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628A - 인명구조함 - Google Patents

인명구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628A
KR20210154628A KR1020200071823A KR20200071823A KR20210154628A KR 20210154628 A KR20210154628 A KR 20210154628A KR 1020200071823 A KR1020200071823 A KR 1020200071823A KR 20200071823 A KR20200071823 A KR 20200071823A KR 20210154628 A KR20210154628 A KR 2021015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emergency
rescue
lifesa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191B1 (ko
Inventor
이민섭
이민자
정길용
Original Assignee
(유)엠탑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엠탑코리아 filed Critical (유)엠탑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7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1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5/2257
    • H04N5/2324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수지나 강가 또는 바닷가에 설치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으로, 긴급상황 발생시 119 및 재난센터 상황실과 통화하여 긴급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명조끼를 포함한 구조장비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10)의 개폐를 위해 개폐도어(115)가 설치된 구조함 본체(1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119센터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위한 긴급통화부(200); 상기 긴급통화부(200)와 인접되는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통화당사자 및 주변을 촬영하여 제어부(400)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3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에 설치되어 긴급통화부(200)의 통화정보와 카메라(300)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구조함 본체(100)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전원발생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명구조함{Life saving box}
본 발명은 저수지나 강가 또는 바닷가에 설치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으로, 긴급상황 발생시 119나 지자체 상황실 등의 재난센터 상황실과 통화하여 긴급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인명구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다수의 인파가 해수욕장, 바닷가, 계곡, 낚시터 등의 물가를 찾게 됨에 따라 익사사고의 빈도가 대폭적으로 상승하는데, 익사사고가 발생가능한 장소마다 안전요원을 배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전요원이 확보되지 않는 곳에서의 사고에 따른 대처가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구명환, 구명의, 로프 등 구조용품을 구조장비 보관함(인명구조함)에 비치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구조장비 보관함의 내부에 비치된 구조용품들을 쉽게 사용하기 위해 보관함 전면의 패널이 충격에 대해 쉽게 개방되도록 구성되거나 보관함 외부에 별도의 잠금장치의 마련없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장치의 부재로 인해 구조용품들이 쉽게 파손 및 도난되는 등 구조용품의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구조장비 보관함에는 긴급상황발생시 사용가능한 구조용품은 있으나, 119 또는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로 긴급상황임을 알려주기 위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특히 바닷가나 계곡 등에서 수영을 즐기는 경우에는 핸드폰을 휴대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통화자체가 불가능함으로써 긴급상황을 119나 재난센터 상황실에 통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으며, 이로 인해 즉각적이고도 현명하게 대처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구조장비 보관함은 단순히 구조장비를 보관하는 함체로 이루어진 것임에 불과함에 따라 주간이 아닌 야간에는 그 위치를 찾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원거리에서는 식별이 어려워 긴급상황발생시 구조장비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구조장비 보관함에는 구명조끼나 구명튜브 및 랜턴 등의 구조용품만이 보관되어 있을 뿐 상처에 바르는 약이나 붕대 등이 보관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구조 후 또는 비상시 사용이 가능한 약품이 없어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0561호(2016.10.18.,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등록특허공보 제0960721호(2010.05.24., 수상 인명구조함)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2476호(2004.09.30., 소방용구 보관함(구급함)을 이용한 조명(비조명)표시광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저수지나 강가 또는 바닷가에 설치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119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통해 긴급상황을 즉시 알려주도록 함은 물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인명구조함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구조함 본체에 조명부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인명구조함의 위치를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구조함 본체의 전면에 직하방으로 빛을 조사시켜 줌으로써 눈의 피로없이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구조장비나 긴급통화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인명구조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구명조끼를 포함한 구조장비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10)의 개폐를 위해 개폐도어(115)가 설치된 구조함 본체(1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119센터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위한 긴급통화부(200); 상기 긴급통화부(200)와 인접되는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통화당사자 및 주변을 촬영하여 제어부(400)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3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에 설치되어 긴급통화부(200)의 통화정보와 카메라(300)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구조함 본체(100)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전원발생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부(1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직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긴급통화부(200)와 수용공간(110)가 형성된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을 비춰주도록 엘이디모듈이 하나 이상 구비된 조명부(12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구급약 등이 보관된 구급상자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구급상자 수용부(1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주변인에게 긴급상황임을 알려주도록 경보기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알림부(1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115)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벽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홀(161)이 형성된 고정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60)에는 고정홀(161)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전면에 걸림걸이(166)가 형성된 걸림쇠(165)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인명구조함에 따르면, 긴급통화부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긴급상황 발생시 119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통해 긴급상황을 즉시 알려줌은 물론 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부가 설치되어 있어 인명구조함의 위치 식별이 용이함은 물론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구조장비나 긴급통화부 및 구급상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를 보인 인명구조함의 일부 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 및 이 고정부의 고정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쇠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통신연결되는 관리자서버 및 긴급통화부와 전화연결되는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연결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함은 개폐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공간(110)을 갖는 구조함 본체(100)와,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상부 일측에 긴급통화를 위해 설치되는 긴급통화부(200)와,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카메라(300)와, 상기 구조함 본체(100)에 설치되어 긴급통화부(200)의 통화정보와 카메라(300)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전원발생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함 본체(100)는 지지대(101)에 의해 지면에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대략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공간(110)에는 구명조끼, 구명튜브, 랜터 등의 구조장비가 비치되어 있다.
수용공간(110)은 개폐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 개폐도어(115)는 테두리부분은 철판으로 형성되나, 안쪽부분은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수지재나 또는 유리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115)는 누구나 쉽게 작동시켜 수용공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나, 바람 등에 의해 쉽게 움직여 열리지 않도록 구조함 본체(100)에 클램프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고정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10)을 형성하는 구조함 본체(100)의 테두리에는 우천시 빗물을 유도하여 수용공간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빗물유도홈(131)이 형성되게 빗물유도부(130)가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15)의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빗물유도부(130)가 안쪽으로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테두리를 따라 빗물유도부(130)보다 더 긴 길이로 빗물차단부(116)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급통화부(200)는 긴급상황 발생시 119센터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통상의 전화기와 이 전화기가 수용되는 전화기 수용공간 및 이 전화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전화기에는 당연히 해당 전화번호가 지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119나 재난센터 상황실과만 통화가 되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긴급통화부(200)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 응급치료 등이 필요한 긴급상황 발생시 119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통해 긴급상황을 바로 알려줄 수 있음은 물론 통화하면서 현재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긴급통화부(200)를 이루는 도어는 내부에 수용되는 전화기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별도의 잠금수단이나 클램프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300)는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긴급통화를 하는 통화당사자는 물론 주변을 촬영하여 제어부(400)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300)는 긴급통화시 통화당사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능하면 상기 구조함 본체의 상부에 긴급통화부(200)와 인접되는 부분에 위치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카메라(300)는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통화당사자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간투시경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후술되는 조명부(125)가 구비된 경우에는 야간투시경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 않더라도 조명에 의해 통화당사자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부 외에도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 별도로 엘이디모듈을 구비하여 긴급통화부의 전화기 사용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조명되어 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발생수단(500)은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구조함 본체(100)에 이격되어 별도의 지지프레임 등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발생수단(500)은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태양광발전장치나 풍력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제어부와 카메라 및 전화기는 물론 후술되는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조명되는 조명부(125)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부(125)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 전방을 향해 설치되기 보다는 수용공간(110) 및 긴급통화부(200)의 설치위치에 빛을 조사시켜 주도록 설치된다.
조명부(125)의 설치를 위해,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에 조명부(125)가 설치되어져 직하방으로 빛을 조사시켜 줌으로써 상기 긴급통화부(200)와 수용공간(110)가 형성된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을 비춰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부(125)가 설치됨에 따라 야간에 원거리에서도 구조함 본체(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수용공간에 비치된 구조장비는 물론 긴급통화부의 전화기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긴급상황발생시 당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부(125)는 전원발생수단(500)에 의해 발전된 전원을 공급받고 있음에 따라 오프(OFF)동작 없이 상시 온(ON)동작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주간에는 조명이 불필요함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오프동작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야간에는 현장상황 등 경우에 따라서 오프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오프상태에서 구조함 본체(100)의 근처에 근접한 경우 또는 개폐도어나 긴급통화부 및 후술되는 구급상자 수용부을 폐쇄하도록 구비된 도어의 개방동작시에만 온동작되도록 제어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구급상자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구급상자 수용부(140)이 형성되며, 이 구급상자 수용부(140)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진다.
구급상자 수용부(140)을 개폐하는 도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도 되고, 불투명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외부에서 구급상자가 수용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되기 보다는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주변인에게 긴급상황임을 알려주도록 경보기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알림부(15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부(150)는 버튼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버튼을 누른 경우에 온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상기 개폐도어(115)나 상기 긴급통화부(200) 또는 구급상자 수용부(140)의 개폐를 위해 구비된 도어의 개방동작시 자동으로 연동되면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구명조끼나 구명튜브 등의 구조장비는 단순하게 적재하여 포개어 놓기보다는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걸어놓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115)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벽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홀(161)이 형성된 고정부(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60)에는 고정홀(161)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걸림쇠(1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165)의 전면에는 구조장비를 걸 수 있도록 걸림걸이(16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60)와 걸림쇠(165)가 구비됨으로써 구조장비를 걸어 보관할 수 있어 외부에서 수용공간에 수용된 구조장비의 존재유무 및 종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의 개방 후 해당 장비를 즉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재난센터 상황실 또는 인명구조함 제조회사에는 상기 제어부(4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받도록 관리자서버(450)가 설치된다.
이때, 제어부(400)에 저장된 정보는 저장과 함께 관리자서버(450)로 송신되기 보다는 설정된 시간주기로 주기적으로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물론, 긴급통화부(200)의 전화기를 이용한 긴급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에는 영상정보 등 관련 정보가 즉시 관리자서버(450)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관리자서버(450)에는 관리자가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기는 하나, 해당 지역의 관리자가 부재중일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각 관리자가 휴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관리자서버(450)와 통신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관리자단말기(460)가 구비된다.
관리자서버(450)는 다수의 지역에 분포된 다수개의 인명구조함의 제어부로부터 영상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저장하게 되며, 긴급상황이 발생된 경우 관리자는 물론 119 및 소방서나 지자체 재난센터 상황실 등에 알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통화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물에 빠지거나 발목 등이 다쳐 거동이 불편한 경우와 같이 구조신호가 필요한 경우 또는 급하게 119와 통화가 필요한 경우에 직통연결을 통해 통화할 수 있음은 물론 통화하면서 상황에 따른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조기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시간지체로 발생될 수 있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조명부가 설치되어 있어 야간에도 인명구조함의 위치 식별이 용이함은 물론 수용공간의 내부에 수용된 구조장비나 긴급통화부 및 구급상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구급상자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처치료는 물론 단순 타박상이나 근육통 또는 피부 찢김 등으로 인해 피가 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구조함 본체 101: 지지대
110: 수용공간 115: 개폐도어
116: 커버돌기 120: 돌출부
125: 조명부 130: 빗물유도부
131: 빗물유도홈 140: 구급상자 수용부
150: 알림부 160: 고정부
161: 고정홀 165: 걸림쇠
166: 걸림걸이 200: 긴급통화부
300: 카메라 400: 제어부
450: 관리자서버 460: 관리자단말기
500: 전원발생수단

Claims (7)

  1. 구명조끼를 포함한 구조장비의 수용을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10)의 개폐를 위해 개폐도어(115)가 설치된 구조함 본체(1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119센터나 재난센터 상황실과의 통화를 위한 긴급통화부(200);
    상기 긴급통화부(200)와 인접되는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통화당사자 및 주변을 촬영하여 제어부(400)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3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에 설치되어 긴급통화부(200)의 통화정보와 카메라(300)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카메라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구조함 본체(100)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한 전원발생수단(50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는 전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부(120)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하면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직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긴급통화부(200)와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을 비춰주도록 엘이디모듈이 하나 이상 구비된 조명부(1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0)을 형성하는 구조함 본체(100)의 테두리에는 빗물유도홈(131)이 형성되게 절곡되어 돌출된 빗물유도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도어(115)의 내측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빗물유도부(130)가 안쪽으로 인입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빗물유도부(130)보다 더 긴 길이로 빗물차단부(116)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전면 일측에는 구급상자를 수용하여 보관하도록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구급상자 수용부(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함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주변인에게 긴급상황임을 알려주도록 경보기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알림부(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115)와 마주보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벽면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홀(161)이 형성된 고정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60)에는 고정홀(161)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전면에 걸림걸이(166)가 형성된 걸림쇠(16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센터 상황실 또는 인명구조함 제조회사에는 상기 제어부(400)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받도록 관리자서버(450)가 설치되고,
    상기 관리자서버(450)와 통신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관리자가 휴대하는 관리자단말기(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함.
KR1020200071823A 2020-06-12 2020-06-12 인명구조함 KR10242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23A KR102425191B1 (ko) 2020-06-12 2020-06-12 인명구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823A KR102425191B1 (ko) 2020-06-12 2020-06-12 인명구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28A true KR20210154628A (ko) 2021-12-21
KR102425191B1 KR102425191B1 (ko) 2022-07-25

Family

ID=7916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823A KR102425191B1 (ko) 2020-06-12 2020-06-12 인명구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19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476A (ko) 2003-03-19 2004-09-30 최남언 소방용구 보관함(구급함)을 이용한 조명(비조명)표시광고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KR100960721B1 (ko) 2009-06-19 2010-05-31 거성환경주식회사 수상 인명 구조함
KR20120023870A (ko) *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20130000224U (ko) * 2011-07-01 2013-01-09 임명숙 농기구용 보관대
JP3203772U (ja) * 2016-02-04 2016-04-14 日本自動保管機株式会社 屋外ロッカー
KR20160120561A (ko) 2015-04-08 2016-10-18 (주)유림아크릴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772B2 (ja) * 1992-06-24 2001-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膜形成方法及び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476A (ko) 2003-03-19 2004-09-30 최남언 소방용구 보관함(구급함)을 이용한 조명(비조명)표시광고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KR100960721B1 (ko) 2009-06-19 2010-05-31 거성환경주식회사 수상 인명 구조함
KR20120023870A (ko) * 2010-09-02 2012-03-14 김지신 수난방재설비시스템
KR20130000224U (ko) * 2011-07-01 2013-01-09 임명숙 농기구용 보관대
KR20160120561A (ko) 2015-04-08 2016-10-18 (주)유림아크릴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JP3203772U (ja) * 2016-02-04 2016-04-14 日本自動保管機株式会社 屋外ロッ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191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234B1 (ko)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US9928702B2 (en) First response locator system
US10497229B2 (en) First response locator system
US20200388137A1 (en) First response locator system
KR101289463B1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KR102425191B1 (ko) 인명구조함
CN111768577A (zh) 基于公共水域救援设备的救援方法
KR101895213B1 (ko) 태양광 무선비상 호출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JP2017059414A (ja) 街路灯
KR20160150558A (ko)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CN210011886U (zh) 一种救援无人机
KR102531311B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인명구조함
CN213146356U (zh) 具有监控功能的消防应急照明灯
KR101936117B1 (ko) 비상타워를 이용한 위기상황 관제시스템
CN206893063U (zh) 一种多功能安防桩
WO2016208791A1 (ko) 보안 유지 및 증거 확보를 위한 부착형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7718603U (zh) 一种多功能社区安防监控装置
JP3222934U (ja) 緊急警報装置
KR101346033B1 (ko) 세이프 룸
JP7225518B2 (ja) 救援要請キット
KR101616742B1 (ko) 하이브리드형 비상대피실 위급상황 알림시스템
NO162588B (no) Kombinert alarm-, overvaakings- og redningssystem.
CN112150754B (zh) 一种应急救生箱包
CN106907635A (zh) 具有救助功能的智慧灯杆及救助方法
ITPD20120192A1 (it) Struttura di contenimento e protezione per un defibrillatore semiautomatico ester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