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157B1 -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 Google Patents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157B1
KR101493157B1 KR20130065101A KR20130065101A KR101493157B1 KR 101493157 B1 KR101493157 B1 KR 101493157B1 KR 20130065101 A KR20130065101 A KR 20130065101A KR 20130065101 A KR20130065101 A KR 20130065101A KR 101493157 B1 KR101493157 B1 KR 10149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torage device
urn
ubicid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510A (ko
Inventor
권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권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권병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씨엔씨
Priority to KR2013006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15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납골함 보안 장치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납골함 보안 장치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METHOD OF SECURING CINERARIUM AND APPARATUS PERFOMING THE SAME}
본 발명은 납골함 보안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들 및 납골함 관리자가 원거리에 위치하더라도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인의 유족들은 자신의 조상을 기리기 위하여 묘지를 방문하고 고인을 추모하는 의식을 행한다. 여기에서, 유족들은 묘지, 수목장, 납골당 등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각종 명절 또는 기일에 방문하여 고인을 추모하는 의식을 갖춘다.
최근, 경제적인 이유로 고인을 화장하고 고인의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유족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납골당은 시설 유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 혐오 시설로 인식하는 일반인의 인식 등을 이유로 도심과 원거리에 위치함에 따라, 현실적으로 유족들은 고인을 추모하기 위하여 자주 방문할 수 없는 실정이며, 기일, 기념일, 명절 등의 특정 시간에만 방문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2009년 발생한 고 최진실씨의 납골함 도난 사건 이후로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함의 보안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다양한 기술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하기의 선행 기술은 이와 관련된 일부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69352호는 보안안전장치 및 보안 센서를 구비한 납골용기외부 진열대에 관한 것으로, 유족이 유골함을 개폐할 수 있는 잠금 장치에 해당하는 1차 보안 장치 및 관리자가 개폐할 수 있는 2차 보안 장치를 포함하고, 점유 이탈 감지용 센서 및 파손 가지 센서를 부착하여 납골함의 점유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납골 용기 외부 진열대에 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 기술은 단순히 점유 이탈 감지용 센서를 통하여 납골함의 도난을 감지하는 추상적인 기술적 사상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보다 정확하게 납골함에 발생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없으며, 복수의 납골함들에 대한 통합적인 보안 관리 기술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6935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들 및 납골함 관리자가 원거리에 위치하더라도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속도 감지 모듈, 빛 감지 모듈 및 거리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을 통하여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운드 감지 모듈, 습도 감지 모듈 및 온도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납골 보관 장치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써, 납골함에 발생되는 보안 이벤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는 납골 보안 장치를 통하여 복수의 납골함에 대한 보안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납골 보관 시설에서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납골함 보안 장치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함의 내부 또는 외부 일면에 부착되는 각속도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에 대한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 상단면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위치하는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감지되는 상기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전면부에 상기 납골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감지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 모듈,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모듈 및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납골 보안 장치에 대한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방문객 식별 장치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확인하는 방문객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식별 장치는 출입 카드 처리 장치, 카메라 및 생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방문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방문객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문객이 기저장된 인물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수행부는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상기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거나, 상기 납골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납골함 보안 방법은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된다. 상기 납골함 보안 방법은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함의 내부 또는 외부 일면에 부착되는 각속도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에 대한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 상단면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위치하는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 변화량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감지되는 상기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전면부에 상기 납골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감지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 모듈,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모듈 및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납골 보안 장치에 대한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방문객 식별 장치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식별 장치는 출입 카드 처리 장치, 카메라 및 생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방문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상기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거나, 상기 납골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고인을 추모하는 유족들 및 납골함 관리자가 원거리에 위치하더라도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속도 감지 모듈, 빛 감지 모듈 및 거리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을 통하여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운드 감지 모듈, 습도 감지 모듈 및 온도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납골 보관 장치의 개폐를 감지함으로써, 납골함에 발생되는 보안 이벤트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는 납골 보안 장치를 통하여 복수의 납골함에 대한 보안 이벤트 발생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납골 보관 시설에서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안 감지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속도 감지 모듈이 설치되는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감지 모듈이 설치되는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감지 모듈이 설치되는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납골함 보안 시스템(100)은 납골 보관 장치(110), 보안 감지 모듈(120), 납골함 보안 장치(130), 사용자 단말(140) 및 보안 수행 기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고,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120)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납골 보관 장치(110)는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는 장치로서, 고인의 시체를 화장하여 유골을 그릇에 담아 안치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내부에 고인의 유골을 담은 납골함을 위치시킬 수 있다.
납골 보관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120)을 포함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감지 모듈(120)은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보안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특정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영상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음성 콘텐츠 및 텍스트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에 위치한 상기 납골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전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LCD,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디스플레이, HUD(Head Up Display),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및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보조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보조 광원을 내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납골 보관 장치(110)는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납골당, 납골묘, 봉안당 및 봉안묘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고인의 유골을 안치하고, 특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120)을 포함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납골 보관 부재에 해당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납골 보관 장치(110)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보안 감지 모듈(120)은 납골 보관 장치(110)에 설치되고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보안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감지 모듈(120)은 센싱된 보안 데이터를 납골 보관 장치(110)를 통하여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전송하거나, 납골함 보안 장치(13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감지 모듈(120)은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함 감지 모듈(121)은 납골함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는 모션 감지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함 감지 모듈(121)은 각속도 감지 모듈, 거리 감지 모듈, 빛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은 납골함의 내부 또는 외부 일면에 부착되어 납골함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모듈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감지 모듈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상응하는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빛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납골 보관 장치(1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120)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110)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110)들 각각에 설치되는 보안 감지 모듈(120)들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130)들에 대한 보안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납골 보관 시설의 보안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대한 식별자 및 해당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를 상호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대한 식별자와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식별자(예: 전화 번호) 및 보안 수행 기관(예: 경찰서 등)의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포함되어 구현되거나 별도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복수의 납골 보관 장치(110)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컴퓨팅 장치가 아닌, 납골 보관 장치(110)와 일대일 관계로서 해당 납골함에 대한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스마트(Smart) TV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납골함 보안 장치(130)와 전화 통신망(예: 3G, 4G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보안 이벤트 발생 시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부터 해당 이벤트의 발생을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납골함 보안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납골함 보안 장치(130)에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또는 에이전트)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140)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함 보안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수신하여 설치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을 조작하는 자연인으로 정의하고, 예를 들어, 고인의 유족에 해당할 수 있다.
보안 수행 기관(150)은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부터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전달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수행 기관(150)은 보안 수행 업체에서 관리하고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특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보안 수행 기관(150)은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부터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나타내는 전화, 문자 메시지, 특수 메시지(예: 기 지정된 메시지로서 납골 보관 장치의 식별자, 위치, 고인의 성명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함)를 수신할 수 있는 경찰서, 소방서, 납골당 관리 업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납골 보관 장치(110)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210)을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전면부에 개폐 가능한 수납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납 부재(220)는 내부의 납골함(210)을 식별할 수 있도록 유리 등의 투명 재질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납골 보관 장치(110)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210)을 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에 위치한 납골함(21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전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투명 LCD,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디스플레이, HUD(Head Up Display),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및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대한 적어도하나의 보조 광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112)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힌편, 보조 광원(112)은 주변 광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광원이 부족한 경우 추가적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광원 장치로서, 조명 장치(예: LED 장치) 및 광원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1120)의 온/오프(On/Off), 밝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안 감지 모듈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 감지 모듈(120)은 납골 보관 장치(110)에 설치되고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보안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감지 모듈(120)은 센싱된 보안 데이터를 납골 보관 장치(110)를 통하여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전송하거나, 납골함 보안 장치(13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감지 모듈(120)은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함 감지 모듈(121)은 납골함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는 모션 감지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함 감지 모듈(121)은 각속도 감지 모듈(121a), 거리 감지 모듈(121b) 및 빛 감지 모듈(121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납골함(210)의 내부 또는 외부 일면에 부착되어 납골함(210)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모듈(121b)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상단면에 설치되고, 납골함(210)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감지 모듈(121c)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상응하는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빛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납골함 감지 모듈(121)이 납골 보관 장치(110)에 설치되는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차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감지 모듈(120)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열람을 감지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122)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개폐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사운드, 내부 온도 및 내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수납 부재(220)가 오픈(Open)되었음을 체크하기 위하여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122)을 통하여 기설정된 사운드 패턴(예: 오픈 시 발생하는 사운드 패턴, 유리 파손시 발생하는 사운드 패턴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거나 또는, 내부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예: 단위 시간 당 온도 및 습도의 특정 수치 이상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122)은 사운드 감지 모듈(122a), 온도 감지 모듈(122b) 및 습도 감지 모듈(122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운드 감지 모듈(122a)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납골 보관 장치(11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에 상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감지 모듈(122b)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습도 감지 모듈(122c)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의 습도에 상응하는 습도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보안 감지 모듈(120)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납골 보관 장치(11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속도 감지 모듈이 설치되는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납골함(210)의 내부 또는 외부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납골함(210)에 대한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자이로 센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납골함(210)의 개폐 부재(예: 뚜껑)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납골함(210)의 움직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실시간으로 모션 데이터를 센싱하거나 또는 납골함(21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동안 모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속도 감지 모듈(121a)은 센싱된 모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송신하거나, 또는 납골함(21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시점(즉, 모션 데이터가 변화되는 시점) 이후부터 센싱된 모션 데이터를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수신된 모션 데이터의 변화량을 체크하여 납골함(210)에 대한 보안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 감지 모듈이 설치되는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모듈(121b)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 상단면에 수직 하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거리 감지 모듈(121b)은 납골함(210)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감지 모듈(121b)은 납골함(210)의 개폐 부재(예: 뚜껑)의 손잡이 부분의 상단과 납골 보관 장치(110) 내부의 상단면 간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모듈(121b)은 실시간으로 거리 데이터를 센싱하거나 또는 납골함(21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시점(즉, 거리 데이터가 변화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동안 거리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리 감지 모듈(121b)은 센싱된 거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송신하거나, 또는 납골함(21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시점 이후부터 센싱된 거리 데이터를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수신된 거리 데이터의 변화량을 체크하여 납골함(210)에 대한 보안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감지 모듈이 설치되는 납골 보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210)을 내부에 위치시키고, 내부에 위치한 납골함(21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를 전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추모 콘텐츠(예: 텍스트,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투명 LCD, 투명 TFEL(ThinFilm Electroluminescent) 디스플레이, HUD(Head Up Display),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및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골 보관 장치(11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에 대한 적어도하나의 보조 광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112)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힌편, 보조 광원(112)은 주변 광원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 광원이 부족한 경우 추가적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광원 장치로서, 조명 장치(예: LED 장치) 및 광원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감지 모듈(121c)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빛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감지 모듈(121c)은 보조 광원(112)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방향과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조 광원(112)이 납골 보관 장치(110)의 상단 내부의 코너에 설치되는 경우, 빛 감지 모듈(121c)은 납골 보관 장치(110)의 하단 내부에 설치되어 보조 광원(112)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최대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감지 모듈(121c)은 실시간으로 빛 데이터를 센싱하거나 또는 납골함(21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시점(즉, 빛 데이터가 변화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동안 빛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빛 감지 모듈(121c)은 센싱된 빛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송신하거나, 또는 납골함(210)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시점 이후부터 센싱된 빛 데이터를 납골함 보안 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수신된 빛 데이터의 변화량(예: 빛의 세기, 주파수, 각도 등)을 체크하여 납골함(210)에 대한 보안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납골함 보안 장치(130)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 보안 수행부(132), 방문객 식별부(133) 및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2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 감지 모듈(121)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122)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센싱된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2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는 납골함 보안 장치(130)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210) 중 적어도 하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210)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각속도 감지 모듈(121a), 거리 감지 모듈(121b) 및 빛 감지 모듈(122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각속도 감지 모듈(121a)를 통하여 수신되는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모션 데이터에서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다. 만약 납골함(210)에 대한 움직임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특정 값을 초과하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210)에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거리 감지 모듈(121b)를 통하여 수신되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 상단 면과 납골함(210)의 최대 높이 간의 거리 차이에 대한 거리 데이터에서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다. 만약,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 상단 면과 납골함(210)의 최대 높이 간의 거리 차이가 기 설정된 특정 값을 초과하여 변화되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210)에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빛 감지 모듈(121c)를 통하여 수신되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의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빛 데이터에서 변화량을 체크할 수 있다. 만약, 광원 장치의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되는 특정 값을 초과하여 변화되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210)에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투명디스플레이 장치(111)의 보조 광원(112)을 광원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사운드 감지 모듈(122a), 온도 감지 모듈(122b) 및 습도 감지 모듈(122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110) 주변에서 발생되는 사운드가 기 설정되는 사운드 패턴(예: 수납 부재의 오픈시 발생되는 사운드 패턴, 유리의 파손시 발생되는 사운드 패턴 등)과 동일한지 여부를 체크하고, 만약 동일하면 납골 보관 장치(110)에 보안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110)의 내부 온도 및 습도의 단위 시간 당(예: 0.1초) 변화량을 체크하고, 만약 기 설정되는 변화량을 초과하여 변화되는 경우, 납골 보관 장치(110)가 오픈(Open)된 것으로 보아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방문객 식별부(133)로부터 수신되는 방문객 식별 정보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객 식별부(133)는 납골 보안 장치(110)에 대한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방문객 식별 장치로부터 방문객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객 식별 장치는 출입 카드 처리 장치, 카메라 및 생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방문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방문객 식별 장치는 납골당에 설치되는 출입 카드를 통하여 입장하는 방문객에 대한 방문객 식별 정보(예: 고인의 아들 및 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방문객 식별 장치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하여 기 저장된 방문객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하여 해당 방문객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방문객 식별 장치는 지문 인식 장치에 해당하는 생체 인식 장치를 통하여 해당 방문색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방문객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문객이 기 저장된 인물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물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납골 보관 장치(110)에 방문한 방문객이 기 저장된 유족 및 보안 관리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안 수행부(132)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수행부(132)는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140) 또는 보안 수행 기관(150)에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수행부(132)는 기저장된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내용, 발생 시간, 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안 수행부(132)는 납골함(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40) 또는 보안 수행 기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4)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 보안 수행부(132) 및 방문객 식별부(133)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2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한다(단계 S810).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 감지 모듈(121)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122)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센싱된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21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S820).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는 납골함 보안 장치(130)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납골 보관 장치(110) 및 납골함(210) 중 적어도 하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함(210)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각속도 감지 모듈(121a), 거리 감지 모듈(121b) 및 빛 감지 모듈(122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납골 보관 장치(110)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사운드 감지 모듈(122a), 온도 감지 모듈(122b) 및 습도 감지 모듈(122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방문객 식별부(133)로부터 수신되는 방문객 식별 정보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문객 식별부(133)는 납골 보안 장치(110)에 대한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방문객 식별 장치로부터 방문객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객 식별 장치는 출입 카드 처리 장치, 카메라 및 생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방문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이벤트 감지부(131)는 방문객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해당 방문객이 기 저장된 인물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물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안 수행부(132)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830).
일 실시예에서, 보안 수행부(132)는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140) 또는 보안 수행 기관(150)에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보안 수행부(132)는 기저장된 식별자(예: 전화 번호)를 기초로 보안 이벤트의 내용, 발생 시간, 영상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안 수행부(132)는 납골함(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40) 또는 보안 수행 기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납골함의 내부 또는 외부 일면에 부착되는 각속도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에 대한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2. 삭제
  3. 삭제
  4.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 상단면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위치하는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 변화량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5.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납골함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감지되는 상기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전면부에 상기 납골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7.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감지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 모듈,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모듈 및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9.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 및
    상기 납골 보안 장치에 대한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방문객 식별 장치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확인하는 방문객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식별 장치는 출입 카드 처리 장치, 카메라 및 생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방문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이벤트 감지부는
    상기 방문객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방문객이 기저장된 인물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11.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보안 이벤트 감지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보안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수행부는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상기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거나, 상기 납골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12.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속도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상기 보안 데이터는 상기 납골함에 대한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모션 데이터를 포함함)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함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상기 납골함에 대한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함)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 상단면에서 수직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위치하는 거리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상기 보안 데이터는 상기 거리 감지 모듈과 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에 상응하는 거리 데이터를 포함함)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함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상기 납골함의 최대 높이와의 거리 변화량을 체크함)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16.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상기 보안 데이터는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빛 데이터를 포함함)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함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상기 빛의 세기, 파장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변화량을 체크함)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전면부에 상기 납골함을 식별할 수 있도록 특정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18.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감지하는 납골 보관 장치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감지 모듈,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모듈 및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의 열람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20.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납골 보안 장치에 대한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는 방문객 식별 장치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식별 장치는 출입 카드 처리 장치, 카메라 및 생체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방문객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21. 고인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 보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납골함 보안 장치에서 수행되는 납골함 보안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납골 보관 장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감지 모듈을 통하여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움직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납골 보관 장치 및 상기 납골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기설정된 보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고인의 유족과 연관되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상기 보안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거나, 상기 납골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하여 센싱되는 위치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보안 수행 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보안 방법.
KR20130065101A 2013-06-07 2013-06-07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KR10149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101A KR101493157B1 (ko) 2013-06-07 2013-06-07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101A KR101493157B1 (ko) 2013-06-07 2013-06-07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10A KR20140143510A (ko) 2014-12-17
KR101493157B1 true KR101493157B1 (ko) 2015-02-13

Family

ID=5259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101A KR101493157B1 (ko) 2013-06-07 2013-06-07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5587A1 (en) * 2015-05-15 2016-11-17 William A. Taylor Remains container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89B1 (ko) * 2017-06-19 2019-07-08 주식회사 다드림 스마트 납골당 관리 시스템
KR102342972B1 (ko) * 2020-08-20 2021-12-24 주식회사 인투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보관함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216A (ko) * 2005-01-07 2006-07-12 한명환 납골묘 잠금장치의 도난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216A (ko) * 2005-01-07 2006-07-12 한명환 납골묘 잠금장치의 도난방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35587A1 (en) * 2015-05-15 2016-11-17 William A. Taylor Remains contain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510A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JP5159381B2 (ja) 画像配信システム
US4688244A (en) Integrated cargo security system
JP4559819B2 (ja) 不審者検出システム及び不審者検出プログラム
US8068023B2 (en) System for maintaining security of evidence throughout chain of custody
KR101997589B1 (ko) 스마트 납골당 관리 시스템
CN107592506B (zh) 一种监控方法以及监控装置、监控系统
US20140250954A1 (en) Smart padlock
US104605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entry
KR101493157B1 (ko) 납골함 보안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함 보안 장치
US20170346634A1 (en) Augmented reality security verification
CN101563193A (zh) 控制自治设备的方法
KR101524258B1 (ko) 납골 시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납골 시설 관리 서버
JP4499668B2 (ja) 電界通信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電界通信セキュリティ方法
US9858783B1 (e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medical kits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8280904A (zh) 一种显示装置的自动锁护装置、系统及方法
KR102073412B1 (ko) 녹화기 일체형 카메라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01221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라커 시스템
US10832112B2 (en) Tamper-evident item and item validation system and method
JP2007257108A (ja) 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屋外監視システム
KR102341938B1 (ko)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101233481B1 (ko) 승객구호장비 보관함
Bondi et al. Using Game Theory in Real Time in the Real World: A Conservation Case Study.
JP7307884B2 (ja) 多機能型仮設柱及び現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