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856A -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856A
KR20210155856A KR1020200073044A KR20200073044A KR20210155856A KR 20210155856 A KR20210155856 A KR 20210155856A KR 1020200073044 A KR1020200073044 A KR 1020200073044A KR 20200073044 A KR20200073044 A KR 20200073044A KR 20210155856 A KR20210155856 A KR 20210155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fety
opening
rope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856A/ko
Publication of KR20210155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안전 펜스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포스트, 복수의 포스트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이동장치 및복수의 포스트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및 설치되되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수평프레임은 일측의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1 프레임과, 타측의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펜스 {SAFETY FENCE}
본 발명은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의 주변으로 이동하여 보행자의 낙하를 방지하고, 개구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는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선박 등의 구조물은 건축 또는 건조 시 작업자가 작업위치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의 주변이나, 보행자의 진입 시 낙하의 위험이 있는 위치에는 실족에 의한 추락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개구 등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에 작업자가 직접 펜스를 이동 및 설치하여 운용되어 왔다. 그러나 대상 부위로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펜스 설치작업에 시간 및 노동력이 소모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의 다양한 면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펜스를 개별적으로 제작하거나 조립한 후 설치를 진행해야 하므로, 펜스 설치작업에 불필요한 비용이 소모되고 펜스의 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8118호(2019. 05. 29. 공개)
본 실시 예는 개구 등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에 자동적으로 이동 및 설치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개구 등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의 면적에 따라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개구 내로 진입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보행자의 실족에 의한 추락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펜스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이동장치 및 상기 복수의 포스트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및 설치되되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일측의 상기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1 프레임과, 타측의 상기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만곡되게 형성되는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 사이,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단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설치 대상 개구의 크기 또는 면적을 측정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측정한 상기 개구의 크기정보 또는 면적정보에 근거하여 작동 및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포스트가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복수의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를 선체 또는 지면 상에 정지시키는 파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킹부는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를 상기 선체 또는 지면 상에 고정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작업자의 위치 또는 상기 개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 제공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제공한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 또는 상기 개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작동 및 제어될 수 있다.
설치 대상 개구에 진입하는 작업자와 연결되는 로프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이송장치는 일단이 상기 작업자에게 체결되는 안전 로프와, 상기 안전 로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로프를 권취하거나 또는 풀어주는 권선부와, 상기 안전 로프의 일단 측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부는 상기 모션센서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안전 로프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안전 로프를 권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는 개구 등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에 자동적으로 이동 및 설치되어 펜스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는 개구 등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의 면적에 따라 확장 및 축소되어 제품의 운용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는 개구 내로 진입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는 보행자의 실족에 의한 추락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가 개구의 크기에 따라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가 개구의 크기에 따라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10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 배치되는 복수의 포스트(110), 복수의 포스트(110)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이동장치(120), 복수의 포스트(110)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 및 설치되고 안전 펜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개구(10)의 크기에 따라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130), 대상 개구(10)의 크기 또는 면적을 측정하는 제1 감지부(미도시), 개구(10)로 진입하는 작업자와 연결되는 로프이송장치(140), 작업자의 위치 또는 개구(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 제공하는 제2 감지부(미도시), 개구(1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5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포스트(110)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직립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포스트(1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후술하는 이동장치(120)가 설치되어 선체 상 또는 작업장 등의 지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110)의 상단 및 중단부에는 후술하는 수평 프레임이 인접하는 포스트(110) 사이를 연결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포스트(110)가 네개 마련되되 사방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로서, 대상 개구(10)의 크기에 따라 포스트(110)의 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장치(120)는 각각의 포스트(110)의 하단에 마련되어 포스트(110)를 선체 또는 지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각각의 이동장치(120)는 포스트(110)가 지지되는 베이스(121)와, 베이스(121)에 마련되는 복수의 휠(122)과, 휠(12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베이스(121)를 선체 또는 지면 상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파킹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는 각각의 포스트(110) 하단 측에 연결되되, 포스트(11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21)의 측부에는 선체 또는 지면 상에서 구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휠(1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휠(122)은 구동부에 마련되는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본 실시 예에 의한 안전 펜스(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복수의 포스트(110)에 마련되는 각각의 구동부는 개별적으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포스트(110)의 이동방향을 달리함으로써 후술하는 수평프레임(130)을 확장 및 축소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는 후술하는 제2 감지부(미도시)가 감지한 작업자의 위치정보 또는 개구(10)의 위치정보에 따라 작동 및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파킹부(미도시)는 안전 펜스(100)를 일정한 위치 상에 고정 및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선체는 자기력에 영향을 받는 스틸(Steel) 등의 재질로 마련되는 바, 파킹부는 자력에 의해 베이스(121)를 선체 또는 지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전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장치(120)에 의해 펜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위치로 안전 펜스(100)가 이동한 후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베이스(121)가 선체 또는 지면 상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복수의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및 설치되되, 개구(10)의 크기에 따라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나, 해당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 또는 보행자의 실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 및 개수로 복수의 포스트(110) 상에 연결 및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수평프레임(130)은 일측의 포스트(110)에 연결 및 지지되는 제1 프레임(131)과, 타측의 포스트(110)에 연결 및 지지되는 제2 프레임(132)과,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 사이에 마련되어 수평프레임(130)의 확장 및 축소를 구현하는 신축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1)은 복수의 포스트(110) 중 일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및 설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1)은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되 개구(10)의 형상에 상응하게 만곡되는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31)의 양단이 제2 프레임(132)의 양단 내측에 인입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131)의 직경은 제2 프레임(13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은 복수의 포스트(110) 중 타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포스트(110)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 및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32)은 제1 프레임(131)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되 만곡된 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신축부(133)는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 사이에 마련되어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을 서로 이격시켜 수평프레임(130)을 확장하거나, 서로 접근시켜 축소할 수 있다. 신축부(133)는 제1 프레임(131)의 양단과 제2 프레임(132)의 양단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프레임(1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프레임(132)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압실린더는 제1 프레임(131)의 일단과 제2 프레임(132)의 타단 사이, 제1 프레임(131)의 타단과 제2 프레임(132)의 일단 사이에 각각 마련되되, 제2 프레임(132)의 일단 및 타단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로드가 제1 프레임(13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작동로드가 돌출 및 신장함에 따라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이 서로 이격되어 수평프레임(130)이 확장될 수 있으며, 작동로드가 인입 및 축소됨에 따라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이 서로 접근하여 수평프레임(130)이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신축부는 포스트(110)의 하단에 마련되는 이동장치(120)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31)의 양단은 제2 프레임(132)의 양단의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되, 이동장치(120)의 구동부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을 서로 이격시켜 수평프레임(130)을 확장하거나 제1프레임과 제2 프레임(132)을 서로 접근시켜 수평프레임(130)을 축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포스트(110)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장치(120)는 해당 포스트(110)를 외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타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포스트(110)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장치(120) 역시 해당 포스트(110)를 외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이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수평프레임(130)이 확장될 수 있다. 반대로, 일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포스트(110)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장치(120)는 해당 포스트(110)를 내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타측(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포스트(110)에 각각 마련되는 이동장치(120)가 해당 포스트(110)를 내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프레임(131)의 양단이 제2 프레임(132)의 양단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수평프레임(130)이 축소될 수 있다.
제1 감지부(미도시)는 안전 펜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개구(10)의 크기 또는 면적 등을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제1 감지부는 포스트(110) 또는 수평프레임(130)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개구(10)의 직경, 크기 또는 면적 등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신축부(133) 또는 이동장치(120)로 송출할 수 있다. 신축부(133) 및 이동장치(120)는 제1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개구(10)의 크기정보 또는 면적정보 등에 근거하여 작동 및 제어됨으로써 수평프레임(130)을 확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감지부 및 신축부(133)에 의한 수평프레임(130)의 확장 및 축소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수평프레임(130)이 신축부(133)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감지부가 개구(10)의 크기 또는 면적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신축부(133)로 송출한다. 제1 감지부가 감지한 개구(10)의 크기 또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신축부(133)의 유압실린더는 작동로드를 돌출 및 신장시켜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을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130)을 개구(10)의 크기에 상응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감지부가 감지한 개구(10)의 크기 또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신축부(133)의 유압실린더는 작동로드를 인입 및 축소시켜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을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130)을 개구(10)의 크기에 상응하게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감지부가 개구(10)의 크기정보 또는 면적정보 등을 이동장치(120)로 송출하고, 이동장치(120)는 각 포스트(110)를 개구(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130)을 확장시키거나, 각 포스트(110)를 개구(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프레임(130)을 축소시킬 수도 있다.
제2 감지부(미도시)는 안전 펜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개구(10)의 위치 또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제2 감지부는 포스트(110) 또는 수평프레임(130)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개구(10)의 GPS 정보 또는 작업자의 GPS 정보에 근거하여 개구(10) 또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이동장치(120)로 송출할 수 있다. 이동장치(120)는 제2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개구(10) 또는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부 및 휠(12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전 펜스(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개구(10) 또는 안전 펜스(100)를 필요로 하는 작업자를 향해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프이송장치(140)는 개구(1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작업자와 연결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로프이송장치(140)는 일단이 작업자에 체결되는 안전 로프(141)와, 안전 로프(141)의 타단에 연결되어 안전 로프(141)를 권취하거나 풀어주는 권선부(142)와, 안전 로프(141)의 일단 측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로프(141)의 일단 측 단부에는 작업자가 착용한 버클 등에 체결되는 후크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타단은 권선부(142)에 의해 견인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권선부(142)는 안전 로프(141)가 권선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시켜 안전 로프(141)를 권취시키거나 풀어주는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권선부(142)는 개구(10)로 진입한 작업자의 작업위치까지 안전 로프(141)를 풀어준 후 작업위치에 작업자가 도착하면 안전 로프(141)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는 권선부(142)는 작업자가 안전 로프(141)를 체결하지 않은 채 개구(10)로 진입한 경우, 제2 감지부가 감지한 작업자의 GPS 정보에 근거하여 안전 로프(141)를 풀어 작업자의 위치에 근접하게 안전 로프(141) 및 후크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안전 로프(141)의 일단 측에는 안전 로프(14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모션센서는 작업자와 체결되는 안전 로프(141)의 일단 측 움직임을 감지하여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의 신호를 권선부(142)로 송출하여 안전 로프(141)를 권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명장치(150)는 포스트(110) 또는 수평프레임(130)에 설치되어 개구(10)의 내측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구(10)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장치(150)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포스트(11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개구(10)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안전 펜스 110: 포스트
120: 이동장치 121: 베이스
122: 휠 130: 수평프레임
131: 제1 프레임 132: 제2 프레임
140: 로프이송장치 141: 안전 로프
142: 권선부 150: 조명장치

Claims (7)

  1.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직립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포스트;
    상기 복수의 포스트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이동장치; 및
    상기 복수의 포스트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결 및 설치되되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일측의 상기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1 프레임과, 타측의 상기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안전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은
    만곡되게 형성되는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타단 사이, 상기 제1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단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안전 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설치 대상 개구의 크기 또는 면적을 측정하는 제1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제1 감지부가 측정한 상기 개구의 크기정보 또는 면적정보에 근거하여 작동 및 제어되는 안전 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포스트가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복수의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전 펜스.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를 선체 또는 지면 상에 정지시키는 파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킹부는
    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를 상기 선체 또는 지면 상에 고정시키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안전 펜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의 위치 또는 상기 개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 제공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제공한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 또는 상기 개구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작동 및 제어되는 안전 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설치 대상 개구에 진입하는 작업자와 연결되는 로프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이송장치는
    일단이 상기 작업자에게 체결되는 안전 로프와, 상기 안전 로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로프를 권취하거나 또는 풀어주는 권선부와, 상기 안전 로프의 일단 측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부는
    상기 모션센서가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안전 로프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안전 로프를 권취하는 안전 펜스.
KR1020200073044A 2020-06-16 2020-06-16 안전 펜스 KR20210155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044A KR20210155856A (ko) 2020-06-16 2020-06-16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044A KR20210155856A (ko) 2020-06-16 2020-06-16 안전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56A true KR20210155856A (ko) 2021-12-24

Family

ID=7917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044A KR20210155856A (ko) 2020-06-16 2020-06-16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467A (zh) * 2022-05-27 2022-09-0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建造过程的安全防护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118A (ko) 2017-11-21 2019-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카고 탱크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118A (ko) 2017-11-21 2019-05-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카고 탱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9467A (zh) * 2022-05-27 2022-09-06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建造过程的安全防护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362B2 (en) Work vehicle including suspended platform
KR101213713B1 (ko) 고소작업차의 붐대 제어장치
KR102237831B1 (ko) 도로의 차선안내장치
KR20210155856A (ko) 안전 펜스
JP4688771B2 (ja) 水平軸型風力発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円柱形状の鉄塔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吊り機構と、円柱形状の鉄塔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吊り方法
KR101884810B1 (ko) 길이가 신축되는 가설물
JP6379128B2 (ja) トンネル用作業台、及びトンネル用作業セット
JP4610675B1 (ja) 柵状昇降体装置
KR20160029096A (ko) 고정 요소를 갖는 오버헤드 운반 장치
CA2965816C (en) Pole type protector for rack protection
JP2010285747A (ja) 侵入防止装置
KR100980824B1 (ko) 자전거 보관장치
KR102210518B1 (ko) 이동식 호이스트 크레인
WO2012072272A1 (en) A barrier
KR101845040B1 (ko)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JPH10330094A (ja) 高所作業車
JP5377361B2 (ja) 鋼管支柱へのネットの展張装置
JP5506043B2 (ja) 落下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落下防止方法
CN108350672B (zh) 斜面作业车辆
JP2005163355A (ja) 水平移動足場
KR101564995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CN216184755U (zh) 货车苫盖雨布装置
KR101460342B1 (ko) 중부하의 운송제어 시스템, 운송수단 및 운송제어 방법
CN115864215B (zh) 一种高空平台下电缆桥架吊挂安装设备及安装方法
JP2000153981A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