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6124A -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124A
KR20210156124A KR1020200073868A KR20200073868A KR20210156124A KR 20210156124 A KR20210156124 A KR 20210156124A KR 1020200073868 A KR1020200073868 A KR 1020200073868A KR 20200073868 A KR20200073868 A KR 20200073868A KR 20210156124 A KR20210156124 A KR 20210156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sser
movement history
time
long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859B1 (ko
Inventor
김진호
최활석
김경욱
박종연
임도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머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머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머니
Priority to KR102020007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컴퓨팅 장치가,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Public transportation fare payment method based on passenger's global position information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통행자가 버스와 같은 차량에 탑승할 때에, 직접 교통요금을 납부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추후에 통행자에게 교통요금을 부과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요금을 납부하는 방법은 통행자(탑승자)가 버스의 교통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거나 모바일 단말기를 근접시키거나 또는 현금을 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버스를 타자마자 버스 요금을 직접 납부하는 행위로 인해, 통행자들이 버스에 탑승을 완료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며, 교통 정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통행자들이 지갑, 교통카드, 또는 스마트폰을 꺼내는 행위를 포함한 일체의 행위 없이도 교통요금의 지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요청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통행자의 안면인식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통행자가 지갑, 교통카드, 또는 스마트폰 등 아무런 소지품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구현 가능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지만, 안면의 실시간 인식, 마스크를 낀 경우의 문제 등 다양한 기술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행자가 버스에 탑승할 때에 요금을 납부하기 위하여 단 한 번의 제스쳐를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버스 요금이 결제되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자동으로 버스 요금이 결제되도록 하는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10-2051618')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은, 센서 신호를 송신하는 비콘 센서부; 상기 비콘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좌표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사용자 키를 수신하는 결제 서버; 상기 결제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위치 좌표 및 상기 사용자 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차 또는 하차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되면 상기 결제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 중앙 제어 장치; 및 버스 요금을 결제하는 요금 결제 단말;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제 서버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결제 키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상기결제 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키를 송신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승차 완료 또는 하차 완료로 판단된 사용자 단말의 결제 요청 정보를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요금 결제 단말로부터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교통 요금 납부 행동을 하지 않고도 교통 요금을 결정하여 납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행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의 도움을 얻어, 통행자가 탑승시에 요금결제를 위한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대중교통 요금의 지불을 처리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앱이 실행되고 있어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GPS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저장소에 저장하거나 또는 원격의 서버에게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교통요금 부과방법은, 컴퓨팅 장치가,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통요금 부과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2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차량의 이동이력인 제2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2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과 상기 제2일치구간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제2차량 중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다음의 두 가지 문제가 해결된다. 첫째, 실제로는 상기 통행자가 상기 제1차량을 탑승했던 상황에서, 상기 제1차량의 요금이 제1수준이고 상기 제2차량의 요금이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이라고 할 때에, 통행자가 잘못된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실제로는 상기 제1차량이 상기 통행자에게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통행자로부터 얻은 운송료가 제2차량의 사업자에게 잘못 지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1검색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2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2검색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검색단계 및 상기 제2검색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제1차량 및 상기 제2차량 중 어느 차량에 대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차량에 설치된 제1교통 단말기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의 결과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차량에 설치된 제2교통 단말기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의 결과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와 상기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가 미리 결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시각에서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에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를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에 설치된 교통 단말기와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교통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교통요금 부과방법은 컴퓨팅 장치가,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한 통행자 이동이력과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한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 이용에 대한 요금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요금을 상기 통행자에게 부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를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제1차량에 설치된 제1교통 단말기와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제1교통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가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부는,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제1차량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가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실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제2차량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제2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차량의 이동이력인 제2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2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일치구간과 상기 제2일치구간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제2차량 중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1검색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2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2검색단계; 및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검색단계 및 상기 제2검색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제1차량 및 상기 제2차량 중 어느 차량에 대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것은,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와 상기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가 미리 결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시각에서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행자가 탑승시에 요금결제를 위한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교통 요금을 결정하여 과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제1차량(예컨대, 버스)(21)에 탑승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탑승하였을 때,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탑승하였을 때,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대 이상의 차량의 일부 이동경로가 겹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같은 시각에 버스 정류장(7)에 두 대의 차량(21, 31)이 정차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탑승한 차량을 결정하여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금 부과방법이 실행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제1차량(예컨대, 버스)(21)에 탑승하는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탑승하였을 때,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탑승하였을 때,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세 개의 축은 각각 시간, 경도, 및 위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10)에서, 컴퓨팅 장치(또는 서버)가,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10)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는 상기 통행자의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통행자 이동이력(10)은 도 3의 3차원 공간에 실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련의 {위도, 경도, 시각}들이 유한한 개수로 존재할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정보들 간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도 3에 제시된 제1그래프(10)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서버)는 제1차량(21)과는 별도로 원격에 존재하는 장치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에게 자신이 수집한 GPS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1차량(21)의 일련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21)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20)을 결정할 수 있다.
제1차량 이동이력(20)은 도 3의 3차원 공간에 예컨대 실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련의 {위도, 경도, 시각}들이 유한한 개수로 존재할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정보들 간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도 3에 제시된 제2그래프(20)를 완성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10)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20)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50)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일치구간이란, {위도, 경도, 시각} 정보가 서로 겹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제1그래프(10)과 제2그래프(20)가 서로 일치하는 구간을 상기 제1일치구간(50)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일치구간(50)은 도 3에서 예컨대 실선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일치구간(50)을 나타내는 실선의 시작점과 종료점은 참조번호 100으로 표기하였다. 사실상, 상기 시작점에서 상기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승차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상기 종료점에서 상기 통행자가 제1차량(21)에서 하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단계(S40)에서, 제1일치구간(50)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제1일치구간(50)을 기초로 한다는 것은, 제1일치구간(50) 동안 소요된 시간, 그리고 제1일치구간(50) 동안 이동한 이동거리를 기초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b)는 상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통행자의 {위도, 경도}, 제1차량의 {위도, 경도}, 및 각 시각에서의 통행자의 {위도, 경도}와 제1차량의 {위도, 경도}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가 미리 결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지의 여부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일치구간(50)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어진 제1시각(예컨대, t2)에서의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예컨대, {위도1, 경도1})와 상기 주어진 제1시각(예컨대, t2)에서의 상기 제1차량(21)의 {위도, 경도}(예컨대,{위도1, 경도1})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가 미리 결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시각에서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1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제1일치구간(50)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결정된 단위시각마다 상기 제1단계가 반복되어 수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의 일치구간은 {t2, 위도1, 경도1}부터 {tk, 위도k, 경도k}까지 임을 알 수 있다.
도 4의 (b)에 제시한 테이블 중 시각 t1 및 시각 t2에서 상기 통행자의 {위동, 경도}는 변하지 않았는데, 이는 상기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실질적으로 상기 통행자가 이동하지 않은 상황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의 실행 시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우연히, 요금을 부과해야 하는 차량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두 대 이상의 차량의 일부 이동경로가 겹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세 개의 축은 각각 시간, 경도, 및 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같은 시각에 버스 정류장(7)에 두 대의 차량(21, 31)이 정차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참조부호 A는 버스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행자가 임의의 차량을 탔다고 가정할 때 상기 임의의 차량을 특정해야 통행자에게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차량을 특정하기 위해서, 상술한 단계(S3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통행자 이동이력(10)과 차량들의 이동이력 간에 겹치는 일치구간(50)을 결정하여 상기 임의의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통행자 이동이력(10)과 겹치는 일치구간(50)을 갖는 차량이 두 대 이상인 경우, 어느 차량에 대하여 통행자에게 요금을 부과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제1차량(21)의 {위도, 경도,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한 제1차량 이동이력(20)과 제2차량(31)의 {위도, 경도,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한 제3이동이력(30)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50)이 통행자 이동이력(10)과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50)과 동일할 수 있다.
지역을 통해 예를 들어보면, 대한민국의 임의의 제1지역 예컨대, 뱅뱅사거리에서 임의의 제2지역 예컨대, 강남역까지 버스를 타고 이동하였을 때에, 서로 다른 버스노선에 따른 2대의 버스(21, 31)가 앞뒤로 나란히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위의 이동이력(20, 30)만으로는 통행자가 어떤 버스를 탔는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차량을 특정하기 어렵다.
이하,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가 탑승한 차량을 결정하여 교통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금 결정방법은 아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이때, 단계(S10) 내지 단계(S30)는 도 2를 통해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단계(S30) 이후에, 단계(S50)에서, 컴퓨팅 장치가, 제2차량(31)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차량(31)의 이동이력인 제2차량 이동이력(30)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60)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10)과 상기 제2차량 이동이력(30)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50)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70)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50)과 상기 제2일치구간(50)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1차량(21)과 상기 제2차량(31) 중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의 등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통행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가 제1차량(21) 및 제2차량(31)과 같은 차량에 설치된 교통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반경 이내에 근접한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교통 단말기는 서로 근거리통신을 통한 통신채널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채널은 예컨대 블루투스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은 당업자가 스스로 또는 이 분야의 기술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채널은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자신의 ID 또는 자신을 이용하는 통행자의 ID를 상기 교통 단말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교통 단말기는 각 시각별로 이렇게 획득한 모바일 단말기들의 정보 또는 통행자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사후에 상기 컴퓨팅 장치(서버)(5)에게 유선/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떤 통행자가, 어떤 차량에, 그리고 언제 탑승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상기 컴퓨팅 장치(서버)(5)가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53)의 저장소에 등록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소에 등록된다는 것은 상기 저장소에 기록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50)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21)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할 수 있다(이하, 단계(S110)를 제1검색단계라고 지칭할 수 있다.).
단계(S111)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2일치구간(50)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2차량(31)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할 수 있다(이하, 단계(S111)를 제2검색단계라고 지칭할 수 있다.).
단계(S112)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검색단계 및 상기 제2검색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제1차량(21) 및 상기 제2차량(31) 중 어느 차량에 대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또는 통행자 단말기)를 소지한 통행자가 제1차량(21)에 탑승한다. 이때, 상기 제1차량(21)를 이용하여 상기 승차처리를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제1차량(21)에 설치된 제1교통 단말기(22)(또는 승차 단말기)와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거나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1)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제1교통 단말기(22)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상기 통행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여 모바일 단말기(1) 내부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원격의 서버(컴퓨팅 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에 설치된 전용앱은 교통 단말기를 검색하여, 검색된 교통 단말기와 통신세션을 수립하는 기능, 상기 교통 단말기에게 모바일 단말기(1)의 ID, 상기 설치된 전용앱을 이용하는 통행자의 ID를 상기 검색된 교통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에 설치된 전용앱은, 모바일 단말기(1)를 소지하고 탑승하는 탑승자가, 손으로 현금과 같은 유가증권을 지불하지 않아도 탑승을 허락 받은 사람이라는 정보, 또는 카드나 스마트폰을 교통 단말기에 태그하지 않아도 탑승을 허락 받은 사람이라는 정보를 교통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교통 단말기는 이러한 정보를 운전기사에게 표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운전기사는 아무런 지불행위를 하지 않고 탑승하는 상기 탑승자의 탑승을 허용할 근거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금 부과방법이 실행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통행자 단말기(1), 제1교통 단말기(22), 제2교통 단말기(32), 컴퓨팅 장치(5), 및 데이터베이스(5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는 통행자(1)가 사용하거나 소지한 통행자 단말기를 의미한다. 모바일 단말기(1)를 이용하여 통행자(1)의 승차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차량(21)에는 제1교통 단말기(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차량(31)에는 제2교통 단말기(3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차량에는 한 개 이상의 교통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차량(21)에 설치된 제1교통 단말기(22)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1)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21)에 대한 승차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21)에 대한 승차처리의 결과를 컴퓨팅 장치(5)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처리는 제1교통 단말기(22)가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5)는 서버일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5)와 제1교통 단말기(22) 간의 통신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차량(31)에 설치된 제2교통 단말기(32)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1)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2차량(31)에 대한 승차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2차량(31)에 대한 승차처리의 결과를 상기 컴퓨팅 장치(5)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처리는 제2교통 단말기(32)가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5)는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1)에 설치된 상기 전용앱은 모바일 단말기(1)이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미리 결정된 스케쥴에 따라 지속적으로 컴퓨팅 장치(5)에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5)는 차량(21, 31)의 교통 단말기(22, 32)로부터 승차처리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3)는 컴퓨팅 장치(5)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3)는 컴퓨팅 장치(5)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웨어에 기록된 자료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3)는 컴퓨터 장치(5)로부터 전송된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 정보 리스트(23), 및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 정보 리스트(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서버(5-1)는 상술한 컴퓨터 장치(5)일 수 있다.
서버(5-1)는 통신부(51), 처리부(52), 및 데이터베이스(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컴퓨팅 장치(5)와 데이터베이스(53)가 서로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0에서와 같이, 서버(5-1)가 데이터베이스(53)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통신부(51)는,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51)는 제1차량(21)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차량(21)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는 예컨대, 도 9의 제1교통 단말기(22)를 의미할 수 있다.
처리부(52)는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52)는, 상기 제1차량(21)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21)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에, 처리부(52)는,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52)는,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21)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통신부(51)는 상기 제1차량(21)으로부터 상기 제1차량(21)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가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52)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53)에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21)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실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한 이후 그리고 요금을 부과하기 이전에, 통신부(51)는, 제2차량(31)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제2차량(31)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차량(31)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는 예컨대, 도 9의 제2교통 단말기(32)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부(52)는, 상기 제2차량(31)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차량(31)의 이동이력인 제2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2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처리부(52)는, 상기 제1일치구간과 상기 제2일치구간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1차량(21)과 상기 제2차량(31) 중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3)

  1. 컴퓨팅 장치가,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2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차량의 이동이력인 제2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2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과 상기 제2일치구간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제2차량 중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1검색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2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2검색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검색단계 및 상기 제2검색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제1차량 및 상기 제2차량 중 어느 차량에 대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차량에 설치된 제1교통 단말기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의 결과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차량에 설치된 제2교통 단말기는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약에 따라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의 결과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와 상기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가 미리 결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시각에서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에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를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에 설치된 교통 단말기와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교통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7. 컴퓨팅 장치가,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한 통행자 이동이력과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한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상기 제1차량 이용에 대한 요금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요금을 상기 통행자에게 부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를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제1차량에 설치된 제1교통 단말기와 상기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제1교통 단말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가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요금 부과방법.
  9.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로서,
    상기 통신부는, 통행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통신부는, 제1차량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행자의 통행이력인 통행자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차량의 이동이력인 제1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일치구간을 기초로 상기 통행자에게 상기 제1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가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실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2차량의 이동이력을 관리하는 장치로부터 상기 제2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2차량의 {위도, 경도,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차량의 이동이력인 제2차량 이동이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2차량 이동이력 간에 서로 일치하는 제2일치구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1일치구간과 상기 제2일치구간이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1차량과 상기 제2차량 중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도록 되어 있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등록된 차량의 이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1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1검색단계;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2일치구간에 포함된 시구간 동안 상기 제2차량에 대한 승차처리가 등록된 복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들을 검색하는 제2검색단계; 및
    상기 처리부가, 상기 제1검색단계 및 상기 제2검색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 따른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의 승차처리가 상기 제1차량 및 상기 제2차량 중 어느 차량에 대해 등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치구간을 결정하는 것은,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통행자의 {위도, 경도}와 상기 주어진 제1시각에서의 상기 제1차량의 {위도, 경도} 간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가 미리 결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 상기 제1시각에서 상기 통행자 이동이력과 상기 제1차량 이동이력이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200073868A 2020-06-17 2020-06-17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3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68A KR102431859B1 (ko) 2020-06-17 2020-06-17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868A KR102431859B1 (ko) 2020-06-17 2020-06-17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124A true KR20210156124A (ko) 2021-12-24
KR102431859B1 KR102431859B1 (ko) 2022-08-10

Family

ID=7917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868A KR102431859B1 (ko) 2020-06-17 2020-06-17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91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교통요금 처리 시스템에서의 부당 징수 요금 처리 방법
JP2014516441A (ja) * 2011-04-19 2014-07-10 トムト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スローテン 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同一の移動パスに沿って移動する装置を関連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127948A (ko) * 2013-04-25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64280A (ko) * 2015-12-01 2017-06-09 한국과학기술원 대중교통 정보를 이용한 탑승 교통수단 탐색 및 위치 정보 로깅 시스템, 그리고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991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케이티 교통요금 처리 시스템에서의 부당 징수 요금 처리 방법
JP2014516441A (ja) * 2011-04-19 2014-07-10 トムト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ベスローテン フエンノートシャップ 同一の移動パスに沿って移動する装置を関連付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40127948A (ko) * 2013-04-25 2014-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승하차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64280A (ko) * 2015-12-01 2017-06-09 한국과학기술원 대중교통 정보를 이용한 탑승 교통수단 탐색 및 위치 정보 로깅 시스템, 그리고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859B1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700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racking, and validating transit journeys
US96896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devices moving along the same travel path
JPWO2019004475A1 (ja) 車両情報提供装置、車両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10194B2 (ja) 車両派遣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0077431A (ja) 配車サービス提供装置、配車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330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s in an integrated public and/or private transportation service platform
CN113168661A (zh) 由去中心化、分布式数据库供电的停车基础设施
US20210125196A1 (e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US20170213261A1 (en) Method for detecting riders and managing and optimizing their shared transport
EP1517271A1 (en) A method of collecting toll fees for vehicles using toll routes
CN108320184B (zh) 用于车辆计费的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1612184B (zh) 行驶支援装置、车辆、行驶管理装置、终端装置和行驶支援方法
JP2017167963A (ja) 保険条件決定装置、保険条件決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31859B1 (ko) 사용자 위치정보 기반의 대중교통요금 결제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522876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0041367A1 (ja) 目的地登録装置及び目的地登録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20038847A1 (en) Vehicle and terminal device location determining system, and method
CN111578960B (zh) 导航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20028255A1 (en) Traffic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traffic information analysis method
JP2019159552A (ja) 施設情報配信装置、及び施設情報配信方法
US2023016224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billing for transportation usage
KR20130100873A (ko) 관심 공간을 이용한 공간 매칭 방법 및 장치
JPWO2020003397A1 (ja) 端末装置、後方サーバ、車載トランスポンダ、判定システム、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1041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23137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communications via blockchain for use in image-based park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