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906A - 건설 기계의 핸드레일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핸드레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5906A KR20210155906A KR1020200073389A KR20200073389A KR20210155906A KR 20210155906 A KR20210155906 A KR 20210155906A KR 1020200073389 A KR1020200073389 A KR 1020200073389A KR 20200073389 A KR20200073389 A KR 20200073389A KR 20210155906 A KR20210155906 A KR 202101559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rail
- fixed
- main body
- frame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은, 건설기계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핸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설 기계의 핸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건설기계를 조작하는 캐빈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의 케빈은 하부 주행체의 위에 배치되는 상부 선회체에 구비되어 지상고가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탑승 시 안전을 위해 캐빈의 측방에는 핸드 레일이 설치된다.
특히 무한궤도를 주행체로 사용하는 건설기계는 트레일러에 적재되어 작업지까지 수송이 이루어 지는데, 국가별로 또는 지역별로 수송 시 허용되는 전고가 제한적이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설 기계의 핸드 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은, 건설기계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바디와 함께 회동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바디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으로부터 대체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와 고정되는 수직부; 상기 프레임부의 축방향 적어도 일부 구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에서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를 향해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핸드레일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캐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캐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고정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접힌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상기 캐빈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핸드 레일은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이 건설기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이 건설기계의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이 건설기계의 본체에 대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이 건설기계의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이 건설기계의 본체에 대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에 구비되는 힌지부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지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하방,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상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핸드레일(100)이 구비되는 건설기계의 일 예로 굴착기를 설명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이 건설기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이 건설기계의 본체(5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이 건설기계의 본체(50)에 대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에 구비되는 힌지부(150)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150)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57)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작업자가 건설기계의 본체(50) 위로 올라가거나, 캐빈(1)에 승하차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본체(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기둥부(115)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10), 힌지부(150) 및 스토퍼(1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둥부(115)를 건설기계의 본체(50)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대체로 통로를 따라 본체(50)의 외곽에 설치되는 구조물일 수 있다. 프레임부(11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부(111) 및 손잡이부(111)를 본체(50)의 상단에 연결하기 위한 기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11)는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1)는 통로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11)는 통로의 구조에 따라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11)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이단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기둥부(115)는 손잡이부(111)를 건설기계의 본체(50)에 연결하기 위한 기둥 형상의 구조물이다. 기둥부(115)는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15)는 손잡이부(111)의 구조 또는 형상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기둥부(115)는 손잡이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프레임부(110) 중에서 건설기계의 본체(50)와 결합되는 부분을 기둥부(115)로 설명할 수 있다. 기둥부(115)는 힌지부(150)를 통해 본체(50)의 상단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둥부(115)는 고정상태에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대체로 본체(50)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둥부(115)는 접힌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본체(50)의 상단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115)는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브라켓(12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부(110)는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그 형상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힌지부(150)는 기둥부(115)를 본체(50)의 상단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부(150)는 기둥부(115)에 고정되는 제1 바디(151a)와 본체(50)에 고정되는 제2 바디(151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50)는 제1 바디(151a)와 제2 바디(151b)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바디(151a)를 제2 바디(151b)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바디(15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153)는 힌지부(150)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바디(151a)는 기둥부(115)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디(151a)는 일정한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151a)는 브라켓(120)의 수직부(122)에 고정될 수 있다.제1 바디(151a)는 제2 체결부재(157)를 통해 수직부(122)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을 통해 수직부(122)에 고정될 수도 있다.제1 바디(151a)는 회전 바디(153)를 축으로 제2 바디(151b)에 대해 회동됨으로써, 제1 바디(151a)에 고정되는 기둥부(115)가 본체(5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151a)는 본체(50)의 상단부에서 캐빈(1)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바디(151a)는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대체로 본체(50)부의 상단면과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상태는 프레임부(110)가 본체(50)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부(111)를 잡고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151a)는 고정 상태에서 제2 바디(151b)와 대체로 18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51a)는 이러한 고정 상태에서 회전 바디(15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 바디(151a)는 후술하는 스토퍼(155)를 통해 본체(50)의 상단면과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상태까지 회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51a)가 기 설정된 각도까지 회동된 후의 상태를 접힌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디(151a)는 접힌 상태에서 제2 바디(151b)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각도는 180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다. 스토퍼(155)는 제1 바디(151a)와 함께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접힌 상태에서 스토퍼(155)가 제2 바디(151b)에 지지됨으로써 제1 바디(151a)가 기 설정된 각도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바디(151b)는 건설기계의 본체(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디(151b)는 제1 바디(151a)가 회전 바디(15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 바디(151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151b)는 본체(50)의 상단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디(151b)는 건설기계의 본체(50)의 상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5)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디(151b)가 돌출부(55)의 측면에 고정되는 경우, 제2 바디(151b)는 대체로 본체(50)의 상단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51b)는 체결부재를 통해 본체(5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디(151b)는 고정 상태에서 제1 바디(151a)가 제2 바디(151b)에 대해 180도를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디(151b)는 접힌 상태에서 제1 바디(151a)가 제2 바디(151b)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각도는 180도 미만의 각도일 수 있다. 접힌 상태에서는 스토퍼(155)가 제2 바디(151b)의 일측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바디(151b)의 일측에는 완충부재(157)가 배치될 수 있고, 접힌 상태에서 스토퍼(155)의 선단부는 완충부재(157)에 접촉됨으로써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회전 바디(153)는 제1 바디(151a)가 회동하기 위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153)는 제1 바디(151a)와 제2 바디(15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바디(153)의 축방향 일부 구간은 제1 바디(151a)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바디(151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간은 제1 구간(153a)으로 설명할 수 있다. 회전 바디(153)의 제1 구간(153a)은 제1 바디(151a)에 연동되어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간(153a)에는 스토퍼(155)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151a)가 일정 각도만큼 회동되면 스토퍼(155) 역시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바디(153)의 축방향 일부 구간은 제2 바디(151b)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바디(151b)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간은 제2 구간(153b)으로 설명할 수 있다. 회전 바디(153)의 제2 구간(153b)은 제2 바디(151b)와 함께 본체(5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바디(153)는 축방향으로 서로 구분되어 상대 회동이 가능한 제1 구간 및 제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간(153a) 및 제2 구간(153b)의 내측에는 회전 축(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바디(153)의 제1 구간(153a) 및 제2 구간(153b)은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프레임부(110)를 본체(50)의 상단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프레임부(110)의 기둥부(115)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20)의 일측이 힌지부(150)의 제1 바디(151a)에 고정됨으로써 기둥부(115)를 건설기계의 본체(5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브라켓(120)은 본체(5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121), 힌지부(150)의 제1 바디(151a)에 고정되는 수직부(122), 기둥부(115)의 일부 구간을 지지하는 지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121)는 고정 상태에서 본체(50)의 상단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기둥부(115)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부(121)는 본체(5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55)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부(121)는 제1 체결부재(140)를 통해 돌출부(5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는 제1 체결부재(140)가 수평부(121)를 관통하여 돌출부(55)에 결합됨으로써 수평부(121)와 돌출부(55)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기둥부(115)가 본체(50)의 상단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변경되기 위해서 제1 체결부재(140)가 제거되면 수평부(121)와 돌출부(55)는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이로써 기둥부(115)가 본체(50)의 상단부와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수직부(122)는 수평부(121)의 일측으로부터 대체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122)는 힌지부(150)의 제1 바디(151a)와 고정될 수 있다. 수직부(122)는 힌지부(150)의 제1 바디(151a)와 제2 체결부재(157)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수평부(121)가 돌출부(55)와 결합이 해제된 이후 힌지부(150)의 제1 바디(151a)와 고정된 수직부(122)가 제1 바디(151a)에 의해 고정부에 대해 회전 바디(15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수직부(122) 및 제1 바디(151a)가 기 설정된 각도까지 회동되면 제1 바디(151a)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스토퍼(155)의 선단부가 제2 바디(151b)에 접촉됨으로써 회동이 멈추게 된다. 이렇게 수직부(122) 및 제1 바디(151a)의 회동이 멈춘 상태가 접힌 상태일 수 있다. 접힌 상태에서는 본체(50)의 상단면으로부터 프레임부(110)의 최상단부 까지의 높이가 고정 상태에서보다 낮아질 수 있다.
지지부(123)는 수평부(121)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3)는 기둥부(115)의 외주측에 축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23)는 기둥부(115)의 축방향 적어도 일부구간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100)은 프레임부(110)의 하단 기둥부(115)가 브라켓(120)을 통해 본체(50)의 상단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부(150)를 통해 본체(50)부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됨에 따라 프레임부(110)의 최 상단부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건설기계의 일반적인 작동 과정에서는 프레임부(110)는 본체(50)에 대해 고정 상태가 되고, 이러한 고정 상태에서는 프레임부(110)의 상단부가 건설기계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 될 수 있다. 이후 트레일러를 사용하여 건설기계를 수송하기 위해서, 제1 체결부재(140)를 제거하면 힌지부(150)의 제1 바디(151a)의 회동에 따라 프레임부(110)가 캐빈(1)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접힌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접힌 상태에서는 프레임부(110)의 상단부가 캐빈(1)의 상단부보다 낮아질 수 있어 건설기계의 전고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캐빈
50: 본체
55: 돌출부
100: 핸드레일
110: 프레임부
111: 손잡이부
115: 기둥부
120: 브라켓
121: 수평부
122: 수직부
123: 지지부
140: 제1 체결부재
150: 힌지부
151a: 제1 바디
151b: 제2 바디
153: 회전 바디
155: 스토퍼
157: 완충부재
157: 제2 체결부재
50: 본체
55: 돌출부
100: 핸드레일
110: 프레임부
111: 손잡이부
115: 기둥부
120: 브라켓
121: 수평부
122: 수직부
123: 지지부
140: 제1 체결부재
150: 힌지부
151a: 제1 바디
151b: 제2 바디
153: 회전 바디
155: 스토퍼
157: 완충부재
157: 제2 체결부재
Claims (7)
- 건설기계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의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바디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본체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에 배치되는 핸드레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바디와 함께 회동되고,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제2 바디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에 지지되는 핸드레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브라켓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부가 연결되고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으로부터 대체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바디와 고정되는 수직부;
상기 프레임부의 축방향 적어도 일부 구간을 지지하도록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서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스토퍼를 향해 돌출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에 상기 핸드레일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캐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캐빈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고정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접힌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부가 상기 캐빈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핸드레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3389A KR20210155906A (ko) | 2020-06-17 | 2020-06-17 | 건설 기계의 핸드레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3389A KR20210155906A (ko) | 2020-06-17 | 2020-06-17 | 건설 기계의 핸드레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5906A true KR20210155906A (ko) | 2021-12-24 |
Family
ID=7917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3389A KR20210155906A (ko) | 2020-06-17 | 2020-06-17 | 건설 기계의 핸드레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5906A (ko) |
-
2020
- 2020-06-17 KR KR1020200073389A patent/KR2021015590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9046120A (ja) | 機械的リフト設備の空中ロープウェイに沿った作業用の保守作業車 | |
CN106460368B (zh) | 用于施工设备的护栏 | |
US9206687B2 (en) | Mining roof support system | |
KR102038526B1 (ko) | 틸팅 및 롤링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 |
CN203382404U (zh) | 一种起重机及防护栏 | |
KR20210155906A (ko) | 건설 기계의 핸드레일 | |
KR101776833B1 (ko) |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선회장치 | |
US6872144B2 (en) | Amusement device | |
JP2010007419A (ja) | 建設機械の保護柵取付構造 | |
KR100613591B1 (ko) |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 |
JP6673609B2 (ja) | かご上手摺 | |
JP2007015774A (ja) | 高所作業車 | |
JP2019073880A (ja) | トンネル施工装置及びトンネル施工方法 | |
KR101955609B1 (ko) | 고소작업차의 버켓 레스트 | |
JP7346936B2 (ja) | アウトリガ装置および作業車 | |
JP2017101424A (ja) | パネルゲートの転倒防止治具 | |
CN203902399U (zh) | 一种工程机械的爬梯 | |
JP6498640B2 (ja) | 作業台及び車両 | |
JP3214624U (ja) | 車載式の道路点検作業機 | |
KR102679524B1 (ko) | 플렛폼 회전 시스템 | |
JP5747786B2 (ja) | 建設機械の補助プラットフォーム構造 | |
JP2004283452A (ja) | 梯子車 | |
KR20140088654A (ko) | 접이식 구조물 | |
KR101252098B1 (ko) | 농업용 고소작업대 | |
KR102584884B1 (ko) | 차량용 버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