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064A -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 Google Patents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064A
KR20220109064A KR1020210012296A KR20210012296A KR20220109064A KR 20220109064 A KR20220109064 A KR 20220109064A KR 1020210012296 A KR1020210012296 A KR 1020210012296A KR 20210012296 A KR20210012296 A KR 20210012296A KR 20220109064 A KR20220109064 A KR 20220109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emergency
door
booth
safety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도
Original Assignee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064A/ko
Publication of KR2022010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를 이용하여 여성 및 노약자, 어린이 등이 안전부스를 통해 신속하게 격리시켜 범죄자로부터 부터 긴급구조 요청함과 동시에 안전을 제공하여 범죄예방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부스; 상기 안전부스의 지붕; 상기 안전부스의 유리 및 도어문; 상기 도어문에 설치된 비상도어락; 상기 복수개 안전부스와 유무선 및 영상통신이 가능하고, 대피자와 동시에 유무선 및 영상통화가 가능한 관제센터;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상기 복수개 안전부스 위치와 비상상황을 구조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출동하는 알림 및 수신수단; 상기 안전부스에 장착된 CCTV 또는 카메라, 와이파이, 경광등; 및 상기 안전부스 내부에 구비된 CCTV 또는 카메라, 공중전화기, 비상벨, 스마트 미디어기, 긴급통화 장치, 비대면 ATM, AED. 함체형 탈착식 들것, 냉난방기, 고정식 의자;을 포함하고, 대피자가 상기 안전부스 내부에 장착된 상기 비상벨을 누를 경우, 상기 도어문의 비상도어락, 경과등 및 사이렌이 작동되고, 상기 비상벨의 신호는 관제센터에 송신되어서 관제요원 긴급출동중에도 구조자가 대피자에게 응급상황과 대처지시를 하면서 대피자를 구조;하고, 상기 비상벨의 해제 누를 경우 상황이 종료;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유리 및 도어문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면서 대피자가 비상벨을 작동할 경우 상기 도어문이 작동되어 잠겨지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CCTV 또는 카메라는, 상기 안전부스의 안밖의 범죄사 또는 대피자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상기 안전부스 내부의 대피자의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포함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Building a smart university safety campus using safety booths}
본 발명은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 및 노약자, 어린이에 대한 범죄예방을 하기 위해 대피자가 112, 119 긴급 및 응급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긴급통화장치, 비상도어락, 경광등, CCTV, 비상벨을 구비하고, 또한 대피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범죄용의자를 감시해 주고, 대피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제공하는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현대화, 산업화되어 가면서 사람들이 도로, 이면도로, 골목길 등의 도로에서 다양한 형태의 범죄가 성행되어 있고 또한 보행자의 돌발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적한 도로 및 골목길, 간선도로 등에서 여성 및 노약자, 등하교길의 학생 및 어린이(이하, '대피자'라 한다)이가 범죄대상이 되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빈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히, 주간보다 어두운 밤인 야간에 대피자의 범죄대상이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범죄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범죄형태는 금전을 갈취하는 강도, 성폭력 등의 강간, 대피자의 유괴 등이 다향한 형태의 범죄가 더욱 잔인하게 및 급박, 치밀하게 발전되어 가는 다양한 형태로 변모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및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르키고 있으며, 또한 대피자의 보호자도 매우 불안하게 느끼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국가적으로 교육, 홍보, 사회안전망, 치안 등의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종래기술의 부스는 내부에 공중전화만을 설치되어 있거나 다른 부가 서비스인 금융 자동화기기에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부스는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대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최 한예로 최근 성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좁은 도로는 물론 큰 도로변에서 인적이 드문 시간에 범죄가 발생하기 쉽고, 범죄자에 위협을 느낀 시민들이 대피할 공간이나 경찰 등에게 급하게 도움을 청할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부스에 도어시권장치에 국한되어 있거나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긴급 구조를 요청하는데 국한되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종래기술에서 대피자가 범죄자로부터 격리한 수준의 기술수준으로 긴급한 구조 및 범죄자로부터 신속하게 탈출 및 구조하기 위해 특별하게 범죄예방 및 긴급 구조청에 대한 안전부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670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5230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를 이용하여 여성 및 노약자, 어린이 등, 즉 대피자가 안전부스를 통해 신속하게 격리시켜 범죄자로부터 부터 긴급구조 요청함과 동시에 안전을 제공하여 범죄예방을 방지하는 것을 기본 과제로 한다.
또한, 긴급 구조 및 돌발상황(예를 들어 건강상 등)에 처한 대피자가 112, 119 등에 신속히 신고 또는 연락하여 구조요청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대피자가 안전부스에 안에 있을 때 내부에 대피자의 상황과 외부에 있는 범죄자를 감시 추적하는 것을 제공하여 용의자가 쉽게 파악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안전부스 내부에 공조기를 통해 대피자가 편안하게 긴급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쾌적하고 크린룸을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대피자의 휴대폰을 원할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와이파이 등을 제공하게 대피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안전부스에서 구조요청에 대한 사용기능 및 방법, 응급처치요령, 미안찾기, 다른 기타의 홍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는 도로, 이면도로, 골목길의 위험지역에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된 안전부스; 상기 안전부스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 상기 안전부스의 전면, 좌우면에 형성된 유리 및 도어문; 노약자, 유모차,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상기 도어문 입구에 경사진 판이 형성된 상기 도어문과 상기 도어문의 일측면 중간부분에 설치된 비상도어락; 상기 복수개 안전부스와 유무선 및 영상통신이 가능하고, 대피자와 동시에 유무선 및 영상통화가 가능한 관제센터;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상기 복수개 안전부스 위치와 비상상황을 구조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출동하는 알림수단 및 수신수단; 상기 안전부스 외부에 상기 지붕의 상부에 장착된 CCTV 또는 카메라, 와이파이, 경광등; 및 상기 안전부스 내부에 구비된 CCTV 또는 카메라, 공중전화기, 비상벨, 스마트 미디어기, 긴급통화 장치, 비대면 ATM, AED(자동심장충격기), 함체형 탈착식 들것, 냉난방기, 고정식 의자;을 포함하고, 대피자가 상기 안전부스 내부에 장착된 상기 비상벨을 누를 경우, 상기 도어문의 비상도어락, 경과등 및 사이렌이 작동되고, 상기 비상벨의 신호는 관제센터에 송신되어서 관제요원 긴급출동중에도 구조자가 대피자에게 응급상황과 대처지시를 하면서 대피자를 구조;하고, 상기 비상벨의 해제 누를 경우 상황이 종료;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및 도어문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면서 대피자가 비상벨을 작동할 경우 상기 도어문이 작동되어 잠겨지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CCTV 또는 카메라는, 상기 안전부스의 안밖의 범죄사 또는 대피자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상기 안전부스 내부의 대피자의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포함되게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를 이용하여 여성 및 노약자, 어린이 등, 즉 대피자가 안전부스를 통해 신속하게 격리시켜 범죄자로부터 부터 긴급구조 요청함과 동시에 안전을 제공하여 범죄예방을 방지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또한 긴급 구조 및 돌발상황(예를 들어 건강상 등)에 처한 대피자가 112, 119 등에 신속히 신고 또는 연락하여 구조되는 생명을 구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피자가 안전부스에 안에 있을 때 내부에 대피자의 상황과 외부에 있는 범죄자를 감시 추적하는 것을 제공하여 용의자가 쉽게 파악하여 수사를 통해 범죄자를 체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안전부스 내부에 공조기를 통해 대피자가 편안하게 긴급구조요청을 할 수 있도록 쾌적하고 크린룸을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대피자의 휴대폰을 원할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와이파이 등을 제공하게 대피자에게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이뿐만 아니라, 안전부스에서 구조요청에 대한 사용기능 및 방법, 응급처치요령, 미안찾기, 다른 기타의 홍보 및 광고의 효과도 갖는다. 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자의 도보상황,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요청을 위한 안전부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로상 설치되는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2, 3의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 서비스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여기서 안전부스는 위급 시 문을 열고 비상버튼을 누르면 문이 잠기며 외부에 경광등, 사이렌이 울려 시민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자 등의 사람의 도보상황,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요청을 위한 안전부스의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목적지와 집사이에 도로상에 상기 안전부스와 관제센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피자는 집으로 귀가 도중에 범죄자로부터 위협을 받거나 긴급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 대피자가 대피한 경우 상기 안전부스의 장착된 비상벨을 누르면 경보가 발생되고 원격제어와 안전부스의 위치추적을 통해 경찰이 긴급출동하여 대피자를 신속안전하게 대피하게 하여 대피자의 신변보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CCTV 또는 카메라, 경광등, 비상벨, 방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및 기능, 작동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는, CCTV(1), 경광등(2), 공중전화(3), 비상도어락(4), 비대면ATM(5), 비상벨(6), 스마트 미디어(7), 긴급통화(8), 와이파이(9) 및 광고도 할 수 있게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부스와 관제센터간의 네트워크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에 강화유리로 구성된 유리벽과 도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는 비상도어락을 구비되어 대피자가 안전부스 안으로 피신한 후 도어를 시권할 경우 외부의 범죄자가 도어를 열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안전부스의 상부에 빗물을 가릴 수 있는 빗물가림판을 형성된 지붕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카메라 또는 CCTV(1), 와이파이(9), 경광등(2)을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 또는 CCTV(1)는 안전부스 내부의 대피자의 상황을 직접 촬영하여 관제센터에 송부하고, 또는 외부에는 범죄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촬영하여 관제센터 송부하며, 와이파이(9)는 무선통신을 수송신하게되고, 경광등(2)은 안전부스 주위 사람들로 하여금 안전부스내에 대피자기 범죄자 및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안전부스 내부에 장착된 공중전화는 긴급하게 구조요청하거나 119, 112 등에 전화할 경우 사용된다.
또한, 비대면 ATM는 안전부스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비상벨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비상벨을 작동시키면 도어락과 경광등, 사이렌이 동시에 작동되고, 해제하면 도어가 열리면서 경과등과 사이렌 정지 등의 상황이 종료되고, 범인추척이 진행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특별히 비상벨을 누를 경우 범죄자의 위협으로부터 신속하고 완전한 격리되는 도어문 잠금/해제, 스마트 미디어기, 사이렌/경과등과 연동되어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CCTV 및 보안 카메라는 현장영상정보를 관제센터에 송부하거나 저장이 가능하고, 정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조배터리를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부스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스마트미디어는 안전지대 소개 및 사용법을 볼 수 있으며, 비상상황시 112, 119, 1339 호출도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비상상황발생시에 카메라는 비상상황현장의 대처상황을 알 수 있고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전부스 내부에 냉/난방기를 구비하여 대피자가 안심되고 평정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에 더부쳐 AED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AED는 자동심장충격기로 급성 심정지 환자를 응급조치를 하게한다.
이와 더불어, 고정식의자는 안전부스내부에서 대피자 또는 부상자 구조대기 및 이용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또한 환자 및 부상자 발생시 긴급 후송할 수 있도록 안전부스내에 일측면에 함체형 탈착식 들것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3에 의해 구성된 CCTV(1), 경광등(2), 공중전화(3), 비상도어락(4), 비대면ATM(5), 비상벨(6), 스마트 미디어(7), 긴급통화(8), 와이파이(9)로 노약자, 여성, 어린이 등의 대피자를 범죄로부터 긴급 구조될 수 있다.
이들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예를 들어 심야에 위기에 빠진 여성이 안전부스의 구조요청 비상벨을 통해 위험상황을 알리면, 여성의 구조요청은 CCTV 통합관제상황실에 즉시 전달되며, 상황실 관제요원은 곧바로 인계파출소에 출동을 요청하고, 안전부스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 여성을 감시하여 마음을 안심시키면서 응급상황을 지도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제요원은 경찰이 올 때까지 여성과 비상벨로 통화를 하며 “안전부스 문을 밖에서 열 수 없으니 안심하라”고 말할 수 있으며, 구조자 또는 경찰관이 도착해 여성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와 같이 안전부스는 위기에 빠진 시민이 들어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장소로 비상벨을 누르면 문이 잠기고, 도시통합안전센터의 관제요원과 연결된다. 부스 안에는 CCTV 카메라가 설치돼 있다.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를 도입하여 만들어진 (주)네이션스의 안심부스(Safe Zone)는 여성, 노약자,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성폭력 및 유괴· 절취 등의 범죄로부터 보호하는 시설이며, 위급상황 발생시 112 및 119호출지대의 역할도 하고 있다.
안전부스는 위급 시 문을 열고 비상버튼을 누르면 문이 잠기며 외부에 경광등, 사이렌이 울려 시민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CCTV
2. 경광등
3. 공중전화
4. 비상도어락
5. 비대면 ATM
6. 비상벨
7. 스마트 미디어
8. 긴급통화
9. 와이파이

Claims (3)

  1. 범죄예방 및 긴급구조 안전부스에 있어서,
    도로, 이면도로, 골목길의 위험지역에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된 안전부스;
    상기 안전부스의 상부에 형성된 지붕;
    상기 안전부스의 전면, 좌우면에 형성된 유리 및 도어문;
    노약자, 유모차, 휠체어가 다닐 수 있도록 상기 도어문 입구에 경사진 판이 형성된 상기 도어문과 상기 도어문의 일측면 중간부분에 설치된 비상도어락;
    상기 복수개 안전부스와 유무선 및 영상통신이 가능하고, 대피자와 동시에 유무선 및 영상통화가 가능한 관제센터;
    상기 관제센터에 의해 상기 복수개 안전부스 위치와 비상상황을 구조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출동하는 알림수단 및 수신수단;
    상기 안전부스 외부에 상기 지붕의 상부에 장착된 CCTV 또는 카메라, 와이파이, 경광등; 및
    상기 안전부스 내부에 구비된 CCTV 또는 카메라, 공중전화기, 비상벨, 스마트 미디어기, 긴급통화 장치, 비대면 ATM, AED(자동심장충격기), 함체형 탈착식 들것, 냉난방기, 고정식 의자;을 포함하고,
    대피자가 상기 안전부스 내부에 장착된 상기 비상벨을 누를 경우, 상기 도어문의 비상도어락, 경과등 및 사이렌이 작동되고, 상기 비상벨의 신호는 관제센터에 송신되어서 관제요원 긴급출동중에도 구조자가 대피자에게 응급상황과 대처지시를 하면서 대피자를 구조;하고, 상기 비상벨의 해제 누를 경우 상황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및 도어문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면서 대피자가 비상벨을 작동할 경우 상기 도어문이 작동되어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TV 또는 카메라는,
    상기 안전부스의 안밖의 범죄사 또는 대피자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상기 안전부스 내부의 대피자의 응급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KR1020210012296A 2021-01-28 2021-01-28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KR20220109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96A KR20220109064A (ko) 2021-01-28 2021-01-28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96A KR20220109064A (ko) 2021-01-28 2021-01-28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64A true KR20220109064A (ko) 2022-08-04

Family

ID=8283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296A KR20220109064A (ko) 2021-01-28 2021-01-28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06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700A (ko) 2013-09-02 2015-03-11 김형숙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102152303B1 (ko) 2019-07-10 2020-09-04 김형숙 스마트 안전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700A (ko) 2013-09-02 2015-03-11 김형숙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KR102152303B1 (ko) 2019-07-10 2020-09-04 김형숙 스마트 안전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4352B1 (en) Security system for identifying disturbances in a building
US1171039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and dynamic security information during an emergency crisis
KR101491834B1 (ko) 긴급상황 발생 시 대피를 위한 세이프티존 부스
US20060250271A1 (en) Muster station and system for emergency communication
US115016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n active shooter
IT201800007995A1 (it) Sistema di sorveglianza di luoghi pubblici
KR20220109064A (ko)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KR101840661B1 (ko)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KR20110015251A (ko) 엘리베이터 범죄예방 시스템
KR20180004422A (ko) 긴급구조요청 및 긴급경보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앱의 구성
KR101902976B1 (ko)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KR102472384B1 (ko) 스마트 방수 도어 및 그 운용 시스템
KR20200007756A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2069607B1 (ko) 건물에서의 무선비상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88750B1 (ko) 폴대형 무선 비상벨 장치
KR101616742B1 (ko) 하이브리드형 비상대피실 위급상황 알림시스템
CN219872547U (zh) 一种基于ai智能路灯的紧急求助系统
JPH0672651A (ja) エレベーターの監視装置
WO1999056487A2 (en) Device for detecting mobile telephones
EP4010891B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supervision de site en situation d'alerte
KR102425191B1 (ko) 인명구조함
KR101138399B1 (ko) 무인 경비 시스템
KR100346301B1 (ko) 엘리베이터용스토킹시스템
KR20220109034A (ko) Ip전화기를 이용하여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범죄신고 시스템
JP2004206685A (ja) 災害時弱者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災害時弱者支援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