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303B1 - 스마트 안전부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303B1
KR102152303B1 KR1020190094421A KR20190094421A KR102152303B1 KR 102152303 B1 KR102152303 B1 KR 102152303B1 KR 1020190094421 A KR1020190094421 A KR 1020190094421A KR 20190094421 A KR20190094421 A KR 20190094421A KR 102152303 B1 KR102152303 B1 KR 10215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door
booth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숙
Original Assignee
김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숙 filed Critical 김형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8Earthquake withstanding shelter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 상황 시의 대피처를 제공함과 더불어 응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제공하는 한편, 위치 기반의 미디어 및 금융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공 컨텐츠를 제공하며, 스마트폰과 연계되는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시티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부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측에 구비된 개방형 제1구획 및 타 측에 구비된 개폐형 제2구획을 포함하는 부스 본체, 그리고 상기 부스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천장, 그리고 상기 제2구획에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부, 상기 제2구획 내부의 인원을 감지하는 재실감지부 및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도어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하되 상기 재실감지부에서 인원인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컨트롤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부스{Smart Safety booth}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 상황 시의 대피처를 제공함과 더불어 응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제공하는 한편, 위치 기반의 미디어 및 금융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공 컨텐츠를 제공하며, 스마트폰과 연계되는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시티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부스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한편에서는 신변 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 사회면 뉴스를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유괴, 납치, 살인, 강간 등 흉악 범죄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성인 남성의 경우에도 신변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특히, 힘이 약한 어린아이나 여성의 경우, 어두운 장소에서, 행인이 없는 장소에서, 구석진 장소에서 신변 안전에 위협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도 신변 안전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본인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교육은 실질적인 교육 정책에 지나지 않을 뿐 현실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위급 상황에 신변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대피처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부스의 필요성에 제고되고 있는 바이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고안된 안전부스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99990호 (2014년05월21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공중전화, 자동금융거래단말기, 스마트 미디어 등의 기기를 부스에 설치하여 한곳에서 다양한 기능 및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면서, 부스에 범죄로부터 긴급 피난할 수 있는 안전지대를 설치하여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안전부스의 설치를 위해 신규 부스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이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 정부, 지자체 등은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대피처를 제공하고 있을 뿐, 스마트시티 구축에 필요한 부가기능들을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은 도어의 잠금을 위해 비상스위치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데, 긴급 상황에서는 도어의 잠금을 위한 어떠한 행위를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범죄자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잠금 방식이 구비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노후한 공중전화부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르는 비용 및 재원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시티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부가기능들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시티에 걸맞은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구조요청자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도어의 개폐를 차단하여 범죄자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일 측에 구비된 개방형 제1구획 및 타 측에 구비된 개폐형 제2구획을 포함하는 부스 본체, 그리고 상기 부스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천장, 그리고 상기 제2구획에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부, 상기 제2구획 내부의 인원을 감지하는 재실감지부 및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도어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하되 상기 재실감지부에서 인원인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컨트롤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구획의 내측 및 외측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제공하는 부가기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수단은, 상기 천장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스 본체의 주변 영상을 수집하는 CCTV, 상기 천장의 상부에 구비되고 무선인터넷 망을 제공하는 통신안테나 및 상기 천장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 내부에 구비된 비상벨에 의해 작동하는 경광등을 포함하고, 상기 CCTV에서 수집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촬영된 인물의 안면이미지를 추출하는 안면인식부 및 추출된 안면이미지를 분석하되 얼굴의 특징이 변화하는 특정 안면 부위의 특징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안면분석부를 포함하는 안면인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수단은, 상기 제2구획의 상면에 구비된 조명기기,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구비된 사이니지,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접철식으로 구비된 간이침상,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상기 제2구획의 저면에 배치되는 간이의자, 상기 제2구획의 상면에 구비된 보강대에 안착된 냉난방기,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구비된 미디어기기 및 상기 제2구획의 일 측에 구비된 ATM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이침상과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상기 제2구획의 내벽들 중 동일한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상기 간이침상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니지의 상부 천장에는 상기 사이니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환풍시설이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장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컨트롤모듈, 상기 안면인식모듈 및 상기 부가기능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이 내장되는 회로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박스는 상기 전원공급모듈의 전원 공급을 기기별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 특정 시간에 상기 조명을 포함하는 해당 기기의 절전을 제공하는 타임스위치, 상기 전원공급모듈의 전원 전체 전원 공급을 개폐하는 비상스위치, 상기 전원공급모듈에 연결된 콘센트, 접지를 제공하는 그라운딩바, 상기 도어컨트롤모듈과 상기 안면인식모듈의 제어를 위한 타이머와 릴레이 및 구성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기존의 노후된 공중전화부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르는 비용 및 재원의 부담을 경감하고, 스마트시티에 걸맞은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구조요청자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도어의 개폐를 차단하여 범죄자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6은 도어컨트롤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
도 7은 안면인식모듈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
도 8은 회로박스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부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위급 상황 시의 대피처를 제공함과 더불어 응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제공하는 한편, 위치 기반의 미디어 및 금융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공 컨텐츠를 제공하며, 스마트폰과 연계되는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시티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부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부스 본체(1), 천장(2), 도어(3) 및 도어컨트롤모듈(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에서 도어컨트롤모듈(4)은 본 발명의 기본적 기능은 안전부스로서의 기능을 구현한다.
각 구성 별로, 부스 본체(1)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일 측에 구비된 개방형 제1구획(11) 및 타 측에 구비된 개폐형 제2구획(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부스 본체(1)의 벽체는 강화유리, 알루미늄 합금 압출 성형 프레임 등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1구획(11)은 상기 도어(3)의 작동 없이 외부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고, 여기에는 공중전화, 전기차 충전기, 태양광 축전기 등과 같은 보안 이슈와 관련 없는 공공시설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제2구획(12)은 상기 도어(3)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이고, 여기에는 긴급전화, 비상벨(104) 등과 같은 위급 상황을 알릴 수 있는 장치들이 구비되고, 특히 ATM 등과 같은 보안 이슈와 관련성이 높은 공공시설이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개방형 제1구획(11)에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설을 배치하여 그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반면 제2구획(12)에는 제한된 인원만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배치하여 보안성을 강화하였다. 특히 제2구획(12)은 범죄 상황 등과 같은 위급 상황 발생 시 범죄자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구조요청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천장(2)은 본 발명의 상부 구성으로, 부스 본체(1)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반적인 구조물의 천장(2)과 크게 다르지 않게 구성된다.
도어(3)는 개폐형 제2구획(12)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성으로, 자명하게도 제2구획(12)에 구비되고, 제2구획(12)을 개폐한다. 이러한 도어(3) 역시 일반적인 구조물의 도어(3)와 크게 다르지 않게 구성된다.
도어컨트롤모듈(4)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3)를 조작하여 제2구획(12)을 개폐함으로써 상기한 응급 상황 회피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부(41), 제2구획(12) 내부의 인원을 감지하는 재실감지부(42) 및 접근감지부(41)에서 도어(3)로의 접근이 감지되면 도어(3)를 개방하되 재실감지부(42)에서 인원인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도어(3)를 개방하는 도어제어부(43)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어컨트롤모듈(4)은 접근감지부(41)에서 인원의 접근이 감지되면 도어(3)를 개방하되, 재실감지부(42)에서 제2구획(12) 내부의 인원이 감지되면 도어(3)를 개방하지 않고, 재실감지부(42)에서 제2구획(12) 내부의 인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어(3)를 개방한다. 즉, 도어컨트롤모듈(4)은 일종의 자동문과 같이 도어(3)의 개폐를 제공하되, 제2구획(12) 내부에 인원이 없는 경우에만 도어(3)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구조요청자가 본 안전부스 내에 입실하면 입실한 구조요청자의 조작 없이는 도어(3)가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자명하게도, 이를 위해 제2구획(12)의 내부에는 도어(3)를 개방할 수 있는 수단, 예를 들면 버튼, 레버 등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급 상황 시의 대피처를 제공함은 물론 응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위치 기반의 미디어 및 금융거래서비스, 다양한 형태의 공공 컨텐츠, 스마트폰과 연계되는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하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통칭하여 '부가기능'으로 하며, 이를 위한 장치적 구성들을 '부가기능수단'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부가기능수단은 제2구획(12)의 내측 및 외측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제공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부가기능수단을 상부에서부터 열거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2) 측에 구비된 구성들로, 천장(2)의 상부에 구비되고 부스 본체(1)의 주변 영상을 수집하는 CCTV(101), 천장(2)의 상부에 구비되고 무선인터넷 망을 제공하는 통신안테나 및 천장(2)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구획(12) 내부에 구비된 비상벨(104)에 의해 작동하는 경광등(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CCTV(101)는 그 설치 위치가 천장(2)의 직 상부에 구비되면 천장(2)에 의해 시야가 가려져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측면 시점에서 볼 때 부스 본체(1)의 측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부가기능수단이 카메라가 결합되는 거치대(102)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거치대(102)는 천장(2)의 상면에 결합되고 수직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02a) 및 수직프레임(102a)의 상단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배치되며 부스 본체(1)의 측벽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프레임(102b)을 포함하는데, 이에 상기한 CCTV(101)는 수평프레임(102b)의 단부에 구비되어 촬영 시에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안테나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인터넷 망은 일반적으로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전부스 이용자로 하여금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광등(105)은 제2구획(12) 내부에 구비된 비상벨(104)에 의해 작동하여 주변에 위험 상황을 알리는데, 시각적인 알람을 제공하는 경광등(105)과 함께 청각적인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부저나 스피커 등이 함께 구비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부가기능수단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2구획(12)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기능수단은 제2구획(12)의 상면에 구비된 조명기기, 제2구획(12)의 내벽에 구비된 사이니지(107), 제2구획(12)의 내벽에 접철식으로 구비된 간이침상(108), 제2구획(12)의 내벽에 구비된 자동제세동기(109), 제2구획(12)의 저면에 배치되는 간이의자(110), 제2구획(12)의 상면에 구비된 보강대에 안착된 냉난방기(112), 제2구획(12)의 내벽에 구비된 미디어기기(113) 및 제2구획(12)의 일 측에 구비된 AT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조명기기는 안전부스 내 조명을 제공하고, 사이니지(107)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이며, 간이침상(108)과 자동제세동기(109)는 위급 상황 시의 응급 처치를 위해 구비된다. 또한 냉난방기(112)는 냉방과 난방, 미디어기기(113)는 안전부스 사용에 관한 정보의 입력과 출력, ATM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가기능수단을 통해 위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위치 기반의 미디어 및 금융거래서비스, 다양한 형태의 공공 컨텐츠, 스마트폰과 연계되는 정보 및 광고 등을 제공함으로써, 스마트시티 구축에 이바지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상기에서, 간이침상(108)과 자동제세동기(109)는 제2구획(12)의 내벽들 중 동일한 내벽에 배치되되, 자동제세동기(109)가 간이침상(108)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3, 도 4 및 도 5 [A]를 참고하면, 간이침상(108)과 자동제세동기(109)는 부스 본체(1)의 좌측 내벽에 구비되어 있고, 자동제세동기(109)가 간이침상(108)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를 통해 간이침상(108)에 위급자를 눕힌 상태에서 자동제세동기(109)를 사용할 때, 자동제세동기(109)의 충격에 의해 거치된 자동제세동기(109)가 낙하하여 또 다른 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자동제세동기(109)의 케이블이 응급 처치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부가기능수단은 사이니지(107)의 상부 천장(2)에 구비된 환풍시설(115)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환풍시설(115)은 천장(2) 중, 사이니지(107)의 상부 측에 구비되며, 사이니지(107)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한 부가기능수단, 그 중에서도 특히 CCTV(101)를 활용하여 실종자의 조기 발견 또는 범죄자의 검거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CCTV(101)에서 수집된 영상을 통해 해당 대상의 안면을 인식 및 분석하는 안면인식모듈(5)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인식모듈(5)은 CCTV(101)에서 수집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51),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촬영된 인물의 안면이미지를 추출하는 안면인식부(52) 및 추출된 안면이미지를 분석하되 얼굴의 특징이 변화하는 특정 안면 부위의 특징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안면분석부(5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CCTV(101)에서 수집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안면이미지는 캡처로서 추출될 수 있고, 안면분석부(53)에서 추출되는 특징데이터는 눈, 눈썹, 코, 입, 턱 등과 같이 주변 부위에 비해 얼굴 특징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위의 특징에 관한 크기, 각도, 명암, 형상,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면인식모듈(5)을 이용한 대상 특정은 대상에게 특별한 행위나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대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실종 아동의 조기 발견, 치매 노인의 실종 방지, 치안 및 범죄 예방, 범인 검거 등, 사회 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기적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천장(2)의 내부에는 도어컨트롤모듈(4), 안면인식모듈(5) 및 부가기능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6)이 내장되는 회로박스(7)가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박스(7)는 상기한 전원공급모듈(6) 외에, 전원공급모듈(6)의 전원 공급을 기기별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71), 특정 시간에 상기 조명을 포함하는 해당 기기의 절전을 제공하는 타임스위치(72), 전원공급모듈(6)의 전원 전체 전원 공급을 개폐하는 비상스위치(73), 전원공급모듈(6)에 연결된 콘센트(74), 접지를 제공하는 그라운딩바(75), 도어컨트롤모듈(4)과 안면인식모듈(5)의 제어를 위한 타이머(76)와 릴레이(77) 및 구성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블록(78)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누전차단기(71)는 기기별 전원 차단을 통해 전기적 안정성을 부가하고, 타임스위치(72)는 예를 들면 낮에는 사용할 필요가 없는 조명과 같이 특정 시간동안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한 기기에 대한 절전을 제공한다. 이러한 타임스위치(72)는 DC용 아날로그 타이머(76)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한 예로는 정전보상용인 HTS-24BB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상스위치(73)는 안전부스 내부에 사람 갇히거나 하는 등 위급 상황이 발생할 때 도어(3)의 강제 개방을 위한 전원 차단을 비롯한 각종 필요에 의한 전원 차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콘센트(74)는 부스본체 외의 외부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공하고, 그라운딩바(75)는 회로박스(7)의 구성들에 대한 접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타이머(76)와 릴레이(77)는 도어컨트롤모듈(4)과 안면인식모듈(5)을 포함하는 각 종 처리모듈에 대한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구비되며, 터미널블록(78)은 각 구성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에서 타이머(76)는 아날로그 타입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T48N 등이 있다.
추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회로박스(7)에는 정전 시를 대비하여 보조배터리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배터리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전원공급모듈(6)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정전 및 기타 사유에 의해 전원공급모듈(6)이 작동하지 않을 때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특징 및 기능에 관한 설명이 개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스는 마트, 편의점, 아파트 등에 설치가 가능하고, 특히 노후한 공중전화 박스를 개조하여 활용할 수 있는데, 이는 점차로 감소하는 공중전화의 이용률에 의해 사용률이 저하되고 있는 노후 공중전화 박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부스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스는 상기한 통신안테나 등을 활용하여 일반 사용자의 스마트폰(모바일기기)과 연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 셉테드(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되며,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생활정보 서비스, 지역 광고 서비스, 관광 정보 서비스, 환경 정보 서비스, 교통 정보 서비스, 쇼핑 관련 서비스, 금융서비스, 방송서비스, 위치 추적, 길안내, 페이먼트 서비스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는 스마트시티 구축에 이바지 한다.
한편, 안전부스는 그 구비 목적상 야외 환경에 상시 노출되는데, 이에 부스 본체(1), 특히 그 중에서도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외부 충격, 자상, 우천 등에 의한 침습 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대하여 보호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부스 본체(1)에 대한 보호수단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스 본체(1)의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G)을 더 포함하되, 이 보호막(G)이 프레임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G1), 침투층(G1)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및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G3)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막(G)은 자체적으로 완충 및 방수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면 약 300℃로 발열되어 침투층(G1)이 용융되면서 외면의 미세공이나 미세굴곡 등을 채운 후에 소결됨으로써, 향상된 결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들뜸 현상까지 방지하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보호 및 방수를 제공한다.(첨부된 도면에는 미세공 및 미세굴곡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음)
구체적인 실시예로,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폴리에틸렌은 석유의 나프타로부터 분취되는 구성으로, 열가소성 수지로서 첨가되며, 방수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약 130℃ 내외의 녹는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상기 침투층(G1)의 각 조성물은 이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침투층(G1)의 소결 시에 과도하게 수축되어 들뜸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제로서 첨가된다. 이러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축 방지 효과가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점착제는 침투층(G1)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미세공, 미세굴곡 등에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특히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Hydrogenated ester of Resin)와 폴리브텐(Polybutene)을 포함한다.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는 초기점착성을 부여하면서 소결 후의 내열성이 기여하고, 폴리브텐은 점착성질을 부여한다. 이러한 점착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 후의 점착성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이 용융될 수 있는 130℃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각 조성물들을 폴리에틸렌 용액에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 소결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층(G2)을 페이스트의 형태로 침투층(G1) 상부에 도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성물 별로, 이산화루테늄은 백금족의 전이금속으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이산화루테늄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 발열온도가 너무 과하여 후술하는 보호층(G3)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열층(G2) 전체 조성물 대비 2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G2)의 각 조성물은 이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은(Ag)은 이산화루테늄과 마찬가지로 전이금속으로, 역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은은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발열층(G2)이 전류 생성을 위한 충분히 낮은 저항값을 가지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발열 온도가 과도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루테늄 및 은의 결합을 위해 첨가되며, 부가적으로 구성 간의 분산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발열 포화 시간 단축 및 발열 효과 지속을 제공한다.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데, 이산화티타늄은 발열 효과 지속에 기여하고, 특히 이규화몰리브덴은 몰리브덴과 실리콘의 몰비가 1:2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높은 융점을 가져 발열층(G2)의 발열 시에 발열층(G2)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 하에서 실리카를 형성하여 발열 효과 지속은 물론 발열 포화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이러한 기능성 결착제는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 발현이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고온 발열 시의 전기 흐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발열층(G2)은 에틸렌글리콜(테르펜), 부틸칼비톨, 에틸셀로솔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상기 조성물들을 혼합한 후 혼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부틸 합성고무는 적정 내한성과 내열성을 갖고, 비교적 고탄성을 구비하며,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충진제는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데, 탄산칼슘은 방수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벤토나이트는 양이온 교환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보호층(G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흡습을 통해 팽창하면서 누수를 막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충진제는 모두 결합력이 우수한 조성물로 구성되어 보호층(G3)과 침투층(G1) 간의 융화가 훌륭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는 특별히 그 사용량이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력 증대 및 경제성 측면에서 3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프텐 오일은 가소제로서 첨가되며, 고온에서의 증발 손실이 적고, 내한성이 우수하며, 탄성유지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이러한 나프텐 오일은 1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발열층(G2)의 동작 시에 흘러내림이 발생하고 또한 보호층(G3)의 울음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내열제는 발열층(G2)의 발열에 보호층(G3)이 용융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내열 특성을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보호층(G3)이 300℃ 이상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열제는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데, 바룸알루미네이트는 지르코니아를 기타 조성물과 결합시키는 결합재로서 부가되고, 지르코니아는 녹는점이 약 2700℃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최소 1000 ℃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낮은 열전도도와 내열성 및 내화성을 통해 보호층(G3)이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된다. 특히 상기 내열제에 의하여 보호층(G3)은 복수의 내부 기공을 갖게 되고, 이러한 기공들은 열전도도를 낮추고 내열성을 부가하게 된다. 이러한 내열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내열 특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보호층(G3)은 각 조성물을 분말형태로 구비하여 나프텐 오일에 혼화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미세공과 미세굴곡을 형성한 시험용 블록에 침투층(G1)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발열층(G2)을 도포한 후, 그 상부에 보호층(G3)을 적층한 다음,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여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보호막(G)이 형성된 시험용 블록을 잘라 단면을 확대 관찰한 결과, 미세공과 미세굴곡 내에 침투층(G1)이 침투되어 경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형성된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0.5%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3% 미만이었고, 내부 침습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부스 본체
11: 제1구획 12: 제2구획
2: 천장
3: 도어
4: 도어컨트롤모듈
41: 접근감지부 42: 재실감지부
43: 도어제어부
5: 안면인식모듈
51: 영상수신부 52: 안면인식부
53: 안면분석부
6: 전원공급모듈
7: 회로박스

Claims (4)

  1. 일 측에 구비된 개방형 제1구획 및 타 측에 구비된 개폐형 제2구획을 포함하는 부스 본체;
    상기 부스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천장;
    상기 제2구획에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부, 상기 제2구획 내부의 인원을 감지하는 재실감지부 및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도어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하되 상기 재실감지부에서 인원인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컨트롤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부스본체는 노후한 공중전화 박스를 개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구획의 내측 및 외측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제공하는 부가기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수단은, 상기 천장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스 본체의 주변 영상을 수집하는 CCTV, 상기 천장의 상부에 구비되고 무선인터넷 망을 제공하는 통신안테나 및 상기 천장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구획 내부에 구비된 비상벨에 의해 작동하는 경광등을 포함하고,
    상기 CCTV에서 수집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촬영된 인물의 안면이미지를 추출하는 안면인식부 및 추출된 안면이미지를 분석하되 얼굴의 특징이 변화하는 특정 안면 부위의 특징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안면분석부를 포함하는 안면인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수단은 상기 통신안테나를 활용하여 일반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가기능수단은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생활정보 서비스, 지역 광고 서비스, 관광 정보 서비스, 환경 정보 서비스, 교통 정보 서비스, 쇼핑 관련 서비스, 금융서비스, 방송서비스, 위치 추적, 길안내, 페이먼트 서비스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부가기능수단은, 상기 제2구획의 상면에 구비된 조명기기,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구비된 사이니지,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접철식으로 구비된 간이침상,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구비된 자동제세동기, 상기 제2구획의 저면에 배치되는 간이의자, 상기 제2구획의 상면에 구비된 보강대에 안착된 냉난방기, 상기 제2구획의 내벽에 구비된 미디어기기 및 상기 제2구획의 일 측에 구비된 ATM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간이침상과 상기 자동제세동기는 상기 제2구획의 내벽들 중 동일한 내벽에 배치되되, 상기 자동제세동기가 상기 간이침상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니지의 상부 천장에는 상기 사이니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환풍시설이 구비되고,
    상기 천장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컨트롤모듈, 상기 안면인식모듈 및 상기 부가기능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이 내장되는 회로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박스는 상기 전원공급모듈의 전원 공급을 기기별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 특정 시간에 상기 조명을 포함하는 해당 기기의 절전을 제공하는 타임스위치, 상기 전원공급모듈의 전원 전체 전원 공급을 개폐하는 비상스위치, 상기 전원공급모듈에 연결된 콘센트, 접지를 제공하는 그라운딩바, 상기 도어컨트롤모듈과 상기 안면인식모듈의 제어를 위한 타이머와 릴레이 및 구성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부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본체에 대한 보호수단으로서,
    상기 부스 본체의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이 보호막이 프레임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G1), 침투층(G1)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및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G3)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막(G)은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면 약 300℃로 발열되어 침투층(G1)이 용융되면서 외면의 미세공이나 미세굴곡 등을 채운 후에 소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는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Hydrogenated ester of Resin)와 폴리브텐(Polybutene)을 포함하고,
    상기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이 용융될 수 있는 130℃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각 조성물들을 폴리에틸렌 용액에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 소결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열층(G2)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상기 이산화티타늄과 상기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G2)을 페이스트의 형태로 상기 침투층(G1) 상부에 도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산화루테늄은 페이스트 형태의 상기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은(Ag)은 페이스트 형태의 상기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층(G2)은 에틸렌글리콜(테르펜), 부틸칼비톨, 에틸셀로솔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유기용매에 상기 조성물들을 혼합한 후 혼련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부스.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4421A 2019-07-10 2019-08-02 스마트 안전부스 KR102152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027 2019-07-10
KR20190083027 2019-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303B1 true KR102152303B1 (ko) 2020-09-04

Family

ID=7247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421A KR102152303B1 (ko) 2019-07-10 2019-08-02 스마트 안전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83B1 (ko) * 2020-11-25 2021-10-18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영상 분석 기능을 탑재한 인공지능 다목적 비상벨 시스템
KR20220109064A (ko) 2021-01-28 2022-08-04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83B1 (ko) * 2020-11-25 2021-10-18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영상 분석 기능을 탑재한 인공지능 다목적 비상벨 시스템
KR20220109064A (ko) 2021-01-28 2022-08-04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안심부스를 이용한 스마트한 대학 안전 캠퍼스 구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4727B2 (en) Personal safety mobile notification system
KR102152303B1 (ko) 스마트 안전부스
CN201111180Y (zh) 一种出入控制设备
KR101491834B1 (ko) 긴급상황 발생 시 대피를 위한 세이프티존 부스
KR20150052974A (ko) 도어록 일체형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방법
CN205230242U (zh) 一种智能小区安防系统
CN101438020A (zh) 多功能数字门
CN106355714A (zh) 一种指纹锁具管理系统及方法
CN110349360B (zh) 一种楼宇窗户区域布防系统及监控方法
CN106408901A (zh) 一种基于建筑物显示屏的火灾预警系统及方法
CN105931316A (zh) 一种智能区域监控方法
CN202677586U (zh) 一种智能报警定位终端
KR101568001B1 (ko) CCTV Pool 또는 가로등을 이용한 비상통화 신고 시스템
CN104933779A (zh) 一种云智能门禁管理方法及系统
KR102170233B1 (ko)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CN102535888A (zh) 警务便民信息亭
CN108965811A (zh) 可报警楼宇对讲机
CN210864845U (zh) 一种基于公共安全应急保障管理方舱的舱门监测系统
CN112201002A (zh) 一种安防监控方法
KR101535149B1 (ko)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JPWO2020213058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ディフェン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991975A (zh) 一种智能多级安防监控方法
CN105989685A (zh) 一种智能社区监控管理方法
CN107277424A (zh) 一种智能可视对讲系统
CN210888164U (zh) 一种公共安全应急保障管理方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