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06B1 -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06B1
KR102370106B1 KR1020200153405A KR20200153405A KR102370106B1 KR 102370106 B1 KR102370106 B1 KR 102370106B1 KR 1020200153405 A KR1020200153405 A KR 1020200153405A KR 20200153405 A KR20200153405 A KR 20200153405A KR 102370106 B1 KR102370106 B1 KR 10237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etection sensor
image
dum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규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은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는 빔 조사부;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감지 센서, 상기 빔 조사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mart Beam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Dumping of Waste and its Operation Method}
아래의 실시예들은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무단 투기를 사전에 경고하고 투기 행위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등 폐기물을 버릴 때 지정된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지 않거나 지정된 장소 이외의 장소에 불법으로 투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의 경우 수거 스티커를 부착 후 배출하여야 하지만 스티커 미부착 및 무단 투기 또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무단 투기 행위는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관련기관에서는 폐기물 무단 투기행위를 예방하고자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폐기물 무단 투기 행위는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상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폐기물 무단 투기 행위가 상습적으로 행해지는 지역은 쉽게 파악이 가능하므로 단속 인원을 상시 배치할 경우 이를 근절할 수 있다. 그러나 단속 인원을 상시 배치한다는 것은 단속 인원의 부족과 그에 따른 인건비 부담의 문제로 현실화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는 폐기물 무단 투기가 상습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관리자가 상시로 카메라를 보고 있어야 하므로 다수의 투기장소를 감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주택가나 상가 주변, 공원 등의 후미진 곳과 같이 쓰레기가 무단으로 투기되는 장소에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하지 말라는 경고문구가 게재된 안내판을 부착하고 있으나, 야간과 같이 주변이 어두울 때 눈에 잘 띄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고문구를 목격하였지만 이를 무시하고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하더라도 차후에 별다른 제재수단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여 무단으로 투기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128500호는 이러한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쓰레기 투기 행위 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 이미지로부터 실시간으로 쓰레기를 투기하는 행위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9-0128500호
실시예들은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야간에 폐기물을 무단 투기하는 현장을 경고하고, 이를 촬영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로고 빔을 조사하고,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함으로써, 태양광 등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운영 비용을 줄이고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은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는 빔 조사부;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감지 센서, 상기 빔 조사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도난 방지 백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는, 사람의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열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빔 조사부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빔 조사부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충전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저전력으로 동작되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저조도 및 적외선 촬영을 통해 야간의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관리자는 순찰 중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감지 센서, 빔 조사부, 카메라 및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빔 조사부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빔 조사부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공간에 배치된 도난 방지 백업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순찰 중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야간에 폐기물을 무단 투기하는 현장을 경고하고, 이를 촬영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로고 빔을 조사하고,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함으로써, 태양광 등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운영 비용을 줄이고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기물의 무단 투기뿐만 아니라, 침입 방지, 도난 방지 등 셉테드(범죄예방 환경설계) 분야의 다방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의 백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야간에 폐기물의 무단 투기 시 로고라이트 빔을 조사하여 경고하고, 폐기물의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짧은 영상으로 촬영함으로써 저전력으로 폐기물 무단 투기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은 기둥, 가로등, 나무, 건물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로등(110)의 상측에 태양광 패널(120)을 설치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에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태양광 패널(120)의 하측 부분의 가로등(110)에 빔 조사부(130)를 설치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를 위한 메시지 또는 이미지 빔을 조사하며, 태양광 패널(120)의 하측 부분의 가로등(110)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빔 조사부(130) 및 카메라는 각각 설치되거나 하나의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등(110)의 일측에 컨트롤 박스(140)를 설치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40) 내부에는 저장부, 제어부, 무선 통신부 및 태양광 충전 배터리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가로등(110)의 일측에 스피커를 설치하여 사람의 접근 시 폐기물 불법 투기를 방지하는 메시지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빔 조사부(130) 및/또는 카메라의 하단에 감지 센서를 설치될 수 있다.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반경(101) 내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사람의 감지 시 빔 조사부(130)를 통해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를 위한 빔을 지면이나 벽면 등에 조사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난 방지 백업부(150)를 지면이나 벽면 등 별도의 공간에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시스템을 동작시킴으로써 저전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200)은 감지 센서(210), 빔 조사부(220), 카메라(230), 저장부(240) 및 전원 공급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200)은 제어부(260), 스피커(270), 무선 통신부(280) 및 도난 방지 백업부(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센서(210), 빔 조사부(220), 카메라(230), 저장부(240), 전원 공급부(250), 제어부(260), 스피커(270) 및 무선 통신부(28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 가로등, 나무, 건물 등에 설치될 수 있고, 도난 방지 백업부(290)는 바닥 등 별도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 센서(210)는 사람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210)는 기둥, 가로등, 나무, 건물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230) 또는 빔 조사부(22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감지 센서(210)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여, 송신부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부로 회귀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이용자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이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 이용자가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이용자가 후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 센서(210)는 사람의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열 감지 센서(210)일 수 있다. 감지 센서(210)는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열 감지 센서(210)뿐만 아니라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사용 가능하다.
빔 조사부(220)는 불법 폐기물 투기 행위에 따른 경고 문구 또는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바닥 등에 조사할 수 있다. 빔 조사부(22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경고 문구 또는 이미지를 빔을 조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경고 문구 또는 이미지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빔 조사부(220)는 기둥, 가로등, 나무, 건물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230)와 함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빔 조사부(220)가 조사하는 빔은 로고라이트, 홀로그램 또는 3D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조사부(220)는 "이 곳은 쓰레기 무단투기 금지구역입니다. 위반 시 폐기물관리법에 의거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가됩니다."와 같은 로고라이트 빔을 바닥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빔 조사부(220)는 점등과 점멸을 반복하여 눈에 띄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빔 조사부(220)는 저전력으로 동작되지만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감지 센서(210)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60)에서 감지 센서(210)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빔 조사부(220)를 동작시킴에 따라 빔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빔 조사부(220)는 조도 센서 등의 센서를 통해 야간을 인식하여 야간에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230)는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 가로등, 나무, 건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30)는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감지 센서(210)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60)에서 감지 센서(210)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카메라(230)를 동작시킴에 따라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30)는 저조도 및 적외선 촬영을 통해 야간의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230)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제어부(260)의 설정에 의해 정지 영상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30)는 감지 센서(210)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저전력으로 동작되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카메라(230)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50)는 감지 센서(210), 빔 조사부(220), 카메라(230) 및 저장부(24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산이나 외곽 지역 등 전력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을 이용하는 경우 장소의 제약에서도 벗어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한편, 전원 공급부(250)는 태양광뿐만 아니라 다양한 저전력 전원 공급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250)는 태양광 패널 및 태양광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원 공급부(250)는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기에너지를 획득하고, 태양광 충전 배터리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한 전력량을 미리 계산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200)의 설계 시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량을 설계할 수 있다.
[식 1]
로고라이트 빔(30W) * 6시간 + 감지 센서(210), 스피커(270), 빔 조사부(220), 카메라(230) 등 250Wh * 1.2 (20% 여유) = 300 Wh
그리고, 필요한 태양광 패널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태양광 패널을 통해 하루 평균 획득되는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식 2]
태양광 패널 용량(100W) * 3.6시간 (전국 평균 일조량; 기상청) = 360Wh
한편,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량에 따라 감지 센서(210), 스피커(270), 빔 조사부(220), 카메라(230) 등을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량에 따라 카메라(230)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의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태양광 충전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확인하여,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카메라(230)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의 시간은 줄이거나 정지 이미지로 촬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200)은 제어부(260), 스피커(270), 무선 통신부(280) 및 도난 방지 백업부(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60)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200)의 제어 전반을 관장한다. 제어부(260)는 감지 센서(210)의 사람 접근 여부를 전달 받아 빔 조사부(220), 카메라(230) 및 스피커(270)를 동작시킬 수 있고,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일정 주기 또는 일정 용량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도난 방지 백업부(290)에 백업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감지 센서(210)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빔 조사부(220)를 동작시켜 로고라이트 빔을 조사할 수 있고, 감지 센서(210)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카메라(230)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감지 센서(210)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스피커(270)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감지 센서(210)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소정 시간 이상 사람이 머무는 경우 카메라(230)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감지 센서(210)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한 후, 소정 시간 이상 머문 경우에만 저장부(240)에 저장함으로써, 폐기물 무단 투기로 판단되는 상황만 선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수초 이내일 수 있다.
스피커(270)는 불법 폐기물 투기 행위에 대한 음성 신호로 경고하는 것으로, 저장부(240)에 저장된 경고 멘트가 전달되거나, 경고음이 전달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된 경고 멘트를 전달할 경우 해당 경고 멘트는 연속하여 이루어짐으로 행위자 및 주변인에게 청각적 경고를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270)는 제어부(260)를 통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피커(270)는 감지 센서(210)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40), 제어부(260) 및 무선 통신부(280)는 하나의 컨트롤 박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관리부의 태양광 충전 배터리 등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8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28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난 방지 백업부(290)는 저장부(240) 등이 포함된 컨트롤 박스의 도난 시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 등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어 무선 통신부(280)와 무선 통신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난 방지 백업부(290)를 이용함에 따라 저장부(240)를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의 도난뿐만 아니라 저장부(240)의 고장 등 훼손에 따른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의 훼손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일정 주기 등으로 순찰 및 정보를 백업하기 위해 해당 장소를 방문할 수 있으며, 순찰 중 단말을 이용하여 저장부(240) 또는 도난 방지 백업부(29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저장부(240) 또는 도난 방지 백업부(29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함으로써 폐기물 무단 투기 시 범인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해서 스피커(270) 및/또는 빔 조사부(220)를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와 함께 로고 빔을 조사하여 사전에 폐기물 불법 투기를 방지하고, 폐기물 불법 투기 시 카메라(230)를 이용하여 현장을 촬영함으로써 사후에 이를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기물 무단 투기뿐만 아니라, 침입 방지, 도난 방지 등 셉테드(범죄예방 환경설계) 분야 다방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의 백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300)에서 관리자는 순찰 중 단말(320)을 이용하여 저장부 또는 도난 방지 백업부(31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단말(320)은 저장부 또는 도난 방지 백업부(31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함으로써 폐기물 무단 투기 시 범인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CCTV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관리하는 경우 전력이나 비용이 많이 들고, 모니터링을 위한 인력 및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순찰 시에 단말(320)을 이용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선별된 데이터만 다운받으므로 관리 비용이 적게 들고 관리가 용이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감지 센서, 빔 조사부, 카메라 및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10),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S120), 빔 조사부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는 단계(S130),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단계(S140), 및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간에 배치된 도난 방지 백업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로고 빔을 조사하고,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함으로써 태양광 등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운영 비용을 줄이고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을 통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110)에서, 전원 공급부는 감지 센서, 빔 조사부, 카메라 및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에서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부에서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빔 조사부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서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카메라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서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스피커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빔 조사부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에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별도의 공간에 배치된 도난 방지 백업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는 순찰 중 단말을 이용하여 저장부 또는 도난 방지 백업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저장부 또는 도난 방지 백업부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은 폐기물을 버리면 안 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계도용 문구 또는 이미지를 지면과 벽면 등에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범위 내에 사람이 들어오면 스피커를 통해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을 송출하며, 카메라를 통해 현장을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여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범인을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무단 투기자에게 경각심을 일러줌으로써, 무단 투기를 계도하는 동시에 무단 투기에 대한 증거 자료를 체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는 빔 조사부;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 센서, 상기 빔 조사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충전 배터리
    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저전력으로 동작되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충전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의 시간을 줄이거나 정지 이미지로 촬영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 및
    바닥이나 별도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통신부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도난 방지 백업부
    를 더 포함하며,
    관리자는 순찰 중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안내방송 또는 경고음을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는,
    사람의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열 감지 센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부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빔 조사부를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빔을 조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저조도 및 적외선 촬영을 통해 야간의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11. 삭제
  12.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감지 센서, 빔 조사부, 카메라 및 저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일정 반경 내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빔 조사부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상기 태양광 패널을 통해 낮 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저전력으로 동작되며, 폐기물 무단 투기 현장을 이미지 또는 소정 시간 내의 짧은 영상으로 촬영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충전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을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양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영상의 시간을 줄이거나 정지 이미지로 촬영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별도의 공간에 배치된 도난 방지 백업부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관리자는 순찰 중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 후, 상기 저장부 또는 상기 도난 방지 백업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또는 영상을 백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사람의 접근 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빔 조사부를 동작시켜 폐기물 무단 투기를 경고하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로 이루어진 빔을 조사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153405A 2020-11-17 2020-11-17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7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05A KR102370106B1 (ko) 2020-11-17 2020-11-17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05A KR102370106B1 (ko) 2020-11-17 2020-11-17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106B1 true KR102370106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405A KR102370106B1 (ko) 2020-11-17 2020-11-17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30B1 (ko) * 2014-04-30 2014-10-01 (주)텔레비트 블랙박스를 이용한 회전형 불법투기 감시 시스템
KR101851558B1 (ko) * 2017-09-26 2018-04-27 (주)텔레비트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
KR101972743B1 (ko) * 2018-06-27 2019-04-25 (주)비전정보통신 셉티드 조명장치 기반 범죄행동인식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28500A (ko) 2018-05-08 2019-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쓰레기 투기 행위 탐지 방법 및 장치
KR102160991B1 (ko) * 2020-05-21 2020-09-29 이상기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30B1 (ko) * 2014-04-30 2014-10-01 (주)텔레비트 블랙박스를 이용한 회전형 불법투기 감시 시스템
KR101851558B1 (ko) * 2017-09-26 2018-04-27 (주)텔레비트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
KR20190128500A (ko) 2018-05-08 2019-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감시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쓰레기 투기 행위 탐지 방법 및 장치
KR101972743B1 (ko) * 2018-06-27 2019-04-25 (주)비전정보통신 셉티드 조명장치 기반 범죄행동인식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60991B1 (ko) * 2020-05-21 2020-09-29 이상기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6914A1 (en) Mobile monitoring and surveillance system for monitoring activities at a remote protected area
KR101851558B1 (ko) 이동식 쓰레기 무단투기 계도 및 감시시스템
CN103280041B (zh) 自动布防虚拟电子围栏的监护方法和系统
US20080169922A1 (en) Portable deterrent alarm system
US20130057693A1 (en) Intruder imag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CN102427521A (zh)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移动布控方法
KR102160991B1 (ko)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KR20090004424U (ko) 이동 가능한 감시시스템
KR101445330B1 (ko) 블랙박스를 이용한 회전형 불법투기 감시 시스템
KR20180079725A (ko) 자율비행장치 충전 시스템
CN103227916A (zh) 一种监控视频备份方法、装置及系统
KR102370106B1 (ko) 폐기물 무단 투기 방지용 스마트 빔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7320B1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촬영장치
JP2019016199A (ja) 宅配レンタカーカメラシステム
KR102480424B1 (ko) 지역 감시기능을 갖는 퍼스널 모빌리티
RU78742U1 (ru) Комплекс мониторинговых и охранных устройств
KR20140076184A (ko) 차량 및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스쿨존 방범장치
US20170069051A1 (en) ATMS Bank Emergency Response System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604B1 (ko) 보안 유지 및 증거 확보를 위한 부착형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KR100964250B1 (ko) 방범용 양방향 감시 시스템
KR20220142227A (ko) 배달 오토바이 기반 자료 수집지원 시스템
CN101989371A (zh) 一种防盗方法
KR101554345B1 (ko) 독립전원을 구비한 보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