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938B1 -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938B1
KR102341938B1 KR1020210037357A KR20210037357A KR102341938B1 KR 102341938 B1 KR102341938 B1 KR 102341938B1 KR 1020210037357 A KR1020210037357 A KR 1020210037357A KR 20210037357 A KR20210037357 A KR 20210037357A KR 102341938 B1 KR102341938 B1 KR 10234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outside
sensor
photograp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룡
Original Assignee
김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룡 filed Critical 김기룡
Priority to KR102021003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covers or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촬영 및 녹화하는 촬영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경보를 울리는 알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촬영부 또는 알림부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부 또는 알림부가 도난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촬영부 또는 알림부로 전달함과 더불어 센서를 통해 신호가 생성될 경우 관리자에게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폐가 제한 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구명용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Smart lifesav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가 제한 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구명용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명 구조함이라 함은, 어려운 처지에 빠진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는 여러 장비를 보관하는 보관함이다.
이러한, 인명 구조함은 누구에게나 손쉽게 개방될 수 있으면서도 항시 구명용품이 구비될 수 있도록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인명 구조함에 구비되는 구명용품은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치됨에 따라 구명용품을 훔쳐가는 사례가 많아 정작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명 구조함 내부에 구비되는 구명용품의 도난을 방지하는 구명장비 보관함이 개발되어 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10-1979154호에서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의 전면을 커버하는 통공판과, 상기 통공판을 고정하는 관통공 삽입 요소가 구비되며, 통공판을 가압할 경우 관통공 삽입 요소의 일부가 파손됨으로써 통공판이 슬라이딩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명용품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명장비 보관함은 파손에 의한 개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함과 더불어 급박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구명장비 보관함을 개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명장비 보관함의 파손 이행과 함께 구명용품을 절도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증거 자료가 없어 그 책임을 묻기가 어려운 것이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97915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의 개폐가 제한 없이 이루어지면서도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구명용품의 도난을 방지하며, 도어의 개방 시 알림부를 통한 경보와 함께 촬영부를 통한 영상 녹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경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촬영 및 녹화하는 촬영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경보를 울리는 알림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촬영부 또는 알림부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부 또는 알림부가 도난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촬영부 또는 알림부로 전달함과 더불어 센서를 통해 신호가 생성될 경우 관리자에게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케이스의 용도 식별을 위한 픽토그램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픽토그램판에는 발광하는 램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구명환, 구명동의, 구명로프, 손전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부가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일 경우 센서가 일정 시간 작동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제어부, 알림부, 촬영부, 리더부, 램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촬영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촬영부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촬영부 또는 알림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면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관리자만이 개방 가능한 잠금 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은, 항시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태양광의 고도 및 위치에 따라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알림부 및 촬영부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자유로우면서도 구조용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알림부 또는 촬영부의 도난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픽토그램판 및 램프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간 및 야간에도 쉽게 눈에 띄게 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됨에 따라 유지비가 저렴하게 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를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손잡이를 보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적용예를 보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은,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110)가 형성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도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120)와, 상기 손잡이(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파지할 경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13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130)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촬영 및 녹화하는 촬영부(21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130)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경보를 울리는 알림부(2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가 도난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130)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로 전달함과 더불어 센서(130)를 통해 신호가 생성될 경우 관리자에게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100)는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선택적으로 케이스(100)를 개폐 가능한 도어(11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10)는, 케이스(100)의 전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110)는 별도의 잠금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필요 시 누구나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어(110) 또는 케이스(100)에는 바람 등에 의하여 도어(110)의 불필요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110)는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케이스(100)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어(110)에는 손잡이(12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120)는, 도어(11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도어(110)의 개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120)는 도어(110)의 개방이 시작되는 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120)는 도어(110)의 전면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손잡이(120)에는 센서(13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130)는,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파지할 경우 사용자의 손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게 될 경우 신호를 생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센서(130)는 터치 센서로 이루어짐을 예로 하며, 터치 센서는 용량 변화식, 전기전도도 변화식, 광량 변화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어(110)에는 도어(110)의 개방 시 알림부(220)에 의하여 경보가 발생됨과 더불어 촬영부(210)에 의한 촬영 및 녹화가 수행됨을 안내하는 안내문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촬영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촬영부(210)는, 센서(130)로부터 신호가 생성되는 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촬영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이 사용되는 영상을 남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촬영부(210)를 통해 도어(110)를 개방한 사용자를 촬영 및 녹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촬영부(210)를 통해 저장된 녹화본은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된 구명용품의 도난 발생 시 증거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촬영부(21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한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알림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알림부(220)는, 센서(130)로부터 신호가 생성되는 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 주변에 위급 상황이 발생됨을 알림으로써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알림부(220)는 경보를 울림으로써 주변에 위급 상황을 전파함과 더불어 도난 방지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알림부(22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커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200)는,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를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200)는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를 내부에 수용하거나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커버(200)는 촬영부(210)가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촬영부(210)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200)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면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200)에는 관리자만이 개방 가능한 잠금 수단이 더 구비된다.
즉,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는 커버(200)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고, 커버(200)는 관리자만이 개방될 수 있게 되며, 구명용품의 도난이 발생될 경우 촬영부(210)를 통한 촬영 및 녹화는 모두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함에 따라 커버(200)도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러한, 커버(200)는 촬영부(210)만 또는, 알림부(220)만, 또는 촬영부(210) 및 알림부(220)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는 많은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케이스(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제어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촬영부(210), 알림부(220), 센서(130) 등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센서(13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 등을 제어하게 된다.
더불어, 제어부(300)는 관리의 편의 및 긴급 상황의 신속한 대처를 위해 센서(130)를 통하여 신호가 발생될 경우 담당자에게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에 의하여 관제 센터로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하고, 관제 센터는 다시 경찰서, 소방서, 유관 기관 등에 상황을 안내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처한 인원을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어부(300)를 통해서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관제 센터를 거치지 않고 경찰서, 소방서, 유관 기관 등에 전송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300)를 통해서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관제 센터와 경찰서, 소방서, 유관 기관 등에 일괄적으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300)는 앱(App)을 통하여 상황 발생 시(예컨데, 케이스(100)의 개방 시) 경찰서, 소방서, 유관 기관 등에 소속된 관리자 또는 관련자의 단말기(예컨데, Mobile Phone)에 상황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앱(App)은 상황 발생 시 상황 발생된 케이스(100)의 위치를 앱(App)에 포함되는 지도에 표시함으로써 경찰서, 소방서, 유관 기관 등에 소속된 관리자 또는 관련자가 신속히 상황 발생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앱(App)은 모바일 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앱(App)을 통해 경찰서, 소방서, 유관 기관 등에 소속된 관리자 또는 관련자는 임의로 케이스(10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상황 발생 시 상기 앱(App)이 설치된 단말기를 통해 경보를 울림으로써 관리자 또는 관련자는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황 발생 정보는 발생 위치, 발생 시간, 촬영부(210)를 통하여 녹화된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30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한다.
한편,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제어부(300), 알림부(220), 촬영부(210), 리더부(500), 램프부(410)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6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600)은, 케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며,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600)은 촬영부(210), 알림부(220), 제어부(300), 램프부(41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구명용품의 사용 여부는 빈번하지 않고, 촬영부(210)를 통한 촬영 시간과 알림부(220)를 통한 경보 시간 또한 길지 않으므로 태양광 모듈(600)은 과도하게 크지 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600)은 항시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태양광의 고도 및 위치에 따라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태양광 모듈(600)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모듈(600)이 케이스(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각기 다른 장소마다 태양광이 드리워지는 영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이 잘드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태양광 모듈(600)은 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케이스(100)의 용도 식별을 위한 픽토그램판(400)이 구비되며, 상기 픽토그램판(400)에는 발광하는 램프부(4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픽토그램판(400)은, 케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케이스(100)의 용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픽토그램판(400)에 수상 인명 구조를 위한 픽토그램(Pictogram)이 새겨짐에 따라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수상용 인명 구조용품이 보관되어 있음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구명환, 구명동의, 구명로프, 손전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손전등은 태양광 모듈(600)에 의하여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픽토그램판(400)에는 램프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부(410)는, 픽토그램판(400)에 형성된 픽토그램(Pictograom)의 형상을 따라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용도를 야간에도 식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램프부(410)는 발광(發光)함으로써 야간에도 케이스(100)가 쉽게 발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램프부(410)는 태양광 모듈(600)에 의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며, 야간에만 조명이 켜질 수 있도록 별도의 조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부(500)는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일 경우 센서가 일정 시간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리더부(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0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한다.
더불어, 리더부(500)는 태양광 모듈(60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리더부(500)는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으로, 리더부(500)가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이게 될 경우 센서(130)가 일정동안 작동되지 않게 된다.
즉, 리더부(500)가 태그를 인식하게 되면 센서(130)는 일정 시간동안 작동되지 않고, 태그를 소유한 관리자는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촬영부(210)를 통한 촬영 또는 알림부(220)를 통한 경보 울림 없이 도어(1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 등의 유지보수가 수행 가능하다.
상기 태그는, 리더부(500)에 의해 인식되는 일종의 키(key)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그는 특정인이 소유하고 다닐 수 있는 것으로, 특정인은 해당 케이스(100)의 관리자임을 예로 한다.
이와 같은, 리더부(500) 또는 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해당하는 것이고, RFID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은, 수상 인명 구조용품이 보관되는 것으로, 물가에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 구비된 수상 구조용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손잡이(120)를 잡아 도어(110)를 개방시켜야 할 것이다.
이 때, 손잡이(120)를 잡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 센서(130)와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알림부(220) 및 촬영부(210)가 작동하게 된다.
물론, 손잡이(120)를 이용하여 도어(110)를 개방시킴에 있어서 도어(110)는 어떠한 제한 없이 자연스레 열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도어(11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알림부(220) 및 촬영부(210)가 작동된다.
따라서, 알림부(220)에 의하여 주변에 긴급 상황을 전파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며, 촬영부(210)에 의하여 사용자가 케이스(100)에 구비된 수상 구조용품을 꺼내어 쓰는 모든 과정이 촬영 및 녹화되게 된다.
이처럼, 촬영부(210)에 의하여 녹화된 영상은 케이스(100)에 구비된 수상 구조용품의 도난 발생 시 증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수상 구조용품의 도난은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손잡이(120)를 잡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 센서(130)와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제어부(300)는 관리자에게 상황 발생 정보를 즉각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황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음으로써 즉각적인 추가 지원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며, 케이스(100)에 구비된 수상 구조용품의 유지보수 또한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스(100)에 구비된 수상 구조용품의 도난이 발생함에 있어서 수상 구조용품을 훔치는 자는 촬영부(210)에 의하여 촬영 및 녹화가 이루어지고, 알림부(220)에 의하여 경보가 울리는 것을 인식하여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의 파손을 시도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촬영부(210) 또는 알림부(220)는 커버(200)에 의하여 보호됨으로써 이들의 파손은 방지되게 된다.
한편, 픽토그램판(400) 및 램프부(410)가 구비됨에 따라 주간 및 야간에도 쉽게 눈에 띄일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서는 알림부 및 촬영부가 구비됨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자유로우면서도 구조용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서는 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알림부 또는 촬영부의 도난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서는 픽토그램판 및 램프부가 구비됨에 따라 주간 및 야간에도 쉽게 눈에 띄게 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에서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됨에 따라 유지비가 저렴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도어
120. 손잡이 130. 센서
200. 커버 210. 촬영부
220. 알림부 300. 제어부
400. 픽토그램판 410. 램프부
500. 리더부 600. 태양광 모듈

Claims (7)

  1. 내부가 중공되게 형성되면서 일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도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사용자의 손과 접촉할 경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촬영 및 녹화하는 촬영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경보를 울리는 알림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촬영부 또는 알림부가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부 또는 알림부가 도난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센서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촬영부 알림부로 전달함과 더불어 센서를 통해 신호가 생성될 경우 관리자에게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부가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일 경우 센서가 일정 시간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케이스의 용도 식별을 위한 픽토그램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픽토그램판에는 발광하는 램프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케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제어부, 알림부, 촬영부 및 리더부 또는 램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모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촬영부가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촬영부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되는 촬영부 또는 알림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면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관리자만이 개방 가능한 잠금 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항시 최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태양광의 고도 및 위치에 따라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0210037357A 2021-03-23 2021-03-23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102341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57A KR102341938B1 (ko) 2021-03-23 2021-03-23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57A KR102341938B1 (ko) 2021-03-23 2021-03-23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938B1 true KR102341938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357A KR102341938B1 (ko) 2021-03-23 2021-03-23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8090A (zh) * 2023-11-10 2023-12-15 成都侠易科技有限公司 救生设备移位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276U (ja) * 1994-02-21 1994-08-23 シグマ株式会社 カメラ付防犯警報装置
KR101025295B1 (ko) * 2010-08-02 2011-03-29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KR101255088B1 (ko) * 2012-11-28 2013-04-19 (주)나눔테크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사용시스템
KR20170050319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스마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101979154B1 (ko) 2018-08-13 2019-05-15 임재옥 구명장비 보관함
KR20190111185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태양광 시스템
KR102081618B1 (ko) * 2018-09-21 2020-02-27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 구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276U (ja) * 1994-02-21 1994-08-23 シグマ株式会社 カメラ付防犯警報装置
KR101025295B1 (ko) * 2010-08-02 2011-03-29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공장소 배치용 자동심실제세동기 보관함
KR101255088B1 (ko) * 2012-11-28 2013-04-19 (주)나눔테크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사용시스템
KR20170050319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스마디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20190111185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태양전지판의 경사각 및 단위 부력체 모듈간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는 수상태양광 시스템
KR101979154B1 (ko) 2018-08-13 2019-05-15 임재옥 구명장비 보관함
KR102081618B1 (ko) * 2018-09-21 2020-02-27 주식회사 엔젤몬스터즈 수상 인명 구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8090A (zh) * 2023-11-10 2023-12-15 成都侠易科技有限公司 救生设备移位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238090B (zh) * 2023-11-10 2024-01-23 成都侠易科技有限公司 救生设备移位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2519B1 (en) Secured delivered mail repository
US8072493B2 (en) Security system
CN102918569B (zh) 对于或关于车辆访问的改进
ES2295362T3 (es) Dispositivo portatil.
US20090072988A1 (en) Securit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US20050232624A1 (en) Housing for surveillance camera with integrat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102341938B1 (ko)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200448955Y1 (ko) 이동 가능한 감시시스템
CN110419212A (zh) 具有内置安全系统的便携设备
JP2008295061A (ja) 携帯型無線通話装置
CN209028792U (zh) 一种多功能报警求助装置
KR101493157B1 (ko)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GB2433148A (en) Traffic bollard alarm system for protecting against ram-raiding
KR102341517B1 (ko) 음성 녹음 기능과 영상 촬영 기능을 갖는 사원증
JP2020077281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カードホルダ及びそれ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CN206301481U (zh) 森林防火智能卡口监控系统
CN213487787U (zh) 一种具有防aed丢失功能的装置
KR102370106B1 (ko)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212276433U (zh) 一种手持警务终端设备
KR20090047243A (ko) 운송함 보안 시스템
CN207033192U (zh) 一种保险箱
JP3089888U (ja) 監視カメラ
KR200373549Y1 (ko) 카 시큐리티 무선원격통보장치
US20190206210A1 (en) Portable device having a torch and a camera located between the bulb and the front face
CN117104707A (zh) 基于物联网平台的贵重物品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