2016185811A1 (ja) 超音波診断用の塗布型接触媒体
DE102010055768A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Glucosylglyceriden und einem oder mehreren Konservierungsmitteln
KR102610937B1 (ko) 가교 히알루론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8494A (ko) 보습능을 갖는 알코올계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3577113B2 (ja) 皮膚外用剤
RU2535045C1 (ru) Зубная паста, содержащая стимуляторы регенерации
CN107820422A (zh) 包含硫辛酸和类粘液状聚合物的眼用组合物
JP2007191473A (ja) 新規な育毛用組成物
JPH11279205A (ja) ヒアルロン酸類製剤の分解抑制方法
JP2893807B2 (ja) アズレン誘導体含有液剤
CN114533809B (zh) 一种维生素e抑菌膏及其制备方法
RU2716023C1 (ru) Ак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й по уходу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527692C1 (ru) Зубная паста, содержащая комплекс гидролаз
CA3213446A1 (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in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