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385A -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 Google Patents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385A
KR20210154385A KR1020200071335A KR20200071335A KR20210154385A KR 20210154385 A KR20210154385 A KR 20210154385A KR 1020200071335 A KR1020200071335 A KR 1020200071335A KR 20200071335 A KR20200071335 A KR 20200071335A KR 20210154385 A KR20210154385 A KR 2021015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l
sleeping bag
quilting
surface material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이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진 filed Critical 이혜진
Priority to KR102020007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385A/ko
Publication of KR2021015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6Sleeping bags for outdoor slee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모 침낭 제조방법은,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고,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공을 하여 그 원단을 제품 겉면으로 하는 제 1 표면재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표면재와 충전재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 뒤,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제 1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 천연 양모를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하여, 후가공한 양모 파일이 안쪽면으로 사용되도록 제 2 표면재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표면재와 충전재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 뒤,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제 2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마주 붙이되,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마주 붙이는 누빔체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METHOD FOR MANUFACTURING OF WOOL SLEEPING BAG AND WOOL SLEEPING BAG}
본 발명은 침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낭의 외부로 유입되는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침낭 내부의 온기가 침낭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침낭의 외부 및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대한 발열효과를 증대시켜 침낭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도록 양모를 사용하는 침낭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양모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낭은 야외에서 숙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건으로서, 사용자의 신체가 들어갈 수 있도록 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낚시, 캠핑 등의 장시간 야외에서의 휴식 및 수면이 필요한 여가활동 시 사용자의 피로를 덜 수 있어, 각종 야외활동 및 군사활동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침낭에는 사용자의 체온을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 솜 등의 충전재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침낭의 내부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됨으로써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침낭은, 외피층, 내피층 및 솜과 같은 보온층을 가지며, 공기층을 통해 보온, 단열 효과가 있어야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에 따른 침낭은 사용자의 하중에 눌려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거나, 솜 등과 같은 충전재의 재질적 한계로 인해 지면 및 외부로부터 침낭의 내부로 향하는 냉기를 차단하기 어려워 보온 및 단열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사용되던 중간재로는 목화솜, 오리털, 거위털 등 충전재를 넣어 사용하였는데, 보온 및 단열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만족할만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충전재의 분량을 상당히 증가시켜야 하였다. 이에 따라, 보온 및 단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침낭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2556호(2019.12.0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양모를 사용하여 제조된 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모가 외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양모 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모가 내부의 충전재로 사용된 양모 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모 침낭 제조 방법은,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고,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공을 하여 그 원단을 제품 겉면으로 하는 제 1 표면재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표면재와 충전재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 뒤,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제 1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 천연 양모를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하여, 후가공한 양모 파일이 안쪽면으로 사용되도록 제 2 표면재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표면재와 충전재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 뒤,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제 2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마주 붙이되,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마주 붙이는 누빔체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누빔체 결합 단계는, 미리 설정된 침낭 규격과 디자인에 맞게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각각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 붙인 후, 하단부의 일정 영역을 제외하고 합봉한 후, 상기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뒤집은 후, 상기 하단부의 일정 영역을 재봉하여 마주 붙이는 누빔체 합봉 단계; 상기 합봉된 누빔체의 바깥쪽 몸체 상단에 벨크로를 설치하고, 침낭을 형성하기 위한 지퍼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퍼 옆으로 입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양모 침낭은,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고,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공을 하여 그 원단을 제품 겉면으로 하는 제 1 표면재 및 상기 제 1 표면재와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된 후, 누빔기에 같이 투입되어 재봉을 통해 합체화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 1 누빔체; 및 천연 양모를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하여, 후가공한 양모 파일이 안쪽면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제 2 표면재 및 상기 제 2 표면재와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된 후, 누빔기에 같이 투입되어 재봉을 통해 합체화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 2 누빔체;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침낭 규격과 디자인에 맞게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절단 후,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마주붙여 합봉하여 하나의 침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봉된 누빔체의 바깥쪽 몸체 상단에는 벨크로가 설치되고,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인 개방부를 제외한 합봉된 누빔체의 둘레 영역에는 하나의 침낭을 형성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모를 활용하여 침낭의 외면 또는 충전을 하도록 함으로써, 양모가 갖고 있는 보온성은 물론, 신축성, 흡습성, 발수성, 난연 성능이 침낭에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상면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상면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양모 침낭의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모 침낭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중간 침낭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양모 침낭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외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외피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외피부 및 중간 침낭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외피부, 중간 침낭부 및 양모 침낭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털 빠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일 원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누비이불은 두께가 얇으므로 외피속에 들어가는 솜 층의 두께가 얇아야 하나, 종래에는 주로 목화솜이 사용되어 왔고, 근래에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피.피.솜(polypropylene fiber)등 합성섬유솜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목화솜은 흡습성은 양호하나 보온성과 벌크성(bulk)이 떨어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솜이 다져지고 딱딱해지며 촉감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계세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합성섬유 솜의 누비이불은 벌크성이 있으나, 흡습성이 나빠서 습기나 땀을 쉽게 흡수하지 못하므로 청량감을 느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불이 너무 가벼워 사용시 안정감이 떨어지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솜층의 두께가 얇으면서도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양모/폴리에스테르 혼섬패드를 이용한 침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섬유 제품은 보온성이 주기능이나, 최근에는 보온성뿐만 아니라 속건성, 흡습성, 경량성, 쾌적성 등의 많은 기능성을 요구하고 있고, 대부분의 섬유 제품들이 이런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최근 주목되고 있는 섬유 소재는 석유를 기초로 하는 성 섬유보다는 천연 섬유소재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면, 모, 모시, 실크 등의 천연 섬유소재 및 이러한 천연 섬유로 제조되는 원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양모는 양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섬유로서 신축성, 흡습성, 발수성, 난연성 등이 좋아 섬유 재료로서는 거의 이상적인 섬유이다. 이러한 양모는 외투 등의 의복 재료로는 물론, 고급 이불, 담요, 매트리스, 침구 등으로도 제조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양모 섬유의 표면은 스케일(scale)이라고 하는 표피층이 있는데, 이러한 표피층은 각질세포가 겹쳐져서 생선비늘과 같은 외관을 가지며 내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스케일의 모양은 양모의 종류에 따라 달라서 일반적으로 양모가 섬세할수록 발달되는데, 주로 나선형으로 되어 있어, 좋은 탄성과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술한 폴리에스터 솜 및 양모를 이용한 침낭의 제조 방법 및 침낭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상면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상면을 일부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양모 침낭의 하면 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양모 침낭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중간 침낭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양모 침낭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외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외피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외피부 및 중간 침낭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모 침낭의 외피부, 중간 침낭부 및 양모 침낭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 제조 방법은 제 1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S110), 제 2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S120) 및 누빔체 결합 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 1 표면재와 충전재를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단계이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고,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공을 하여 그 원단을 제품의 겉면으로 하는 제 1 표면재를 생성한다. 이때,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하는 가공이 울프루프(WoolProof) 가공이다. 울프루프 가공은 양모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원단을 조밀하게 직조하는 가공법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제 1 표면재와 충전재(예컨대, 폴리에스터 솜)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표면재와 충전재인 폴리에스터 솜 4온스를 폭 199cm, 길이 229cm로 재단한다. 이후,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20cm 간격으로 재봉하여 합체화함으로써 제 1 누빔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2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 2 표면재와 충전재를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단계이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천연 양모를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한다. 이때, 양모를 사용하는 양모침구의 경우 양모의 표면에 스케일(scale)이 형성되어 있어 속커버와 겉커버로 이중으로 감싸더라도 반복 사용하다 보면 양모솜이 속커버와 겉커버로부터 빠져나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천연 양모는 물세탁이 가능하며, 방적, 작태, 염색, 해사하여 원단 형태로 재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후가공한 양모 파일이 안쪽면으로 사용되도록 제 2 표면재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 2 표면재와 충전재(예컨대, 폴리에스터 솜)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표면재와 충전재인 폴리에스터 솜 4온스를 폭 199cm, 길이 229cm로 재단한다. 이후,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20cm 간격으로 재봉하여 합체화함으로써 제 2 누빔체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를 결합하는 단계는, 상술한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를 결합하여 침낭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130). 이때,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는 마주 붙이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마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침낭이 형성되는 경우 표면제는 침낭의 바깥면을 형성하고, 충전재는 서로 맞닿아 보다 높은 쿠션감을 제공하며, 양모는 침낭의 안쪽면을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양모가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음에 따라 체온을 유지시켜 주고, 충전재의 쿠션감으로 보다 안락한 잠자리를 제공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누빔체 결합 단계는 다음과 같이 보다 세분화하여 침낭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미리 설정된 침낭 규격과 디자인에 맞게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를 절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 210cm, 가로 90cm의 침낭 규격과 디자인에 맞추어 누빔체를 절단한다. 한편, 상술한 절단 부위는 충전재가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모든 끝단을 박음질하여 퀼팅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절단된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각각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 붙인 후, 하단부의 일정 영역을 제외하고 합봉한 후, 하단부를 통해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뒤집은 후, 하단부의 일정 영역을 재봉하여 마주 붙임으로써 누빔체를 합봉한다. 이때, 하단부의 일정 영역은 발밑 50cm의 창구멍일 수 있으며, 한편, 재봉된 하단부의 일정 영역은 후술하는 지퍼 부분에 넣어주어 막아 완성함으로써 재봉된 영역이 육안으로 드러나지 않아 완성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후, 합봉된 누빔체의 바깥쪽 몸체 상단부에는 고정부재인 벨크로를 설치하고, 침낭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부재인 지퍼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지퍼를 설치함에 있어서, 지퍼의 옆으로 입술을 생성하여, 지퍼를 열고 닫는 경우 누빔체가 찝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침낭은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를 결합한 후, 지퍼가 설치되는 영역 범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침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지퍼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인 상단부를 제외한 둘레부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오픈형 침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인 상단부 및 둘레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반오픈형 침낭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퍼를 열어서 결합된 누빔체가 전부 펼쳐지는 경우에는 오픈형 침낭으로, 지퍼를 열어서 결합된 누빔체의 일부만이 펼처지는 경우에는 반오픈형 침낭으로 명명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를 결합한 후, 상단부를 제외한 둘레부에 결합부재(130)(예컨대, 지퍼)를 설치하는 경우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픈 형태의 침낭(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퍼를 닫게 되면, 결합된 누빔체의 표면재는 상면(110)과 하면(120)으로 나뉘어 침낭의 바깥쪽을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인 개방부(142)가 형성되며, 사람과 맞닿는 안쪽면은 양모 파일로 이루어진 침낭(10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를 결합한 후, 상단부 및 둘레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만 설치되는 경우에는 반오픈형 침낭(200)(도 9 내지 도 16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누빔체 및 제 2 누빔체의 충전재로는 폴리에스터 솜이 사용되고, 침낭(100)을 형성하였을 경우 사람과 맞닿는 안쪽면은 양모 파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로 양모를 사용하고, 침낭(200)의 안쪽면은 별도의 양모 파일이 형성되지 않은 바깥쪽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충전재를 양모로 사용하는 경우, 침낭은 보다 높은 보온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누빔체 및 제 2 누빔체를 결합한 누빔체의 상단 중앙부를 하단 방향으로 일정 부분 절개(이때, 절개되어 분리된 일측 영역은 접어서 안쪽면의 양모 파일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할 수 있음)하여 사람이 침낭을 사용하는 경우 머리 부분까지 침낭에 놓여지게 한 상태에서 얼굴만 밖으로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 누빔체 및 제 2 누빔체를 결합한 누빔체의 상단 중앙부를 하단 방향으로 일정 부분 절개하고, 절개되어 분리된 상면(110)의 상단 부분 일측 영역은 접어서 안쪽면의 양모 파일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하여, 접혀서 양모 파일이 바깥으로 드러난 부분인 상부 양모(140), 사람의 머리 부분이 놓여지게 되는 부분인 하면 양모(1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면 양모(160)를 사용하여 머리 부분까지 침낭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쿠션감 및 보온 효과로 보다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얼굴 부분은 밖으로 누출시켜 답답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접어서 안쪽면의 양모 파일이 바깥으로 드러난 절개되어 분리된 일측 영역인 상부 양모(140)는, 필요에 따라(바깥 기온이 너무 낮아 얼굴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경우) 다시 말아올려 얼굴을 덮어 보호할 수도 있다. 한편, 결합된 누빔체의 표면재 상단에는 벨크로를 설치하여 결합부재(130)인 지퍼를 닫아 침낭을 형성하는 경우, 벨크로를 이용하여 침낭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낭의 상면(110)과 하면(120)의 상단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면접촉부재(112) 및 하면접촉부재(122)를 설치하고, 이를 결합함으로써 침낭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때, 상면접촉부재(112) 및 하면접촉부재(122)는 벨크로일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130)를 닫아 하나의 침낭이 형성되는 경우, 침낭의 안쪽면은 상면 양모(150)와 하면 양모(160)가 서로 접함에 따라 보다 높은 보온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개방부(142)를 통해 침낭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사람의 전면은 상면 양모(150)가 그리고, 사람의 후면은 하면 양모(160)가 덮어주게 됨에 따라 보다 높은 보온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누빔체 및 제 2 누빔체를 별도의 절개 없이 결합하는 경우, 사람의 머리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모자 형태의 누빔체를 따로 봉제하여, 터널과 스트링을 달아 침낭의 몸체인 제 1 누빔체와 제 2 누빔체가 결합된 누빔체에 합봉하여 하나의 침낭(2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낭은 양모가 충전재로 사용되어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보온성을 제공하는 양모 침낭부(230), 폴리에스터 솜이 충전재로 사용되고, 양모 침낭부(2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중간 침낭부(220) 및 중간 침낭부(220)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의 냉기 유입 및/또는 바람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외피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쪽에서 바깥쪽 순으로 양모 침낭부(230), 중간 침낭부(220), 외피부(210)를 결합하여 하나의 침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개별적인 구성들의 결합으로 하나의 침낭을 형성하는 경우, 침낭의 주 기능인 보온 기능을 갖는 양모 침낭부(230)를 외부로부터 보호(찢김, 더러워짐 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털 빠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일 원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털 즉, 양모가 침낭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면직물을 제직하여 털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7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면직물(1000)은 묶음부(1732)를 가지며, 면직물(1000)은 베이스(1700) 및 파일부재(1730)을 포함한다.
베이스(1700)는 좌우 대칭으로 사슬짜기되거나 니트 형상으로 짜여지는 연결사(1710)를 포함하고, 꼬임결합사(1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사(17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호 병렬로 배열된다. 이때, 연결사(1710)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사(1710)는 그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연결볼록부(1712) 및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연결오목부(1714)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교호적으로(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번갈아)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사(1710)는 복수 개의 연결볼록부(1712) 및 연결오목부(171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오목부(1714)의 일측 및 타측에 한 쌍의 연결볼록부(1712)가 연결되는데, 한 쌍의 연결볼록부(1712)는 연결오목부(1714)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 연결볼록부(1712a) 및 연결오목부(1714)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연결볼록부(1712b)로 구분될 수 있다.
파일부재(1730)는 복수 개의 연결사(1710)를 따라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파일사(1731)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파일사(1731)는 예컨대, 양모로 구성될 수 있다. 양모는 우수한 유연성, 방적성, 보온성 및 흡습성 등을 가져서, 외투 등의 의복 재료, 고급 이불, 담요, 매트리스, 침구 등에 사용되는 고급 섬유 소재이다. 이러한 파일사(1731)는 상호 마주보는 제 1 연결볼록부(1712a)의 일측 및 제 2 연결볼록부(1712b)의 일측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묶음부(1732)와, 묶음부(1732)와 연결된 상태로 상부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파일부(1734)를 포함하며, 묶음부(1732)와 파일부(1734)는 복수 개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묶음부(1732)는 그 일측은 제 1 연결볼록부(1712a)와 제 2 연결볼록부(1712b) 사이에서 제 1 연결볼록부(1712a)를 통과하도록 연장되고, 그 타측은 제 1 연결볼록부(1712a)와 제 2 연결볼록부(1712b) 사이에서 제 2 연결볼록부(1712b)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제 1 연결볼록부(1712a)의 일측 및 제 2 연결볼록부(1712b)의 일측을 일체로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일부(1734)는 양 단부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묶음부(1732) 사이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 1, 2 연결볼록부(1712a, 1712b)보다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파일부재(1730)의 묶음부(1732)는 하나의 연결볼록부(1712)가 아닌, 한 쌍의 연결볼록부(1712) 즉, 제 1, 2 연결볼록부(1712a, 1712b)에 견고하게 묶여지도록 구성되므로, 묶음부(1732)는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베이스(1700)에서 풀리지 않아 털 빠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일부재(1730)의 파일부(1734)는 묶음부(1732)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파일부(1734)는 묶음부(1732)와 함께 베이스(17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1700)는 연결사(1710) 이외에 꼬임결합사(1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꼬임결합사(1720)는 복수 개의 연결사(1710)를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꼬임결합사(1720)는 연결사(1710)에 결합된 파일사(1731)가 연결사(17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꼬임결합사(1720)는 복수 개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는 꼬임부(1722)와 꼬임연결부(1724)를 포함할 수 있다.
꼬임부(1722)는 제 1 연결볼록부(1712a)의 일측 및 제 1 연결볼록부(1712a)의 일측과 인접한 묶음부(1732)의 일측을 일체로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꼬임부(1722a)와 제 1 연결볼록부(1712a)와 마주보는 제 2 연결볼록부(1712b)의 일측 및 제 2 연결볼록부(1712b)의 일측과 인접한 묶음부(1732)의 타측을 일체로 감싸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꼬임부(1722b) 그리고, 상기 제 1 꼬임부(1722a)와 상기 제 2 꼬임부(1722b)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이음부(1722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꼬임부(1722a)의 양 단부 및 제 2 꼬임부(1722b)의 양 단부는 각각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제 1 꼬임부(1722a)의 단부와 제 2 꼬임부(1722b)의 단부는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음부(1722c)가 이들 제 1 꼬임부(1722a)의 단부와 제 2 꼬임부(1722b)의 단부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여기서 이음부(1722c)는 제 1 꼬임부(1722a)의 하측과 제 2 꼬임부(1722b)의 하측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꼬임연결부(1724)는 복수 개의 꼬임부(1722)가 제 1, 2 연결볼록부(1712a, 1712b)를 따라 구비될 때, 상호 인접한 일 꼬임부(1722)의 제 2 꼬임부(1722b)와 타 꼬임부(1722)의 제 1 꼬임부(1722a)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이때, 꼬임연결부(1724)는 상호 인접한 일 꼬임부(1722)의 제 2 꼬임부(1722b)의 하측과 타 꼬임부(1722)의 제 1 꼬임부(1722a)의 하측을 일체로 연결시킨다. 이처럼, 꼬임부(1722)는 파일사(1731)의 묶음부(1732)와 연결볼록부(1712)를 일체로 묶도록 형성되므로, 파일사(1731)의 묶음부(1732)는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베이스(1700)의 연결사(1710)에서 임의로 풀리지 않게 되어, 털 빠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100: 제1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
110: 상면 112: 상면접촉부재
120: 하면 122: 하면접촉부재
130: 결합부재 140: 상부 양모
142: 개방부 150: 상면 양모
160: 하면 양모
200: 제2실시예에 따른 양모 침낭
210: 외피부 220: 중간 침낭부
230: 양모 침낭부
1000: 면직물
1700: 베이스 1710: 연결사
1712: 연결볼록부 1712a: 제 1 연결볼록부
1712b: 제 2 연결볼록부 1714: 연결오목부
1720: 꼬임결합사 1722: 꼬임부
1722a: 제 1 꼬임부 1722b: 제 2 꼬임부
1722c: 이음부 1724: 꼬임연결부
1730: 파일부재 1731: 파일사
1732: 묶음부 1734: 파일부

Claims (4)

  1.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고,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공을 하여 그 원단을 제품 겉면으로 하는 제 1 표면재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표면재와 충전재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 뒤,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제 1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
    천연 양모를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하여, 후가공한 양모 파일이 안쪽면으로 사용되도록 제 2 표면재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표면재와 충전재를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한 뒤, 누빔기에 같이 투입해 재봉하여 합체화하는 제 2 누빔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마주 붙이되,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마주 붙이는 누빔체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양모 침낭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빔체 결합 단계는,
    미리 설정된 침낭 규격과 디자인에 맞게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각각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 붙인 후, 하단부의 일정 영역을 제외하고 합봉한 후, 상기 하단부를 통해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뒤집은 후, 상기 하단부의 일정 영역을 재봉하여 마주 붙이는 누빔체 합봉 단계;
    상기 합봉된 누빔체의 바깥쪽 몸체 상단에 벨크로를 설치하고, 침낭을 형성하기 위한 지퍼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퍼 옆으로 입술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모 침낭 제조방법.
  3. 원단 60수의 면사로 면직물을 제직하고, 면직물 조직 사이로 양모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가공을 하여 그 원단을 제품 겉면으로 하는 제 1 표면재 및 상기 제 1 표면재와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된 후, 누빔기에 같이 투입되어 재봉을 통해 합체화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 1 누빔체; 및
    천연 양모를 스케일을 깍아내는 특수가공으로 원단 형태로 재편하여, 후가공한 양모 파일이 안쪽면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제 2 표면재 및 상기 제 2 표면재와 미리 설정된 일정양과 일정 길이로 재단된 후, 누빔기에 같이 투입되어 재봉을 통해 합체화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제 2 누빔체;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침낭 규격과 디자인에 맞게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를 절단 후, 상기 제 1 누빔체와 상기 제 2 누빔체의 충전재가 서로 접하도록 마주붙여 합봉하여 하나의 침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모 침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봉된 누빔체의 바깥쪽 몸체 상단에는 벨크로가 설치되고,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인 개방부를 제외한 합봉된 누빔체의 둘레 영역에는 하나의 침낭을 형성하기 위한 지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모 침낭.
KR1020200071335A 2020-06-12 2020-06-12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KR20210154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35A KR20210154385A (ko) 2020-06-12 2020-06-12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335A KR20210154385A (ko) 2020-06-12 2020-06-12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85A true KR20210154385A (ko) 2021-12-21

Family

ID=7916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35A KR20210154385A (ko) 2020-06-12 2020-06-12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438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556B1 (ko) 2019-03-11 2019-12-05 임경섭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556B1 (ko) 2019-03-11 2019-12-05 임경섭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06346A1 (en) Double knitted fabric
US7636953B2 (en) Hair wrap with different sidedness
JPH05214630A (ja) 外被に剛性を付与するための心地及びその用途
KR101406246B1 (ko) 기능성 이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이불
CN102268762B (zh) 羽毛的钻出防止结构
EP2077083B1 (en) Woven fabric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210154385A (ko) 양모 침낭 제조방법 및 양모 침낭
KR101087755B1 (ko) 다운 의류
JP2004115939A (ja) 縫製シート体
CN216854330U (zh) 一种羽绒蚕丝复合被
CN201480818U (zh) 多功能毯
JP3097602U (ja) 寝具
CN212065708U (zh) 一种保暖性好的衣服
CN214484086U (zh) 一种吸湿发热蓄热被子
CN220897995U (zh) 一种具有腰部保暖功能的冬装内胆及冬装
CN214048260U (zh) 一种羽绒床垫
CN213696424U (zh) 新型无丝纤维毛毯
CN213128047U (zh) 一种保暖轻盈的毛衫
JP3105977U (ja) 保温衿付き毛布
JPH028056B2 (ko)
JP3114605U (ja) リバーシブル毛布
CN208676849U (zh) 一种新型毛毯绗缝垫套装
JPH0542819Y2 (ko)
CN113413046A (zh) 一种羽绒蚕丝复合被及蚕丝被套
JPH077567U (ja) 掛け布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