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095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095A
KR20210154095A KR1020210073860A KR20210073860A KR20210154095A KR 20210154095 A KR20210154095 A KR 20210154095A KR 1020210073860 A KR1020210073860 A KR 1020210073860A KR 20210073860 A KR20210073860 A KR 20210073860A KR 20210154095 A KR20210154095 A KR 2021015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mber
connector
edge
body porti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147B1 (ko
Inventor
아츠시 이시카와
아야코 미츠모토
료스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5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커넥터(1)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10A),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10B)를 가지고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 각각은 본체부(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제3 연부(17)를 가지고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는 본체부(11)에 대해 상대 커넥터를 받아들이는 측인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금속 부재(10A)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제2 금속 부재(10B)의 본체부(11)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고, 제1 커넥터(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B1)에 장착 가능하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제2 금속 부재(10B)의 본체부(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B2)에 장착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개시는 서로 상이한 2개의 자세로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커넥터에는, 특허문헌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자세와 수평 자세의 양쪽에서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가 수직 자세에 있을 때, 케이블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와 회로 기판 상의 커넥터의 접속 방향이 회로 기판에 대해 수직이다. 커넥터가 수평 자세에 있을 때,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와 회로 기판 상의 커넥터의 접속 방향이 회로 기판과 평행이다. 이 커넥터에 의하면,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와,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수평 방향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별개로 설계·제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6440345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는 케이블과 전기적 접속을 확립하는 단자뿐만 아니라, 회로 기판에 대한 커넥터의 고정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 금구를 가지고 있다. 보강 금구는 하우징의 단부에서 유지되어 회로 기판에 솔더링된다. 종래의 단자와 보강 금구의 구조에서는, 추가적인 비용 저감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의 일 예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대 커넥터와 제1축 방향에서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대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의 일 예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대 커넥터와 제1축 방향에서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대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축 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 예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제1 방향에서 감합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이다. 상기 제1 커넥터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예는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제1 방향에서 감합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이다. 상기 제1 커넥터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다.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축 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제1 커넥터)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커넥터가 수직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제1 커넥터가 수평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서 나타내는 VIa-VIa선으로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제1 커넥터가 수직 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수평 자세에 있는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그 절단면의 위치는 도 6a와 동일하다.
도 7a는 도 5에서 나타내는 VIIa-VIIa선으로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제1 커넥터가 수직 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는 수평 자세에 있는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그 절단면의 위치는 도 7a와 동일하다.
도 8a는 제1 금속 부재(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제2 금속 부재(보강 금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대 단자(케이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제1 금속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제2 금속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금속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의 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커넥터의 예로서 제1 커넥터(1),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90)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M)가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등에서 나타내는 Z1 방향, Z2 방향, Y1 방향, Y2 방향, X1 방향 및 X2 방향은 커넥터의 각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커넥터의 자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Z축 방향, Y축 방향 및 X축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는 방향이다. Z1 방향은 Z축 방향을 따른 2방향 중 하나이고, Z2 방향은 Z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Y1 방향은 Y축 방향을 따른 2방향 중 하나이고, Y2 방향은 Y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X1 방향은 X축 방향을 따른 2방향 중 하나이고, X2 방향은 X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는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도 1 참조),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2)(도 3 참조)에 실장 가능하다. 제1 커넥터(1)의 자세에 관계없이, 즉 제1 커넥터(1)가 후술하는 수직 자세(도 1 참조)에 있는지 수평 자세(도 3 참조)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90)가 접속하는 방향이 Z축 방향이고, 제1 커넥터(1)에 대해 제2 커넥터(90)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이 Z1 방향이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M)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90)를 가지고 있다. 제1 커넥터(1)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이고, 제2 커넥터(90)는 케이블(93)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대 커넥터이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93)은 그 단부에 단자(92)를 가질 수 있다. 제2 커넥터(90)는 하우징(91)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91)에는 단자(92)가 끼워져 단자(92)를 보유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공(91a)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 유지공(91a)은 X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각 단자 유지공(91a)은 Z1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 및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92)는 케이블(93)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판부(92a)를 가지고 있다. 주판부(92a)의 기부에는 케이블(93)의 외피(93a)를 보유하는 케이블 유지부(9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주판부(92a)는 케이블(93)의 심선(93b)을 보유하는 압착부(92c)를 가지고 있다. 케이블 단자(92)는 그 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접촉부(92d)를 가지고 있다. 2개의 접촉부(92d)는 주판부(92a)의 테두리에서 절곡되어 X축 방향에서 마주보고 있다.
제1 커넥터(1)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수직 자세와 도 3에서 나타내는 수평 자세의 양쪽에서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하다. 제1 커넥터(1)가 도 1에서 나타내는 수직 자세에 있을 때,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90)는 회로 기판(B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접속한다. 제1 커넥터(1)가 수직 자세에 있을 때, 제2 커넥터(90)는 회로 기판(B1)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제1 커넥터(1)에 접속될 수도 있다. 제1 커넥터(1)가 도 3에서 나타내는 수평 자세에 있을 때,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90)는 회로 기판(B2)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접속한다. 제1 커넥터(1)가 수평 자세에 있을 때, 제2 커넥터(90)는 회로 기판(B)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제1 커넥터(1)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커넥터(90)는 반드시 케이블(93)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제2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과, 제1 커넥터(1)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B1)(또는 B2)이 이들 2개의 커넥터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될 수도 있다.
제1 커넥터(1)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금속 부재(10A), 복수의 제2 금속 부재(10B), 금속 부재(10A·10B)를 보유하는 하우징(30)을 가질 수 있다. 제1 금속 부재(10A)는 상대 단자(커넥터 조립체(M)의 예에서 케이블 단자(92))와 전기적인 접속을 확립하는 단자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제1 금속 부재(10A)는 X축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커넥터(1)와 회로 기판(B1·B2)의 고정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 금구로서 기능한다. 2개의 제2 금속 부재(10B) 중 하나는 복수의 제1 금속 부재(10A)에 대해 X1 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복수의 제1 금속 부재(10A)에 대해 X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금속 부재(10A·10B)는, 예를 들어 인청동이나 황동 등의 금속판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재료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에는 제2 커넥터(90)가 내측에 끼워지는 감합 벽부(31)와, 감합 벽부(31)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있는 베이스부(32)를 가질 수 있다. 감합 벽부(31)는 베이스부(32)로부터 Z1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X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31a·31a)과, 베이스부(32)로부터 Z1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또한, X축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후방벽(31b)(Y2 방향을 향한 외면을 갖는 벽부)을 가지고 있다. X축 방향에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측벽(31a·31a)과 후방벽(31b)은 제2 커넥터(90)의 3측면을 둘러싸고 있다.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90)의 감합 시, 후방벽(31b)은 제2 커넥터(90)의 Y2 방향을 향한 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감합 벽부(31)는 Z1 방향뿐만 아니라, Y1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감합 벽부(31)는 Z1 방향으로만 개구되고, 제2 커넥터(90)의 4 방향을 둘러쌀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 각각은 본체부(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제3 연부(17)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는 제1 연재부(12), 제1 연재부(12)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재부(13)를 가질 수 있다.
도 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본체부(1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재부(12), 제1 연재부(12)에 접속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재부(13)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재부(12)는 제2 연재부(13)의 Y축 방향에서의 중심으로부터 Y2 방향으로 어긋난 부분에 접속하며, 제1 금속 부재(10A)는 전체적으로 대략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재부(13)는 제1 연재부(12)보다 더 Y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3g)를 가질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연부(15)는 제1 연재부(12)의 단부, 즉 제1 연부(15)는 제1 연재부(12)와 제2 연재부(13)의 접속부와는 반대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부(16)와 제3 연부(17)는 제2 연재부(13)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
도 5 및 도 6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본체부(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 벽부(31)의 내측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상대 단자, 즉 케이블 단자(92)가 접촉 가능하다. 제1 금속 부재(10A)의 본체부(11)(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재부(12))는 2매의 접촉판(92a)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에 접촉한다.
도 8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는 본체부(11)보다 Z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커넥터(1)의 예에서는, 제1 연재부(12)는 제1 커넥터(1)의 Z2 방향에서의 단부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Z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부(15)는 제1 연재부(12)의 Z1 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부(15)의 X축 방향에서의 폭(W1)은 제1 연재부(12)의 연신 방향을 향해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도 8a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는 본체부(11)보다 Z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도 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부(16)는 Z2 방향을 향한 하우징(30)의 외면(하면(30a))을 넘어 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과 접속 가능하다. 즉, 제2 연부(16)는 회로 기판(B1)에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솔더링 가능하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예에서는, 제2 연부(16)는 제2 연재부(13)의 Z2 방향의 가장자리의 일부이다. 제2 연부(16)는 제2 연재부(13)의 Y축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하우징(30)의 후방면으로부터 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연부(16)의 위치는 제1 커넥터(1)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연부(16)는 제2 연재부(13)의 Y축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Y2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예에서, 제2 연재부(13)는 제1 연재부(12)와의 접속부에 인접하고 있는 연결부(13b), 연결부(13b)에 대해 Y1 방향에 위치하며, 연결부(13b)보다 Z축 방향에서의 폭이 큰 전방부(13c)를 가지고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제3 연부(17)는 본체부(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도 1 참조). 도 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연부(17)는 Y1 방향을 향한 하우징(30)의 외면(전방면(3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2)(도 3 참조)과 접속 가능하다. 즉, 제3 연부(17)는 회로 기판(B2)에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드(도시하지 않음)에 솔더링 가능하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예에서는, 제3 연부(17)는 제2 연재부(13)의 Y1 방향의 가장자리이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예에서, 제3 연부(17)는 제2 연재부(13)의 전방부(13c)의 전방연(Y1 방향의 가장자리)이며, 제2 연부(16)는 전방부(13c)의 하연(Z2 방향의 가장자리)이다. 따라서, 제2 연부(16)와 제3 연부(17)는 전방부(13c)의 2개의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금속 부재(10B)에서의 본체부(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제3 연부(17)의 상대 위치는 제1 금속 부재(10A)에서의 이들의 상대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체부(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제3 연부(17)의 상대 위치란, 예를 들어 금속 부재(10A·10B)를 측면에서 볼 때, 본체부(11)에 대해 제1 연부(15)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이나, 본체부(11)에 대해 제2 연부(16)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 본체부(11)에 대해 제3 연부(17)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 이들의 거리를 의미한다. 제1 금속 부재(10A)에서의 각부의 상대 위치와 제2 금속 부재(10B)에서의 각부의 상대 위치는 금속 부재(10A·10B)를 제조하는 공정이나 제조를 위한 부품(예를 들어, 금형)을 공통화할 수 있다면 반드시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제1 금속 부재(10A)에서의 각부의 상대 위치와 제2 금속 부재(10B)에서의 각부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뿐만 아니라, 각부의 형상 및 크기도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금속 부재(10A)의 두께와 제2 금속 부재(10B)의 두께도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금속 부재(10A)는 제2 금속 부재(10B)가 삽입되어 있는 유지공(33a)에 삽입할 수 있고,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금속 부재(10A)가 삽입되어 있는 유지공(32a)에 삽입할 수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형상과 제2 금속 부재(10B)의 형상은 금속 부재(10A·10B)를 제조하는 공정이나 제조를 위한 부품(예를 들어, 금형)을 공통화할 수 있다면, 반드시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금속 부재(10A)의 두께와 제2 금속 부재(10B)의 두께는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금속 부재(10A·10B)는 본체부(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및 제3 연부(17) 중 1 또는 복수에서만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부재(10A·10B)는 제1 연부(15) 이외의 부분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의 형상과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형상은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의 폭(W1)은 선단(Z1 방향의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한편,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폭은 일정할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금속 부재(10A)와는 상이한 자세로 하우징(3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금속 부재(10B)는 Y축 방향을 따른 직선(L1)(도 8a 참조)에 대해 제1 금속 부재(10A)를 반전한 자세로 하우징(30)에 의해 유지된다. 제1 커넥터(1)의 예와는 달리, 제2 금속 부재(10B)는 X축 방향을 따른 직선을 중심으로 제1 금속 부재(10A)를 회전시킨 자세로 유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금속 부재(10B)는 X축 방향을 따른 직선을 중심으로 제1 금속 부재(10A)를 90도 회전시킨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커넥터(1)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부재이다. 도 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본체부(11)보다 Z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부(15)는 하우징(30)의 하면(30a)(Z2 방향을 향한 면)으로부터 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의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에 장착 가능하다. 즉, 제1 연부(15)는 회로 기판(B1)에 형성되어 있는 패드에 솔더링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에서 상대 단자와의 접촉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본체부(11)의 선단인 제1 연부(15)를, 제2 금속 부재(10B)에서는 회로 기판(B1)에 장착되는 부위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는 공통 부위(구체적으로는, 본체부(11), 제2 연부(16) 및 제3 연부(17))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금속 부재(10B)로서 제1 금속 부재(1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금속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제2 금속 부재(10B)를 제조하는 공정이나 제조를 위한 부품(예를 들어, 금형)을 제1 금속 부재(10A)와 공통화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저렴화를 더욱더 진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금속 부재(10B)는 X축 방향을 따른 직선을 중심으로 제1 금속 부재(10A)를 90도 회전시킨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도,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10A)와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10B)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커넥터의 저렴화를 더욱더 진척시킬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제1 연재부(12)의 연신 방향(Z2 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폭은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의 폭과 마찬가지로, Z2 방향을 향해 점차 작아질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X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의 폭(W1)(도 5 참조)과 마찬가지로, Z2 방향을 향해 점차 작아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Y축 방향에서의 폭은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의 폭(W2)(도 8a 참조)과 마찬가지로, Z2 방향을 향해 점차 작아질 수도 있다. 제1 커넥터(1)의 예와는 달리,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는 Z2 방향을 향해 점차 작아지는 한편,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폭은 일정할 수도 있다.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예에서,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제1 커넥터(1)의 후방부(Y축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Y2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커넥터(1)의 전방부(Y축 방향에서의 중심보다 Y1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에 장착 가능한 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도 6a 및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제1 커넥터(1)를 측면에서 볼 때(X축 방향을 따라 제1 커넥터(1)를 보았을 때) Y축 방향에서 떨어져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B1)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93)이 회로 기판(B1)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제1 커넥터(1)의 Y1 방향에서의 단부, 또는 Y2 방향에서의 단부가 회로 기판(B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6a에서의 Y1 방향과 Z1 방향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제1 커넥터(1)의 Y2 방향에서의 단부가 회로 기판(B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B1)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93)이 Y2 방향과 Z1 방향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제1 커넥터(1)의 Y1 방향에서의 단부가 회로 기판(B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예에서,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Y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으며, 제1 커넥터(1)를 측면에서 볼 때(X축 방향에서 제1 커넥터(1)를 보았을 때) 겹치는 부분을 가지지 않아, 이들 사이에는 틈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제1 커넥터(1)의 Y축 방향의 단부 근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 커넥터(1)에 비스듬한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각각의 폭(W2, W3)(도 8a 참조)이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부분적으로 겹쳐 있을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금속 부재(10A·10B)에서, 제1 커넥터(1)의 Y축 방향에서의 제1 연부(15)의 사이즈(폭(W2))는 동방향에서의 제2 연부(16)의 사이즈(폭(W3))보다 클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커넥터(1)가 수직 자세로 회로 기판(B1)에 실장되어 있을 때,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의 폭(W2)은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의 폭(W3)보다 커진다.
제1 연부(15)를 단부에 가지고 있는 제1 연재부(12)도 Y축 방향에서 비교적 큰 폭(W4)을 가지고 있다. 제2 커넥터(90)의 케이블 단자(92)의 접촉부(92d)는 주판부(92a)와 함께 대략 U자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즉, 접촉부(92d)는 커넥터(1·90)의 접속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Y2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92d)가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재부(12)의 폭(환언하면, 제1 연부(15)의 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도 8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보다 Y1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도 7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연부(17)는 하우징(30)의 전방면(30b)(Y1 방향을 향한 면)으로부터 Y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2)에 장착 가능하다. 즉, 제3 연부(17)는 회로 기판(B2)에 형성되어 있는 패드에 솔더링 가능하다.
제1 커넥터(1)의 예에서,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상부(Z1 방향에서의 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커넥터(1)의 하부(Z2 방향에서의 단부에 가까운 부분)에 회로 기판(B2)에 장착 가능한 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 도 6a 및 도 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3 연부(17)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제1 커넥터(1)를 측면에서 볼 때 Z축 방향에서 떨어져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도 6b 및 도 7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B2)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93)이 비스듬하게 당겨졌을 때, 즉 케이블(93)이 Y2 방향과 Z2 방향 사이의 비스듬한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제1 커넥터(1)의 Z1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B2)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의 예에서, 제1 금속 부재(10A)의 제3 연부(17)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제1 커넥터(1)를 측면에서 볼 때(X축 방향) 겹치는 부분을 가지지 않아, 이들 사이에는 틈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금속 부재(10A)의 제3 연부(17)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제1 커넥터(1)의 Z1 방향에서의 단부의 근방과 Z2 방향에서의 단부의 근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커넥터(1)에 비스듬한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금속 부재(10A)의 제3 연부(17)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의 각각의 폭이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겹쳐 있을 수도 있다.
도 6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베이스부(32)에는 단자인 제1 금속 부재(10A)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유지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공(32a)은 Z2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1 금속 부재(10A)는 Z1 방향에서 유지공(32a)에 삽입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10A)는 제1 연재부(12)의 Y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에 갈고리부(12a)(도 8a 참조)를 가지고 있다. 갈고리부(12a)는 유지공(32a)의 내면에 걸림결합하고 있다(도 6a 참조). 이에 의해, 제1 금속 부재(10A)의 유지공(32a)으로부터의 빠짐이 규제되고 있다. 갈고리부(12a)의 위치는 제1 커넥터(1)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갈고리부(12a)는 제1 연재부(12)의 Y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와 Y2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연재부(12)의 Y2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30)의 감합 벽부(31)의 후방벽(31b)(Y2 방향을 향한 외면을 갖는 벽부)에는 유지공(32a)으로부터 연속되어 있는 홈(31c)이 형성되어 있다. 홈(31c)에 제1 연재부(12)의 일부(Y2 방향의 가장자리(12b))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커넥터(90)와 제1 커넥터(1)를 조합할 때, 제1 연재부(12)에 제2 커넥터(90)가 충돌하여 제1 연재부(12)가 구부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감합 벽부(31)의 우측부(33R)(X1 방향의 단부 근방)와 좌측부(33L)(X2 방향의 단부 근방)에는 보강 금구인 제2 금속 부재(10B)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유지공(33a)(도 7a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공(33a)은 Z1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제2 금속 부재(10B)는 Z2 방향에서 유지공(33a)에 삽입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연재부(12)의 가장자리에 갈고리부(12a)(도 8b 참조)를 가지고 있다. 갈고리부(12a)는 유지공(33a)의 내면에 걸림결합하고 있다(도 7a 참조). 이에 의해, 제1 금속 부재(10A)의 유지공(33a)으로부터의 빠짐이 규제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재부(12)는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재부(12)와는 달리, 그 대부분이 유지공(33a)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금속 부재(10A)와는 상이한 방향에서, 하우징(30)에 형성된 유지공(33a)에 삽입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금속 부재(10A)는 하우징(30)의 유지공(32a)에 대해 Z1 방향으로 삽입되고, 제2 금속 부재(10B)는 하우징(30)의 유지공(33a)에 대해 Z2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하우징(30)의 베이스부(32)(제1 스토퍼부)는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재부(13)에 대해 Z1 방향에 위치하여, 제1 금속 부재(10A)의 Z1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하우징(30)은 제2 금속 부재(10B)의 제2 연재부(13)에 대해 Z2 방향에 위치하여, 제2 금속 부재(10B)의 Z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부(30e)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30)의 베이스부(32)와 제2 스토퍼부(30e)가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에 의해 Z축 방향에서 협지된다. 제2 커넥터(90)와 제1 커넥터(1)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93)이 당겨졌을 때, 회로 기판(B1·B2)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금속 부재(10B)에 의해, 회로 기판(B1·B2)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금속 부재(10A)로부터 하우징(30)이 Z1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90)를 제1 커넥터(1)로부터 뺄 때, 케이블 단자(92)와 제1 금속 부재(10A) 사이의 마찰에서 기인하여 제1 커넥터(1)를 회로 기판(B1·B2)으로부터 떨어뜨리려고 하는 힘이 제1 커넥터(1)에 작용한다. 이 때, 회로 기판(B1·B2)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금속 부재(10B)에 의해,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B1·B2)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금속 부재(10B)의 삽입 방향은 제1 커넥터(1)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금속 부재(10B)를 위한 유지공이 Y2 방향으로 개구되고, 제2 금속 부재(10B)가 이 유지공에 대해 Y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금속 부재(10B)를 위한 유지공이 Y1 방향으로 개구되고, 제2 금속 부재(10B)가 이 유지공에 대해 Y2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금속 부재(10A·10B)는 하우징(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금속 부재(10A·10B)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30)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성형이란, 금형 내에 삽입한 금속 부재(10A·10B)의 주위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금속 부재(10A·10B)와 수지(하우징(30))를 일체화하는 방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10A),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10B),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30)을 가지며, 상대 커넥터와 Z축 방향에서 접속하는 커넥터이다. 제1 금속 부재(10A)와 제2 금속 부재(10B) 각각은 본체부(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제3 연부(17)를 가지고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본체부(11)는 상대 단자(케이블 단자(92))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제1 연부(15)는 본체부(11)보다 Z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제2 연부(16)는 본체부(11)보다 Z2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B1)과 접속 가능하다. 제1 금속 부재(10A)의 제3 연부(17)는 본체부(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B2)과 접속 가능하다. 제2 금속 부재(10B)는 제1 금속 부재(10A)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1 연부(15)는 제2 금속 부재(10B)의 본체부(11)보다 Z2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B1)에 장착 가능하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제2 금속 부재(10B)의 본체부(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B2)에 장착 가능하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2 연부(16)는 제2 금속 부재(10B)의 본체부(11)보다 Z1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커넥터(1)에 의하면,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10A)와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10B)를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커넥터(1)에서 금속 부재(10A·10B)는 대략 L자 형상이었다. 금속 부재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 부재(10A·10B)는 대략 T자 형상일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대략 T자 형상을 갖는 금속 부재(110A·110B)가 나타나 있다. 제1 금속 부재(110A)는 케이블 단자와 접속하는 단자이며, 제2 금속 부재(110B)는 제1 커넥터(1)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 금구이다.
제1 금속 부재(110A)의 본체부(11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재부(112), 제1 연재부(112)에 접속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재부(113)를 가지고 있다. 제1 연재부(112)는 제2 연재부(113)의 중앙부에 접속하고 있으며, 제1 금속 부재(110A)는 전체적으로 대략 T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2 연재부(113)는 제1 연재부(112)보다 Y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인 후방부(113a)와, 제1 연재부(112)보다 Y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인 전방부(113b)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연부(15)는 제1 연재부(112)의 Z1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부(16)는 제2 연재부(113)의 후방부(113a)의 Z2 방향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본체부(111)보다 제1 커넥터의 Z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연부(16)는 하우징(30)의 하면(30a)(Z2 방향을 향한 면, 도 6a 참조)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과 접속 가능하다. 제3 연부(17)는 제2 연재부(113)의 전방부(113b)의 Y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연부(17)는 제2 연재부(113)의 전방부(113b)의 Y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본체부(1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연부(17)는 하우징(30)의 전방면(30b)(Y1 방향을 향한 면, 도 6a 참조)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2)과 접속 가능하다.
제1 금속 부재(110A)와 제2 금속 부재(110B)는 실질적으로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10B)는 Y축 방향을 따른 직선(L1)에 대해 제1 금속 부재(10A)를 반전시킨 자세로 하우징에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금속 부재(110B)에서의 본체부(111), 제1 연부(15), 제2 연부(16), 제3 연부(17)의 상대 위치는 제1 금속 부재(110A)에서의 이들의 상대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금속 부재(110B)의 제1 연부(15)는 본체부(111)보다 Z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연부(15)는 하우징(30)의 하면(30a)(Z2 방향을 향한 면, 도 7a 참조)으로부터 Z2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0B)의 제3 연부(17)는 본체부(1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연부(17)는 하우징(30)의 전방면(30b)(Y1 방향을 향한 면, 도 7a 참조)으로부터 Y1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2)(도 3 참조)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제1 금속 부재(110A)의 제2 연부(16)와 제2 금속 부재(110B)의 제1 연부(15)는 제1 커넥터(1)를 측면에서 볼 때(X축 방향으로 제1 커넥터(1)를 보았을 때), Y축 방향에서 떨어져 있다. 이 배치에 의해,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B1)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93)이 비스듬한 방향(Y1 방향과 Z1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제1 커넥터(1)의 Y2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B1)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가 회로 기판(B1)에 실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블(93)이 비스듬한 방향(Y2 방향과 Z1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제1 커넥터(1)의 Y1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B2)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금속 부재(10A)가 하우징(30)에 형성된 유지공(32a)에 Z1 방향으로 삽입되는 한편, 제2 금속 부재(10B)는 Y2 방향으로 개구된 유지공에 대해 Y1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혹은 Y1 방향으로 개구된 유지공에 대해 Y2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은 이러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지금까지 설명한 제1 금속 부재(10A)이다. 도 11의 (b)는 제2 금속 부재(210B)를 나타내고 있다. 제2 금속 부재(210B)는 X축 방향을 따라 직선(L2)을 중심으로 제1 금속 부재(10A)를 회전시킨 자세로 하우징(3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금속 부재(210B)는 제1 금속 부재(10A)를 90도만큼 회전시킨 자세로 하우징(3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금속 부재(10B)는 Y2 방향을 향해 개구된 유지공에 대해 Y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210B)의 단일체의 구조는 제2 금속 부재(10B)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의 예의 경우, 제2 금속 부재(210B)의 제1 연부(15)는 본체부(11)보다 Y1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210B)가 하우징(30)에 장착되었을 때, 제1 연부(15)는 하우징(30)의 전방면(30b)(Y1 방향을 향한 면, 도 7a 참조)으로부터 Y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Y1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2)에 장착 가능하다. 제2 금속 부재(210B)의 제3 연부(17)는 본체부(11)보다 Z2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연부(17)는 하우징(30)의 하면(30a)(Z2 방향을 향한 면)으로부터 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커넥터(1)에 대해 Z2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로 기판(B1)에 장착 가능하다. 제2 금속 부재(210B)의 제2 연부(16)는 제2 금속 부재(210B)의 본체부(11)보다 Y2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1: 제1 커넥터
10A: 제1 금속 부재
10B: 제2 금속 부재
11: 본체부
12: 제1 연재부
12a: 갈고리부
12b: 후방연
13: 제2 연재부
13b: 연결부
13c: 전방부
13g: 돌출부
15: 제1 연부
16: 제2 연부
17: 제3 연부
30: 하우징
30a: 하면
30b: 전방면
31: 감합 벽부
31a: 측벽
31b: 후방벽
31c: 홈
32: 베이스부
32a: 유지공
33a: 유지공
90: 제2 커넥터
91: 하우징
91a: 단자 유지공
93: 케이블
92: 케이블 단자
92b: 케이블 유지부
92c: 압착부
92d: 접촉부
93b: 심선
110A: 제1 금속 부재
110B: 제2 금속 부재
112: 제1 연재부
113: 제2 연재부
210B: 제2 금속 부재
M: 커넥터 조립체

Claims (12)

  1.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
    을 가지며, 상대 커넥터와 제1축 방향에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대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2.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
    을 가지며, 상대 커넥터와 제1축 방향에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대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축 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본체부, 상기 제1 연부, 상기 제2 연부, 상기 제3 연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재에서의 상기 본체부, 상기 제1 연부, 상기 제2 연부, 상기 제3 연부의 상대 위치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에서의 상기 본체부, 상기 제1 연부, 상기 제2 연부, 상기 제3 연부의 상대 위치와 동일한,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와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 각각은 제1 연재부, 상기 제1 연재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재부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재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1 연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부와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연재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와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축 방향에서 떨어져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와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1축 방향에서 떨어져 있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유지공과 제2 유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유지공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유지공에 삽입 가능한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재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연재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1 스토퍼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연재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2 스토퍼부를 갖는,
    커넥터.
  11.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제1 방향에서 감합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
    을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제1 방향에서 감합하는 제2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단자로서 기능하는 제1 금속 부재,
    보강 금구로서 기능하는 제2 금속 부재,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보유하고 있는 하우징
    을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와 상기 제2 금속 부재 각각은 본체부, 제1 연부, 제2 연부, 제3 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단자가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2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1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1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제2축 방향에서의 한쪽 방향인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과 접속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와는 상이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1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3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2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로 기판에 장착 가능하며,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제3 연부는 상기 제2 금속 부재의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제2축 방향에서 상기 제3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073860A 2020-06-11 2021-06-08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2626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1894 2020-06-11
JP2020101894A JP7467248B2 (ja) 2020-06-11 2020-06-11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95A true KR20210154095A (ko) 2021-12-20
KR102626147B1 KR102626147B1 (ko) 2024-01-18

Family

ID=7871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860A KR102626147B1 (ko) 2020-06-11 2021-06-08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9082B2 (ko)
JP (1) JP7467248B2 (ko)
KR (1) KR102626147B1 (ko)
CN (1) CN113809604A (ko)
DE (1) DE10202111450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8040A (en) * 1985-02-25 1987-05-26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JPS6440345U (ko) 1987-08-31 1989-03-10
JPH06124740A (ja) * 1992-10-13 1994-05-06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20000076841A (ko) * 1999-03-15 2000-12-26 요시무라 마사오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JP2016518003A (ja) * 2013-04-05 2016-06-20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ムパニー カーゲー プラグ接続デバイス
KR20190047920A (ko) * 2017-10-30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mt와 smt가 겸용 가능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7271B (ko) * 1968-08-22 1900-01-01
JP4425732B2 (ja) * 2004-07-21 2010-03-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4499153B2 (ja) * 2004-08-10 2010-07-0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73747B2 (ja) 2007-12-21 2012-02-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01515054U (zh) * 2009-09-23 2010-06-23 实盈电子(东莞)有限公司 板端电连接器
JP4911543B2 (ja) * 2011-08-26 2012-04-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40345B2 (ja) 2013-02-27 2018-12-19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010610A (ja) 2015-06-16 2017-01-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43907B2 (ja) * 2016-01-21 2020-02-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接続構造
US10411377B2 (en) 2016-06-06 2019-09-10 Nippon Tanshi Co., Ltd. Surface mount connector with alternative direction mounting feature
JP2018041533A (ja) 2016-09-05 2018-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7042711B2 (ja) * 2018-07-03 2022-03-2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039435B2 (ja) * 2018-10-05 2022-03-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8040A (en) * 1985-02-25 1987-05-26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JPS6440345U (ko) 1987-08-31 1989-03-10
JPH06124740A (ja) * 1992-10-13 1994-05-06 Nippon Atsuchiyaku Tanshi Seizo Kk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20000076841A (ko) * 1999-03-15 2000-12-26 요시무라 마사오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JP2016518003A (ja) * 2013-04-05 2016-06-20 フェニックス コンタク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ムパニー カーゲー プラグ接続デバイス
KR20190047920A (ko) * 2017-10-30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mt와 smt가 겸용 가능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7248B2 (ja) 2024-04-15
US11509082B2 (en) 2022-11-22
CN113809604A (zh) 2021-12-17
DE102021114501A1 (de) 2021-12-16
US20210391662A1 (en) 2021-12-16
KR102626147B1 (ko) 2024-01-18
JP2021197253A (ja)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804B2 (ja) コネクタ
JP6325349B2 (ja) コネクタ
KR100666067B1 (ko)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JP202401514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7281537B2 (ja) コネクタ
US11978973B2 (en) Connector
JP6058355B2 (ja) コネクタ
TWI776455B (zh) 連接器
JP2007149650A (ja) 雌型コネクタ及び雄型コネクタ
EP3940890B1 (en) Floating connector
JP2019135726A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TWI713271B (zh) 連接器及其製造方法
JP2018060818A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JP3607241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50067047A (ko) 전기 커넥터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17354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O2013090608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16507A (ko) 수형 콘택트
KR20210154095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6069541B2 (ja) コネクタ
US10998654B2 (en) Board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ircuit board and board connector
CN105684223A (zh) 插座、具备该插座的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
JPH09266035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2011351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